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20 04:44:03

강조(고려)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KBS 대하드라마 <고려 거란 전쟁>의 등장인물에 대한 내용은 강조(고려 거란 전쟁)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colbgcolor=#fedc89,#670000><colcolor=#670000,#fedc89> 고려사(高麗史)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calc(1.5em + 6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세가(世家)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670000,#fedc89> 1·2권 3권 4·5권
태조 · 혜종 · 정종定宗 · 광종 · 경종 성종 · 목종 현종 · 덕종
<rowcolor=#670000,#fedc89> 6권 7·8·9권 10권
정종靖宗 문종 · 순종 선종 · 헌종
<rowcolor=#670000,#fedc89> 11·12·13·14권 15·16·17·18·19·20권 21권
숙종 · 예종 인종 · 의종 · 명종 신종 · 희종 · 강종
<rowcolor=#670000,#fedc89> 22·23·24권 25·26·27권 28·29·30·31·32권
고종 원종 충렬왕
<rowcolor=#670000,#fedc89> 33·34·35권 36권 37권
충선왕 · 충숙왕 충혜왕 충목왕 · 충정왕
<rowcolor=#670000,#fedc89> 38·39·40·41·42·43·44권 133·134·135·136·137권열전 45·46권
공민왕 우왕 · 창왕 공양왕
<colbgcolor=#fedc89,#670000><colcolor=#670000,#fedc89> [ 지(志) ]
47·48·49권 「천문(天文)」 / 50·51·52권 「역(曆)」 / 53·54·55권 「오행(五行)」 / 56·57·58권 「지리(地理)」 / 59·60·61·62·63·64·65·66·67·68·69권 「예(禮)」 / 70·71권 「악(樂)」 / 72권 「여복(輿服)」 / 73·74·75권 「선거(選擧)」 / 76·77권 「백관(百官)」 / 78·79·80권 「식화(食貨)」 / 81·82·83권 「병(兵)」 / 84·85권 「형법(刑法)」
[ 표(表) ]
86·87권 「연표(年表)」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후비·종실·공주 열전(列傳)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88권 「후비1(后妃一)」
89권 「후비2(后妃二)」
90권 「종실1(宗室一)」
91권 「종실2(宗室二)」· 「공주(公主)」
태조
신혜왕후 유씨 · 장화왕후 오씨 · 신명순성왕태후 유씨 · 신정왕태후 황보씨 · 신성왕태후 김씨 · 정덕왕후 유씨 · 헌목대부인 평씨 · 정목부인 왕씨 · 동양원부인 유씨 · 숙목부인 · 천안부원부인 임씨 · 흥복원부인 홍씨 · 후대량원부인 이씨 · 대명주원부인 왕씨 · 광주원부인 왕씨 · 소광주원부인 왕씨 · 동산원부인 박씨 · 예화부인 왕씨 · 대서원부인 김씨 · 소서원부인 김씨 · 서전원부인 · 신주원부인 강씨 · 월화원부인 · 소황주원부인 · 성무부인 박씨 · 의성부원부인 홍씨 · 월경원부인 박씨 · 몽량원부인 박씨 · 해량원부인
태자 왕태 · 문원대왕 왕정 · 증통국사 · 대종 왕욱 · 안종 왕욱 · 왕위군 · 인애군 · 원장태자 · 조이군 · 수명태자 · 효목태자 왕의 · 효은태자 · 원녕태자 · 효성태자 왕림주 · 효지태자 · 태자 왕직 · 광주원군 · 효제태자 · 효명태자 · 법등군 · 자리군 · 의성부원대군 · 안정숙의공주 · 흥방궁주 · 대목왕후 · 문혜왕후 · 선의왕후 · ( 정덕왕후 소생 공주) · 순안왕대비 · ( 흥복원부인 소생 공주) · ( 성무부인 소생 공주)
{{{#!wiki style="margin: -16px -11px" 혜종 정종 광종
의화왕후 임씨 · 후광주원부인 왕씨 · 청주원부인 김씨 · 궁인 애이주 문공왕후 박씨 · 문성왕후 박씨 · 청주남원부인 김씨 대목왕후 황보씨 · 경화궁부인 임씨
흥화궁군 · 태자 왕제 · 경화궁부인 · 정헌공주 · 명혜부인 경춘원군 · ( 문성왕후 소생 공주) 효화태자 · 천추전부인 · 보화궁부인 · 문덕왕후
경종 성종 목종
헌숙왕후 김씨 · 헌의왕후 유씨 · 헌애왕태후 황보씨 · 헌정왕후 황보씨 · 대명궁부인 유씨 문덕왕후 유씨 · 문화왕후 김씨 · 연창궁부인 최씨 선정왕후 유씨 · 궁인 김씨
- 원정왕후 · 원화왕후 - }}}
현종
원정왕후 김씨 · 원화왕후 최씨 · 원성태후 김씨 · 원혜태후 김씨 · 원용왕후 유씨 · 원목왕후 서씨 · 원평왕후 김씨 · 원순숙비 김씨 · 원질귀비 왕씨 · 귀비 유씨 · 궁인 한씨 · 궁인 이씨 · 궁인 박씨
평양공 왕기 · 검교태사 왕충 · 효정공주 · 천수전주 · 인평왕후 · 경숙공주 · 효사왕후 · 효경공주 · 경성왕후 · 아지
덕종 정종
경성왕후 김씨 · 경목현비 왕씨 · 효사왕후 김씨 · 이씨 · 유씨 용신왕후 한씨 · 용의왕후 한씨 · 용목왕후 이씨 · 용절덕비 김씨 · 연창궁주 노씨
상회공주 · ( 유씨 소생 공주) 애상군 왕방 · 낙랑후 왕경 · 개성후 왕개 · 도애공주
문종
인평왕후 김씨 · 인예순덕태후 이씨 · 인경현비 이씨 · 인절현비 이씨 · 인목덕비 김씨
대각국사 왕후 · 상안공 왕수 · 도생승통 왕탱 · 금관후 왕비 · 변한후 왕음 · 낙랑후 왕침 · 총혜수좌 왕경 · 조선공 왕도 · 부여후 왕수 · 진한후 왕유 · 적경궁주 · 보령궁주
순종 선종
정의왕후 왕씨 · 선희왕후 김씨 · 장경궁주 이씨 정신현비 이씨 · 사숙태후 이씨 · 원신궁주 이씨
- 한산후 왕윤 · 경화왕후 · ( 사숙태후 소생 공주) · 수안택주
숙종 예종
명의태후 유씨 경화왕후 이씨 · 문경태후 이씨 · 문정왕후 왕씨 · 숙비 최씨
상당후 왕필 · 원명국사 징엄 · 대방공 왕보 · 대원공 왕효 · 제안후 왕서 · 통의후 왕교 · 대령궁주 · 흥수궁주 · 안수궁주 · 복령궁주 승덕공주 · 흥경공주
{{{#!wiki style="margin: -16px -11px" 인종 의종 명종
폐비 이씨 · 폐비 이씨 · 공예태후 임씨 · 선평왕후 김씨 장경왕후 김씨 · 장선왕후 최씨 광정태후 김씨
대령후 왕경 · 원경국사 충희 · 승경궁주 · 덕녕궁주 · 창락궁주 · 영화궁주 효령태자 왕기 · 경덕궁주 · 안정궁주 · 화순궁주 왕선사 · 왕홍기 · 왕홍추 · 왕홍규 · 왕홍균 · 왕홍각 · 왕홍이 · 연희궁주 · 수안궁주 }}}
신종 희종
선정태후 김씨 성평왕후 임씨
양양공 왕서 · 효회공주 · 경녕궁주 창원공 왕지 · 시령후 왕위 · 경원공 왕조 · 대선사 경지 · 충명국사 각응 · 안혜태후 · 영창공주 · 덕창궁주 · 가순궁주 · 정희궁주
{{{#!wiki style="margin: -16px -11px" 강종 고종 원종
사평왕후 이씨 · 원덕태후 유씨 안혜태후 유씨 순경태후 김씨 · 경창궁주 유씨
수령궁주 안경공 왕창 · 수흥궁주 시양후 왕이 · 순안공 왕종 · 경안궁주 · 함녕궁주
충렬왕 충선왕 충숙왕
제국대장공주 · 정신부주 · 숙창원비 김씨 계국대장공주 · 의비 · 정비 · 순화원비 홍씨 · 조비 · 순비 허씨 복국장공주 · 조국장공주 · 경화공주 · 명덕태후 홍씨 · 수비 권씨
강양공 왕자 · 소군 왕서 · 정녕원비 · 명순원비 세자 왕감 · 덕흥군 용산원자
충혜왕 공민왕 공양왕
덕녕공주 · 희비 윤씨 · 화비 홍씨 · 은천옹주 임씨 휘의 노국대장공주 · 혜비 이씨 · 익비 한씨 · 정비 안씨 · 신비 염씨 순비 노씨
석기 · 장녕공주 - 세자 왕석 · 숙녕궁주 · 정신궁주 · 경화궁주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열전(列傳)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92권
홍유 배현경 신숭겸 복지겸 · 유금필 · 최응 · 최언위 ( 최광윤 최행귀 최광원) · 왕유 왕자지 · 박술희 · 최지몽 · 왕식렴 · 박수경 · 왕순식 이총언 견금 윤선 흥달 선필 태평 · 공직 · 박영규
93권
서필 · 최승로 최제안 · 쌍기 · 최량 · 한언공 · 류방헌 · 김심언 · 최항 · 채충순
94권
