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2-02 23:23:06

이리니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명이인에 대한 내용은 이리니(동명이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FCE774 {{{#!wiki style="margin: -26px -10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F0E09, #9F0807 20%, #9F0807 80%, #8F0E0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181818,#E5E5E5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font-size: 0.95em; letter-spacing: -0.35px"
원수정
율리우스-클라우디우스 왕조 아우구스투스 | 티베리우스 | 가이우스(칼리굴라) | 클라우디우스 | 네로
네 황제의 해 갈바 | 마르쿠스 살비우스 오토 | 비텔리우스
플라비우스 왕조 베스파시아누스 | 티투스 | 도미티아누스
네르바-안토니누스 왕조 네르바 | 트라야누스 | 하드리아누스 | 안토니누스 피우스 | 공동 즉위 루키우스 베루스 ·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 콤모두스
비정통 아비디우스 카시우스
다섯 황제의 해 페르티낙스 | 디디우스 율리아누스 | 페스켄니우스 니게르 | 클로디우스 알비누스 |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세베루스 왕조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 공동 즉위 게타 · 카라칼라
- 마크리누스 · 디아두메니아누스
세베루스 왕조 엘라가발루스 | 세베루스 알렉산데르
군인 황제 시대 막시미누스 트라쿠스 | 공동 즉위 고르디아누스 1세 · 고르디아누스 2세 | 공동 즉위 푸피에누스(막시무스) · 발비누스 | 고르디아누스 3세 | 필리푸스 아라부스 · 필리푸스 2세 | 데키우스 | 공동 통치 데키우스 · 헤렌니우스 에트루스쿠스 | 공동 즉위 트레보니아누스 갈루스 · 호스틸리아누스 · 볼루시아누스 | 아이밀리아누스 | 공동 즉위 발레리아누스 · 갈리에누스 | 클라우디우스 고티쿠스 | 퀸틸루스 | 아우렐리아누스 | 타키투스 | 플로리아누스 | 프로부스 | 카루스 | 공동 즉위 누메리아누스 · 카리누스
비정통 스폰시아누스
디오클레티아누스의 등장
- 카리누스 · 디오클레티아누스
서방 동방
양두정치 막시미아누스 양두정치 디오클레티아누스
사두정치
막시미아누스 | 콘스탄티우스 1세 | 발레리우스 세베루스 | 막센티우스 | 2차 재위 막시미아누스 | 콘스탄티누스 1세 사두정치 디오클레티아누스 | 갈레리우스 | 리키니우스 | 막시미누스 다이아 | 발레리우스 발렌스 | 마르티니아누스
통일
콘스탄티누스 왕조 콘스탄티누스 1세
서방 동방
콘스탄티누스 왕조 공동 즉위 콘스탄티누스 2세 · 콘스탄스
비정통 마그넨티우스 · 율리우스 네포티아누스 · 베트라니오
콘스탄티누스 왕조 콘스탄티우스 2세
통일
콘스탄티누스 왕조 콘스탄티우스 2세
서방 동방
콘스탄티누스 왕조 율리아누스 콘스탄티누스 왕조 콘스탄티우스 2세
통일
콘스탄티누스 왕조 율리아누스
- 요비아누스
발렌티니아누스 왕조 발렌티니아누스 1세
서방 동방
발렌티니아누스 왕조 발렌티니아누스 1세 | 그라티아누스 | 발렌티니아누스 2세 발렌티니아누스 왕조 발렌스
비정통 프로코피우스
비정통 에우게니우스
테오도시우스 왕조 마그누스 막시무스 · 플라비우스 빅토르 테오도시우스 왕조 테오도시우스 1세
통일
테오도시우스 왕조 테오도시우스 1세
서방 동방
테오도시우스 왕조 호노리우스 | 콘스탄티우스 3세 | 발렌티니아누스 3세
비정통 히스파니아의 막시무스
테오도시우스 왕조 아르카디우스 | 테오도시우스 2세 | 마르키아누스
비정통 콘스탄티누스 3세 · 프리스쿠스 아탈루스 · 요안네스
