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25 18:57:24

대대전술단

1. 개요2. 설명
2.1. 차량화중대2.2. 기계화중대2.3. 기갑중대2.4. 대대지원단2.5. 여단지원단
3. 미군의 여단전투단과의 대비4. 실전사례
4.1. 시리아4.2. 돈바스4.3. 우크라이나
기계화중대 3
기갑중대 1

1. 개요

러시아어: Батальонная тактическая группа(БТГ)
영어: Battalion Tactical Group(BTG)

러시아군에서 채택하고 있는 부대 편성 체계 중 하나이다.

2. 설명

모듈형 체계로서 대대에 각각의 지원중대와 전차중대를 함께 편성했다.

2.1. 차량화중대

1개 중대 편성.
각 소대에는 3대의 장갑차(APC)가 편성. 중대에는 3개 소대가 편성되며, 지휘용으로 지휘장갑차 1대를 편성한다. 총 10대의 장갑차 편성.

장갑차로는 BTR-82A가 사용된다.

2.2. 기계화중대

2개 중대가 편성.
각 소대에는 3대의 보병전투차(IFV)가 편성. 중대에는 3개 소대가 편성되며, 지휘용으로 지휘보병전투차 2대를 편성한다. 총 11대의 보병전투차 편성.

보병전투차로는 BMP-1/-2/-3가 사용된다.

2.3. 기갑중대

1개 중대 편성.
각 소대에는 3대의 전차가 편성. 중대에는 3개 소대가 편성되며, 중대 전체의 지휘를 위하여 지휘전차 1대가 편성된다. 총 10대의 전차 편성.

전차는 T-72A/B/BA/B3, T-80BV/U나 T-90A/M이 사용된다.

2.4. 대대지원단

  • 박격포 포대 1개
    6문의 82mm/120mm 박격포가 편성된다. 이들은 모두 장갑차에 탑재된 자주박격포다.
  • 자동유탄발사기 소대 1개
    6문의 AGS 시리즈( AGS-17, AGS-30, AGS-40)자동유탄발사기가 편성된다. 이들의 기동성을 향상하기 위하여 장갑차 6대가 편성된다.
  • 대전차소대 1개
    9기의 대전차 미사일 발사기가 편성된다. 이들의 기동성을 향상하기 위하여 장갑차 6대가 편성된다.

2.5. 여단지원단

  • 다연장로켓포 포대 1개
    6문의 다연장로켓포가 편성된다. 사용되는 다연장로켓포는 BM-21. 동시에 이를 지원하기 위하여 탄약수송차량 6대와 포병관측차량 1대가 편성된다.
  • 자주대공포 포대 1개
    6문의 자주대공포가 편성된다. 사용되는 자주대공포는 2S6 퉁구스카 3대와 판치르-S1 3대. 이를 위한 레이더 차량 1대와 인력수송차량 2대도 같이 편성된다.
  • 지원 트럭 32~37대
    10일치 식량을 탑재한 식량 트럭 3대, 물 트럭 5대, 의료지원트럭 2~5대, 밥차 2대, 그리고 연료수송트럭 10~12대, 공병지원트럭 5대, 드론탑재 차량 5대가 편성된다.
  • 전자전 트럭 2대
    전자장비 재밍을 위한 트럭 2대가 편성된다.

3. 미군의 여단전투단과의 대비

여단전투단 문서 참조

4. 실전사례

4.1. 시리아

4.2. 돈바스

4.3. 우크라이나

신속공세에는 나름의 장점을 보였으나 러시아군은 라스푸티차 때문에 진격로가 뻔히 보이는 고속도로로 제한되었고, 예상 외로 극렬히 저항 때문에 공세가 막히는 경우가 생겼다. 부대를 쪼개다보니 빠른 병력전개, 집중 산개에 유리하다는 측면이 있었지만 각부대에 지원 지휘능력이 크게 약하되어있었고 수백개에 이르는 다수의 대대전술단에서 대규모 소모와 보급이 필요해지는 상황이 되자 보충과 보급의 우선순위가 일원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보급차량들이 상이한 목적지를 가지고 뒤엉키다 끝내 고속도로에서 일렬로 서서 몇일씩 대기하는 추태까지 드러내게 되었다. 이에따라 전선의 부대들이 만성적인 보급부족을 겪고 일선 대대전술단에서 명령을 무시하고 자군의 보급을 무단으로 약탈해야하는 상황까지 빈발했다. 쪼개진채 방치된 부대들이 각지에서 고립-섬멸되자 통제약화로 부차 학살사건 같은 일이 발생하기도 하였다. 결국 대규모 점령지 철수를 통해 제대들의 정비와 재편성이 필요해지게 되었고 전쟁의 장기화를 초래하게 되었다. 보급문제로 강화된 군내의 알력이 바그너 그룹의 군사반란까지 초래하는 결과까지 가져오게 되어, 결국 러시아는 2022년 말경에 여단, 사단 편제로 병력을 재편성하였다.

국방강국들이 저출산을 겪으면서 전세계적으로 병력동원 능력이 감소하고 국지전 성격의 교전행위가 잦아지자 여단급, 대대급 이하로 부대를 쪼개는 전술단위의 감소가 발생했는데 이러한 편제가 자군의 소모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 중동의 약소국이나 민병대,반군등을 상대로는 매우 비용 효율적이나 원래 이런문제를 해결할 2선급 후방 경사단의 개념이 없는 것도 아니었고, 최전선 편제마저 이렇게 구성한 결과 자국군도 대규모 피해를 감수하면서 소모전양상으로 흐르는 대규모 전면전에서는 컴퓨터와 통신기술이 발달한 현재에서도 예측한대로의 계획과 야전현장과의 괴리가 해결되지 않아 예상보다 훨씬 문제가 많았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