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27 03:35:33

아파트/대한민국/브랜드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아파트/대한민국
🏠 부동산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000> 부동산의 분류
협의
<colcolor=#000> 토지 지목에 따른 분류 · 상태에 따른 분류 · 용도지역 · 용도구역
정착물 건물( 집합건물 · 주택 · 상가 등) · 시설물( 도로 · 철도 · 교량 · 수도 등)
광의
공장재단 · 광업재단 · 선박 · 항공기 · 자동차 · 건설기계 · 어업 및 광업권 등
주택의 분류
공동주택
( /목록)
아파트( 대한민국) · 주상복합 · 타운하우스 · 도시형 생활주택 · 빌라 · 다세대주택 · 셰어하우스 · 기숙사
단독주택 단독주택 · 전원주택 · 모던 주택 · 원룸( 투룸 · 쓰리룸 · 포룸) · 협소주택 · 저택 · 별장 · 공관( 관저)
준주택 오피스텔 · 고시원 · 실버타운
부동산업
건설 건설사( 브랜드 · 컨소시엄 · 상위 30대 건설사)
매매 청약( 청약가점제 · 청약통장 · 주택청약종합저축) · 분양( 미분양) · 등기 · 부동산등기 · 모델하우스 · 전매 · 건축물대장
토지 지적( 지적재조사 · 지번) · 지목 · 필지 · 획지
임대차 임대료 · 전세( 전세권 · 전세 계약) · 반전세 · 월세 · 역월세 · 사글세
간접투자 리츠
가치평가 역세권 · 신축 · 구축 · 건폐율 · 용적률 · 판상형 · 타워형 · 커뮤니티 · 대단지 · 차 없는 아파트( 목록)
직업 감정평가사 · 공인중개사 · 주택관리사
관련 학과 부동산학과
법률
민사법 민법 · 농지법 · 부동산등기법 · 주택임대차보호법( 임대차 3법) ·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 · 부동산 등기사항증명서
행정법 건축법 · 건축물의 분양에 관한 법률 · 부동산 거래신고 등에 관한 법률 · 부동산 가격공시에 관한 법률 · 감정평가 및 감정평가사에 관한 법률 ·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 역세권의 개발 및 이용에 관한 법률 · 부동산 실권리자명의 등기에 관한 법률
정책
공급 신규 택지개발 · 신도시( 1기 · 2기 · 3기) · 역세권개발사업 · 혁신도시 · 기업도시 · 밀리온프로그람
정비 빈집정비사업( 가로주택정비사업) · 리모델링 · 도시재생 · 재건축 · 재개발( 공공재개발·공공재건축 · 뉴타운) · 지역주택조합
특수 특별공급 · 임대주택( 소셜믹스)
규제 세제 취득세 · 종합부동산세( 1주택자 과세 논란 · 다주택자 과세 논란) · 재산세 · 양도소득세
대출 담보인정비율(LTV) · 총부채상환비율(DTI) ·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가격 분양가상한제 · 고분양가심사제도 · 전월세상한제
부담금 재건축초과이익환수제 · 광역교통시설부담금
지역 투기지역 · 투기과열지구 · 조정대상지역
공시제도 공시지가( 개별공시지가 · 표준지공시지가) · 공시가격( 공동주택공시가격 · 개별단독주택공시가격 · 표준단독주택공시가격)
