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29 16:46:04

전립

🎩 모자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width:300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eee,#000> 각모 · 갈모 · 감투 · · 개리슨 모 · 군모 · 굴레
나이트캡 · 남바위 · 너울 · 뉴스보이 캡
도깨비 감투 · 두건 · 듀렉
로가티프카
마녀 모자 · 맥주 모자 · 문라건 · 미니햇 · 밀짚모자
바이저 마스크 · 바이콘 · 버킷햇 · 베레모( 군용) · 보닛 · 보터햇 · 볼러 · 부니햇 · 비니 · 비레타 · 빵모자 · 버즈비 · 복건 · 베어스킨 햇
사모 · 삿갓 · 샤워캡 · 샤코 · 샴푸캡 · 선 바이저 · 솜브레로 · 스냅백 · 상모
아얌 · 야구 모자 · 오스트리아식 야전모 · 와룡관 · 우샨카 · 움직이는 토끼모자 · 은박 모자
전모 · 전역모 · 전투모 · 정모 · 정자관 · 제모 · 조우관 · 족두리 · 전립
초립 · 초선관
칸무리 · 키파 · 케피 · 케피예 · 코이프 · 캠페인 햇 · 카우보이 모자
탕건 · 터번 · 트리코른 · 탑햇 · 트릴비 햇
팔각모 · 패랭이 · 패트롤캡 · 페도라 · 페즈 · 프리기아 캡 · 플랫 캡 · 포크 파이 햇
학사모 · 학생모 · 헤어밴드 · 화관 · 휘항 · 흑립 · 홈버그 햇
왕관 교황 삼층관 · 금관 · 네메스 · 러시아 제국 황제관 · 롬바르디아 철관 · 면류관 · 성 에드워드 왕관 · 성 이슈트반 왕관 · 신성 로마 제국 황제관 · 영국 제국관 · 오스트리아 제국 황제관 · 월계관 · 익선관 · 원유관(통천관) · 티아라
헬멧 M1 철모 · 6B47 헬멧 · 90식 철모 · PASGT 헬멧 · SSh-68 · 검투사 헬멧 · 공사장 헬멧 · 그레이트 헬름 · 면갑 · 방석모 · 방탄모 · 슈탈헬름 · 야구 헬멧 · 오토바이 헬멧 · 자전거/헬멧 · 조종사 헬멧 · 철모 · 투구 · 풋볼 헬멧 · 프로텍 헬멧 · 피스 헬멧 · 피켈하우베 · 핫부리 · 헤드기어 · 아밍 캡 · 쿠스토디안 헬멧 · 간주형 투구 · 첨주형 투구 · 원주형 투구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top: 7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82647 3%, #31b675 3%, #31b675 6%, #89236a 6%, #89236a 9%, #f9d537 9%, #f9d537 12%, #db4e9c 12%, #db4e9c 15%, #026892 15%, #026892 18%, #e7e6d2 18%, #e7e6d2 21%, #b82647 21%, #b82647 24%, #f8e77f 24%, #f8e77f 76%, #b82647 76%, #b82647 79%, #e7e6d2 79%, #e7e6d2 82%, #026892 82%, #026892 85%, #db4e9c 85%, #db4e9c 88%, #f9d537 88%, #f9d537 91%, #89236a 91%, #89236a 94%, #31b675 94%, #31b675 97%, #b82647 97%)"
한복의 종류{{{#!wiki style="margin-top: 7px; padding-top: 5px; border-top: solid 1px; border-color: #683235; color:#683235; min-height: calc(1.5em + 1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width=100%> 남녀공용
상의 저고리 · 덧저고리 · 배냇저고리 · 색동저고리 · · 적삼 · 마고자
하의 바지
겉옷 반비 · 배자 · 장옷
신발 목화 · 꽃신 · 갖신 · 짚신 · 미투리 · 나막신
기타 무복 · 버선 · 상복
남성용
평복 상의 사규삼
하의 잠방이
겉옷 · 백저포 · 도포 · 두루마기 · 창의 · 대창의 · 학창의 · 소창의 · 심의 · 중치막 · 쾌자 · 답호
예복 및 관복 단령 · 곤룡포 · 곤복 · 조복
융복 구군복 · 철릭
모자 갈모 · 감투 · ( 흑립 · 주립 · 백립 · 초립 · 전립) · 금관 · 망건 · 면류관 · 문라건 · 복건 · 사모 · 삿갓 · 원유관 · 이엄 · 익선관 · 정자관 · 조우관 · 탕건 · 패랭이 · 휘항
전통장식 동곳 · 흉배
여성용
평복 하의 치마
겉옷 쓰개치마 · 머리처네
속옷 가슴가리개
예복 상의 당의 · 견마기
하의 스란치마 · 대란치마
겉옷 노의 · 원삼 · 활옷
모자 틀:전통여성모자
전통장식 가체 · 노리개 · 떨잠 · 비녀 }}}}}}}}}}}}

