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12-22 14:43:58

요안니스 7세

 
{{{#FCE774 {{{#!wiki style="margin: -26px -10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F0E09, #9F0807 20%, #9F0807 80%, #8F0E0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181818,#E5E5E5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font-size: 0.95em; letter-spacing: -0.35px"
원수정
율리우스-클라우디우스 왕조 아우구스투스 | 티베리우스 | 가이우스(칼리굴라) | 클라우디우스 | 네로
네 황제의 해 갈바 | 마르쿠스 살비우스 오토 | 비텔리우스
플라비우스 왕조 베스파시아누스 | 티투스 | 도미티아누스
네르바-안토니누스 왕조 네르바 | 트라야누스 | 하드리아누스 | 안토니누스 피우스 | 공동 즉위 루키우스 베루스 ·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 콤모두스
비정통 아비디우스 카시우스
다섯 황제의 해 페르티낙스 | 디디우스 율리아누스 | 페스켄니우스 니게르 | 클로디우스 알비누스 |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세베루스 왕조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 공동 즉위 게타 · 카라칼라
- 마크리누스 · 디아두메니아누스
세베루스 왕조 엘라가발루스 | 세베루스 알렉산데르
군인 황제 시대 막시미누스 트라쿠스 | 공동 즉위 고르디아누스 1세 · 고르디아누스 2세 | 공동 즉위 푸피에누스(막시무스) · 발비누스 | 고르디아누스 3세 | 필리푸스 아라부스 · 필리푸스 2세 | 데키우스 | 공동 통치 데키우스 · 헤렌니우스 에트루스쿠스 | 공동 즉위 트레보니아누스 갈루스 · 호스틸리아누스 · 볼루시아누스 | 아이밀리아누스 | 공동 즉위 발레리아누스 · 갈리에누스 | 클라우디우스 고티쿠스 | 퀸틸루스 | 아우렐리아누스 | 타키투스 | 플로리아누스 | 프로부스 | 카루스 | 공동 즉위 누메리아누스 · 카리누스
비정통 스폰시아누스 · 실반나쿠스
디오클레티아누스의 등장
- 카리누스 · 디오클레티아누스
서방 동방
양두정치 막시미아누스 양두정치 디오클레티아누스
사두정치
막시미아누스 | 콘스탄티우스 1세 | 발레리우스 세베루스 | 막센티우스 | 2차 재위 막시미아누스 | 콘스탄티누스 1세 사두정치 디오클레티아누스 | 갈레리우스 | 리키니우스 | 막시미누스 다이아 | 발레리우스 발렌스 | 마르티니아누스
통일
콘스탄티누스 왕조 콘스탄티누스 1세
서방 동방
콘스탄티누스 왕조 공동 즉위 콘스탄티누스 2세 · 콘스탄스
비정통 마그넨티우스 · 율리우스 네포티아누스 · 베트라니오
콘스탄티누스 왕조 콘스탄티우스 2세
통일
콘스탄티누스 왕조 콘스탄티우스 2세
서방 동방
콘스탄티누스 왕조 율리아누스 콘스탄티누스 왕조 콘스탄티우스 2세
통일
콘스탄티누스 왕조 율리아누스
- 요비아누스
발렌티니아누스 왕조 발렌티니아누스 1세
서방 동방
발렌티니아누스 왕조 발렌티니아누스 1세 | 그라티아누스 | 발렌티니아누스 2세 발렌티니아누스 왕조 발렌스
비정통 프로코피우스
비정통 에우게니우스
테오도시우스 왕조 마그누스 막시무스 · 플라비우스 빅토르 테오도시우스 왕조 테오도시우스 1세
통일
테오도시우스 왕조 테오도시우스 1세
서방 동방
테오도시우스 왕조 호노리우스 | 콘스탄티우스 3세 | 발렌티니아누스 3세
비정통 히스파니아의 막시무스
테오도시우스 왕조 아르카디우스 | 테오도시우스 2세 | 마르키아누스
비정통 콘스탄티누스 3세 · 프리스쿠스 아탈루스 · 요안네스
