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25 19:22:29

청주 한씨

한국의 성씨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a495,#2d2f34><colcolor=#fff> · · · · · 강전 · · · · · · · · · · · · · · · · · · · · ·
· · · 남궁 · · · · ·
· · · · · · · 독고 · · · 동방 · · · 등정
· · · · · · · ·
· · 망절 · · · · · · · · 무본 · · · ·
· · · · · · · · · · · · · ·
· 사공 · · · · · 서문 · · · 선우 · · · · · 소봉 · · · · · · · · ·
· · · · · · 어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장곡 · · · · · · 제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황목 · 황보 · ·
초록색: 2015년 기준으로 총 인구 100명 미만인 성씨
한자 표기가 다르더라도 한글 표기가 같으면 합산됨
}}}}}}}}}

{{{#!wiki style="margin: -15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180><tablebordercolor=#FFD700>
파일:청주 한씨 종문.svg
淸州 韓氏
청주 한씨
}}}
관향 <colbgcolor=#fff,#191919> 충청북도 청주시
시조 한란(韓蘭)
집성촌 부산광역시
대구광역시 북구
인천광역시 강화군
울산광역시 울주군
경기도 김포시· 수원시· 연천군· 용인시
경기도 평택시· 화성시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원주시· 철원군· 횡성군
충청북도 옥천군· 청주시
충청남도 당진시· 보령시· 서천군· 천안시
충청남도 태안군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군산시· 남원시· 부안군
전북특별자치도 순창군· 무주군· 익산시· 임실군
전북특별자치도 장수군· 정읍시· 진안군
전라남도 고흥군· 구례군· 보성군· 순천시
전라남도 여수시· 영광군· 진도군· 화순군· 담양군· 장성군
경상북도 고령군· 경산시· 김천시· 문경시
경상북도 상주시· 성주군· 예천군
경상남도 고성군· 김해시· 남해군· 의령군
경상남도 진주시· 창원시· 함양군· 합천군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제주시
경기도 개풍군· 장단군
강원도 이천군· 통천군
황해도 곡산군· 금천군· 송화군· 연백군
황해도 옹진군
평안남도 강서군· 덕천군· 맹산군· 성천군
평안남도 순천군· 안주군· 양덕군· 영원군
평안남도 용강군· 중화군· 평원군
평안북도 박천군· 삭주군· 선천군· 영변군
평안북도 용천군· 운산군· 의주군· 자성군
평안북도 정주군· 철산군· 초산군· 후창군
함경남도 단천군· 문천군· 북청군· 신흥군
함경남도 안변군· 영흥군· 장진군· 정평군
함경남도 함주군· 홍원군
함경북도 명천군· 무산군· 성진시· 종성군
인구 752,689명(2015년) | 국내 10위
링크 중앙 종친회

1. 개요2. 분적과 분파3. 집성촌
3.1. 인천3.2. 경기3.3. 강원3.4. 충청3.5. 전라3.6. 경상3.7. 제주3.8. 북한
3.8.1. 경기·강원3.8.2. 황해3.8.3. 평안3.8.4. 함경
4. 항렬자5. 실존 인물
5.1. 전근대 인물
5.1.1. 고려5.1.2. 조선
5.2. 근현대 인물

[clearfix]

1. 개요

충청북도 청주시를 관향으로 하는 성씨.

청주 한씨 족보에는 상나라 출신의 현인 기자(箕子)의 후손으로 기록되어 있다. <청주한씨세보>에 의하면 준왕(準王)의 후손이자 마한의 8번째 왕인 원왕(元王)의 아들로 우평(友平)·우량(友諒)·우성(友誠)의 3형제가 있어, 각각 선우씨(鮮于氏), 한씨(韓氏), 기씨(奇氏)가 되었다고 전해지며, 청주 한씨의 시조 한란(韓蘭)은 준왕의 후예인 한우량의 32세손이라고 한다. 다만 대한민국의 주류 학계에서는 기자조선의 존재가 부정되고 단군조선 위만조선만 인정되고 있기 때문에 상고대의 역사는 한씨 족보 이외에도 역사적으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가장 오래된 삼국시대 백제 창건기의 십제공신 한세기(韓世奇)를 시작으로 고려 창건 때 삼한벽상공신 한란,[1] 조선 창건 때 태조(조선)의 왕후인 신의왕후 한씨, 3등익대공신 한상경, 한충 등의 인물들을 배출했다. 조선 중기 정치 패러다임을 만든 한명회는 영의정으로서 훈구파의 중심에 있었다. 한명회는 익대공신 한상경의 종손자(從孫子)[2]가 되고 조선의 8대 국왕인 예종, 9대 국왕인 성종의 장인이기도 하다.

