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11 23:19:35

기생충(영화)/평가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기생충(영화)
{{{#!wiki style="text-align:center; 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color: #336e43; min-width: 50%; margin-top:-2px"
{{{#!folding [ 등장인물 ]
{{{#!wiki style="margin:-1px -1px 0;word-break:keep-all"
<tablebgcolor=#fff,#000> 김기택 일가
김기택
박충숙
김기우
김기정
박동익 일가
박동익
최연교
박다혜
박다송
}}}}}}}}}
[ 관련 문서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000><tablealign=center><width=1000> 등장인물 ||<width=33.3%> 줄거리 ||<width=33.3%> 해석 ||
평가 수상
( 아카데미상)
흥행
( 대한민국 · 북미)
}}} ||



1. 개요2. 설명3. 평점4. 별점5. 단평6. 외신7. 선정8. 비주류적 평가
8.1. 미국8.2. 일본 넷 우익8.3. 한국 보수 유튜버
9. 외부 링크

1. 개요

영화 기생충에 대한 평가를 다루는 문서.

양극화와 자본주의 사회의 계급 간 갈등을 봉준호 감독의 시각에서 독창적으로 표현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오리지널리티, 빈부격차가 가져오는 희비극적 갈등에 관한 메세지를 담아낸 디테일한 촬영, 미술 등 미장센과 잘 짜인 각본 또한 높게 평가된다.

2. 설명

An urgent, brilliantly layered look at timely social themes, Parasite finds writer-director Bong Joon-ho in near-total command of his craft.
시의적절한 사회 문제들을 화려하게 층층이 쌓아 올렸다. 영화 〈기생충〉을 통해서 봉준호 감독이 자신의 기교를 거의 완벽하게 구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로튼 토마토 컨센서스

봉준호 감독의 전작들이 그러하였듯이 100억이 넘는 제작비가 들어간 작품임에도 작가주의적인 성격이 짙지만, 이러한 작가주의 성향인 영화들이 일반적으로 연출과 전달 방식이 난해하고 호흡이 느려 사람들에게 외면받는 것과 다르게 〈기생충〉은 관객들의 평도 상당히 좋다.[1] 미장센과 메시지에 공을 상당히 많이 들인 작품이지만 그렇다고 해서 그 전달 방식이 크게 난해하지 않은 터라 영화에 대해 잘 모르는 관객들도 이해하기 어렵지 않다. 그리고 블랙 코미디, 늘어지지 않고 빠르게 흘러가는 스토리, 반전, 스릴러 연출, 매력적인 등장인물들, 복선을 회수하며 깔끔하게 끝나는 결말 등 대중이 좋아할 만한 요소들이 많고, 이러한 요소들의 완성도 역시 높아 굳이 머리 써가며 의미를 찾으려 하지 않아도 봉준호 특유의 오락성이 가미되어 재미를 보장해준다.

양극화의 디테일한 연출 탓에 반지하에 살아봤던 사람들 사이에서 서글픔과 상처를 부르기도 했다. 이런 양극화를 소재로 한 영화들의 스토리가 대부분 '가난하지만 선량한 시민 vs 부패한 상류층'이란 구도로 흘러가서 진부하고, 정치적인 요소가 너무 많이 들어간다고 비판을 받지만, 〈기생충〉은 치밀한 각본과 연출을 통해 이러한 비판을 영리하게 피해갔다. 각 계층 사람들의 어두운 면모를 포함한 모든 모습을 전체적으로 보여줌으로써 선악이 명확하지 않은 입체적인 인물상을 구축하여 진부한 전개를 벗어났으며, 정치적 요소를 직접적으로 제시하는 대신에 간접적인 설정과 복합적인 플롯 구성으로 치환하여 배치하고, 빈부격차나 계층 간 문제와 이에 수반되는 희비극적 갈등 자체에 집중하는 전개를 보여주었기에 정치적 논란에서 비교적 자유로울 수 있는 것.

봉준호 감독이 " 한국인이라야 100% 이해할 것"이라고 밝혔을 만큼, 한국적인 요소가 작품 내에 깔려있지만 빈부격차라는 보편적인 주제를 내세워 봉준호 감독 특유의 일상생활에 흔히 있으면서도 어느 순간 갑자기 보이게 되는 사소한 것들을 콕 찝어내 현상을 설명하는 화법이 외국인들에게도 공감을 사며 좋은 평을 받았다.

실제로 칸 영화제 상영일에 〈기생충〉을 본 대부분의 외국 관객들은 영화의 내용이 자기 나라 상황과 똑같다고 말했다. 한 영국인 관객은 " 런던 배경으로 영화를 리메이크하더라도 시나리오를 하나도 고칠 필요 없다"라는 감상평을 남겼고, 또한, 개발도상국인 베트남의 관객들도 과외선생, 운전기사, 가정부 등이 공감할 수 있는 요소들이고, 특히 빈곤층이 물난리로 이재민이 되는 것이 가장 감정이 이입되는 장면이라고 한다. 미국인 관객도 "당장 내일 LA 워싱턴에서도 리메이크할 수 있다"고 말했으며 이탈리아, 홍콩의 관객들도 딱 자기 나라 상황이라고 했다. 워싱턴 포스트는 미국 시간 2020년 2월 14일에 '<〈기생충〉은 한국의 불평등을 악몽처럼 그린다. 미국에서의 현실은 훨씬 더 나쁘다'라는 제목의 기사를 실었다. 칸 영화제 심사위원장 알레한드로 곤살레스 이냐리투 감독은 〈기생충〉에 대해 "매우 로컬(한국)적이면서 세계적인 영화였다"고 평가했다. 그만큼 빈부격차 양극화에 대한 사회불만, 그러면서도 이를 깰 수 없는 무력감, 이를 받아들이기 위해 취하는 위선 등이 한국뿐만이 아닌 전 세계적 문제이자 공통의 관심사라는 것이 이 영화의 엄청난 반응을 통해 느낄 수 있다.

3. 평점


||<-3><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bgcolor=#333><tablebordercolor=#333> 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 ||
메타스코어 97 / 100 점수 8.9 / 10 상세 내용



||<-2><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f93208><bgcolor=#f93208> 파일:로튼 토마토 로고 화이트.svg ||
신선도 99% 관객 점수 90%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f6c700><tablebordercolor=#f6c700><tablebgcolor=#fff,#191919><:> [[IMDb|
파일:IMDb 로고.svg
]] ||
( IMDb Top 250 33위{{{#!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left: 0.5em")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14181c><tablebordercolor=#14181c><tablebgcolor=#fff,#191919><:> 파일:Letterboxd 로고 화이트.svg ||
( Letterboxd Top 250 9위{{{#!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left: 0.5em")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fc0><bgcolor=#fc0> 파일:알로시네 화이트 로고.svg ||
전문가 별점 4.8 / 5.0 관람객 별점 4.5 / 5.0



## 🔶🔶🔶 일단 위키 링크는 사이트 정식 명칭 MYmovies.it로 걸어둠
파일:마이무비스.it 로고.png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argin:-5px -10px"
[[https://www.mymovies.it/film/2019/parasite|{{{#!wiki style="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middle"
{{{#!wiki style="margin:-10px 0; width:calc(100% + 16px - 1em); max-width:calc(100%+20px); font-weight:bold"
<rowcolor=#fff>
스코어
4.00 / 5.00
비평 별점
4.29 / 5.00
관객 별점
3.65 / 5.00
}}}}}}]]}}}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005><bgcolor=#005> 파일:키노포이스크 로고.svg ||
별점 8.0 / 10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f00><#fff,#ddd> 파일:야후! 재팬 로고.svg ||
별점 4.0 / 5.0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000000><tablebordercolor=#000000,#FFFFFF><tablebgcolor=#FFFFFF,#191919><:> 파일:Filmarks 로고.svg ||
별점 4.0 / 5.0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333><bgcolor=#333> 파일:엠타임 로고.svg ||
평점 8.3 / 10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6699cc><#edf4ec> 파일:더우반 로고.svg ||
별점 8.8 / 10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px><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5F00D2><#fff,#bbb> 파일:야후 키모.png ||
별점 4.1 / 5.0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ff0558><bgcolor=#ff0558> 파일:왓챠피디아 로고 화이트.svg ||
별점 4.3 / 5.0



||<-2><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ordercolor=#101322><#101322><tablebgcolor=#fff,#191919> 파일:키노라이츠 화이트 로고.svg ||
지수 96.45% 별점 4.3 / 5.0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bgcolor=#03cf5d><tablebordercolor=#03cf5d><tablebgcolor=#fff,#191919> 파일:네이버 로고 화이트.svg ||
{{{#!wiki style="display:161967"
{{{#!wiki style="display:none; display: inline-block; display: 161967; margin:-5px -9px"
[[https://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161967|{{{#!wiki style="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middle"
{{{#!wiki style="margin:-10px 0; width:calc(100% + 16px - 1em)"
기자·평론가
9.06 / 10
관람객
9.07 / 10
네티즌
8.49 / 10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5px -9px"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영화++평점|{{{#!wiki style="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middle"
{{{#!wiki style="margin:-10px 0; width:calc(100% + 16px - 1em)"
<table width=100%><tablebordercolor=#fff,#191919><tablebgcolor=#fff,#191919><tablecolor=#000,#fff>
기자·평론가
9.06 / 10
관람객
9.07 / 10
네티즌
8.49 / 10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6393f9><tablebgcolor=#fff,#191919> 파일:다음 로고.svg ||
평점 7.9 / 10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F84C4D><tablebordercolor=#F84C4D><tablebgcolor=#fff,#191919>
파일:CGV 로고 화이트.svg
||
지수 95%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da291c><tablebordercolor=#da291c><tablebgcolor=#fff,#191919> 파일:롯데시네마 로고 영문 백색.svg ||
평점 9.1 / 10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bgcolor=#3c2a78><tablebordercolor=#3c2a78><tablebgcolor=#fff,#191919><:> 파일:메가박스 로고 화이트.svg ||
평점 8.5 / 10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ff5e2a><tablebordercolor=#ff5e2a><tablebgcolor=#fff,#191919><:> [[MRQE|
MRQE
]] ||
평점 92 / 100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032541><tablebordercolor=#032541><tablebgcolor=#fff,#191919><:> 파일:TMDB 로고.svg ||
점수 85%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fff,#bbb><tablebordercolor=#2d2338><tablebgcolor=#FFFFFF,#191919><:> 파일:무비파일럿 로고.svg ||
평점 8 / 10


||<-2><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ordercolor=#000><#fff,#bbb> 파일:씨네21 로고.svg ||
씨네21 9.09 / 10 별점 9.13 / 10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000000><tablebordercolor=#000000><tablebgcolor=#FFFFFF,#191919><:> 파일:맥스무비 백색 로고.png ||
평점 7.68 / 10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bgcolor=#fff><tablebordercolor=#ba9200><tablebgcolor=#FFFFFF,#191919><:> 파일:로저 이버트 닷컴 로고.svg ||
별점 4 / 4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px><tablebgcolor=#fff,#191919><bgcolor=#275c9d><tablebordercolor=#275c9d> 파일:MyDramaList_logo.png ||
별점 8.9 / 10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1d1d1b><tablebordercolor=#96a825><tablebgcolor=#fff,#191919> 파일:파리부 시네벌스 로고.svg ||
평점 8.4 / 10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f2f2f2><tablebordercolor=#f7a600><tablebgcolor=#fff,#0d0d0d><:> 파일:cinemos0.png Rate Your Music||
( Top films of all time 20위{{{#!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left: 0.5em")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91144b><bgcolor=#fff> 파일:구글 TV 로고.svg ||
별점 4.3 / 5.0


||<-2><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table bordercolor=#00e164><table bgcolor=#ffffff,#2d2f34><bgcolor=#00e164> 파일:네이버 시리즈온 로고 화이트.svg ||
별점 8.49 / 10 133


로튼 토마토에서는 약 150여명의 평론가가 평가할 때까지 만장일치 Fresh로 신선도 100%를 유지했다. 이후로도 2023년 9월 기준 483여명 평론가가 평가한 시점까지 썩토 7개로 신선도 99%, 평점 9.40을 기록하고 있다. IMDb에서는 10월 19일부터 한국 영화 중 1위를 유지 중이다. 메타크리틱 Critics Pick The Best Movie of 2019에서는 2020년 1월 11일 기준 434.5점으로, 2위 작품인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할리우드와 142점의 차이를 내며 압도적 1위를 차지했으며 2010년대 통틀어 1위다.

