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노선은 현재 폐선되었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노선은 현재 폐선되어 더 이상 운행을 하지 않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노선은 현재 폐선되어 더 이상 운행을 하지 않습니다.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000><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000> |
[[자기부상열차| 자기부상열차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000><colcolor=#fff,#ddd> 노선 | 대한민국 |
|
일본 |
아이치 고속교통 동부구릉선 · |
||
중국 | 상하이 자기부상 시범운영선 · 창사 자기부상 고속선 · 베이징 지하철 S1선 | ||
차량 | 아이치 고속교통 100형 전동차 · 에코비 · 신칸센 L0계 리니어 모터카 · Transrapid | ||
기관 | 지멘스 · JR 총연 · 스페이스X · 한국기계연구원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
학문 | 전자공학 · 전자기학 · 기계공학 · 항공우주공학 · 초전도체 | ||
인접분야 | 튜브트레인1799- · 고속철도1964- · 호버트레인( 아에로트랭)1973- · 하이퍼루프2009-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330px><tablebordercolor=#fff> 국립중앙과학관 자기부상열차 國立中央科學館 磁氣浮上列車 National Science Museum Maglev Line |
}}} | |
노선 정보 | |||
분류 | 궤도운송법 적용 자기부상열차 | ||
기점 |
|
||
종점 | 대덕대로변의 종단점 | ||
역 수 | 1개 | ||
구성 노선 | 국립중앙과학관 자기부상열차 | ||
개업일 | 1993년 8월 7일 | ||
폐업일 | 2020년 12월 31일 | ||
소유자 | 국립중앙과학관 | ||
운영자 | 메인트란스 | ||
사용차량 | UTM-02 (Urban Transit Maglev-2) | ||
차량기지 |
|
||
노선 제원 | |||
노선연장 | 450m과거엔 880m | ||
궤간 | 2,000㎜ | ||
선로구성 | 단선 | ||
사용전류 | 직류 1500V 제4궤조집전식 | ||
신호장비 | ATP / ATO[3] | ||
설계최고속도 | 110㎞/h | ||
허용최고속도 | 80km/h | ||
영업최고속도 | 30km/h[4] | ||
지상구간 | 전 구간 | ||
개통 연혁 |
1993. 08. 07.
과학관역 ↔
엑스포과학공원역 2008. 04. 21. 과학관역 ↔ 엑스포과학공원역[재개통] |
<nopad> |
▲ 국립중앙과학관 자기부상열차 홍보영상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 최초의 자기부상열차 노선이자 대전광역시 유성구 국립중앙과학관 내부에서 운행하였던 전시/체험용 자기부상열차 노선으로, 대한민국 여객철도 중 가장 짧았다.
차량은 관람객들이 탑승 가능한 2량 1편성의 UTM-02와, 시설물관리/비상시에 사용하는 1량 1편성 모터카가 있으며 선두 1호차의 1개 문만을 취급해 여객이 타고 내리도록 했었다.
2. 배경
일단 시설적 배경은 1993 대전 엑스포 때, 구내를 운행하던 자기부상열차 노선이다. 엑스포 당시 이 자기부상열차는 폭풍같은 인기를 끌었었는데 엑스포가 종료된 이후로는 방치 상태였다.이후 엑스포공원 재활용 및 활성화 논의와 함께, 2000년대 중반에 정부에서 자기부상열차 시범노선을 운영할 도시를 신청받기에 이르자 대전광역시는 이를 신청하기 위한 사전작업으로 자기부상열차 시범노선을 추진하기에 이른다.
2005년 계획 초기에는 상당히 비범한 규모로 제시되었다. 1단계 노선은 정부대전청사에서 시작하여 예술의 전당, 한밭수목원을 이어 엑스포공원과 과학관까지 연계되는 총연장 4.2km 규모였고, 여기에 2단계 노선 연장으로 과학관에서 대덕 테크노밸리까지 10km를 부설할 계획이었다. 계획은 그랬다. #
그러나 총 400억이 필요한 사업예산 중 할당된 건 100억 뿐이었고, 저 계획이 발표된 다음해의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염홍철 대전광역시장이 갈려나가면서(...) 추진력도 상실, 결국 2단계는 나가리되고 1단계도 절반 이상으로 노선이 대폭 줄어 현재의 엑스포 과학공원과 과학관을 연결하는 880m 노선만 운영되게 되었다.