최후의 순간 페트로니우스 막시무스 | 아비투스 | 마요리아누스 | 리비우스 세베루스 | 안테미우스 | 올리브리우스 | 글리케리우스 | 율리우스 네포스 | 로물루스 아우구스툴루스 레오 왕조 레오 1세 | 레오 2세 | 제노 | 바실리스쿠스 · 마르쿠스 | 2차 재위 제노
동방
레오 왕조 2차 재위 제노 | 아나스타시우스 1세
유스티니아누스 왕조 유스티누스 1세 | 유스티니아누스 1세 | 유스티누스 2세 | 티베리우스 2세 | 마우리키우스 · 테오도시우스
- 포카스
이라클리오스 왕조 이라클리오스 | 공동 즉위 콘스탄티노스 3세 · 이라클로나스 · 다비드 티베리오스 | 콘스탄스 2세 · 콘스탄티노스 4세 · 이라클리오스 · 티베리오스 | 유스티니아노스 2세
20년간의 혼란 레온티오스 | 티베리오스 3세 | 2차 재위 유스티니아노스 2세 | 필리피코스 | 아나스타시오스 2세 | 테오도시오스 3세
이사브리아 왕조 레온 3세 | 콘스탄티노스 5세 | 아르타바스도스 · 니키포로스 | 2차 재위 콘스탄티노스 5세 | 레온 4세 | 콘스탄티노스 6세 | 이리니
니키포로스 왕조 니키포로스 1세 | 스타브라키오스 | 미하일 1세 랑가베스 · 테오필락토스 · 스타브라키오스
- 레온 5세 · 콘스탄티노스
아모리아 왕조 미하일 2세 | 테오필로스 | 미하일 3세
마케도니아 왕조 바실리오스 1세 · 콘스탄티노스 | 레온 6세 | 알렉산드로스 2세 | 콘스탄티노스 7세 | 로마노스 1세 · 흐리스토포로스 레카피노스 · 스테파노스 레카피노스 · 콘스탄티노스 레카피노스 | 로마노스 2세 | 니키포로스 2세 | 요안니스 1세 | 바실리오스 2세 | 콘스탄티노스 8세 | 로마노스 3세 | 미하일 4세 | 미하일 5세 | 공동 즉위 조이 · 테오도라 | 콘스탄티노스 9세 | 2차 재위 테오도라
- 미하일 6세
콤니노스 왕조 이사키오스 1세
두카스 왕조 콘스탄티노스 10세 | 미하일 7세 · 콘스탄티오스 두카스 · 안드로니코스 두카스 · 콘스탄티노스 두카스 | 로마노스 4세 · 레온 디오예니스 · 니키포로스 디오예니스 | 니키포로스 3세
콤니노스 왕조 알렉시오스 1세 · 콘스탄티노스 두카스 | 요안니스 2세 · 알렉시오스 콤니노스 | 마누일 1세 | 알렉시오스 2세 | 안드로니코스 1세
앙겔로스 왕조 이사키오스 2세 | 알렉시오스 3세 | 2차 재위 이사키오스 2세 | 알렉시오스 4세 | 알렉시오스 5세
니케아
라스카리스 왕조 테오도로스 1세 | 요안니스 3세 | 테오도로스 2세 | 요안니스 4세 | 미하일 8세
비정통 콘스탄티노스 라스카리스
동방
팔레올로고스 왕조 미하일 8세 | 안드로니코스 2세 | 미하일 9세 | 안드로니코스 3세 | 요안니스 5세 | 공동 즉위 요안니스 6세 | 2차 재위 요안니스 5세 | 공동 즉위 안드로니코스 4세 · 요안니스 7세 | 3차 재위 요안니스 5세 | 2차 재위 요안니스 7세 · 안드로니코스 5세 | 4차 재위 요안니스 5세 | 마누일 2세 | 요안니스 8세 | 콘스탄티노스 11세
아우구스투스 · 카이사르
{{{#FCE774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37px; padding: 0 6px"
}}}}}}}}}}}}}}}
로마 제국 제126대 황제
요안니스 7세
Ιωάννης Ζ'
파일:요안니스 7세 팔라이올로고스.gif
<colbgcolor=#9F0807><colcolor=#FCE774,#FCE774> 이름 요안니스 팔레올로고스
Ἰωάννης Παλαιολόγος
출생 1370년
동로마 제국
사망 1408년 9월 22일 (향년 38세)
동로마 제국 테살로니키
재위 기간 로마 황제
1390년 4월 14일 ~ 1390년 9월 17일 (5개월)
전임자 요안니스 5세
후임자 요안니스 5세
부모 아버지 : 안드로니코스 4세
어머니 : 불가리아의 케라차 마리아
배우자 이리니 가틸루시오
자녀 안드로니코스 5세
종교 그리스도교( 정교회)
1. 개요2. 생애
2.1. 초기 생애2.2. 짧은 치세2.3. 타협2.4. 제국의 섭정2.5. 테살로니키의 황제
3. 가족관계4. 참고 자료

[clearfix]

1. 개요

동로마 제국의 126대 황제이자 요안니스 5세의 장손.

