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24 20:15:23

앨리샤 키스

앨리샤 오젤로 쿡에서 넘어옴
파일:앨리샤 키스 로고.svg

[ 음반 목록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 ||<width=25%> ||<width=25%> ||<width=25%> ||
'{{{-1 [[Songs In A Minor|{{{#526954 Songs In A Minor''}}}]]}}}
1집
'''
2001. 06. 05.
'{{{-1 [[The Diary Of Alicia Keys|{{{#9f7051 The Diary Of Alicia Keys''}}}]]}}}
2집
'''
2003. 12. 02.
'{{{-1 [[Unplugged(앨리샤 키스)|{{{#0c0805,#c46a64 Unplugged''}}}]]}}}
라이브 앨범
'''
2005. 10. 11.
'{{{-1 [[As I Am|{{{#859991 As I Am''}}}]]}}}
3집
'''
2007. 11. 13.
'{{{-1 [[The Element Of Freedom|{{{#686da4 The Element Of Freedom''}}}]]}}}
4집
'''
2009. 12. 05.
'{{{-1 [[Girl On Fire|{{{#161616,#cbcac8 Girl On Fire''}}}]]}}}
5집
'''
2012. 11. 26.
'{{{-1 [[HERE|{{{#0c0b0d,#878787 HERE''}}}]]}}}
6집
'''
2016. 11. 04.
'{{{-1 [[ALICIA|{{{#4f3f63 ALICIA''}}}]]}}}
7집
'''
2020. 09. 18.
파일:Keys.jpg
파일:Santa Baby.jpg
'{{{-1 KEYS''}}}
8집
'''
2021. 12. 10.
'{{{-1 {{{#b32334 Santa Baby''}}}}}}
9집
'''
2022. 11. 04.
앨리샤 키스 관련 둘러보기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앨리샤 키스의 주요 수상 및 선정 이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역대 그래미 시상식
파일:Grammy.svg
올해의 노래상
제43회
( 2001년)
제44회
( 2002년)
제45회
( 2003년)
"Beautiful Day"
U2
" Fallin'"
앨리샤 키스
" Don't Know Why"
노라 존스[1]

파일:Grammy.svg
그래미 어워드 최우수 신인상 수상자
'''[[틀:그래미 어워드 최우수 신인상 수상자(2000년~)|Grammy Awards for Best New Artist]]'''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5px"
<rowcolor=#b69858>2000 2001 2002 2003 2004
크리스티나 아길레라 셸비 린 앨리샤 키스 노라 존스 에반에센스
<rowcolor=#b69858>2005 2006 2007 2008 2009
마룬 5 존 레전드 캐리 언더우드 에이미 와인하우스 아델
<rowcolor=#b69858>2010 2011 2012 2013 2014
잭 브라운 밴드 에스페란자 스팔딩 본 이베어 맥클모어 & 라이언 루이스
<rowcolor=#b69858>2015 2016 2017 2018 2019
샘 스미스 메간 트레이너 챈스 더 래퍼 알레시아 카라 두아 리파
<rowcolor=#b69858> 2020 2021 2022 2023 2024
빌리 아일리시 메건 디 스탤리언 올리비아 로드리고 사마라 조이 빅토리아 모네
''''
''''
''
''
}}}}}}}}}

파일:Grammy.svg 그래미 어워드
16회 수상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 )

( )



}}}}}}

파일:A75A5D13-D37C-4A62-94E4-4B9BA96D570A.png 선정 가장 위대한 아티스트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6px"
※ 2010년 미국의 케이블 음악채널 VH1에서 음악평론가와 현직 뮤지션, 기타 음악산업 종사자 등 총 200명 이상에게 투표를 실시하여 '대중음악 역사상 가장 위대한 아티스트 Top 100' 순위를 정했다.
<rowcolor=#fff>1위 2위 3위 4위 5위
비틀즈 마이클 잭슨 레드 제플린 롤링 스톤스 밥 딜런
<rowcolor=#fff>6위 7위 8위 9위 10위
지미 헨드릭스 프린스 엘비스 프레슬리 제임스 브라운 스티비 원더
<rowcolor=#fff>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밥 말리 데이비드 보위 더 후 너바나 비치 보이스
<rowcolor=#fff>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마돈나 핑크 플로이드 U2 마빈 게이
<rowcolor=#fff>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브루스 스프링스틴 더 클래시 AC/DC 벨벳 언더그라운드 척 베리
<rowcolor=#fff>26위 27위 28위 29위 30위
닐 영 아레사 프랭클린 엘튼 존 라디오헤드 에어로스미스
<rowcolor=#fff>31위 32위 33위 34위 35위
존 레논 블랙 사바스 건즈 앤 로지스 티나 터너 조니 캐시
<rowcolor=#fff>36위 37위 38위 39위 40위
폴 매카트니 플리트우드 맥 슬라이 & 더 패밀리 스톤 킹크스 폴리스
<rowcolor=#fff>41위 42위 43위 44위 45위
밴 헤일런 메탈리카 레이 찰스 조니 미첼 알 그린
<rowcolor=#fff>46위 47위 48위 49위 50위
라몬즈 JAY-Z 레이지 어게인스트 더 머신 팔리아멘트-펑카델릭 샤데이
<rowcolor=#fff>51위 52위 53위 54위 55위
빌리 조엘 비욘세 리틀 리처드 퍼블릭 에너미 피터 가브리엘
<rowcolor=#fff>56위 57위 58위 59위 60위
키스 스투지스 칩 트릭 톰 페티 앤 더 하트브레이커스 휘트니 휴스턴
<rowcolor=#fff>61위 62위 63위 64위 65위
크림 제네시스 노토리어스 B.I.G. 토킹 헤즈 도어즈
<rowcolor=#fff>66위 67위 68위 69위 70위
저스틴 팀버레이크 콜드플레이 오티스 레딩 투팍 샤커 데프 레파드
<rowcolor=#fff>71위 72위 73위 74위 75위
R.E.M. 재니스 조플린 밴 모리슨 더 큐어 러시
<rowcolor=#fff>76위 77위 78위 79위 80위
Run-D.M.C. 레너드 스키너드 주다스 프리스트 에미넴 메리 제이 블라이즈
<rowcolor=#fff>81위 82위 83위 84위 85위
ABBA 스틸리 댄 어스 윈드 & 파이어 커티스 메이필드 더 밴드
<rowcolor=#fff>86위 87위 88위 89위 90위
N.W.A. 조지 마이클 비 지스 비스티 보이즈 엘비스 코스텔로
<rowcolor=#fff>91위 92위 93위 94위 95위
그린 데이 LL Cool J 펄 잼 머라이어 캐리 아웃캐스트
<rowcolor=#fff>96위 97위 98위 99위 100위
저니 프리텐더스 디페시 모드 홀 앤 오츠 앨리샤 키스
출처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999><bgcolor=#fff,#191919> 파일:180322_libraryofcongress_900px.jpg 파일:libraryofcongress_dark.png 미국 의회도서관 영구 등재 앨범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6px"
2000년대 등재 앨범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002년 등재
루이 암스트롱 < The Complete Hot Five and Hot Seven Recordings> (1920~1928)
프랭크 시나트라, <Songs for Young Lovers> (1954)
엘비스 프레슬리, Sun Records sessions (1954-1955)
마일스 데이비스, < Kind of Blue> (1959)
밥 딜런, < The Freewheelin' Bob Dylan> (1963)
2003년 등재
로버트 존슨, <The Complete Recordings> (1936-1937)
베니 굿맨, < The Famous 1938 Carnegie Hall Jazz Concert> (1938년 1월 16일)
글렌 굴드, < Goldberg Variations> (1955)
엘라 피츠제럴드, <Ella Fitzgerald Sings the Cole Porter Song Book> (1956)
델로니어스 몽크, <Brilliant Corners> (1956)
찰스 밍거스, <Mingus Ah Um> (1959)
주디 갈란드, < Judy at Carnegie Hall> (1961)
비틀즈, <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 (1967)
조니 캐시, < At Folsom Prison> (1968)
캐롤 킹, < Tapestry> (1971)
마빈 게이, < What's Going On> (1971)
브루스 스프링스틴, < Born to Run> (1975)
2004년 등재
존 콜트레인, < Giant Steps> (1959)
제임스 브라운, < Live At The Apollo> (1963)
비치 보이스, < Pet Sounds> (1966)
올맨 브라더스 밴드, < At Fillmore East> (1971)
존 윌리엄스, < Star Wars> (1977)
퍼블릭 에너미, < Fear of a Black Planet> (1990)
너바나, < Nevermind> (1991)
2005년 등재
데이브 브루벡 콰르텟, < Time Out> (1959)
비비 킹, < Live at the Regal> (1965)
지미 헨드릭스 익스피리언스, < Are You Experienced> (1967)
프랭크 자파 더 마더스 오브 인벤션, < We're Only in It for the Money> (1968)
웬디 카를로스 < Switched On Bach> (1968)
스티비 원더, < Songs in the Key of Life> (1976)
소닉 유스, < Daydream Nation> (1988)
2006년 등재
피트 시거, <We Shall Overcome> (1963)
벨벳 언더그라운드 니코, < The Velvet Underground & Nico> (1967)
밥 말리 앤 더 웨일러스, '''' (1973)
사라 본, <Live in Japan> (1973)
폴 사이먼, < Graceland> (1986)
2007년 등재
조니 미첼, <For The Roses> (1972)
허비 행콕, < Head Hunters> (1973)
마이클 잭슨, < Thriller> (1982)
2008년 등재
뮤지컬 <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 오리지널 브로드웨이 캐스트 앨범 (1957)
더 후, <The Who Sings My Generation> (1966)
2009년 등재
뮤지컬 < 집시> 오리지널 브로드웨이 캐스트 앨범 (1959)
빌 에반스 트리오, <The Complete Village Vanguard Recordings> (1961년 6월 25일)
더 밴드, < The Band> (1969)
패티 스미스, < Horses> (1975)
윌리 넬슨, <Red Headed Stranger> (1975)
}}}}}}}}} ||
2010년대 등재 앨범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010년 등재
헨리 맨시니, < The Music from Peter Gunn> (1959)
캡틴 비프하트 앤 히스 매직 밴드, < Trout Mask Replica> (1969)
로저 페인, < Songs of the Humpback Whale> (1970)
스틸리 댄, < Aja> (1977)
데 라 소울, < 3 Feet High and Rising> (1989)
2011년 등재
빈스 과랄디 트리오, 애니메이션 < A Charlie Brown Christmas> 사운드트랙 (1965)
러브, < Forever Changes> (1969)
프린스, < Purple Rain> (1984)
2012년 등재
사이먼 앤 가펑클, <Sounds of Silence> (1966)
오넷 콜먼, < The Shape of Jazz to Come> (1959)
핑크 플로이드, < The Dark Side of the Moon> (1973)
라몬즈, < Ramones> (1976)
비 지스 외, < Saturday Night Fever Soundtrack> (1977)
2013년 등재
아트 블래키, <A Night at Birdland> (1954)
린다 론스태드, <Heart Like a Wheel> (1974)
뮤지컬 < 스위니 토드> 오리지널 브로드웨이 캐스트 앨범 (1979)
U2, < The Joshua Tree> (1987)
2014년 등재
조안 바에즈, < Joan Baez> (1960)
도어즈, < The Doors> (1967)
슬라이 앤 더 패밀리 스톤, <Stand!> (1969)
라디오헤드, < OK Computer> (1997)
로린 힐, < The Miseducation of Lauryn Hill> (1998)
2015년 등재
존 콜트레인, < A Love Supreme> (1964)
산타나, '''' (1970)
조지 칼린, < Class Clown> (1972)
메탈리카, < Master of Puppets> (1986)
2016년 등재
소니 롤린스, < Saxophone Colossus> (1956)
마티 로빈스, <Gunfighter Ballads and Trail Songs> (1959)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 (1964)
데이비드 보위, < The Rise and Fall of Ziggy Stardust and the Spiders from Mars> (1972)
이글스, <Their Greatest Hits (1971–1975)> (1976)
토킹 헤즈, < Remain in Light> (1980)
N.W.A, < Straight Outta Compton> (1988)
2017년 등재
해리 벨라폰테, < Calypso> (1956)
웨스 몽고메리, < The Incredible Jazz Guitar of Wes Montgomery> (1960)
영화 < 사운드 오브 뮤직> 사운드트랙 (1965)
스티브 라이히, 리처드 맥스필드, 폴린 올리베로스, <New Sounds in Electronic Music> (1967)
플리트우드 맥, < Rumours> (1977)
Run-D.M.C., < Raising Hell> (1986)
2018년 등재
덱스터 고든, '''' (1962)
뮤지컬 < 헤어> 오리지널 브로드웨이 캐스트 앨범 (1968)
커티스 메이필드, < Super Fly> (1972)
신디 로퍼, < She's So Unusual> (1983)
< Schoolhouse Rock!: The Box Set> (1996)
JAY-Z, < The Blueprint> (2001)
2019년 등재
더스티 스프링필드, < Dusty in Memphis> (1969)
칩 트릭, <Cheap Trick at Budokan> (1978)
티나 터너, < Private Dancer> (1984)
셀레나, <Ven Conmigo> (1962)
닥터 드레, < The Chronic> (1992)
}}}}}}}}} ||
2020년대 등재 앨범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020년 등재
앨버트 킹, <Born Under a Bad Sign> (1967)
지미 클리프, < The Harder They Come> (1972)
팻 메시니, <Bright Size Life> (1976)
자넷 잭슨, < Janet Jackson's Rhythm Nation 1814> (1989)
Nas, < Illmatic> (1994)
2022년 등재
듀크 엘링턴, <Ellington at Newport> (1956)
보니 레잇, < Nick of Time> (1989)
어 트라이브 콜드 퀘스트, < The Low End Theory> (1991)
Wu-Tang Clan, < Enter the Wu-Tang (36 Chambers)> (1993)
부에나 비스타 소셜 클럽, < Buena Vista Social Club> (1997)
앨리샤 키스, < Songs In A Minor> (2001)
2023년 등재
Crosby, Stills, Nash & Young, <Déjà Vu> (1970)
더 폴리스, < Synchronicity> (1983)
마돈나, < Like a Virgin> (1984)
퀸 라티파, <All Hail the Queen> (1989)
}}}}}}}}} ||
}}}}}}}}} ||

