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團 長
대한민국 경찰 지휘관 | ||||
소대장 제대장 |
중대장 |
경찰서장 기동대장 해양경찰서장 |
시·도경찰청장 지방해양경찰청장 |
경찰청장 해양경찰청장 |
치안센터장 |
지구대장 파출소장 |
|||
정장 | 함장 |
단(團)의 으뜸을 말한다. 보통은 OO단으로 끝나는 집단의 으뜸을 말한다. 재단, 프로 스포츠 팀 등의 장을 단장이라 하기도 한다.
1.1. 군대의 단장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c51426> | 대(隊)급 편제 | ||||||||
편제 | 분대 | 반 | 소대 | 중대 | 지역대 | 대 | 대대 | 연대 | ||
지휘관 | 분대장 | 반장 | 소대장 | 중대장 | 지역대장 | 대장 | 대대장 | 연대장 | ||
부지휘관 | 부분대장 | 부소대장 | 부중대장 | 부대대장 | 부연대장 | |||||
단(團)급 편제 | 군(軍)급 편제 | |||||||||
편제 | 단 | 여단 | 사단 | 군단 | 작전사령부 | 야전군 | 집단군 | 군관구 | ||
지휘관 | 단장 | 여단장 | 사단장 | 군단장 | 작전사령관 | 야전군사령관 | 집단군사령관 | 군관구사령관 | ||
부지휘관 | 부단장 | 부여단장 | 부사단장 | 부군단장 | 부사령관 | |||||
포병의 편제 | 지휘소 | |||||||||
편제 | 포반 | 전포대 | 포대 | 포병단 | 사령부 | |||||
지휘관 | 포반장 | 전포대장 | 포대장 | 단장 | 사령관 | |||||
※둘러보기: 군사학교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001b69><colcolor=#fff> 계급 | 대위 | 소령 | 중령 | 대령 | 준장 | 소장 | 중장 | 대장 |
육상 부대 | 중대 | 편대 | 대대 | 전대 | 전단, 기지 (방어)사령부 | 함대, 잠수함사령부, 항공사령부 | 작전사령부 | 해군참모총장 | |
지휘관 | 중대장 | 편대장 | 대대장 | 전대장 | 전단장, 사령관 | 함대사령관, 잠수함사령관, 항공사령관 | 해군작전사령관 | ||
함정 | 4급함 | 3급함 | 2급함 | 1급함 | - | ||||
지휘관 | 정장 | 함장 | - | ||||||
해병 부대 | 중대 | 대 | 대대 | 연대, 여단 | 여단 | 사단 | 해병대사령부 | - | |
지휘관 | 중대장 | 대장 | 대대장 | 연대장, 여단장 | 여단장 | 사단장 | 해병대사령관 | ||
※둘러보기: 군사학교 |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39f><colcolor=#fff> 편제 [[지휘관| 지휘관 ]]
|
대대급 이하 | ||||||
중대급 이하 | 대대급 | |||||||
반 [[반장(동음이의어)#s-5| 반장 ]]
|
중대 [[중대장| 중대장 ]]
|
대 /
포대 [[대장#s-2.1| 대장 ]] / [[포대장|포대장 ]]
|
대대 [[대대장| 대대장 ]]
|
|||||
소대 [[소대장| 소대장 ]]
|
||||||||
분대 [[분대장#s-6.5| 분대장 (2L) ]]
|
편대 [[편대장| 편대장 (4L) ]]
|
|||||||
전투·전투지원부대 | 전투근무지원부대 | |||||||
전대급 | 단급 | 전대급 | 단급 | |||||
전대 [[전대장| 전대장 ]]
|
비행단 /
미사일방어여단 [[비행단장| 비행단장 ]] / [[여단장|여단장 ]]
|
단 [[단장#s-1.1| 단장 ]]
|
||||||
사령부급 | ||||||||
기능사령부급 | 작전사령부급 | |||||||
기능사령부 [[공군기능사령관| 기능사령관 ]]
|
작전사령부 [[작전사령관| 작전사령관 ]]
|
|||||||
※둘러보기: 군사학교 | }}}}}}}}} |
단급 부대 및 전대급 부대 중 명칭이 ~단인 부대의 지휘관.
대한민국 국군의 경우 해군의 전단장이나 공군의 비행단장도 그냥 해당 명칭보다는 단장이라고 칭한다.
계급은 소령( 해군홍보단장)부터 대령( 포병단장), 준장( 전투지휘훈련단장), 소장( 국군복지단장)까지 다양하다. 육군의 일반적인 단급 부대 지휘관은 대령 또는 준장인 경우가 많으며 공군의 단급 부대의 단장은 준장이다.