이후, 자기부상열차 시범노선 도시 사업에서 대전이 광탈당하고 인천이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로 선정된다.
3. 정치와 자기부상노선
2010년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지난 번 떨어져나갔던 염홍철 前 시장이 도로 컴백하는 기염을 토하고 이 사업의 재추진에 나섰다. 대표적으로 대전 도시철도 2호선을 자기부상열차로 하려는 계획, 그리고 이를 지원하기 위한 현 시범노선의 연장 재추진이었다. 그러나 예산 등의 문제로 인하여 도시철도 2호선의 자기부상열차 계획은 사실상 사장되었고, 이를 지원하던 시장은 차기 선거에서 불출마를 선언한다.그리고 같은 시장이 추진하던 시범노선의 둔산동 연장 재추진 계획도 시장 퇴임 후 동력을 상실한 데다가, 권선택 시장의 무리한 트램 추진 으로 인해 국회에서 예산을 허가하지 않아서 자연스레 취소되었다. 대전 도시철도 2호선 참조.
4. 개통 이후
2015년부터는 운행을 일시 중단했다. 기존 880m 중 엑스포공원의 철거를 시작하면서 엑스포공원 부지 내 자기부상노선 일부 구간을 운행할 수 없게 되었기에 전시과정 개편이 필요해진 것.2016년 1월 12일에 재개장했다. 당초 과학관측은 수목원까지 노선을 연장하는 것을 요청했으나 예산이 배정되지 않아 선로가 450m로 단축되어 과학관 내에 부설된 선로만을 왕복하는 전시물로서의 기능만 수행하게 되었다. 다만 엑스포과학공원이 한빛탑만 남기고 모두 철거되면서 해당 방면으로의 수요가 전무한 상태가 되었으므로 이에 대해 반발하는 목소리는 적은 듯.
선로가 단축되며 (구)엑스포공원 부지와 국립과학관 사이 대덕대로를 지나던 큰 아치 장식이 있던 교량과 엑스포공원 구간 선로가 철거되고 선로가 끊긴 부분에는 차막이와 지붕이 있는 작업/비상시용 승강대가 설치되었다. 현재 운영은 자기부상열차에 대한 설명 후 열차의 하부로 가서 열차가 부상하는 모습을 본 뒤, 열차에 탑승하여 과학관역을 출발해 약 3분 정도 주행해서 차막이 앞까지 간 후, 후진해서 과학관역으로 다시 돌아오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다.[6]
2020년 12월 31일에 연구용 시제품이라는 한계와 노후화 등의 이유로 영업을 종료하였다.
결국 2021년 들어 운영비를 감당하기 어려워졌다면서 철거를 추진한다. 교량과 궤도 등에 대한 철거 작업을 상반기 중으로 마치고, 자기부상열차를 보관, 전시품으로 전락할 예정이다. #
2021년 10월 대전 사이언스콤플렉스 전망대에서 확인한 결과, 교량과 궤도 철거 마무리 작업이 진행되고 있는 게 확인되었다.
5. 대중교통으로서의 실용성
대중교통으로서의 실용성은 없다. 엑스포공원은 철거되었기 때문에 현재는 국립중앙과학관의 '전시물' 기능에만 충실한 상태이다. 애시당초 다른 동네에서 과학관으로 노선 자체가 연결이 안 되어있기 때문에 최소한 둔산동이나 유성 도심까지 연장되지 않는 이상 이 노선이 과학관의 교통시설로서 사용될 일은 없다.6. 운임/탑승방법
국립중앙과학관 홈페이지에서 사전에 승차권 예매를 하거나, 당일 과학관에 방문해 잔여석이 있는 시간대를 현장에서 발권할 수 있었다. 인터넷 예약은 PC로만 가능했다.평일 오전 회차가 한창 진행중일 때 혼자 왔다거나 할 때는 직원이 매진된 회차에 끼워넣어 주기도 한 모양이다.
7. 사건 사고
- 2008년 6월 14일과 7월 13일, 시범운행 중이던 열차가 전기공급 이상으로 멈춰서면서 탑승객들이 고립된 적이 있다. ( 관련 기사)
- 7월 13일 사건 때는 열차 레일까지 떨어져 나가면서 노선 아래에 주차되어 있던 자동차들의 유리창과 보닛을 박살내기도 했다(...). 이 때문에 약 1년여 간 안전점검을 한 뒤에야 재개통했다.