서희 서눌 서공 · 유진 · 강감찬 · 최사위 · 황보유의 장연우 · 양규 ( 양대춘) · 지채문 지녹연 · 하공진 · 김은부 · 주저 · 강민첨 · 곽원 · 왕가도 · 김맹 · 류소 · 윤징고 · 위수여 · 전공지 · 이주헌 · 이주좌 · 안소광 · 조지린
95권
최충 최유선 최사제 최약 최윤의 · 이자연 이자량 이자인 이혁유 이자현 이자덕 이예 이공수 이지저 이오 이광진 · 박인량 박경인 박경백 박경산 · 황주량 · 류신 · 왕총지 · 위계정 · 소태보 왕국모 고의화 · 문정 · 정문 · 김원정 · 손관 · 최사량 · 김선석 · 임의 임원후 임극충 임극정 임부 임유 임익 임항 · 김한충
96권
최사추 · 김인존 · 윤관 윤언순 ( 윤언식 윤언민 윤언이) 윤인첨 윤세유 윤상계 · 오연총
97권
김부일 김부의 · 고령신 · 김황원 이궤 · 곽상 곽여 · 유재 호종단 신안지 · 김경용 ( 김인규) · 최홍사 · 한안인 · 이영 · 한충 · 임개 유녹숭 · 김준 · 류인저 · 강증 · 허경 · 문관 · 정항 정서 · 김극검 · 김약온
98권
김부식 김돈중 김군수 · 정습명 · 고조기 · 김정순 · 정극영 · 박정유 · 최사전 · 김향 · 최자성 · 김진 · 임완 · 최기우 · 김수자 · 최유 · 이숙 이위 · 허재
99권
양원준 · 최유청 최당 최린 최선 최종준 최온 최문본 최평 최옹 · 이공승 · 신숙 · 한문준 · 문극겸 · 류공권 류택 · 조영인 · 왕세경 · 이순우 · 임민비 · 최척경 · 함유일 · 염신약 · 이지명 · 유응규 유자량 · 현덕수 · 최균 최보순 최윤개 · 김거공 · 한유한
100권
두경승 · 우학유 · 노영순 · 조위총 · 방서란 · 박제검 · 기탁성 · 홍중방 · 경대승 · 진준 · 최세보 · 박순필 · 이영진 · 백임지 · 이준창 · 최충렬 · 정세유 정숙첨 정안 · 정국검 이유성 · 정방우 · 정언진
101권
민영모 민식 · 송저 · 김광중 김체 · 안유발 · 최여해 · 최우청 · 왕규 · 차약송 기홍수 · 정극온 · 류광식 · 권경중 · 김태서 김약선 김미 · 문한경 권세후 백돈명 · 노인수 · 김의원
102권
금의 · 이규보 이익배 · 유승단 · 김인경 김승무 · 이공로 · 이인로 오세재 조통 임춘 · 조문발 · 이순목 이수 · 김창 · 송국첨 · 최자 하천단 · 채송년 채정蔡楨 · 손변 · 권수평 · 이순효 장순량 · 송언기 · 김수강 · 김지대 · 이장용
<rowcolor=#670000,#fedc89> 103권 104권
조충 조변 · 김취려 김문연 김변 · 이적 · 채정蔡靖 · 박서 송문주 · 김경손 김혼 · 최춘명 · 김희제 · 이자성 · 김윤후 · 김응덕 김방경 김구용 김제안 김흔 김순 김영돈 김영후 김사형 박구 · 한희유 · 나유 나익희 · 원충갑 · 김주정 김심 김종연 김석견
105권
류경 류승 류돈 류만수 · 허공 허종 허관 허금 허부 허유 · 홍자번 홍승서 홍영통 · 정가신 · 안향 안우기 안목 · 설공검 · 유천우 · 조인규 조서 조연 조덕유 조린 조연수 조위
106권
백문절 백이정 · 박항 · 곽예 · 주열 · 이주 이행검 · 장일 · 김구 · 이승휴 이연종 · 김훤 김개물 · 정해 정오 정포 정공권 · 조간 · 심양 · 추적 이인정 채우 · 김유성 곽린 · 윤해 윤택 · 이영 · 엄수안 · 안전 · 최수황 · 박유 · 홍규 홍융
<rowcolor=#670000,#fedc89> 107권 108권
한강 한악 한수 한방신 · 원부 원충 원호 원선지 원송수 · 김련 · 김부윤 · 정인경 · 권단 권부 권준 권렴 권용 권적 ( 권고) 권화 권근 · 민지 민상정 민종유 민적 민사평 민변 민제 · 김지숙 김인연 · 정선 · 이혼 · 최성지 최문도 · 채홍철 · 김이 · 이인기 · 홍빈 · 조익청 · 배정지 · 손수경
109권
박전지 · 오형 · 이진 · 윤신걸 박효수 · 허유전 · 박충좌 · 윤선좌 · 이조년 이승경 · 이곡 · 우탁 · 안축 안종원 안보 · 최해 · 장항 · 이성 · 조렴 왕백 · 이백겸 · 신군평
<rowcolor=#670000,#fedc89> 110권 111권
최유엄 · 김태현 김광재 · 김륜 김경직 김희조 김승구 · 왕후 왕중귀 · 한종유 · 이제현 이달존 이보림 · 이능간 염제신 · 이암 이강 · 홍언박 홍사우 류연 · 류탁 · 경복흥 · 김속명 · 이자송 · 조돈 조인옥 · 최재 · 송천봉 · 홍중선 · 김도 · 임박 · 문익점
112권
이공수 · 류숙 류실 · 이인복 · 백문보 · 전녹생 · 이존오 · 이달충 · 설손 설장수 · 한복 · 이무방 · 정습인 · 하윤원 · 박상충 · 박의중 · 조운흘
113권
안우 김득배 이방실 · 정세운 · 안우경 · 최영 · 정지 · 윤가관 · 김장수
114권
윤환 · 이성서 · 이수산 이념 · 이승로 · 황상 · 지용수 · 나세 · 김선치 · 전이도 · 구영검 · 오인택 · 김보 · 변광수 · 정지상 · 임군보 · 나흥유 · 목인길 · 김유 · 양백연 · 지용기 · 하을지 · 우인열 · 문달한 · 김주 · 최운해
{{{#!wiki style="margin: -16px -11px" <rowcolor=#670000,#fedc89> 115권 116권 117권
이색 · 우현보 · 이숭인 심덕부 · 이림 · 왕강 · 박위 · 이두란 · 남은 정몽주 · 김진양 · 강회백 · 이첨 · 성석린
<rowcolor=#670000,#fedc89> 118권 119권 120권
조준 정도전 윤소종 윤회종 · 오사충 · 김자수 }}}
121권
<rowcolor=#670000,#fedc89> 「양리(良吏)」 「충의(忠義)」
유석 · 왕해 · 김지석 · 최석 · 정운경 홍관 · 고보준 · 정의 · 문대 · 조효립 · 정문감
<rowcolor=#670000,#fedc89> 「효우(孝友)」 「열녀(烈女)」
문충 · 석주 · 최루백 · 위초 · 서릉 · 김천 · 황수 · 정유 · 조희참 · 정씨 · 손유 · 권거의 노준공 · 신씨 · 윤구생 · 반전 · 군만 유씨 · (현문혁의 처) · (홍의의 처) · (안천검의 처) · (강화부 세 여인) · 최씨 · 배씨 · 문씨 · 김씨 · 안씨 · 이씨 · (권금의 처)
122권
{{{#!wiki style="margin: -16px -11px" <rowcolor=#670000,#fedc89> 「방기(方技)」 「환자(宦者)」 「혹리(酷吏)」
김위제 · 이녕 ( 이광필) · 이상로 · 오윤부 · 설경성 정함 · 백선연 · 최세연 · 이숙 · 임백안독고사 · 방신우 · 이대순 · 우산절 · 고용보 · 김현 · 안도치 · 신소봉 · 이득분 · 김사행 송길유 · 심우경 }}}
123권 「폐행1(嬖幸一)」
유행간 · 영의 · 김존중 · 정세신 · 백승현 · 강윤소 · 염승익 · 이분희 이습 · 권의 채모 이덕손 · 임정기 ( 민훤) · 주인원 · 이지저 고종수 김유 · 인후 인승단 · 장순룡 차신 노영 · 조윤통
124권 「폐행2(嬖幸二)」
윤수 윤길보 ( 송화) · 이정 김문비 이병 · 원경 · 박의 · 박경량 · 전영보 · 강윤충 · 배전 · 민환 · 윤석 · 손기 · 정방길 임중연 강융 · 신청 박청 · 왕삼석 양재 조신경 최노성 윤현 안규 · 최안도 이의풍 김지경 이인길 · 노영서 박양연 송명리 · 김흥경 · 반복해 · 신원필
125권 「간신1(姦臣一)」
문공인 · 박승중 · 최홍재 · 최유칭 · 박훤 · 송분 · 왕유소 · 송방영 · 오잠 석주 · 김원상 · 류청신 · 권한공 · 채하중 · 신예 전숙몽 · 이춘부 · 김원명 · 김횡 · 지윤
126권 「간신2(姦臣二)」
이인임 · 임견미 · 염흥방 · 조민수 · 변안열 · 왕안덕
{{{#!wiki style="margin: -16px -11px" <rowcolor=#670000,#fedc89> 127권 「반역1(叛逆一)」 128권 「반역2(叛逆二)」 129권 「반역3(叛逆三)」
환선길 · 이흔암 · 왕규 · 김치양 · 강조 · 이자의 · 이자겸 · 척준경 · 묘청 ( 정지상) 정중부 이광정 송유인 · 이의방 · 이의민 · 정방의 · 조원정 석린 최충헌 최이 최항 최의 }}}
<rowcolor=#670000,#fedc89> 130권 「반역4(叛逆四)」 131권 「반역5(叛逆五)」
한순 다지 · 홍복원 ( 홍차구 홍군상 홍선 장위 류종) · 이현 · 조숙창 · 조휘 · 김준 · 임연 · 조이 김유 이추 · 한홍보 · 우정 · 최탄 · 배중손 조적 · 조일신 · 김용 · 기철 · 노책 · 권겸 · 최유 · 홍륜 · 김문현 · 김의
132권 「반역6(叛逆六)」
신돈
133·134·135·136·137권
신우(우왕) ( 신창(창왕)) }}}}}}}}}}}}

