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인천국제공항과 서울역을 잇는 철도 노선에 대한 내용은 인천국제공항철도 문서
, 해당 노선을 운영하는 기업에 대한 내용은
공항철도(기업)
문서
참고하십시오.1. 개요
공항과 도시를 연결해 주는 철도. 공항 리무진 버스와 함께 대중교통으로 공항 가는 방법의 양대 산맥이다.보통 공항은 항공기 이착륙 시 주변의 고층 건물에 의한 방해를 최소화하고, 소음으로 인해 인근 주민들의 민원 폭탄을 맞거나 공항 운영 시간에 제약이 가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해 도심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지어지는 경우가 많다. 특히 한 나라의 대표 관문 역할을 하는 공항은 장거리 노선의 비행시간 및 시차 때문에 24시간 가동해야 함을 고려하면 이는 치명적인 문제이다. 인천국제공항이 지어진 것도 김포국제공항의 커퓨 타임이 한몫을 했다. 일본과 유럽 대도시의 경우 거의 모든 주요 공항에는 공항철도가 연결되어 있다.
대부분의 경우 한참 돌아다니던 기존선 근방에 지선을 살짝 빼서 건설하는 방식으로, 여건이 허락하면 간선상에 공항역을 짓고 그 위를 메워서 활주로로 쓰는 경우도 많다. 인천국제공항철도처럼 공항의 개통에 맞춰서 일부러 수십km씩 되는 여객용 공항철도 전용선을 건설하는 사례는 흔치 않다. 안 지으면 안 지었지(...)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런 식으로 공항철도를 만든다면 공항철도 외에 다른 역할도 맡을 수 있도록 한다. 인천국제공항철도의 경우 공항 이용객뿐만 아니라 인천에서 서울로 통근하는 통근객이 많이 이용하고 있다.
국내에서 '공항철도' 하면 주로 인천국제공항철도를 일컫는다. 운영 회사의 정식사명이 " 공항철도주식회사"로, 승객 안내서 등에는 이 명칭을 사용하기 때문에 공식 명칭에 가깝다. 이 경우 흔히 공철로 더 많이 통용된다.
국내에도 인천국제공항철도를 포함한 이런 공항철도들이 몇 군데 있으나, 대부분의 경우 군용 화물 전용 화물선으로만 쓰인다. 공항 근처에 여객용 역이 있는 경우는 인천국제공항, 김포국제공항, 청주국제공항, 광주공항, 김해국제공항 정도. 대구국제공항의 경우는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의 아양교역이 그나마 공항과 가장 가깝고 부역명도 대구국제공항이지만 공항과는 상당히 떨어져 있어서 공항철도의 기능을 한다고 보기는 무리가 따른다.
서울시내와 김포국제공항을 잇는 지하철은 5호선이 먼저 지어졌는데, 공항철도 인천국제공항행 승강장과 바로 연결된 곳은 9호선 승강장이다. 이것은 3기 지하철 계획과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 공항철도를 짓는 계획이 나왔을 당시 9호선 계획이 존재했는데, 공항철도에 김포공항역을 지으면서 9호선 승강장도 같이 짓고, 최종적으로는 9호선을 타고 인천공항까지 갈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만든 것. 김포공항역 항목을 보면 좋다.
외국인 등, 해당 도시를 첫 방문하는 이들에게는 공항철도가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그 국가, 도시의 이미지가 바뀐다고 할 정도로 긍정적 요소가 된다. 철도 특유의 정시성과 다른 교통에 비해 직관적인 노선, 바가지에 대한 우려가 적다는 부분, 무엇보다 대부분 중심도시와 직접적으로 연결된다는 이유 등으로 인해 초행길 이동에 있어 걱정거리 하나가 줄어든다고 해도 무방하다.
반대로 내국인들은 공항철도 이용률이 낮은 편이다. 환승저항 때문에 자기 집 근처에서 짐 걱정을 덜하고 앉아서 갈 수 있는 공항버스를 더 선호하는 편.
