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1-26 07:48:35

네메스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DB76B 0%, #DECD87 20%, #DECD87 80%, #BDB76B);"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A0522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역사 <colbgcolor=#FFF,#1F2023> 선왕조 ( 상이집트 · 하이집트) · 이집트 초기 왕조 ( 제1왕조 · 제2왕조) · 이집트 고왕국 ( 제3왕조 · 제4왕조 · 제5왕조 · 제6왕조) · 이집트 제1중간기 ( 제7왕조 · 제8왕조 · 제9왕조 · 제10왕조 · 제11왕조) · 이집트 중왕국 ( 제11왕조 · 제12왕조) · 이집트 제2중간기 ( 제13왕조 · 제14왕조 · 제15왕조 · 제16왕조 · 제17왕조) · 이집트 신왕국 ( 제18왕조 · 제19왕조 · 제20왕조) · 이집트 제3중간기 ( 제21왕조 · 제22왕조 · 제23왕조 · 제24왕조 · 제25왕조) · 이집트 말기 왕조 ( 제26왕조 · 제27왕조 · 제28왕조 · 제29왕조 · 제30왕조 · 제31왕조) ·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문화 고대 이집트 · 이집트 문명 · 나일강 · 이집트 미술 · 이집트 상형 문자 · 고전 이집트어 · 콥트 문자 · 콥트어 · 세네트 · 네메스 · 스핑크스 · 메자이 · 카노푸스 · 샤브티 · 포티 · 앙크 · 호루스의 눈 · 파라오 · 파라오/미라 · 이집트/미라 · 사자의 서 · 어떤 남자와 그의 영혼의 대화 · 스캐럽 · 파피루스 · 코피스 · 이집토마니아 · 고대 이집트/성문화
도시 기르가 · 기자 · 다만후르 · 다클라 · 데숙 · 룩소르 · 메르사마트루 · 멤피스 · 미냐 · 바하리야 · 반하 · 베니수에프 · 빌베이스 · 사이스 · 사파가 · 소하그 · 수에즈 · 시와 · 아마르나 · 아비도스 · 아스완 · 아시유트 · 아크밈 · 알렉산드리아 · 에드푸 · 에스나 · 엘아리쉬 · 자가지그 · 카르가 · 콤옴보 · 쿠세이르 · 쿠스 · 퀴나 · 키프트 · 타니스 · 탄타 · 파이윰 · 헬리오폴리스
종교 이집트 신화 · · · 테프누트 · 게브 · 누트 · 오시리스 · 이시스 · 세트 · 네프티스 · 호루스 · 아누비스 · 하토르 · 토트 · 프타 · 세베크 · 아포피스 · 아톤 · 엔네아드
유물 나르메르 팔레트 · 투탕카멘의 가면 · 투탕카멘의 단검 · 네페르티티 흉상 · 로제타 석 · 팔레르모 석
건축 아부심벨 대신전 · 카르나크 신전 · 룩소르 신전 · 에드푸 신전 · 덴데라 신전 · 콤 옴보 신전 · 에스나 신전 · 필라에 신전 · 기자의 대스핑크스 · 데이르 엘 바하리 · 하트셉수트의 장제전 · 라메세움 · 오벨리스크 · 알렉산드리아의 등대 · 알렉산드리아 도서관
무덤 피라미드/이집트 · 기자의 대피라미드 · 카프레의 피라미드 · 멘카우레의 피라미드 · 조세르의 피라미드 · 붉은 피라미드 · 왕가의 계곡 · 투탕카멘의 무덤 · 람세스 2세의 무덤 · 세티 1세의 무덤 · 프수센네스 1세의 무덤 · 유야와 투야의 무덤 · 카와 메리트의 무덤
인물 나르메르 · 조세르 · 임호텝 · 쿠푸 · 카프레 · 멘카우레 · 투트모세 3세 · 하트셉수트 · 아멘호테프 3세 · 아케나톤 · 네페르티티 · 투탕카멘 · 람세스 2세 · 네페르타리 · 람세스 3세 · 넥타네보 2세 · 알렉산드로스 3세 · 프톨레마이오스 1세 · 클레오파트라 7세 · 역대 이집트 파라오
낭설 고대 이집트인 흑인설 · 덴데라 신전의 전구 · 아비도스 사원의 헬리콥터 · 초고대문명설 · 투탕카멘의 저주
}}}}}}}}}}}}}}}