{{{#!wiki style="margin: 0 -10px"
{{{#000,#fff {{{#!folding [ 1위 – 125위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1px"
※ 2019년 빌보드에서 빌보드 창간 125년 역사상 가장 성공한 아티스트를 공개했다. 얼마나 많은 싱글과 앨범을 차트에 높은 순위로 진입시키고 오래 유지했는가를 누적치로 계산하여 산정한 리스트이기 때문에 영향력이나 음악성과 같은 평론적인 요소들이 반영된 것은 아니며 순전히 상업적인 성공도가 기준이다.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비틀즈 롤링 스톤스 엘튼 존 머라이어 캐리 마돈나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마이클 잭슨 테일러 스위프트 스티비 원더 시카고
<rowcolor=#fff> 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휘트니 휴스턴 폴 매카트니 엘비스 프레슬리 자넷 잭슨 로드 스튜어트
<rowcolor=#fff> 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드레이크 프린스 리아나 빌리 조엘 가스 브룩스
<rowcolor=#fff> 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허브 앨퍼트 에미넴 어셔 브루스 스프링스틴 & E 스트리트 밴드 닐 다이아몬드
<rowcolor=#fff> 26위 27위 28위 29위 30위
슈프림즈 이글스 비 지스 비치 보이스 플리트우드 맥
<rowcolor=#fff> 31위 32위 33위 34위 35위
산타나 템테이션스 셀린 디옹 아레사 프랭클린 홀 앤 오츠
<rowcolor=#fff> 36위 37위 38위 39위 40위
아델 비욘세 에릭 클랩튼 라이오넬 리치 레드 제플린
<rowcolor=#fff> 41위 42위 43위 44위 45위
브루노 마스 존 덴버 마룬 5 올리비아 뉴튼 존 본 조비
<rowcolor=#fff> 46위 47위 48위 49위 50위
필 콜린스 다이애나 로스 밥 딜런 존 멜렌캠프 JAY-Z
<rowcolor=#fff> 51위 52위 53위 54위 55위
도나 서머 니켈백 보이즈 투 멘 카펜터즈 저스틴 비버
<rowcolor=#fff> 56위 57위 58위 59위 60위
레이디 가가 포리너 브리트니 스피어스 핑크 앨리샤 키스
<rowcolor=#fff> 61위 62위 63위 64위 65위
케이티 페리 마일리 사이러스 잭슨 파이브 어스 윈드 앤 파이어 마빈 게이
<rowcolor=#fff> 66위 67위 68위 69위 70위
U2 린다 론스태드 밴 헤일런 밥 시거 에어로스미스
<rowcolor=#fff> 71위 72위 73위 74위 75위
블랙 아이드 피스 넬리 캐롤 킹 저스틴 팀버레이크 몽키즈
<rowcolor=#fff> 76위 77위 78위 79위 80위
케니 로저스 하트 팀 맥그로 배리 매닐로 R. 켈리
<rowcolor=#fff> 81위 82위 83위 84위 85위
저니 사이먼 앤 가펑클 마이클 볼튼 에드 시런 켈리 클락슨
<rowcolor=#fff> 86위 87위 88위 89위 90위
핑크 플로이드 메리 제이 블라이즈 칸예 웨스트 쓰리 도그 나이트
<rowcolor=#fff> 91위 92위 93위 94위 95위
코모도스 폴라 압둘 브라이언 아담스 크리스 브라운 건즈 앤 로지스
<rowcolor=#fff> 96위 97위 98위 99위 100위
데프 레파드 휴이 루이스 앤 더 뉴스 린킨 파크 제임스 테일러 크리던스 클리어워터 리바이벌
<rowcolor=#fff> 101위 102위 103위 104위 105위
톰 페티 앤 더 하트브레이커스 폴 사이먼 백스트리트 보이즈 릴 웨인 캐리 언더우드
<rowcolor=#fff> 106위 107위 108위 109위 110위
앤디 윌리엄스 스틱스 조지 마이클 셰어 TLC
<rowcolor=#fff> 111위 112위 113위 114위 115위
샤니아 트웨인 두비 브라더스 포 시즌스 피터 폴 앤 메리 케니 체스니
<rowcolor=#fff> 116위 117위 118위 119위 120위
데스티니스 차일드 50 센트 레이 찰스 제네시스 더 폴리스
<rowcolor=#fff> 121위 122위 123위 124위 125위
래스컬 플래츠 루다크리스 글로리아 에스테판 조지 해리슨 앨런 잭슨
출처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1위 – 100위 ]
{{{#!wiki style="margin: -6px -1px -16px"
※ 2019년 빌보드가 발표한 빌보드 Hot 100 차트 역사상 가장 성공한 아티스트 순위다. 얼마나 많은 곡들을 차트에 높은 순위로 진입시키고 유지했는가를 기준으로 산정한 리스트이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싱글을 많이 낸 뮤지션들이 더 유리한 결과가 나올 가능성도 크다.
<rowcolor=#fff>1위 2위 3위 4위 5위
비틀즈 마돈나 엘튼 존 엘비스 프레슬리 머라이어 캐리
<rowcolor=#fff>6위 7위 8위 9위 10위
스티비 원더 자넷 잭슨 마이클 잭슨 휘트니 휴스턴 리아나
<rowcolor=#fff>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드레이크 롤링 스톤스 폴 매카트니 비 지스 어셔
<rowcolor=#fff>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시카고 슈프림즈 프린스 홀 앤 오츠 로드 스튜어트
<rowcolor=#fff>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테일러 스위프트 올리비아 뉴튼 존 아레사 프랭클린 마룬 5 마빈 게이
<rowcolor=#fff>26위 27위 28위 29위 30위
케이티 페리 필 콜린스 빌리 조엘 브루노 마스 다이애나 로스
<rowcolor=#fff>31위 32위 33위 34위 35위
포 시즌스 템테이션스 도나 서머 비치 보이스 라이오넬 리치
<rowcolor=#fff>36위 37위 38위 39위 40위
닐 다이아몬드 카펜터즈 저스틴 비버 잭슨 파이브 보이즈 투 멘
<rowcolor=#fff>41위 42위 43위 44위 45위
코니 프랜시스 브렌다 리 더 위켄드 비욘세 크리스 브라운
<rowcolor=#fff>46위 47위 48위 49위 50위
케니 로저스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브라이언 아담스 셰어 블랙 아이드 피스
<rowcolor=#fff>51위 52위 53위 54위 55위
조지 마이클 핑크 바비 빈튼 존 멜렌캠프 레이디 가가
<rowcolor=#fff>56위 57위 58위 59위 60위
쓰리 도그 나이트 휴이 루이스 앤 더 뉴스 글로리아 에스테판/마이애미 사운드 머신 본 조비 처비 체커
<rowcolor=#fff>61위 62위 63위 64위 65위
레이 찰스 포리너 쿨 & 더 갱 글래디스 나이트 앤 더 핍스 리키 넬슨
<rowcolor=#fff>66위 67위 68위 69위 70위
듀란 듀란 저스틴 팀버레이크 코모도스 이글스 TLC
<rowcolor=#fff>71위 72위 73위 74위 75위
폴 앵카 에미넴 배리 매닐로 디안 워윅 넬리
<rowcolor=#fff>76위 77위 78위 79위 80위
하트 포스트 말론 아리아나 그란데 에벌리 브라더스 칸예 웨스트
<rowcolor=#fff>81위 82위 83위 84위 85위
바비 다린 R. 켈리 제임스 브라운 폴라 압둘 켈리 클락슨
<rowcolor=#fff>86위 87위 88위 89위 90위
앨리샤 키스 에드 시런 린다 론스태드 리처드 막스 데스티니스 차일드
<rowcolor=#fff>91위 92위 93위 94위 95위
셀린 디옹 JAY-Z 미라클스 디온 플리트우드 맥
<rowcolor=#fff>96위 97위 98위 99위 100위
밥 시거/실버 불릿 밴드 닐 세다카 브루스 스프링스틴 & E 스트리트 밴드 포인터 시스터스 존 덴버
출처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1위 – 100위 ]
{{{#!wiki style="margin: -6px -1px -15px"
※ 2015년 빌보드가 발표한 빌보드 200 차트 역사상 가장 성공한 아티스트 순위다. 얼마나 많은 앨범들을 차트에 높은 순위로 진입시키고 유지했는가를 기준으로 산정한 리스트이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앨범을 많이 낸 뮤지션들이 더 유리한 결과가 나올 가능성도 크다.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비틀즈 롤링 스톤스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가스 브룩스 엘튼 존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머라이어 캐리 허브 앨퍼트 테일러 스위프트 시카고 마이클 잭슨
<rowcolor=#fff> 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레드 제플린 브루스 스프링스틴 & E 스트리트 밴드 로드 스튜어트 에미넴 휘트니 휴스턴
<rowcolor=#fff> 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빌리 조엘 마돈나 산타나 이글스 플리트우드 맥
<rowcolor=#fff> 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밥 딜런 스티비 원더 셀린 디옹 에릭 클랩튼 닐 다이아몬드
<rowcolor=#fff> 26위 27위 28위 29위 30위
존 덴버 핑크 플로이드 자넷 잭슨 프린스 캐롤 킹
<rowcolor=#fff> 31위 32위 33위 34위 35위
마일리 사이러스 니켈백 팀 맥그로 밴 헤일런 비치 보이스
<rowcolor=#fff> 36위 37위 38위 39위 40위
U2 아델 엘비스 프레슬리 브리트니 스피어스 어셔
<rowcolor=#fff> 41위 42위 43위 44위 45위
템테이션스 린킨 파크 JAY-Z 앨런 잭슨 본 조비
<rowcolor=#fff> 46위 47위 48위 49위 50위
건즈 앤 로지스 샤니아 트웨인 캐리 언더우드 몽키즈 에어로스미스
<rowcolor=#fff>51위 52위 53위 54위 55위
제임스 테일러 슈프림즈 앨리샤 키스 메탈리카 데프 레파드
<rowcolor=#fff>56위 57위 58위 59위 60위
폴 매카트니 린다 론스태드 저니 메리 제이 블라이즈 제쓰로 툴
<rowcolor=#fff>61위 62위 63위 64위 65위
래스컬 플래츠 포리너 존 멜렌캠프 사이먼 앤 가펑클 케니 체스니
<rowcolor=#fff>66위 67위 68위 69위 70위
키드 락 앤디 윌리엄스 조지 스트레이트 백스트리트 보이즈 마이클 볼튼
<rowcolor=#fff>71위 72위 73위 74위 75위
피터 폴 앤 메리 라이오넬 리치 아레사 프랭클린 요세프/캣 스티븐스 밥 시거
<rowcolor=#fff>76위 77위 78위 79위 80위
AC/DC 비욘세 펄 잼 토비 키스 더 후
<rowcolor=#fff>81위 82위 83위 84위 85위
폴 사이먼 무디 블루스 저스틴 비버 노라 존스 크리던스 클리어워터 리바이벌
<rowcolor=#fff>86위 87위 88위 89위 90위
넬리 두비 브라더스 핑크 조쉬 그로반 닐 영
<rowcolor=#fff>91위 92위 93위 94위 95위
프랭크 시나트라 그린 데이 더 칙스 어스 윈드 앤 파이어 하트
<rowcolor=#fff>96위 97위 98위 99위 100위
레이디 가가 R. 켈리 보이즈 투 멘 케니 지 비 지스
출처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1위 – 60위 ]
{{{#!wiki style="margin: -6px -1px -16px"
※ 2019년 빌보드에서 빌보드 창간 125년 역사상 가장 성공한 여성 아티스트를 공개했다. 얼마나 많은 싱글을 차트에 높은 순위로 진입시키고 오래 유지했는가를 누적치로 계산하여 산정한 리스트이기 때문에 영향력이나 음악성과 같은 평론적인 요소들이 반영된 것은 아니며 순전히 상업적인 성공도가 기준이다.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마돈나 머라이어 캐리 자넷 잭슨 휘트니 휴스턴 리아나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슈프림즈 올리비아 뉴튼 존 아레사 프랭클린 케이티 페리 테일러 스위프트
<rowcolor=#fff> 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다이애나 로스 도나 서머 카펜터즈 코니 프랜시스 비욘세
<rowcolor=#fff> 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브렌다 리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셰어 핑크 글로리아 에스테판
<rowcolor=#fff> 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글래디스 나이트 앤 더 핍스 레이디 가가 TLC 디안 워윅 하트
<rowcolor=#fff> 26위 27위 28위 29위 30위
폴라 압둘 앨리샤 키스 켈리 클락슨 린다 론스태드 데스티니스 차일드
<rowcolor=#fff> 31위 32위 33위 34위 35위
셀린 디옹 포인터 시스터스 캡틴 앤 테닐 브리트니 스피어스 토니 브랙스턴
<rowcolor=#fff> 36위 37위 38위 39위 40위
제니퍼 로페즈 크리스티나 아길레라 아델 모니카 헬렌 레디
<rowcolor=#fff> 41위 42위 43위 44위 45위
신디 로퍼 로버타 플랙 테일러 데인 니키 미나즈 메리 제이 블라이즈
<rowcolor=#fff> 46위 47위 48위 49위 50위
티나 터너 데비 깁슨 시나 이스턴 케샤 칼리 사이먼
<rowcolor=#fff> 51위 52위 53위 54위 55위
브랜디 마일리 사이러스 페툴라 클라크 퍼기 나탈리 콜
<rowcolor=#fff> 56위 57위 58위 59위 60위
알리야 베트 미들러 아샨티 앤 머레이 펫 베네타
출처 }}}}}}}}}

