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히로시마현의 시에 대한 내용은 구레시 문서
, 이름이 비슷한 경기도 김포시의 동에 대한 내용은
구래동
문서
참고하십시오.{{{#!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ffcd00> | }}} | |||||||||||
{{{#!wiki style="color: #000;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자치시 | ||||||||||||
목포시 |
여수시 |
[[전라남도청|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FFCD00 21%, #dc6b31 21%, #dc6b31); font-size: 1em" ]]
순천시
|
나주시 |
광양시 |
|||||||||
자치군 | |||||||||||||
담양군 |
곡성군 |
구례군 |
고흥군 |
보성군 |
|||||||||
화순군 |
장흥군 |
강진군 |
해남군 |
영암군 |
|||||||||
[[전라남도청|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FFCD00 21%, #018755 21%, #018755); font-size: 1em" ]]
무안군
|
함평군 |
영광군 |
장성군 |
완도군 |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
진도군 |
신안군 |
}}}}}}}}}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0a50a1><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0a50a1>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65af30> 읍 |
군청
구례읍
|
|||||
면 | 간전면 | 광의면 | 마산면 | 문척면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산동면 | 용방면 | 토지면 | }}} |
전라남도의
자치군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bgcolor=#fff,#1c1d1f> |
구례군
求禮郡 Gurye County |
}}} | |||
<colbgcolor=#0a50a1><colcolor=#fff> 군청 소재지 | 구례읍 봉성로 1 (봉남리) | |||||
광역자치단체 | 전라남도 | |||||
하위 행정구역 | 1 읍 7 면 | |||||
면적 | 443.24㎢ | |||||
인구 | 24,060명[1] | |||||
인구밀도 | 54.28명/㎢[2] | |||||
군수 |
|
김순호 (재선) | ||||
군의회 |
|
4석[3] | ||||
|
3석[4] | |||||
도의원 |
|
1석[5] | ||||
국회의원 |
|
권향엽 (
순천·광양·곡성·구례 을 / 초선)
|
||||
상징 | <colbgcolor=#0a50a1><colcolor=#fff> 군화 | 철쭉 | ||||
군목 | 산수유 | |||||
군조 | 산비둘기 | |||||
지역번호 | 061 | |||||
홈페이지 | www.gurye.go.kr | |||||
SNS | | | | | | |
|
슬로건 |
|
마스코트 산유, 수유, 반이, 달이 |
[clearfix]
1. 개요
|
구례군청 전라남도 구례군 구례읍 봉성로 1 |
2. 역사
백제 시절에는 구차례현(仇次禮縣)이라고 불렸다. 그러다가 757년( 신라 경덕왕 16년) 때 전국 지명 한화 정책에 따라 지금까지 사용하는 이름인 구례현으로 개칭되어 오늘날에 이르렀다.1895년 23부제가 시행되었을 때 남원부 구례군으로 개편했을 정도로 남원과 가깝다.
1년 뒤인 1896년에 전국을 13개의 도로 나눌 때 전라북도 구례군으로 개편했다. 1906년 남원군에서 고달면 등을 편입하였다. 1914년 전라북도에서 전라남도로 이관되었고 고달면이 곡성군에 편입되었다. 1946년 간문면을 간전면과 문척면으로 분리하였다.
이곳도 순천시나 벌교읍처럼 특이한 사례가 하나 있다. 그 사례 중에 하나가 세무서는 순천세무서 관할인데 고용지원은 광주고용센터 관할이다.