최후 페트로니우스 막시무스 | 아비투스 | 마요리아누스 | 리비우스 세베루스 | 안테미우스 | 올리브리우스 | 글리케리우스 | 율리우스 네포스 | 로물루스 아우구스툴루스 레오 왕조 레오 1세 | 레오 2세 | 제노 | 바실리스쿠스 · 마르쿠스 | 2차 재위 제노
동방
레오 왕조 2차 재위 제노 | 아나스타시우스 1세
유스티니아누스 왕조 유스티누스 1세 | 유스티니아누스 1세 | 유스티누스 2세 | 티베리우스 2세 | 마우리키우스 · 테오도시우스
- 포카스
이라클리오스 왕조 이라클리오스 | 공동 즉위 콘스탄티노스 3세 · 이라클로나스 · 다비드 티베리오스 | 콘스탄스 2세 · 콘스탄티노스 4세 · 이라클리오스 · 티베리오스 | 유스티니아노스 2세
20년간의 혼란 레온티오스 | 티베리오스 3세 | 2차 재위 유스티니아노스 2세 | 필리피코스 | 아나스타시오스 2세 | 테오도시오스 3세
이사브리아 왕조 레온 3세 | 콘스탄티노스 5세 | 아르타바스도스 · 니키포로스 | 2차 재위 콘스탄티노스 5세 | 레온 4세 | 콘스탄티노스 6세 | 이리니
니키포로스 왕조 니키포로스 1세 | 스타브라키오스 | 미하일 1세 랑가베스 · 테오필락토스 · 스타브라키오스
- 레온 5세 · 콘스탄티노스
아모리아 왕조 미하일 2세 | 테오필로스 | 미하일 3세
마케도니아 왕조 바실리오스 1세 · 콘스탄티노스 | 레온 6세 | 알렉산드로스 2세 | 콘스탄티노스 7세 | 로마노스 1세 · 흐리스토포로스 레카피노스 · 스테파노스 레카피노스 · 콘스탄티노스 레카피노스 | 로마노스 2세 | 니키포로스 2세 | 요안니스 1세 | 바실리오스 2세 | 콘스탄티노스 8세 | 로마노스 3세 | 미하일 4세 | 미하일 5세 | 공동 즉위 조이 · 테오도라 | 콘스탄티노스 9세 | 2차 재위 테오도라
- 미하일 6세
콤니노스 왕조 이사키오스 1세
두카스 왕조 콘스탄티노스 10세 | 미하일 7세 · 콘스탄티오스 두카스 · 안드로니코스 두카스 · 콘스탄티노스 두카스 | 로마노스 4세 · 레온 디오예니스 · 니키포로스 디오예니스 | 니키포로스 3세
콤니노스 왕조 알렉시오스 1세 · 콘스탄티노스 두카스 | 요안니스 2세 · 알렉시오스 콤니노스 | 마누일 1세 | 알렉시오스 2세 | 안드로니코스 1세
앙겔로스 왕조 이사키오스 2세 | 알렉시오스 3세 | 2차 재위 이사키오스 2세 | 알렉시오스 4세 | 알렉시오스 5세
니케아
라스카리스 왕조 테오도로스 1세 | 요안니스 3세 | 테오도로스 2세 | 요안니스 4세 | 미하일 8세
비정통 콘스탄티노스 라스카리스
동방
팔레올로고스 왕조 미하일 8세 | 안드로니코스 2세 | 미하일 9세 | 안드로니코스 3세 | 요안니스 5세 | 공동 즉위 요안니스 6세 | 2차 재위 요안니스 5세 | 공동 즉위 안드로니코스 4세 · 요안니스 7세 | 3차 재위 요안니스 5세 | 2차 재위 요안니스 7세 · 안드로니코스 5세 | 4차 재위 요안니스 5세 | 마누일 2세 | 요안니스 8세 | 콘스탄티노스 11세
아우구스투스 · 카이사르
{{{#FCE774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37px; padding: 0 6px"
}}}}}}}}}}}}}}}
이리니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FCE774 {{{#!wiki style="margin: -26px -10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F0E09, #9F0807 20%, #9F0807 80%, #8F0E0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4A3800; margin: -5px 0px"
율리우스-클라우디우스 왕조 리비아 드루실라 소(小) 안토니아 리비아 오레스틸라 롤리아 파울리나 밀로니아 카이소니아 메살리나 소(小) 아그리피나 클라우디아 옥타비아 포파이아 사비나 클라우디아 아우구스타 스타틸리아 메살리나
네 황제의 해 갈레리아 푼다나
플라비우스 왕조 소 도미틸라 도미티아 롱기나
네르바-안토니누스 왕조 폼페이아 플로티나 울피아 마르키아나 살로니아 마티디아 비비아 사비나 대(大) 파우스티나 소(小) 파우스티나 루킬라 브루티아 크리스피나