한국에서 상영이 종료되고 북미에서도 2021년이 되어서도 IMDb에서 평점이 올랐다. 2022년 4월 5일 기준 IMDb TOP 250에서 35위에 올라 있는데, 이는 아시아 영화 순위 중에서 3위[2], 2010년대 개봉 영화 2위[3]에 해당하는 높은 평점이다.

RYM에서는 역대 영화 순위 20위를 기록 중이며 2010년대 개봉 영화 중에서는 1위를 기록중이다.

4. 별점

'그' 집과 '그' 집 사이에 놓인 계단 숫자만큼의 자존감 차이에 대해
김성훈 ( 씨네21) | ★★★★☆
봉준호가 '그 검은 상자'를 열어버렸다
김소미 ( 씨네21) | ★★★★☆
2019 반지하 오디세이
김현수 ( 씨네21) | ★★★★★
정밀한 나머지 비통한 계급의식의 조감도
김혜리 ( 씨네21) | ★★★★☆
'유쾌한 전율'이 스멀스멀
박평식 ( 씨네21)[4] | ★★★★
만인이 투쟁하는 '시대의 서스펜스'
송형국 ( 씨네21) | ★★★★☆
상승과 하강으로 명징하게 직조해낸 신랄하면서 처연한 계급 우화.[5][6]
이동진 | ★★★★☆
부르주아의 사려 깊은 매력, 취하거나 찌르거나
이용철 ( 씨네21) | ★★★★★
뼈를 때리는 블랙 유머, 오랫동안 얼얼하다
이주현 ( 씨네21) | ★★★★☆
예술과 상업, 장르의 구분이 무의미한 드문 영화적 체험
임수연 ( 씨네21) | ★★★★☆
시대의 환경을 이식한, 끝내주는 장르영화
장영엽 ( 씨네21) | ★★★★☆
봉준호 월드의 도약
전작 〈옥자〉가 봉준호 월드의 확장이었다면, 〈기생충〉은 봉준호 월드의 도약이다. 단숨에 최고층에 올랐다기보다는 작품마다 쌓은 주제가 견고한 계단을 놓았다는 표현이 적절할 것이다. 자본주의 한복판에 살고 있는 가족의 이야기는 실내극 형식을 취하면서 이전보다 직접적이고 밀도 높게 그려졌다. 중반까지 속력을 내는 코미디와 전환점 이후에 넘실대는 장르의 변주는 완벽한 계획대로 실행되며 재미를 안긴다. 장르적 쾌감에 비례해 메시지는 가슴을 짓누른다. 자본주의의 온갖 격차를 체감하는 관객의 급소를 찌르고 후벼 판다. 21세기 한국 사회를 정확히 조준하는 봉준호의 일격 화살, 봉준호 월드에서 가장 아린 새드 무비.
- 정유미 ( 맥스무비) (★★★★☆)
다 떠나서 일단, 재밌다
장르영화의 최전선에서, 장르의 규칙은 조금씩 비틀며, 기존 장르영화와는 결이 다른 장르물을 그려 온 '봉준호리즘'의 확장판. 섞이지 않을 것 같은 요소들을 능구렁이처럼 혼합한 손맛이 찰지다. 감독 김기영의 〈하녀〉 세계관을 〈설국열차〉에 태워 〈마더〉의 잔혹성에 잠시 정차했다가 〈살인의 추억〉의 사회 부조리를 경유해 〈지리멸렬〉한 세상으로 향한다. 하강의 아찔함을 치밀하게 설계한 수직의 로케이션, 배우 동선에 리듬을 부여하는 세트 디자인, 쉬지 않고 터지는 블랙 유머도 〈기생충〉과 공생한다. 웃다가 경탄하다가 경악하다가 종국엔 서글퍼지는, 작품성과 오락성이 팽팽하게 배합된 봉준호식 짜파구리. 다 떠나서 일단, 재밌다.
- 정시우 (★★★★☆)
더 넓게, 더 깊게. 확장의 시력으로 현 사회 계급을 탐색하는 봉테일적 시각
봉준호 감독의 영화는 수평과 수직 가로지르기다. 신자본주의 사회 이분법적인 빈부의 세계를, 이렇게 나눠진 구조 안에서 하층민의 시각으로 바라본다. 바닥을 치고 올라가고자 했던 한 평범한 가족의, 바닥을 친 모멸감이 뚫고 올라와 일으킨 비극. 전원 백수, 반지하에 사는 한 가족이 지금의 ‘하녀’, ‘을’의 입장에서 꿈꾼 잠깐의 설렘이 1960~70년대 김기영의 〈하녀〉가 이루고자 했다 실패한 소박한 신분 상승의 욕망과 오롯이 겹쳐진다. 이 사건을 결과만 놓고 보면 어떻게 이들의 행동을 납득시키고 설명하지 하는 그런 식의 이야기를 보았다. 그 누구의 악의도 없이 일어난, 건널 수 없는 이 사회의 모난 형태. 웃기다가 슬프고 거기 더해 씁쓸함이 입안에 남아 감돈다. 봉준호의 최고작인가를 떠나, 봉준호의 영화가 그간 고민하고 성취해 온 지점을 파고파고 확장시키고, 또 이어붙여 만든 잘 정련된 최상의 포트폴리오임에는 틀림없다. 남김없이 끝까지 간다.
- 이화정 ( 씨네21) (★★★★☆)
블랙 코미디로 그린 계급사회의 지형도
봉준호 감독은 꼬리 칸 승객들은(〈설국열차〉) 앞 칸으로 가기 위해 몸부림이라도 칠 수 있었지만 그럴 수도 없거니와 그럴 의지마저 박탈당한 현시대의 공기를 〈기생충〉에 담아냈다. 고지대와 저지대, 지상과 지하 등 공간의 낙차를 이용해 노골적으로 계급성을 부각시키고, 각종 모순 속에서 살아가는 인물들은 그 자체로 한국 사회가 된다. 서로 다른 계급의 가족들이 부딪쳐서 생겨나는 불협화음에 키득키득 웃다 보면 어느새 입안에 쓴맛이 가득 고인다.
- 이지혜 (★★★★☆)
봉준호의 새로운 걸작
우리의 마음에는 무엇이 기생하는가. 무엇이 우리를 ‘무계획이 계획’인 삶으로 몰아넣는가. 그 탐구를 위해 감독의 시선은 아래로, 더 아래로 내려간다. 기막힌 박자감과 유머가 뒤섞인 한바탕 난장처럼 보이지만, 뜯어볼수록 미술과 음악을 포함해 영화를 구성하는 모든 요소가 더없이 정교하다. 더욱 중요한 건 극장 밖을 나서는 순간 관객들에게 이어지는 실감이다. 다닥다닥 붙은 좁은 골목의 반지하들, 흔한 지하철 속 풍경들을 바라보는 시선은 전과는 조금 달라진다. 스스로는 잘 느껴지지 않던 나의 냄새를 맡아본다. 마음에는 무거운 돌덩이가 착 달라붙는다. 이 슬픈 실감이야말로 〈기생충〉을 진정으로 완성하는 마지막 조각일 것이다. 감독의 상상력을 완벽한 실재로 구현해낸 배우들의 연기는 감탄 그 이상을 부른다. 납득되기 어려운 무언가를 배우들의 연기로 넘어서게 만드는 지점들이 있다. 송강호라는 믿음직한 코어를 중심으로 모든 배우들이 저마다 완벽에 가까운 음을 쌓아올린다. 특히 조여정과 이정은을 중요하게 언급하고 싶다. 결코 쉽지 않은 역할을 경이로운 내공으로 소화한다.
- 이은선 (★★★★☆)
감출 수 없는 것과 이룰 수 없는 꿈
감출 수 없는 가난의 흔적은 숨겨지지 않는 체취로 남아있다. 반지하에 걸쳐진 삶은 지상을 향하는 욕망과 지하로 추락하는 공포가 공존한다. 내 손에 쥔 행복을 나눌 수 없기에 서로의 간극은 더 넓혀질 뿐이다. 이룰 수 없는 꿈을 이야기하는 이 영화는 어떤 호러보다 처절한 두려움을 선사한다. 인물들의 연기는 빈틈 하나 없이 모든 장면에 꽉 채워 들어앉았고, 예상할 수 없는 전개에 넋을 놓고 따라가다가도 송곳 같은 유머를 만나 키득거린다. 감춰진 상징과 의미를 모두 덜어내더라도 영화가 선사하는 즐거움을 만끽하기에 충분하다. 동시대를 살고 있어 만난 행운 같은 영화다.
- 심규한 (씨네플레이) (★★★★☆)
가 느끼는 무력한 분노가 이 놀라운 영화의 모든 프레임에 스며들어 결과적으로 우리 모두를 조금 더 풍요롭게 한다
봉준호 영화 중 최고다. 전작들을 모두 합쳐 자본주의 사회에서 함께 살아간다는 것의 공포에 관한, 현실에 단단히 발을 붙인, 재미있고 웃기면서도 아플 정도로 희비가 엇갈리는 한 꾸러미로 보여준다. 〈기생충〉의 가장 좋은 점은 우리가 더 이상 봉준호의 작품을 기존에 있던 분류 체계에 껴 맞추기 위해 애쓰지 않아도 된다고 허용해 준다는 점이다. 봉준호는 마침내 하나의 장르가 되었다.
- 인디와이어 선임 평론가 데이비드 얼리크, A-, 4.5/5 레터박스 개인 계정
최고로 풍부한 독창성. 재밌다고 느끼다가, 생각에 잠기게 한다

젠체하는 기색은 전혀 없는, 겉보기에 우스운 영화 같지만 사실은 무척 딥하고 다크하다. 예측할 수 없는 전개가 계속 이어지는 오락성 넘치는 영화이면서, 마지막에는 많은 것을 생각하게 만든다. 그 스마트함에 경의를 표할 수밖에.

도중에 벌어지는 그러한 톤의 변화가 전혀 무리가 없는 것도, 만든 이의 실력을 증명하는 것이라 할 수 있겠다. 소득격차는 현재 전 세계적인 문제인데, 지난해에 〈어느 가족〉도 바로 그 문제를 다루는데다가 두 작품이 모두 칸 황금종려상을 수상한 것 때문에 좋은 비교가 되는데, 〈어느 가족〉과 〈기생충〉은 전혀 다르다. 그 점 또한 그 두 작품을 걸작으로 만들어주고 있다. 훌륭한 캐스팅도 언급하지 않을 수 없다.
- 사루와타리 유키(영화 저널리스트) | ★★★★☆
한치 앞을 읽을 수 없는... 그런 정도가 아닌, 충격의 영화체험

'예측 불가'의 작품들은 많이 있지만, 전개 자체는 물론 느끼는 '감각'마저 예상할 수 없는 순간이 노도처럼 몰아닥친다. 코미디와 서스펜스, 인간 드라마, 액션, 사회성 등 다양한 장르를 적절하게 망라해 영화팬들에게 더없이 행복한 체험을 하게 해주는 작품이다.

