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10 17:22:41

대대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한복에 대한 대대(大帶)에 대한 내용은 대대(한복)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c51426> 대(隊)급 편제
편제 분대 소대 중대 지역대 대대 연대
지휘관 분대장 반장 소대장 중대장 지역대장 대장 대대장 연대장
부지휘관 부분대장 부소대장 부중대장 부대대장 부연대장
단(團)급 편제 군(軍)급 편제
편제 여단 사단 군단 작전사령부 야전군 집단군 군관구
지휘관 단장 여단장 사단장 군단장 작전사령관 야전군사령관 집단군사령관 군관구사령관
부지휘관 부단장 부여단장 부사단장 부군단장 부사령관
포병의 편제 지휘소
편제 포반 전포대 포대 포병단 사령부
지휘관 포반장 전포대장 포대장 단장 사령관
※둘러보기: 군사학교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001b69><colcolor=#fff> 계급 대위 소령 중령 대령 준장 소장 중장 대장
육상 부대 중대 편대 대대 전대 전단, 기지 (방어)사령부 함대, 잠수함사령부, 항공사령부 작전사령부 해군참모총장
지휘관 중대장 편대장 대대장 전대장 전단장, 사령관 함대사령관, 잠수함사령관, 항공사령관 해군작전사령관
함정 4급함 3급함 2급함 1급함 -
지휘관 정장 함장 -
해병 부대 중대 대대 연대, 여단 여단 사단 해병대사령부 -
지휘관 중대장 대장 대대장 연대장, 여단장 여단장 사단장 해병대사령관
※둘러보기: 군사학교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39f><colcolor=#fff> 편제
[[지휘관|
지휘관
]]
대대급 이하
중대급 이하 대대급

[[반장(동음이의어)#s-5|
반장
]]
중대
[[중대장|
중대장
]]
/ 포대
[[대장#s-2.1|
대장
]] / [[포대장|
포대장
]]
대대
[[대대장|
대대장
]]
소대
[[소대장|
소대장
]]
분대
[[분대장#s-6.5|
분대장 (2L)
]]
편대
[[편대장|
편대장 (4L)
]]
전투·전투지원부대 전투근무지원부대
전대급 단급 전대급 단급
전대
[[전대장|
전대장
]]
비행단 / 미사일방어여단
[[비행단장|
비행단장
]] / [[여단장|
여단장
]]

[[단장#s-1.1|
단장
]]
사령부급
기능사령부급 작전사령부급
기능사령부
[[공군기능사령관|
기능사령관
]]
작전사령부
[[작전사령관|
작전사령관
]]
※둘러보기: 군사학교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Battalion_Nato.png
북대서양 조약 기구의 공용 군사 지도 표기 규약인
APP-6A에 따른 아군 보병 대대 표기

1. 개요2. 어원과 역사3. 규모와 편성4. 대한민국 국군에서
4.1. 종류
4.1.1. 육군
4.1.1.1. 일반 전투대대4.1.1.2. 포병대대4.1.1.3. 지역방위·동원 대대4.1.1.4. 간소화 대대4.1.1.5. 공수특전여단 시설대대
4.1.2. 공군
4.1.2.1. 비행대대4.1.2.2. 비행단급 예하 일반 대대
4.2. 목록
4.2.1. 대한민국 육군
4.2.1.1. 포병대대4.2.1.2. 전차대대4.2.1.3. 경비대대4.2.1.4. 특공대대
4.2.2. 대한민국 공군
4.2.2.1. 비행대대
4.2.3. 국방부 직속부대
4.2.3.1. 수송대대
5. 대중매체에서6. 기타

[clearfix]

1. 개요

대대( / Battalion, Squadron[1], Group)

영어로는 육군이나 해병대의 경우 바탈리언(Battalion)이라 쓰는 것이 일반적이나, 기병대의 전통이 있는 일부 부대나 군사특기의 경우에는[2] 스쿼드론(Squadron)이라고도 쓰며, 한국어로는 전대 혹은 그냥 대대라고 번역한다.[3] 해군 항공대 해병대 항공대에선 비행대대를 스쿼드론으로 표기한다.[4] 공군 역시 비행대대를 비롯한 대대급의 부대를 일컫는 용어로서 스쿼드론이란 명칭을 사용한다.

