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덕교사
1. 개요
倫理敎育科 / Department of Ethics Education도덕과 중 중학교에서는 도덕, 고등학교에서는 생활과 윤리와 윤리와 사상을 가르치는 윤리교사를 양성하는 사범대학의 학과
2. 상세
과거에는 가뜩이나 암울한 사범대 안에서도 특히 빛을 못 보는 학과라는 인식이 강했는데 그 이유는 T.O가 적은 것도 있지만 다른 비사범계 학생이 교직이수할 때 가장 쉽게 선택하는 학과 중 하나라는 점도 작용한다. 심지어 과거엔 교육학과 학생들에게 자동으로 윤리교사 자격증까지 주었던 시절도 있었지만 지금은 그게 없어졌고, 흔한 철학과에서 교직이수를 할 경우 대부분의 경우에 윤리교사가 아니라 철학 교사(..) 자격증이 나오는 터라 공급이 적기에 메리트가 생겼다.2014년부터 대학수학능력시험에 생활과 윤리 과목이 등장하면서 상황이 바뀌었다. 생활과 윤리는 2014학년도 수능에서는 전체 사회탐구 응시자의 40.7%가 응시하여 사회탐구 영역 선택과목 중 2번째로 수강자 수가 많은 과목이 되었고, 그 다음해에는 기존 1위 과목이던 사회·문화를 제치고 1위 과목으로 자리매김하더니, 최근 2018학년도 수능에서는 자그마치 전체 사회탐구 응시자의 60.62%가 응시함으로써 사회탐구 영역의 선택과목 중 1위 과목의 자리를 굳혔다. 이에 따라 자연스럽게 여러 고교에서 생활과 윤리를 사회탐구 과목으로 채택하기 시작했고 그전의 윤리교사의 수로는 역부족인 상황에 놓이게 되자 현재 점차 T.O가 늘고 있는 추세이다.
윤리교육과 외에도 성균관대학교에 설치된 유학동양학과, 그리고 일부 대학의 철학과에서 연계전공 시 교직이수를 할 수 있다. 단, 대부분의 철학과들은 교직이수를 해도 윤리교사 자격이 아니라 철학교사 자격이 나온다. 다만 윤리와 철학의 학문적 경계가 유의미하지 않다는 특수성 때문에 철학교사 자격을 가지고도 윤리를 가르치는 교사들이 매우 많다. 물론 법적으로는 과목 상치지만 교사 수급이 부족할 때, 혹은 그 학교에서 철학 교과가 폐강되어 철학교사 고용 문제가 걸렸을 때 차선책으로 윤리를 맡기면서 생기는 일이다. 이러한 상치 교사 문제는 비단 윤리와 철학에만 있는 건 아니고 다른 교과에서도 생각보다 많이 목격된다.[1]
또한 이화여자대학교에서는 도덕윤리교육 연계전공이 설치되어 있어 사범대학 교육학과, 교육공학과 학생과 철학과 교직이수자는 연계전공 복수전공을 신청하면 도덕윤리과목 교직이수가 가능하다.
3. 교육 과정
주로 동양과 서양의 철학 및 과거와 현대의 철학 등을 배우는데 고등학교 때 배운 윤리를 생각하면 피를 보며, 교직을 제외하면 철학과와 겹치는 부분이 많기에 철학과에서 선호하기도 한다.윤리학/교육학/윤리교육과 함께 통일 문제 때문에 정치학도 어느정도 다룬다. 따라서 정치외교학과가 없는 학교라면 윤리교육과의 과목을 뒤져보면 정치학을 어느 정도 배울 수 있으며 정치학과 연관된 과목을 강의하는 교수들의 경우 정치학과 출신인 경우가 대다수다.
아래는 중등학교 정교사 2급(도덕・윤리)을 취득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이수해야 하는 과목들이다.
- 도덕・윤리교육론
- 윤리학개론
- 동양윤리사상
- 서양윤리사상
- 한국윤리사상
- 윤리고전강독
- 응용윤리(사회윤리)
- 윤리와논술
- 민주주의론
- 통일교육론
- 시민교육론
- 도덕심리학(발달심리학)
- 도덕사회학
4. 중등교원임용경쟁시험
4.1. 시험방식
시험 과목 및 유형 | 문항수 | 배점(모든 교과 동일) | ||||
교육학 | 1교시 (60분) | 논술형 | 1문항 | 20점 | ||
전공 | 전공 A | 2교시 (90분) | 기입형 | 4문항 | 8점 | 40점 |
서술형 | 8문항 | 32점 | ||||
전공 B | 3교시 (90분) | 기입형 | 2문항 | 4점 | 40점 | |
서술형 | 9문항 | 36점 | ||||
소계 | 23문항 | 80점 | ||||
계(배점) | 24문항 | 100점 |
교육학 또는 전공 A+B 중 어느 하나라도 40% 미만을 득점하면 과락으로 불합격처리된다. 즉, 교육학에서 총 20점 중 8점 미만을 득점하거나, 전공에서 총 80점 중 32점 미만을 득점하거나 둘 중 어느 하나라도 해당되면 해당년도 임용시험은 과락으로 불합격처리된다.