다섯 황제의 해 플라비아 티티아나 만리아 스칸틸라 디디아 클라라
세베루스 왕조 율리아 돔나 풀비아 플라우틸라
마크리누스 노니아 켈사
세베루스 왕조 율리아 코르넬리아 파울라 아퀼리아 세베라 안니아 파우스티나 율리아 마이사 율리아 소아이미아스 율리아 아비타 마마이아 살루스티아 오르비아나
군인 황제 시대 카이킬리아 파울리나 파비아 오레스틸라 안토니아 고르디아나 트란퀼리나 마르키아 오타킬리아 세베라 헤레니아 에트루킬라 코르넬리아 수페라 에그나티아 마리니아나 코르넬리아 갈로니아 코르넬리아 살로니나 술피키아 드리안틸라 빅토리아 제노비아 울피아 세베리나 마그니아 우르비카
사두정치 아우렐리아 프리스카 에우트로피아 갈레리아 발레리아 발레리아 막시밀리아
콘스탄티누스 왕조 플라비아 막시미아나 테오도라 플라비아 율리아 헬레나 미네르비나 플라비아 막시마 파우스타 플라비아 발레리아 콘스탄티나 플라비아 율리아 콘스탄티아 율리우스 콘스탄티우스의 딸 플라비아 에우세비아 파우스티나 헬레나
요비아누스 차리토
발렌티니아누스 왕조 마리나 세베라 유스티나 알비아 돔니카 플라비아 막시마 콘스탄티아 레타
테오도시우스 왕조 아일리아 플라킬리아 플라비아 갈라 아일리아 에우독시아 마리아 테르만티아 아일리아 풀케리아 갈라 플라키디아 아일리아 에우도키아 유스타 그라타 호노리아 리키니아 에우독시아
레오 왕조 아일리아 마르키아 에우페미아 플라키디아 율리우스 네포스의 아내 아일리아 베리나 아일리아 아리아드네 아일리아 제노니스
유스티니아누스 왕조 에우페미아 테오도라 아일리아 소피아 아일리아 아나스타시아 콘스탄티나
포카스 레온티아
이라클리오스 왕조 파비아 에우도키아 마르티나 아우구스티나 아나스타시아 그레고리아 파우스타 아나스타시아 에우도키아 하자르의 테오도라
아나스타시오스 2세 이리니
이사브리아 왕조 마리아 안나 하자르의 이리니 마리아 에우도키아 이리니 암니아의 마리아 테오도테
니키포로스 왕조 테오파노 프로코피아
레온 5세 테오도시아
아모리아 왕조 테클라 에우프로시나 테오도라 에우도키아 데카폴리티사 테클라 안나 아나스타시아
마케도니아 왕조 에우도키아 잉게리나 테오파노 마르티나키아 조이 자우치나 에우도키아 베아나 조이 카르보노프시나 테오도라 엘레니 레카피니 소피아 안나 가발라 엘레니 테오파노 마마스 베르타 테오파노 테오도라 엘레니 알리피아 조이 테오도라
콤니노스 왕조 불가리아의 예카테리나
두카스 왕조 에브도키아 마크렘볼리티사 알라니아의 마리아
콤니노스 왕조 안나 달라시니 이리니 두케나 헝가리의 이리니 키예프의 도브로데이아 줄츠바흐의 베르타 안티오키아의 마리아 프랑스의 아녜스
앙겔로스 왕조 헝가리의 머르기트 에우프로시나 두케나 카마테리나 에우도키아 앙겔리나
라스카리스 왕조 안나 앙겔리나 아르메니아의 필리파 마리 드 쿠르트네 이리니 라스카리나 호엔슈타우펜의 안나 불가리아의 엘레나 아세니나
팔레올로고스 왕조 테오도라 팔레올로기나 헝가리의 언너 몬페라토의 이리니 아르메니아의 마리아 브라운슈바이크의 이리니 사보이아의 안나 이리니 아사니나 엘레니 칸타쿠지니 이리니 팔레올로기나 불가리아의 케라차 마리아 엘레니 드라가시 이리니 가틸루시오 안나 바실리예브나 몬페라토의 소피아 트라페준타의 마리아 }}}}}}}}}}}}
로마 제국 제81대 황제
이리니
Εἰρήνη
파일:Herbert_Norris_-_The_Empress_Irene_AD_797-802_1924_-_(MeisterDrucke-789848).jpg
<colbgcolor=#9F0807><colcolor=#FCE774,#FCE774> 이름 이리니 이 아시네아
Ειρήνη η Αθηναία[1]
Irene Atheniensis[2]
출생 750년~756년 사이
동로마 제국 아테네
사망 803년 8월 9일
동로마 제국 레스보스
재위 기간 로마 황제
797년 8월 19일 ~ 802년 10월 31일 (5년)
콘스탄티노스 6세의 섭정
792년 ~ 797년, 780년 ~ 790년 (15년)
레온 4세의 황후
775년 ~ 780년 (5년)
전임자 콘스탄티노스 6세
후임자 니키포로스 1세
배우자 레온 4세
자녀 콘스탄티노스 6세
종교 기독교
1. 개요2. 생애3. 창작물에서4. 같이보기