대략 3~5개 정도의 중대를 모은 것이지만 기갑수색대의 경우 7개의 중대로 구성되는 예외적인 경우도 존재한다. 대한민국 육군의 일반적인 보병대대의 경우 소총 3개 중대, 중화기 1개 중대, 본부중대로 총 5개 중대로 이루어져 있다. 인원은 각 나라별로 중대의 규모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보병대대 기준으로 300~1,000명가량. 하지만 여러 가지 이유로 감편, 간이편제, 불완전편제인 곳이 많다. 300명 수준은 특수부대를 제외하고는 중대 수준이다. 대한민국 육군은 상비사단 기준으로 보병대대는 약 400여명 정도로 구성된다.

러시아군의 대대전술단은 기존 대대보다 장비를 더 확충받아 최대 1천명에 이르는 경우도 있다.

공군의 경우 군사경찰대대와 항공기 정비대대[5]를 제외하면 대대급이 100명이 채 안 되는 경우가 흔하다. 중대급으로 내려가면 10~20명 언저리. 육군의 경우에도 지역방위사단 예하 대대인원이 이와 비슷하다. 그래서 아저씨의 기준이 다른 중대가 아니라 다른 대대부터다. 같은 중대끼리만 선후임 관계면 너무 적어서. 심지어 항공작전전대 같은 경우는 대대끼리 묶어도 병사의 숫자 자체가 너무 적기 때문에[6] 전대 단위로 선후임 관계를 갖는다.

2. 어원과 역사

대대를 뜻하는 영어 "Battalion"은 프랑스에서 건너온 말로, 프랑스어 "Battaillon"는 다시 이탈리아어 "battaglione"에서 왔다. battaglione는 "싸움", "전투" 등을 뜻하는 라틴어 "battaglia"와 이탈리아어 확대사(augmentative)인[7] "-one"가 합성된 말로, 곧 싸움을 치르는 큰 부대를 의미한다.

본래 대대(Battalion)는 중대(Company)나 연대(Regiment) 등과 마찬가지로 중세까지만 해도 명확하게 정의되지 않은 개념이었다. 이들 중 중세까지 주로 쓰인 것은 100~200명 단위로 몰려다니면서 한솥밥을 먹던 무리를 가리키던 " Company"였고, 그밖에는 필요할 때 임시로 편성되었다가 사라지는 수준이었다.

그러나 근대 초( 근세)에 이르러 중앙집권화한 절대왕정이 나타나고 국민국가가 형성되자 봉건적 소집군 대신 국영이나 군주령 상비군이 대세가 되었고, 기존 개념들도 여기에 맞추어 변모하였다. 근대 직전까지 용병대 등 반독립적인 부대를 가리키던 부대(company)는 국왕군으로 편입되었고, 지역별로 설치되어 이들 부대를 관리하고 모병과 훈련, 보급을 맡은 것은 연대(regiment)였다. 다만, 연대 지휘부는 계속 현지에 남아있고 직할 전투부대만 전장에 동원되었는데, 이것이 여러 개의 부대를 묶어놓은 전열부대 즉 대대(Battalion)였다.

근대 동안 대대는 전장이나 전선에서 전투력의 가장 기본이 되는 편제였고, 연대마다 차출해온 대대들을 묶어서 임시편제인 여단이나 사단을 편성하였다. 제병협동은 최소 사·여단급에서 이루어졌으므로, 대대는 같은 병종으로 편성되었다. 당시에는 연대 내에 많아야 2개 대대, 보통은 단 하나의 대대만이 존재하였으며,[8] 모병 단위인 연대가 특정 지역에 연고를 둔 까닭에 각 대대 구성원은 보통 동향 출신이었다.

현대에 이르러 지역연고제가 사라지고 사·여단도 상설편제로 바뀌었을 뿐만 아니라 그 이상의 편제들도 나타나는 등 많은 변화가 일어났지만, 대대는 여전히 뼈대 역할을 하고 있다.

3. 규모와 편성

대대부터는 보유한 여러 중대를 통할하기 위해 본부중(소)대와 과급의 참모부, 관사가 제공된다. 대대본부의 각종 과들은 중대에서 올라오는 행정병들의 자질구레하고 조악한 문서를 다듬어서 상급부대의 각종 참모부에 바치는 가공무역(...)을 주업으로 하게 된다.

