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09 20:03:50

대원공


고려의 왕자
[[틀:고려의 왕자/선종 ~ 공양왕|{{{#!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ackground: #670000; border-radius: 3px; font-size: .8em"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9D00, #FFB200 20%, #FFB200 80%, #FF9D00); color: #6700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d537; font-size: .7em"
[[양헌왕|{{{#!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700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B2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6594B;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d537;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d537;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B2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d537;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d537; font-size: .7em"
[[안경공|{{{#!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700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B2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d537;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d537;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d537;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d537;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d537;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d537;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70000; font-size: .7em"
국왕 · 왕후 · 왕태후 · 왕태자
후궁 : 태조 ~ 예종 · 의종 ~ 공양왕
왕자 : 국조 ~ 문종 · 선종 ~ 공양왕
왕녀 : 태조 ~ 문종 · 선종 ~ 공양왕
※ 작호가 있거나 성년까지 생존한 사람만 기재
}}}}}}}}}


<colbgcolor=#FFB200><colcolor=#670000>
고려 숙종의 왕자
대원공 | 大原公
출생 1093년
고려 개경 개성부 추정
(現 경기도 개성시)
사망 1161년 5월 6일[1] (향년 69세)
고려 개경 개성부 추정
(現 경기도 개성시)
묘소 의룡산(義龍山) 동쪽(東)
재위기간 고려 대원후
1109년 3월 15일 ~ 1115년 1월 20일
고려 대원공
1115년 1월 20일 ~ 1161년 5월 6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FB200><colcolor=#670000> 본관 개성 왕씨
효(侾)
부모 부왕 숙종
모후 명의왕후
형제자매 8남 4녀 중 5남
배우자 대원공비 이씨
(大原公妃 李氏, ? ~ 1133)[2]
자녀
1남 1녀 [ 펼치기 · 접기 ]
장남 - 강양공 왕감(江陽公 王瑊, ? ~ ?)
장녀 - 개성 왕씨(開城 王氏)[3]
종교 유교, 불교, 도교
경천(敬天)
작위 대원후(大原侯)
대원공(大原公)
시호 장평공(莊平公)
별호 연덕궁왕자(延德宮王子)
}}}}}}}}} ||
1. 개요2. 생애3. 가족관계

[clearfix]

1. 개요

고려 제15대 국왕 숙종 명의왕후의 5남.

2. 생애

정직하고 인자한 성품의 소유자로 어려서부터 충효의 정성이 있었으며 유교, 불교, 도교 삼교에 뜻을 뒀다.

이름을 받기 전 어렸을 때는 연덕궁왕자(延德宮王子)란 궁호로 불렸다. 숙종과 명의왕후는 대원공이 아들 중에서 효성이 가장 뛰어나다고 해 대원공이 10세가 되던 해인 숙종 7년인 1102년 (亻)자에 자를 더해 효(侾)라는 이름을 내린다. 3년 뒤인 숙종 10년인 1105년 부왕이 승하하고 형 예종이 즉위하는데, 아직 어렸던 대원공 왕효은 모후인 명의태후의 거처에서 지내게 된다.

예종 원년인 1106년 '봉의동덕공신 개부의동삼사 검교태위 수사도 겸 상서령 상주국 대원후(奉義同德功臣 開府儀同三司 檢校太保 守司徒 兼尙書令 上柱國 大原侯) 식읍 2천호 식실봉 3백호'에 오른다. 예종 2년인 1107년 윤관, 오연총 등이 원수가 되어 여진 정벌에 나선 때 대원공 왕효는 수도에 머무르며 왕성을 지키라는 명을 받든다. 예종 3년인 1108년 검교태보(檢校大保)가 더해지고, 예종 5년인 1110년 책문을 받들어 '식읍 3천호 식실봉 3백호'가 오른다. 같은 해에 또 광효공신 수태위(廣孝功臣 守太尉)가 더해지자 대원공 왕효는 표문을 올려 사양하지만 왕이 이를 허락하지 않는다.

예종 7년인 1112년 모후인 명의태후가 승하하니 이듬해 명복궁사(明福宮司)의 토지와 노비 등을 상속받는다. 또 그 다음해인 예종 9년인 1114년 11월 태묘에 명의태후의 신주를 합사하는데 예종은 대원공 왕효에게 아헌(亞獻)[4]이 되어 두 번째로 제사술을 따르게 한다. 같은 해 12월 수인공신(守仁功臣)의 호가 더해지고 공작으로 승진하여 식읍 3천 5백호, 식실봉 3백 5십호에 이르게 된다.

