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12 00:37:23

상하이 자기부상 시범운영선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tablebordercolor=#000><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000> [[자기부상열차|
자기부상열차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000><colcolor=#fff,#ddd> 노선 대한민국 국립중앙과학관 자기부상열차1993-2020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2016-2022
일본 아이치 고속교통 동부구릉선 · 츄오 신칸센예정
중국 상하이 자기부상 시범운영선 · 창사 자기부상 고속선 · 베이징 지하철 S1선
차량 아이치 고속교통 100형 전동차 · 에코비 · 신칸센 L0계 리니어 모터카 · Transrapid
기관 지멘스 · JR 총연 · 스페이스X · 한국기계연구원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학문 전자공학 · 전자기학 · 기계공학 · 항공우주공학 · 초전도체
인접분야 튜브트레인1799- · 고속철도1964- · 호버트레인( 아에로트랭)1973- · 하이퍼루프2009-
}}}}}}}}} ||

상하이 지하철 운행 노선
파일:상하이 지하철 1호선 로고.svg 파일:상하이 지하철 2호선 로고.svg 파일:상하이 지하철 3호선 로고.svg 파일:상하이 지하철 4호선 로고.svg
파일:상하이 지하철 5호선 로고.svg 파일:상하이 지하철 6호선 로고.svg 파일:상하이 지하철 7호선 로고.svg 파일:상하이 지하철 8호선 로고.svg
파일:상하이 지하철 9호선 로고.svg 파일:상하이 지하철 10호선 로고.svg 파일:상하이 지하철 11호선 로고.svg 파일:상하이 지하철 12호선 로고.svg
파일:상하이 지하철 13호선 로고.svg 파일:상하이 지하철 14호선 로고.svg 파일:상하이 지하철 15호선 로고.svg 파일:상하이 지하철 16호선 로고.svg
파일:상하이 지하철 17호선 로고.svg 파일:상하이 지하철 18호선 로고.svg 파일:상하이 지하철 푸장선 로고.svg 시역공항선
파일:상하이 자기부상 시범운영선 로고.svg
진산철도 중국 국철에서 운영하는 별도의 광역철도이다.

파일:Shanghai Maglev logo(글자).jpg
{{{#!wiki style="margin: -10px -10px;" 파일:상하이 자기부상 시범운영선 로고.svg 上海磁浮示范 运营线
Shanghai Maglev Line
상하이 자기부상 시범운영선
}}}
파일:Shanghai Maglev Line Train.jpg
Transrapid 08 SMT
노선 정보
분류 자기부상열차
기점 룽양루
종점 푸둥공항 1, 2터미널
역 수 2
구성 노선 없음
개업일 2002년 12월 31일
소유자 상하이 선퉁 지하철 집단
운영자 상하이 자기부상 교통발전
사용차량 Transrapid 08 SMT
차량기지 상하이자기부상차량사업소
노선 제원
노선연장 30.5km
궤간 2,800mm 광궤
선로구성 복선
사용전류 ?
신호방식 Grade-of-Automation 2 / STO
최고속도 431km/h
표정속도 300km/h
지상구간 전 구간
통행방향 우측통행
개통 연혁 2002.12.31. 룽양루 푸둥국제공항

1. 개요2. 소개3. 노선
3.1. 요금
4.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주행 영상[1]

상하이 지하철의 한 노선으로 푸둥신구의 룽양루역과 푸둥공항 1, 2터미널역을 잇는 노선이다.

2. 소개

최고 시속 431km로 7분 20초 만에 2개의 역을 주파하며 세계에서 3번째로 상용 주행한 자기부상열차 노선이다.[2] 원 모델은 독일의 자기부상열차인 트랜스래피드 08형(Transrapid 08)이며 실제로 독일에서 기술을 제공했다.

최고 시속 300km나 430km 둘 중 하나로 운행하며 좌석은 좌우 3명씩 한 줄에 6명까지 앉을 수 있다. 직접 탑승해 보면 자기부상 방식 열차라 바퀴가 굴러가는 느낌은 사실상 없지만, 커브가 도는 구간에서는 몸이 쏠릴만큼 제법 심하게 좌우로 기울기는 한다. 확실히 유럽이나 일본에 비해선 승차감이 다소 떨어지는 감이 있지만, 크게 탑승하는 데 지장이 있지는 않다. 다만 물이나 액체류를 들고 탈때는 쏟아지지 않도록 유의하는 것이 좋다.

푸둥국제공항에 내려 룽양루까지 갈 때 시속 430km로 운행하는 시간대는 2번이 있다. 아침 9시부터 10시 45분, 낮 3시에서 3시 45분. 아침 비행기를 타고 수속을 빠르게 마친다면 10시 타임에 맞춰 탑승이 가능하다. 일반 지하철보다 요금은 비싸지만 지상 위를 엄청난 속도로 주파하는 모습이 장관이라 상하이에 여행가면 한 번 쯤 타 볼만 하다. 사실 장관이라기엔 넓은 평지가 다지만 중국의 광활한 국토를 직접 느낄 수 있다. 비행기 티켓 없이 끊으면 50위안, 티켓이 있다면 10위안을 할인받을 수 있다. 티켓은 플라스틱 재질로 잃어버리면 다시 사야하니 잃어버리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개통일 게르하르트 슈뢰더 독일 총리가 직접 상하이까지 날아와서 중국의 주룽지 국무원 총리와 같이 시승했다. 당시 독일 총리가 상하이까지 날아온 이유는, 베이징에서 상하이를 잇는 1,300km의 징후고속철도를 자기부상열차로 건설하자고 중국 고위부를 설득하기 위해서였다. 중국에서도 자기부상으로 건설할지 아니면 일반 초고속 열차로 건설할지 고민했었는데, 자기부상열차노선을 1,300km나 때려박기에는 지나친 비용이 들기에 결국에는 일반 초고속 열차로 건설하기로 결정이 났다고. 만약 베이징에서 상하이까지 자기부상열차를 깔았다면 1,300km라는 거리를 3시간 30분만에 주파하는 것 느낄 수 있었겠지만, 쇼미더머니를 곧잘 하는 중국도 이건 어렵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실제 중국에서 운행중인 고속철도의 영업속도가 시속 350km는 되기 때문에, 굳이 건설비용과 전자파가 많이 발생하는 자기부상선으로 깔 필요도 없었다.