기타 역대 정부별 대책 · 기부채납 · 토지거래허가제 · 토지공개념
관련 기관 법무부 · 국토교통부 · 등기소 · 한국부동산원 · 한국토지주택공사 · 주택도시보증공사 · 서울주택도시공사 · 경기주택도시공사 · 인천도시공사 · 대구도시개발공사
관련 속어·은어
속어·은어 갭 투자 · 깡통주택 · 알박기 · 영끌 · X품아( 초품아 · 지품아) · ○세권 · ○○뷰 · 항아리 상권
불법 기획부동산 · 다운계약서
관련 사이트·앱
국가 청약Home
민간 네이버 부동산 · KB Liiv ON · 부동산114 · 직방 · 다방 · 집토스 · 다음 부동산 · 바로바로 · 리치고 · 알스퀘어
부동산 스터디 · 부동산 갤러리 · 라이트하우스 · 부동산 읽어주는 남자 · 집값 정상화 시민행동
기타
부동산 투기 · 계획도시 · 난개발 · 국민주택채권
}}}}}}}}}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의 아파트 브랜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시공능력평가순위( 도급순위)가 산정되는 민간 건설사의 브랜드
파일:래미안 BI.svg 파일:힐스테이트 BI_상하.svg 파일:푸르지오 심볼(2019.3).svg 파일:e편한세상 BI.svg 파일:자이 BI.svg
파일:더샵 BI_2020.svg 파일:롯데캐슬 BI_상하.svg 파일:SK뷰 BI_2010.svg 파일:아이파크 BI_2021.svg 파일:포레나 BI.svg
파일:호반써밋 영문 BI(2019).svg 파일:트리븐 BI.svg 파일:풍경채 BI.svg 파일:중흥S-클래스 심볼.svg 파일:엘리프 BI_2021.svg
파일:서희스타힐스 BI_상하.svg 파일:코오롱하늘채 BI_2018.svg 파일:아테라 BI.svg 파일:에일린의 뜰 로고.svg 파일:센트레빌 BI_상하.svg
파일:디에트르 로고.svg 파일:데시앙 로고.svg 파일:스위첸 BI.svg 파일:쌍용 더 플래티넘 BI.svg 파일:우미 린 BI.svg
파일:한신더휴 BI.svg 파일:반도유보라 BI_상하.svg 파일:에피트 BI.svg 파일:동원로얄듀크 BI_상하.svg 파일:두산위브 BI.svg
파일:빌리브 국문 BI.svg 파일:해모로 BI(2022.03~).png 파일:수자인 BI.svg 파일:해링턴플레이스 심볼.svg 파일:더리브 BI.svg
}}}
||<-2><tablewidth=100%><tablebgcolor=#fff><bgcolor=#fff,#1c1d1f> 공기업의 브랜드 ||
파일:안단테 BI.svg 파일:자연&로고.svg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아크로 BI(2019.11).svg 파일:THE H BI_가로.svg 파일:푸르지오 써밋 BI(2014)_상하.svg 파일:르엘 BI.svg
파일:HAUTERRE_logo.svg 파일:트리마제 logo.svg 파일:아이에스동서 W BI.svg 파일:에크라 로고.svg
파일:브라이튼 BI_좌우.svg 파일:센트레빌 아스테리움 BI.svg 파일:두산위브 더제니스 로고.svg 파일:드파인.svg
}}}}}}}}} ||