반지하에 사는 4인 가족의 씩씩함, 당참, 재치와 대응력이 감정이입을 불러오고, 복선의 회수도 포함하여 계산해 만든 각본. 웃음과 놀라움의 신들린 듯한 타이밍, 봉준호의 연출에는 조금의 낭비도 없다. 유일하게 존재하지 않는 것은 뻔한 감동. 때문에 과잉의 스토리, 타협 같은 건 전무하다. 수많은 감정들에 마음이 흔들렸고, 이윽고 찾아온 것은 모종의 황홀감이었다.
- 사이토 히로아키(영화 전문 자유기고가) | ★★★★★
천연덕스럽게 대저택에 기생해가는 일가족의 모습은 기묘한 곤충 같다. 뻔뻔함이 지나치지만 묘한 웃음이 있다. 연기자들도 훌륭
- 나카노 미도리(칼럼니스트) | ★★★★★
'반지하'가 불러일으키는 이미지의 연쇄가 머리를 자극하고, 이어서 웃음과 공포가 두뇌를 폭발시킨다. 꿍꿍이로 가득한 걸작.
- 시바야마 미키오(번역가) | ★★★★★
넓고 큰 집일수록 모르는 무언가가 잠복해 있다. 우당탕 코믹 터치의 두려움 이상으로 싸늘하게 리얼한 두려움이.
- 사이토 아야코(작가) | ★★★★★
너무 재밌어서 놀랐다. 오락성도 예술성도 사회 파악도 최상급. 이 시대 최고의 천재 작가가 쳐버린 거대 스타디움의 장외 홈런이다.
- 모리 나오토(영화평론가) | ★★★★★
압도적인 구성력. 스크린에서 특유의 냄새가 풍겨 나와 관객에게 들러붙어 둥지를 틀어버린다. 한국 소주 냄새가 생각나게 하는 노래(엔딩곡 '소주 한잔')에 별점.
- 도구치 요리코(일본 영화배우)[7] | ★★★★★

5. 단평

내국인 - 감독 - 배우 - 전문가/ 언론 - 관계자/ 기타 직업

국내인물
뭐 기생충이라는 영화가, 저희들에게 뭐.. 작은 선물이 있다면은.. (중략) "우리도 이런 영화를 만들 수 있다."라는 그런 작은 자부심? 또 "우리도 이런 영화를 자막 없이 볼 수 있다."라는 큰 자긍심이 아닐까 감히 생각해봅니다.
- 배우 송강호[8] #
완벽한 영화, 경의를 표한다.
- 영화감독 박찬욱 #
봉준호 감독, 이런 영화를 만들어주어 고맙다.
- 배우 이순재 #
영화란 게 아무리 잘 만들어도 어느 한쪽이 비거나 거슬리기 마련인데 〈기생충〉에는 그런 게 전혀 없었다. 칸에서 황금종려상을 받는 걸 보고 일부러 전화를 걸어 축하를 했었다.
- 영화감독 임권택 #
〈기생충〉이 한국 영화의 미래를 밝힌 것만은 사실이다. 다만, 한국영화사에서 이 작품이 어떤 의미를 지니게 될지는 앞으로 100년이 어떻게 될지에 달렸다. 〈기생충〉을 정점으로 내리막길로 갈지, 〈기생충〉을 계기로 활짝 피어날지는 우리에게 달렸다. 〈기생충〉은 그런 질문을 하는 영화다. #1 #2

나는 〈기생충〉이 봉준호 감독의 최고작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하지만 봉준호의 가장 세련된 영화인 건 사실이다. 7번째 장편을 만들었는데, 다시 시작한다는 느낌을 주는 감독은 흥미롭다. 그의 다음 영화가 궁금하다. #
- 영화평론가 정성일
영화제 수상, 비평적 논의, 흥행 3가지 모두를 성취한 영화. 장르적 재미를 장착했지만 대중영화의 화법과 문법을 거스르는 불편한 영화가 1000만을 넘는다는 것은 전례를 찾아보기 힘들다. 한국뿐만 아니라 세계에서도 보기 드문 성공사례.

한국 영화만의 특수성을 지닌 중간 영화[9]로서 상업 대중영화와 예술영화의 경계가 무의미해졌음을 보여준 기념비적 사례.
- 한국문화콘텐츠비평협회장 전찬일 #1 #2


감독
나는 〈 살인의 추억〉 이후로 봉준호 감독을 사랑하고 존경해 왔는데, 그는 매번 나를 놀라게 하고 기쁘게 하고 감동시킨다. 그래서 이 작품이 그의 최고작이라고 말하는 것은 나에게 큰 의미가 있다. 정말 그렇다. 슬픔과 재치와 깊이가 넘치는 영화다. 불손하지만 연민이 있다. 놀라운 영화다.[10]
- 멕시코 영화감독 기예르모 델 토로 #
〈기생충〉, 이 영화는 정말 독특한 경험이었다. 예상할 수 없는 영화였다. 우리는 영화를 본 후 모두 이 영화가 예상치 못한 방법으로 여러 장르를 혼합하여 우리를 이끈 미스터리함에 대해 이야기를 나눴다. 이 영화는 우리에게 매우 시급하고, 우리의 삶에 있어 다룰만한 가치가 있는 주제를 재미있고 유머러스하게, 그러나 어떤 속단도 없이 신중한 방식으로 전달하며 아름다운 효율성과 더불어 진짜 영화란 무엇인지에 대한 이해가 담겨 있는 작품이었다.
매우 로컬 필름적이면서 세계적인 영화였다. 우리 심사위원들은 이 영화의 결과에 마음을 빼앗겨버렸다. 시간이 갈수록 그 마음이 커지고 또 커졌다. 그리고 만장일치의 결정을 내렸다.
- 알레한드로 곤살레스 이냐리투 감독 [11] 전문
〈기생충〉 시사 직후 모든 심사위원들이 작품에 매료됐고, 이 작품을 황금종려상 수상작으로 결정하는 데 단 1분도 주저하지 않았다. 탁월한 미장센, 배우들의 연기, 주제의식 등 〈기생충〉은 정말 놀라운 작품이다. 봉준호 감독이 수상 소감 자리에서 조르주 클루조와 샤브롤 감독에게 많은 영향을 받았다고 했는데, 나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 나는 〈기생충〉을 히치콕 감독 영화의 경지에 오른 작품이라고 말하고 싶다. 장르 영화도 정치 영화도 아니면서 사회적 주제를 유머러스하게 풀어냈다. 가장 놀라운 점은 그 어떤 순간이든 관객들의 감정선을 끝까지 끌고 가는 힘이 있다는 것이다.
- 로뱅 캉피요 감독[12] #
정말 재미있고, 충격적이며, 기념비적인 작품이다. 〈기생충〉은 자본주의에 관한 위대한 영화 중 하나이다.
- 미국 영화감독 애덤 매케이 #
젠장! 와우! 〈기생충〉은 완벽하고도 훌륭한 작품이다. 재미있고 예측할 수 없으며 여러 가지 복합적인 감정을 느끼게 한다. 그야말로 거장이 만든 역작이다.
- 미국 영화감독 룰루 왕 #
〈기생충〉은 올해 영화 중 최고다. 슬프고 너무 웃기고 공포스럽고 아름답다.
- 미국 영화 감독 제임스 건 #
내 밑에 깔린 카펫을 누군가 스르륵 빼가는 듯했다. 전혀 예상치 못한 전개로 아주 서서히 흘러갔다. 영화 전체가 수직적으로 통합되어 있고, 봉준호 감독의 특색이 확실하다. 이와 비슷한 영화는 없을 것이다. 모든 것이 새롭다.
- 미국 영화 감독 사프디 형제 #
"올해 최고의 영화."
나의 16살 아들이 〈기생충〉 엔딩 크레딧이 올라갈 때 나한테 한 말.
- 미국 영화 감독 스콧 데릭슨 #
그래요, 〈기생충〉은 놀랍습니다. 올해 나온 영화 중 제가 가장 좋아하는 영화입니다. 진정한 걸작입니다.
- 미국 영화 감독 마이크 플래너건 #
최근 개봉작 중 가장 좋아하는 영화.
- 미국 영화 감독 토드 필립스 #
봉준호 감독의 〈기생충〉은 대단한 히트이다! 몇 년 전만 해도 아시아의 숨은 수작(Asia Extreme) 정도로 불렸을 영화가 이젠 주류가 되었다. 대중 문화는 (마치 빌리 아일리시처럼) 이러한 특이한 톤을 가진 것을 수용할 필요가 있다. 피튀기는 싸움을 그리면서도 사회적 현상에 정면으로 반박하는 신선한 공기같은 영화다.[13]
- 미국 영화감독 짐 자머시 #
마침내 〈기생충〉을 봤고, 나도 이렇게 좋은 영화를 만들 수 있을까라고 스스로 물어봤다. 그 영화는 나에게 격려와 낙담을 모두 안겨줬다.
- 미국 영화감독 리 아이작 정 #
봉준호 감독은 20년 가까이 많은 장르를 오가며 걸출한 영화들을 만들어왔다. 재밌으면서도 신경을 곤두서게 만드는, 엄청나게 엔터테이닝한 스릴러인 〈기생충〉으로 제대로 크로스오버를 하며 (그것도 한국을 배경으로 한 영화로) 돌아와 정말 기쁘다. 어서 빨리 다시 보고 싶다.
- 영국 영화감독 에드거 라이트 #
〈기생충〉은 훌륭한 영화입니다! 만약 이 영화가 오스카 작품상을 수상한다면, 그럴 자격이 충분합니다.
- 영국 촬영감독 로저 디킨스 #
몇 년간 정말 흥미진진한 영화들을 못 보고 있다가 정말 흥분하며 봤다. 봉준호 감독의〈기생충〉은 내가 왜 내가 하는 일을 사랑하는지를 상기시켜줬고 영화와 나를 재결합시켜줬다. 무척 신나는 경험이었다.
- 미국/영국 영화감독 크리스토퍼 놀란 #
조지 밀러 감독이 2022년 선정한 최고의 영화 10에도 〈기생충〉이 아시아 영화로 유일하게 있다. #
대부 2 (1974)
알제리 전투 (1966)
피노키오 (1940)
사랑의 블랙홀 (1993)
매시 (1970)
보이후드 (2014)
에이리언 (1979)
기생충 (2019)
그랜드 부다페스트 호텔 (2014)
쉰들러 리스트 (1993)
뇌수를 강타당한 듯한 충격이었다. 나의 개인적인 영화사는 봉준호 감독의 〈기생충〉으로 완전히 새롭게 바뀌었다. 동시대 영화를 보고 그런 감각에 휩싸이리라고는 솔직히 전혀 예상 못 했기에, 상영이 끝난 뒤 스스로의 체험을 믿을 수 없어 현기증마저 느꼈다. 보고 나서도 내내 이 영화를 거듭 생각한다. 모든 점에서 내 작업과는 비교할 수 없는 작품이지만, 그래도 이 작품은 나를 '영화 만들기'란 무엇인지 근본부터 재검토하도록 강력히 떠밀고 있다.