[clearfix]

1. 개요

로마 제국의 81대 황제이자 로마 제국 최초의 여제로 이사브리아 왕조의 마지막 황제다. 레온 4세의 황후이자 콘스탄티노스 6세의 모후. 아들의 섭정을 거쳐 황제까지 된다.

이름의 뜻은 평화 그리고 평화의 여신.

이레네라고도 한다. 영어로는 아이린. 아테네 출신이라서 동명이인들과의 구별을 위해 '아테네의 이리니'라고 칭해지기도 한다.

2. 생애

769년에 황자였던 레온 4세와 결혼했고, 775년에 남편이 즉위하자 황후가 되었다. 780년에 남편이 일찍 죽자 어린 아들인 콘스탄티노스 6세의 섭정으로서 제국의 통치를 시작하였다.

이전 황제들과는 달리 그녀는 성상 옹호파였다.[3] 이리니는 섭정으로서 성상옹호자인 측근 타라시오스를 기용하는 등 성상옹호 정책을 주창했으나, 근위대가 반발하는 등 역풍을 맞았다. 이에 이리니는 근위대를 소아시아 전선에 보내버리고 트라키아인으로 구성된 부대를 불러들였다. 이리니는 787년 제2차 니케아 공의회를 개최하고 754년 시아버지인 콘스탄티노스 5세 때 성상파괴를 주장했던 히에레이아 공의회를 배격하였다. 이에 반발하는 세력은 자연히 젊은 황제 콘스탄티노스 6세에게 집결했고, 섭정인 이리니와 대립하였다.

790년에 이리니는 친위 쿠데타를 일으켜 아들을 몰아내려 했으나, 콘스탄티노스를 지지하던 성상 파괴주의자들 등의 역공을 받고 유폐되어 콘스탄티노스 6세가 2년 동안 단독 황제로 제국을 통치했다. 하지만 콘스탄티노스의 숙부이자 부제(Caesar)인 니키포로스가 쿠데타를 시도하고 이슬람과 불가리아의 침략까지 겹치자 콘스탄티노스는 792년에 모후를 다시 공동 통치자로 복귀시켰지만 이미 모자지간의 관계는 파탄으로 치닫고 있었다. 콘스탄티노스 6세는 잔혹한 형벌을 내리고 정실부인을 내치면서 민심을 잃었고, 797년, 이리니는 쿠데타를 일으켜 아들의 제위를 찬탈했으며 아들의 눈을 뽑고 유폐했다.[4]

여자의 몸으로 황제에 오르는 것은 매우 불안한 정치적 위치일 수밖에 없었다.[5] 로마의 전통에 따르면 황제는 임페라토르, 즉 군사권을 가지고 있는 몸이었다. 당시 사람들은 여자는 이것이 불가능하다고 여겼으며, 게르만족은 아예 로마를 공위 상태로 간주하였다.