3. 지리
지리산으로 끝. 지리산의 서남쪽에 해당되며 그 남쪽을 섬진강이 관통하여 광양만으로 흘러간다. 섬진강과 그 지류인 서시천 유역에 형성된 평지는 분지지형으로 생각보다 그 면적이 커서 전남 동부권의 교통 중심지인 순천시 시가지보다도 면적이 넓다. 이러한 평지는 한국에서는 보기 드문 지형인 선상지가 발달한 이유가 크다. 한국지리의 필수 개념 중 하나.보통 이웃한 곡성과 많이 묶이지만, 생활권 면에서는 다소 이질적이다. 곡성은 전반적으로 광주광역시 생활권에 속하지만, 구례는 사실상 예전부터 전남 동부권으로 분류되며 순천과의 교류가 더 큰 편이었다.[6] 순천시 일부 지역은 소생활권이 구례군에 해당할 정도. 그리고 경상남도와의 경계에 있기 때문에 경계지역의 특성도 일부 가지고 있다.
4. 인구
구례군 인구 추이 (1966년~현재) |
1966년 78,337명
|
1970년 73,758명
|
1975년 68,703명
|
1980년 57,967명
|
1985년 49,507명
|
1990년 41,398명
|
1995년 36,432명
|
2000년 33,588명
|
2005년 29,577명
|
2010년 27,375명
|
2015년 27,308명
|
2020년 25,719명
|
2024년 10월 24,060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8만 명 |
읍면별 인구 통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구례읍 10,206명
|
산동면 2,835명
|
|
토지면 2,439명
|
|
마산면 2,393명
|
|
광의면 2,161명
|
|
간전면 1,420명
|
|
용방면 1,324명
|
|
문척면 1,282명
|
|
2024년 10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그래프 최대 값은 1만 명 |
전라남도에서 가장 인구가 적은 군이다. 하지만 체류 인구는 약 18배를 넘는 44만여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국 최고 수준이다.
연간 이 지역을 찾는 관광객 수는 2019년 기준 300만명 수준에서 2023년 628만명으로 급증했다. 예컨대 1분기에는 지난 3월 열린 산수유 꽃 축제 등에 관광객이 몰려 체류 인구가 늘었다.
구례에 이어 등록 인구 대비 체류 인구가 많은 지역은 순서대로 양양군, 하동군, 가평군, 옹진군 등이 있다.
===# 읍면별 인구 #===
구례읍 인구 추이 (1966년~현재) |
1963년 1월 1일 구례군 구례면 → 구례읍 승격 |
1966년 20,419명
|
1970년 20,137명
|
1975년 19,948명
|
1980년 18,850명
|
1985년 17,270명
|
1990년 16,469명
|
1995년 14,059명
|
2000년 13,815명
|
2005년 12,368명
|
2010년 11,614명
|
2015년 11,720명
|
2020년 10,845명
|
2024년 10월 10,206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25만 명
|
문척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
1966년 4,525명
|
1970년 4,071명
|
1975년 3,870명
|
1980년 3,131명
|
1985년 3,168명
|
1990년 1,906명
|
1995년 1,809명
|
2000년 1,578명
|
2005년 1,467명
|
2010년 1,330명
|
2015년 1,251명
|
2020년 1,305명
|
2024년 10월 1,282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4,500명
|
간전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
1966년 6,569명
|
1970년 6,240명
|
1975년 5,531명
|
1980년 4,252명
|
1985년 3,457명
|
1990년 2,754명
|
1995년 2,411명
|
2000년 2,145명
|
2005년 1,866명
|
