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c51426> | 대(隊)급 편제 | ||||||||
편제 | 분대 | 반 | 소대 | 중대 | 지역대 | 대 | 대대 | 연대 | ||
지휘관 | 분대장 | 반장 | 소대장 | 중대장 | 지역대장 | 대장 | 대대장 | 연대장 | ||
부지휘관 | 부분대장 | 부소대장 | 부중대장 | 부대대장 | 부연대장 | |||||
단(團)급 편제 | 군(軍)급 편제 | |||||||||
편제 | 단 | 여단 | 사단 | 군단 | 작전사령부 | 야전군 | 집단군 | 군관구 | ||
지휘관 | 단장 | 여단장 | 사단장 | 군단장 | 작전사령관 | 야전군사령관 | 집단군사령관 | 군관구사령관 | ||
부지휘관 | 부단장 | 부여단장 | 부사단장 | 부군단장 | 부사령관 | |||||
포병의 편제 | 지휘소 | |||||||||
편제 | 포반 | 전포대 | 포대 | 포병단 | 사령부 | |||||
지휘관 | 포반장 | 전포대장 | 포대장 | 단장 | 사령관 | |||||
※둘러보기: 군사학교 | }}}}}}}}} |
副聯隊長
1. 개요
연대장 밑에서 지휘를 보좌하고 유사시 연대를 대리 지휘하는 부지휘관 직위이다. 연대 내에서는 서열 2위가 된다.영어로는 Regiment Executive Officer이다. 줄여서 해당 연대 내에서는 XO라고 부른다.
2. 상세
연대장의 급사 가능성이 높은 전시를 제외하면 평시엔 공란으로 두는 경우가 많은데 상비연대의 경우 작전과장이나 인사과장, 정보과장, 군수과장, 향토·동원연대의 경우 동원과장 등 연대장을 보좌할 다른 소령급 장교들이 많고 군단이나 사단급 부대에 비해 규모가 작고 숫자가 많아서 [1] 일일이 부연대장을 보임하면 중령의 소요가 늘기 때문이다. 결국은 인건비 문제다.지휘자와 간부가 적은 소대나 분대급에선 부소대장이나 부분대장을 보임하는 것과 달리 더 규모가 큰 부대들은 고급장교를 보임해야 하기 때문에 부중대장, 부대대장, 부연대장을 보기가 드물다. 하지만 장성급 장교가 지휘관으로 보임되는 부대인 사단에서는 부사단장을 최소 2명 이상 둔다.
근래에는 영관급 장교의 정년이 연장되어 말년 중령을 부연대장으로 보임하는 경우가 많아 부연대장이 보임된 연대가 늘고 있다. 하지만 부연대장은 해당 연대에서 근무하는 것이 아니라 사단사령부에서 근무하는 경우가 많으며 보통은 사단의 참모직과 겸임한다. 그러다가 연대장이 휴가를 가거나 기타 사유( 직위해제, 보직해임, 입원, 사망 등)로 연대장의 직무를 수행할 수 없을 때 부연대장이 연대로 와서 연대장 직무대리를 하게 되는 것이다. 연대장의 직무수행 불능상태 뿐만 아니라 대대장에게도 해당되며 부대대장이 없는 부대가 많기에 대대장 결원상태가 되는 경우 부연대장이 대대장으로 보임될 수도 있다
대령(진)이 와서 보직되는 경우도 있는데 이 경우는 아주 잠깐만 부연대장을 하며 대령으로 진급과 동시에 바로 연대장이 된다. 잠깐 부연대장을 하는 이유는 연대장으로서의 업무를 인수인계해야 하기 때문이다.
예비군 편제에는 남아있는 보직인데 주로 예비역 중령이 들어가는 게 원칙이지만 인원이 부족할 경우 예비역 소령까지도 가능하다. 단, 부연대장은 무조건 영관급 장교 보직이기 때문에 부중대장이나 부대대장과는 달리 예비역 위관급 장교 이하는 못 하며 영관급 장교가 아무도 없으면 공석으로 놔둔다.
3. 여담
이진삼 전 육군참모총장이 중령 시절 부연대장을 역임했다. 이 당시 전역을 심각하게 고려했으나 선배들의 도움으로 대령부터 대장까지 연이어 진급에 성공했다.
[1]
육군의 마지막 연대는 223보병연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