'걸작'이라는 말로도 부족한, 현대영화의 한 도달점. 영화란 이 정도로 재밌게 만들지 않으면 안 되는 걸까, 한 명의 감독으로서 망연자실하게 됐다.
- 일본 영화감독 하마구치 류스케 #[14]
아직 못 본 사람에게 이 영화의 내용을 설명하는 건 촌스러운 짓이다. "보라!"라고 할 수밖에 없고 "재밌다!"라고밖에 할 말이 없다. 그러니 아무튼 간에 봤으면 좋겠다.
- 일본 영화감독 고레에다 히로카즈 일본 감독들 반응
보자마자 속으로 중얼거린 말은 "아, 도저히 (나와) 같은 직업이라고는 생각되지 않는구나." 였다. 감동을 넘어 무릎을 꿇게 만든다. 이건 그야말로 영화라는 범주를 넘어선 것이다. 저술이자 조각이자 회화이기도 하고 건축이기도 하다. 늘 언더그라운드에서 세계를 응시하는 봉준호 감독은 이 작품으로 이제는 현대의 미켈란젤로가 되었다. 분하지만 그를 능가할 수 있는 사람은 그 자신밖에 없을 것이다.
- 일본 영화감독 사카모토 준지
어두컴컴한 날에 숨어서 질주하듯이 휘감는 흥분과 자극의 저편에서, 사회의 부정함, 인간의 우스꽝스러움을 교훈 따위로 말하지 않고 우아하게 그려낸 그 수완에 그저 넙죽 엎드리게 된다. 웃으면서 관람하다가 문득 등골이 오싹해지는 충격으로 전율하게 된다. 궁극의 변태이자 철저한 잔혹함(최대의 찬사다!), 그리고 아주 약간의 상냥함이 뒤섞인 봉준호가 바라보고 있는 것은 분명 "인간의 존엄". 아득히 저편에 희미하게 보이는 거대한 뒷모습을 앞으로도 계속 쫓아가고 싶다고 나는 생각했다.
- 일본 영화감독 이상일
봉준호 감독이 지닌 천재적인 그로테스크함과 웃음에 최상급의 세련됨이 더해졌다. 이토록 사회의 심각한 병폐를 그리고 있음에도, 어쩜 이렇게나 재밌게 볼 수 있는 걸까. 영화를 진지하게 보는 사람이든, 영화를 그다지 보지 않는 사람이든 5분 만에 눈을 뗄 수 없도록 만들어졌습니다. 전 세계에서 찬사를 보내는 게 당연!
- 일본 영화감독 니시카와 미와
가난한 가족이 부자 가족을 침식해가는, 뻔한 코미디인 것처럼 안심하게 해놓고는, 터무니없는 곳으로 관객을 인도한다. 봉준호는 영화를 믿고 관객을 믿고서 자신의 영화를 가지고 유희를 즐긴다. 영화 전체가 꽉 차 있다는 느낌. 언젠가 그의 발끝에라도 닿도록 해주세요.
- 일본 영화감독 야마시타 노부히로
봉준호 감독이 홈그라운드로 돌아왔다!! 딱 들어맞는 프레임, 리드미컬한 대사, 경악스런 스토리텔링! 그 하나하나에 의미를 담아 계산하여 만들었다! 예술과 엔터테인먼트의 훌륭한 융합! 보고난 뒤에 당신에게 기생하는 대걸작입니다!
- 일본 영화감독 가타야마 신조
10대 때는 "아카데미상에서 작품상을 받겠다!"며 큰 소리를 쳤다. 20대, 일단은 감독으로서 자리를 잡는 데 필사적이어서 '세계' 같은 건 보이지도 않게 됐다. 30대, 최근 수년 간 해외의 여러 영화제들에 나가면서 " 일본 영화는 세계에서도 통용된다"는 걸 몸으로 느꼈다. '일본 영화도 할 수 있다!', '일본 영화는 이제 틀렸다!' 여러 가지 말들이 나오지만 어쨌든 모두들 일본이라는 팀의 일원이기 때문에 나오는 목소리라고 생각하면 가슴이 뜨거워진다.
우선은 〈기생충〉의 스토리보드북을 읽는 것부터 시작. 공부공부공부. 오스카 시상식 단상에서 이런 말을 할 수 있으면 좋겠다. "당신(봉준호)이 오스카상을 치켜든 날, 저희 집에 〈기생충〉 스토리보드북이 도착했습니다"라고.
- 카메라를 멈추면 안 돼! 감독 우에다 신이치로 #
굉장한 것을 봤다! 집 두 채만 나오는 영화인가 생각했는데, 마지막에는 예상도 못했던 곳으로까지 데리고 간다. 보고 난 뒤에 누군가와 이야기를 나누고 싶어지는 영화입니다. 스포일러 금지여서 많은 이야기를 할 수 없지만 아무튼 일단 보시기 바랍니다!
-일본 애니메이션 감독 호소다 마모루 #
봉준호 감독의 〈기생충〉 시사회. 굉장했습니다. 언론 시사회에서 이 정도로 웃은 것도, 이 정도의 일체감으로 전개를 지켜본 것도 처음이었습니다. 지금도 다시 돌이켜 보면서 애니메이션 영화에 적용할 수 있는 것들을 필사적으로 찾아보게 될 정도로 자극적입니다. 가능하면 친구와 함께 보고 소주를 마셔보고 싶었습니다.
-일본 애니메이션 감독 신카이 마코토 트위터
영화인으로서 가장 존경하는 봉준호 감독의 최신작이자, 칸 영화제 황금종려상 수상작. 기대치가 한껏 올라간 상태에서 봤더니, 밑 빠진 나락으로 처넣는 듯한 충격. 위를 올려다보니 거구의 천재가 만면에 미소를 지으며 나를 바라보고 있다. 우리들은 이제부터 (위를 향해) 기어올라가지 않으면 안 된다.
- 일본 프로듀서, 소설가 카와무라 겐키


배우
명작! 화려한 영화는 살아있고 훌륭합니다... 봉준호 감사합니다. 친애하는 인류여, 보십시오.
- 멕시코 배우 나탈리아 코르도바버클리[15] #
놀라운 영화.
- 미국 배우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 # #
〈기생충〉은 아주 오랜만에 본 최고의 영화다. 모든 순간을 즐겼다.
- 미국 배우 콜린 행크스 #
〈기생충〉이라는 영화를 봤다. 마음을 일렁이게 하는, 아주 강렬한 영화였다.
- 미국 영화배우 알 파치노 #
〈기생충〉은 세계영화계가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화하는 데 큰 영향력을 발휘했다. 멋지고 대단한 작품이다.
- 미국 영화배우 조지 클루니
〈기생충〉은 올해 최고의 영화다. 집착할 정도로 완전히 빠져버렸다.
- 미국 영화배우 조시 개드 #
봉준호 감독의 인상적인 〈기생충〉은 언어를 불문하고 내가 본 최고의 영화 중 하나입니다. 봉 감독님, 당신의 왕성한 창작 활동에 감사드리고, 제가 당신께 시상할 수 있어 영광이었습니다.[16]
- 미국 영화배우 루피타 뇽오 #
봉준호 감독의 신작 〈기생충〉을 벌써 3번이나 봤는데, 볼 때마다 새로운 게 보인다. 디테일하지 않은 부분이 하나도 없고 모든 장면에 의미가 있는 것처럼 어느 부분 시간 하나 계획 하나 낭비된 게 없다. 정말 엄청난 영화이고 감독님은 정말 특별한 분이다. 진심으로 엄청나다.
- 미국 영화배우 티모시 샬라메 #
Incredible Movie.
- 미국 영화배우 마이클 B. 조던 #
그동안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을 풍자하는 그림들을 그리고 했지만 올해 11월의 투표를 끝으로 더 이상 나르시시스트 같은 대통령에 대해서는 언급도 하지 않고 그림도 그리고 싶지 않다, 대신 예술작품이나 좋은 영화들에 더 관심을 갖고 싶다. 특히 요즘 본 영화 중 〈기생충〉은 정말로 놀랍다. 영화 마지막에 눈물이 났는데 그것은 우리 모두 아버지와의 관계를 생각하게 되며 그를 지하에서 꺼내주고 싶은 마음을 다 느꼈을 것이다. "언젠가 내가 다 알아서 아버지를 구하고, 계단을 올라올 것이다." 하는 마음이었을 것이다. 정말로 천재적인 작가의 작품이고 수행 능력이나 완성도 등 모든 것이 천재적이다.
- 미국 영화배우 짐 캐리 #
〈기생충〉은 내가 본 가장 큰 영향력을 가진 작품 중 하나다. 오스카 수상을 진심으로 축하한다!
- 미국 영화배우 나탈리 포트만 #
〈기생충〉이 어떻게 오스카 4개 부문을 수상했는지는 영화를 보면 쉽게 알 수 있다. 대단한 연출과 대단한 연기와 전체적으로 대담하고 특이하며 아름다운 영화이기 때문이다.
- 미국 영화배우 자레드 레토 #
오스카 후보작 중 가장 좋았던 영화? 〈기생충〉. 말이 필요 없다.
- 미국 영화배우 캐리 멀리건 #
오스카 후보작 중 가장 좋았던 영화는 단연 〈기생충〉이다. 진짜 기가 막힌 작품이다.
- 미국 영화배우 시에나 밀러 #
〈기생충〉의 오스카 석권을 축하한다. 감독상과 국제영화상, 각본상에 작품상까지! 나는 봉준호 감독의 광팬이다.
- 미국 영화배우 제시카 알바 #
당신에게 말을 걸고 있을 뿐만 아니라, 당신이 평생 동안 해왔을 질문에 답을 주는 예술 작품.[17] 역대 최고의 작품.
- 미국 코미디언 크리스 락 #1 #2
〈기생충〉을 꼭 보라. 입이 쩍 벌어지게 만든다. 코미디/비극/액션/호러/사회성 메시지들이 다 들어있다.
- 미국 코미디언/배우 레인 윌슨 #
유쾌하면서도 불편한 영화다. 사회의 지위, 세계의 형태, 그리고 물질주의적 희망의 기생성에 관한 기이한 시선!
- 인도 배우 샤룩 칸 #
봉준호 감독님의 영화 〈기생충〉은 제가 제일 좋아하는 영화입니다. 그는 정말 천재예요. 그가 카메라를 사용하는 방식은 정말 천재적이죠. 봉준호 감독님과 꼭 한번 작업해보고 싶습니다. 지금 무수한 러브콜을 받고 계시겠지만 저도 감독님께 이메일 보내볼 겁니다. 혹시 또 모르잖아요?
영국 배우 톰 홀랜드 #
한 마디로 요약하기 힘든 특별한 묘미가 있다. 너무 많은 것들이 한꺼번에 나오지만 모호하지 않고, 복잡하면서도 명확하다. 마스터가 만든 완성도 높은 영화다.
- 영국 배우 조지 맥케이 #
그 어떤 것과도 비슷하지 않다. 전적으로 독창적이고 눈부시다. 모든 시상식에서 수상하는 데 의심할 여지가 없다. 브라보 봉준호!
- 호주 배우 토니 콜렛 #
Q. 올해 가장 좋았던 영화는?
A. 〈기생충〉이다. 믿기지 않는(Incredible) 영화다.
- 스페인 배우 아나 데 아르마스 #
한 작품을 계기로 영화를 좋아하게 될 때가 있다. 〈기생충〉은 바로 그렇게 될 수 있는 최고의 입구이며, 출구까지 끌려갈 정도로 아찔할 만큼 재밌다. 이 사회에서 꿋꿋히 살아가는 모든 사람들이 봤으면 좋겠다.
- 일본 배우 나카노 타이가 #
영화는 '감상하는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큰 착각이었다. '감상'에서 '체험'이 되고, 터무니없는 것이 기생해버렸다. 봉준호가 뿌린 호우는 내 안에서 계속해서 내리고 있다. 앞으로 어떻게 살아가야 할까.
- 일본 배우 미츠시마 신노스케 #
사상 최고 걸작!! 마침내 봉준호는 현대 영화의 도달점을 이 영화로 가뿐히 경신해버린 것이 아닐런지. 나의 현재 위치는 과연 지상일까, 지하일까, 아니면 반지하일까. 보고 난 뒤에 그 의심이 계속해서 내게 기생하고 있다.
- 일본 배우 사이토 타쿠미 #
굉장하다. 오랜만에 쾅하고 와닿았다! 내 몸의 체취가 신경쓰이게 됐습니다!
- 일본 배우 타카다 준지 #
너무나 재밌고 대단한 걸작이다. 확실히 최근 몇 년 동안 본 영화 중 가장 대단했다. 반드시 봐야 할 영화다.
- 일본 배우 요시자와 료 #
빈곤 가족이 쳐놓은 덫... 인 줄 알았는데 급전개. 엔딩 크레딧까지 열광했다. 영화의 풀코스다.
- 일본 배우 이나가키 고로 #
대단한 것을 봐 버렸다. 충격과 여운, 그리고 영화라는 것의 가능성. 영화관에 있다는 것을 잊고 관객 전원이 스크린에 몰입해 있었다. 좋아요. 박수로 부족하다. 정말로. 평소 수상에 대해 그다지 깊이 생각하지 않은 나로서도 이것은 영화계에서 엄청난 사건이라는 느낌이다. 언어나 국가에 의해 구별되지 않고 대단한 것은 대단한 것이다. 대단하기 때문에 칭송받는 것이다. 당연한 일이다. 봉준호 감독, 배우진 여러분, 제작에 관련된 모든 분들, 축하드립니다. 한 사람의 배우로서 스스로도 많은 것을 생각하게 됩니다. 정말로.
- 일본 배우 이시다 유리코 #


전문가/언론
이번 해에 내가 봤던 영화 중 최고의 영화. 올해 본 그 어떤 것도 이 영화와 비교할 수 없다. 재미있고, 창의적이며, 의미있고, 놀라움으로 가득 차 있다.
- 미국 영화 평론가 레너드 말틴 #
〈기생충〉은 유쾌함으로 시작해 파괴로 끝난다. 그러나 이 영화의 업적은 관객이 숨을 내쉬기 힘들 수도 있을 만큼 매 순간 살아있고 숨 쉰다는 것이다.