1. 개요2. 아파트의 브랜드3. 펫네임과 보그체 남발 문제
3.1. 브랜드 순위
4. 브랜드 목록
4.1. 민간 브랜드
4.1.1. TOP 204.1.2. 기타 회사
4.2. 공기업 브랜드4.3. 사용하지 않는 브랜드 및 없어진 건설사

1. 개요

대한민국의 아파트 브랜드에 대해 서술한 문서.

2. 아파트의 브랜드

가끔 특별한 이름을 사용하거나 그 브랜드 뒤에 또 다른 이름을 지어 그 아파트를 차별화해주는 경우도 있다. 아이에스동서는 부산광역시 남구 용호동에 있는 69층짜리 고급 초고층 주상복합 에일린의 뜰 대신 W라는 이름을 지었다. 또 같은 용호동에 위치한 당시 LG건설이던 GS건설에서 시공한 대단지 아파트인 LG메트로시티는 당시 사용하던 LG빌리지나 그냥 LG아파트라는 이름이 아닌 LG메트로시티라는 다른 이름이 붙었다.

고급화 브랜드를 런칭하는 경우도 있다. 대림산업은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동에 위치한 아파트에 e편한세상 대신 아크로리버파크라는 이름을 사용했다. 이후 강남구 서초구에 지어지는 모든 DL이앤씨(구 대림산업) 아파트는 아크로라는 브랜드를 사용 중이다(영등포와 흑석동에도 사용한다). 브랜드를 사용한다. 현대건설 힐스테이트의 상위권 브랜드로 디 에이치(The H)라는 프리미엄 브랜드를 개포주공3단지 아파트 재건축을 시작으로 앞으로 분양한 최고급 아파트에 따로 붙일 계획이라고 한다. 현대건설에서는 상류층들이 거주하는 최고급 아파트라는 콘셉트로 실제 평당 분양가 3,500만 원 이상 아파트에만 이 브랜드를 붙일 계획이라고 하며 확실한 품질관리 등으로 차별화를 두겠다고 했다. 예를 들어 디에이치 아너힐즈 등. 대우건설도 푸르지오에 써밋이라는 이름을 붙여 프리미엄 브랜드를 새로 런칭했는데, 고가 아파트단지인 ' 서초 푸르지오 써밋'이 첫 적용사례다. 삼호가든 재건축에도 반포 센트럴 푸르지오 써밋이라는 이름을 붙였으나, 입주민들 투표로 푸르지오를 빼고 반포 써밋으로 이름을 변경했다. 본인들도 푸르지오와 병행사용이 수주전에서 불리하다는 것을 깨달았는지 최근 흑석11구역에선 써밋 더힐을 제안하는 등 써밋을 밀고 있다. 롯데건설 역시 고급화 단지에는 롯데캐슬이 아닌 르엘 브랜드를 사용한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선호도가 높은 브랜드인 래미안과 자이는 하이엔드 브랜드를 따로 만들어 놓지 않았다. 래미안과 자이의 경우 업계 1,2위로 고급 브랜드 없이도 수주가 가능하다고 판단해서이며, 실제로 래미안, 자이로도 반포, 개포등에서 수주에 성공했기 때문이다.

메인 브랜드 뒤에 또다른 차별화된 이름을 붙여주는 경우도 많다. 브랜드에 펫네임을 더하는 경우 중 대표적으로는 롯데건설이 펫네임을 많이 붙이는데 롯데캐슬 하나로만 쓰이지 않고 그 뒤에 펫네임으로 '카이저', '레전드', '피오레', '아인스', '자이언트', '클래식', '골드', '더 퍼스트', '프레스티지', '노블레스', ‘센트럴스카이’ 등 다른 영어 단어를 많이 붙인다. 최근 롯데건설은 현대건설, DL이앤씨와 같이 하이엔드 브랜드인 " 르엘"을 런칭했다. 하이엔드 브랜드인만큼 서초구 반포동 " 르엘 신반포 센트럴"과 강남구 대치동 "르엘 대치" 두곳에 적용했다. 삼성물산 또한 자사 브랜드인 래미안 뒤에 또 다른 펫네임을 붙여 차별화를 꾀하는 전략이 있다. 아파트가 지어지는 지역 사정 등을 고려해 일부 아파트 단지에는 '베라힐즈', '블레스티지', '팰리스', '퍼스티지', '첼리투스' 등의 이름을 덧붙이는 경우가 많다. 실례로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동에 있는 래미안 아파트에 '퍼스티지'라는 단어를 더해서 반포 래미안 퍼스티지라는 이름을 지었고, 동부이촌동의 렉스아파트를 재건축하여 지은 아파트에는 래미안 첼리투스라고 붙였으며, 포스코건설 더샵 뒤에 '퍼스트월드', '센트럴스타', '프레스티지', '스타시티', '스카이타워', '퍼스트파크', '파크시티', '센텀스타', '센텀파크', '센텀포레', '포레스트' 등의 단어를 자주 붙인다.주로 지역명+더샵+펫네임 형식이다. 예시로 남천 더샵 프레스티지가 있다. 리뉴얼 이후 일부 단지에는 지역명+센트럴로 붙이기도 한다.