대대의 지휘관인 대대장은 정규 편제에서는 " 여단을 만들 수 있는 병과의 대대장은 중령이, 여단을 만들 수 없는 병과의 대대장은 소령이 맡는다."라고 이해하면 쉽다. 편제가 이쯤 되면 지휘부를 모아서 본부중대를 구성하며, 전투지원을 위한 화력 편성이 추가된다. 기갑의 경우 대대장용 전차와 대대장용 장갑차가 각각 따로 지급되는데 전차대대장은 주로 장갑차를 사용한다. 대대장 전용 전차는 유사시에만 사용하며 평상시에는 대대장 전용 장갑차를 타고 지휘를 하는 방식인데, 그 이유는 전차에는 참모들이 전부 탑승할 수 없기 때문이다.

같은 병과 중대만 모이는 것이 일반적이나, 현대로 올수록 제병협동부대로 편성되는 사례도 나타난다. 예컨대 미국 육군에서는 기계화보병 2개 중대, 기갑 2개 중대가 1개 제병협동대대(Combined Arms Battalion)를 이루었으며,[9] 한국군 기계화 보병사단의 기갑 수색대대는 전차, 장갑차, 자주박격포들을 모아 중대전투단 편제로 만들었다. 러시아군의 대대전술단도 이러한 의도였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필요에 의해 다른 병과의 대대끼리 병력을 주고 받아 전투단 혹은 임무부대(Task force)를 만들기도 한다. 기계화 보병 사단의 TF는 전차중대와 기보중대를 하나 바꾸고 방공소대 및 자주포 포대 지원을 받아 강화 기보 TF를 편성한다.

일반적으로 연대는 2~5개의 대대,[10] 여단의 경우 4~7개의 대대를 포함하며, 연대나 여단에 소속되지 않고 독립적인 지위를 가진 대대는 독립대대로 별칭한다. 또한 대한민국 국군 동원사단이나 지역방위(구 향토)사단은 평상시에는 전방의 중대 수준의 감편 상태로 운용된다.

육군 특전사 해군 특수전전단도 대대들로 이루어져 있지만, '팀'을 최소 부대단위로 하는 특수부대이기 때문에 일반 보병 대대와는 편제와 인원이 많이 다르다.

통상적으로 비행대대는 12~24대의 항공기로 구성되지만 국가, 군종, 임무, 항공기의 종류에 따라 이 숫자는 달라질 수 있다. 가령 미 공군의 전투비행대대들은 18~24대의 전투기로 구성되나 미 해군의 전투비행대대는 12대로 구성된다거나 같은 미 공군이라도 수송기나 폭격기는 1개 비행대대가 12대로 구성되는 식이다. 대한민국 공군의 경우 15~27대로 범위를 잡는데, 보통 1개 대대에 20대 전후로 전투기가 배속되나, 공군의 특수비행팀인 239특수비행대대(블랙이글스)의 경우 T-50 8대로 구성되어 있으며, 비행대대 중에는 배속된 항공기가 없는 경우도 종종 있다.[11] 다만 항공기와는 별개로 항공기의 특성에 따라 비행대대별로 조종사 숫자와 항공기정비대대의 일선정비사 숫자가 차이난다.

참고로 국방부 직할부대에는 대대 위에 곧바로 부대지휘관, 즉 직할대대로 구성되는 경우가 흔하다. 즉, 국방부 직할의 , 사령부, 학교, 병원 등의 부대에는 대대 이하 편제만 야전부대의 편제단위와 같은 경우가 흔하고, 육해공군 방식이 혼재 할 수도 있다.

공군에서는 대부분의 부서가 대대급에서 아저씨의 경계가 형성된다. 단 군사경찰과 같이 각 중/소대가 따로 떨어진 경우엔 대대원일지라도 다른 소대에 있는 병사는 아저씨로 취급하는 경우가 많다.

