培 북돋울 배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土, 8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1획
|
||||
고등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バイ
|
||||||
일본어 훈독
|
つちか-う
|
||||||
-
|
|||||||
표준 중국어
|
péi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培는 '북돋울 배'라는 한자로, '북(식물의 뿌리를 싸고 있는 흙)을 돋우다(도드라지거나 높아지게 하다)', '기르다', '배양(培養)하다' 등을 뜻한다. 즉, '북돋우다(기운이나 정신 따위를 더욱 높여 주다)'의 뜻이 아님에 유의하자.[1] 그래서 혼동을 피하기 위하여 '북을 돋울 배'라고도 한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북돋우다 |
음 | 배 | |
중국어 | 표준어 | péi |
광동어 | pui4 | |
객가어 | phì | |
민북어 | bǒ | |
민동어 | puòi | |
민남어 | pôe | |
오어 | be (T3) | |
일본어 | 음독 | バイ |
훈독 | つちか-う | |
베트남어 | bồi |
유니코드에는 U+57F9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GYTR(土卜廿口)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土(흙 토)와 소리를 나타내는 咅(침 부)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3. 용례
3.1. 단어
- 계배( 啓培)
- 배근(培 根)
- 배식(培 植)
- 배양(培 養)
- 고체배양( 固 體培 養)
- 배양기(培 養 基)
- 배양기(培 養 器)
- 배양법(培 養 法)
- 배양액(培 養 液)
- 배양토(培 養 土)
- 사면배양( 斜 面培 養)
- 사배양( 砂培 養)
- 선택배양( 選 擇培 養)
- 수배양( 水培 養)
- 순배양( 純培 養)
- 심부배양( 深 部培 養)
- 정치배양( 靜 置培 養)
- 체외배양( 體 外培 養)
- 표면배양( 表 面培 養)
- 배재(培 材/培 栽)
- 배지(培 地)
- 배토(培 土)
- 비배( 肥培)
- 재배( 栽培)
- 계약재배( 契 約 栽培)
- 계통재배( 系 統 栽培)
- 고등재배( 高 等 栽培)
- 노지재배( 露 地 栽培)
- 등고선재배( 等 高 線 栽培)
- 망실재배( 網 室 栽培)
- 미량재배시험( 微 量 栽培 試 驗)
- 불시재배( 不 時 栽培)
- 억제재배( 抑 制 栽培)
- 연화재배( 軟 化 栽培)
- 온상재배( 溫 床 栽培)
- 온실재배( 溫 室 栽培)
- 재배국( 栽培 國)
- 재배기( 栽培 期)
- 재배법( 栽培 法)
- 재배식물( 栽培 植 物)
- 재배종( 栽培 種)
- 재배학( 栽培 學)
- 재배한계( 栽培 限 界)
- 전조재배( 電 照 栽培)
- 접목재배( 椄 木 栽培)
- 조기재배( 早 期 栽培)
- 조숙재배( 早 熟 栽培)
- 청정재배( 淸 淨 栽培)
- 촉성재배( 促 成 栽培)
- 혼성재배( 混 成 栽培)
3.2. 고사성어/ 숙어
3.3. 인명
- 강요배( 姜 堯培)
- 고영배( 高 永培)
- 김근배( 金 根培)
- 김성배( 金 聖培): 1927년생
- 김양배( 金 良培)
- 동영배( 董 永培)
- 류스페이( 劉 師培)
- 박길배( 朴 吉培)
- 소배성( 蘇培 盛)
- 이극배( 李 克培)
- 이근배( 李 勤培)
- 이배용( 李培 鎔)
- 임근배( 林 根培)
- 임인배( 林 仁培)
- 조배숙( 趙培 淑)
- 조인배( 趙 仁培)
- 차이위안페이( 蔡 元培)
- 최배근( 崔培 根)
- 최현배( 崔 鉉培)
3.4. 지명
- 경기도 남양주시 진건읍 배양리(培 養 里)
- 경기도 화성시 배양동(培 養 洞)
- 대전광역시 서구 배재로(培 材 路)
- 배명중학교(培 明 中 學 校)
- 배명고등학교(培 明 高 等 學 校)
- 배재학당(培 材 學 堂)
- 배재중학교(培 材 中 學 校)
- 배재고등학교(培 材 高 等 學 校)
- 배재대학교(培 材 大 學 校)
- 배화여자중학교(培 花 女 子 中 學 校)
- 배화여자고등학교(培 花 女 子 高 等 學 校)
- 배화여자대학교(培 花 女 子 大 學 校)
4. 유의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 稖(보습 방)
- 䎧(보습 방, 밭갈 부)
- 醅(거르지않은술 배)
- 倍(곱 배)
- 𤗏(널조각 배)
- 碚(땅이름 배)
- 陪(모실 배)
- 賠(물어줄 배)
- 㟝(북돋울 배)
- 焙(불쬘 배)
- 琣(칼집장식 배)
- 鞛(칼집장식 봉)
- 錇(대못 부)
- 䏽(돼지고기의젓 부)
- 涪(물거품 부)
- 棓(발판 부)
- 餢(빵 부)
- 婄(살찔 부)
- 犃(수컷 부)
- 殕(썩을 부)
- 䍌(작은장군 부)
- 㥉(조금화낼 부)
- 䋨(헌솜탈 부)
- 掊(헤칠 부)
- 踣(넘어질 북/복/부)
- 㖣(침뱉을 투)
- 𦩜
- 𩸬
[1]
사실 '북돋우다'라는 말의 어원이 다름 아닌 '북을 돋우다'이다. 그러나 이는 어원일 뿐이고 현재는 그 의미가 어원에서 멀어진 만큼 培의 의미를 정확히 아는 것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