육군의 단급 부대는 대부분 사령부 직할의 독립부대인 경우가 많으므로, 그 지휘관인 단장의 위상은 비슷한 급으로 치는 연대장과는 상당히 다르고 일원화가 불가능하다. 연대장과는 비교도 안되는 막강한 권한을 가진 단장이 있는가 하면(연대장의 직속상관은 사단장이지만 단장의 직속상관은 사령관이나 군단장이기 때문), 학군단장처럼 평시에는 휘하 병력이 두세 명 수준인 경우도 있다.
1.2. 국가정보원의 단장
2급으로 작은 지부의 지부장이 보임된다. 보통 4명 정도의 팀장을 지휘한다.1.3. 스포츠단의 단장
General Manager일반적으로 스포츠단의 본부장 직급을 달고 운영본부를 책임진다. 과거에는 영칭을 직역해 총감독이라 하기도 했다.[1] 작은 규모의 스포츠단인 경우 상급자인 대표이사가 영업본부장을 겸직하고 대외협력, 마케팅, 수익사업, PR, 상급자 응대[2]를 맡으므로 실질적으로 사장 아래, 감독 위에 있는 일인지하 만인지상이라 할 수 있다. 정말 작은 규모인 경우 대표이사가 오너고 모든 실무자들의 최종 책임자가 단장인 경우도 볼 수 있다.
프로 스포츠단의 단장은 휘하에 여러 팀을 두고 운영본부를 지휘한다. 일반적으로 전략/스카우트/운영팀을 고정적으로 두고 스포츠단에 따라 필요한 팀을 추가로 둔다. 대표이사가 사장급 인사로서 CEO 직함을 달긴 하지만 실질적으로 스포츠단과 관련된 전문 지식을 가지고 선수단 관련 사무를 담당하는 총책임자는 단장인 경우가 많다. 2010년대 이전의 한국 프로스포츠에서는 사장과 단장 모두 오너의 낙하산 내지는 계열사 순환보직[3]인 경우가 비일비재했다. 2000년대를 과도기로 하여 2010년대부터는 선수 출신으로서 은퇴 후 프런트 밥을 충분히 먹고 관리자로 변신한 40~50대 인사를 기용하는 편이다. 물론 이 경우에도 선수 시절의 성적만으로 기용되기 보다는 팀에 유용한 선수를 판별할 수 있는 전력 분석과 평가 능력에 관한 교육, 경험을 전제로 한다.[4]
KBO 리그의 경우 단장과 감독은 인사권에 있어서는 상하위 관계인 듯하면서도 조직상 프런트 오피스와 현장이 구분되어 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이인삼각으로 협력해야 하는 관계를 맺게 된다. 단장은 현장의 성적이 개선될 수 있도록 새로운 전력을 지속적으로 스카우트하고 현장에 필요한 시설의 추가 및 유지보수를 검토하며 감독은 프런트에서 제공한 전력과 시설을 바탕으로 주어진 여건 내에서 최고의 퍼포먼스를 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한다. 팀에 따라 이 권한의 경계선이 흐려지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는데, 감독과 단장은 상대방의 영역에 대해 요청, 문의, 의견 개진은 할 수 있지만 강요할 수 없는 위치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서로 월권하거나 갈등을 빚기도 한다. 전문가를 쓰나 비전문가를 쓰나 단장의 현장 월권 문제는 1990년대로부터 2020년대까지 잊을 만하면 어느 팀에선가 튀어나오는 고질병과 같은 난제이다. 야구에서 유명한 단장으로는 빌리 빈, 브랜치 리키, 브라이언 캐시먼, 테오 엡스타인, 앤드류 프리드먼, 김태룡, 차명석 등이 있다.
야구에서 단장은 모든 선수와 스태프의 위에 있는 팀 운영 전체의 총괄 같은 개념이라면, 축구에서는 조금 다르다. 잉글랜드 기준으로 한국에서 생각하는 야구 구단의 단장 지위에 있는 사람은 회장(Chairman)이라고 봐야하지만, 잉글랜드 구단의 회장은 전면에 드러나지 않거나 전문성을 가지고 있지 않은 사람인 경우가 많다.
흔히 우리가 '단장'이라고 여기는 개념은 잉글랜드에서는 Director of Football[5]로, 코칭 스태프(Coaching Staffs), 의료진(Medical Staffs)과 함께 영입 스태프(Recruitment Staffs)를 이끌며 스카우트 및 영입 추천, 이적 협상 등을 전담하며 야구와 다르게 팀 운영을 총괄하기 보다는 선수 영입과 주급체계 관리에 특화되어있는 형태를 띈다.
스태프 전체의 인사권을 담당하는 테크니컬 디렉터(Technical Director)가 따로 있는 팀의 경우 그 권한은 더욱 나뉘게 된다.
