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9-23 15:29:47

고려사절요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정사(正史)
국가 공인 역사서
삼국사기 고려사
실록(實錄)
제왕의 일대기를 다룬 편년체 기록물
고려실록 조선왕조실록
절요(節要)
방대한 정사 기록을 요약한 기록물
고려사절요 삼국사절요
통감(通鑑)
통치에 도움이 되는 기록물
동국통감
강목(綱目)
강목체를 적용한 기록물
동사강목 동국통감제강 본조편년강목
여사제강 동사회강 대동사강
휘찬려사 국조정토록
사략(史略) 본조사략 동국사략
일기(日記)
국가 공문서
승정원일기 일성록 동궁일기
각사등록 비변사등록
역사시(歷史詩) 응제시주 제왕운기
기타 삼국유사 개황력 대사편년
대사기 속무정보감 국조통기
발해고 해동고승전 동국병감
단군세가 기자지 동사
해동명장전 단군고기 신라고기
백제고기 해동고기 본국고기
삼한고기 고려고기 연려실기술
동사보유 동국역대총목 동사세가
해동역사 열조통기 동사찬요
기타 실전(失傳) <colbgcolor=#fff,#191919>고구려 유기 신집
신라 국사 제왕연대력 화랑세기
백제 백제기 백제신찬
백제본기 서기
고려 구삼국사 가락국기 편년통록
왕대종족기 성원록 금경록
위서(僞書) 환단고기 규원사화 단기고사
부도지 화랑세기 박창화 필사본 격암유록
†: 실전(失傳)되어 현재는 존재하지 않음.
번외: 현대 역사서
한국사
}}}}}}}}}

<colbgcolor=#fedc89,#670000><colcolor=#670000,#fedc89> 고려사절요[1]
高麗史節要
파일:고려사절요.jpg
시기 15세기 조선
권 수 35권 35책
분량 918년 ~ 1392년 (474년)
고려태조 원년 ~ 공양왕 4년

1. 개요2. 상세3. 외부 링크

[clearfix]

1. 개요

고려 시대를 다룬 사서(史書)인 고려사의 요약본.

《고려사》가 너무 내용이 많고 번잡해서 줄였다고 하여 《절요》라 한다지만, 사실은 《고려사》만을 참조하지는 않았기에,[2] 내용 면에서 《고려사》와 다른 점이 있다.[3] 편년체로 서술되었으며, 기전체인 《 고려사》, 북송의 서적인 《 고려도경》과 함께 고려시대를 연구하는 데 아주 중요한 사료이다. 총 35권 35책.

2. 상세

조선 제5대 문종 2년(1452년) 김종서 등이 왕명을 받고 《 고려사》 저본으로 찬수하여 춘추관에서 간행하였다고 한다. 현재는 전하지 않지만 당시의 편년체 사서로 세종 윤회가 편찬한 《수교고려사》와 권제의 《고려사전문》(高麗史全文)을 참조하고[4], 1451년 완성된 《고려사》의 내용을 축약하여 5개월 만에 편찬한 것이다. 《고려사》 만큼 내용이 풍부하지는 않지만, 《고려사》 외에도 다른 사료도 참고하였기에, 거기에 없는 사실들이 많이 수록되어 있고, 또 《고려사》에 누락된 연대가 밝혀져 있는 것도 있어 고려시대의 역사서로 상호 보완적인 사료적 가치가 있다.

예를 들어보자면, 《고려사》 제6대 성종 원년조에 없는 4월, 10월, 12월 기사들이 《고려사절요》에는 보이며 3월에 백관의 칭호가 어떻게 바뀌었는 지도 《고려사절요》에 더 잘 나와있다. 반면 《고려사절요》에는 없는 북송 황제의 책봉조서가 《고려사》엔 보이고 있다. 고려사절요 성종원년, 고려사 성종 원년. 최승로의 <시무 28조>의 경우, 《고려사》에는 <열전>(列傳)에 수록되어 있어, 양쪽에 다 실려있기는 하지만 《고려사절요》에는 제8대 현종 원년인 경술년에 거란의 침입으로 일부가 분실되었다는 분실 이유가 적혀있다. 나머지 6조는 경술년의 병란에 잃어버렸다.

《고려사》를 편찬한 사람들이 주축이 되어 발간하였기 때문에 편찬 당시 원칙을 정하여 범례로 기록하였다. 국가의 치란흥망에 관계된 기사로서 귀감이 될 수 있는 기사, 이 직접 참여한 제사, 외국 사신 관련 기사, 천재지변에 관한 기사, 왕의 수렵활동, 관료의 임명과 파면 관련 내용, 정책에 받아들여진 상소문 등 군주에게 교훈을 주기 위한 내용 등을 상세하게 기록하였다.

또한 《고려사》처럼 왕과 왕실 관련 용어들은 직서(直書)를 원칙으로 하였다. 고려시대에는 외왕내제라 하여 왕과 왕실관련 용어들을 황제국의 법도에 따라 사용하였는데, 이것이 (제후국의 도리로써는) 참람(僭濫)하다 하여 조선시대에는 많은 용어들을 제후국의 법도에 따라 고쳤다. 《고려사절요》를 편찬할 때, 고려시대의 왕실 용어들도 제후국의 법도에 따라 변경해서 기록해야 한다는 주장이 있었으나, '역사는 있는 그대로 적어야 한다'(직서)는 의견이 승리하여, 비록 성리학의 예법으로 보면 참람하다 할지라도, 고려가 실제 사용한 그대로 황제국의 용어를 기록한 것을 말한다.

직접 편찬에 참여한 사람들이 사론을 기술하지 않았으나, 고려시대 사신과 이제현 · 정도전 · 정총 등 저명한 학자들의 사론 108편이 있어 사론을 살피는 가치도 쏠쏠한 편. 여기서도 조선 전기 역사책답게 우왕 창왕은 왕 취급을 못받고 재위년도도 간지로 표기되어 있다.

파일:국역 고려사절요.jpg

1968년 민족문화추진회에서 국역으로 출판하였고 인터넷 상으로도 볼수 있다. 안정복의 《 동사강목》도 인터넷에 올려져 있는데, 《고려사절요》와 유사한 대목이 많은 것으로 보아 많이 참조한 듯. 다만 《고려사절요》 원본을 직접 본 것은 아니고, 《고려사절요》의 내용을 인용한 《 동국통감》을 주요 자료로 채택한 덕분에, 《고려사절요》의 내용도 《동사강목》에 반영되었다.(출처: 박종기 저, 《안정복, 고려사를 공부하다》)

국역본을 공개하는 사이트 : #

3. 외부 링크


[1] 고려사절요 다섯 글자를 붙여서 읽는게 아니라 고려사/절/요 라고 읽는다. [2] 삼국사절요》도 비슷하다. 《 삼국사기》만 참고한 것이 아니라 《 삼국유사》, 《 수이전》, 《 동국이상국집》 등의 내용도 참고했다. [3] 또한 《고려사절요》를 단순히 축약본으로 보기에는 《고려사》에 비어 있는 내용이 있거나 같은 날의 기록이 더 자세한 부분도 있기에 학자들은 두 서적을 모두 교차검증한다. [4] 《수교고려사》와 《고려사전문》 중 어느 것을 저본으로 했는지에 대해서는 설이 양분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