4.2. 시험과목
4.2.1. 교육학
교육부 고시 제2017-126호 부칙에 따른 교직이론과목. 이는 전공에 관계없이 모든 중등과목 시험에 공통으로 출제된다.
* 교육과정
*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 교육평가
* 교육심리
*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
* 교육학개론
* 생활지도 및 상담
* 교육사회
* 교육사 및 교육철학
*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 교육평가
* 교육심리
*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
* 교육학개론
* 생활지도 및 상담
* 교육사회
* 교육사 및 교육철학
4.2.2. 전공윤리
4.3. 유명 강사
- 박승원 (해커스)
- 김병찬 (윌비스)
5. 교원양성 역량 평가
사범대학의 주 목적은 중등교사 양성이며, 사범대학 학과의 역량을 평가하는 데에 있어 해당 학과의 교원양성 역량은 큰 비중을 차지한다. 교원양성 역량이 좋은 윤리교육과는 필수 교과목인 동양철학, 서양철학, 정치학, 도덕과교육학[2] 전공 교수진이 확보되고, 교수 1인 당 학생 수가 낮으며, 임용률이 높은 학과이다. 이상은 교원양성기관 역량진단 평가요소이기도 한데, 이는 교원, 수업환경, 교육과정, 임용률 등을 평가하여 A등급은 부총리 표창, B등급은 현행 유지, C등급은 양성정원 30% 감축, D등급은 50% 감축, E등급은 교원양성기능을 폐지하는 대한민국 교육부의 구조개혁정책 중 하나이다.6. 개설 대학
지역 | 유형 | 대학 | 학과(전공) | 설립연도 | 정원[3] | 전임교수[4] | 평가 |
수도권 | 국립 | 서울대학교 | 윤리교육과 | 1981년 | 18명 | 5명[5] | B |
사립 | 성신여자대학교 | 윤리교육과 | 1982년 | 20명 | 4명[6] | B | |
국립 | 인천대학교 | 윤리교육과 | 2011년 | 10명 | 4명[7] | A | |
관동권 | 국립 | 강원대학교 | 윤리교육과 | 1981년 | 16명 | 4명[8] | A |
호서권 | 국립 | 국립공주대학교 | 윤리교육과 | 1981년 | 17명 | 4명[9] | A |
사립 | 서원대학교 | 윤리교육과 | 1981년 | 20명 | 4명[10] | A | |
국립 | 충북대학교 | 윤리교육과 | 1981년 | 15명 | 5명[11] | B | |
국립 | 한국교원대학교 | 윤리교육과 | 1984년 | 19명 | 7명[12] | A | |
영남권 | 국립 | 경북대학교 | 윤리교육과 | 1980년 | 17명 | 6명[13] | B |
국립 | 경상국립대학교 | 윤리교육과 | 1981년 | 15명 | 5명[14] | B | |
사립 | 경성대학교 | 윤리교육과[15] | 1982년 | 14명 | 2명[16] | C | |
국립 | 국립안동대학교 | 윤리교육과 | 1982년 | 15명 | 4명[17] | B | |
국립 | 부산대학교 | 윤리교육과 | 1982년 | 13명 | 5명[18] | A | |
호남권 | 국립 | 국립목포대학교 | 윤리교육과 | 1982년 | 10명 | 4명[19] | B |
국립 | 전남대학교 | 윤리교육과 | 1981년 | 15명 | 4명[20] | B | |
국립 | 전북대학교 | 윤리교육과 | 1981년 | 15명 | 5명[21] | B | |
제주권 | 국립 | 제주대학교 | 윤리교육과 | 1982년 | 13명 | 5명[22] | B |
상술한 대학 외의 윤리교육과가 아닌 학과에서도 교직과정 및 연계전공으로 가능한 대학이 있다. 국민대학교 교육학과, 성균관대학교 유학동양학과, 영남대학교 철학과/교육학과, 이화여자대학교 철학과/교육학과/교육공학과. 조선대학교 철학과/교육학과, 충남대학교 철학과/교육학과 등이다. 이상의 대학들은 성균관대를 제외하면 교직이수에 더해서 타학과 수업을 연계전공을 해야 하기 때문에[23] 다른 학과 복수전공은 사실상 불가능해지며 시간표 맞추기도 어렵다. 게다가 2026년부터 공통과목의 교직과정이 사라지므로 교원 자격증 획득 목적으로 한 교육대학원 진학을 하기 힘드므로 자칫 어긋나면 되돌릴 수가 없다. 그러므로 윤리교사가 되는 것이 목표라면 학부 과정의 윤리교육과를 가는 것이 낫다.