〈기생충〉이 오스카를 필요로 하는 것보다, 오스카에게 〈기생충〉이 더 필요하다.
(중략)〈기생충〉은 작품상을 받을 자격이 있으며, 나는 여전히 그게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현 시점에서 〈기생충〉은 더 이상 증명할 것이 없다. 아카데미는 증명해야 할 것이 많다.
- LA타임스 #, ##
〈기생충〉의 수상은 한국 영화로는 첫 황금종려상 수상이다. 여러 장르가 결합한 이 영화는 올해 칸 영화제에서 거의 틀림없이 가장 호평받은 영화다.
- AP통신 언론사들의 반응
세계가 처한 상황에 대해 이보다 더 나를 슬프게 한 영화는 없지만, 동시에 영화가 처한 상황이라는 점에서는 이보다 나를 기쁘게 한 영화도 없다.
- 뉴욕타임스 수석 영화평론가 A.O. 스콧 #
오늘날 활동하는 가장 위대한 영화제작자 중 한 명이 완벽하게 연출한 영화. 영화가 무엇인지 알고 싶다면 이 영화를 봐라.
- 뉴욕타임스 수석 영화평론가 마놀라 다기스 #
종종 칸 영화제 심사원단이 잘못된 선택을 한 적이 있기는 하지만 올해는 아니다. 봉준호의 〈기생충〉은 진지하면서도 재미있고, 블랙코미디의 즙을 짜낸 가족 코미디로 탁월한 작품.
- 더 가디언 평론가 피터 브래드쇼 #
다른 상들은 당황스럽고 비정상적이지만 봉준호의 황금종려상은 모두를 수긍케 했다.
- 프랑스 유력지 르피가로 #
〈기생충〉은 오래전부터 오스카상 후보작 중 선두 주자로 꼽혀왔다. 작품성뿐 아니라 전 세계 박스오피스에서도 성공을 거둔 드문 작품.
- 로이터 #
봉준호는 수년 동안 복합적인 장르를 융합한 작품을 만들어왔다. 〈기생충〉은 스릴러와 블랙코미디, 비극과 풍자 그 이상이다. 주제가 풍부하며 이야기가 숨이 멎을 정도로 흥미진진하고 예상치 못한 방향으로 전개된다. 봉 감독의 정밀한 기술과 압도적인 앙상블 캐스트가 완벽하게 실행된 작품. 〈기생충〉은 히치콕스러운 긴장감, 수십 년간 이어온 아시아 공포영화 스타일, 웃음으로 가득 찬 대사들에 젖어들게 만드는 작품.
- 엠파이어 #
페드로 알모도바르 감독에게 미안하다. 맹렬한 내러티브와 완벽하게 계획된 정교함 때문에 봉준호 감독에게 (내 마음속으로) 황금종려상을 줄 수밖에 없었다. 정치적이고, 가차 없고, 웃기고, 무섭고, 분명하고, 똑똑한 걸작!
- 콘비니 프랑스, 르 파리지앵 위켄드 영화 기자 메흐디 오마이스 언론인들의 반응
봉준호 감독이, '인간이 영화 속 유일한 괴물'인 어두운 가족 소극을 들고 칸에 돌아왔다. 감독은 〈기생충〉을 통해 부유하고 수치심 없는 삶의 방식을 공격하기 시작한다. 〈 괴물〉, 〈 설국열차〉, 〈 옥자〉 등 공상과학적이거나 우화 같은 전작보다 좀 더 사실적으로 접근해 자본주의와 계층의 부당한 본성을 비판한다. 2003년 〈 살인의 추억〉 이후 가장 성숙한, 한국 사회 현실에 대한 발언이다.
- 할리우드 리포터 기자 스티븐 돌턴
A+
영화! 세상에! 영화가 돌아왔다! 영화에 대한 내 믿음이 다시 돌아왔다. 놀라운 작품이다. 봉준호는 정말 좋은 작품들을 많이 만들었지만, 〈기생충〉이 그중에서도 최고다. 흠이 없다. 영화의 모든 순간을 사랑했다. 극도로 웃기며, 본질적으로 사회풍자적이다.
〈기생충〉은 아름다운 영화다. 완벽한 촬영, 천재적인 음악 등... 쉽게 올해 최고 작품 중 하나로 꼽을 수 있다. 이런 유형의 영화들은 영화 자체에 대한 나의 감정을 끌어올린다. 내가 직접 각본을 써보고 싶게 만들고, 직접 연출해보고 싶게 만든다. 이 영화를 보면 이걸 만든 사람이 영화란 예술을 너무나 사랑하는 것이 매 프레임마다 풍긴다.
- 미국 유튜브 영화리뷰어 크리스 스턱만 리뷰 영상 번역문[18]
백수 아버지 송강호가 이끄는 밑바닥 가족의 우당탕탕 소동에 큭큭큭 웃게 되다가 전율의 전개로! 〈 조커〉 〈 어느 가족〉 〈 어스〉 그리고 〈기생충〉이 들이미는 것은 지금을 비추는 거울이다!
-일본 영화평론가 마치야마 토모히로 #


관계자/기타 직업
올해 칸 영화제 초청작 중 내가 가장 사랑하는 영화.
- 칸 국제영화제 부집행위원장 크리스티앙 준 #
어젯 밤 〈기생충〉을 봤다. 봉 감독은 거장이다.
- 블룸하우스 대표 제이슨 블룸
외국어영화상을 수상할 작품이자 올해 최고의 영화 중 하나. 대단히 놀라운 영화.
- 월트 디즈니 컴퍼니 전 CEO, 회장 마이클 아이스너 #
올해 가장 좋았던 영화.
- 테슬라 테크노킹 일론 머스크 #
한국 콘텐츠에서 느껴지는 창의성은 세계 최고의 수준이다. 제가 가장 좋아하는 영화 기생충만 하더라도 세계적인 독창성을 잘 표현했다.
- 월트 디즈니 컴퍼니 아태지역 DTC 사업 총괄 제이 트리니다드 #
물론 〈기생충〉을 봤습니다. 그 영화가 아카데미 작품상을 수상해서 무척 기쁩니다. 내 책(21세기 자본)은 봉준호 감독의 전작 〈설국열차〉와 관련이 있는데, 그 영화는 지구온난화와 계급갈등을 다루었죠. 그 영화를 안 본 사람은 보시길 바랍니다. 〈기생충〉은 오늘날의 서울을 배경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더욱 강력한 영화죠. 〈기생충〉에도 나왔던 계급갈등에서 빚어지는 긴장감이 완전히 다른 맥락으로 드러납니다. 반지하에 물이 차들어오는 장면은 정말 기가 막혔습니다.
- 경제학자 토마 피케티 #
〈기생충〉은 정말 훌륭한 영화다. 특히 이 영화에서 부자는 '악(惡)'하지 않고, 빈자는 '선(善)'하지 않게 묘사한 점은 정말 탁월하다고 느껴진다.
- 철학자 슬라보예 지젝 #
올해 꼭 봐야 될 영화로 〈기생충〉을 강력 추천한다. 〈기생충〉은 현재 시상식을 휩쓸고 있는 가장 핫한 영화이며, 감탄이 절로 나오는 작품이다.
- 보그(VOGUE) 편집장 안나 윈투어
봉준호 감독의 〈기생충〉은 꼭 봐야할 영화다
- 미국 뮤지션 겸 배우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
올해 가장 좋았던 영화는 단연 〈기생충〉이다. 정말 끝내주는 영화다.
- 미국 뮤지션 빌리 아일리시 #
결코 할리우드에게 '기생'당하지 않은 귀재 봉준호가 영화라는 현실과 허구의 틈새에 있는 '반지하' 시점에서 그린, 유머와 광기 가득한 신랄한 풍자의 최고 걸작! 양극화 사회의 어둠에 조명을 비춤으로써, 가족이라는 '공생'의 메커니즘을 드러나게 만든다. 이 영화는 '기생'과 '공생'을 해설하며, 보편적인 테마를 다룬 철학급 오락영화다.
-일본 게임 제작자 코지마 히데오 #[19]
가장 최신이면서 최고의 봉준호 감독. 정말로 존경스럽게 생각합니다. 립서비스 코멘트냐고? 제 가슴에 맹세코 진짭니다!
-일본 베이시스트 하마 오카모토[20] #
이토록 재밌는 영화는 흔치 않다. 시작한 뒤 얼마 동안은 각본, 감독 봉준호의 웃음소리가 들려온다. 이윽고 그것은 폭소로 바뀌어간다. 내겐 확실히 그 웃음소리가 들려왔다. 마지막 장면 이후 그가 내 어깨를 가볍게 두드렸다.
-일본 아나운서 쿠메 히로시 #
그래, 이런 영화구나 싶은 감상이 몇분 만에 계속해서 뒤집혀버립니다. 반전과 배신으로 지금도 끈적한 여운이 들러붙어 있는 상태. 이것은 영화 '감상'이 아닌 영화 '체험'!
-일본 아나운서 오가와 아야카 #
관객이 영화 상영 시간 동안 기생 당할 뿐만 아니라, 앞으로 영화사적으로 기생당하게 될 역사적인 대걸작!
-일본 개그맨 스이도바시 하카세 #
영화가 진행됨에 따라 강력한 힘에 끌어당겨져 본 적도 없는 장소로 끌려가는 듯한 기분이 들어서, 웃으면서도 무서웠다. 그래도 다 보고 난 뒤에 그곳에 갈 수 있어서 좋았다고 진심으로 생각했다.
-일본 작가 가쿠타 미쓰요 #
영상, 소리, 대사, 정말로 하나도 빠짐없이 모든 것이 이 영화의 탁월함에 공헌하고 있다. 킥킥, 큭큭 웃게 만들다가 굉장히 무서워진다. 기생하는 가족과 기생당하는 가족, 가장 무서운 것은 그들 중 누구일까, 라는 생각이 계속 들게 한다.
-일본 소설가 이노우에 아레노 #

6. 외신

영화의 장르가 블랙 코미디이다보니 한국 사회의 배경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평가를 다룬 외신 기사가 있었다. 로이터통신, 뉴욕 타임스는 2월 10일 " 한국의 깊은 사회적 분열을 반영하는 《기생충》"이란 제목의 기사를 통해 "〈기생충〉이 한국사회의 경제적 양극화를 보여주고 있다"며 한국 사회의 현황을 소개했고 한국 사회의 큰 소득 격차, 젊은이들의 치열한 교육 경쟁을 지적했다. 로이터