이외에 한 건설사가 대규모 신도시의 특정 권역을 다수의 아파트 단지로 개발하는 경우 펫네임을 단지명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대표적인 예가 송도국제도시 더샵 퍼스트월드/센트럴파크/그린애비뉴/하버뷰/그린스퀘어, 푸르지오 하버뷰/글로벌캠퍼스/에듀포레 등. 이런 경우 이 지역을 담당하는 택배기사는 헷갈려 한다.

만약 2개의 시공사에서 공동 시공한 아파트의 경우 마포 래미안 푸르지오( 삼성물산+ 대우건설 공동시공), 힐스테이트 푸르지오 수원 주안(현대건설+대우건설 공동시공), 래미안 자이(삼성물산+GS건설 공동시공), 위브 하늘채(두산건설+코오롱건설 공동시공), 캐슬 해모로(롯데건설+한진중공업 공동시공), 힐스테이트 위브(현대건설+두산건설 공동시공), 월드메르디앙 반도유보라(월드건설+반도건설 공동시공) 아이파크 e편한세상(HDC현대산업개발+대림산업 공동시공) 등 이름에 두개의 브랜드를 함께 사용한다. 아예 공동시공으로 인해 한국에서 두 번째로 긴 이름을 갖게 된 단지는 세종특별자치시에 있다. 이름하야 "범지기마을9단지한신휴플러스엘리트파크". 19글자다. 3개 이상 다수의 시공사가 참여한 몇 천 세대짜리 대형 아파트 단지에는 주민 및 조합원들이 모여 외부 작명 업체에 아웃소싱 주고 시안을 받아와서 투표를 통하여 단지명을 아예 새로 결정한다. 건설사가 많아 브랜드가 중복되어 이름이 길어지면 부르기에도 곤란해지기 때문.[1] 무려 6개의 시공사가 참여해 새로 지은 잠실 파크리오, 3~4개의 시공사가 참여했던 잠실 리센츠, 도곡렉슬 등이 그 시작이 되어 이제는 헬리오시티같이 특정 건설사 브랜드가 나타나지 않은 정체불명의 생소한 브랜드 아파트들도 등장하고 있다. 다수의 시공사가 참여한 뉴타운의 경우 또한 마찬가지. SH공사, 현대산업개발, 삼성물산등이 시공한 왕십리뉴타운 아파트의 브랜드는 텐즈힐이라고 지었다. 또한 운정신도시에서 벽산건설 우남건설이 공동시공한 모 아파트는 연리지라는 브랜드를 사용하기도 했으며 그리고 동탄신도시에는 포스코건설과 신동아건설이 공동시공한 메타폴리스가 있다. 아이에스동서, 한림건설, 대동건설 3사가 같이 지은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성주동에 위치한 1,360세대 유니온빌리지 또한 이 사례에 속한다. 어떤 재건축 단지에서는 시공사 브랜드가 무엇인지 모른다는 이유로 일부 주민들의 반대가 심했다고 한다.

그리고 아파트 가격에 큰 영향을 끼치는 것 중 하나가 브랜드인만큼 아파트를 구입하는 사람들이 상당히 신경쓰는 요소이기도 하다. 비슷한 위치에 있는 아파트들일 경우 자이, 래미안, 힐스테이트, 더샵, 롯데캐슬, 푸르지오, e편한세상, 아이파크, 두산위브, SK뷰 등 인지도가 높은 대기업 건설사 브랜드의 아파트가 비슷한 위치에 있는 다른 브랜드의 아파트에 비해 기본적으로 동일 평수 대비 1천만 원에서 1억 원 이상까지 더 비싼 경우가 많다.

또한 신도시 개발 및 도시철도 신설 호재를 타고 지어진 아파트의 경우 신도시 이름이나 아직 지어지지도 않은 역 이름을 쑤셔넣어 분양에 나서기도 한다. 그나마 이런 사례는 아파트가 지어지고 나서는 얌전한(?) 동네 이름으로 새로 만든 간판을 내거는 편이지만, 여러 신도시 아파트는 동네 이름도 굉장히 길게 지어진다는게 문제. 이런 곳에다 여러 건설사 이름을 마구 쑤셔넣으면 저세상 이름이 나온다.