7. 출신 인물
8. 관련 문서
[1]
부산시의 모 사립고등학교에서는
지구과학교사가
지리교사로 과목을 전환한 사례도 있었는데 이건 양반 수준이고,
한문교사가
기술교사로, 다시 정보교사로 두 번 전환한 사례도 있었다. 그리고 이 학교에서는
간호사관학교를 졸업한 예비역 간호장교로서
교련교사와
보건교사를 겸한 여교사가 교련 폐지 후
가정교사가 되기도 했다. 이 교사들 중 지리교사와 가정교사는 퇴임했고, 정보교사는 아직 학교에 남아 있다. 사실 세 번째와 같은 사례는 교련 폐지 당시 다른 학교에서도 많이 일어났었던 일로, 여성 교련교사들은 국어와 가정으로 많이 전환하곤 했다.
[2]
이는
임용고시 출제과목이기도 하다.
[3]
2023학년도 기준 총정원 268명.
[4]
명예교수, 객원교수, 초빙교수, 겸임교수, 강사 등 제외. 담당과목이 아닌 전공(연구분야)으로 표기.
[5]
김병환(동양철학/동양윤리), 정창우(도덕과교육), 김형렬(시민교육/정치철학), 엄성우(서양철학/서양윤리), 김상범(국제윤리/통일교육).
[6]
윤용남(동양철학/동양윤리), 이경희(응용윤리), 권수현(서양철학), 문경호(도덕과교육).
[7]
윤영돈(서양윤리), 김혜진(도덕과교육), 김윤경(동양윤리), 이상원(정치사상).
[8]
박보람(도덕심리학/도덕과교육/철학교육), 윤삼석(서양윤리/정치철학), 배병대(동양윤리/한국철학), 윤영광(정치철학/사회윤리).
[9]
김도형(서양철학), 신호재(도덕과교육/시민교육), 이치억(동양윤리/한국철학), 정수현(통일교육).
[10]
윤혜진(서양철학), 송애리(도덕과교육), 정철영(도덕과교육), 정환희(동양윤리).
[11]
김연숙(서양윤리/도덕과교육), 조일수(정치철학/도덕과교육), 김남준(서양윤리/현대윤리), 손경원(인성교육/도덕과교육), 강보승(동양철학/한국철학).
[12]
김국현(도덕과교육), 김민재(동양철학/한국철학), 김주휘(서양철학/정치철학), 김일수(응용윤리), 류지한(서양윤리), 박병기(도덕과교육/동양철학), 박정원(정치학).
[13]
이영경(한국윤리/한국유학), 손철성(사회철학/응용윤리), 김용수(동양윤리/중국철학), 김영하(민주주의론/현대이데올로기론), 이정렬(도덕과교육), 임경헌(서양윤리)
[14]
김대군(응용윤리), 홍석영(서양윤리), 박균열(시민윤리), 이상호(동양윤리), 송선영(도덕과교육).
[15]
유일하게
사범대학 소속이 아닌
문과대학 소속이다.
[16]
박장호(도덕과교육/윤리학), 김상돈(도덕과교육/서양윤리).
[17]
이대희(서양윤리), 안영석(동양윤리), 이창희(정치학), 신원동(도덕과교육).
[18]
김홍수(정치이론/통일교육론/민주주의론), 조수경(서양윤리/도덕과교육), 김혜수(한국윤리/동양윤리), 김현수(도덕과교육/도덕심리학/응용윤리), 정결(서양윤리)
[19]
조주현(도덕과교육/정치철학), 황성규(동양철학), 허윤회(응용윤리), 강민겸(도덕심리학) .
[20]
김기현(동양윤리), 노영란(서양윤리), 정탁준(도덕과교육), 강구섭(사회사상).
[21]
구교선(서양윤리),김유곤(동양윤리), 허인혜(한국정치/민주주의론/거버넌스론), 양해성(도덕과교육), 이기연(정치사상/시민교육).
[22]
강봉수(도덕과교육/동양철학), 김동창(도덕과교육), 변영진(서양철학/윤리학), 박성근(정치사회철학), 김태경(응용윤리).
[23]
그냥
철학과에서 교직이수 하면 정교사(철학)가 나오고, 교육학과는 정교사(교육학)가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