<colbgcolor=#fedc89,#670000><colcolor=#670000,#fedc89> 강조
康兆
출생 미상
사망 1011년 1월 7일[1]
(음력 1010년 11월 24일)
경력 중추사(中樞使)[2] - 우상시(右常侍)[3]
서북면 도순검사(西北面都巡檢使)[4]
중대사(中臺使)[5]
이부상서(吏部尙書) - 참지정사(叅知政事)[6]

1. 개요2. 생애3. 평가4. 기타5. 대중매체
5.1. 만화5.2. 다큐멘터리5.3. 드라마
5.3.1. 강감찬5.3.2. 천추태후5.3.3. 고려 거란 전쟁5.3.4. 박시백의 고려사
6.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고려 초기의 문관이자 권신. 고려 왕실 반정[7]의 시초 격인 강조의 정변을 주도한 인물이다.

목종으로부터 큰 신뢰를 받았으나, 되려 정변을 일으켜 목종을 시해하고 현종을 옹립했다. 거란이 고려를 침범했을 때는 직접 출정했고, 초반에는 선전하다가 통주 전투에서 패배했다. 요나라 성종의 회유를 받았지만 완강히 거부해 전장 한복판에서 최후를 맞았다.

2. 생애

2.1. 출신

강조의 본관과 세계는 자세하게 알 수 없으나 『세종실록지리지』에 의하면 강씨가 토성으로 나와 있는 곳이 주로 황해도 서해안 일대의 군현들이다. 따라서 강조의 본관은 신천(信川)·영강(永康)일 가능성이 높다.[8]

다만 영강 강씨의 시조 강증(康拯, 1049년 ~ 1120년)은 강조 사후의 인물이므로 강조는 신천 강씨의 인물으로 해석해야 한다. 신천 강씨 족보에 따르면 강조는 신천 강씨의 인물로 나온다. 부를 '태주'로 하는 1-1쪽(고려시대 인물)을 보면 조(兆)를 확인할 수 있다. #

2.2. 강조의 정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강조의 정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강조는 서북면 도순검사로서 북방 군대를 순찰하고 있었다. 어머니 천추태후와 김치양이 자신을 제거하려는 음모를 알아챈 목종은 강조를 빨리 내려오게 해 자신을 호위하게 한다. 하지만 강조는 도리어 목종을 폐위시키고 대량원군을 옹립한다.

1009년 2월 3일, 강조는 본격적으로 움직인다. 합천에서 갓 도착한 17세의 대량원군을 즉위시킨 뒤 목종을 폐위하고 양국공(讓國公)[9]으로 끌어내린 뒤 고향 충주로 내려가고자 하던 그를 부하들인 김광보와 안패를 보내 현 경기도 파주시 적성면에서 시해한다. 이후 천추태후를 황주로 유배시키고 친족을 섬으로 유배, 김치양과 그의 6살 아들, 목종에게 빌붙어 전횡을 일삼던 유행간 등을 죄다 처형하거나 귀양을 보내면서 천추태후 - 김치양 세력과 자신에게 걸림돌이 될만한 이들을 완전히 제거한다.

강조는 이어서 2월에 중대사(中臺使),[10] 3월에 이부상서(吏部尙書),[11] 참지정사(參知政事)[12]로 승진해 요직을 차지한다.

강조가 목종을 폐위한 이유에 대해서는 두 가지 설이 있는데, 강조가 목종이 시해되었다는 거짓 정보를 듣고 개경 근교까지 휘하 군을 이끌고 진군하였는데 목종이 아직 멀쩡히 살아 있다고 하자 이미 여기까지 군대를 끌고 와 버렸는데 반역으로 몰릴까 두려워 폐위시켰다는 설과 강조가 평소에 우유부단하고 추문이 많은 목종에게 불만을 품고 새로운 왕을 옹립하기 위해 폐위했다는 설이 있다.[13]

2.3. 통주 전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통주 전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고려 행영 군단
행영도통사(行營都統使)
이부상서 참지정사(吏部尙書參知政事)
강조
행영도통부사(行營都統副使)
이부시랑(吏部侍郞)
이현운
병부시랑(兵部侍郞)
장연우
판관(判官)
기거사인(起居舍人)
곽원
시어사(侍御史)
윤징고(尹徵古)
도관원외랑(都官員外郞)
노전
수제관(修製官)
우습유(右拾遺)
승이인
서경장서기(西京掌書記)
최충
(중략)
통군사(統軍使)
형부상서(刑部尙書)
최사위
(중략)
휘하 장병
300,000명

그런데 문제는 북적(北狄) 거란이 호시탐탐 고려를 노리고 있었다는 것. 요성종은 이 기회를 놓치지 않고 군주를 시해한 반역자 강조의 죄를 묻는다는 명분으로 의군천병(義軍天兵)[14]이란 이름을 붙인 40만 대군을 직접 이끌고 고려를 침략했다.