이리니는 성상옹호정책을 펼쳤는데, 독특하게도 성상 공경을 옹호했지만 성상파괴주의자들에게도 관용을 베풀었다.[6] 하지만 당대에는 성상파괴주의 세력을 처벌하지 않는 것이 그녀의 지지세력에게 불만을 가져다 주었고, 반대세력 역시 이와 같은 관용에 만족하지 않았다.[7] 이리니는 종교정책 외에도 테마를 몇 개 더 확립하고, 슬라브인에게 포교를 하는 등 대외적으로도 안정된 정책을 이어나갔다. 이리니는 군사적으로 실책은 없었으나, 콘스탄티노스 6세의 군사적 실책으로 불가리아에 많은 조공을 헌납하고 있었고, 이는 사라센에게도 마찬가지였다. 포교자체는 성공적이었어서 이 때 상당한 수의 교구가 증설되었다. 또한 성상 공경이 합법화되자 자연히 예술도 부흥하였다. 성상파괴로 단절되었던 비잔틴 예술이 숨을 쉴 수 있게 된 것이다.

이리니의 통치가 안정을 찾을 무렵 위기는 프랑크 왕국으로부터 찾아왔다. 샤를마뉴는 교황과 동로마 제국이 성상 옹호로 일치해 단결할 위험이 보이자, 프랑크푸르트 시노드를 개최해 동로마 제국과 충돌하는 몇 가지 교리( 필리오케 논쟁)를 들먹이며 제2차 니케아 공의회는 무효라고 주장하며 교황을 압박하였다. 교황은 이에 프랑크 왕국의 손을 들면서도 제2차 니케아 공의회는 정당한 것이라고 소극적으로 대응하였다. 이후 몇 차례의 대립 끝에 결국 교황은 동로마 제국이 아닌 프랑크 왕국의 편에 설 수밖에 없었고, 이는 샤를마뉴의 서로마 황제 대관으로 이어진다. 샤를마뉴는 이리니와의 결혼으로 동서 제국의 합일까지 바라보았으나, 이에 분노한 귀족들과 콘스탄티노플 시민들에 의해 이리니가 폐위되면서 무산되었다. 폐위된 이리니는 레즈보스 섬으로 유배되어 강제 노동형을 선고받았고 폐위된지 1년만에 사망한다.

3. 창작물에서

크루세이더 킹즈 2의 사를마뉴 시나리오(769년)에서 남편인 레온 4세와 막 결혼한 상태로 등장하며 아들인 콘스탄티노스는 771년생이라 등장하지 않는다. 그 후 867년 시나리오에서부터는 동로마 제국위의 과거 소유자 이력에서만 볼 수 있고 친족 살해자(Kinslayer)가 붙어 있다.

문명 6에서 중세에 고용할 수 있는 위대한 상인으로 등장하는데 게임 내 백과사전에 의하면 비단 산업을 육성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4. 같이보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3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3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1] 그리스어 [2] 라틴어 [3] 그녀가 기존 황제들과는 달리 그리스 본토 출신이었던 것이 이와 관련있었을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콘스탄티노스 5세부터 극단적인 성상파괴주의는 잦아들고 있었고 이리니 대에 와서 비로소 잠잠해진다. [4] 이렇게 황제의 어머니로서 어린 황제를 대신해 통치한 것, 성상을 옹호한 행보는 이후 등장하는 테오도라와 대단히 흡사하다. 그러나 그 끝은 판이한데, 성년이 된 아들과 권력 다툼을 벌인 것은 같으나 테오도라는 결국 아들에게 밀려난 반면, 이리니는 아들의 안구를 적출하며 권력을 유지하였던 것이다. 실명한 황제는 곧 죽었고, 이러한 잔인한 행위로 이리니는 비판받았다. [5] 이리니는 이런 상황에서도 최선을 다해 나쁘지 않은 통치를 이어갔으나, 결국 지지 세력을 확보하기 위해 외세와 접촉해야 했고, 이로 인해 파국을 맞았다. [6] 성상파괴주의 세력을 함부로 건들 수 없던 탓도 있겠지만, 이는 동로마 제국의 고질적인 문제인 종교의 통합을 시도한 것으로 상당히 높게 평가할 수 있다. 니케아 공의회에서 성상을 공경하지(venerate) 숭배하지는(worship) 않는다는 점을 확실히 한 것도 현명한 종교-정치적인 수사였다. [7] 성상파괴주의를 지지하는 세력은 소아시아에서부터 왕조의 운명을 걸고 싸운 군부세력이었고, 그리스와 소아시아 출신의 갈등의 골은 생각보다 깊었던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