조선 시대 내내 왕비 6명[3][4], 문과급제자 315명, 상신(相臣) 12명[5], 공신(功臣) 24명, 대제학 1명, 부마 4명이 나와 이른바 삼한갑족(三韓甲族)으로 일컬어진다.

2. 분적과 분파

성씨의 역사도 아주 길고 규모가 큰 대성인 만큼 분포 지역 역시 북한을 포함해서 전국적으로 다양하다. 예빈윤공파(禮賓尹公派)[6] 함경남도 함흥시, 함경북도 성진시 종성군에, 충간공파(忠簡公派)는 충청남도 경기도에, 문양공파(文襄公派)는 경기도 고양시 평안북도 영변군에, 문정공파(文靖公派)는 강원도 경상남도에, 몽계공파(夢溪公派)는 경상북도 상주시 합천군에, 충성공파(忠成公派)는 충청남도 부산광역시에, 양절공파(襄節公派)와 정랑공파(正郞公派)는 전국 각처에 각각 분포해 있다. 그 밖에도 제주도에도 많이 살고 있는데, 이 일문(一門)은 고려 말기 예문관 대제학으로서 태조를 섬기지 않아 유배된 천(蕆)[7]의 후예로 알려져 있다.

장단/단주 한씨 대부분[8]과 곡산 한씨 일부[9], 삼화 한씨[10]는 청주 한씨로 편입되었다. #

3. 집성촌

3.1. 인천

  • 인천광역시 강화군 교동면 고구리·지석리
  • 인천광역시 강화군 내가면 고천리
  • 인천광역시 강화군 불은면 신현리
  • 인천광역시 강화군 송해면 양오리
  • 인천광역시 강화군 양도면 도장리
  • 인천광역시 강화군 양사면 북성리
  • 인천광역시 강화군 하점면 신봉리·창후리

3.2. 경기

  • 경기도 김포시 대곶면 약암리
  •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하동
  •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금곡동(노림종중,첨정공파)
  • 경기도 양주시 백석읍
  • 경기도 연천군 백학면 포춘리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독성리
  • 경기도 이천시 장호원읍 와현리
  • 경기도 평택시 서탄면 금암리
  • 경기도 평택시 오성면 길음리·신리·양교리
  • 경기도 평택시 현덕면 대안리 포승읍 내기리
  • 경기도 화성시 우정읍 이화리·운평리·주곡리
  • 경기도 부천시

3.3. 강원

3.4. 충청

3.5. 전라

  •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성송면 암치리
  •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 대야면 내덕리
  •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사매면 화정리
  •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주천면 주천리
  • 전북특별자치도 부안군 동진면 장등리
  • 전북특별자치도 순창군 순창읍 복실리·장덕리
  • 전북특별자치도 순창군 인계면 갑동리
  •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삼례읍 신탁리
  •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소양면 해월리·황운리
  •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용안면 화배리
  •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왕궁면 쌍제리
  •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삼계면 봉현리·어은리[14]·홍곡리
  •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오수면 용정리
  •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임실읍 신안리
  •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청웅면 구고리
  • 전북특별자치도 장수군 계북면 어전리[15]
  • 전북특별자치도 장수군 천천면 봉덕리·춘송리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소성면 보화리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옹동면 오성리[16]
  • 전북특별자치도 진안군 안천면 노성리[17]
  • 전라남도 고흥군 과역면 연등리
  • 전라남도 고흥군 도양읍 관리
  • 전라남도 고흥군 도양읍 용정리
  • 전라남도 구례군 마산면 냉천리
  • 전라남도 구례군 용방면 사림리
  • 전라남도 보성군 벌교읍 고읍리[18]
  • 전라남도 보성군 웅치면 강산리
  • 전라남도 광양시 광양읍 익신리
  • 전라남도 순천시 별량면 금치리·하대리
  • 전라남도 순천시 외서면 월암리[19]
  • 전라남도 여수시 신월동
  • 전라남도 영광군 군남면 용암리
  • 전라남도 진도군 조도면 나배도리
  • 전라남도 화순군 청풍면 어리
  • 전라남도 완도군 소안면 소진리
  •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강쟁리
  • 전라남도 담양군 금성면 대성리
  • 전라남도 담양군 용면 통천리
  • 전라남도 담양군 월산면 중월리
  • 전라남도 장성군 황룡면 월평리