물론 요성종이 진짜로 목종을 시해한 죄를 묻기 위해 침공한 것은 아니다. 성종은 모후의 사망 이후에 황제 단독으로 친정을 하여 자신의 군사적 능력을 조정과 군부에 보여주고 1차 여요 전쟁 이후에 고려가 통제력을 갖고 개척한 강동 6주를 빼앗거나 고려를 완전히 복속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고려를 침공했다. 기존에는 송을 공격하기 전에 후방을 든든히 하려는 목적으로 고려를 침공했다는 설이 정설처럼 여겨졌지만, 이미 송 - 요 양국은 전연의 맹을 맺어 평화를 이뤘고 서로가 상대방을 완전히 끝장낼 수 없음을 인식한 상태였다. 역사적 기록에서도 성종은 고려에 강동 6주의 반환을 요구했고 철퇴할 때에도 현종의 입조를 약속받고 퇴각했다. 이후에도 송으로부터는 세폐를 받고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면서 고려는 침공하는 모습을 보면, 대송 전쟁 때문에 고려를 침공했다는 말이 사실이 아님이 드러난다.

성종의 침공을 알게 된 강조는 행영도통사(行營都統使)[15] 직위를 받아 군권을 위임받고 직접 출진한다. 사료에서는 조정의 명을 받았다고는 하지만 본문에 언급했듯이 강조가 이미 실권을 장악했고 그 과정도 자발적일 가능성이 높으므로 군권의 위임 과정도 조정의 결재는 요식 행위이고 강조 본인이 처음부터 계획했을 가능성이 크다. 제2차 여요전쟁 때 고려는 30만 대군을 소집하였다.[16][17]

강조는 고려의 실권자가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개경에 머무르지 않고 최고 사령관으로서 직접 출전했다. 거란군에게 포로로 잡혔을 때의 행적을 보면 고려의 장수로서 무거운 책임감을 가지고 자발적으로 출전했다는 해석도 어느 정도 설득력이 있다.

그러나 강조가 책임감이 부족했다고 해도 출전이 불가피한 상황임은 분명했다.
  • 취약한 권력기반 : 이때 강조는 전왕을 시해하고 새로운 왕을 옹립함으로써 사실상 정권을 장악한 상태였음에도 권력 기반이 매우 취약했다. 당장 중신 중 한 명이자 목종으로부터 현종의 호송 임무를 명 받았던 최항이 정변을 일으켜 군왕을 끌어내린 강조를 보고 "고금에 이러한 일이 있었느냐?!"며 대놓고 일갈할 정도였다. 당시 명백한 권력자였음에도 면전에서 대놓고 비판을 다 들을 정도로 초기부터 권력 기반과 입지가 불안정했다는 것. 이런 상황에서 거란이 자신의 집권을 명분으로 침공했는데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으면 반대 세력에게는 "강조 저 놈 때문에 거란이 쳐들어 왔는데도 자신은 겁나서 출전도 하지 않고 비겁하게 숨어 있다."는 비판의 빌미를 제공하게 된다.
  • 빈약한 인력풀 : 게다가 30만이라는 대규모 병력을 지휘해 거란의 침략을 방어해야 하는 상황인데 강조에게는 자신을 대신해서 병력 지휘를 맡겨서 출전할 정도로 신뢰할 수 있는 인사도 전혀 없었다. 아니, 신뢰 이전에 그런 능력과 위치를 가진 인사부터가 없었다.[18] 결국 본인이 울며 겨자 먹기로 출전해야 했던 것이다.

거란군이 국경 지역인 흥화진에서 양규가 지휘하던 고려군에게 고전을 면치 못하자 요성종은 약간의 별동대를 귀주 방면으로 보내고 본대는 빠르게 강조가 주둔한 통주로 진군하여 이틀 만에 도착하게 된다. 야전으로 승부를 보기로 한 강조는 전체 부대를 셋으로 나누어 한 부대는 전면, 또 한 부대는 배후 요새와 전면에 나선 부대 사이의 후퇴로를 지키기 위해 성 근처, 나머지 한 부대는 주변 고지에 주둔시켜 굳건히 지키게 하였다. 그리고 하천 기병 기동을 방해하는 천연 참호로 이용하여 측면 강습을 막고 전면에는 검차(劍車)를 배치하여 첫 전투를 승리로 이끌었다. 이에 대한 기록을 보면,
兆引兵出通州城南, 分軍爲三, 隔水而陣. 一營于州西, 據三水之會, 兆居其中. 一營于近州之山, 一附城而營. 兆以劒車排陣, 契丹兵入, 則劒車合攻之, 無不摧靡. 契丹兵屢却. 兆遂有輕敵之心, 與人彈棋.
강조가 군대를 이끌고 통주성 남쪽으로 나가 군사를 셋으로 나눠 강물을 사이에 두고 진을 쳤다. 하나는 통주 서쪽에 군영을 세워 세 강물이 만나는 곳을 차지하였는데 강조가 그 중에 머물렀다. 하나는 통주 근처의 산에 쳤으며, 하나는 성에 붙여서 군영을 만들었다. 강조가 검차로 진을 쳤다가 거란의 군병이 들어오면 검차가 합공하여 꺾거나 쓰러뜨리지 못하는 바가 없었으니(항상 이겼다는 뜻) 거란병이 번번히 퇴각하였다. 강조는 점차 적을 가볍게 여기는 마음을 품어 사람과 바둑을 두었다..
고려사』권127「열전」40 ‘반역’ 1

지속적으로 거란군을 밀어내는데 성공하자 강조는 긴장이 풀렸는지 점차 방심하기 시작했다. 한편 거란군은 대군이 한 번에 들어가기는 어려우니 전략을 바꿔 소수 부대로 빠르게 치고 나오기로 한다.

그리하여 선봉 야율분노, 야율적로를 파견해 삼수 쪽 진영을 치고 빠지는 식의 속도전으로 나온다. 허나 강조는 처음 삼수 쪽 진영, 즉 자신이 있는 진영이 뚫렸다는 보고를 받고 믿지 않았다. 아니면 소수만 잠시 들어온 것으로 여겼을 수도 있다.
"如口中之食 少則不可宜. 使多入."
"마치 입안의 음식처럼 적으면 만족스럽지 않다. 더 많이 들어오게 해라."

이 때 강조의 부대를 격파하는데 선봉에 선 부대가 '우피실군'[19]인데, 거란군의 최고 정예인 이들의 기동력이 강조의 예상보다 훨씬 뛰어나서 미처 고려군이 협공하기도 전에 지휘부가 붕괴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기해. 강조(康兆)가 병사들을 이끌고 통주성(通州城) 남쪽으로 나가 군사들을 세 부대로 나누어 강을 사이에 두고 진을 쳤다. 한 부대는 통주의 서쪽에 진영을 만들어 삼수채(三水砦)에 주둔하였고, 강조가 그 가운데에 자리를 잡았다. 또 한 부대는 통주 인근의 산에 진영을 만들었고, 다른 한 부대는 통주성에 붙어서 진영을 만들었다. 강조가 검거(劍車)를 배치하여 거란(契丹)의 병사들이 침입하면 검거가 함께 공격하였으니, 쓰러지지 않는 자들이 없었다. 거란 병사들이 누차 패퇴하자 강조는 마침내 적을 경시하는 마음을 가지고 사람들과 바둑을 두었는데, 거란의 선봉장이었던 야율분노(耶律盆奴)가 상온(詳穩) 야율적로(耶律敵魯)를 거느리고 와서 세 강의 합류지점에 있던 진영을 격파하였다. 진주(鎭主)가 거란의 병사들이 이르렀다고 보고하였음에도 강조는 믿지 않고 말하기를, “입 속의 음식과 같아서 적으면 좋지 않으니, 많이들 들어오게 놔두라.”라고 하였다. 재차 급변을 보고하여 말하기를, “거란 병사가 이미 많이 들어왔습니다.”라고 하니, 강조는 깜짝 놀라 일어나며 말하기를, “정말인가.”라고 하였다. 마치 목종(穆宗)이 그 뒤에 서서 “네놈은 끝났다. 천벌을 어찌 면할 수 있겠는가.”라고 그를 꾸짖는 모습을 보고 있는 양 몽롱한 상태가 되더니, 강조는 즉시 투구를 벗고 꿇어앉아 말하기를, “죽을 죄를 지었습니다. 죽을 죄를 지었습니다.”라고 하였다. 말을 미처 다 마치기도 전에 거란 병사들이 들이닥쳐 강조를 결박하였다. 이현운(李鉉雲)과 도관원외랑(都官員外郞) 노전(盧戩), 감찰어사(監察御史) 노의(盧顗) · 양경(楊景) · 이성좌(李成佐) 등은 모두 사로잡혔으며, 노정(盧頲)과 사재승(司宰丞) 서숭(徐崧), 주부(注簿) 노제(盧濟)는 모두 전사하였다. 거란이 담요로 강조를 말아 싣고 가버림으로써 아군이 큰 혼란에 빠지니, 거란 병사들이 승기를 타고 수십 리를 추격하여 30,000여 급의 머리를 베었고, 버려진 식량·갑옷·무기들은 이루 다 셀 수 없을 정도였다. 거란의 군주가 강조의 결박을 풀어주고 묻기를, “너는 나의 신하가 되겠느냐.”라고 하니, 〈강조는〉 대답하기를, “나는 고려(高麗) 사람이다. 어찌 다시 너희의 신하가 되겠는가.”라고 하였다. 재차 물었으나 대답은 처음과 같았고, 다시 살을 찢으며 물었으나 대답은 또한 처음과 같았다. 〈거란의 군주가〉 이현운에게도 물어보니, 대답하기를, “두 눈이 이미 새로운 해와 달을 보았는데 하나의 마음으로 어찌 옛 산천을 생각하겠습니까.”라고 하였다. 강조가 분노하여 이현운을 걷어차면서 말하기를, “너는 고려 사람인데, 어떻게 이런 말을 하는가.”라고 하였다. 이때에 거란 병사들이 멀리까지 말을 달려 전진하였는데, 좌우기군장군(左右奇軍將軍) 김훈(金訓) · 김계부(金繼夫) · 이원(李元) · 신영한(申寧漢)이 병사들을 완항령(緩項嶺)에 잠복시켰다가 모두 단병(短兵)을 집어 들고 갑자기 튀어나와 패배시키니, 거란 병사들이 조금 물러났다.
강조가 방심하다가 거란군에게 대패하여 붙잡혔으나, 끝내 절의를 꺾지 않다 고려사절요》권3 현종원문대왕(顯宗元文大王), 현종(顯宗) 1년(1010년) 11월 24일(음) 기해(己亥)