4. 대한민국 국군에서

4.1. 종류

4.1.1. 육군

4.1.1.1. 일반 전투대대
보통 중령이 대대장을 한다. 보병 기준으로 휘하에는 3개 소총중대와 1개 화기중대를 맡는 4명의 대위급 중대장과 짬 중위~대위급 본부중대장이 있어 총 4개 전투중대와 1개 통신소대, 1개 대대 본부 및 본부중대 [12]가 있다. 참모부는 지휘부에 주임원사, 중위 또는 소위 공보정훈장교, 정보과에 대위 중위 정보장교와 표적분석부사관, 작전과에는 소령 작전장교 휘하에 중위급 교육장교와 중사 이상의 교육지원담당관, 인사과에 중위 인사장교 아래로 인사담당관과 재정부사관, 군수과에 대위급 군수지원장교 아래로 상사 또는 고참 중사급 군수담당관, 급양담당관, 군수과 아래 병기반의 탄약반장 등이 포진해 있다. 이외에 여단 의무중대에서 파견나온 중~대위급 의무지대장( 군의관), 여단 수송대에서 파견나온 중사~원사급 수송관과 정비반장, 대대 직할인 통신소대로 보직되어 대대참모 및 소대장 업무를 수행하면서 사단 통신대대-여단 통신중대의 지휘도 겸해서 받는 소~중위급 통신소대장(통신장교)과 중사급 유/무선 통신반장이 있다.

기계화보병대대와 기갑대대의 경우 화기중대가 본부중대 예하 지원소대로 축소되어 3개 전투중대와 본부중대로 구성되어있다. 궤도장비를 다루기 때문에 정비반이 파견이 아닌 대대 소속으로 각 중대별 정비반장이 편성되어있으며 원사~준위급이 정비과장으로 임무를 수행한다. 이들을 대대 소속으로 두는 이유는 기보사단 예하 여단들이 연대급 부대임에도 엄연히 여단이기 때문에 증편 등의 자율 권한이 매우 크다는 것에 있다. 기존 보병사단의 연대 파견식 배치로는 임무 수행에 차질이 커서 대대 자체 소속으로 두는 것.
4.1.1.2. 포병대대
일반 곡사포 부대 기준으로는 보병과 마찬가지로 중령이 대대장을 맡고 3개의 곡사포대와 본부포대로 구성되어있다. 포대 편성은 문서 참조. 타 병과도 처부에 따라 소속되어있는 보병부대와는 다르게 정훈과 통신을 제외한 모든 직위가 포병 병과 간부로 이루어져있다. 참모부는 지휘부에는 주임원사와 중위급 이하의 정훈장교가 소속되어 있고 작전과는 소령급 작전과장, 중위 사격지휘장교 대위의 연대 화력지원장교, 중위의 대대 화력지원장교 3명[13], 교육지원담당관과 사격제원통제관이 있다. 정보과는 관측장교 출신의 중위 정보과장 아래로 보안업무담당관, 측지담당관[14]이 있으며 인사과는 통상 대위 인사과장이 보임되고 인사담당관이 보조해주며 추가로 대대 화력지원장교 한 명이 휘하의 인사장교를 맡아준다. 군수과장은 작전과의 연대 화력지원장교가 겸직으로 맡는 일이 많고 따로 편성하지는 않는 편이며 부사관인 담당관 보직 구성은 보병과 유사하다. 탄약반은 군수과 예하가 아닌 탄약장교를 대표로 병기담당관과 탄약담당관이 보좌해주는 독립 처부로 존재한다. 의무반은 보병과 달리 완전히 대대 소속으로 되어있으며 통신반의 경우 장교 통신소대장도 몇몇 있으나 대체로 부사관인 상사급의 통신소대장들이 주류를 이룬다.[15] 수송정비 역시 마찬가지로 대대 소속.
4.1.1.3. 지역방위·동원 대대
소령이나 중령이 대대장을 하고 있으며, 각 중대장들은 완편이다. 2021년 기준으로 각 동원사단 대대장도 모두 중령(3대대장은 임기제 중령)으로 보임된다.

평시에는 감편 상태로 운영되기에, 참모직(작전, 정보, 인사, 군수, 동원)을 맡을 위관급 장교가 부족할 경우 중대장이 겸직하는 경우도 있다.[16] 1중대장 겸 작전과장 겸 정보장교, 2중대장 겸 군수장교, 3중대장 겸 인사장교 이런 식이다. 다만 이 경우 동원훈련 또는 실제 전시동원이 실시되면, 예비역 중위 및 대위들이 참모직으로 들어가고 중대장은 중대장 임무만 수행한다. 중대의 경우도 소대장은 예비역 편제라서, 휘하 중대원이 10명 정도에 불과하다. 즉 평시에는 1개 분대가 곧 1개 중대인 셈. 그래서 대대 전체가 모두 아는 사람이며[17] 병이든 간부든 인원 부족을 호소한다.