2010년 1,659명
|
2015년 1,556명
|
2020년 1,546명
|
2024년 10월 1,420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7천 명
|
토지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
1966년 9,325명
|
1970년 8,731명
|
1975년 7,872명
|
1980년 6,106명
|
1985년 5,066명
|
1990년 3,990명
|
1995년 3,625명
|
2000년 3,114명
|
2005년 2,769명
|
2010년 2,555명
|
2015년 2,713명
|
2020년 2,561명
|
2024년 10월 2,439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만 명
|
마산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
1966년 7,838명
|
1970년 7,218명
|
1975년 6,797명
|
1980년 5,776명
|
1985년 4,836명
|
1990년 4,094명
|
1995년 3,792명
|
2000년 3,470명
|
2005년 2,984명
|
2010년 2,893명
|
2015년 2,859명
|
2020년 2,702명
|
2024년 10월 2,393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8천 명
|
광의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
1966년 11,124명
|
1970년 10,189명
|
1975년 9,117명
|
1980년 7,241명
|
1985년 5,841명
|
1990년 4,286명
|
1995년 3,913명
|
2000년 3,336명
|
2005년 2,844명
|
2010년 2,554명
|
2015년 2,473명
|
2020년 2,286명
|
2024년 10월 2,161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25만 명
|
용방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
1966년 6,115명
|
1970년 5,611명
|
1975년 5,143명
|
1980년 4,225명
|
1985년 3,504명
|
1990년 2,927명
|
1995년 2,327명
|
2000년 2,024명
|
2005년 1,693명
|
2010년 1,561명
|
2015년 1,582명
|
2020년 1,487명
|
2024년 10월 1,324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6천 명
|
산동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
1966년 12,417명
|
1970년 11,561명
|
1975년 10,418명
|
1980년 8,386명
|
1985년 6,365명
|
1990년 4,972명
|
1995년 4,496명
|
2000년 4,106명
|
2005년 3,586명
|
2010년 3,209명
|
2015년 3,154명
|
2020년 2,987명
|
2024년 10월 2,835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25만 명
|
5. 교통
자세한 내용은 구례군/교통 문서 참고하십시오.6. 경제
전형적인 농업지역이며, 지리산을 끼고 있어 임산물이 풍부한 편이다. 지리산 관광객 및 등반객들을 대상으로 한 관광업은 생각보다 발달하지 못한 상황인데, 이는 연계 교통수단이 빈약한 측면도 있다.[7]농업·임업이 주산업을 이루며, 공공 서비스를 비롯한 3차산업의 비중이 차츰 커지고 있다. 지역내 총생산(GRDP)은 2018년을 기준하여 5536억 원으로 전남 전체 GRDP의 0.7%에 그쳐 도내 22개 시·군 가운데 비중이 가장 낮다. 경제활동별 부가가치의 비중은 공공행정·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업(1380억 원)이 25.9%로 가장 크고, 이밖에 농림어업(14.3%), 건설업(8.4%), 사업서비스업(7.9%), 교육서비스업(6.8%), 보건업·사회복지 서비스업(6.7%), 제조업(4.9%), 도소매업(4.7%) 등의 순이다.