{{{#!wiki style="margin:0 -10px"
{{{#000,#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5px"
※ 2015년 빌보드 직원들이 차트 성적이나 판매량 기준이 아닌 영향력, 음악적 유산 등을 고려하여 Top 35를 선정했다.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마이클 잭슨 스티비 원더 스모키 로빈슨 레이 찰스 아레사 프랭클린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제임스 브라운 마빈 게이 프린스 휘트니 휴스턴 알 그린
<rowcolor=#fff> 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빌 위더스 라이오넬 리치 커티스 메이필드 루서 밴드로스 R. 켈리
<rowcolor=#fff> 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베이비페이스 자넷 잭슨 다이애나 로스 샤카 칸 메리 제이 블라이즈
<rowcolor=#fff> 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비욘세 패티 라벨 배리 화이트 아이작 헤이즈 도니 해서웨이
<rowcolor=#fff> 26위 27위 28위 29위 30위
아니타 베이커 앨리샤 키스 샘 쿡 티나 터너 에리카 바두
<rowcolor=#fff> 31위 32위 33위 34위 35위
어셔 디안젤로 맥스웰 질 스콧 에타 제임스
같이 보기: 가장 위대한 프론트맨 · 가장 위대한 록 가수 · 가장 위대한 알앤비 가수 · 가장 위대한 래퍼 }}}}}}}}}}}}

파일:images_essence.png 선정 가장 위대한 R&B 아티스트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6px"
※ 2011년 패션, 뷰티, 문화, 엔터테인먼트를 다루는 흑인 여성 중심의 월간 잡지 Essence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R&B 아티스트 Top 50' 순위를 정했다.
<rowcolor=#fff>1위 2위 3위 4위 5위
아레사 프랭클린 마이클 잭슨 스티비 원더 마빈 게이 프린스
<rowcolor=#fff>6위 7위 8위 9위 10위
휘트니 휴스턴 루서 밴드로스 커티스 메이필드 아이즐리 브라더스 메리 제이 블라이즈
<rowcolor=#fff>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다이애나 로스 머라이어 캐리 비욘세 제임스 브라운 샘 쿡
<rowcolor=#fff>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퀸시 존스 글래디스 나이트 샤카 칸 패티 라벨 R. 켈리
<rowcolor=#fff>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라이오넬 리치 맥스웰 로린 힐 갬블 앤 허프 레이 찰스
<rowcolor=#fff>26위 27위 28위 29위 30위
어셔 디안젤로 디안젤로 질 스콧 알리야
<rowcolor=#fff>31위 32위 33위 34위 35위
팀발랜드 애쉬포드 앤 심슨 자넷 잭슨 샤데이 프랭키 비벌리 앤 메이즈
<rowcolor=#fff>36위 37위 38위 39위 40위
앨리샤 키스 티나 마리 도니 해서웨이 뉴 에디션 에타 제임스
<rowcolor=#fff>41위 42위 43위 44위 45위
아니타 베이커 에리카 바두 테디 펜더그래스 TLC 리아나
<rowcolor=#fff>46위 47위 48위 49위 50위
어스 윈드 앤 파이어 토니 브랙스턴 보이즈 투 멘 배리 화이트 베이비페이스
출처 }}}}}}}}}

파일:빌보드 로고.svg 파일:빌보드 로고 흰색.svg
빌보드 연말 차트 1위 앨범 (2000~2019)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2000 2001 2002 2003 2004
파일:nostringsattached.jpg
파일:1_비틀즈.jpg
파일:EMTES.jpg
파일:50-cent-get-rich.jp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Usher_-_Confessions_album_cover.jpg
No Strings Attached 1 The Eminem Show Get Rich or Die Tryin' Confessions
엔싱크 비틀즈 에미넴 50 센트 어셔
<rowcolor=#fff>2005 2006 2007 2008 2009
파일:1200x630bb (1).jpg
파일:81BwhM4B-3L._SY355_.jpg
파일:Daughtryalbum.jp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Alicia_Keys_-_As_I_Am.png
파일:Fearless_standard_cover.png
The Massacre Some Hearts Daughtry As I Am Fearless
50 센트 캐리 언더우드 도트리 앨리샤 키스 테일러 스위프트
<rowcolor=#fff>2010 2011 2012 2013 2014
파일:5148yjsPEgL._SY355_.jpg
파일:external/fanart.tv/21-4dc8696962468.jpg
파일:external/fanart.tv/21-4dc8696962468.jpg
파일:The 2020 Experience.jpg
파일:frozen soundtrack.jpg
I Dreamed A Dream 21 The 20/20 Experience Frozen
수잔 보일 아델 저스틴 팀버레이크 사운드트랙
<rowcolor=#fff>2015 2016 2017 2018 2019
파일:1989_standard_cover.png
파일:external/digitalspyuk.cdnds.net/adele-25-cover.jpg
파일:KLDAMN.jpg
파일:reputation_cover.png
파일:WHENWEALLFALLASLEEP,WHEREDOWEGO.jpg
1989 25 DAMN. reputation WHEN WE ALL FALL ASLEEP, WHERE DO WE GO?
테일러 스위프트 아델 켄드릭 라마 테일러 스위프트 빌리 아일리시
''''
''''
''''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0px 0px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5px -2px -15px"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000> 설립자
JAY-Z
AFFILIATION ARTIST
JAY-Z J. Cole Jaden Rihanna
MANAGEMENT
Alicia Keys Big Sean Bobby Shmurda Christina Aguilera
DJ Khaled Fat Joe Hit-Boy Jess Glynne
Lil Uzi Vert Megan Thee Stallion Miguel DJ Mustard
Rihanna Tinashe Westside Gunn Yo Gotti }}}}}}}}}