그동안 아파트 펫네임에 영어,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라틴어를 마구잡이로 섞어 붙이더니 이제는 외국 유명인사나 외국 신화에 나오는 신의 이름(...)까지 가져다 붙이는 케이스도 생겼다. 부산 강서구에 '영어도시퀸덤1차아인슈타인타운'과 '명지두산위브포세이돈아파트' 등이 그런 경우다. 2023년 12월 21일, 보다못한 서울시가 아파트 이름에 대한 토론회를 열고 가이드라인을 내놓았는데, 가급적 한글 이름을 사용하고, 그 지역의 유래나 옛 지명을 활용하며, 이름을 복잡하게 하는 펫네임은 자제하고, 아파트 이름을 최대 10자 내외의 글자 수로 제한하자는 내용이다. 물론 강제성 있는 법규가 아니라 가이드라인이고, 또 서울시가 내놓은 가이드라인이라 타 지자체에는 해당사항이 없으니, 이 가이드라인이 얼마나 효과가 있을지는 미지수다. 이병헌 황궁아파트는 양반이네…‘외계어’ 아파트 이름 이제 그만!

예외적으로 전통적으로 부자들이 사는 국내 최고의 부촌 아파트 이미지를 가지고 있는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있는 압구정 현대아파트의 경우 반대로 시공사인 현대산업개발 측에서 먼저 '압구정 아이파크'로 이름 변경을 제의했으나, '압구정 현대아파트'의 브랜드 가치가 더 높다고 판단하여 주민 반대로 무산된 바 있다. 실제로 주민들이 '압구정 현대아파트' 라는 이 초창기 그대로의 이름에 대단히 자부심이 크다고 한다.

3. 펫네임과 보그체 남발 문제

파일:aptbrand.jpg

21세기 들어서 지어진 신축 아파트들이나 재도색 아파트에는 '있어 보이고 싶은' 이름들이 많이 붙고 있다. 예나 지금이나 외국에서 한국인들의 주소를 적은 걸 보고 모르는 사람이 깜짝 놀라게 만드는 원인. 이러한 작명법은 주로 X세대에게 호응이 있는 한편, 젊은층 사이에서는 보그체를 조롱하는 분위기가 만연해 있어선지 오히려 외면받고 있는 게 현실이다.[2] 옛날엔 심지어 건설업체의 이름을 그대로 아파트 이름으로 사용한 아파트 주민들이 집값 때문에 아파트를 후에 나온 브랜드명으로 바꾸려는 시도가 수두룩했다. 그러다가 2006년부터 규정으로 이름 변경 시도가 막히게 되었다.

아파트 브랜드가 본격적으로 생기기 시작한 때는 1999년 2000년 이다. 최초의 아파트 브랜드 상표 등록(특허청 상표공보 기준) 동일토건 동일하이빌로 1999년5월1일에 등록됐다. 이후, 대기업들도 브랜드화에 나서면서 삼성물산이 ' 래미안'으로, 대림산업이 ' e편한세상'으로 이름을 붙이기 시작하면서이다. 그 이전인 선경건설이 1992년 11월에 업계 최초의 브랜드 마케팅인 '선경 호멕스'를 도입하기도 했지만 이쪽은 큰 호응이 없었던건지 사람들은 여전히 선경아파트라고 부르고 있었고, 그로 인하여 선경건설에서 SK건설로 사명이 바뀐 이후인 2000년에 브랜드를 SK뷰로 교체한 바가 있으며, 그보다 이전으로 거슬러 가면 한신공영은 반포동 일대에 대단지 아파트를 건설하면서 반포주공아파트와 구별하기 위해 ‘신반포’라는 브랜드를 붙이기 시작했고, 그 이후 한신코아 또는 한신그린코아 라는 브랜드를 붙이기도 했지만 이는 본래 한신공영의 계열사 였던 뉴코아백화점또는 한신코아 백화점의 브랜드로 쓰이던것을 몇몇 아파트에 붙인 수준에 불과했기 때문에 이쪽 역시도 널리 사용되지는 못했고 전국적으로도 서울 2곳, 전주 1곳, 부산 2곳의 한신아파트에만 적용되었다.

