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22 15:32:37

양덕군

{{{#!wiki style="margin:-12px -0px" <tablebordercolor=#e40001>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도인민위
평성시
개천시 덕천시 순천시 안주시
녕원군 대동군 대흥군 맹산군 문덕군
북창군 성천군 숙천군 신양군 양덕군
은산군 증산군 청남군 평원군 회창군
지구
운곡지구
}}}}}}}}}

陽德郡 / Yangdŏk County
양덕군
陽德郡 / Yangdŏk County
국가 북한
광역시도 평안남도
시간대 UTC+9
1. 개요2. 역사3. 이북 5도 기준 행정구역4. 출신 인물

[clearfix]

1. 개요

평안남도에 있는 군으로 넓이는 1,395㎢(광복 직후) / 772㎢(현재). 현재 광복 직후 행정구역상 양덕군 지역의 인구는 9~10만 명 정도로 추측되며, 북한에서 쓰고 있는 행정구역을 기준으로는 인구가 6만 명 정도 되는 군이다. 군 남쪽으로는 산맥이 이어져서 황해도 곡산군과의 경계선을 이어주고 있다(이쪽의 평균 높이는 대략 900~1,000m 정도). 평라선( 평원선)이 지나가며 중심지는 양덕역이 있는 양덕읍. 군청 소재지는 양덕읍과 동양면을 4번이나 오가다가 1921년 현재의 양덕읍으로 확정, 양덕읍을 신읍(新邑), 동양면을 구읍(舊邑)이라고 부른다. 대탕지, 소탕지, 석탕지 등 온천이 많아 김정은이 외화벌이용 치적사업으로 양덕온천문화휴양지를 세웠다.

1952년 군면리 대폐합 당시 서북쪽의 5개 면을 잘라서 ' 신양군'을 신설했다. 참고로 이 신양이라는 지명의 유래는 새로운 양덕군이라는 뜻이다.[1] 하지만 정작 '신양군'의 소재지는 광복 당시 성천군 지역(대구면)에 있다.[2]

여담으로 이 지역은 함경남도 지방과도 인접해 있어 동북 방언이 많이 배인 서북 방언을 사용한다고 한다.

북한 제1의 간선인 평라선이 지나고[3] 현재 조선인민군 측이 보유한 전략 미사일 무기들이 다수 포진해있어, 전략적으로 중요시되고 있다.

2. 역사

고려 시대에 현재의 동양면 지역에 양암성(陽巖城), 양덕읍 지역에 수덕성(樹德城)을 쌓았고 각각 양암진과 수덕진을 설치했다. 조선 초인 1396년 두 고을을 합쳐 양덕현이 되었고 1895년 양덕군이 되었다.1914년 부군면 통폐합 당시 대구면을 성천군으로 넘겨주었다.[4] 군청 소재지는 양덕읍과 동양면을 4번이나 오가다가 1921년 현재의 양덕읍으로 확정되었다.

광복 직후 북조선인민위원회가 전국의 모든 읍을 일괄적으로 면으로 강등하면서 양덕읍이 양덕면으로 강등되었다.

남북분단으로 북한 치하에 넘어갔고, 1952년 북한이 행정구역 개편을 하면서 양덕군의 서북부 지역을 잘라 신양군을 신설해 면적이 축소되었다.

2019년 12월 7일 김정은의 치적사업인 원산•양덕관광지구의 일부인 양덕온천문화휴양지가 개장하였다. 기존의 온천장과 부대시설을 대대적으로 재건축하여 온천장과 휴양소, 스키장 등의 복합관광단지로 조성되었다.

2024년 기준 원산, 남포, 함흥 등의 큰 도시보다 더 야간 조명이 밝다고 한다. # 참고로 이 사진에서 삼지연 같은 북쪽의 도시는 포함되지 않았다.