2. 생애

2.1. 초기 생애

아버지 안드로니코스 4세 1376년 8월에 정변을 일으켜서 황제로 즉위를 한 뒤에 요안니스 7세는 자동으로 공동황제에 올랐다.

1379년, 요안니스 7세는 부황 안드로니코스 4세와 함께 폐위되었고 이후 셀렘브리아를 영지로 명예 황제직에 임명된 부황을 따라 그곳으로 갔다.

1385년, 안드로니코스 4세가 사망하자, 요안니스 7세는 그 작위를 이었다.

2.2. 짧은 치세

1390년 4월, 요안니스 7세는 조부 요안니스 5세를 폐위시키고 단독으로 즉위했다. 이는 요안니스 5세가 자신이 아닌 숙부인 마누일을 후계자로 지명한 것에 대한 반발이었다. 하지만 불과 5달 만에 마누일과 베네치아 공화국의 도움을 얻은 요안니스 5세가 복위에 성공하였다.

같은해 9월 17일, 요안니스 7세는 오스만 술탄국 바예지트 1세의 궁정으로 망명하였다.

2.3. 타협

요안니스 7세는 술탄 바예지트 1세의 환심을 샀고, 바예지드의 중재로 요안니스 7세는 셀렘브리아 영지로 복귀할 수 있었다. 또한 마누일의 제위 계승은 일단 인정하였고, 아직 아들이 없는 그가 후계를 남기지 못할 경우 그 후계는 요안니스 7세가 잇도록 합의되었다. 다만 그로부터 얼마 후, 마누일은 아들을 낳았고, 요안니스와 협상을 벌여 평생동안 황족으로 정중히 대우하되 황위를 잇는 것은 포기하게 했다. (1392년 12월)

2.4. 제국의 섭정

타협 이후 숙질 간의 관계가 호전되었는지 1399년, 오스만 술탄국이 콘스탄티노폴리스를 포위했을 때에 서유럽에 지원을 요청하러 떠난 마누일 2세는 어린 아들 대신 요안니스 7세를 섭정으로 세운 후 떠났다. 그리고 1402년, 오스만 술탄국이 앙카라 전투에서 패배하며 포위가 풀리자 제국의 신민들은 요안니스에게 찬사를 보냈다. 이후 오스만 술탄국은 바예지드의 세 아들이 내전을 벌이며 혼란기에 접어들었고, 이 기회를 틈타 요안니스 7세는 속국 신세에서 벗어나는 동시에 협상을 통해 오스만 술탄국 측으로부터 마르마라 해 연안과 1387년부터 오스만 측에 함락된 테살로니키를 수복하는 쾌거를 이루었다. 오랜만에 동로마 제국은 영토 확장을 이루어낸 것이다.

2.5. 테살로니키의 황제

1403년, 마누일 2세가 복귀하자 요안니스 7세는 미련 없이 섭정의 자리에서 물러났고, 자신이 수복한 테살로니키 일대를 영지로 받아 은퇴하였다. 그는 '전 테살리아의 황제( 바실레프스)'라는 칭호를 사용할 수 있었고 그의 아들 안드로니코스 5세는 공동 황제가 되었다. 하지만 1407년, 안드로니코스가 사망하자 비탄에 빠진 요안니스도 이듬해 죽으며 2대에 걸친 테살리아 황제국(가칭)은 소멸되었다. 이후 마누일 2세의 아들 안드로니코스가 테살로니키 총독으로 부임하게 된다.[1]

3. 가족관계

4. 참고 자료


[1] 다만 그도 황제가 되지 못하고 1423년에 죽는다. 이후 도시는 베네치아 공화국에게 양도되었다가 1430년, 오스만 제국에게 재차 함락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