2018년을 기준하여 사업체 수는 2332개로 전남 전체 사업체의 1.5%에 그쳐 22개 시·군 가운데 곡성군 다음으로 비중이 작다. 사업체별로는 관광객을 주고객으로 하는 숙박·음식점업체(693개)와 도소매업체(597개)가 55%를 웃돌고, 이밖에 협회·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체(10.8%), 제조업체(8.0%), 운수·창고업체(4.9%), 건설업체(4.1%) 등의 순이다. 전체 사업체의 60% 가량이 구례읍에 분포하고, 개인 사업체가 약 78%, 종사자 5인 미만의 영세업체가 87%를 웃돈다. 사업체 종사자는 8533명으로 전남 전체 종사자의 1.2%에 그쳐 22개 시·군 가운데 가장 적다. 업종별로는 숙박·음식점업 종사자(1375명)가 16.1%로 가장 많고, 이밖에 보건업·사회복지 서비스업(14.6%), 도소매업(14.3%), 공공행정·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업(9.5%), 제조업(8.6%) 종사자 등의 순이다. 또한 섬진강을 중심으로 한 내수면어업도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6.1. 농업
산지가 많아 경지율이 12%대로 낮은 편이다. 2018년을 기준하여 농가 수와 농가 인구는 4002가구 8957명으로 도내 전체 농가 인구의 2.9%를 차지하여 22개 시·군 가운데 19번째에 해당하지만, 농가 인구 비율은 약 33%에 달하여 도내에서 6번째로 높다. 경지면적은 5410ha로 군 전체 면적의 12.2%, 전남 전체 경지면적의 1.9%에 그쳐 목포시·광양시 다음으로 비중이 낮다. 논밭의 비율은 논(2992ha)이 55%를 웃돌고, 가구당 경지면적은 135a로 22개 시·군 가운데 18번째에 해당한다. 산동면의 둔사저수지(둔사제)와 광의면의 천은저수지를 비롯하여 관내 곳곳에 50여 개소의 저수지가 조성되어 농업용수를 공급한다.2018년 식량작물 생산량은 1만 2023t으로 미곡(1만 480t)이 87%를 웃돌고, 밀을 위주로 하는 맥류가 약 9%를 차지한다. 채소류는 과채류의 오이, 엽채류의 배추, 조미채소류의 양파·파·마늘 등을 주로 재배하며, 과실류는 감·매실·배 생산량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우렁이를 넣어 친환경 농법으로 재배한 쌀과 농약을 사용하지 않은 우리밀을 비롯하여 오이·감·매실·배 등이 농특산물로 꼽히며, 구례 지역에서 생산된 농특산물은 '산수려'라는 공동 브랜드로 출시된다. 2018년 농업을 포함한 농림어업의 부가가치(765억 원)는 전남 농림어업 총부가가치의 1.5%에 그쳐 22개 시·군 가운데 비중이 가장 작다.
6.2. 임업
산지가 많아 임산물이 풍부하다. 2015년을 기준하여 산림면적은 3만 4819ha로 군 전체 면적의 78.6%를 차지하여 도내에서 산림률이 가장 높고, 도내 전체 산림면적의 약 5%를 차지하여 22개 시·군 가운데 8번째로 비중이 크다. 임상(林相)별로는 나무들이 자라고 있는 입목지가 86.3%(3만 48ha)를 차지한다. 주요 임산물은 산수유를 비롯하여 고로쇠·밤·떫은감·고사리·마 등이다. 특히 산수유는 전국 최대 생산지로서 2008년 지리적표시 임산물(구례 산수유)로 등록되었으며, 2018년 전국 생산량의 약 63%(18만 9043㎏)를 생산하였다. 또한 2018년 고로쇠 생산량(60만 5775ℓ)은 국내 생산량의 10.1%를 차지하여 전국에서 광양시 다음으로 많고, 밤(130만 5882㎏)은 도내 생산량의 약 24%를 차지하여 광양시·순천시 다음으로 많다. 2018년 단기소득 임산물 생산액(215억 원)은 22개 시·군 가운데 8번째로 많다.6.3. 축산업