워싱턴 포스트는 "〈기생충〉 - 한국 사회의 소득 불평등"이라는 기사에서 한국의 소득 불균형, 높은 자살률 등을 비판하였고. 한국의 취업은 가족 및 학교의 유대 관계를 기반으로 한다고 언급했다. 또한 이러한 문제들로 인해 곤경에 처한 사회를 가감없이 보여준다는 점에서 〈기생충〉을 긍정적인 신호라 평가하였다. 워싱턴 포스트

7. 선정

  • 2019년 7월 16일, 테이스트 오브 시네마(Taste of Cinema) 선정 2019년 최고의 비영어권 국가 영화 Top 10 중 1위에 올랐다. #
  • 7월 22일, 인디와이어(IndieWire) 선정 최근 10년간 최고의 영화 Top 100 중 48위 올랐다.[21]
  • 8월 1일, Letterboxd 평점 4.5점(평점표본 4,360개)를 기록하며 대부1, 대부2, 하라키리, 7인의 사무라이, 12인의 성난 사람들에 이어 역대 장편영화 Top 250 중 6위를 차지했다. 10월 23일에는 4위, 10월 30일에는 대부2를 누르고 2위로 오르더니, 11월 18일 대부 1을 누르고 1위로 올라섰다. 기사도 났다.
  • 9월 7일, Letterboxd에서 올해 개봉영화, 2010년대 개봉 영화 중 전체 평점 1위를 차지했다.
  • 2019년 8월 7일 기준 키노포이스크 평점 8.1점(평점표본 14,700개)으로 Top 250 중 149위를 기록하며 역대 아시아 실사영화 평점 1위 차지했다.[22] 10월 24일 기준 평점 8.107(평점 표본 42,904개)로 145위를 기록하고 있다.
  • 9월 7일, 로튼 토마토에서 토마토지수 100%, 78개의 리뷰로 Certified Fresh 인증받았다.[23] 그리고 로튼토마토 2019년 최고의 영화 1위에 올라와 있다.
  • 9월 9일, IMDb Top 250 84위를 기록하며 순위에 처음 이름을 올렸다. 2019년 10월 19일 올드보이를 제치고 한국 영화 1위를 차지 했으며, 2020년 3월 2일 기준 23위[24]역대 아시아 영화 2위다.[25] 최고 기록은 21위. 순위변동 확인하기
  • 9월 25일, 인디와이어(IndieWire)에서 '올해 뉴욕 영화제 필수 관람작 10편' 중 하나로 선정했다.
  • 9월 27일, BBC에서 "10월에 봐야 할 영화 10편" 중 하나로 선정했다.
  • 문화잡지 쿨투라 2019년 10월 호에서 발표된 "한국 영화 100년사 문화예술인 100명이 뽑은 21세기 영화"에서 1위를 차지했다.[26]
  • 북미 개봉일인 10월 11일, 메타크리틱에서 전문가 비평 31개에 95점으로 올타임 58위를 차지했다.[27] 이는 2019년 개봉 작품 중 최고의 평점 이다. 11월 18일에는 평점이 1점 오른 96점이 되면서 올타임 42위 상승했다.
  • 10월 30일, 뉴욕 타임스에서 올해의 영화로 선정했다.
  • 11월 4일, 로저이버트닷컴 선정 2010년대 영화 Top 25에서 15위를 차지했다.
  • 11월 10일, 미국 영화감독 아리 애스터가 2019년 최고의 영화 Top 3 중 첫번째로 꼽았다.
  • 11월 25일, 타임지 선정 2019년 영화 Top 10에서 6위를 차지했다.
  • 11월 29일, 사이트 앤 사운드 선정 2019년 최고의 영화 Top 50에서 2위를 차지했다.
  • 12월 2일, 애틀랜타 비평가 협회(AFCC) 선정 2019년 최고의 영화 Top 10에서 1위를 차지했다.
  • 12월 2일, 인디와이어(Indiewire) 선정 2019년 최고의 영화 Top 19에서 6위를 차지했다.
  • 12월 2일, 더플레이리스트(Theplaylist) 선정 2010년대 최고의 영화 Best 100에서 34위를 차지했다. 2019년 12월 5일 2019년 최고의 영화 Best 25에서 1위를 차지했다.
  • 12월 4일, 뉴욕타임스의 수석 영화평론가 A.O. 스콧과 마놀라 다기스가 각각 자신이 선정한 '2019년 최고의 영화' 명단을 발표하면서 〈기생충〉을 나란히 3위에 올렸다.
  • 12월 5일, 롤링 스톤(Rollingstone) 선정 2019년 최고의 영화 Best 10에서 3위를 차지했다.
  • 12월 5일, IGN 선정 2019년 최고의 영화 Best 10 중 하나로 선정되었다. 12월 20일에는 올해의 영화로 선정되었으며, 봉준호 감독도 올해의 감독으로 선정되었다. 독자들의 투표인 IGN People 's Choice에서는 작품 부문, 감독 부문 모두 3위를 차지했다.
  • 12월 6일, LA 타임스의 수석 영화 담당 기자 저스틴 챙이 선정한 '2019 최고 영화 20편' 중 1위를 차지했다.
  • 12월 6일, US위클리 선정 2019년 최고의 영화 Top 10에서 4위를 차지했다.
  • 12월 10일, 필름코멘트 선정 2019년 최고의 영화 Best 10에서 1위를 차지했다.
  • 12월 10일, 월스트리트저널 선정 2019년 최고의 영화 Best 9 중 하나로 선정되었다.
  • 12월 15일, 더 랩 선정 2019년 최고의 영화 Top 10 중 4위로 선정되었다.
  • 12월 15일, Letterboxd 유저들의 투표 결과 '지난 10년간 최고 외국어 영화 100편' 중 1위를 차지했다.
  • 12월 16일, 인디와이어에서 304명의 비평가들에게 설문 조사한 결과 2019년 최고의 영화 1위, 감독 1위, 각본 1위, 남우주연 송강호 9위, 여우조연 박소담 10위, 조여정 15위, 이정은 22위, 남우조연 송강호 5위, 촬영 5위, 외국어영화 1위로 선정됐다.
  • 12월 18일, 하퍼스 바자 선정 2019년 최고의 영화 Top 10 중 1위를 차지했다.
  • 12월 19일, Wired 선정 2019년 최고의 영화 Best 14 중 가장 첫 번째로 꼽혔고, 대표 썸네일로 사용되었다.
  • 12월 20일, 씨네21 연말 베스트에서 역사상 가장 높은 점수로 '올해의 한국영화 1위'에 선정되었고, 올해의 감독( 봉준호), 올해의 남자배우( 송강호), 올해의 여자배우( 이정은)올해의 촬영감독(홍경표), 올해의 각본(봉준호, 한진원)으로 선정되었다.
  • 12월 20일, 더 가디언 선정 2019년 최고의 (미국 개봉) 영화 Best 50 중 1위를 차지했다.
  • 12월 20일, 프랑스 Premiere 선정 2019년 최고의 영화 Top 10 중 1위를 차지했다.
  • 12월 23일, 알로시네 선정 2019년 최고의 영화 Top 10 중 1위를 차지했다.
  • 2020년 1월 5일, 카이에 뒤 시네마 선정 2019년 최고의 영화 Top 10 중 2위를 차지했다.
  • 5월 12일, 댓 셸프(That Shelf)에서 역대 칸 영화제 최고의 황금종려상 수상작 1위를 차지했다.
  • 11월 5일, 콜라이더(Collider)에서 선정한 지난 10년간 아카데미 최우수 작품상 수상작 순위에서 1위를 차지했다.
  • 12월 2일, 영국 엠파이어지에 선정 2020년 최고의 영화 1위를 차지했다.
  • 12월 18일, 더 가디언 선정 2020년 최고의 (영국 개봉) 영화 Best 50 중 1위를 차지했다.
  • 레터박스 선정 역대 최고의 아카데미 작품상 TOP10에서 1위를 차지했다.
  • 2021년 3월 26일, 콜라이더에서 선정한 21세기 최고의 아카데미 감독상 순위에서 봉준호 1위를 차지했다.
  • 2022년 12월 1일, 한국 영화 최초로 사이트 앤 사운드 선정 역대 최고의 영화 명단에 오르게 되었다. 순위는 90위. # 100위까지 등재된 영화 중 가장 최근에 공개된 작품이기도 하다.
  • 12월 21일, 미국 버라이어티지 선정 최고의 영화 82위 #
  • 2023년 1월 29일, 미국 엠파이어 매거진 선정 최고의 영화 18위 #

8. 비주류적 평가

8.1. 미국

파일:1581320138_532_John-Legend-arrives-at-amp-39-Parasite-amp.jpg
존 밀러[28]: 봉준호라는 사람이 아카데미 수상식에서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할리우드 1917 대신에 각본상을 받았다. 그가 상을 받으면서 한 말은 "GREAT HONOR. THANK YOU."였고 나머지는 한국어로 말했다. 이러한 자들은 미국의 파괴를 의미한다.[29]
존 레전드: 이런 개소리를 하고 다니면 누가 돈이라도 주냐? 아니면 그냥 재미삼아 하는 거냐?
온라인 언론인이자 코미디 작가인 존 밀러의 이런 트윗이 트위터에서 웃음거리가 되기도 했다. 그중에서도 음악가 존 레전드의 댓글이 좋아요 수를 압도적으로 24만 개나 더 받은 것이 일품. 더 웃긴 것은 존 밀러가 저 트윗을 작성하고 몇 분 후 봉준호는 감독상과 작품상까지 수상해버려서 미국을 2번이나 더 파괴해버린 셈이 되어버렸다. 당연한 말이지만 봉준호 감독이 자신의 모국어로 제작한 영화에 대해서 그 모국어로 얘기하는 것은 전혀 이상한 일이 아니며, 그렇기 때문에 통역가도 같이 올라간 것이다. 결국 이목을 집중당한 밀러는 "한국인들이 미국의 파괴가 된다는 게 아니라 계급분쟁에 대한 영화가 상 받은 것이 아카데미가 진보주의자들에게 어필하기 위한 선택이다"라고 의미없는 핑계를 댔다. 이후에도 NBC방송 법률 자문사인 케이티 팽(Katie Phang)은 밀러에게 한국어로 개새끼 꺼저라[30]라고 쓸 정도로 깠고, 텔레비전 진행자인 피어스 모건(Piers Morgan)도 밀러를 향해 역겨운 인종차별주의자라면서 깠다.

로버트 스톰스라는 양덕이 만든 이 영상도 그 내용의 개소리 수치가 어마어마해 관심을 샀다. 대충 내용은 아카데미가 다양성을 추구하는 PC계를 위해서 해외 작품인 〈기생충〉에 작품상을 주었고, 자신의 생각에는 사회적인 메시지를 담은 조커가 이겼어야 했다는 것.[31] 근데 이 인간 얘기를 들어보면 본인은 〈기생충〉을 보지 않았다고 발언했다. 그러면서 저러한 이유 때문에 〈조커〉가 오스카 상을 받아야 했다고 주장하는 것.[32] 그래서 유튜버 데이브가 이에 대해 "영화를 먼저 보라"고 디스를 시전했다. 비판을 받은 이후 〈기생충〉을 보고 영상을 올렸는데, 여전히 〈조커〉가 받지 못한 것이 불만족스럽지만 "엄청 재밌었고, 왜 사람들이 나를 공격하는지 알겠다"고 말했다. 그러나 영상 업로드 후에도 트위터에서 #fuckparasite 태그를 달고 자신이 〈기생충〉을 비난했던 영상을 '선구적'이라고 말하는 등 이중적인 태도를 보였다.