3.6. 경상

3.7. 제주

3.8. 북한

3.8.1. 경기·강원

3.8.2. 황해

3.8.3. 평안

  • 평안남도 강서군 동진면 덕봉리
  • 평안남도 강서군 수산면 가현리
  • 평안남도 강서군 신정면 후현리
  • 평안남도 강서군 초리면 남호리·이로리
  • 평안남도 덕천군 덕천면 산양리
  • 평안남도 맹산군 봉인면 팔봉리
  • 평안남도 성천군 대곡면 대곡리
  • 평안남도 성천군 삼흥면 묘산리
  • 평안남도 성천군 영천면 유동리
  • 평안남도 성천군 통선면 군자리
  • 평안남도 순천군 내남면 금평리
  • 평안남도 순천군 순천면 평리
  • 평안남도 안주군 안주읍 금성리·용흥리
  • 평안남도 양덕군 화촌면 문흥리
  • 평안남도 영원군 영락면 용삼리
  • 평안남도 영원군 영원면 성장리
  • 평안남도 용강군 삼화면 서정리
  • 평안남도 용강군 신녕면 광암리·마염리·수일리·연송리
  • 평안남도 용강군 용강면 후산리
  • 평안남도 중화군 풍동면 내동리·지동리
  • 평안남도 평원군 공덕면 산송리·장재리
  • 평안남도 평원군 동암면 용우리
  • 평안남도 평원군 순안면 구서리
  • 평안남도 평원군 용호면 운봉리
  • 평안북도 박천군 남면 서송리·송봉리
  • 평안북도 박천군 북면 은룡리
  • 평안북도 박천군 용계면 삼광리
  • 평안북도 삭주군 수풍면 양부리
  • 평안북도 선천군 수청면 안산리
  • 평안북도 영변군 오리면 세죽리
  • 평안북도 용천군 양광면 송정리·충무리
  • 평안북도 운산군 동신면 이리·좌리
  • 평안북도 의주군 고관면 남산리·동상리·상고리[23]·서하리
  • 평안북도 의주군 위화면 상단리
  • 평안북도 자성군 여연면 만흥리·중상리
  • 평안북도 정주군 덕달면 덕성리
  • 평안북도 정주군 마산면 옥야리
  • 평안북도 철산군 정혜면 등환리
  • 평안북도 초산군 도원면 관대리
  • 평안북도 후창군 후창면 군내리·부흥리·장흥리·회리

3.8.4. 함경

  • 함경남도 단천군 신만면 개평리·안시동리
  • 함경남도 덕원군 현면 용평리
  • 함경남도 북청군 덕성면 서장내리
  • 함경남도 북청군 상거서면 상돌리·엄동리[24]
  • 함경남도 북청군 속후면 오매리
  • 함경남도 북청군 양가면 상리
  • 함경남도 북청군 양화면 양화리·호만포리
  • 함경남도 북청군 하거서면 임자동리
  • 함경남도 신흥군 가평면 능리·장풍리·중상리[25]·풍상리
  • 함경남도 신흥군 동고천면 동상리·풍동리·풍양리·흥경리
  • 함경남도 신흥군 서고천면 동덕리[26]
  • 함경남도 신흥군 영고면 구상리·당복리·인평리·창평리·흥남리
  • 함경남도 신흥군 하원천면 문성리
  • 함경남도 신흥군 하원천면 서양리[27]
  • 함경남도 안변군 문산면 오산리·주음리
  • 함경남도 영흥군 복흥면 용원리
  • 함경남도 영흥군 선흥면 문상리·태화리·평천리
  • 함경남도 영흥군 요덕면 중신리
  • 함경남도 영흥군 장흥면 봉양리·정서리·초상리·초하리
  • 함경남도 영흥군 횡천면 대평리·덕평리
  • 함경남도 장진군 신남면 고흥리·늪직리·송정리·신하리·신흥리·재원리·중흥리·하갈우리
  • 함경남도 장진군 중남면 고별우리·통지수리
  • 함경남도 정평군 고산면 풍양리·흥봉리
  • 함경남도 정평군 광덕면 장동리
  • 함경남도 정평군 귀림면 내동리·동성리·상풍리·송문리·신평리·중흥리·포상리
  • 함경남도 정평군 문산면 기산리·남양리·덕화리·동천리·문흥리·원봉리·은흥리·중흥리·지양리·평흥리·풍성리·풍양리
  • 함경남도 정평군 부내면 경흥리·덕동리·송흥리·태양리
  • 함경남도 정평군 선덕면 경흥리·풍호리
  • 함경남도 정평군 장원면 용연리
  • 함경남도 정평군 주이면 노동리·동봉리·보상리·석마리·신성리·신흥리·오리평리·용강리·운봉리·추하리
  • 함경남도 정평군 춘류면 남흥리·월성리·향동리
  • 함경남도 흥남시 구룡리·동흥리·천기리
  • 함경남도 함주군 동천면 동흥리·쌍봉리[28]
  • 함경남도 함주군 연포면 서흥리
  • 함경남도 함주군 운남면 중수리·풍동리
  • 함경남도 함주군 주서면 하구리[29]
  • 함경남도 함주군 하기천면 송당리
  • 함경남도 함주군 하조양면 봉명리·봉하리·인흥리
  • 함경남도 홍원군 삼호면 동흥리·중평리·풍동리
  • 함경남도 홍원군 용원면 동촌리[30]
  • 함경북도 명천군 동면 수암리·양천리
  • 함경북도 명천군 하고면 황암리[31]
  • 함경북도 무산군 연상면 문암리·박천리
  • 함경북도 학성군 학동면 성하리
  • 함경북도 학성군 학서면 덕인리·신흥리·업억리
  • 함경북도 종성군 용계면 봉산리·부계리·연산리·임천리
  • 함경북도 종성군 풍곡면 동포리·운봉리·운암리·풍계리·풍천리