}}} ||
<colbgcolor=#6f3f31><colcolor=#fff> 앨리샤 키스
Alicia Keys
파일:Alicia Keys_2024 photoshoot.jpg
본명 Alicia Augello Cook
앨리샤 오젤로 쿡
출생 1981년 1월 25일 ([age(1981-01-25)]세)
미국 뉴욕 주 뉴욕 시 맨해튼 헬스 키친
국적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직업 싱어송라이터, 배우, 프로듀서
신체 168cm
학력 Professional Performing Arts School (졸업) (-1997년)
컬럼비아 대학교 (중퇴) (1997년)[2]
부모 아버지 크레이그 쿡
어머니 테리아 조셉
배우자 스위즈 비츠(2010년~현재)
자녀 아들 이집트 다우드 딘(2010년생)
아들 제네시스 알리 딘(2014년생)
장르 R&B, 소울, , 힙합
레이블 컬럼비아 레코드
아리스타 레코드
RCA 레코드
데뷔 2001년 싱글 < Fallin'>
활동 1996년 - 현재
별명 Lellow (렐로)
관련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공식 홈페이지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틱톡 아이콘.svg
음원사이트
링크
파일:스포티파이 아이콘.svg | 파일:Apple Music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뮤직 아이콘.svg | 파일:멜론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 VIBE 아이콘.svg
서명 파일:앨리샤 키스 서명.svg

1. 개요2. 출생과 어린 시절3. 커리어
3.1. 데뷔 전3.2. 1집 Songs In A Minor (2001)3.3. 2집 The Diary Of Alicia Keys (2003)3.4. Live 앨범 Unplugged (2005)3.5. 3집 As I Am (2007)3.6. 4집 The Element Of Freedom (2009)3.7. 5집 Girl On Fire (2012)3.8. 6집 HERE (2016)3.9. 7집 ALICIA (2020)3.10. 8집 KEYS (2021)3.11. 9집 Santa Baby (2022)
4. 디스코그래피
4.1. 음반4.2. 싱글
5. 수상 목록6. 음악성
6.1. 보컬6.2. 작곡
7. 가족 관계8. 페미니스트9. 기타10.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파일:Alicia Keys.gif
She's living in a world, and it's on fire
그녀가 살고 있는 세상은 불이 붙어있어.
Feeling the catastrophe, but she knows she can fly away
대재앙을 느끼면서, 하지만 그녀는 날아갈 수 있다는 걸 알아.
Girl On Fire (feat. Nicki Minaj)
어떤 사람들은 영원한 젊음을 주는 샘물을 찾아 헤매기도 하고
어떤 사람들은 사랑을 증명하기 위해 수십 송이 장미꽃을 바라기도 해
은쟁반에 온 세상을 담아 내게 준다 해도 그게 무슨 의미가 있겠어?
나와 마음을 나누고 나를 진정으로 아끼는 단 한 사람이 없다면
If I Ain't Got You
미국 싱어송라이터.

그래미 어워즈를 통산 15개나 수상하며 대중들과 평론가들의 사랑을 동시에 받았다. 대중음악 평론지인 VH1에서 역사상 가장 존경받는 뮤지션 100인으로도 선정했다.[3] 또한 타임지에서도 2005년과 2017년에 전세계에서 가장 영향력있는 인물 100인 중에 하나로 앨리샤를 리스트에 올렸다. 2000년대 미국에서 가장 성공한 아티스트 5명 중에 하나이기도 하다.[4] 한국의 팬들 사이에서는 '열쇠'란 애칭을 갖고 있다.[5]

주요 장르는 피아노를 기반으로 한[6] 컨템퍼러리 R&B, 네오 소울이며 힙합, 재즈, 팝 음악 등을 크로스오버한 음악을 만들어왔다.[7] 미국 메인스트림 여가수중에서는 드물게 스스로 음악을 만드는 싱어송라이터이다.[8][9] 동세대에서 크리스티나 아길레라, 비욘세 등과 함께 가창력으로 유명한 디바이며, 전세계적으로 큰 인기를 얻은 몇 안 되는 네오 소울 기반 컨템퍼러리 R&B 가수이기도 하다.[10] 10여 년에 걸쳐서 그녀의 백업보컬로 활동했던 저메인 폴은 미국 인기 오디션 프로그램인 < 더 보이스>에서 알 켈리의 < I Believe I Can Fly>를 열창해 우승을 차지했다.[11] 최근에는 앨리샤도 <더 보이스> 시즌 11의 코치로 합류했다. 컨템퍼러리 R&B/ 소울 아티스트인 브루노 마스[12], 아델[13], 에밀리 산데[14], 리아나[15] , 자넬 모네, H.E.R.등이 그녀의 음악을 듣고 자랐거나 영향을 받았다고 밝혔다. 최근에는 2019년과 2020년 연속으로 세계 최고의 권위인 그래미 어워즈 단독 호스트를 맡았다. [16]

2. 출생과 어린 시절

이탈리아계 미국인 아일랜드계 미국인 또는 스코틀랜드 혈통의 엄마, 중국계 미국인 아프리카계 미국인 혈통의 아빠 사이에서 태어났다. 앨리샤는 1살 때 아빠와 헤어지고 싱글맘이 된 엄마의 품에서 자랐는데, 그녀는 어려운 가정 환경 속에서도 앨리샤에게 피아노 레슨은 꼬박꼬박 시켜줬다고 한다.

무법천지인 뉴욕 게토 헬스키친에서 자란 앨리샤는 어린 시절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항상 총을 휴대하고 다녔다. IQ가 154나 되고 공부도 매우 잘한 그녀는 미국 아이비 리그 중 하나인 컬럼비아 대학교에 이미 16살 때 장학금을 받고 입학하지만 학교에서의 교육이 음악가로서 창조성을 해친다고 판단해 중퇴하였다고 한다.

3. 커리어

3.1. 데뷔 전

그러다 앨리샤 키스는 1996년에 컬럼비아 레코드과 계약을 맺고 맨 인 블랙 OST에 참여하며 메이저에 데뷔하였다. 그러나 선배 디바들과 같이 보컬을 강조한 디바로 키우려 했던 레이블과 달리 그녀는 스스로 작곡을 하는 싱어송라이터가 되고 싶었다.[17]레이블 담당자가 그녀가 만든 Fallin'을 빼앗아 다른 신인 가수에게 주려 하자 앨리샤 키스는 회사를 박차고 나왔다. 그리고 클라이브 데이비스[18]가 설립한 J 레코드의 첫 번째 아티스트로 계약했다.

3.2. 1집 Songs In A Minor (2001)



이어서 2001년에 첫 앨범 Songs in A Minor를 발표하며 화려하게 데뷔하였다. 본래 앨범의 제목은 'Soul in A Minor'이었지만, 메인스트림 라디오에서 그녀의 음악을 틀어주지 않을 것을 의식해 현재와 같은 타이틀로 변경됐다. 앨범이 발매되기 전 동료가수였던 인디아 아리[19][20] 등과 함께 오프라 윈프리 쇼에 출연했는데, 여기에서 부른 Fallin'이 미국 시청자들에 강한 인상을 남긴다. 특히 신인 가수임에도 스스로 작사, 작곡, 프로듀싱까지 해내는 그녀의 천재성은 언론과 대중들의 큰 호응을 이끌어낸다. 오프라쇼에 출연한 이후 1집 앨범의 선주문이 3배 이상 증가했으며, 발매와 동시에 235,000장의 판매고로 1위로 데뷔했다. 그리고 입소문은 더욱 퍼지며 둘 째주에는 40만장이 넘는 판매고를 올린다. 이후로도 그녀의 성공은 탄탄대로였다. 그래미 어워즈에서도 올해의 노래와 신인을 비롯해서 5개 부문을 거머쥐며 전세계적인 스타로 발돋움한다. (이때부터 앨범만 냈다 하면 그래미를 우걱우걱) Songs in a Minor은 네오 소울을 기반으로 힙합과 재즈, 가스펠 등을 결합한 앨범으로 애정 관계의 복잡함을 가사로 담았다. 앨범 대부분의 곡을 스스로 썼으며 프로듀싱했다. 현재까지 미국에서 740만장[21], 전세계적으로 약 1,300만장의 앨범 판매고를 기록했으며 데뷔곡 Fallin' 빌보드 싱글 차트 정상에 올랐다. 흑인 소울의 감성과 고전적인 클래식, 그리고 재즈를 두루 선보인 수작. 데뷔 앨범에서 선보인 레게 머리와 카우보이 모자, 그리고 특유의 보이쉬한 스타일은 그녀의 트레이드마크가 되었다. 2000년대 초 국내에서도 흑인음악이 크게 각광을 받을 때 유수한 알엔비 가수들이 앨리샤 키스의 음악과 패션에 영감을 받았다.[22]

3.3. 2집 The Diary Of Alicia Keys (2003)



키스는 1집의 대성공으로 2집 앨범을 작업할 때 큰 압박을 받았다고 한다. 하지만 소포모어 징크스를 가볍게 날려 버리며 2집 앨범도 대히트를 한다. 그녀가 일기를 쓰듯 매우 자전적인 내용을 담았으며 기존의 알엔비 소울의 기반을 유지하되, 60~70년대의 복고적인 감성을 더한 앨범이다. 2003년 12월에 발매된 2집 앨범인 The Diary of Alicia Keys은 엄청난 반응을 일으키며 첫주에 미국에서 618,000장을 팔아치웠다. 미국에서 5플래티넘[23] 전 세계에서 900만장에 가까운 판매고를 올렸다. 앨범 뿐만 아니라 싱글도 성공적이었는데, You Don't Know My Name(3위)[24], If I Ain't Got You(4위)[25], Diary(8위), Karma(20위)가 모두 빌보드 차트에서 큰 성공을 거뒀다. 특히 If I Ain't Got You는 그녀를 대표하는 히트곡이자 2000년대를 상징하는 알엔비 발라드가 됐다. 수 많은 유명가수들이 이 곡을 커버했으며, 미국 현지에서도 데뷔곡 Fallin'과 함께 오디션 프로그램에 단골로 등장한다.[26] 국내에서도 가장 유명한 팝송중에 하나일 것이다.[27] 평단의 평가도 전작보다 더 찬양일색이었으며, 그래미 어워즈에서는 이번에도 4개 부문을 수상했으며 빌보드 뮤직 어워드 7개부문을 석권했다. 키스의 대중적 인기가 정점에 있던 시기이기도 하다. 이 시기 최고의 남자가수였던 어셔와 염문을 뿌리며 큰 주목을 받았다. 함께 노래를 부른 My Boo는 엄청난 반향을 일으키며 빌보드 핫 100 정상에 올랐다. 이듬해에 키스는 처음으로 한국에서 내한콘서트를 열었다. 당시에는 최전성기의 팝스타가 내한해 콘서트를 여는 경우가 드물었다 보니[28] 언론의 주목을 받았다. 거미(가수)[29]가 오프닝 공연을 맡았다.