평단과 대중 모두가 극찬하는 가운데, 2020년 2월 21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콜로라도 주 콜로라도 스프링스에서 열린 선거 집회에서 "한국과 무역갈등이 있는데 왜 〈기생충〉에 오스카 상을 주냐"며 비난했다. # 원문 이에 대해 〈기생충〉의 북미 배급사 네온은 "이해한다. 그는 글을(영화 자막) 못 읽으니까."라고 비꼬았다. # CNN은 트럼프의 발언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비전이 다양성을 추구하는 미국의 건국 이념과 상반되고 있다는 것을 이해하지 못하거나 무시하고 있다"며 그의 발언이 '반미국적'(un-American)이었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원문

또 이 연설에서 민주당 지지자인 브래드 피트에 대해 "잘난체 하는 놈"이라며 비난했다.[33]

사실 트럼프의 이런 발언이 놀랍지도 않은 게, 그가 워낙 포퓰리즘을 노린 막말을 밥먹듯 하는 것도 있지만 북미 토크쇼에서 〈기생충〉의 아카데미 4관왕을 축하하면서 영화 스토리에 비유해 트럼프를 조롱하는 조크가 나왔기 때문에 트럼프 입장에선 〈기생충〉의 인기와 존재감이 꽤 거슬렸을 것이다.
파일:ffftt46342.jpg
제임스 코든 쇼에서 방송된 부분. 해당영상
트럼프는 자신의 발언이 논란이 되자, 라스베이거스 집회에서 또 영화 〈기생충〉을 언급하며 써먹었다.

8.2. 일본 넷 우익

일본에서도 역대 한국 영화 흥행 1위를 기록하며 흥행과 평단 모두 좋은 반응을 얻고 있지만, 넷 우익들은 봉준호 감독을 반일이라고 비난하였다. 아카데미상을 수상했다는 것을 인정하지 못 하겠다는 분위기인듯. 영화 내용에 대해서도 "한국이라는 나라 존재가 일본에 기생하는 기생충 국가다.", "한국인은 저렇게 반지하에 사는 빈민층이 많다."고 한국과 한국인을 비하 및 폄하하는 반응을 쏟아냈다.

물론, 어느 가족이나 아무도 모른다에서 묘사된 일본 내의 사회문제를 고려하면 이같은 빈부격차와 양극화, 사회 안전망의 문제는 한국이든 일본이든 세계 여느 국가에서나 볼 수 있는 사회문제이다. 공교롭게도 일본의 혐한 세력들은 막상 어느 가족이 황금종려상을 수상했을 때는 일본 영화계의 경사임에도 불구하고 축하하기는 커녕 "일본에는 그런 가족이 없다!" 라면서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을 대놓고 비국민 취급을 했다. 훌륭한 자기모순이자 현실부정인 셈이다.[34]

그리고 영화 속 '제시카 송'을 독도는 우리땅과 연관지어 일본을 조롱한 행동이라고 주장했다. 가뜩이나 〈기생충〉의 영화제 수상에 열폭하고 있던 넷 우익들은 이를 핑계삼아 봇물 터지듯 온라인에서 봉준호와 〈기생충〉에 대한 악평을 쏟았다. 심지어 전세계는 물론이고 인도 자국에서도 개소리라고 무시당한 인도 영화 표절설을 혐한만 유일하게 강조하며 선동하기도 했다.

혐한 유튜버 WWUK TV[35] 2020년 2월 22일 본인 계정의 트위터에 〈기생충〉을 비난하는 트윗을 올렸다.
今日は竹島の日です。
竹島は日本固有の領土です。

アカデミー賞を取った「パラサイト」という映画の中で「独島(竹島のこと)は我が領土」の替え歌が歌われています。

大統領主催昼食会で監督とムン大統領がこのことで日本人を嘲笑ってました。

あんな反日プロパガンダの映画を観てはなりません。
오늘은 다케시마의 날입니다.
다케시마는 일본 고유의 영토입니다.

아카데미 상을 받은 '기생충'이라는 영화 속에서 '독도(다케시마)는 우리 땅'의 개사곡이 불리고 있습니다.

대통령 주최 오찬에서 감독 문 대통령이 이 일로 일본인을 비웃었습니다.[36]

저런 반일 프로파간다 영화를 보면 안 됩니다.
이 트윗은 일본에서 8천 8백개의 리트윗과 2만 2천 하트를 기록하는 등 어그로를 제대로 끌었다. 원문.

그리고 이런 주장은 단순한 넷 우익의 트집잡기에서 끝난 것이 아니라 B급 황색언론 주간문춘 디지털 2020년 2월 25일자 기사에서도 '영화 파라사이트에 등장했던 반일교육의 흔적. 한국이 독도는 우리땅 개사곡으로 들떠있는 이유는?( 映画「パラサイト」に登場していた反日教育の傷痕 韓国が「独島は我らが領土」替え歌で大盛り上がりする理由とは?)'이라는 제목으로 폄하하였다. 단순히 독도를 한국 땅이라고 영토를 주장하는 것이 민족주의에 찌든 반일교육이라고 한다면, 심지어 남의 영토인 독도를 일본 땅이라고 주장하는 행위야말로 민족주의에 찌든 반한 행위다.

결론적으로 영화의 소재와 봉준호 필모그래피를 고려해볼 때 그가 반일이라고 주장하는 넷 우익들의 발언들은, 과연 이 사람들이 봉준호 감독의 영화들을 보긴 했는가 싶을 정도로 단순무식한 열폭에 지나지 않는다. 봉준호 영화들의 주요 테마와 소재는 한국 사회와 한국 인간 군상, 그리고 보편적인 사회 문제(빈부격차, 계층 갈등 등)에 대한 풍자이기 때문이다. 물론 영화를 보고도 그닥 와닿지 않을 수도 있다. 하지만 제대로 영화를 보지도 않고 그저 한국 영화라는 이유 하나만으로 일방적으로 폄하하는 것은 매우 무례한 태도다. 아이러니하게도 넷우익들을 제외한 다수의 평범한 일본인들은 물론, 심지어 넷우익들이 선호하는 일본 문화 예술계 인사들도 〈기생충〉을 호평했다. 게다가 봉준호는 일본의 영화감독들에 대해 꾸준히 존경을 표해왔고, 〈기생충〉 기자회견에서도 구로사와 아키라, 구로사와 기요시, 이마무라 쇼헤이의 영향을 받았다고 언급했다.[37]

결국 이러한 넷 우익들의 비난이 무색하게도 일본에서 3주 연속 박스오피스 1위를 달성하고 2020년 여름 때도 극장에서 상영 중일 정도로 일본에서도 대흥행을 했다. 결국 그들의 악의적인 루머가 실제 대중문화에 끼치는 영향은 거의 없었다.

8.3. 한국 보수 유튜버

전반적으로 영화의 주제 의식 및 시사점과는 일체 무관한 정치적 평가 및 힐난만이 반복되었다. 주로 봉준호 감독의 사상부터 시작해 민주노총 및 좌파 정권에 대한 비판으로 영화의 작품성을 흐려놓는 등 일본 극우 인사들과 다를바 없이 눈살이 찌푸려지는 추태를 보여주었다. 가난한 주인공이 부자를 칼로 찔러 죽인다는 결말부 내용만 놓고 "부자들은 다 칼로 찔러 죽여야 한다며 공산혁명을 선동하는 빨갱이 영화"라는 프레임을 씌우기도 하는데, 이 영화는 그런 언더도그마에 빠진 작품들과 달리 오히려 부자를 선하게, 빈민을 악하게 묘사한 점이 특이한 영화이기에 영화를 보고 비난하는 것인지도 의심스럽다.

특히 가로세로연구소에서는 기생충에 대해 세간의 평가와는 다른 독특한 시각을 많이 보였는데 기생충을 가지고 라이브 방송에서 기생충 4관왕 쾌거!!! 숟가락 얹으려는 문재인 (CJ 100억 ㄷㄷ) #, '웃기CINE'에서는 문재인이 무조건 싫어할 영화 '기생충'[38] 등의 영상을 올리는 등 기생충을 통해 문재인 정부를 비난하는 독특한 행보를 보였다.[39]

특히 '웃기CINE' 기생충 편에서는 문재인 정권과 같은 영화 외적인 부분보다는 영화 자체의 평가를 주로 한 영상을 제작했는데 여기에서 김용호 김세의가 기생충을 부정적으로 평가했는데 김용호 기자는 봉준호 감독은 완벽하게 기획된 상업영화를 잘 찍는 감독인데 칸 영화제에서 상 받으려고 박찬욱 감독을 따라한 영화라고 평가하였다.[40] 하층민이 기생충처럼 상층부로 기어올라가 상류층에 해를 끼치는 것에 대해 봉준호 감독이 처절하게 비판적 메세지를 보냈다고 하며 또한 김용호는 이런 기생충들이 대한민국에서 없어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리고 대중들은 유명한 영화니까 군중심리에 자신도 끼고 싶어서 남들 따라서 많이 볼꺼지만 내용이 불편해서 천만은 불가능하며 반토막해서 500만 관객을 예상했다. 그러나 알다시피 틀렸다.

또한 강용석은 봉준호 감독이 이 영화의 핵미사일 풍자와 종북개그를 통해서 자신은 좌파지만 종북은 아니다라는 일종의 사상선언을 한 의미가 있는 영화라는 기이한 견해를 표했다.[41] 강용석은 이 영화를 통해 일종의 봉준호 감독 사상검증을 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이유진(유`s)은 송강호가 맡은 무계획 관련 대사와 사람을 죽이든지 나라를 팔아먹든지 그건 중요하지 않고 그냥 살아남는게 중요하다는 대사는 최악의 발언이며 이를 통해 김기택 포퓰리즘에 찌든 하층민의 모습을 반영하고 있다고 해석했으며 김용호 기자는 이것은 봉준호 감독이 문재인 정부를 향한 것이라 주장했다. #

뉴스타운TV에서는 부자 세상 갈아엎자는 좌익혁명 선동영화, 봉준호는 뻔뻔한 반미주의자-뭔 낯으로 아카데미상 받았나?, 좌파영화 ‘기생충’ 돈줄 CJ 이미경 왜 저래? 할아버지 이병철 통곡한다[42] 등 비판을 넘어선 악의적인 비난을 가했다. #

황태순TV에서는 선전선동은 좌파들의 특기라는 썸네일로 영상을 제작하며 마오쩌둥 중국공산당 대장정 기간 중에 중국 농촌을 배회할때 연극을 했다며 왜냐하면 문맹의 농민들에게 그것이 효과적인 선동이었기 때문이라는 전제를 깔면서[43] 기생충이 여러 시상식에서 상을 받은것에 비하면 그다지 관객의 평점이 높지 않아서 우리국민들의 영화를 보고 난 다음 감상은 그렇게 높지 않다고 평가했다. 그리고 우리나라의 제일 큰 암적인 존재들인 민주노총, 민변, 참여연대, 전교조, 전국공무원노동조합이 정작 자기들은 상위10%에 들면서 나머지 하위 계층에 속하는 일반 국민을 선동하는게 문제이지 한국사회에서 계급 문제는 문제가 아니며 기생충은 설국열차 같이 사회 전복을 노리는 비슷한 영화가 아니겠느냐고 영화를 평가했다. #

주동식TV에서는 기생충을 평가하며 우리나라 영화계는 좌파가 장악했다는 것은 상식이며 우리나라에 만연한 좌파코드를 내세운 영화이고 봉준호 감독이 우리나라의 현실에 대해서 치열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있었다면 기생충이라는 이 상징을 가지고 김씨조선 민주노총을 기생충으로 묘사해야지 정작 중요한 문제는 고발하지 않았다고 비방하였다. #

그런데, 정작 대한민국의 역사를 되돌아보면 진보좌파보다 보수우파가 정권을 잡은 기간이 더 길었을 정도로 충분히 우경화가 된 사회에서 그동안 보수우파가 문화계를 비롯한 영화계마저 헤게모니를 장악하지 못하고 있었다면 그게 더 심각한 것이 아니냐고 봐야 할 것이다. 진보좌파 진영에서는 우경화된 정부에서 대놓고 블랙리스트를 만들고 사상을 검열하면서 체포하고 사전심의로 검열하면서 압력넣고 끊임없이 탄압을 당했어도 어쨌든간에 유능한 인재가 나왔던 상황이다.