2. 목록
자세한 내용은 공항역 문서 참고하십시오.2.1. 아시아
2.1.1. 대한민국
- 도시철도· 광역전철
- 인천국제공항철도[1] - 김포공항역( 김포국제공항), 인천공항1터미널역· 인천공항2터미널역( 인천국제공항). 대한민국에서 공항철도라고 하면 십중팔구 이 노선을 뜻한다.
- 수도권 전철 5호선 - 김포공항역( 김포국제공항)
- 서울 지하철 9호선 - 김포공항역( 김포국제공항)
- 수도권 전철 서해선 - 김포공항역( 김포국제공항)
- 김포 골드라인 - 김포공항역( 김포국제공항)
- 광주 도시철도 1호선 - 공항역( 광주공항[2])
- 부산김해경전철 - 공항역( 김해국제공항)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 아양교(대구국제공항입구)역( 대구국제공항)[3]
- 일반철도
2.1.1.1. 계획된 철도
- 부산신항선 가덕도신공항 지선 - 가덕도신공항역( 가덕도신공항)
- BuTX - 가덕도신공항역( 가덕도신공항)
- 호남고속선 - 무안공항역( 무안국제공항)
- 대전-세종-충북 광역철도 - 청주공항역( 청주국제공항)
- 수도권 내륙선 - 청주공항역( 청주국제공항)
- 대구경북신공항 광역철도 - 신공항역( 대구경북통합신공항)
- 새만금항 인입철도 - 새만금국제공항역( 새만금국제공항)
2.1.2. 일본
일본의 공항철도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홋카이도 | 삿포로 신치토세CTS | 신치토세 공항역 | JR 홋카이도 | 치토세선, 쾌속 에어포트 |
도호쿠 |
센다이SDJ | 센다이 공항역 | 센다이 공항철도 | 센다이 공항선, 센다이 공항 액세스선 | |
하나마키HNA | 하나마키 공항역 | JR 동일본 | 도호쿠 본선 | ||
간토 | 도쿄(하네다)HND |
제1·제2터미널역 제3터미널역 |
케이큐 전철 | 케이큐 공항선 | |
제1터미널역 제2터미널역 제3터미널역 |
도쿄 모노레일 | 하네다 공항선 | |||
도쿄 나리타NRT |
나리타 공항역 제2빌딩역 |
JR 동일본 | 소부 쾌속선, 나리타선, 나리타 익스프레스 | ||
케이세이 전철 | 나리타 공항선, 본선, 스카이라이너 | ||||
주부 | 나고야 주부NGO | 주부국제공항역 | 나고야 철도 | 메이테츠 공항선, 뮤스카이, 쾌속특급 | |
간사이 | 오사카 간사이KIX | 간사이 공항역 | JR 서일본 | 간사이 공항선, 하루카 | |
난카이 전기철도 | 난카이 공항선, 라피트 | ||||
오사카(이타미)ITM | 오사카 공항역 | 오사카 모노레일 | 오사카 모노레일선 | ||
고베UKB | 고베 공항역 | 고베 신교통 | 포트 아일랜드선 | ||
주고쿠 | 요나고YGJ | 요나고 공항역 | JR 서일본 | 사카이선 | |
야마구치 우베UBJ | 쿠사에역 | JR 서일본 | 우베선 | ||
규슈 | 후쿠오카FUK | 후쿠오카 공항역 | 후쿠오카시 교통국 | 시영 지하철 공항선 | |
미야자키KMI | 미야자키 공항역 | JR 큐슈 | 미야자키 공항선 | ||
오키나와 | 오키나와 나하OKA | 나하공항역 | 오키나와 도시 모노레일 | 오키나와 도시 모노레일선 | }}}}}}}}} |
- JR 동일본 나리타선 ( 일본 치바 나리타 국제공항)
-
JR 동일본 하네다 공항 액세스선 ( 일본 도쿄 도쿄 국제공항) - 케이세이 전철 나리타 공항선, 케이세이 본선, 히가시나리타선 ( 일본 치바 나리타 국제공항)