적이 이미 안까지 깊숙히 들어왔다는 보고를 또 받자 그제서야 사태가 여간 심각해진 게 아님을 비로소 깨닫는다. 다른 두 진영이 협공하기 전에 본인의 진영이 먼저 붕괴되자 이제는 끝이라는 것을 깨닫고 무릎을 꿇고 일어나지 못했다. 《 고려사》에서는 이때 목종의 혼령이 강조 앞에 나타나 "이제 네 놈은 결코 천벌을 면치 못할 것이다!"라고 호통을 치자 "죽을 죄를 지었습니다!"라며 무릎 꿇고 빌었다고 전한다. 이후의 장렬한 죽음과 연관해 볼 때 뒤늦게나마 자신의 행위가 어떤 결과를 낳았는지를 깨닫고 목종을 떠올리며 후회한 것을 극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강조의 방심이 한몫하기는 했지만 일부 평가에서는 "전술적 부분보다는 병사들의 숙련도가 강조의 지시에 대해 그만큼 빠르게 반응하지 못한 것 아니냐?"는 의견도 있다. 혹은 제 아무리 많은 병력이 있어도 한군데 뭉쳐 기동력이 제한되어버리면 그냥 앞줄의 병사 때문에 안 쪽의 병사들은 우왕좌왕 해버려 뭉치가 되어버리기 십상인데 이런 점을 이용해 강조는 "거란군은 기동력을 우선시하는 군이라 이를 제한시켜 버리기만 하면 승리할 수 있을 거라 판단"했을지도 모른다. 만약 그렇다면 이것은 일반적으로 크게 나쁘지는 않은 판단이었다. 그러나 문제는 거란이 그것을 무시할 정도의 엄청난 기동력을 보여줬다는 것. 실제 거란이 기동력을 살려 소수 정예군만으로 휘젓는다면 정예 '우피실군'이 많은 손상을 입기는 하겠지만 엄청난 기동력을 회복하니 전 같은 몰아죽이기 전략은 안 통했을 것이다. 결국 거란은 하이리스크 하이리턴 전략을 썼고, 강조는 이 점을 놓친 것이다.

어찌 되었든 이 통주 전투에서 강조가 지휘하던 30만 고려군이 거란군에게 대파되면서 순수 전사자만 무려 3만 명이나 발생했으며, 그 외 이현운과 도관원외랑(都官員外郞) 노전(盧戩), 감찰어사(監察御史) 노의(盧顗) · 양경(楊景) · 이성좌(李成佐) 등도 모두 덤으로 사로잡혔고, 노정(盧頲)과 사재승(司宰丞) 서숭(徐崧), 주부(注簿) 노제(盧濟)는 모두 그 자리에서 전사하는 엄청난 피해가 발생하게 된다.

이상 전투의 자세한 흐름은 통주 전투 문서를 참조.

2.4. 장렬한 최후

파일:external/i57.tinypic.com/160ejxk.jpg
고려 강조를 묶어가는 거란 우피실군을 그린 상상화. 일러스트레이터 불나방의 그림이다.
"契丹兵已至, 縛兆裹以氈載之而去."
"거란군이 들어와 강조를 결박한 후 담요로 싸서 운반해 갔다."
『고려사』권127「열전」40 ‘반역’ 1
통주 전투에서의 대패 후 포로로 잡힌 강조는 결국 거란 요나라의 신하가 되기를 거부하고 요나라군에게 죽임을 당한다.

후세인들이야 고려가 거짓말처럼 승리할 것을 알고 있지만 당시 강조 입장에서 거란의 침공은 고려라는 나라의 사활을 자기 손으로 뒤집은 것이나 마찬가지로 여겨질 만하니 심리적으로 압박감과 죄의식을 느껴도 이상하지 않다. 최후는 당시 강조와 함께 포로가 된 오랫동안 자신의 부하로 활약한 이현운이라는 자와 대비되는 장렬한 죽음으로 기록되었다.
契丹主, 解兆縛, 問曰:"汝爲我臣乎?"
對曰 :"我是高麗人, 何更爲汝臣乎!"
再問, 對如初。
又剮而問, 對亦如初。
問鉉雲, 對曰:"兩眼已瞻新日月 一心何憶舊山川?"
兆怒, 蹴鉉雲曰:"汝是高麗人 何有此言!"
契丹遂誅兆。
거란주가 조의 포박을 풀고 물었다. "넌 내 신하가 될 것이냐?"
(강조가) 답했다. "난 고려 사람이다, 어찌 너(汝)의 신하가 되겠느냐?"[20]
다시 묻자 처음과 같이 답했다.
다시 살을 베어가며 묻자 답은 여전히 처음과 같았다.
현운에게 물으니 답했다. "두 눈이 이미 새 일월을 담았는데 어찌 옛 산천을 기억하겠습니까?"
조가 분노해 현운을 차며 말했다. "너는 고려 사람인데 어찌 그런 말을 할 수 있느냐!"
거란은 결국 조를 주살했다.
『고려사』권127「열전」40 ‘반역’ 1

3. 평가

강조는 쿠데타를 일으켜 왕을 시해했지만, 자신이 왕이 되려는 역심은 없었다.
兆坐乾德殿御榻下, 軍士呼萬歲. 兆驚起跪曰, “嗣君未至, 是何聲耶?”
(강)조가 건덕전(乾德殿)[21] 어탑(御榻) 아래에 앉으니 군사들이 만세를 외쳤다. (강)조는 놀라 일어나 꿇어앉으며, “ 다음 임금이 오시지도 않았는데 이 무슨 소리인가?”라고 말했다.[22]
『고려사』권127「열전」40 ‘반역’ 1

이후에 역성혁명을 일으키는 자들도 선위 받기에는 시기상조이거나 명분을 더 확보하기 위해 일단 "나는 절대로 왕이 될 생각이 없으며 단지 새로운 분을 왕으로 모시려 할 뿐이다."라고 허울 뿐인 충성 코스프레를 하는 사례가 흔했지만 이후 강조의 행적을 보았을 때 권력욕 자체는 있었어도 역심은 없었을 가능성 역시 무시할 수는 없다. 애초에 무리해서 왕위에 오르는 것보다 얼굴마담 하나 세워놓고 본인이 권신으로 권력을 휘두르는 게 나을 수도 있으니까 말이다. 게다가 강조가 실권을 잡고 뭘 해보기도 전에 거란군과 싸우다 붙잡혀 처형된 탓에 지금에 와서는 모든 게 가설의 영역이 되어 버렸긴 하다.