🎩 모자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width:300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eee,#000> 각모 · 갈모 · 감투 · · 개리슨 모 · 군용 베레모 · 군모 · 굴레
나이트캡 · 남바위 · 너울 · 뉴스보이 캡
도깨비 감투 · 두건 · 듀렉
로가티프카
마녀 모자 · 맥주 모자 · 문라건 · 미니햇 · 밀짚모자
바이저 마스크 · 바이콘 · 버킷햇 · 베레모 · 보닛 · 보터햇 · 볼러 · 부니햇 · 비니 · 비레타 · 빵모자 · 버즈비 · 복건 · 베어스킨 햇
사모 · 삿갓 · 샤워캡 · 샤코 · 샴푸캡 · 선 바이저 · 솜브레로 · 스냅백 · 상모
아얌 · 야구 모자 · 오스트리아식 야전모 · 와룡관 · 우샨카 · 움직이는 토끼모자 · 은박 모자
전모 · 전역모 · 전투모 · 정모 · 정자관 · 제모 · 조우관 · 족두리 · 전립
초립 · 초선관
칸무리 · 키파 · 케피 · 케피예 · 코이프 · 캠페인 햇 · 카우보이 모자
탕건 · 터번 · 트리코른 · 탑햇 · 트릴비 햇
팔각모 · 패랭이 · 패트롤캡 · 페도라 · 페즈 · 프리기아 캡 · 플랫 캡 · 포크 파이 햇
학사모 · 학생모 · 헤어밴드 · 화관 · 휘항 · 흑립 · 홈버그 햇
왕관 교황 삼층관 · 금관 · 네메스 · 러시아 제국 황제관 · 롬바르디아 철관 · 면류관 · 성 에드워드 왕관 · 성 이슈트반 왕관 · 신성 로마 제국 황제관 · 영국 제국관 · 오스트리아 제국 황제관 · 월계관 · 익선관 · 원유관(통천관) · 티아라
헬멧 M1 철모 · 6B47 헬멧 · 90식 철모 · PASGT 헬멧 · 검투사 헬멧 · 공사장 헬멧 · 그레이트 헬름 · 면갑 · 방석모 · 방탄모 · 슈탈헬름 · 야구 헬멧 · 오토바이 헬멧 · 자전거/헬멧 · 조종사 헬멧 · 철모 · 투구 · 풋볼 헬멧 · 프로텍 헬멧 · 피스 헬멧 · 피켈하우베 · 핫부리 · 헤드기어 · 아밍 캡 · 쿠스토디안 헬멧 · 간주형 투구 · 첨주형 투구 · 원주형 투구 }}}}}}}}}

파일:047790b1d5790b33aeed770b7e3b8e03--egyptian-costume-egyptian-party.jpg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네메스를 쓴 파라오의 이미지. 엑소더스: 신들과 왕들 세티 1세의 모습이다. 존 터투로 분.

1. 개요2. 상세

1. 개요

고대 이집트 파라오들이 착용하던 줄무늬가 들어간 머리장식. 보통 고대 이집트 왕관이라고 하면 이쪽을 가리킨다.

2. 상세

먼저 두건을 머리에 씌운 뒤 금속 테를 써서 고정했고 사자 갈기처럼 두건을 양 갈래로 나누어 어깨에 늘어뜨린 다음 뒤쪽으로 흘러내린 부분은 따로 끈으로 묶어서 단정하게 마무리했다.[1] 이마에는 황금 우라에우스 혹은 와제트 네크베트를 박아넣어서 포인트를 줬다. 역사가 최소 5,000년은 가뿐하게 넘어가는 장식물이라서 이집트 선왕조의 파라오 시절부터 썼다는 기록이 남아 있을 정도다. 수많은 파라오들이 애용하던 머리장식으로 나중에는 이중관 프셴트를 위에 겹쳐쓰는 경우도 많았다.[2]

네메스의 모양을 제대로 잡기 위해서 천에 풀을 먹여 뻣뻣하게 고정했다는 설도 있다.

엄밀히 말하면 왕관은 아니다. 파라오 뿐만아니라 다른 고대 이집트인들도 네메스 비슷하게 생긴 두건들을 걸치고 다녔다.[3] 차이점이라면 이마에 있는 태양신의 상징 우라에우스는 오직 파라오만이 달고 다닐 수 있었다는 것이다. 네메스는 서양 문화권의 왕관이나 홀처럼 그 자체로 신성하거나 그런 건 아니었지만[4] 파라오의 권위를 상징하는 핵심적인 장식물들 중 하나로 여겨졌다. 두건에 불과해 보이는 외양과는 달리 고대에는 매우 예식적이고 의례적인 머리장식이었다.

현재 남아있는 실제 네메스는 단 하나도 없다. 애초에 재질이 썩기 쉬운 리넨이나 천 따위로 만들어져서 보존이 극도로 어려웠기 때문이다. 하다못해 투탕카멘의 무덤에서도 실제 파라오가 쓰던 왕관은 단 하나도 발견되지 않았다.
파일:Ji27OCE6EO9LwN6paVpC-Q.jpg
파일:geI04V9BFB1CgGCly6-Hzw.jpg
파일:800px-CairoEgMuseumTaaMaskMostlyPhotographed.jpg
파일:Tut_mask.jpg


[1] 뒤쪽 부분을 묶을 때는 마치 사자의 꼬리처럼 모양이 나도록 했다고 한다. [2] 대표적인 예시가 아부심벨 신전 람세스 2세 좌상. [3] 동아시아로 치면 당나라의 복두와도 비슷한 경우다. 당나라의 복두도 엄밀히 말하자면 황제만 쓰는 관모가 아니라 신하들도 쓰는 관모였다. 단지 사극에서 신하들의 복두와 구별하기 위해 황제의 복두를 신하들의 검은 복두와 다른 금색 복두로 묘사하는 경우가 많았을 뿐이다. [4] 예를 들어 신성 로마 제국 황제관, 헝가리 왕국 성 이슈트반 왕관은 그 자체로 군주의 권위를 상징하는 보물이라 대대손손 몇 백년에 걸쳐서 물려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