2018년을 기준하여 주요 축종인 한육우는 249가구(농장)에서 8280마리(가구당 33마리)를 사육하고, 젖소는 4가구 320마리(가구당 80마리), 돼지는 11가구 1만 9250마리(가구당 1750마리), 닭은 275가구 38만 3159마리(가구당 1393마리)를 각각 사육한다. 지역별로 한육우는 구례읍·광의면·간전면·토지면, 젖소는 광의면·용방면, 돼지는 간전면, 닭은 마산면·구례읍·용방면·문척면의 사육 비중이 높다.6.4. 제조업
산수유주(酒)를 비롯하여 밀가루·녹차·한과·장류 등 지역에서 생산된 농산물을 재료로 만드는 가공식품 제조가 주류를 이룬다. 2018년을 기준하여 제조업체 수는 187개로 전남 전체 제조업체의 1.3%, 제조업 종사자는 736명으로 전남 전체 제조업 종사자의 0.6%에 그쳐 22개 시·군 가운데 비중이 가장 낮다. 업종별로는 식료품 제조업체(113개)가 60%를 웃돌고, 이밖에 산업용 기계·장비 수리업체(8.6%)와 비금속 광물제품(6.4%) 제조업체 등의 순이다. 제조업체의 60% 이상이 구례읍(44%)과 산동면(19%)에 분포한다. 농공단지는 1992년 간전면 간문리에 간전농공단지가 준공되었고, 이밖에 용방면 죽정리에 구례자연드림파크1·2단지가 조성되어 있다. 2018년 제조업의 부가가치(263억 원)는 전남 제조업 총부가가치의 0.1%에 그쳐 22개 시·군 가운데 비중이 가장 낮다.6.5. 상권
조선시대 구례현에 성내장(城內場)과 연곡장(imagefont谷場)이 5일장으로 열려 지역 상거래의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일제강점기에 성내장의 전통을 이은 구례읍내장이 매달 끝자리가 3일과 8일에 섰고, 이밖에 광의면에 연파장(煙波場, 2일·7일), 외산면(지금의 산동면)에 원촌장(院村場, 1일·6일) 등이 섰다. 오늘날 전통시장은 1976년에 개설된 구례읍의 구례상설시장, 2014년 문화관광형 시장으로 개설된 산동면의 지리산나들이장터가 상설시장으로 운영되고, 구례읍에서 옛 전통을 이은 구례5일장이 정기적으로 열린다. 2018년 도소매업의 부가가치(250억 원)는 전남 도소매업 총부가가치의 1%에 그쳐 신안군·곡성군 다음으로 비중이 낮다.6.6. 금융
구례군에 위치한 금융기관 | |||
제1금융권 [괄호] | |||
국가기관 | |||
구례우체국 (8) | |||
특수은행 | |||
농협은행(중앙회) (2) | |||
제2금융권(상호금융) [괄호] | |||
농업협동조합 | |||
구례농협 (7) | 산동농협 (1) | ||
새마을금고 | |||
구례새마을금고 (2) | 봉성새마을금고 (4) |
7. 관광
전통 문화재에 있어서는 중요한 곳으로, 국내 사찰 중 가장 웅장한 규모의 건축물 중 1곳인 각황전과 가장 큰 석등을 가지고 있는 화엄사가 구례에 있다.[10] 또한 고택 쌍산재와 양반 가옥의 한 전형으로 평가받는 운조루가 있다. 운조루에 가면 1층 높이의 2층 한옥을 볼 수 있다. 다만 운조루는 요즘 관리를 안하는 모양. 이 외에도 소소한 절들과 볼거리가 있다. 또한 지리산 노고단을 등산하려는 사람들도 구례를 많이 찾는다. 노고단은 주로 성삼재를 통해서 자주 찾지만 성삼재로 향하는 교통 수단은 빈약한 편이다. 오산 정상의 사성암도 유명한데, 절벽에 딱 맞게 지어진 법당과 빼어난 풍경이 어우러져 있다.2013년 생활협동조합인 아이쿱 자연드림의 공장이 생기면서 이 곳을 견학하기 위한 사람들도 늘어났다. 이 아이쿱 자연드림 공장은 갖가지 친환경 먹거리를 생산하는 시설인데 일반 기업의 공장과 달리 전 생산 과정의 견학이 가능하여 안전한 먹거리를 선호하는 도시 지역 사람들의 발길이 계속 이어질 뿐더러 이익을 지역민에게 환원한다는 모토로 구례 유일의 멀티플렉스 극장 등[11] 문화시설도 지역민에게 제공하였기 때문에 문화시설과는 거리가 멀었던 구례군민들에게 단순한 공장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식사와 반주 그리고 문화생활까지 반경 1키로미터 안에서 모두 해결이 가능하니 평소에 영화를 즐겨보지 않던 5-60대 어르신들이 계모임 장소를 자연드림으로 정하는 횟수가 늘어나고 있는 이유이기도 하다.[12]
2015년부터 아이쿱 자연드림 공장의 자연드림파크에서 '견우직녀 락페스티벌'이 열리고 있다. 입장료는 3만원이며 1인 1매에 한해 구례군민은 50% 할인해준다.