- 시바야마 철도 시바야마 철도선 ( 일본 치바 나리타 국제공항)
- 도쿄 모노레일 하네다선 ( 일본 도쿄 도쿄 국제공항)
- '도쿄 모노레일 공항 쾌속, 구간 쾌속'
- 케이큐 전철 공항선 ( 일본 도쿄 도쿄 국제공항)
- JR 서일본 간사이 공항선 ( 일본 오사카 간사이 국제공항)[B]
- 난카이 전기철도 난카이 공항선 ( 일본 오사카 간사이 국제공항)[C]
- 난카이 특급 라피트
- 난카이 '공항급행', '보통'
- 오사카 모노레일 오사카 모노레일선 ( 일본 오사카 오사카 국제공항)
- 고베 신교통 포트 아일랜드선 ( 일본 고베 고베 공항)
- '쾌속'
- 나고야 철도 공항선 ( 일본 나고야 센트레아 나고야 중부국제공항)
- 메이테츠 유료특급 뮤스카이
- 메이테츠 '특급/급행/준급/보통'
- JR 홋카이도 치토세선 공항 지선
- JR 동일본 도호쿠 본선 ( 일본 이와테 하나마키 공항)
- 하나마키 공항역에서 편도 320엔(약 7분)짜리 버스타고 별도 이동
- 센다이 공항철도 센다이 공항선( 센다이시 센다이 공항)
- ' 센다이 공항 액세스선[15]' '쾌속'
- JR 서일본 사카이선 ( 요나고 요나고 공항)
- 쾌속 '미나토 라이너'
- JR 서일본 우베선 쿠사에역( 일본 야마구치 야마구치 우베 공항)
- 후쿠오카시 지하철 공항선 ( 일본 후쿠오카 후쿠오카 공항)
- '쾌속'[16]
- JR 큐슈 미야자키 공항선 ( 일본 미야자키 미야자키 공항)
- JR 큐슈 호히 본선 ( 일본 구마모토 구마모토 공항)
- 히고오즈역에서 공항라이너(봉고차량)를 무료로 이용가능
- 오키나와 도시 모노레일선 ( 오키나와 나하 공항)
2.1.3. 중국
2.1.3.1. 본토
- 베이징 지하철 수도공항선 ( 베이징 서우두 국제공항)
- 베이징 지하철 다싱국제공항선, 징슝도시간철도 ( 베이징 다싱 국제공항)
- 톈진 지하철 2호선 ( 톈진 빈하이 국제공항)
- 상하이 자기부상 시범운영선 ( 상하이 푸둥 국제공항)
- 상하이 지하철 2호선 ( 상하이 푸둥 국제공항· 상하이 훙차오 국제공항)
- 상하이 지하철 10호선 ( 상하이 훙차오 국제공항)
- 징후고속철도 ( 상하이 훙차오 국제공항)
- 난징 지하철 6호선, 난징 지하철 S1호선 ( 난징 루커우 국제공항)
- 광저우 지하철 3호선, 광포 환선 ( 광저우 바이윈 국제공항)
- 선전 지하철 11호선, 선전 지하철 20호선, 후이선 도시간철도 ( 선전 바오안 국제공항)
- 창사 자기부상 고속선 ( 창사 황화 국제공항)
- 우한 궤도교통 2호선, 우샤오 도시간철도 ( 우한 톈허 국제공항)
- 청구이고속철도, 청두 지하철 10호선, 청두 지하철 19호선 ( 청두 솽류 국제공항)
- 룽쿤고속철도, 청두 지하철 18호선, 청두 지하철 19호선 ( 청두 톈푸 국제공항)
- 충칭 궤도교통 3호선, 충칭 궤도교통 10호선 ( 충칭 장베이 국제공항)
- 정저우 지하철 청교선, 정지 도시간철도 ( 정저우 신정 국제공항)
- 시안 지하철 14호선 ( 시안 센양 국제공항)
- 쿤밍 궤도교통 6호선 ( 쿤밍 창수이 국제공항)
- 닝보 지하철 2호선 ( 닝보 리서 국제공항)
- 다롄 지하철 2호선 ( 다롄 저우수이쯔 국제공항)
- 우시 지하철 3호선 ( 쑤난 쒀팡 국제공항)
- 창훈 도시간철도 ( 창춘 룽자 국제공항)
- 후허하오터 지하철 1호선 ( 후허하오터 바이타 국제공항)
- 항저우 지하철 1호선, 항저우 지하철 7호선 ( 항저우 샤오산 국제공항)