외치 부분에서는 당시 고려의 일개 무장도 아닌 최고 권세가가 직접 최전선에 나가 목숨 걸고 싸운 점만큼은 분명 호평받을 만하다. 물론 상기되어 있듯 일단 명분론적으로는 거란의 침공 자체가 자신이 일으킨 정변 때문에 일어난 것이기 때문에 강조가 출전하지 않는 것이 어찌 보면 더 이상하기는 하다.[23] 또한 자신이 군사 쿠데타로 권력을 잡았기 때문에 다른 사람에게 군권을 맡겼다가는 무슨 일이 벌어질지 알 수 없으니 강조 자신이 직접 나갈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다는 것도 고려해야 한다.[24][25]

그래도 포로로 잡힌 뒤 요 성종의 회유를 받아들여 생존을 도모할 수 있었고, 특히 살이 찢겨나가는 극형을 받으면서까지도 스스로를 "나는 뼛속까지 고려인이다!"라고 목소리를 높이다 장렬하게 최후를 맞은 것을 보면 강조는 고려 왕가에 대한 충신은 아니었을지 몰라도 고려인이란 정체성만큼은 확실한 사람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일반적인 간신들처럼 단순히 권력만을 탐하는 것이라면 그냥 요 성종의 항복권유를 받아들였을테니. 심지어 정벌의 명분이 반역을 저지른 강조임에도 불구하고 정작 사로잡자 황제 본인이 직접 나서서 투항을 권유한 데다가, 강조 본인의 참패로 고려의 전쟁 수행 능력이 박살난 상황에서도 끝까지 절개를 부르짖은 만큼 이 부분은 의심할 여지가 없어보인다.

내치 부분에서 강조는 집권 이후 본인이 선전한 대로 나라를 혼란스럽게 만든 천추태후 김치양과 그 휘하 일당들을 전부 보내버렸다. 문제는 자신에게 명을 내린 목종마저 폐위 후 시해해버리고 현종을 옹립해 졸지에 권신이라는 낙인이 찍혀버렸다는 것이지만, 아이러니하게도 얼마 안 가 거란의 침입으로 본인과 휘하 세력이 전부 쓸려 나가면서 순식간에 정적들이 사라져버린 현종은 본격적으로 자신의 뜻대로 정치를 펼칠 수 있게 되었다.

물론 이건 어찌 보면 매우 단편적인 시각이기도 한 것이, 당장 강조의 고려군이 대패하면서 현종은 왕권 강화고 나발이고 나라 멸망 직전의 사태를 맞이해 수도 개경을 버리고 남쪽의 나주시까지 몽진을 떠나야 했고, 피난 와중에도 사실상 반란군이나 다름없던 지방 호족들에 온갖 수모를 겪어야 했다. 그나마 현종이 《 고려사》 뿐만 아니라 세종대왕과 맞먹을 정도로 한국사에 길이 남을 만한 성군이라 이후 전란을 수습하고 고려의 전성기를 열어젖힌 건 불행 중 다행이다. 덕분에 강조도 의도한 건 아닐 텐데 얼굴마담 현종이 알고 보니 능력자라고 재평가받는 측면도 더러 있다.

다만 아무리 그래도 임금을 시해하고 권신이 된 점이 못마땅했는지 《 고려사》의 <반역 열전>에 그 이름을 올렸다.[26] 사실 함부로 정변을 일으켜 임금을 폐위한 것으로도 모자라 시해한 것이 가장 임팩트가 컸지만, 목종에게 멋대로 시호, 묘호, 능호를 올린 것도 큰 문제였을 것이다. 군주의 시호와 묘호, 능호를 정할 때는 먼저 신하들과 논의한 후 現 왕이 최종 결정을 하는데, 강조는 신하들과의 논의와 왕의 재가도 무시한 채 멋대로 올려버렸다. 이렇게 올려진 시호와 묘호, 능호는 후에 현종에 의해 수정된다. 유교를 받아들인 조선에서 삼강오륜을 저버린 강조를 위인으로 대우해 줄 수 없었고, 고려사에서 죽을 때 비로소 목종의 혼령에게 잘못을 빌었다는 식의 서술을 추가했다.

한편으로 현종과 강조의 관계에 있어 짐작해 볼 기사가 있는데, "현종 2년 8월에 강조의 일당들을 유배 보냈다."는 기사가 그것이다. 이때 강조의 일당으로 지목된 5명[27] 중 3명이 정변 당시 강조의 부하였거나 강조의 편에 섰던 이들로, 탁사정은 정변 당시 강조에게 붙었고,[28] 최창과 위종정은 강조의 부하들로서 강조가 쿠데타를 일으키도록 부추긴 인물들이다. 물론 대부분은 잘 나갔지만, 저 5명을 강조의 일당이라고 엮어 부른 것은 정치적인 이유로 숙청했을 것이고, 그 이유는 강조와 관계되어 있을지도 모른다. 다만 당대에 실제로 강조에 대한 평가는 자료의 부족으로 알 수 없는 것 또한 사실이다. 강조를 대놓고 반역자로 규정했다면 그 가족들도 연좌제로 처벌을 받았을 텐데 정작 강조의 가족에 대한 기록도 전혀 없어서 이에 대한 내용도 알 수 없다.

4. 기타

  • 고려사 최초의 쿠데타 성공자이던 강조의 죽음은 이후 후대 쿠데타 세력에게 교훈을 줬는지 후대의 최씨 무신정권 몽골의 침략에 본인들이 직접 싸우지 않고 도망쳐 수비만 하면서 몸보신에만 신경썼다. 당연히 그 와중에 국토는 짓밟히고, 죽어나간 건 힘없는 백성들이었다.
  • 임진왜란 당시 신립과도 묘하게 행적이 겹치는 부분이 있다. 북방에서 경력을 쌓았지만 일대 회전에서 패배하여 죽음을 맞았고 패배로 이 피난까지 갈 정도로 나라가 위기일발의 상황에 빠졌다는 점이 비슷하다. 강조는 현종을 옹립한 권신이고, 신립은 선조 사돈이라 당시 왕과 밀접한 관계인 인물들이라는 점도 겹친다.[29] 신립과 비교했을 때 강조는 기록상으로는 통주 전투를 뺀 특별한 전적이 보이지 않지만[30] 신립은 임진왜란 이전 니탕개의 난에서 활약한 조선 수위급 용장이었다. 그렇지만 본인들의 마지막 전투인 통주 전투와 충주 탄금대 전투를 비교하면 강조는 초반에는 선전했지만, 신립은 일본 명나라한테 모두 놀림감이 되어도 이상하지 않을 정도로 심하게 졸전을 펼쳤다.[31] 그래도 최후는 둘 다 패전의 책임을 지고 비참히 생을 마감했으니 비슷할지도 모른다. 다만 반론도 있는데, 신립도 사실은 탄금대 전투에서 초반엔 상당히 선전했으며, 어차피 고니시 유키나가 군을 이겼다고 해도 뒤에서 지켜보고 있던 가토 기요마사 군에게 협동당해서 참패했을 것이다. 그리고 조령 사수는 현실적인 문제점이 굉장히 많이 있는데, 대다수 병력이 농민 징집병이라 고도의 훈련이 필요한 매복기습작전 수행 능력에 차질이 있으며, 도주의 우려가 컸고, 기병의 기동성을 살리기도 어려웠으며, 당시 조령에는 요새시설조차도 전무했다. 그리고 고니시군과 가토군, 구로다 군이 모두 한꺼번에 북상중이었기에 한양북상저지는 현실적으로 불가하며, 아마 더 끔찍하게 패전했을 것이다. 임용한 교수의 탄금대 전투에 대한 분석 영상 링크들. 링크 1, 링크 2, 링크 3, 링크 4, 링크 5, 링크 6.
  • 600년 뒤 이괄의 난을 일으킨 이괄과도 비교해 볼 수 있는데, 북방의 방비를 담당한 장수들이었으며, 반란을 일으켜 흥안군을 왕으로 세웠다는 점까지는 비슷하다. 그러나 이괄은 인조반정 이후 다른 공신들에 밀려 권력 중심에서 밀려나야 했고, 이괄의 난 때는 초기 승승장구에 자만했는지 전략을 잘못 짜서 실패하고 부하들의 배신으로 목숨을 잃고 만다. 그에 비하면 강조는 자신이 거사를 안 하면 꼼짝없이 왕위가 김치양의 아들에게 넘어가 왕씨의 사직이 끊길지도 모르는 위급한 상황이었기에 정변의 명분이 충분했으며, 애초에 목종의 명으로 개경 진격을 준비한 것이었다.
  • 이괄이 국왕으로 세운 흥안군은 강조가 국왕으로 세운 현종보다 능력과 평판이 좋지 않다. 오죽하면 일반 백성들조차 이괄이 흥안군을 국왕으로 세웠으니 오래 가지 못하겠다는 발언까지 하였을 정도다. 실제로 이괄이 패한 이후 흥안군도 국왕이 된지 단 3일만에 목숨을 잃었다.
  • 본래 임금의 충신이었고 최전방 방위 총책임을 맡을 정도로 능력도 출중했으나 임금이 죽었다는 헛소문에 반란을 일으킨 것은 로마제국 시대 인물 아비디우스 카시우스와 비슷한 모습이다.
  • 강조는 형 강억(億)이 있다. 즉 부모[32]가 이름을 억, 조로 지은 것.