2015년엔 워킹애프터유, 몽키비츠, 노브레인, 로맨틱펀치, 데이브레이크, 국카스텐, 장기하와 얼굴들 등이 참여했다. 2016년 행사에는 김창완 밴드, 장미여관, YB, 크라잉넛, 레이지본, 트랜스픽션, 스토리셀러, 여우별밴드 등이 참여했으며 약 7천여명의 관객이 다녀갔다고 한다.
2014년부터 아이언맨 70.3 구례 코리아가 열리고 있다. 수영 1.9km 사이클 90.1km 마라톤 21.1km로 이루어진 철인 3종경기로 세계철인3종경기회사인 WTC에서 승인한 국제대회다. 특히 2015년 대회는 전세계에서 열렸던 아이언맨 대회(91개)의 평균 만족도보다 높은 89%의 만족도를 기록, 아시아-태평양지역 21개 대회 중에서 시드니와 함께 공동2위에 오르는 등 호평을 받고 있다. 2016년 대회에는 전설적인 철인3종경기 선수 줄리 모스가 참여한다고 한다.
7.1. 특산품
이 지역에서 나는 밀이 베이킹 분야에서 꽤나 유명한 편이며[13], 문척면 섬진강변을 따라 포도가 생산된다. 구례 아이들은 대부분 특산물을 오이라고 대답한다. 구례군청 홈페이지에는 산수유, 은어 등등 각종 특산물이 나열되어 있다.지리적 표시제/대한민국에는 구례 산수유가 등록되어 있다.
- 쑥부쟁이 : 들녘에 자생하는 들국화의 일종으로 어린잎을 나물로 이용하며 체중감소효과가 탁월하여 다이어트식품으로 각광받음.
- 우리밀 : 1990년대 초 사라져가는 우리밀을 되살리기 위해 국내 최초 우리밀 제분공장을 설립, 자연 그대로의 질 좋은 우리밀가루를 생산함.
- 산수유 : 국가농업유산 제3호로 지정된 구례산수유는 전국 생산량의 67%를 차지하며 건피, 환, 엑기스, 차, 술 등 다양한 가공상품을 개발하여 판매하고 있음.
- 취청오이 : 전국적으로 최고의 맛(아삭한 식감)과 기술을 보유한 명실상부한 대한민국 최고의 시설오이임.
- 고로쇠 약수 : 담백한 맛과 그윽한 향취로 아무리 마셔도 배탈이 나지 않으며, 인간의 건강유지에 필수 불가결한 영양소인 미네랄 성분과 에너지 공급원인 수액에는 SO4, K, Ca 등과 자당이 다량 함유되어 있음.
- 밤 : 구례는 77%가 산림지대로서 밤나무 최고 재배적지로 지리산 자락과 백운산 일대 대부분 지역에서 생산되며 9월에서 11월사이에 수확함. 밤 100g중에는 탄수화물이 34.5g, 단백질이 3.5g, 기타지방, 칼슘, 비타민(A, B, C)등도 듬뿍 들어있어 인체에 좋으며, 특히 밤에는 비타민 C가 많이 함유되어 있어 생밤을 술안주로 이용할 경우 비타민C가 알콜의 산화를 도와주는 것으로 밝혀졌음
- 송이버섯 : 맑고 깨끗한 지리산 자락의 소나무림에서 채취되는 송이버섯은 다른 지역에 비해 향기가 높고 육질이 두꺼우며 색깔이 선명하고 탄력이 좋으며 여러가지 한방적 효능을 지니고 있음.