그러나 지역방위사단의 경우라 할지라도 해안경계 강안 경계 작전을 담당하는 대대가 있는데 그런 경우 반드시 중령 대대장이며 경계작전을 담당하는 어느 정도 인원을 보유한 한 개의 전투 중대를 보유하고있고 작전과장, 부대대장 역할을 하는 소령 1~2명을 참모로 보임하는 경우가 많다
4.1.1.4. 간소화 대대
장교는 3명뿐이다. 소령이 대대장을 하고 대위가 작전과장, 중위가 지원과장을 하며 원사가 중대장, 상사가 소대장을 하며 참모 담당 인원들도 대부분 상사 내지는 중사가 담당한다.

간소화 대대가 아니더라도 편제 인원이 적은 후방 대대의 경우 이보다 더 열악한(?) 편제를 자랑하는 경우가 있다.[18]
4.1.1.5. 공수특전여단 시설대대
장교가 시설대대장 혼자뿐이다. 소위, 중위가 대대장을 하고 주임원사가 작전과장을 겸직한다. 나머지 참모부는 전원 중사가 담당관으로 보직되어 있으며 원사 또는 상사가 중대장, 장기 복무가 확정된 중사가 소대장을 한다. 병은 동일하게 병장이 분대장을 한다. 부대 편제는 2개 중대와 6개 소대, 그리고 대대본부로 구성되어 있다.

하는 일이 부대시설 관리와 본대가 영외업무를 보러 가면 주둔지에 남아서 경비를 하는 업무를 한다. 업무 내용이 매우 간단하기 때문에 병력이 많아도 지휘관의 계급은 낮은 것이다.

시설대대이기 때문에 공병 병과 장교만 지휘관 배치가 가능하다.

2020년 기준 특전사 예하 전 여단에서 시설대는 해체되었다.

4.1.2. 공군

4.1.2.1. 비행대대
공군의 기간이자 존재의의로, 비행단의 경우는 항공작전전대에 예속되어 있다. 지휘관은 거의 모든 경우 조종특기 중령이다[19].

대대장 아래에 참모부서인 작전계, 운영계, 그리고 예하의 비행[20][21]로 구성되어 있다. 통상적인 비행대대의 경우 비행대가 하나씩만 편성되지만, 일부 비행대대의 경우 제1비행대, 제2비행대와 같은 식으로 편성되는 경우도 드물게 있다. 비행대의 대장은 소령이고, 보통 4개 정도의 편대로 구성되어 있다. 전원 장교로 이루어진 조종사 특성상 대대원의 거의 전부가 대위(진) 이상 소령 이하 장교[22]들이며, 부사관과 병사는 대대 운영을 지원하는 인사교육, 항공정보운영, 항공운항 등 극히 소수만이 존재한다.
4.1.2.2. 비행단급 예하 일반 대대
비행대대를 제외한 일반 대대의 지휘관은 통상적으로 소령~ 중령이다. 항공기정비대대, 부품정비대대, 정보통신대대 등 중요성과 규모에 따라 항상 중령이 대대장인 대대도 있고 복지대대 등 사실상 소령 편제인 대대도 있지만 대다수는 인력 사정에 따라 소령과 중령을 왔다갔다 한다[23].