3.4. Live 앨범 Unplugged (2005)



2005년 MTV 언플러그드 공연을 담은 자신의 첫 라이브 앨범 Unplugged를 발표했다. 미국의 대표적인 음악 채널인 MTV는 유명 가수와 함께 라이브 앨범을 줄곧 발매해왔다. 하지만 90년대 이후 음악시장의 판매고가 저조해 더이상 발매를 하지 않다가 10년 만에 앨리샤 키스와 손을 잡았다. 하늘을 찌르던 그녀의 인기에 힘입어 정규 앨범이 아님에도 빌보드 200 1위로 데뷔하는 기염을 토했다.[30] 미국에서 100만장의 판매고를 올렸고 전세계에선 200만장이 판매되었다. 기존의 히트곡들과 몇 곡의 신곡을 더한 앨범으로 그래미어워즈에서 4개 부문 후보에 올랐지만 수상에는 실패했다. 당시 If I Ain't Got You로 국내에서도 인지도가 많이 오른 상황이다 보니, 케이블 채널인 M.net과 mtv 등에서 라이브 앨범의 DVD 영상물을 자주 틀어주곤 했다.[31]

3.5. 3집 As I Am (2007)



Unplugged 이후 2년의 공백[32]을 가진 그녀는 2007년 말 3집 앨범을 발표한다. As I Am은 그녀의 디스코그래피에서 가장 통일성 있고 대중적인 음반이라 할 수 있다. 이 때부터 그녀의 음악을 팝적인 성향이 짙어지기 시작했고 U2 등의 영감을 받아 록을 접목시키기도 했다.[33] 전작들과 마찬가지로 대박을 기록했다. 특히 히트 싱글인 No One은 빌보드 5주 1위를 기록하면서 전 세계적으로 공전의 히트를 쳤다.[34] No One은 알리샤의 노래 중 상업적으로 가장 성공한 히트곡이며 2000년대 결산 6위, 2013년 빌보드 55주년 기념 최고의 100곡에서 역사상 48번째로 성공한 노래)[35]로 선정되기도 하며 전세계적으로 엄청난 성공을 거뒀다. As I Am은 발매 첫주에 75만 장의 판매고를 올리며[36] 전작의 초동을 뛰어넘었다. 미국에서 4x 플래티넘[37], 빌보드 연말결산 1위를 차지했고 전 세계적으로 650만 장의 판매고를 올렸다. 당시에 절정의 인기를 누리던 그녀는 이듬해 그래미 어워즈에서 오프닝공연을 비롯, 3곡을 열창해 언론으로부터 많은 주목을 받았으며 에이미 와인하우스, 리오나 루이스 등을 제치고 007 주제가를 부르기도 했다.[38] 본 앨범으로 그래미 어워즈도 3개를 추가했다.[39] 키스는 이듬해, 한국에서 2번째 콘서트를 열었다. 태양(BIGBANG)이 오프닝 공연을 맡았다.

3.6. 4집 The Element Of Freedom (2009)



전작에서 2년의 공백을 가진 앨리샤는 2009년 12월 마지막 주 4집 The Element Of Freedom을 발표한다. 기존의 3집과 비슷한 음악을 이어갔지만 이번에는 얼터네이티브 록음악을 접목했다. '모든 장벽과 한계를 제거한 자유로움'을 컨셉으로 한 앨범으로 특별한 보정없이 그녀의 보컬을 있는 그대로 녹음했다.[40] 그녀의 인기가 정점에서 다소 내려온 시기이다. 첫 싱글인 Doesn't Mean Anything이 충공깽의 뮤직비디오와 함께 앨리샤 키스 싱글들 중 가장 망하는 바람에 싱글들이 전체적으로 묻히는 감이 없지 않아 있었지만 그래도 앨범은 잘 팔렸다. 불황임에도 미국에서 첫주에 42만 장의 판매고를 올렸으며 2x 플래티넘[41], 영국에선 110만 장이 팔렸고 전 세계적으로 400만 장이 넘는 판매고를 올렸다.[42] 앨리샤의 연속 1위 기록은 이 앨범에서 깨졌다. 영국에서는 앨범이 발매되기 전에 엑스펙터에 출연해 히트곡 메들리를 열창했는데 대중으로부터 굉장히 큰 주목을 이끌었다. 이에 힘입어 1집 이후 처음으로 영국에서 밀리언 셀러를 기록하며 대박을 터뜨렸다.[43] 이 시기에 제이지에 피쳐링을 해준 ' Empire State Of Mind'도 전세계적으로 엄청난 성공을 거뒀으며 그녀의 존재감을 확인시켜줬다.[44] 그래미 어워즈에서 2개 부문을 수상했다.[45]

3.7. 5집 Girl On Fire (2012)



2012년 5번째 정규앨범 Girl On Fire를 발표하였다. 일렉트로 소울과 힙합에서 락, 레게 등 다양한 시도를 했으며 앨범의 프로듀싱은 미니멀을 추구했다. 키스는 애정관계, 그리고 신에 대해 가사를 썼다. 몇몇 곡은 그녀의 결혼, 그리고 엄마로서의 삶과 같은 개인적인 내용을 담았다. 첫 싱글인 동명 타이틀의 Girl on Fire가 전 세계적으로 높은 인기를 누렸으며[46] 앨범도 첫 주에 16만 장의 판매고로 1위로 데뷔하였다. 현재까지 미국에선 플래티넘[47], 전 세계에서 180만 장의 판매고를 올렸다. 오랜 싱어송라이터 활동으로 전작에서 매너리즘을 느끼기 시작한 그녀는 본작에선 자신의 영향력을 줄이고 영국의 흑인 뮤지션인 에밀리 산데와 싱어송라이터 브루노 마스등 외부의 뮤지션들과 공동작업을 늘리기 시작했다. 타이틀곡을 비롯한 상업적인 곡도 실렸지만 앨범의 전반적인 분위기가 다소 실험적이고 마이너하다는 팬들의 의견이 많았다. 이에 따라 자신의 커리어에서 가장 저조한 차트 성적을 냈지만 망해가는 음악시장에서는 여전히 성공을 거뒀다고 할 수 있다. 그래미어워즈에서 '알엔비 앨범' 부문을 수상하는 등 좋은 평가를 받은 앨범이다. 키스는 앨범 홍보를 위해 그래미 어워즈, VMA, NBA 올스타전, 아메리칸 아이돌, 엑스 팩터 등에 출연했으며 수퍼볼에서 미국 국가를 부르기도 했다. 한국에선 앨범수록곡 Tears always win이 음원차트를 중심으로 소소하게 인기가 있었다. 가온차트의 팝부문에서 2주 연속 1위를 지켰다. 카페나 레스토랑 등에서 자주 틀어준 편이니 들어보면 익숙할 수도 있다.[48]

3.8. 6집 HERE (2016)


2015년에는 자신이 운영하는 자선 단체인 Keep A Child에 100만달러를 기부하고, 전 세계의 고통받는 어린이들, 여성들, 동성애자 등의 인권을 대변하기 위해 We Are Here를 발표했다. 2016년에 11월 8일 자정, 6집 앨범 HERE을 발표했다. 리드싱글로 In Common을 공개했다. 하향세 와중에 4년이란 긴 공백 탓에 주목도는 많이 떨어진 듯하다. 퀄리티가 상당했으나 저조한 성적을 기록했다.[49] 그러나 기존의 잔잔한 발라드 스타일에서 벗어나 전자음을 더한 트로피컬 사운드가 매우 신선하다는 호평이 많았다.[50] 여성의 인권 증진을 위해 더이상 메이크업을 하지 않겠다고 선언해 팬들을 깜짝 놀래키기도 했다. (..) [51] 인기가 없었고 앨범의 분위기와 맞지 않아서인지 In Common은 디럭스버전의 보너스트랙으로만 포함됐다. 큰 성공은 거두지 못했지만 킬링트랙을 앨범에서 제외한 것은 다소 의아하다는 팬들의 의견이 많았다. 통일성에 맞지 않아서 제외된 듯 하다. 메이크업을 지워버린 극도의 미니멀리즘을 추구한 컨셉을 추구하며 프로모션이 평소보다는 제한적으로 이뤄졌다.[52] 그래도 대표적인 R&B가수답게 그래미 어워드, The Voice, 엘렌 쇼, 챔피언스 리그 및 BET 어워드 등 굵직굵직한 쇼에는 대부분 초대됐다. 앨범을 위해 10일 만에 30곡을 썼다는 그녀는, 본작에 가난한 흑인 커뮤니티의 현실비판, 자전적인 재혼가정 등 다양한 사회적 메세지를 가사에 담았다. 화려하게 치장한 상업성보단 음악 자체에 집중해서인지 평론가 평점은 전체적으로 우수한 편이다.[53] 발매 첫주에 5만 장(실판 4만 2천장)으로 빌보드 200 2위로 데뷔했다.

결론적으로는 데뷔 후 그녀의 커리어에서 처음으로 망한 음반이라 할만하다. 스트리밍이나 유튜브 순위 등에서 전혀 힘을 쓰지 못하는 것. 하는 음악도 올드스쿨 소울이 기반인 데다가 분명히 예쁜데도 이상하게 나이들어보이고 촌스러워 보이는 스타일링이나 뮤직 비디오 컨셉에 4년간의 공백기까지 겹쳐서 고루한 이미지가 생겨버린 것. 그러나 뮤지션으로서 그녀의 브랜드와 음악이 완전히 쇠퇴한 것은 아니다. 앞에 서술한 바와 같이 6집은 음악적으로도 굉장히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또한 저명한 언론지인 타임즈에서는 2005년에 이어서 2017년에 다시 한번 그녀를 전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이 있는 인물 100인 중에 하나로 리스트에 이름을 올렸고, # 최고 권위의 그래미 어워즈에도 계속해서 공연자로 초대받고 있다. 이미 12년이나 넘게 인기를 누린 뒤, 상업적으로 점점 하향세를 타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54] 미국에서도 앨리샤 키스가 현재 핫하다고 생각하지는 않지만, 음악성을 갖춘 좋은 싱어송라이터로 평가하고 있다.[55]

3.9. 7집 ALICIA (2020)



2019년과 2020년 연속으로 그래미상 단독 호스트로 선정됐다. 진행에 상당한 호평을 얻었다.