8. 교육
전라남도 구례군의 초등학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간문초등학교 | 광의초등학교 | 구례북초등학교 | 구례중앙초등학교 |
문척초등학교 | 용방초등학교 | 원촌초등학교 | 중동초등학교 | |
청천초등학교 | 토지초등학교 | 토지초등학교연곡분교장 | }}}}}}}}}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
학교 틀 둘러보기 |
전라남도 구례군의 중학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남자중학교 , 여자중학교 , 이외 남녀공학
|
||||
구례동중학교 | 구례북중학교 | 구례산동중학교 | 구례여자중학교 | 구례중학교 |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
학교 틀 둘러보기 |
전라남도 구례군의 고등학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계고 |
||||
구례고등학교 | ◈ 전남자연과학고등학교 | }}}}}}}}}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각종학교 | |||||
학교 틀 둘러보기 |
구례읍에 구례중앙초등학교, 구례북초등학교, 면 지역에는 기본적으로 1개교 이상 있는 편이다. 과거에는 곳곳에 초등학교가 여러 군데 있었지만, 상당수 통폐합되면서 현 상황까지 이르렀다. 그나마 구례읍의 초등학교 2곳이 학생 수가 그나마 많지만, 상당수 학교들이 학생 수가 적어 통폐합 대상에서 버티고 있는 중이다.
중학교는 구례읍에는 구례중학교(남중)과 구례여자중학교, 산동에 구례산동중학교, 토지에 구례동중학교, 용방에 구례북중학교가 있는데, 초등학교와 마찬가지로 읍에 있는 학교들을 제외하면 전부 50명 이하의 소규모 학교이다. 그렇다고 읍에 있는 학교들도 학생 수가 많은 편은 아니다.
고등학교는 구례고등학교(일반계고)와 전남자연과학고등학교(특성화고) 두 개가 있다.
9. 스포츠
자세한 내용은 구례군청반달곰씨름단 문서 참고하십시오.여자 씨름의 발상지로 2011년 9월 1일에 세계 최초로 여자 씨름단을 창단했다. 명칭은 구례군의 상징적인 동물 반달곰을 넣어 구례군 반달곰 씨름단이라 지었다. 창단 이후 각종 대회를 석권하며 여자 씨름의 최고 명문으로 자리잡았다.
10. 정치
자세한 내용은 구례군/정치 문서 참고하십시오.11. 군사
예비군훈련장이 읍내 근처 섬진강변에 있다. 과거에는 노고단 근처에 군부대 훈련장이 있었으나 2007년 철수하였다.제31보병사단 제95보병여단 제2대대(칠의대대) 가 구례군을 담당하고 있다.
12. 하위 행정구역
자세한 내용은 구례군/행정 문서 참고하십시오.13. 기타
순천시에서 구례군으로 편입되고 싶어하는 동네도 있는데, 순천시 황전면의 일부 마을은 원래 구례읍내가 생활권인데 순천시 소속으로 되어서 가지는 불편이 더욱 많아 2000년대부터 언론에 소개된 적이 있다. 2001년 기사 바로 구례구역 일대. 전라남도의 행정구역 개편이 언급될 때 순천시와의 통합 이야기가 마이너한 차원에서 나오고 있고, 행정구역 개편/호남 문서에서도 서술되어 있을 정도로 언급된 적이 있었다.현재 사용하고 있는 구례군 청사는 새 건물처럼 보이지만 사실 기존에 있던 건물을 리모델링한 것이다. # 참고.
14. 출신 인물
- 고기봉
- 고재희 - 바둑기사
- 구영배 - 사기꾼
- 신정윤 - 배우
- 김강자
- 김귀근
- 김송식
- 김수철(1969)
- 김순호 - 현 구례군수
- 김희중 - 전 인천광역시경찰청장, 행정안전부 경찰국장
- 박영현 - 야구 선수
- 박인환
- 박창순 - EBS 방송프로듀서
- 박천규
- 방인혁 - 대성마이맥 물리강사
- 백동규
- 서기동
- 소준열
- 송명훈 - 정치 유튜버
- 유승철 - 야구 선수
- 이미지
- 이시영
- 이정락
- 이정옥 - 한국의 가수
- 이창호(1963)
- 이현창
- 이희철 - 전 국립생태원장
- 장창익
- 전경태
- 현영민 - 축구 선수
-
황선자 - 일명 빵상아줌마.