9. 외부 링크



[1] 알다시피 봉준호의 작품들 자체가 예술과 오락의 비율이 팽팽하다. [2] 1위는 7인의 사무라이, 2위는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3] 1위는 크리스토퍼 놀란 인터스텔라 [4] 박평식의 평점은 10점을 단 한 번도 준 적이 없기 때문에 9점이 사실상 만점이고, 그 중에서도 한국 영화는 지금까지 8점이 최고점이었다. 〈기생충〉 이전에 마지막 박평식 8점 한국영화는 2012년의 남영동1985였으니, 7년 만에 한국영화에 8점을 매긴 것이다. [5] 여러 인터넷 커뮤니티와 SNS에서 '명징'과 '직조' 어휘 사용 때문에 논란이 있었다. 일부 네티즌들은 명징이나 직조 같은 어휘가 현학적이고 이해하기 어렵다며 불만을 표했고, 이 어휘를 어렵다고 볼 수 없으며 영화를 한 줄로 표현하기 위해 함축적인 단어를 선택하는 건 평론가의 당연한 역할이라는 반론이 나왔다. 아이러니한 것은 이동진 평론가는 그동안 꾸준히 여러 매체에서 활발히 활동하여 대중들에게 가장 잘 알려진 평론가이며, 쉽고 자세한 설명으로 유명하다는 점이다. 이 논란은 여러 기사로까지 나왔다. [6] 이동진 평론가는 비슷한 단어라도 서로 정확한 뜻은 다르기 때문에 이러한 용어를 사용할 수 밖에 없었다고 유퀴즈에서 밝혔다. 사실 '명징'과 '직조'는 문화 평론에 조금만 익숙한 사람이면 맨날 보게 된다고 할 만큼 흔하게 쓰이는 표현이긴 하다. 다만 본작 기생충이 워낙 광범위한 관심을 끌게 되면서 평소 문화 평론에 전혀 관심이 없던 사람들에게도 화제가 되었고, 그런 이들에게는 생경한 표현으로 느껴졌을 가능성이 높긴 하다. [7] 구로사와 기요시의 초기 페르소나로 유명하다. [8] 아카데미상 수상 소감은 아니고 청룡영화상 최우수작품상 수상 소감이다. [9] 예술성과 대중성을 모두 갖춘 영화. [10] PARASITE- I have loved and admired Bong Joon Ho since MEMORIES OF MURDER and he surprises, delights and moves me, every single time. So, to say this is his best, means a lot to me. It is. A film full of sadness and wit and depth. Irreverent but compassionate. Amazing. [11] 2019년 칸 영화제 심사위원장 [12] 2019년 칸 영화제 심사위원 [13] "Director Bong Joon Ho’s film Parasite is a theatrical hit! What years ago was referred to as "Asia Extreme" is now mainstream, and (as with Billie Eilish) sometimes the weird shit is needed and embraced by popular culture. Parasite is a blood-splattered, socially confrontational breath of fresh air." [14] 실제로 하마구치는 이 영화를 본 이후로 자극을 크게 받았는지 다음해인 2020년부터 3대 국제 영화제 중 하나인 베니스 국제 영화제부터 시작해서 칸 영화제 아카데미 시상식과 같은 해외 영화 수상제에서 상을 각양각색으로 수상할 정도로 무서운 신인의 저력을 보여주게 된다. 참고로 그가 극찬한 봉준호도 하마구치의 작품을 인상깊게 여긴다는 점을 보면 서로가 서로에게 자극제로서의 역할을 했다고 볼 수 있다. [15] 드라마 에이전트 오브 쉴드에서 요요 로드리게스 역으로 출연. [16] 2020년 1월 8일 열린 전미 비평가 위원회(NBR) 시상식에서 봉준호 감독이 수상한 외국어영화상을 루피타 뇽오가 시상했다. [17] "A piece of art that not only speaks to you but answers questions you’ve been asking your whole life." [18] 스턱만이 설국열차에 이어 2번째로 리뷰한 한국 영화이며, 그것도 영어 더빙 없이 자막으로 본 유일한 영화이다. [19] 참고로 본인의 '2019년 올해의 영화 Top 5'에서 가장 첫번째로 꼽기도 했다. [20] 유명 개그맨 하마다 마사토시의 아들. [21] 목록에 등재된 한국영화로는 아가씨(72위), 버닝(22위)이 있다. 참고로 1위는 문라이트가 차지했다. [22] 역대 아시아 영화 1위는 평점 8.4점으로 47위를 기록한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23] 로튼 토마토의 신선도 지수는 호평과 혹평의 비율을 말하고 실제 영화에 대한 생각은 평균 별점에 담겨있는데, <기생충>은 평점표본이 쌓이면서 계속 상승하고 있다. 9월 18일을 기준으로 9.15점인데, 이 정도 점수는 대부 시민 케인같은 극소수의 올타임급 영화들만 받았던 대호평이며 2019년 개봉 영화 중 가장 높은 수치다. 심지어 10월 29일을 기준으로 평점이 9.43점이다.(241개의 리뷰, 리뷰가 늘어나면서 평점도 지속 상승) [24] 최초 순위에 올랐을 때는 점수가 하락보정된 상태인 8.3점이었고 현재는 꾸준히 올라 8.6점이다. [25] 1위는 19위에 랭크된 7인의 사무라이 [26] 봉준호 감독이 21세기 감독 1위, 송강호 배우가 21세기 남배우 1위에 선정됐다. [27] 로튼 토마토보다 점수 체계가 더 까다로워서 90점대 이상 영화들은 로튼에서 평균 별점 8.5~9.0 이상급들만 거의 받는 수준이다. [28] 코미디언 데이브 샤펠과 일하는 코미디 작가. [29] 1917의 감독이자 각본가인 샘 멘데스는 영국인이다. 그리고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할리우드의 각본 겸 감독인 쿠엔틴 타란티노는 이탈리아계, 아일랜드계 혈통인데 아일랜드계와 이탈리아계가 미국에서 멸시받았던 역사를 생각하면 아이러니한 발언이다. [30] 원래는 개새끼 꺼져라라고 적어야 했으나 한글자 오타가 나있다. [31] 물론 〈조커〉도 〈기생충〉과 비슷한 주제의식을 가지고 있긴 하다. 계급투쟁도 두 작품에 동일히 존재하고, 자본주의 병폐(소수의 기득권층의 다수의 서민들에 대한 무관심+무지)에 대한 풍자도 있다. [32] 그 외에도 작은 아씨들, 1917를 언급하면서 외국 영화가 아닌 미국 영화가 작품상을 받고 이겨야 했다는 점을 전달하는 듯한 말을 하였지만, 정작 미국영화가 아닌 영국영화인 1917를 언급했다는 점에서 모순점이 드러나 이 부분이 역시 까이기도 하였다. [33] 피트가 아카데미 시상식 소감으로 '트럼프는 존 볼턴에게 탄핵심판 연설기회도 주지 않는다'며 비판했기 때문. 그런데 볼턴은 대표적 보수주의자이자 네오콘이다. [34] 정작 일본에서는 대도시의 뒷골목에만 가도 길거리에 노숙자들이 널려있고, 일본의 젊은 여자들이 한국으로 비행기를 타고 날아와서 몸을 팔다가 한국 경찰에 붙잡힌 사례를 생각하면 일본이 한국에게 남말할 처지가 아니다. 절묘하게도 이들의 발언은 북한이 기생충을 보고 한국을 조롱하는 논평을 내놓은 것과 맥락상 비슷하다. 그야말로 극과 극은 통한다의 전형. [35] 일본으로 귀화한 혐한 한국계 일본인이다. 그것이 알고싶다에서도 다룬 적이 있을 정도로 악명 높은 극우 유투버다. 혐한 유튜브, 혐한 트위터 등 SNS에서 전방위적으로 혐한을 퍼트리는 것은 물론이고 혐한 저서까지 출판했다. [36] 당연하다면 당연한 소리지만 거짓말이다. 비웃은 적 없다. [37] 〈기생충〉은 구로사와 아키라의 영화인 〈 천국과 지옥〉과 비슷한 면이 있다. [38] 그런데 이건 사실관계가 맞지 않은데 문재인 대통령은 직접 극장관람을 하고 코로나 시국에 욕먹어 가면서 까지 청와대로 감독과 배우들을 불러 오찬까지 강행해서 문재인이 무조건 싫어할 영화라고 보기엔 어폐가 있고 오히려 자유한국당은 다른 4당이 축하하는데도 끝까지 안 하다가 막판에야 축전을 보내고 일부 의원들은 기생충은 무시하고 강철비를 관람하고 칭찬하는 행보를 보여근데 강철비도 그쪽 취향은 아닐텐데.. 진짜 이 영화를 싫어한 것은 문재인 대통령보다는 반대 진영인 것으로 봐야 한다. 마침 일본의 어느 가족에 대한 아베 신조 총리와 자민당의 행보를 보면 진짜 싫어한다는 것이 어떤 모습인지 알 수 있다. [39] 보통은 기생충 가지고 정치 운운하지도 않지만, 굳이 꼽자면 좌파적 코드에 더 맞는 영화여서 좌파가 환영하고 우파가 껄끄러워 하거나 우파 진영의 비판 소재로 쓰이는 영화라는게 일반적인 견해다. 실제로도 후술된 다른 보수 유튜버들이나 보수 일간지들도 그런 식으로 영화를 파악하고 평론하여 가세연의 시각은 보수 진영에서도 독특한 편에 속한다. [40] 이것은 봉준호 감독의 일반적인 평가와는 다른 것으로 봉준호 감독은 원래 작가주의 성향의 감독이었고 박찬욱 감독의 예술영화 상업영화 못지 않게 예술영화와 상업영화의 줄타기를 하는 성향의 감독이었다. 심지어 입봉작인 플란다스의 개는 평론가들에게 단편영화를 장편으로 찍었다는 소리까지 들었었다. 그후의 영화들도 작가주의적 성향이 깊게 들어갔기 때문에 딱히 상업영화에만 특화되어 있다가 이번에 기생충으로 박찬욱 감독처럼 예술영화적 시도를 해서 필모그래피에 변화를 꾀한 것은 아니다. [41] 핵미사일이 협박수단이라는 풍자와 북한 아나운서를 흉내낸 종북개그가 김정일 개새끼 해봐 같은 일종의 후미에가 되기 때문에 종북주의자는 감히 할 수 없는 수위의 개그라는 의미로 풀이할 수 있다. 애초에 좌파라고 종북으로 모는 것 자체가 극우 친일 수준의 한심한 인식 수준을 보여주는 행위다만. [42] 이런 자기들 기준 좌빨 영화에 돈주 역할을 하면서 저걸 문화투자라고 하는 정신 상태가 온전한 것인지 의심스럽다며 그리고 대한민국 언론들의 기생충에 대한 호평들을 하는 것 보면 한국언론은 망했다며 비판을 하였다. # 근데 이병철은 얘들한테 더 통곡할 거 같은데 [43] 기생충과 좌파적 코드의 영화 얘기를 문맹의 무지렁이 농민들 그리고 중국 공산당 선전선동 이야기와 역는것은 어리석은 군중을 혹세무민한다는 식으로 민중은 개돼지식 견해를 펼치는 것으로 해석 할 소지가 있는 발언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955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955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