파일:조선군 좌독기_White.svg
조선의 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c00d45,#94153e><colcolor=#fff> 백병 <colbgcolor=#c00d45,#94153e><colcolor=#fff> 도검 사인검 · 월도 · 왜검 · 장검 · 창포검 · 환도 · 협도 · 쌍수도
당파 · 장창 · 낭선 · 기창 · 죽장창 · 요구창 · 겸창 · 이두표 · 표창
둔기 도끼( 부월), 쇠좆매, 육모방망이, 철퇴, 철편, 편곤
발사
무기
궁(弓) 시(矢) 국궁, 각궁, 목궁(교자궁), 죽궁, 쇠뇌 장전, 편전(애기살)
화기 <colbgcolor=#c00d45,#94153e><colcolor=#fff> 화포
탄약 지뢰
천자총통, 지자총통, 현자총통, 황자총통
별대완구,대완구,중완구,소완구,소소완구, 총통기, 호준포, 불랑기포, 홍이포, 운현궁 화포( 소포, 중포, 대포), 목모포, 파진포, 지뢰포, 수뢰포
쇄마탄, 목통
진천뢰, 질려포통, 비격진천뢰, 죽장군, 대장군전
개인화기 조총, 천보총, 대조총, 일총통, 이총통, 승자총통, 사전총통, 삼안총, 세총통, 수포, 쌍자총통, Gew71, 레밍턴 롤링블럭, 스나이더-엔필드
화전・로켓 신기전 · 화차
방어구 갑(甲) 군복 두정갑, 유엽갑, 피찰갑, 쇄자갑, 경번갑, 면제배갑, 엄심갑, 지갑, 어린갑(두석린갑) 납의 · 철릭 · 구군복 · 포졸복
주(冑) · 군모 간주형 투구, 첨주형 투구, 원주형 투구 전립 · 주립
방패 원방패, 장방패, 등패, 장태
군장 띠돈, 동개, 활집, 광다회, 전대
전차・육상병기 화차 · 비거 마름쇠
전선(戰船) 판옥선, 방패선, 거북선, 해골선, 맹선, 과선, 협선, 사후선, 누전선 }}}}}}}}}
파일:나무위키에 올릴 구군복 사진 - 복사본.jpg
파일:attachment/갓(모자)/Jeonrib.jpg

1. 개요2. 설명3. 창작물에서4. 기타
4.1. 상모4.2. 벙거지

1. 개요

개잘량이나 멧돼지 털가죽을 굳힌 일종의 펠트로 만든 전투용 . 전립()이라는 말 그대로, 주립과 함께 군인들의 모자였다.[1] 국상 때는 백전립이라고 하얀 털을 씌우거나 탈색한 전립을 썼다.
전립은 신분의 상징이기도 했는데 군인이라고 다 같은 디자인이 아니고 포졸같은 군졸의 전립은 아무 장식도 없이 그냥 시커멓기만 해서 엄청 초라한데 비해 임금이나 고위 관리용 구군복에 딸린 전립은 공작 깃털등 여러 장식으로 화려함이 극에 달한다.

파일:20190625-훈련도감0000.jpg
파일:전건.jpg
한편 최정예부대인 훈련도감 전투병들은 전립 대신 전건이라는 높은 봉투처럼 생긴 모자를 착용하여 일반 군인들과 구분했다고 한다.