1박 2일 시즌1에서 강호동이 빵상개그를 했는데, 마침 그 곳이 구례군이였다.
깨랑까랑. - 황의성
- 인호 - 그룹 IN2IT 멤버
[1]
2024년 10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2]
2024년 10월 기준.
[3]
구례군 가선거구 (구례읍, 문척면, 간전면): 유시문, 장길선
구례군 나선거구 (토지면, 마산면, 광의면, 용방면, 산동면): 김수철
구례군 비례대표: 문승옥 [4] 구례군 가선거구 (구례읍, 문척면, 간전면): 선상원
구례군 나선거구 (토지면, 마산면, 광의면, 용방면, 산동면): 양준식, 이창호 [5] 구례군 선거구: 이현창 (재선) [6] 다만 이 두 지역의 교류는 대중교통보다는 자가용 위주이다. 대중교통으로는 사실상 전라선 구례구역에 의존하고 있다. [7] 성삼재 - 노고단 - 반야봉의 경우, 성삼재는 대중교통이 1일 5회 밖에 안된다. [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 수를 뜻함. [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 수를 뜻함. [10] 화엄사에도 노고단으로 향하는 등산로가 있지만, 성삼재에 비해서 훨씬 더 험하다. 화엄사로 들어갈 때는 입장료를 받았으나,2023년 5월부터 입장료 징수가 폐지되었다. 한편, 화엄사는 18번 국도의 종점이기도 하다. [11] 상영관은 2개 뿐이지만 3D 상영관도 있으며, 가격도 저렴하고 영화 상영전 광고도 없어 남원시 등 인근 시 지역에서도 영화를 보러 이곳으로 오는 경우도 있다. [12] 다른 곳보다 급여도 높고 여러가지 편의시설도 제공하기 때문에 전남자연과학고등학교의 제과제빵학과 졸업생 상당 수도 타 지역으로 유출되지 않고 이 곳에 취업하였다. [13] 만화 식객에서도 구례의 밀에 대해 나온 적이 있다.
구례군 나선거구 (토지면, 마산면, 광의면, 용방면, 산동면): 김수철
구례군 비례대표: 문승옥 [4] 구례군 가선거구 (구례읍, 문척면, 간전면): 선상원
구례군 나선거구 (토지면, 마산면, 광의면, 용방면, 산동면): 양준식, 이창호 [5] 구례군 선거구: 이현창 (재선) [6] 다만 이 두 지역의 교류는 대중교통보다는 자가용 위주이다. 대중교통으로는 사실상 전라선 구례구역에 의존하고 있다. [7] 성삼재 - 노고단 - 반야봉의 경우, 성삼재는 대중교통이 1일 5회 밖에 안된다. [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 수를 뜻함. [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 수를 뜻함. [10] 화엄사에도 노고단으로 향하는 등산로가 있지만, 성삼재에 비해서 훨씬 더 험하다. 화엄사로 들어갈 때는 입장료를 받았으나,2023년 5월부터 입장료 징수가 폐지되었다. 한편, 화엄사는 18번 국도의 종점이기도 하다. [11] 상영관은 2개 뿐이지만 3D 상영관도 있으며, 가격도 저렴하고 영화 상영전 광고도 없어 남원시 등 인근 시 지역에서도 영화를 보러 이곳으로 오는 경우도 있다. [12] 다른 곳보다 급여도 높고 여러가지 편의시설도 제공하기 때문에 전남자연과학고등학교의 제과제빵학과 졸업생 상당 수도 타 지역으로 유출되지 않고 이 곳에 취업하였다. [13] 만화 식객에서도 구례의 밀에 대해 나온 적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