대대장 아래에는 참모부서인 운영통제실을 둔다. 운영통제실장은 통상 대위이나, 규모와 인력사정에 따라 소령, 간혹 대위(진)이나 중위가 맡기도 한다. 대대장 직속 참모이자 대대 최선임 장교이기 때문에 나름대로의 업무와 책임이 존재하기에 가급적 장기자원 위주로 앉히려고 한다. 운영통제실은 기본적으로 행정계 + a로 구성되어 있으며, 행정계 외의 부서는 대대의 임무에 따라 상이하다. 군사경찰대대 통제실은 작전계, 화기계가, 공병대대 운영통제실은 작업통제계, 소요계 등의 부서가 존재한다. 다만, 이 OO계는 행정 편의를 위해 관습적으로 구분하는 부서이지 편제상 구분이 아니기에 편제상으로는 그냥 운영통제실의 OO담당 혹은 OO행정병일 뿐이다. 이 OO계의 계장은 통상 소~중위의 초급장교, 혹은 중사 이상의 부사관이 담당하는 편이다. 비행대대를 비롯한 소규모 대대의 경우 운영통제실 대신 운영계의 형태로 편제된 경우도 있다. 이 때의 OO계는 편제상의 공식적인 조직이 맞다. 운영통제실은 기본적으로 하나의 기지에 전대와 예하 대대가 함께 사는 비행단 특성상, 자기 대대의 주 업무에 관련된 행정업무를 제외한 일반적인 인사, 정보, 작전, 군수 등의 참모 기능을 효율성을 위해 비행단 단본부나 타 대대에서 전담시키고, 지시사항 등이 하달되는 범위에서만 제한적으로 수행한다

예하에는 통상 2~5개 정도의 중대를 둔다. 이때의 중대는 육군의 인원편제에 따른 1, 2중대처럼 나누는 것이 아니라, 임무에 따라 구분된다. 예컨데 수송대대의 경우, 작전차량운영중대, 일반차량운영중대, 정비중대로 편제되는 것처럼 말이다. 각 중대장은 통상적으로 대위가 맡는 것이 맡겠으나, 소령(진)이 대대장을 하는 경우도 종종 있는 대한민국 공군에서는 중대장은 통상 소~중위의 초급 장교가 담당한다. 그리고 특히 공병대대의 소방중대와 같이 전문성이 요구되는 중대의 경우 준위가 중대장보직을 맡으며, 수송대대의 경우, 5급 사무관 상당의 군무원이 중대장을 맡는 경우도 있다. 이런 경우는 그 특수성이 인정되는 경우에 한하며, 일반적으로는 초급장교가 보직을 맡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어차피 군사경찰, 화생방지원대, 대공방어대를 제외하고는 중대 아래 바로 '반' 편제가 이뤄지기 때문에 사실상 공군에서 비전투특기 최말단 장교의 보직이라고 볼 수 있다.

4.2. 목록

4.2.1. 대한민국 육군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지상작전사령부
직할대대 공동경비구역 경비대대
<colbgcolor=#009600> 수도 제10화생방대대 · 제140정보대대
I 제11화생방대대 · 제141정보대대
II 제12화생방대대 · 제142정보대대
III 제13화생방대대 · 제143정보대대 · 제513방공대대
V 제15화생방대대 · 제145정보대대
VII 제1강습대대 · 제2강습대대 · 제7경비대대 · 제17화생방대대 · 제517방공대대
제2작전사령부
직할대대 제19화생방대대
육군본부 직할부대
수방사 제22화생방대대
군수사 본부근무대대
인사사 육군복지지원대대 · 육군군악의장대대 · 중앙보충대대
{{{-2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육군의 편제
}}}}}}}}} ||
4.2.1.1. 포병대대
2021년 1월 기준
해체된 부대 및 지역방위사단 직할 포병대대 제외.

4.2.1.2. 전차대대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제7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3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1기갑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2기갑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1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수도기계화보병사단 부대마크.svg
제1전차대대 제3전차대대 제5전차대대 제6전차대대 제7전차대대 제8전차대대
파일:육군기계화학교 부대마크.svg 파일:육군기계화학교 부대마크.svg 파일:제61기계화보병여단 마크.png 파일:제1기갑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2기갑여단 부대마크.svg 파일:수도기계화보병사단 부대마크.svg
제9전차대대 제11전차대대 제12전차대대 제15전차대대 제16전차대대 제17전차대대
파일:수도기계화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1기갑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9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6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60기계화보병여단 마크.png 파일:제22보병사단 부대마크.svg
제18전차대대 제19전차대대 제21전차대대 제22전차대대 제26전차대대 제28전차대대
파일:제2기갑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60기계화보병여단 마크.png 파일:제102기갑여단 부대마크.svg 파일:수도기계화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13기보여단 로고.png 파일:제20기갑여단 부대마크.svg
제29전차대대 제32전차대대 제33전차대대 제35전차대대 제36전차대대 제37전차대대
파일:제5기갑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5기갑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30기계화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30기계화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30기계화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5기갑여단 부대마크.svg
제38전차대대 제39전차대대 제51전차대대 제52전차대대 제53전차대대 제55전차대대
파일:9여단.jpg 파일:제26기계화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102기갑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20기갑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3기갑여단 부대마크.svg 파일:수도기계화보병사단 부대마크.svg
제56전차대대 제57전차대대 제58전차대대 제59전차대대 제80전차대대 제81전차대대
파일:제3기갑여단 부대마크.svg
제83전차대대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육군의 편제
독립대대
}}}}}}}}} ||