그래도 상하이시 룽양루역을 지나 항저우까지는 연결할 계획을 가지고 있었고, 완성되면 169km를 27분만에 주파가 가능한 것으로 예상되었다. 2008년에 중국 정부에서 승인했고 2009년 3월에 착공하기로 했는데, 주민들이 전자파 때문에 격렬히 반대했다. 그래서 상하이에서 지하화해서 건설하면 어떻냐고 설득하기도 했다.

하지만 결국 항저우 사람들의 반발을 이기지 못한 데다가 자기부상열차의 경제성에 대한 의문이 커져서 현재의 시범운영선으로 유지하는 것으로 결론을 내렸다.

3. 노선

역명 승강장 행정구역 환승
룽양루 龙阳路 ■│■│■ 푸둥신구 파일:상하이 지하철 2호선 로고.svg 2호선
파일:상하이 지하철 7호선 로고.svg 7호선
파일:상하이 지하철 16호선 로고.svg 16호선
파일:상하이 지하철 18호선 로고.svg 18호선
푸둥공항 1, 2터미널 浦东1号2号航站楼 ■││■ 파일:상하이 지하철 2호선 로고.svg 2호선

3.1. 요금

2024년 1월 기준 편도 50위안, 왕복 80위안이며, 당일 비행기 표 소지시 편도 40위안이다. 할인을 받기 위해서는 매표 직원에게 당일 비행기 티켓을 보여주고 발권해야한다. 생각보다 꼼꼼하게 확인하니, 할인을 받기 위해서는 티켓을 버리지 말 것.

4. 둘러보기

파일:N+PIDesign.jpg 파일:N+P ID 로고 다크모드.jpg
{{{#!wiki style="margin: 0 -10px -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고속열차(EMU/DMU/PP)
ICE 1 ICE 2
ICE T ICE TD
ICE 3 403 ICE 3 406
Siemens Velaro E CRH380B
Hitachi Shinkansen 500 Series
🚄 시험용 고속열차(EMU/PP)
ICE V EuroTrain
Siemens Venturio HTS 350
🚈 전철/일반 열차(EMU/DMU)
Bombardier Talent 1 뮌헨 지하철 C형
베이징 1호선 신형 전동차 Linha Amarelo
Hitachi A-train TEC EMU
🚝 자기부상열차
Transrapid
상하이 자기부상열차
베이징 S1선 전동차
🚇 하이퍼루프
TUM
🚋 트램
Lightrail
전철/일반 열차로 되어있는 문단의 이모지는 🚅가 아닌 🚈로 표기, 인테리어 디자인은 틀에서 제외
}}}}}}}}} ||

{{{#!wiki style="margin: 0 -10px -1px"
{{{#!folding[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1px"
🚈 EMU/DMU/PP
🚄 고속열차 🚅 일반열차
ICE 1 Mireo EMU
ICE 2 Desiro EMU
ICE 3 Desiro DMU
ICE 4 Nexas EMU
ICE T 영국철도 332형
ICE TD Desiro City
Velaro E
CRH380B
Desiro Double Deck
Velaro D
Velaro Neo
영국 철도 333형
Velaro Novo Cargo Sprinter
🚄 시험용 고속열차
ICE V EuroTrain
Siemens Venturio
🚃 기관차
EuroSprinter Prototype EuroSprinter F
코레일 8200호대
NSB Di Series
EuroSprinter U EuroSprinter 2007
Eurorunner Asiarunner
Siemens Sprinter Vectron
ACS-64 Charger
🚞 객차
Viaggio Venture
ICE ExM
🚝 자기부상열차
Transrapid
🚋 트램/경전철/광역전철
C651 Modular Metro
Inspiro Metro Tren Urbano
보스턴 지하철 블루라인 700호대 런던 신 지하철
ADtranz-지멘스 모듈식 지하철 전동차 타이베이 첩운 C321/ C341형
VAL 로스앤젤레스 메트로 P2000
Combino Supra Siemens S Series
Siemens SD Series 멜버른 트램 D형
ULF Tram Duewag U2
굵은 글자는 계획&생산 중인 차량, 얇은 글자는 현용 차량, 전량 퇴역 차량은 취소선으로 표기.
디자인과 구동 원리가 같을 경우 파생형으로 분리하고 디자인은 같은데 구동 원리가 다를경우 따로 분리.
}}}}}}}}}



[1] 해당 영상에서는 영업 최고속도인 431km/h로 주파하는 모습을 촬영했다. [2] 이전에 존재했던 시스템으로 영국 버밍엄 공항 셔틀(1984~1995)과 독일 베를린 M반(1989~1991)이 있다. 대중교통 목적이 아닌 어트랙션 시설로 유료 운행한 것을 포함한다면 1993 대전 엑스포에서 선보인 자기부상열차도 꼽을 수 있으며, 기술의 베이스인 트란스라피트 또한 엠슬란트 시험선에서 유료 시승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