- 원저우 도시철도 S1선 ( 원저우 룽완 국제공항)
- 칭다오 지하철 8호선 ( 칭다오 자오둥 국제공항)
- 하이난 동환 고속철도 ( 하이커우 메이란 국제공항)
- 하이난 서환 고속철도 ( 싼야 펑황 국제공항)
- 란중 도시간철도 ( 란저우 중촨 국제공항)
- 우루무치 지하철 1호선 ( 우루무치 디워푸 국제공항)
2.1.3.2. 특별행정구
2.1.4. 대만
2.1.5. 싱가포르
2.1.6. 말레이시아
2.1.7. 태국
- 수완나품 공항연결선 (SARL) ( 방콕 수완나품 국제공항)
- 방콕 SRT 다크 레드 라인, 북부선, 동북부선 ( 방콕 돈므앙 국제공항)
2.1.8. 인도네시아
- 수카르노-하타 공항철도 ( 자카르타 수카르노 하타 국제공항)
- Kualanamu Airport Rail Link (메단 국제공항)
- Lin Yogyakarta International Airport (욕야카르타 국제공항)
2.1.9. 인도
- 델리 메트로 오렌지라인, 델리 메트로 마젠타라인 : ( 델리) - 인디라 간디 국제공항
- 첸나이 메트로 블루라인 : ( 첸나이) - 첸나이 국제공항
- 콜카타 메트로 오렌지라인건설중 : ( 콜카타) - 네타지 수바스 찬드라 보스 국제공항
- 뭄바이 메트로 3호선 : ( 뭄바이) - 차트라파티 시바지 국제공항
2.1.10. 이란
2.1.11. 아랍에미리트
2.2. 유럽
2.2.1. 독일
S반과 DB: 유럽에서 웬만한 공항은 간선상에 지어져 있어서 모든 열차가 자동으로 공항철도가 된다. 일반 열차가 정차하는 역은 일부에 불과하지만, 도이체반에서 운영하는 지역별 S반은 웬만하면 다 정차한다.- 프랑크푸르트 공항: ICE, IC, RE, S반 S8, S9
- 뮌헨 공항: RE, S반 S1, S8
- 베를린 브란덴부르크 공항: IC, FEX( RE), RB, 베를린 S반 S45, S9.[17]
-
베를린 템펠호프 공항: 베를린 지하철 6호선세계 최초의 공항철도 - 뒤셀도르프 공항
- 뒤셀도르프 스카이트레인
- 라인-루르 S반 S11
- 함부르크 공항: 함부르크 S1
- 뉘른베르크 U반 2호선(뉘른베르크 국제공항)
2.2.2. 영국
- 런던
- 내셔널 레일( 히스로 익스프레스, 엘리자베스선), 런던 지하철( 피카딜리선) ( 히스로 공항)
- 내셔널 레일( 개트윅 익스프레스) ( 개트윅 공항)
- 도클랜즈 경전철 ( 런던 시티 공항)
- 내셔널 레일( 스탠스테드 익스프레스) ( 스탠스테드 공항)
- 내셔널 레일( 루턴 에어포트 익스프레스) ( 루턴 공항)
- 내셔널 레일 Southend Airport역 ( 사우스엔드 공항)
- 내셔널 레일 Manchester Airport역, 맨체스터 메트로링크( 맨체스터, 맨체스터 공항)
- 내셔널 레일 Birmingham International역 ( 버밍엄, 버밍엄 공항)
- 타인 위어 메트로( 뉴캐슬, 뉴캐슬 국제공항)
- 에든버러 트램( 에든버러, 에든버러 국제공항}
-
내셔널 레일 Teesside International Airport( 더럼, 티사이드 국제공항)[18] - 내셔널 레일 Prestwick international Airport역 ( 글래스고, 프레스트윅 국제공항[19])
-
글래스고 에어포트 레일 링크 ( 영국 글래스고 국제공항)(계획중) - 셔틀버스로 연결되는 공항철도역(시간당 1대)
2.2.3. 프랑스
- Orlyval, 파리 트램 7호선 ( 프랑스 파리 오를리 공항)