3. 이북 5도 기준 행정구역

{{{#!wiki style="margin:-12px -0px" <tablebordercolor=#2d914b>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or: #181818"
파일:평안남도 평양시 휘장.svg
평양시
파일:진남포시 상징.png
진남포시
파일:평안남도 대동군 휘장.svg
대동군
파일:순천군 상징.png
순천군
파일:맹산군 상징.png
맹산군
파일:양덕군 상징.png
양덕군
파일:덕천군 상징.png
덕천군
파일:성천군 상징.png
성천군
강동군 파일:중화군 상징.png
중화군
파일:용강군 상징.png
용강군
영원군
파일:강서군 상징.png
강서군
파일:평원군 상징.png
평원군
파일:안주군 상징.png
안주군
파일:개천군 상징.png
개천군
명목상 도청소재지 : 평양시 }}}}}}}}}

파일:양덕군기.png

파일:양덕군.jpg

광복 당시 1읍 6면. 이후 7면.
  • 양덕읍(陽德邑)
    • 관할 리 : 용계(龍溪), 봉계(鳳溪), 세동(細洞), 수덕(樹德), 용흥(龍興), 운니(雲泥), 인평(仁平), 지수(智水), 창(倉), 청송(靑松), 태평(太平), 풍전(豊田)
    • 군청 및 읍소재지는 용계리이며, 면적 322.2㎢로 이북 5도 행정구역상 전국에서 두번째로 넓은 읍이다.[5] 원래 구룡면(九龍面)이었으나 1929년 낙천면(洛川面)을 흡수하면서 군청소재지가 되었고 1941년 읍으로 승격되었다. 이리하여 '신읍(新邑)'이라고 한다. 양덕온천이 있다.
  • 대륜면(大倫面)
    • 관할 리 : 사기(士基), 공진(孔眞), 괘송(掛松), 구룡(九龍), 수주(水注), 인흥(仁興), 통동(通洞)
    • 아호비령을 통해 함경남도 문천군와 통하는 지역이다.
  • 동양면(東陽面)
    • 관할 리 : 하석(下石), 상석(上石), 성북(城北), 수암(水巖), 신흥(新興), 용산(龍山), 지경(地境), 흘평(屹坪)
    • 원래 군내면(郡內面)이었다가 1917년 양덕면으로 개칭되고, 1921년 군청이 구룡면(양덕읍)으로 이전하면서 다시 동양면으로 개칭되었다. 이후 군청이 4차례나 바뀌다가 1929년에 구룡면(현 양덕읍)으로 정착하였다. 이리하여 '구읍(舊邑)'이라고 한다.
  • 쌍룡면(雙龍面)
    • 관할 리 : 평창(平倉), 관봉(冠峰), 반성(盤城), 북창(北倉), 용반(龍盤), 용봉(龍峰), 용전(龍田), 정옥(丁玉), 중(仲), 화락(化樂)
    • 1929년 상룡면(上龍面)과 하룡면(下龍面)이 합병되어 형성되었다. 북한 행정구역상 신양군 옛 소재지. 신양군 현 소재지는 이웃한 성천군 대구면에 해당된다.
  • 오강면(吳江面)
    • 관할 리 : 창(倉), 등암(鄧巖), 봉암(鳳巖), 신봉(新峰), 신흥(新興), 쌍룡(雙龍), 연봉(蓮峰), 용담(龍潭), 월명(月明)
  • 온천면(溫泉面)
    • 관할 리 : 온정(溫井), 거차(巨次), 상국(上菊), 상신(上信), 상청(上淸), 은우(隱牛), 일양(日陽), 진석(眞石), 창(倉), 평암(平巖), 하국(下菊), 하청(河淸)
    • 거차령을 통해 고원군과 이어진다. '온천'면이라는 이름답게 석탕온천이 있으며 이 자리에 김정은이 양덕온천문화휴양지를 세웠다.
  • 화촌면(化村面)
    • 관할 리 : 백석(白石), 문암(文巖), 문흥(文興), 쌍평(雙坪), 여의(如意), 용흥(龍興), 장성(長星), 창개(昌介), 평곡(平谷), 풍계(楓溪), 화암(花巖)

4. 출신 인물


[1] 남한 역시 전라남도 신안군의 경우, 1969년 무안군에서 분리되면서 '새로운 무안'이란 뜻으로 지은 이름이다. [2] 다만 대구면은 1914년 부군면 통폐합 이전까지는 양덕군에 속하긴 했다. [3] 평라선이 막히면 북한의 동서를 연결하는 철도는 평라선보다 훨씬 열악한 상태의 북부내륙선 청년이천선이 끝이다. [4] 대구면을 성천군에 넘겨준것 외에 면의 통폐합은 없었다. 부군면 통폐합의 영향을 가장 적게 받은 행정구역 중 하나. [5] 가장 넓은 읍은 면적 772㎢의 경성군 주을읍. 세번째는 면적 316㎢의 인제군 인제읍으로 남한에서 가장 넓은 읍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