4.2.1.3. 경비대대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JSA Insignia.png 파일:수도방위사령부 부대마크.svg 파일:제7기동군단 부대마크.svg
공동경비구역 경비대대 제1경비대대 제7경비대대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육군의 편제
독립대대
}}}}}}}}} ||

4.2.1.4. 특공대대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제1경비단 흉장.png 파일:제1경비단 흉장.png 파일:7강습 흉장.png 파일:7강습 흉장.png
제2특수임무대대 제35특수임무대대 제1강습대대 제2강습대대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육군의 편제
독립대대
}}}}}}}}} ||


4.2.2. 대한민국 공군

4.2.2.1. 비행대대

4.2.3. 국방부 직속부대

4.2.3.1. 수송대대
파일:국방부 근무지원단.svg
국방부
근무지원단
정비수송대대
파일:대한민국 국방부 심벌.svg
계룡대
근무지원단
수송대대
파일:대한민국 국방부 심벌.svg
자운대
근무지원단
수송대대
파일:육군교육사령부 부대마크.svg
상무대
근무지원단
수송대대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국군의 편제

5. 대중매체에서

6. 기타

아돌프 히틀러의 발언으로 인한 최후의 대대 떡밥도 있으나, 이는 그냥 음모론일 뿐이다.

겁스 무한세계 센트럼의 독립 요원은 소련군 대대쯤은 혼자서 처리할수 있다고 한다. 이 쪽은 기본 템플릿이 700CP(완성된 드래곤 캐릭터의 CP)에 달하는 데다가 상당히 많은 CP를 바이오닉 장비로 때우고, 거기다가 그 위치로 올라가기 위해서 수많은 경쟁을 뚫어야 하는 인간 병기 쯤의 레벨이니까. 정확히 말하면 센트럼은 능력에 따라서 계급이 정해지는 계급 사회다. 이 사회에서 일단 1급 시민이 된 뒤, 그 다음에 한명한명 평의회의 심사를 받아야 독립 요원이 될 수 있다.

휴일·야간 책임자는 당직사령이다.