4. 항렬자

  • 대동항렬자: 1920년 경신대동보에서 27~37세의 대동항렬자를 정했는데, 1993년 제6교대동족보에서 기존의 오행상생법 대신 수교법을 따라 35~44세의 대동항렬자를 새로 정했다. 다만 아직까지는 각파마다 고유 항렬자를 쓰는 경우가 대다수이다.
    세수 1920년 제정 1993년 제정

    27세 용(用)○

    28세 ○이(履)

    29세 ○교(敎)

    30세 ○석(錫)

    31세 ○수(洙)

    32세 상(相)○

    33세 ○희(熙)
    ○덕(悳)

    34세 재(載)○

    35세 ○탁(鐸) ○대(大)

    36세 태(泰)○ ○원(元)

    37세 ○식(植) ○옥(玉)

    38세 ○헌(憲)

    39세 ○오(五)

    40세 ○립(立)

    41세 ○세(世)

    42세 ○선(善)

    43세 ○구(九)

    44세 승(升)○

청주한씨중앙종친회 홈페이지에 각 파마다 개별로 쓰는 항렬자도 함께 소개되어 있다. 각파마다 항렬자의 순서나 위치 등에서 어긋남이 잦으며, 대동항렬자와 같은 글자를 쓰는 경우도 종종 있다.

5. 실존 인물

5.1. 전근대 인물

5.1.1. 고려

5.1.2. 조선

5.2. 근현대 인물

본명 기준 가나다순으로 정렬.
[1] 고려 창건기에는 태조(고려)의 어머니이자 세조(고려)의 부인인 위숙왕후 한씨도 있는데, 일단 한씨는 맞으나 청주 한씨였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2] 한명회에게 한상경은 종조부(從祖父)가 된다. 즉 고려의 관료였던 청성군(淸城君) 문경공(文敬公) 한수(韓脩)의 네 아들 중 셋째 아들이 한상경(韓尙敬)이고, 둘째 아들 한상질(韓尙質)의 손자가 한명회이다. [3] 추존왕후까지 합한 숫자로 조선 시대 왕비 최다 배출에 해당한다. 4명을 배출한 파평 윤씨와 여흥 민씨가 공동 2위가 된다. [4] 심지어 공혜왕후를 제외하고 모두 아들을 낳아서 한씨 집안의 왕비들은 권위가 높기로 유명하다. 대표적으로 소혜왕후, 인열왕후, 살아생전에 왕비가 되진 못했지만 그 직계가 모두 조선왕실로 이어지는 신의왕후가 있다. 예외는 장순왕후, 공혜왕후, 안순왕후 정도인데 이조차도 두 명은 10대에 요절, 다른 한 명은 파평 윤씨 가문의 대왕대비인 정희왕후가 왕실최고어른의 권위로 누른 것에 가깝다. [5] 영의정(6명): 한상경, 한명회, 한치형, 한효원, 한익모, 한용구. 좌의정(2명): 한확, 한효순. 우의정(4명): 한백륜, 한응인, 한흥일, 한계원. [6] 신의왕후가 이 파에 속한다. 그런데 이 파는 다른 청주 한씨 분파들과의 혈연적 연관성이 알려져 있지 않다. 청주 한씨 측에서 간행한 대동족보에서도 이를 반영하여, 예빈윤공파 가계도만 다른 분파와 분리된 채로 뒤에 별도로 첨부되어 있다. 청주 한씨 중앙 종친회 홈페이지에는 예빈윤공파가 직사관공파의 뒤, 몽계공파의 앞에 나열되어 있으며, 예빈윤공파의 시조 한련(韓連)을 7세라고 적었다. 분파의 나열 순서가 종법상의 서열 순서라고 가정한다면, 아마도 한련은 한강(韓康)과 한구(韓球)의 동생이었던 것으로 추론해볼 수 있다. [7] 호는 서제(恕齋). 족보에는 자세한 행적이 안 나오지만, 고려사 세가, 지, 열전 등지에 한천의 자세한 행적이 기록되어 있다. 이를 시간순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공민왕 14년(1365) 10월에는 전리판서로서 민안인, 임간 등 96명을 선발하였고, # 17년(1368) 10월 정3품 제학(提學)의 벼슬에 있으면서 김정(金精), 김흥조(金興祖) 등이 신돈 암살을 기도한다는 첩보를 듣고 이춘부(李春富)에게 고하였다. # 20년(1371) 2월에는 경상도 도순문사로 임명되었다. # 그러나 우왕 2년(1376) 홍륜의 반역에 얽혀 유배되었고, # 이후 복권되었는지 공양왕 3년(1391) 음력 12월에는 판개성부사로 임명되었다. # 이듬해 7월에는 정2품 예문관 대제학이었는데, 이성계에 의해 유배되었다. #