- CDGVAL, RER B선, TGV ( 프랑스 파리 샤를 드골 공항)
- Rhône Express ( 프랑스 리옹 생텍쥐페리 국제공항)
- 툴루즈 트램 2호선 ( 프랑스 툴루즈 블라냐크 국제공항)
- 마르세유 SNCF ( 프랑스 마르세유 공항)
2.2.4. 이탈리아
- 레오나르도 익스프레스 ( 이탈리아 로마 레오나르도 다 빈치 국제공항)
- 말펜사 익스프레스 ( 이탈리아 밀라노 말펜사 국제공항)
2.2.5. 스페인
2.2.6. 포르투갈
2.2.7. 기타
-
이스탄불 지하철 [[이스탄불 지하철 11호선|M11호선,
튀르키예 고속철도튀르키예( 이스탄불 공항)/ M4호선( 사비하 괵첸 국제공항) - 아에로익스프레스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국제공항/ 모스크바 셰레메티예보 국제공항, 도모데도보 국제공항, 브누코보 국제공항/ 소치 소치 국제공항)
- OBB, 빈 지하철 S7호선, CAT 오스트리아( 빈 국제공항)
2.3. 아메리카
2.3.1. 미국
- 시애틀 경전철 1호선 ( 시애틀 타코마 국제공항)
- 샌프란시스코 에어트레인 플라이 어웨이 노선( 샌프란시스코 국제공항)
- 로스앤젤레스 Aviation/LAX역(C노선)과 LAX셔틀버스(무료) 연계( 로스앤젤레스 국제공항)
- 에어트레인 (뉴욕 존 F. 케네디 국제공항, 뉴어크 국제공항)[20]
- 뉴욕 지하철 A선[21], E선, J/Z선, 롱아일랜드 철도 본선[22] (뉴욕 존 F. 케네디 국제공항)
- 암트랙 동북 간선
- 뉴어크 국제공항 역 (뉴어크 국제공항)
- 볼티모어-워싱턴 국제공항 역 ( 볼티모어 워싱턴 국제공항)
- 시카고 전철 오렌지 라인 ( 미드웨이 국제공항)
- 시카고 전철 블루 라인 ( 시카고 오헤어 국제공항)
- 워싱턴 메트로 블루 라인 ( 로널드 레이건 워싱턴 내셔널 공항)
- 워싱턴 메트로 옐로우 라인 ( 로널드 레이건 워싱턴 내셔널 공항)
- 워싱턴 메트로 실버 라인 ( 워싱턴 덜레스 국제공항)
-
호놀룰루 궤도교통 ( 대니얼 K. 이노우에 국제공항)
2.3.2. 캐나다
2.4. 멕시코
- 멕시코시티 도시철도 5호선 멕시코( 멕시코시티 국제공항)
2.5. 브라질
- 상파울루 메트로 13호선 브라질( 상파울루 구아룰류스 국제공항)
2.6. 페루
-
리마 지하철 4호선 페루( 호르헤 차베스 국제공항)
2.7. 오세아니아
- 시드니 시티레일(Cityrail) Airport & East Hills Line 호주( 시드니 국제공항)
- 브리즈번 에어트레인 시티링크/ 퀸즐랜드 철도 공항선 호주( 브리즈번 국제공항)
- 퍼스 트랜스퍼스 공항선 호주( 퍼스 공항)
2.8. 아프리카
- 요하네스버그 하우트레인(Gautrain) 남아프리카 공화국( 요하네스버그 국제공항)
- 카사블랑카 ONCF 모로코( 카사블랑카 국제공항)
- 알제 SNTF 알제리( 알제 국제공항)
[1]
인천국제공항철도의 경우 일반 여객열차와 비슷한 직통열차가 운행중이며, 서해선 김포공항역의 경우에도 다중 슬라이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추후 일반 여객열차가 정차할 가능성이 있다.
[2]
다만 광주공항의 국내선 기능이
무안국제공항으로 이관하면 공항철도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원래 2021년으로 예정되었으나 여전히 소식이 없다.