[1] Squadron 자체는 매우 다양한 범위로 쓰일 수 있다. 해군의 부대 단위로서 Squadron(전대), 공군 또는 육군 항공부대나 해군 항공부대의 부대 단위로서 Squadron(보통 비행대대라고 번역함), 심지어 같은 육군에서도 미국 기갑부대에서는 Squadron이 대대이지만 영연방 국가들 중에서 Squadron이 중대급 부대를 호칭하기도 한다. [2] 대표적으로 기갑 항공, 수색대가 해당한다. [3] 미국 정찰기병대의 예를 들자면 5-16 스쿼드론, 뭐 이런 식이다. [4] 참고로 해군 내엔 대대 단위가 거의 없으므로 해군 항공대를 제외한 일반적인 해군 부대에서는 '그룹' 명칭을 사용한다. 왜냐하면 전대가 스쿼드론이란 명칭을 쓰기 때문이다. [5] 이쪽은 주로 비행단에 주둔하는 비행대대의 숫자에 달렸다. 여기서는 비행대대가 3개 이상인 경우를 기준으로 한다. [6] 비행대대에는 장교가 많고 부사관과 병사 수는 매우 적다. [7] 확대사는 원래 단어에 붙어 그 정도가 크거나 많음을 나타내는 단어이다. 반대로 작거나 적음을 나타내는 말은 지소사(diminutive)라고 한다. [8] 이는 연대의 창설이나 유지를 연대장 직책을 지닌 사람이 맡았던 바, 주로 귀족이나 지주 등 사회 상류층 인사였으나 아무래도 각 개인의 재력으로 2개 대대 이상 꾸리기가 벅찼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래도 만만한 1개 대대 정도로 꾸려서 군주로부터 연대장직을 받거나 사들이는 사례가 많았다. 더불어 실질적인 지휘는 부연대장이 맡았고, 부연대장은 사실상 대대장이란 뜻도 되었다. 이러한 연대장과 부연대장(대대장)을 가리키던 말 "colonel"과 "lieutenant colonel"은 나중에 각각 계급의 일종인 대령 중령으로 그 뜻이 바뀌었다. [9] 2010년대 후반부터 병력 부족으로 기보 2개-기갑 1개중대 또는 기보1개-기갑2개 중대로 개편 되었다. [10] 2개 대대만으로 구성되는 경우 예비대를 포함시키는 삼각편제가 불가능하므로, 비상시가 아니라면 대대 하나를 증원받거나 후방으로 물러나 재편에 들어가는 경우가 일반적이나,가끔 2개 대대로 전쟁에 가는경우도 없지는 않다. 제4보병사단(미국)의 경우 노르망디상륙작전이나 배트남전쟁에 참여할때 산하의 12보병연대는 2개의 대대를 가지고 참여했다. [11] 제29전술개발훈련비행전대의 가상적기대대가 대표적인 사례다. 해당 부대는 전투기를 타 부대에서 조종사가 훈련 입소 때 몰고 온 것을 그대로 사용하기 때문이다. [12] 참모부라고 부르는 부대도 있고 그냥 본부중대 취급하는 부대도 있다. [13] 화력지원장교 임무는 문서 참조. 이들은 평시 임무가 없어서 항상 겸직을 한다. [14] 경우에 따라 본부포대로 들어가는 일도 많다. 대체로 그럴 때는 측지반장으로 불리기도 한다. [15] 이 경우는 참모부 중 통신분과의 수장을 겸임하기 때문에 지휘자 견장을 달면서 참모업무를 수행하는 기이한 케이스이다. [16] 어차피 중대별 병력이 10명도 안 되기 때문에 관리할 것도 별로 없다. 이런 부대의 경우 행정보급관도 없어서 주임원사가 일과 시간에 병사들을 통솔한다. [17] 예비군 관리대대인 경우 각 동대에서 일하는 상근예비역들은 잘 모를 지언정 영내에서 생활하는 사람들은 전부 안다. [18] 2작사에 속한 모 후방 기행부대의 예를 들자면 대대임에도 불구하고 2022년 기준 병사 30, 군무원 30, 간부 12(소령 대대장, 주임원사 원사, 소대장 상사, 소대장 중사, 전문하사 여럿)라는 기괴한 구성비를 자랑하고 있다. 물론 일반적인 전투 부대가 아니라 군수 지원 부대임을 감안해야 하긴 하지만. [19] 인력 구조상 비행과 관련 없는 대대는 소령이 보임하는 경우가 공군에선 비일비재하지만, 비행대대는 그 중요성과 조종특기 인사관리 등의 목적으로 거의 무조건 중령이 보임한다. 비행대대 특성상 특기는 무조건 조종특기이다. [20] 비행대장은 보통 짬소령이 보임한다. 과거 비행대대 예하에 비행대와 정비대 두 소령급 부대가 있던 흔적이다. 현재 정비대는 떨어져 나가서 항공정비전대 예하의 항공기정비대대를 구성한다. [21] 비행 기본과정 교육을 담당하는 공사 예하 55전대의 경우, 그 특성상 비행대-편대가 아닌 비행중대가 편성되어 있다. # [22] 단, 비행교육을 담당하는 공군사관학교 제55비행교육전대(입문 과정)나, 제3훈련비행단 예하 비행교육대대(기본 과정), 제1전투비행단 소속 비행교육대대(고등 과정)의 경우 학생조종사인 소위, 중위들이 주를 이룬다. [23] 간혹 소규모 비행단의 소규모 대대인 경우, 인력이 부족하면 소령(진)에게 직책계급장을 주고서 대대장을 시키는 경우도 있다. 대위 월급 받는 대대장이라는 것이다. [24] 해체 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