8. 역 목록
<rowcolor=#fff> 일러두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rowcolor=#fff> 여객, 화물 취급 | |||
K | KTX 필수정차 | k | KTX 선택정차 | |
R | SRT 필수정차 | r | SRT 선택정차 | |
iC | ITX-청춘 필수정차 | ic | ITX-청춘 선택정차 | |
iM | ITX-마음 필수정차 | im | ITX-마음 선택정차 | |
iS | ITX-새마을/진입 시 새마을호 필수정차 | is | ITX-새마을/진입 시 새마을호 선택정차 | |
S | ITX-새마을 진입불가구간 새마을호 필수정차 | s | ITX-새마을 진입불가구간 새마을호 선택정차 | |
M | 무궁화호/ 누리로 필수정차 | m | 무궁화호/ 누리로 선택정차 | |
X | 동해산타열차 정차 | V | V-train 정차 | |
N | S-train 정차 | G | G-train 정차 | |
A | A-train 정차 | |||
T | 광역철도 급행 정차 | t | 광역철도 정차 | |
H | 화물취급 | ─ | 여객/화물 미취급 | |
<rowcolor=#fff> 역 등급 | ||||
⊙ | 관리역 | |||
○ | 보통역 | ◐ | 운전간이역 | |
● | 배치간이역 | ◑ | 무배치간이역 | |
◎ | 임시승강장 | ◇ | 을종위탁발매소 | |
‡ | 신호장 | † | 신호소 | }}}}}}}}} |
㎞ | 역명 | 여객 | 화물 | 등급 | 분기선 | 소재지 | |
0.0 | 과학관 | 科學館 |
|
|
|
|
대전광역시 유성구 |
0.9 | 엑스포과학공원 | 엑스포科學公園 |
|
|
|
|
9. 여담
- 옆나라에서 엑스포를 전후하여 개통한 자기부상철도는 엑스포 종료 후에도 꽤 외곽인 나가쿠테의 환승을 담당하는 노선으로 여전히 운영중이다. 대전을 물리치고 건설된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도 개통이 엿가락처럼 늘어지고 있다가 2016년 2월 3일, 약 4년 만에 개통했다. 그러나 적자에 시달리다 사정상 영업 중단중이고 궤도운송수단 격하 논의중. 심지어 이 두 나라는 도시형 자기부상열차에 관해서는 세계 일류라고 할 수 있는데 두 나라 모두 도시형 자기부상열차에 대한 취급은 그저 그렇다. 한국에서는 고질적인 경기 불황으로 인한 예산 부족 덕분에 이미 모노레일과 함께 사이좋게 선거철 정치판의 신규노선 공약놀음으로 변질된지 오래.
- 개통일은 2008년 4월 21일로, 과학의 날에 맞추었다. 초기에는 오픈 기념 무료운행을 한 적이 있었고, 2016년 1월 12일 880m의 기존 노선에서 3분간 과학관 내부만을 왕복하도록 450m로 단축했었다.
- 폐업했지만, 다른 열차로 다른 노선을 두어 재개업 할 가능성이 있다. 이유는 승강장 아래에 자기부상열차 안내관이 있기 때문이다.
대전 중구 중촌동에 위치한 고물상에 구형 자기부상열차로 추정되는 차량이 1량 방치중에 있다.
10. 관련 문서
[1]
2020년 12월 31일부로 영업 종료
[2]
운행시간 이외에는 과학관역 선로 위에 그대로 주박했었다.
[3]
CBTC 기반의 무인운전기능이 탑재되어있었다. 이외에도 Distance To Go 방식의 자동운전도 가능했으나 본 시설에서 한번도 사용된 적이 없었다.
[4]
거리가 짧아 실제 운행속도는 대략 20km/h 전후였다.
[재개통]
1993 대전 엑스포 당시에 잠시 일반에 공개한 후 한동안 운행이 중지되었다가
과학의 날에 맞춰 재개통했다.
[6]
운전담당 직원이 뒷칸 운전실로 가거나 하지 않고 후진시켜버린다.
[7]
도시철도법을 적용하는 노선에서는
철도안전법 위반으로 처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