리드 싱글로 공개되었던 알앤비 발라드 "Show Me Love"가 빌보드 핫 100 90위를 기록했다. 알앤비 남성보컬 미겔과 듀엣을 한 곡이다. 이어서 그래미에서 공연을 선보인 "Underdog" 역시 잘빠진 곡이 빛을 발하며 빌보드 핫 100 69위를 기록하는 등 차트 하위권이지만 그녀의 최근작치고는 좋은 반응을 얻었다. 2012년 "Girl on Fire" 11위 이후 가장 높은 순위를 기록한 것이다. "Underdog"은 사회적 약자들을 위한 헌정곡으로 모두가 쉽게 따라 부르도록 캐치하고 간단한 멜로디로 구성되었다. 두 싱글 모두 골드(50만장) 인증을 획득했다. 앨범 발매 직전 칼리드와 부른 미디엄 템포 알앤비곡 So Done과 팝사운드 느낌의 Love Looks Better가 공개되었다. 9월 18일 일곱 번째 정규 앨범 ALICIA가 발매되었다.
첫주 초동은 스트리밍 합산 6만 3천장으로(순판 5만 1천장) 빌보드 200 4위를 기록 하였다. 전작 Here과 비교해봐도 팬덤은 크지는 않아도 그럭저럭 유지된듯하다. 하지만 그래미 같은 굵직한 시상식에서 호스트로 활약한 것은 아쉽게도 화제성을 키우는데 도움이 되었다고 보긴 힘들듯. Here에선 핫 100에 진입시킨곡이 한곡도 없었지만 이번 앨범에선 선공개한 싱글(Show me love(90위) Underdog(69위)들을 하위권이지만 그래도 핫 100에 짧게나마 진입하면서 약하게나마 대중들의 호응을 이끌어냈다는 점에서 장족의 발전이라고 할수있다. 음악성면에서는 굉장히 크게 호평받으며 메타크리틱 점수 77점을 부여받았다. 이는 전작 Here(76점)보다 높은 점수이며 1집 Song in A Minor(78점)에 이어 앨리샤 키스의 커리어에서도 가장 높은 점수의 앨범이다.

3.10. 8집 KEYS (2021)

3.11. 9집 Santa Baby (2022)

4. 디스코그래피

<colcolor=#fff> Alicia Keys Discography
Songs In A Minor The Diary Of Alicia Keys Unplugged As I Am
The Element Of Freedom Girl On Fire HERE ALICIA

4.1. 음반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AliciaKeys-SongsInAMinor-music-album.jpg
Songs In A Minor (2001)
빌보드 200 1위
미국 첫주 판매량 : 235,000장
메타크리틱 : 78점
미국 7,500,000
영국 1,200,000
캐나다 700,000
독일 450,000
프랑스 400,000
일본 250,000
호주 250,000
이탈리아 215,000
네덜란드 200,000
스페인 125,000
스위스 100,000
스웨덴 100,000
브라질 45,000
뉴질랜드 40,000
오스트리아 40,000
핀란드 10,000
유럽 3,600,000
전 세계 12,700,000
파일:external/e.snmc.io/2545979.jpg
The Diary Of Alicia Keys (2003)
빌보드 200 1위
미국 첫주 판매량 : 618,000장
메타크리틱 : 71점
미국 5,000,000
영국 600,000
프랑스 470,000
캐나다 260,000
독일 240,000
네덜란드 240,000
일본 200,000
호주 150,000
스위스 80,000
이탈리아 75,000
스페인 40,000
스웨덴 35,000
브라질 25,000
뉴질랜드 25,000
오스트리아 15,000
핀란드 10,000
유럽 2,600,000
전 세계 9,000,000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Alicia_Keys_Unplugged.jpg
Unplugged (2005)
빌보드 200 1위
미국 첫주 판매량 : 196,000장
메타크리틱 : 65점
미국 1,000,000
캐나다 100,000
일본 100,000
영국 50,000
네덜란드 40,000
호주 17,500
유럽 750,000
전 세계 2,000,000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Alicia_Keys_-_As_I_Am.png
As I Am (2007)
빌보드 200 1위
미국 첫주 판매량 : 742,000장
메타크리틱 : 66점
미국 4,000,000
영국 400,000
캐나다 240,000
프랑스 230,000
일본 230,000
독일 210,000
호주 130,000
이탈리아 125,000
네덜란드 110,000
스페인 65,000
스위스 60,000
브라질 30,000
스웨덴 25,000
뉴질랜드 15,000
오스트리아 15,000
핀란드 5,000
유럽 1,550,000
전 세계 6,600,000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Alicia_Keys_The_Element_of_Freedom.jpg
The Element Of Freedom (2009)
빌보드 200 2위
미국 첫주 판매량 : 417,000장
메타크리틱 : 67점
미국 2,000,000
영국 1,050,000
독일 190,000
캐나다 150,000
프랑스 135,000
일본 130,000
네덜란드 80,000
호주 45,000
스위스 45,000
이탈리아 40,000
스페인 35,000
스웨덴 20,000
브라질 15,000
뉴질랜드 10,000
오스트리아 10,000
유럽 1,850,000
전 세계 4,000,000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Alicia_Keys_-_Girl_on_Fire.png
Girl On Fire (2012)
빌보드 200 1위
미국 첫주 판매량 : 159,000장
메타크리틱 : 69점
미국 1,000,000
영국 240,000
독일 125,000
프랑스 110,000
캐나다 65,000
일본 50,000
호주 35,000
브라질 30,000
네덜란드 25,000
이탈리아 20,000
스위스 15,000
오스트리아 10,000
스페인 10,000
뉴질랜드 5,000
유럽 660,000
전 세계 1,800,000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Alicia_Keys_-_Here_Album_Cover.png
Here (2016)
빌보드 200 2위
미국 첫주 판매량 : 50,000장
메타크리틱 : 76점
미국 150,000
영국 15,000
독일 15,000
프랑스 10,000
일본 5,000
호주 5,000
이탈리아 5,000
네덜란드 5,000
유럽 60,000
전 세계 300,000
파일:ALICIA.jpg
ALICIA (2020)
빌보드 200 4위
미국 첫주 판매량 : 63,000[56]
메타크리틱 : 77점

4.2. 싱글

Alicia Keys 파일:빌보드 로고.svg Hot 100 기록
<rowcolor=#fff> 순위 연도 곡명 비고
#16주 2001 Fallin'
#16주 2004 My Boo [57]
#15주 2007 No One
#15주 2009 Empire State Of Mind [58]
#2 2002 Gangsta Lovin' [59]
#3 2003 You Don't Know My Name
#4 2004 If I Ain't Got You
#7 2002 A Woman's Worth
#8 2004 Diary [60]
#11 2012 Girl on Fire
#12 2007 Like You'll Never See Me Again
#20 2004 Karma
#21 2010 Un-Thinkable (I'm Ready)
#27 2009 Try Sleeping with a Broken Heart
#34 2005 Unbreakable
#46 2022 City of Gods [61]
#54 2008 Teenage Love Affair
#55 2010 Empire State Of Mind (Part II) Broken Down
#59 2002 How Come You Don't Call Me
#60 2009 Doesn't Mean Anything
#69 2020 Underdog
#71 2010 Fireworks [62]
2019 Calma (Alicia Remix) [63]
#77 2006 Ghetto Story Chapter 2 [64]
#79 New Day [65]
#81 2008 Another Way to Die [66]
#82 Superwoman
#90 2019 Show Me Love [67]
[68] 2010 Put It in a Love Song [69]
[70] 2012 Brand New Me
[71] 2007 Brand New Me [72]
Like Home [73]
[74] 2009 Looking for Paradise [75]
2013 Fire We Make [76]
[77] 2015 Powerful [78]

5. 수상 목록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rowbgcolor=#c9ffe5><rowcolor=#000> 연도 || 작품 || 부문 || 기타 ||
2002 Alicia Keys 최고의 신인 제너럴 필드[80]
Fallin' 올해의 노래 제너럴 필드
최고의 R&B 여자 보컬 -
최고의 R&B 노래 -
Songs In A Minor 최고의 R&B 앨범 -
2005 The Diary Of Alicia Keys 최고의 R&B 앨범 -
If I Ain't Got You 최고의 R&B 여자 보컬 -
My Boo 최고의 R&B 듀오 또는 그룹 보컬[81] 1회 수상
You Don't Know My Name 최고의 R&B 노래 -
2008 No One 최고의 R&B 여자 보컬 -
최고의 R&B 노래 3회 수상
2009 Superwoman 최고의 R&B 여자 보컬 4회 수상
2011 Empire State Of Mind 최고의 Rap/Sung 콜라보[82] 1회 수상
최고의 Rap 노래[83] 1회 수상
2013 Girl On Fire 최고의 R&B 앨범 3회 수상
2024 The Diary Of Alicia Keys 서라운드 사운드 앨범 1회 수상

6. 음악성

6.1. 보컬

비욘세, 크리스티나 아길레라와 함께 지존급 가창력으로 평가받는다. 흑인 혼혈답게 그루브가 뛰어나며 음색도 매우 좋다. 다만 무리한 목 사용으로 라이브에서 삑사리가 참 자주 난다. 이는 알리샤 키스 음악의 주된 테마인 ' 소울' 창법 때문이기도 한데, 소울 벨팅 창법 자체가 쌩목으로 긁어대는 창법인 데다가 데뷔초부터 난이도 높은 노래를 오직 라이브로만 공연해왔기 때문. 스스로 곡을 만드는 작곡자이다 보니 신곡들의 경우는 그녀의 현재 목 상태를 감안해 노래를 만드는 듯 하다. [84] 여전히 대부분의 공연을 라이브로만 소화하고 있다. 선배 가수인 휘트니 휴스턴 등과 함께 라이브만 고집하는 가수로 유명하다. [85]

6.2. 작곡

스스로 노래를 만드는 싱어송라이터이다. 그 유명한 If I Ain't Got You와 Fallin'을 '혼자' 만들었다! [86][87] 특히 Fallin'의 경우 지난 20년간 여성 뮤지션이 단독으로 작사 작곡을 해서 빌보드 핫 100 1위에 오른 유일한 곡이다. 네오 소울의 대표적인 아티스트로, 고전적인 소울 음악을 현대적인 감성으로 재해석하는 작업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고전적인 소울에 현대적인 감성의 R&B 힙합 등을 더하는 것. 3집과 4집 앨범은 팝과 얼터네이티브 록 등의 크로스오버를 시도했으며 최근에는 전자음을 더하거나 사회적인 메세지를 가사에 담는 등 뮤지션으로서 다양한 시도를 하는 듯하다. 음악계에서는 싱어송라이터를 자처하는 스타들이 많지만 실제로는 아주 적은 참여로 이름만 올리는 아티스트들도 매우 많다. 앨리샤키스처럼 주도적으로 음악을 직접 쓰고 혼자서 작업할 수 있는 여성 아티스트는 생각보다 매우 적다.