5. 대중매체

5.1. 만화

  • 웅진출판사에서 펴낸 역사 만화인 『한국의 역사』에서는 거란 황제의 항복 제의를 거부하고, 항복해서 부하가 되겠다는 이현운의 얼굴을 "이런, 쓸개빠진 놈!"이라고 욕하면서 걷어차 버린 뒤 "내가 임금을 죽인 게 네놈들에게 나라를 바치려고 그런 줄 알았느냐?"라고 일갈하는 장면이 들어가기도 했다. 어느 강감찬 위인전에서는 요 성종에게 고개를 쳐들고 "난 비록 왕을 배신했어도 나라를 배신하지는 않는다. 네놈에게 머리 숙여 굴하지 않을 테니 정 굴하게 할려면 내 목을 벤 다음에 목을 가지고 머리를 숙이거라."라고 일갈하는 대사를 넣기도 했다. 1990년대 어느 출판사 버전에서는 요 성종을 비웃으며 고문을 받음에도 크게 일갈하고 웃으며 숨을 거뒀다는 창작을 넣기도 했는데 마냥 조작이라고 보기에는 실제 역사와도 큰 맥락이 일치하기는 한다.

5.2. 다큐멘터리

  • 2019년 방영한 JTBC 창사특집 다큐멘터리 < 평화전쟁 1019>에서는 1부에서 배우 문종영이 연기했다. 출정 전 현종을 썩소지으며 쳐다보는 등 권신으로서의 모습이 부각되었다. 죽음도 통주 전투에서 첫 승리에 방심했다가 결국 패해 죽었다는 것만 수급이 걸린 모습과 함께 보여주고 나름 장렬했던 최후는 생략당했다. 1부는 양규가 사실상 주연이다.

5.3. 드라마

5.3.1. 강감찬

1973년 KBS 드라마 <강감찬>에서는 배우 남성우가 연기했다. 거란의 1차 침공 때 양규 및 강감찬과 함께 강화론에 반대하였다. 후에 정변을 일으키고 거란의 침공 당시 삼수채에서 2만이 넘는 거란군을 물리쳤으며 거란의 결사대에 생포되어 귀순을 권유받았으나 거부하였다고 한다. 또한 서희가 강조의 야심을 경계하였다고 한다.

5.3.2. 천추태후

파일:external/static.dramastyle.com/Empress-Chun-Chu_206.jpg

2009년 KBS 드라마 < 천추태후>에서는 배우 최재성[33]이 연기했다. 발해 유민으로 설정되었으며 전형적인 우직한 맹장으로 등장하는데, 작중 등장 인물들 중에서 무력이 혼자 궤를 달리한다.[34] 혼자서 어지간한 무장 2~3명을 거뜬히 제압하며[35] 거란 최고의 맹장이라는 야율분노까지 제압할 수 있을 정도로 무력으로 치면 양규와 함께 투톱이다. 천추태후( 채시라 분)에게 명복궁때부터 천향비와 함깨 거둬진 후 몰래 짝사랑하는 설정도 붙었는데 은근히 순정남으로 천추태후와 가까워지는 김치양( 김석훈 분)을 점점 싫어했다. 천추태후가 김치양과의 일로 유배를 간 사이 아들인 목종을 맡을 정도로 의리가 있었다.

끝까지 천추태후를 못 잊다가 나중에 그를 짝사랑하던 천향비( 홍인영 분)와 결혼하는데 천향비가 김치양의 정체를 추적하다가 결국 살해당하자 안 그래도 미워했던 김치양을 더욱 미워하게 되었다. 북방으로 떠난 후에 김치양 반란이 일어나자 즉시 왕궁으로 돌아와 김치양 일당을 쳐부수는데 이때 강조의 정변 부분은 역사 왜곡이 많이 곁들여져 있다.[36] 역사 기록에서는 거란 성종에게 잡혀갈 때 모포말이를 당하는 굴욕을 당하고 모진 고문 끝에 죽었다고 하지만, 제2차 여요전쟁 통주 전투 마지막에 패배하고 포로가 된 후 성종을 암살하려다가 그렇게 장렬한 최후를 맞는다.[37] 특이한 점이라면 사극에 등장하는 주연인데도 불구, 이 아니라 을 썼다는 것. 마지막 강조의 회상 장면에 천향비와의 결혼 생활이 없어서 "강조는 결국 천향비는 안중에도 없었던 거냐?"라는 말이 나오기도 했다.[38]

5.3.3. 고려 거란 전쟁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강조(고려 거란 전쟁)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023년 KBS 드라마 < 고려 거란 전쟁>에서는 배우 이원종이 연기했다.

5.3.4. 박시백의 고려사

2022년 박시백의 신작인 박시백의 고려사에서도 등장한다. 목종이 자신을 호위하러 오라고 부르면서 개경으로 가는 도중 위종정과 최창 그리고 자신의 아버지가 지금 왕은 죽었고 김치양이 조정을 장악했다는 말을 듣고는 군사를 이끌고 개경을 가는데 그러다 중간에 왕이 살아있음을 알게 되지만 멈추지 않고 개경으로 쳐들어 간다.개경에 도착한 뒤 김치양 유행간 같은 권세를 누린 7명을 죽인 뒤 자신이 완전히 조정을 장악하게 된다. 그러다 삼수채 전투에서 검차로 거란군이 퇴각하는 모습을 보자 강조는 다 이겼다고 생각하고는 이현운과 바둑을 두는데 그때 부하 장수가 거란놈 들이 감수채를 격파했다는 말을 전하는데 강조는 태평한 채로 “어, 그래? 입 안의 음식이 적으면 씹기가 어려운 법, 많이 들어오도록 둬라.”라며 허세를 잔뜩 부린다. 그러다 거란군이 엄청 많이 몰려오자 사태의 심각성을 느끼는데 이때 목종의 영혼이 “네 놈은 끝장이다! 천벌을 피할 수 있겠느냐?”라며 꾸짖는데 이때 강조가 투구를 벗고 울면서 “폐…폐하! 죽을죄를 졌습니다.”라고 말 한다. 그러다 거란에 붙잡혀 가는데 야율융서가 강조를 회유하지만 강조는 거절한다. 그런데 이현운에게 회유를 하자 이현운은 “신은 두 눈으로 해와 달을 보았사온데 어찌 옛 것을 생각하겠나이까?“라고 말하자 빡친 강조가 발로 차며 ”야 이놈아! 너는 고려 사람인데 어찌 그따위로 말하는 거냐?“라고 질책한다. 그러다 능지형을 받지만 회유에 넘어가지 않고 죽으면서 등장종료.