예종 10년인 1115년 3월 양간공(襄簡公)[5]의 장녀 이씨를 공비(公妃)로 맞으면서 왕명을 받은 최홍재를 통해 비단과 금은그릇, 말 등을 하사받는다. 대원공 왕효의 묘지명에 따르면 같은 해 7월에 검교태부(檢校大傅)가 더해지고 작위는 상공(上公)으로 한 단계 더 오르며 대읍(大邑)이 식읍에 더해진다.

예종 17년인 1122년 정월 수태보(守大保)에 오른다. 교서에 따르면 왕이 동생을 총애하는 뜻에서 작위는 오등작의 으뜽이지만 삼공의 지위에는 이르지 못했기에 높은 관직으로 승진시킨 것이다. 4월에 예종이 죽고 조카 인종이 즉위한 뒤에 찬화공신(贊化功臣)의 호와 식읍 4천호, 식실봉 5백호가 하사되었고, 9월에는 검교태사(檢校大師)로 승진한다.

인종 즉위한 이후 외척 이자겸이 권세를 잡은 뒤로는 영남 지방으로 유배된다. 당시 형 대방공 왕보도 개경에서 쫓겨난다. 대원공 왕효는 이자겸의 축출 이후 인종 7년인 1129년이 되어서야 왕의 소환으로 개경으로 돌아올 수 있었다. '봉순동덕수절찬화공신 개부의동삼사 검교태사 수태보 겸 상서령 상주국(奉順同德守節贊化功臣 開府儀同三司 檢校太師 守太保 兼 尙書令 大原公)에 오르고 식읍 3천호 식실봉 4백호'를 하사받고, 왕으로부터 새 집과 금은그릇, 비단, 말 등을 받는다. 인종 11년인 1133년에는 부인인 공비 이씨와 사별한다.

대원공 왕효는 불교를 믿으면서도 도교에도 뜻을 두고 또 유교의 인의를 벗어나지 않았다. 대원공 왕효는 유불선 각각에 관한 글을 썼는데, 이 글은 당시 흥왕사(興王寺)의 교장보(敎藏寶), 도교 사원인 복원궁(福源宮), 한림원이라고도 부르는 서적점(書籍店) 등에 붙는다.

이후 인종, 의종 재위 중 공신호와 식읍이 계속 더해져 최종적으로는 '봉의동덕광효수인찬화봉순수절수의좌리보정려익공신 개부의동삼사 검교태사 수태사 겸 상서령 상주국 대원공(奉順同德守節贊化功臣 開府儀同三司 檢校太師 守太保 兼尙書令 上柱國)'에 식읍 4천호 식실봉 7백호에 이른다. 의종 11년인 1161년 초 노환으로 사망해 광제사(廣濟寺)에 빈소가 마련된다. 장평공(莊平公)의 시호를 받았으며, 개경 동산(東山) 기슭에서 화장하고 인효불원(因孝佛院)에 임시로 안장 한 후 11월 임인일에 의룡산(義龍山) 동쪽 기슭에 매장된다.

예종의 동생들 중에선 가장 오래 살았다.[6]

3. 가족관계

아들로는 강양후 왕감이 있고, 손녀는 의종의 아들인 효령태자의 태자비가 되었다. 딸은 정간왕 왕기의 증손자 수사공 왕재와 혼인해 외동딸을 뒀다.
[1] 음력 의종 15년 4월 10일 [2] 양간공(襄簡公) 이씨의 장녀 [3] 수사공 왕재의 부인 [4] 전통 제례의 순서에서 삼헌(三獻) 중 두번째로 술잔을 올리는 일. [5] 기록에 양간공이라는 인물이 누구인지는 알려진 바 없다. 하지만 왕실과 혼인한 것으로 보아 인천 이씨로 추정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이자연 또는 이자상(李子祥)의 손자 뻘일 것으로 보인다. [6] 이에 비해 상당후 왕필은 일찍 사망했다. [7] 양간공(襄簡公) 이씨의 장녀 [8] 인종의 차녀 [9] 의종의 아들 효령태자의 부인 [10] 승화백(承化伯) 왕정(王禎)의 아들로 정간왕 왕기의 증손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