7. 가족 관계

  • 크레이그 쿡 (부)
  • 테레사 오겔로 (모)
  • 스위즈 비츠 (남편, 본명은 카심 딘)

8. 페미니스트

I do what the fuck I want.
존나 내가 하고 싶은 대로 할 거야.
화장을 아예 안 하는 것 아니냐는 애덤 리바인의 질문에 대한 답변.[88]

페미니스트이다. 2016년 '노 메이크업' 선언을 했다. 문서 프로필 사진에서 볼 수 있듯 화장을 잘 하지 않으며, 심지어 더 보이스 등 공식 석상에 참여할 때도 민낯이다. 지미 키멜 쇼에 출연했을 때, 진행자 지미 키멜이 "당신은 화장을 안 해도 그렇게 이쁘니깐 지울 수 있는 거 아니냐"며 농담을 던지기도 했다. 머리도 더이상 붙임머리를 하지 않고[89] 레게 스타일을 하거나 터번을 쓴다.

단 '노 메이크업' 선언과 무관하게 실제로는 메이크업을 하고 공식석상에 나타나기도 한다. # [90]

2020년대 들어서는 심경에 변화가 있었는지 다시 메이크업을 하기 시작했다. 사실 방송에서 화장을 안할 수가 없는게 정말 상상이상으로 조명이 강하다. 피부가 민감한 사람들은 따가울 정도로 조명을 사용하기 때문에 피부를 보호하기 위해서라도 화장을 해야할 필요가 있다. 다만 여전히 노메이크업으로 공식석상에 나타날 때도 잦은 걸로 보아, 그냥 위에 말한대로 그날그날 하고 싶은 대로 하는 듯하다.

9. 기타

  • 지난 2010년 유명작곡자이자 프로듀서인 스위즈 비츠와 결혼식을 올렸다. 그러나 스위즈가 전부인인 마숀다와 이혼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그녀와 만남을 가져서 논란도 있었다. 최근에는 전부인도 자녀들을 동반한 채 피서지 휴가에 동참한 장면이 파파라치에 찍히는 등 잘 지내는 것으로 보인다. (참 쿨한 서양식 마인드...)[91] 여담으로 앨리샤 키스는 사생활에 대해 언급하는 것을 극도로 꺼려서 동성애자 의혹이 끊이지 않았는데, 결혼과 함께 관련 루머는 종결된 듯하다.
  • 제이지, 비욘세 부부와 친하다. 비욘세와는 14살 때 컴럼비아 레코드에 비슷한 시기에 계약하며 친해졌다. 각자 1집 앨범을 발표한 뒤 합동 투어를 했으며,[92] 함께 듀엣을 한 Put It In a Love Song은 서로의 성공을 자축하는 의미를 담은 곡이다.[93] 사실상 타이달[94]에 참여한 멤버들과는 모두 친하다고 생각하면 될 듯. 그밖에 존 메이어, 어셔[95] 등 과도 친구이다.
  • 1960년대 음악에서 깊은 영감을 받았다고 했다. 비틀즈와 같은 시대를 초월한 기념비적인 아티스트들의 그늘에 서 있다고 언급했으며 마빈 게이, 밥 딜런, 스티비 원더 또한 같이 언급했다. 그들은 대중음악이 말할 수 있는 것과 의미할 수 있는 것을 영원히 바꿔놓았다고 한다. 비틀즈 헌정 무대에서 존 레전드와 함께 Let It Be를 공연했다. 비틀즈의 Blackbird를 커버하기도 했다.
  • 팝 레전드 프린스의 팬이다. 그의 히트곡 How Come You Don't Call Me를 데뷔음반에 수록하기 위해 그의 저택에서 직접 오디션을 봤다고 한다. 프린스는 그녀의 특별한 재능을 알아봤고 이후 앨리샤의 멘토가 되었다고 한다.(성공한 덬후?) 이후 BET 어워즈 등에서 그의 헌정공연을 수차례 했으며 함께 투어에서 공연도 할 정도로 친분이 있었다. 4집 음반 수록곡 Try Sleeping with a Broken Heart는 그에게 큰 영향을 받아 쓴 곡이다. 그밖에 미셸 오바마, 오프라 윈프리, 휘트니 휴스턴과도 친분이 있(었)다.
  • 대표곡 If I Ain't Got You는 발매된 지 10년이 훌쩍 지난 지금도 노래방 팝차트에서 10위안에서 빠지지 않을 정도다. 발표 당시 한국에서 내로라하는 수많은 뮤지션들이 이 곡을 커버했으며 최근까지도 오디션쇼에 꾸준히 선곡되왔다. 이 곡은 미국 오디션쇼에도 그녀의 데뷔곡 Fallin'과 함께 수없이 불러졌다. 하지만 원곡이 너무 유명한데다 곡의 맛을 살리기 힘들어서인지 아마추어 출연자들은 대부분 이 곡을 부르고 망했다. 다만, 더보이스2의 배틀라운드에서 이뤄진 공연은 큰 화제를 모으기도 했다. #
  • 흑인음악 팬층을 중심으로 상당한 매니아층을 거느렸고, 워낙 유명한 노래를 가진 덕분에 국내에서 2번 내한 콘서트를 열었다. The Diary Of Alicia Keys를 발표한 2004년과 As I Am 활동시기인 2008년이다. 각각 거미(가수) 태양(BIGBANG)이 오프닝 공연을 맡았다.
  • 국내에 피아노 여류시인 ALICIA KEYS란 팬카페가 있다. 그녀가 데뷔한 2001년에 개설되어 3집 앨범시기까지는 운영이 잘 되었고..(그녀의 공백 시기가 길다는 걸 감안하면 이때도 10년 가까이 잘 운영된 거다.) 5집 앨범까지는 어느 정도 명맥이 이어졌지만.. 이후에 앨리샤가 4년을 더 쉬어버렸고.. 지금은 유령카페가 됐다. 2집 앨범이 한국에서도 대히트를 했을 때는 회원수 15,000명에 하루 조회수가 2천이 넘어가기도 했다. 그녀가 내한 공연을 한 2004년과 2008년 콘서트에 각각 티켓 120장씩 팬클럽형식으로 공동구매를 했으며 현수막과 티셔츠를 자체 제작도 했었다! 최근 디씨 앨리샤 키스 갤러리가 개설됐다. 생긴지 얼마 안되었지만 앨리샤의 최근 정보나 관련 음반 이야기를 나누는 몇안되는 국내 팬사이트다.
  • 2020년 11월 26일에 자신의 트위터 계정에 방탄소년단의 신곡 Life Goes On을 라이브 커버해 큰 화제가 되었다. 이 트윗을 보고 방탄소년단은 리트윗을 하며 정말 감사하고 영광이라고 고마움을 밝혔다.