팀이 감독으로서 매니저(Manager)를 두느냐 헤드코치(Head Coach)를 두느냐에 따라 이 '단장'의 권한과 지위는 많이 달라지는데, 헤드코치를 둔 팀의 경우 팀의 중장기적 계획을 단장이 쥐고 있다고 보면 되지만, 매니저를 두고 있을 경우 단장은 사실상 매니저가 찍은 선수를 매각, 영입하면 된다. 실제로 매니저가 있는 팀은 매니저가 영입 스태프에 대한 인사권도 상당수 가진다.
두 가지 방식은 각각 장단점이 있어서, 감독에게 선수 영입권한이 없거나 제한적인 경우 구단의 안정적인 플랜을 세울 수 있지만 상대적으로 감독들에게 팀의 매력이 떨어지거나, 감독의 전술적 역량을 제한할 수 있다. 반대의 경우 평균 재임기간이 1년 3개월 정도에 불과한 프리미어리그 특성상 유망주보다는 즉시전력감의 영입을 원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지출이 상대적으로 커지고 유망주 육성은 등한시할 가능성이 크다.
2022-23 시즌 시작 시점에 프리미어리그 기준 매니저와 헤드코치는 반반인 각각 10명으로, 리그 내에서도 정형화된 방식은 없고, 팀 별로 각기 권한과 책임, 운영방식이 제각각이라고 봐야할 것이다.
전북 현대 모터스의 박지성은 테크니컬 디렉터[6] 직함을 달고 있지만 단장은 아니며, 현재 대표이사가 단장직을 겸임한다. 박지성 디렉터는 표면상 드러나는 것으로 볼 때 주로 국제 이적 업무 위주로 담당하는 것으로 보인다.
1.4. 창작물 속 단장
- GM 시리즈 - 하민우( 수원 램스 단장), 김예린( 대구 트로쟌스 단장), 은종오( 인천 돌핀스 단장)
- 가면라이더 스트롱거 - 자석 단장
- 기동전사 건담 철혈의 오펀스 - 올가 이츠카: 철화단의 단장
- 나이트런 - 가로우 라타, 라임 자일, 메이 자일, 페이져, 드라이 레온하르트, 찰리, 칼리프
- 노블레스 - 테이즈: 켈베로스 단장
- 딜리셔스 파티♡프리큐어 - 고다츠: 분돌단 단장
- 블랙 불릿 - 가도 나가마사, 사토미 렌타로: 애저번트 팀 단장[7]
- 소닉 더 헤지혹 시리즈 - 젯 더 호크: 바빌론 도적단 단장
- 스즈미야 하루히 시리즈 - 스즈미야 하루히: SOS단 단장
- 스토브리그 - 백승수( 재송 드림즈 단장), 김종무( HG 바이킹스 단장), 오사훈( MG 펠리컨즈 단장)
- 카게로우 프로젝트 - 키도 츠보미: 메카쿠시단 단장
- 에빌리오스 시리즈 - 가스트 베놈(베놈 용병단 단장)
- 용의 별 바르니르 - 코벨리아
- 은혼 - 카무이: 하루사메 제7사단 단장
- 응원단 시리즈 - 도메키 카이, 키류인 카오루
- 일곱 개의 대죄 - 멜리오다스: 일곱 개의 대죄 단장
- 진격의 거인 - 11대 단장, 키스 샤디스, 엘빈 스미스, 한지 조에, 아르민 알레르토: 조사병단 단장
- 트럼프(웹툰) - 여하단장: 여하단 단장
- 헌터×헌터 - 클로로 루실후르: 환영여단 단장
- 헬싱 - 인테그랄 페어브루크 윙게이츠 헬싱: 왕립 국교기사단 단장
- 홀로라이브 - 시로가네 노엘의 별명
- Library of Ruina - 오스왈드(Project Moon 세계관)
- The Amazing Digital Circus - 케인
2. 丹粧
무언가를 꾸미는 것을 말한다. 꽃단장 같은 용례가 있다.3. 斷腸
고사성어 | |
斷 | 腸 |
끊을 단 | 창자 장 |
그 유래가 된 고사의 최초 출전은 세설신어다.
桓公入蜀, 至三峽中, 部伍中有得猿子者。
동진의 환온 공이 촉을 정벌하러 가는 길에 삼협 골짜기 안쪽에 이르렀는데 부하 중에 새끼 원숭이를 붙잡은 자가 있었다.
其母緣岸哀號, 行百餘里不去, 遂跳上船, 至便即絕。
어미 원숭이가 벼랑을 따라 슬프게 울부짖으며 백여 리를 쫓아오며 떠나지 않다가 배 위로 뛰어올랐는데 곧 절명하고 말았다.
破視其腹中, 腸皆寸寸斷。
죽은 어미의 배를 갈라 보았는데 창자가 모두 마디마디 끊어져 있었다.
公聞之, 怒, 命黜其人。
공은 이 이야기를 듣고 노하여 그 부하를 쫓아내라고 명하였다.