2. 설명

보병용 화기가 상용화 되기 전 전립은 거의 사용되지 않았고, 주로 캐틀 햇 형태의 첨주형 투구가 사용되였다. 첨주형 투구의 안쪽에는 완충재 내지는 부유대로 사용하기 위해 소모자[2]를 따로 썼다.
파일:external/www.newminjoo.com/2012052937549303.jpg
한산도 제승당의 사천 해전도를 보면 전립이 아닌 철강 제질의 첨주형 투구로 묘사되었다.
전골의 일종인 전립투(氈笠套)는 전쟁터에서 군인들이 내피(속투구)를 벗긴 전립을 뒤집은 후 요리를 해 먹었던 것에서 유래되었다.
그러다가 임진왜란 이후 명나라의 영향을 받아 간주형 투구가 대세가 되고, 병자호란 이후 평화기가 지속되고, 화기의 사용으로 방어구가 경량화되면서 무거운 첨주형 투구가 도태되고 가벼운 전립으로 변화한 것으로 보인다.

3. 창작물에서

4. 기타

  • 나선 정벌에서 조선군과 싸운 러시아인들은 조선군이 전립을 써 머리가 위쪽으로 길게 보여 조선 병사들을 대두족이라고 불렀다고 한다.[4][5]
  • 털을 굳혀 만든 것이다 보니 꽤 단단해서 화살 정도의 발사체나 포탄의 파편 정도는 도탄시키거나 피해를 흡수 할 수 있다고 한다. 중산모와 비슷한 셈. 넓은 챙도 있으니 위쪽에서 쏟아지는 파편에 대한 방호능력도 뛰어났을 것으로 보인다.

4.1. 상모

파일:attachment/갓(모자)/Sangmo.jpg
송각에 길다란 천을 달고 장식을 추가해 변형시킨 전립. 사물놀이에서 악사들이 쓰는 모자이며, 상모 돌리기로 유명하다.

치복의 주요 복장이며, 연등회에서는 고깔로 대신하기도 한다. 한국에서는 1988 서울 올림픽의 마스코트인 호돌이가 쓴 모자로도 알려져 있다.

상모 돌리기는 춤과 음악의 리듬에 맞춰 조화롭게 이루어져야 하는 고급 기술이다.

4.2. 벙거지

벙거지는 전립과 동의어[6], 혹은 신분이 낮은 무인 등이 쓰는 전립을 속칭하여 이르는 말이다.[7]

절묘하게도 현대의 한국에서는 20세기 초 아일랜드에서 유래한 모자인 버킷햇을 가리켜 벙거지 모자라 칭하기도 한다. 벙거지 자체가 훗날 파생되어 모자 전반을 속되게 가리키는 표현이었다가 비록 전립은 아니지만 다시금 특정 모자를 지칭하는 표현이 된 셈이다.


[1] 전모와는 다르다! [2] 갓 아래 받쳐 쓰는 모자, 안에 솜을 누벼넣는 경우도 있었다. [3] 챕터 5에서 잠깐 쓴다. [4] 전립은 상투가 들어가는 부분이 원통형인 다른 갓과는 달리 상투가 들어가는 부분이 둥글게 생겼기 때문에 조선의 상투 문화와 갓에 대해 알 리 없는 러시아인들이 보면 전립이 마치 길쭉한 머리에 꾹 눌러 쓴 모자인 것처럼 보였을 것이다. [5] 어찌 보면 의도한 기능은 아니겠지만 나선정벌 당시 러시아 군인들처럼 조선의 갓이나 상투에 대해 아는 게 없는 군대와 조선군이 서로 싸웠을 경우, 긴 머리처럼 보이는 전립 부분에 화살이나 총알 등이 맞는다 해도 당연히 상투나 상투 옆에 맞은 것일 테니 계속 달려오는 조선군을 보고 러시아인들 입장에서 헤드샷을 맞추어도 죽지 않는(...) 군대로 보여 더 공포감을 주었을 수도 있다. [6] 표준국어대사전이 이 해석을 따른다. [7] 출처: 한국민속대백과사전 '벙거지'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