10. 관련 문서



[1] 작곡가인 제시 해리스만이 수상했다. [2] 무려 학비지원까지 받으면서 입학했지만, 음악활동에 전념하기 위해 중퇴하였다. [3] VH1에선 10년마다 300인의 아티스트와 음악관계자의 설문을 통해 가장 존경받는 뮤지션 100인을 선정한다. 앨리샤 키스는 비욘세와 함께 2000년대에 활동한 여성 아티스트 중에선 유일하게 리스트에 들었다. [4] 빌보드 지에 의해 에미넴, 어셔, 넬리, 비욘세와 함께 2000년대 미국에서 제일 성공한 아티스트 중 하나로 선정됐다. [5] 'Key'는 열쇠라는 뜻도 있지만 피아노 건반에서 따온 이름이다. Keys다. Kiss가 아니다. [6] 그녀의 음악은 항상 피아노가 중심이다. 라이브 공연을 할 때도 절대 빠지지 않는다. [7] 4집 앨범부터는 전자음을 결합한 실험적인 트랙도 눈에 띈다. [8] 미국 팝계에서 혼자서 음악을 만들 줄 아는 여가수는 생각보다 그리 많지 않다. 대부분 전문 작곡자들의 도움을 받는다. 앨리샤는 대표곡 < If I Ain't Got You> 과 < Fallin'>등을 혼자 쓰고 프로듀싱했다. [9] 그나마 머라이어 캐리도 프로듀싱과 작사, 작곡을 다 하는 편이나, 작곡의 경우에는 무조건 전문 작곡가들과 공동작곡으로 이름을 올려서 평가가 낮은 편이었다. [10] 네오 소울이란 장르 자체가 미국 밖에서 인기가 높지 않다. 비슷한 유형의 탑 가수로 80년대 이후 전 세계 7천만 장의 앨범 판매고를 올린 여자 보컬이 이끄는 영국의 소울 음악, Smooth jazz, Sophisti-pop 밴드, 샤데이(Sade)를 들 수 있다. [11] 특히 앨리샤의 2집 앨범의 히트곡 <Diary>가 유명하다. 이 곡으로 함께 그래미 어워즈에 노미네이트되기도 했다. [12] 그는 앨리샤 5집 수록곡 Tears Always Win도 직접 써줬다. [13] 그녀가 어렸을 때 어머니가 로린 힐과 앨리샤의 음악을 좋아했다고 한다. 따라서 Songs in A Minor The Miseducation of Lauryn Hill은 어린 시절 즐겨 듣던 음반 중에 하나라고 밝혔다. [14] 4집을 같이 작업했다. 한때 앨리샤가 그녀의 미국 진출을 돕기도 했다. [15] 영향을 준 여성 아티스트 중 하나로 꼽았다. 앨리샤의 노래 중에선 If I Ain't Got You를 가장 좋아한다고 인터뷰에서 밝혔다. 세대가 다르다보니 크게 친해보이진 않지만, 연예계에서 크게 성공한 흑인 여성들이 많지 않다 보니 선후배로서 친분은 있는 듯하다. [16] 그 밖에 그해 히트곡 메들리와 신곡을 불렀고 주요 대상도 호명했다. 당연히 여전히 그녀가 음악계에서 차지하는 위상이 상당히 높음을 의미한다. [17] 당시 소니 뮤직 산하 레이블에 최전성기의 머라이어 캐리와 셀린 디옹이 소속되어있었고, 둘다 음반을 3000만장 가까이씩 팔면서 소니뮤직을 먹여살리고 있었다... 토미 머톨라가 이를 이을 디바들을 발굴하던 시기였다. [18] 대중음악계에서 가장 유명한 CEO이다. 휘트니 휴스턴 등을 직접 키운 아리스타의 전사장으로 유명하다. 미국 인기 오디션 프로그램인 아메리칸 아이돌 제작에도 참여하였다. 그가 친딸과 같이 유독 예뻐한 아티스트가 딱 2명 있는데, 하나는 휘트니 휴스턴이고 다른 하나는 앨리샤 키스이다. 반면 켈리 클락슨과는 음악적 견해의 차이로 갈등이 상당히 깊었다. [19] 데뷔 초 앨리샤 키스와 라이벌 구도를 이뤘던 흑인 여성 싱어송라이터이다. 특히 2002년 그래미어워즈에서 7개 부문이나 후보에 오르며 언론에 크게 화제가 되었지만, 단 하나의 수상도 하지 못하며(..) 앨리샤에 판정패를 당한다. 이후에 인디아 아리 역시 4개의 그래미를 수상하긴 했다. [20] 두 사람 다 좋은 평가를 받는 훌륭한 음악가이지만, 대중적인 인기와 스타성에 있어서는 앨리샤의 압승이었다. 두 사람 다 네오 소울, 여성, 흑인, 싱어송라이터에 똑같은 2001년에 데뷔했다는 점에서는 같지만 (단, 인디아가 6살 연상이다. 앨리샤는 아주 빠르게 데뷔했고 인디아는 조금 늦게 데뷔한 것.), 이후 빌보드 핫 100에서 top10 싱글을 10곡이나 만들어낸 앨리샤와는 달리 인디아의 싱글차트 최고 순위는 47위다. 즉 앨리샤에게는 확실히 대중적으로 사랑받는 곡을 뽑아내는 재능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보컬 역시 부드러운 중저음 그루브를 중시하는 인디아에 비해 진성 벨팅으로 고음을 지르는 앨리샤가 확실히 어필하기에 좋았다. 앨리샤가 엄청난 미인인 것도 인기에 한몫 했고. [21] 사운드 스캔에서 640만장이 집계되었으나 소니BMG사운드클럽에서 따로 발매돼 100만장이 더 팔렸다. 음반시장이 컸던 90년대에서 2000년대 초까지는 이런식으로 앨범이 따로 발매되었다. [22] 특히, 국내의 정상급 여성 알엔비 가수인 거미와 임정희의 초창기 음악과 컨셉은 앨리샤 키스의 영향을 받았다는 평가도 많았다. 그밖에 휘성과 세븐 등은 직접 방송에서 앨리샤의 음반을 홍보해주는 등 그녀에 대한 특별한 애정을 과시하기도 했다. [23] 500만장 인증, 실판 480만장+ [24] 11주간 Top 10에 머물러 있었다. [25] 1위를 차지하지는 못했지만 엄청난 롱런으로 2004년 빌보드 핫 100 연말 차트에서는 3위를 차지했다. [26] 하지만 원곡이 워낙 유명한데다 노래의 맛을 살리기 힘들어서 곧 잘 망하는 곡이다. [27] 워낙 오랫동안 사랑받은 곡이다보니 앨리샤를 몰라도 이 곡은 알 것이다. [28] 90년대까지만 해도 인기가 떨어지면 한국을 찾는 경우가 많았다. 지금은 덜해도 여전히 이런 성향의 팝스타가 은근 있다. [29] 당시 한국의 앨리샤 키스.. [30] 첫주에 20만장이나 팔렸다. [31] 앨리샤는 흑인음악팬들을 제외하면 한국에서 크게 유명하다 할 순 없지만, 이 시기는 어느 정도 인기가 있었다. 이 때는 팬카페 회원수도 1만 5천명이 넘었고 활동도 활발했다. [32] 정규 앨범으로는 무려 4년의 공백이다... [33] The Thing About Love나 Go Ahead 등이 대표적이다. [34] 2위도 7번이나 했다. 앨리샤 키스는 1위도 많이 했지만 유독 2위도 많이 했다. Fallin'도 1위를 6번했지만 2위도 5번이나 했다. 본 3집 앨범 역시 4주간 1위를 했지만 조쉬그로반의 캐롤음반과 경쟁하며 2위를 7번이나 했다. [35] 휘트니 휴스턴 I Will Always Love You가 49위인 걸 감안하면 차트에서 얼마나 성공했는지 알 수 있다. [36] 흑인 여성 가수 역사상 최다 판매고이다. [37] 400만장 인증, 실판 390만장+ [38] 이에 심기가 불편했는지, 에이미 와인하우스는 키스의 음악이 매우 지루하다며 디스하기도 했다. 에이미 인성수준 [39] 본작의 수록곡인 No One과 Superwoman으로 2년 연속 알엔비 여성 보컬을 수상한 것이 특이하다. [40] 보통 팝가수들은 마디마다 끊어서 앨범을 녹음한다. 가장 잘된 것을 이어 붙이는 식이다. [41] 200만장 인증, 실판 160만장+ [42] 하지만 대진운이 나빠서 무려 40만 장이 넘는 판매고로도 2위에 그쳤다. 당시에 오디션 신드롬을 일으켰던 수잔보일의 데뷔 음반이 1위를 차지했다. [43] 영국에서 1집은 120만 장, 2집은 60만 장, 3집은 40만 장, 4집은 110만 장, 5집은 25만장의 판매고를 기록했다. 4집은 음반시장이 많이 축소된 시기에 발매되었기 때문에 1집보다 더욱 큰 상업적인 성과를 얻었다고 할 수 있다. [44] 이 곡에서 가장 유명한 그녀의 코러스 파트는 키스가 직접 작곡했다. [45] 그녀의 커리어 중 유일하게 알엔비 이외의 장르에서 그래미 어워즈를 수상한 곡이기도 하다. 대표적인 알엔비 아티스트인 그녀는 올해의 노래, 신인상을 받은 Fallin'과 올해의 랩과 피처링 부문을 수상한 Empire State Of Mind를 제외하면 나머지는 알엔비 부문에서 수상하였다. 하지만 그녀가 주로 활동한 2000년대 초중반에는 빌보드 핫 100 30위 안에 20곡이 흑인 음악이었을 정도로 매우 경쟁이 치열하였다. [46] 빌보드 핫 100 11위에 그쳤지만 굉장히 꾸준히 사랑을 받으며 미국에서 600만장 인증을 받았다. 당시 높은 디지털 싱글 판매고와 라디오 방송횟수로 차트 상위안에 드는 것이 당연한 인기였지만 빌보드가 갑작스레 룰을 변경해 유튜브 조회수를 적극 반영하며 결국 톱텐에도 들지 못하고 말았다. 그 밖에 유럽 전역과 남미, 아시아 일부에서도 히트했다. 브라질에서는 인기 드라마 주제가로 삽입돼 티비에서 지겨울 정도로 나왔다고 한다. [47] 100만장 인증, 실판 80만 장+ [48] If I ain't got you처럼 메가히트한 것은 아니라 모를 수도 있다. [49] 사실, 업계의 판도가 바뀐 4집 앨범 이후 싱글이 망하는 게 팬들에게 익숙하긴 하다. [50] 전작의 When It's All Over 등 앨범 수록곡에서는 꾸준히 시도한 스타일인 듯하다. [51] 지미 키멜 쇼에 출연했을 때, 지미 키멜이 "당신은 화장을 안 해도 그렇게 이쁘니깐 지울 수 있는 거 아니냐"며 농담을 던지기도 했다. 사실이긴 하다. [52] 앨리샤는 평소 앨범이 발매되면 극악의 프로모션 일정을 소화해왔다. 하지만 커리어가 쌓이며 예전보다는 활동이 느슨해진 감이 있다. [53] 메타크리틱 76점으로 그래미를 수상한 전작보다도 점수가 훌륭한 편이다. 퀄리티는 좋지만 사실상 대중의 관심은 받지 못했다고 해두자. [54] 이 음반을 냈을때 이미 1집 이후 16년차였다. [55] 우리 나라에서 자우림이나 이소라 같은 가수를 현재 멜론차트에서 못 뜬다고 퇴물이라고 평가하는 사람은 드물것이다. 애초에 앨리샤 키스는 이런 가수들처럼 상업적으로도 대성공했지만 기본적으론 음악성에 기반을 둔 싱어송라이터이다. [56] 스트리밍 합산 [57] with Usher [58] JAY-Z의 곡에 피처링 [59] Eve의 곡에 피처링 [60] feat. Tony! Toni! Toné! [61] with Fivio Foreign, Kanye West [62] Drake의 곡에 피처링 [63] with Pedro Capó, Farruko [64] Cham의 곡에 피처링 [65] 50 Cent의 곡에 Dr. Dre와 함께 피처링 [66] with Jack White [67] with Miguel [68] 버블링 언더 #2 [69] feat. beyonce [70] 버블링 언더 #3 [71] 버블링 언더 #4 [72] feat. John Mayer [73] Eminem의 곡을 피처링 [74] 버블링 언더 #5 [75] Alejandro Sanz의 곡에 피처링 [76] with Maxwell [77] 버블링 언더 #12 [78] Empire Cast의 곡을 Jussie Smollett와 함께 피처링 [79] 뮤지션으로서 가장 중요한 커리어 중 하나이다. 아티스트를 소개할 때 "그래미 위너"라는 표현은 항상 따라다닌다. [80] 4개의 대상 중 하나이다 [81] 어셔와 공동수상. [82] 제이지와 공동수상. [83] 제이지와 공동수상. [84] 자연히 이전보다 음역대는 낮아졌다. [85] 컨디션에 따라 사전녹음을 하는 가수들도 많다. [86] 미국 팝은 한 곡 마다 4~5명씩의 작곡가가 달라붙어서 만드는 것이 일반적이다. [87] 공동 작사/작곡으로 1위에 오른 경우는 매우 흔하지만, 단독 자작곡으로 1위까지 간 여성 아티스트의 경우는 돌리 파튼("9 to 5"), 데비 깁슨("Foolish Beat", "Lost in Your Eyes"), 자넷 잭슨("Black Cat"), 글로리아 에스테판("Don't Wanna Lose You"), 로린 힐("Doo Wop (That Thing)"), 그리고 앨리샤 키스( Fallin') 등 극소수 뿐이다. [88] 애덤 리바인이 무례한 말을 한 것도, 앨리샤가 심각한 욕설을 한 것도 아니고 두 사람이 상당히 친하기 때문에 화기애애하게 웃으면서 농담 따먹기 하듯 한 말이다. [89] 흑인들은 엄청난 곱슬머리가 많기 때문에 머리를 기르면 아프로 헤어스타일이 된다. 극소수의 예외를 빼면 생머리나 웨이브진 머리를 한 흑인 여자 연예인들은 99% 본인의 머리를 밀고 붙임머리나 가발을 착용한 것이다. [90] 색조화장은 하지 않지만 피부결과 눈썹을 정돈하고 가슴에 글리터와 셰이딩을 넣었다.* [91] 외국에서는 별거를 한 뒤 한참 뒤에 이혼을 하는 경우도 많다고 한다. [92] 앨리샤, 비욘세, 미시 엘리엇이 함께 Verizon Ladies First Tour을 돌았다. [93] 앨리샤의 남편인 스위즈 비츠가 프로듀싱했다. 그는 비욘세의 빌보드 1위곡 Check on It도 프로듀싱했다. [94] 제이지와 비욘세를 중심으로 스포티파이, 유튜브 등에 대항해 슈퍼스타들이 모여서 만든 유료 스트리밍 사이트이다. 고퀄의 음질을 자랑하지만 비싼 회원권 때문에 무진장 욕을 쳐먹었다. [95] 그와는 서로의 커리어가 피크에 있던 2004년 쯤에 잠깐 사귄듯 하다. My Boo라는 합동곡을 내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