[3]
부역명으로 쓰인 사례로 역과 공항이 1km 정도의 거리로 떨어져 있다. 그러나
대구국제공항이
의성, 군위로 이전하면 공항철도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대신
대구경북선 건설을 추진 중.
[4]
공항과 역이 상당히 멀리 떨어져 있다. 다만
충북선 고속화와 함께 공항 근처로 역이 옮겨질 거라 이 문제는 해결 될 예정.
[5]
원래 열차명이 '에어포트 나리타'였으나 폐지되고 나리타선 및 소부 열차선 내에서는 '쾌속'으로 운행하고
도쿄역을 지나서
요코스카선 직통운행도 하며 요코스카선 내에서는 각역정차한다.
[6]
특급이라고 해서 추가요금이 붙는것은 아니며(단 공항선 추가요금이 부과됨) 급행 윗대가리라고만 생각하자. 이 열차는 나리타 국제공항에서 하네다 국제공항까지 간다.
오시아게역을 지나서
도영지하철 아사쿠사선, 케이큐선 직통운행 한다. 도영지하철 내에서는 각역정차를 하는 열차도 있고 오시아게역에서부터 '에어포트 쾌특'이 되는 열차는 도영지하철선, 케이큐선내에서도 통과역이 있으니까 반드시 주의를 해야한다.
[7]
돈내는 특급이 아니라 경인선 특급같은 개념이며 본선 경유이다.
[8]
케이큐 공항선-본선 ~ 도에이 아사쿠사선~스카이엑세스선을 직통운행하여 나리타공항 ~ 하네다공항을 연결해주는 쾌특. 하네다공항 ~ 시나가와까지는 에어포트 쾌특, 시나가와 ~ 나리타공항까지는 엑세스 특급으로 등급이 변경된다.
도영지하철 아사쿠사선 직통운행을 하지만
하네다 공항 제3터미널역과
시나가와역사이는 논스톱운행하고 도영지하철선 내에서도 통과하는역이 있기때문에 반드시 주의를 해야한다.
[9]
케이큐선 내에서는 정차역이
하네다 공항 제1·제2터미널역,
하네다 공항 제3터미널역,
케이큐카마타역,
시나가와역,
센가쿠지역 뿐이며
도영지하철 아사쿠사선 직통운행을 한다.
[10]
즈시나 미사키구치에서 오는 차가 있고 시나가와에서 오는차가 있다.
[B]
공항부근에서는 난카이와 선로를 공유하다가,
한와선으로 분기한다.
[12]
아침 1번, 새벽 1번 있는 히네노~간사이공항을 잇는 셔틀열차다. 히네노 종착후 히네노 차량고에 입고한다.
[C]
공항부근에서는 JR과 선로를 공유하다가,
난카이 본선으로 분기한다.
[14]
치토세 공항가는 차 대부분이 에어포트로 운용된다.
[15]
운행 계통
[16]
JR 큐슈 열차 한정,
메이노하마까지는 각역정차, 이후
치쿠히선 구간 내에서 쾌속운행.
[17]
과거
베를린 테겔 국제공항에는 공항철도가 없었다(...).
베를린 지하철 5호선을 연장할 계획이 있었으나 결국 지어지지 못하고 테겔 공항이 문을 닫았다.
[18]
열차 무정차. 근처에 나름 영국 주요도시라고 할 수 있는
미들즈브러가 있는데도, 2022/23년 2명이 이용한 것으로 통계가 집계되어, 영국에서 가장 이용객이 적은 기차역으로 뽑혔다.
[19]
글래스고 남부 외곽에 위치한 소규모 공항이다. 여객 항공편 취항 항공사는
라이언에어가 유일하다.
[20]
하지만 공항철도라고 하기도 뭐한게 도심과 공항을 이어주는 철도가 아니라 그냥 공항 근처에서 오는 셔틀에 불과하다.
[21]
에어트레인 JFK와
하워드 비치-JFK 공항역을 통해 연계
[22]
이하 3개 노선이 에어트레인 JFK와
자메이카역을 통해 연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