6. 관련 문서



[1] 율리우스력 1월 1일 [2] 중추원의 장관. 목종 대 부서명이 중추원이었을 때의 직명이다. [3] 내사문하성의 정3품 낭사 벼슬. [4] 이 직위는 후에 양규가 이어 받는다. [5] 목종을 시해하고 다음 왕 현종에게서 받은 직위. 중대사 = 중추사이지만 강조가 중추원을 자기 입맛대로 마개조했으므로 그 입지는 천지차이다. [6] 목종을 시해하고 다음 왕 현종에게서 받은 직위. [7] 김훈·최질의 난, 이자겸의 난, 묘청의 난, 무신정변, 위화도 회군 [8] 이수건, 『한국중세사회사연구』, 일조각, 1984. [9] 나라를 양보해준 공작. [10] 고려 중대성의 장관. 중대성은 중추원의 바뀐 부서명이다. 강조가 직접 바꾼 것으로, 중추원의 권력을 차지하기 위해 부서명부터 직렬까지 모조리 바꿔버렸다. [11] 고려 상서성 이부의 장관. 이부는 인사를 담당한 부서이다. [12] 고려 중서문하성 소속의 3번째로 높은 관직. 강조는 이부상서로 조정의 인사권을 틀어쥐고 최고 정부 기관의 요직을 차지해 정권 장악에 성공한다. [13] KBS 대하드라마 고려 거란 전쟁에서는 전자와 후자의 가설을 둘 다 반영해 스토리를 만들었다. [14] 뜻은 의로운 군대이자 하늘의 병사. [15] 임시로 편성된 대 거란 군단의 최고 사령관급 직위이다. [16] <전쟁과 역사>의 저자인 임용한 박사는 주현군과 비(非) 전투 병력을 합쳐 40만이 넘었을 것으로 추정한다. 반대로 30만조차 과장된 것으로 보는 시각도 일부 있다. [17] 고려는 10만 단위 대군을 자주 동원해서 보는 이들을 상당히 놀라게 만든다. 참고로 정유재란 때 전선에 투입된 조선 육군은 3만, 명나라군은 11만이었다. 사실 봉건제 국가가 중앙 집권 국가보다 군사력이 더 강한 것이 보기 어려운 일은 아니다. 모든 병권을 중앙에서 꽉 쥐고 있던 조선과 달리 고려는 지방 호족들이 데리고 있던 사병들을 긁어모으면 수가 더 많아지기 때문이다. 당연하지만 평상시에는 조선의 체제가 훨씬 효율적이다. 다만 고려는 "전쟁 났다." 하면 재상집 아들도 징집하고, 대감집 마굿간 털고 하는 군사 국가였다. 상술했듯이 조선은 정유재란 시기 3만의 군대를 유지했지만 명과 일본의 강화회담으로 시작된 휴전 기간 동안 10만에서 15만이 넘는 대군을 모으기도 했다. 그러나 대치 상태가 길어지자 조선 조정에서는 전쟁으로 인해 황폐화된 경제 복구를 위해 일부 병력인 3만을 남기고 고향으로 돌려보낸다. 아무래도 명나라라는 슈퍼파워에게 군사적 안전 보장을 받은 조선과 달리 패권 전쟁이 이어지던 고려시대엔 자위력을 포기할 수가 없었기 때문이다. [18] 싸움으로 치면 양규, 김숙흥, 지채문 등이 있겠지만 양규와 김숙흥은 당시에 원스타급 장군이고, 지채문은 아예 중랑장(= 대령 급)이었어서, 그 당시에는 총사령관을 맡길 정도로 계급이 높지 않았다. 강감찬, 김종현, 강민첨 등은 싸움으로 유명한 인물들도 아니고, 3차 여요전쟁 때까지는 갑옷조차도 입어 본 적도 없은 인물들이다. [19] 거란 황제의 친위 부대로 편제상 병력은 총 6만이다. 이 부대는 훗날 귀주 대첩 강감찬에게 패하여 거의 전멸했다. [20] 고려사 원문에서는 강조가 거란 성종을 여(汝)라고 부르고 있다. 너 여 자는 친구 같은 허물없는 사이에만 쓰이는 2인칭이다. 최소한의 존칭도 붙이지 않은 것은 외국의 군주로도 인정하지 않겠다는 의미에 가깝다. [21] 태조가 지은 본궐의 정전. 이후 현종 대에 제 2정전으로 밀려난다. [22] 만세는 황제에게만 외치는 것이다. 즉, 군사들은 강조가 다음 왕이 될 것이라 여겨 (혹은 그 정도의 지위에 오를 것이라고 여겨) 그에게 만세를 외친 것이고 강조는 왕이 될 생각이 없었기에 놀란 것이다. [23] 다만 이보다 더 옛날인 고당 전쟁 당시 당태종이 내세운 명분이 멋대로 자기 임금을 시해해버린 연개소문의 죄를 묻는다는 것이었는데, 정작 이때 연개소문은 직접 출전하지는 않았다. [24] 강조가 정변을 일으키기 전까지 수년간, 고려는 목종과 천추태후의 정권이었다. 자연히 그들에게 줄을 데려고 많은 시도를 한 지방의 호족들, 그리고 그들 라인을 타 실제로 성주, 장군의 관직을 가지게 된 인사들도 있었을 것이다. 1009년, 강조의 정변부터 1010년, 거란 침공이 있기까지 1년은, 지방은 커녕 개경의 중앙정권도 휘어 잡기 촉박한 시간이었다. 이런 상황에서 각 성 단위로 군 통제권을 줘 버린다면, 권력에서 밀려날 파벌들이, 강조 정권의 타도를 조건으로 거란에 항복할 수도 있고, 그게 아니더라도 반란을 일으킬 수 있는 상황이었다. 상황이 이러하니 강조 입장에서는 군사들을 한 곳에 모아 자신이 직접 통제하는 것 외에는 별다른 수가 없었을 것이다. 한 마디로, 전쟁에다가 정치적인 변수를 넣어, 가장 좋은 전략인 공성전을 택하지 않고 시원하게 말아먹은 것이었다. [25] 비슷한 사례로 최영이 고려군 대부분을 이성계에게 주고, 정작 본인은 개경에 남아 있는 바람에 위화도 회군을 막지 못했다. [26] 물론 고려사를 편찬한 조선의 관점이다. [27] 박승(朴昇) · 최창(崔昌) · 위종정(魏從政) · 강은(康隱) · 탁사정(卓思政) 등 [28] 탁사정은 2차 침입 당시 서경성 전투 패배에 큰 책임이 있는 인물이다. 이 전투의 패배 역시 그의 실각에 영향을 끼쳤을지도 모른다. [29] 신립은 선조와 인빈 김씨의 아들 신성군 장인이다. 특히 신성군은 선조가 내심 후계자 후보로 염두에 두었을 정도로 상당히 총애한 아들이다. [30] 이는 조선에 비하여 고려가 아무래도 훨씬 더 옛날이라 기록이 상대적으로 빈약함을 감안하여야 한다. 명색이 군권으로 실권을 쥔 강조가 그 군권을 쥐기 위한 전공이 없었을 리가 없다. 단지 기록이 빈약할 뿐일 것이다. [31] 조총이라는 신무기에 대한 빈약한 지식과 어두웠던 세상물정에 한 몫 했다. 실제 < 징비록> 등의 기록에 따르면 일본군은 부하들이 다들 지키자고 했으나 신립이 우격다짐으로 지키지 않은 곳을 통과했을 때 복병이 있나 싶어서 몇 번이나 확인했다고 하며, 명나라군 역시 "이런 곳도 안 지키고 뭐를 했단 말인가?!"라는 식으로 혀를 찼다고 한다. [32] 신천 강씨 족보상으로 강조와 강억의 아버지로 형부상서를 지낸 강태주(泰周)라는 인물이 있다. [33] 2002년 KBS 드라마 < 제국의 아침>에서는 왕요 역, 2002년 SBS 드라마 < 야인시대>에서는 마루오까 경부 역, 2004년 KBS 드라마 < 불멸의 이순신>에서는 원균 역, 2006년 SBS 드라마 < 연개소문>에서는 이밀 역, 2012년 KBS 드라마 < 대왕의 꿈>에서는 계백 역. [34] 양규 김숙흥과 가상으로 동생으로 나오는 강신이 그와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35] 대련에서 사일라 사가문을 동시에 때려눕히기도 하고 탁사정과 최사위 등 2명이 정면으로 칼을 휘둘렀을 때 창으로 받아내서 2명을 벽까지 밀어버린다. [36] 예를 들면 강조의 정변 이후에 대량원군이 새 황제로 즉위하기 전 "태후 마마가 섭정해야 한다"면서 고집을 피웠다. [37] 거란군과 100 vs 1 대결을 벌이는데, 이 100명이 일반병이 아니라 가려뽑은 정예병이다. 거기다 당시 강조는 고문을 받아서 컨디션도 완전 바닥인 상태인데도 100명을 상대로 승리했다. 하지만 이후 난입한 거란의 장군 5명의 합공을 받아 죽게 되는데, 5명의 합공 때도 이미 떨어질 대로 뚝 떨어진 체력과 몸이 만신창이가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2명을 상대로 힘싸움으로 오히려 이기는 괴력을 보여준다. [38] 물론 강조 입장에서 당시 천향비는 이미 고인이었고, 천추태후는 멀쩡히 살아 있었기 때문에 그 쪽으로 마음이 더 갔을 수도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51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51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