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10 13:51:41

간주형 투구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조선시대 갑옷
파일:조선군 좌독기_White.svg
조선의 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c00d45,#94153e><colcolor=#fff> 백병 <colbgcolor=#c00d45,#94153e><colcolor=#fff> 도검 사인검, 월도, 왜검, 장검, 창포검, 환도, 협도, 쌍수도
당파, 장창, 낭선, 기창, 죽장창, 요구창, 겸창, 이두표, 표창
둔기 도끼( 부월), 쇠좆매, 육모방망이, 철퇴, 철편, 편곤
발사
무기
궁(弓) 시(矢) 국궁, 각궁, 목궁(교자궁), 죽궁, 쇠뇌 편전(애기살)
화기 <colbgcolor=#c00d45,#94153e><colcolor=#fff> 화포
탄약 지뢰
천자총통, 지자총통, 현자총통, 황자총통
별대완구,대완구,중완구,소완구,소소완구, 총통기, 호준포, 불랑기포, 홍이포, 운현궁 화포( 소포, 중포, 대포), 목모포, 파진포, 지뢰포, 수뢰포
쇄마탄, 목통
진천뢰, 질려포통, 비격진천뢰, 죽장군, 대장군전
개인화기 조총, 천보총, 대조총, 승자총통, 삼안총, 세총통, 수포(手砲), 쌍자총통, Gew71, 스나이더-엔필드
화전・로켓 신기전, 화차
방어구 갑(甲) 군복 두정갑, 철찰갑, 피찰갑, 쇄자갑, 경번갑, 면제배갑, 엄심갑, 지갑, 어린갑(두석린갑) 납의, 철릭, 구군복, 포졸복
주(冑) 군모 간주형 투구, 첨주형 투구, 원주형 투구 전립, 주립
방패 원방패, 장방패, 등패, 장태
군장 띠돈, 동개, 활집, 광다회, 전대
전차・육상병기 화차, 비거 마름쇠
전선(戰船) 판옥선, 방패선, 거북선, 해골선, 맹선, 과선, 협선, 사후선, 누전선 }}}}}}}}}

🎩 모자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width:300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eee,#000> 각모 · 갈모 · 감투 · · 개리슨 모 · 군용 베레모 · 군모 · 굴레
나이트캡 · 남바위 · 너울 · 뉴스보이 캡
도깨비 감투 · 두건 · 듀렉
로가티프카
마녀 모자 · 맥주 모자 · 문라건 · 미니햇 · 밀짚모자
바이저 마스크 · 바이콘 · 버킷햇 · 베레모 · 보닛 · 보터햇 · 볼러 · 부니햇 · 비니 · 비레타 · 빵모자 · 버즈비 · 복건 · 베어스킨 햇
사모 · 삿갓 · 샤워캡 · 샤코 · 샴푸캡 · 선 바이저 · 솜브레로 · 스냅백 · 상모
아얌 · 야구 모자 · 오스트리아식 야전모 · 와룡관 · 우샨카 · 움직이는 토끼모자 · 은박 모자
전모 · 전역모 · 전투모 · 정모 · 정자관 · 제모 · 조우관 · 족두리 · 전립
초립 · 초선관
칸무리 · 키파 · 케피 · 케피예 · 코이프 · 캠페인 햇 · 카우보이 모자
탕건 · 터번 · 트리코른 · 탑햇 · 트릴비 햇
팔각모 · 패랭이 · 패트롤캡 · 페도라 · 페즈 · 프리기아 캡 · 플랫 캡 · 포크 파이 햇
학사모 · 학생모 · 헤어밴드 · 화관 · 휘항 · 흑립 · 홈버그 햇
왕관 교황 삼층관 · 금관 · 네메스 · 러시아 제국 황제관 · 롬바르디아 철관 · 면류관 · 성 에드워드 왕관 · 성 이슈트반 왕관 · 신성 로마 제국 황제관 · 영국 제국관 · 오스트리아 제국 황제관 · 월계관 · 익선관 · 원유관(통천관) · 티아라
헬멧 M1 철모 · 6B47 헬멧 · 90식 철모 · PASGT 헬멧 · SSh-68 · 검투사 헬멧 · 공사장 헬멧 · 그레이트 헬름 · 면갑 · 방석모 · 방탄모 · 슈탈헬름 · 야구 헬멧 · 오토바이 헬멧 · 자전거/헬멧 · 조종사 헬멧 · 철모 · 투구 · 풋볼 헬멧 · 프로텍 헬멧 · 피스 헬멧 · 피켈하우베 · 핫부리 · 헤드기어 · 아밍 캡 · 쿠스토디안 헬멧 · 간주형 투구 · 첨주형 투구 · 원주형 투구 }}}}}}}}}
파일:PS01001001_bon000_2018_0620135728984_bon000053-10-00.jpg 파일:PS01001001_bon000_2018_0620135728984_bon000053-11-00.jpg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중인 간주형 투구1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중인 간주형 투구2

1. 개요2. 매체에서3. 관련 문서

1. 개요

간주형(幹柱形) 투구. 조선 중후기에 걸쳐 널리 사용된 투구.
간주형 투구는 세모꼴의 판 네 개를 세로 방향으로 결합해 만들고, 결합 부위에 간주()라고 하는 기둥을 세워서 간주형 투구라고 한다. 측면과 후면에는 대개 드림[1]을 달았기 때문에, 첨주형 투구와는 달리 차양[2]은 전면에만 달려있다.

투구의 부위로는 각각, 투구의 본체인 투구감투와 간주를 감싸는 부분은 개철, 투구 감투를 세로로 가로지르는 막대는 근철, 이마를 가리고 차양 아래에 달린 이마 가리개와 옆드림[3]과 뒷드림[4]이 있다. 그리고 끈은 대개 투구 감투와 바로 연결된 것과 옆드림에 달린 것이 있다, 옆드림에 달린 끈은 드림을 여미기 위한 것이고, 투구 감투에 바로 연결된 것은 투구가 흔들리는 것을 막기 위함이다.

2. 매체에서

사극에서 조선군이 투구를 쓴다하면 대부분은 이 투구인데, 그 까닭은 간주형 투구가 다른 투구에 비해 유물이 매우 많고, 가장 최근까지 사용됐었기 때문이다.

대중매체에서는 배우와 캐릭터의 얼굴이 가려지는 것을 막기 위해 난전 도중에도 드림을 풀고 다니지만, 실제로는 전투 상황에서 만큼은 끈으로 드림을 확실히 여며 목과 얼굴을 보호했다.

3. 관련 문서



[1] 투구에 매달아서 목을 보호하는 부분 [2] 베기 공격을 막기 위해 투구에 달아놓은 챙 [3] 좌우에 달린 드림 [4] 뒤에 달린 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