여러 변화에 따라 환온이 그 병사를 매질 후나 죽이려다가 말고 쫓아내거나 사정을 알게 되자 "많이 아팠나? 나도 자네가 잘못을 깨닫고 나선 걸 겨우 알았네. 사정을 알지 않으려 한 것은 정말 미안하네. 허나, 이것만은 기억해 주게. 만약 내가 자네를 죽이면 자네 어머니도 새끼와 헤어져 죽은 불쌍한 어미 원숭이처럼 자식을 잃은 슬픔 속에 울부짖은 끝에 결국 죽게 될 것이야. 그러니 앞으로는 이러지 말게."라고 다정하게 위로하며 병사가 반성하는 것으로 끝나기도 한다.동진의 환온 공이 촉을 정벌하러 가는 길에 삼협 골짜기 안쪽에 이르렀는데 부하 중에 새끼 원숭이를 붙잡은 자가 있었다.
其母緣岸哀號, 行百餘里不去, 遂跳上船, 至便即絕。
어미 원숭이가 벼랑을 따라 슬프게 울부짖으며 백여 리를 쫓아오며 떠나지 않다가 배 위로 뛰어올랐는데 곧 절명하고 말았다.
破視其腹中, 腸皆寸寸斷。
죽은 어미의 배를 갈라 보았는데 창자가 모두 마디마디 끊어져 있었다.
公聞之, 怒, 命黜其人。
공은 이 이야기를 듣고 노하여 그 부하를 쫓아내라고 명하였다.
한국에서 단장이란 표현은 6.25 전쟁 당시 이산가족이 크게 늘어나면서 대중화되었다고 한다.
특히 "단장의 미아리 고개"라는 노래 덕분에 단장이라는 표현의 인지도가 높아졌다. 이 노래는 6.25 전쟁 당시 철사줄로 포박된 채 북한으로 끌려가던[8] 남편과 애달프게 이별하며 이산가족이 됐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
단장의 능선 또한 이러한 유래에서 사용된 지명이다. 문어체 표현으로 "단장의 아픔"이라는 표현이 자주 사용된다.
따개비 한문숙어에는 앵순이네 암캐가 새끼를 낳아 따개비에게 한 마리를 분양해줬는데 어미개가 강아지를 그리워하며 울어 쪼달선생의 한문숙어 설명 후에 따개비가 마음이 약해져 강아지를 어미에게 돌려준다. 이후 암캐가 강아지와 상봉의 기쁨을 누리고 주인에게 쪼달선생은 보신탕 마니아인데 왜 분양했냐고 하자, 앵순이가 "따개비 네가 강아지를 돌려준 게 다행이야. 너네 아버지께서 보신탕 마니아란 걸 내가 잊고 있었어."라고 하며, 쪼달선생이 "아~ 단장의 슬픔이여!"하고 도망친다.
김용의 신조협려에 보면 양과가 절정곡에서 정화에 중독이 되자 단장초로 해독을 시키는게 나온다. 말그대로 장이 끊어질듯한 고통이 있지만 서서히 정화의 독이 해독됐다.
4. 웹툰
자세한 내용은 단장(웹툰) 문서 참고하십시오.
[1]
다만 1990년대 들어서 총감독은 경질된 감독에게 잔여 연봉을 챙겨주기 위해 명목상 만들어둔 자리의 성격이 더 강하다.
[2]
모기업 임원, 구단주 등
[3]
너무 많은 전문성을 요구받는 계열사이면서 실적 어필이 힘들기 때문에 무덤으로 불렸다.
[4]
대표적 사례가 아래에 언급된
브랜치 리키와
빌리 빈. 특히 빌리 빈은 1라운드에 지명될 정도의 유망주로 꼽혔지만 메이저 리그 통산 성적은 별 볼 일 없었다. 한국에도 비슷한 사람이 있는데 현역 선수 시절 통산 타율이 2할도 채 안되는 수비 전문 선수 출신의
염경엽. 다만 이쪽은 이래저래 논란거리가 있다.
[5]
국내팬들은 흔히 '풋볼 디렉터'로 지칭한다. 잉글랜드가 아닌 대륙팀의 경우 Sporting Director 등의 호칭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있다.
[6]
영국 영어 액센트에 익숙하다보니 본인은 '테크니컬 다이렉터'로 발음한다.
[7]
가도는 처음에 단장을 하고 후에 가도가 죽고 서열이 두번째로 높았던 사토미 렌타로가 새로운 단장이 되었다.
[8]
미아리 고개는
6.25 전쟁 당시 서울의 유일한 외곽도로 길목이었기에 북한군이 서울에서 피랍한 포로를 끌고 갈 때 반드시 넘어가야 했다. 그래서 이 고개에서 헤어지는 가족이 많았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