그런데 조선왕조실록에는 이와 상반된 행보가 전해진다. 1393년 7월 29일 이성계에 의해 공신으로 포상되었고, 1400년 6월 2일에는 판삼사사(判三司事)로 삼고 치사(致仕)하게 하였다. 이후 태종 3년(1403) 5월 21일 조정에서 한천의 이질(姨姪)인 청성군(淸城君) 정탁(鄭擢)을 해풍(海豊)으로 내쳤을 때 사헌부의 상소에 보면 한천이 이미 죽었다고 언급된다. 그런데 이 상소에서 한천에게 아들이 없었다고 언급된다. 따라서 한천이 제주도로 들어간 한씨의 조상이라는 전승은 잘못 전해졌을 가능성이 크다.

청주 한씨와 광산 김씨의 족보에 따르면, 한천의 장인은 정당문학 예문관대제학 및 지춘추관사상호군을 지낸 김진(金稹, 1292~?)이다.
[8] 한총례(韓聰禮)의 후손 [9] 한방신(韓方信/韓邦信)의 후손 [10] 한석봉의 본관 [11] 동국지리지를 지은 한백겸이 이 마을 출신이다. [12] 한기호 현 국회의원이 이 마을 출신이다. [13] 14세 한명회의 후손 18세 군자감주부 한흥운이 입향조이다. 한명회를 기리는 충향사가 있다. [14] 한상준 전 국회의원, 한상진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명예교수가 이 마을 출신이다. [15] 청주 한씨에서 분적한 금산 한씨(錦山韓氏)의 집성촌이다. [16] 독립유공자 한흥삼이 이 마을 출신이다. [17] 한승헌 전 감사원장이 이 마을 출신이다. [18] 한국 브리태니커 설립자 한창기가 이 마을 출신이다. [19] 참고문헌인 『한국근대민속·인류학자료대계 8 - 조선의 성씨』동족집단상황 부분에는 청안(淸安) 한씨 집성촌으로 기재되어 있었으나, 이는 청주 한씨의 오기로 보인다. [20] 영화배우 한태일이 이 마을 출신이다. [21] 한철용 전 8사단장이 이 마을 출신이다. [22] 독립유공자 한철수가 이 마을 출신이다. [23] 독립유공자 한창은이 이 마을 출신이다. [24] 독립유공자 한진술이 이 마을 출신이다. [25] 독립유공자 한흥이 이 마을 출신이다. [26] 국가유공자 한봉익 출신지. [27] 청주 한씨에서 분적한 한양(漢陽) 한씨의 집성촌이다. [28] 시인 한하운이 이 마을 출신이다. [29] 북한의 정치인이자 소설가인 한설야가 이 마을 출신이다. [30] 독립유공자 한위건이 이 마을 출신이다. [31] 참고문헌인 『한국근대민속·인류학자료대계 8 - 조선의 성씨』동족집단상황 부분에는 충주 한씨 집성촌으로 기재되어 있었으나, 청주 한씨의 오기로 보인다. [32] 아시아 여성 최초. [33] 개명 전 이름은 한동민(韓東旻).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