1970년대 당시 서울 일부에 아파트 단지가 차례로 들어설 당시 회사명이 아닌 별도의 명칭을 부여한 건설 회사들도 있었는데, 대표적으로 라이프주택개발의 ' 미성아파트', '미주아파트', '진주아파트', '장미아파트'가 있었고[3], 삼호주택의 '개나리아파트', '진달래아파트'도 유명했다. 또한 한보건설도 '은마아파트', '미도아파트' 등 별도 단지명을 선호했다. 청화기업의 '청실 아파트', '홍실 아파트' 등도 있었으며, 대한종합건설의 '무지개아파트' 등도 유명했다. 이 경우 아파트 이름을 따로 붙이긴 했지만[4] 2000년대 이후처럼 마케팅 전략을 세워서 처음부터 노리고 붙인 건 아니었다.

최초의 브랜드는 중앙건설 중앙하이츠이며, 반도건설은 1984년부터 반도보라 브랜드를 사용하였는데, 보통명사가 아닌 고유명사를 최초로 아파트 브랜드에 사용한 사례이다.[5] 지금도 반도유보라라는 이름으로 명맥을 잇고 있다.

아파트 브랜드 가지고 분쟁이 일어나는 경우가 간혹 있었지만 해프닝으로 그쳤는데 결국 아파트 이름 가지고 건설회사와 입주자 간의 마찰이 발생하고야 말았다(…).

근래에 지어진 아파트 이름들이 대부분 외국어 또는 외래어인 것 때문에 "시골 사는 시어머니가 못 찾아오게 하려고 아파트 이름을 어렵게 지었다"는 농담마저 생겼다.[6]
"어머님! 여기가 정자동 미켈란쉐르빌[7]이에요! 택시기사님한테 그렇게 말씀하시면 돼요."
"리, 리... 대관절 뭐라고 하는 거냐? 하이구... 여보슈, 기사 양반. 그..뭐냐..그.. 미...미...? 니...니미시벌 아파트로 데려다 주슈"[8]

광주전남공동혁신도시 빛가람 대방엘리움 로얄카운티이나 초롱꽃마을6단지GTX운정역금강펜테리움센트럴파크 와 같은 숨막히는 이름도 있다.

3.1. 브랜드 순위

아파트 브랜드 사이에서도 순위가 있다. 선호도 순위권 10위에 드는 아파트들이 주로 다른 브랜드의 아파트에 비해 분양가, 매매가가 조금 더 비싼편.
물론 아파트 입지가 넘사벽으로 뛰어난 경우에는 유명 브랜드 아파트보다 거래가격이 같거나 더 높은 경우도 있다.

| 2024년 아파트 브랜드 선호도 TOP 10| 순위 || 브랜드 ||<-2> 시공사 ||
1위 <colbgcolor=#f5f5f5,#bbb> 파일:힐스테이트 BI_좌우.svg <colbgcolor=#f5f5f5,#bbb> 파일:현대건설 국문 로고.svg <colbgcolor=#f5f5f5,#bbb> 파일:현대엔지니어링 로고.svg
2위 파일:래미안 BI 영문.svg 파일:삼성물산 건설부문 로고.svg
3위 파일:자이 BI.svg 파일:GS건설 로고.svg
4위 파일:롯데캐슬 BI_좌우.svg 파일:롯데건설 로고.svg
5위 파일:두산위브 BI.svg 파일:두산건설 CI.svg
6위 파일:푸르지오 BI(2019.3).svg 파일:대우건설 CI.svg
7위 파일:포레나 BI.svg 파일:한화건설 로고.svg
8위 파일:더샵 로고타입_2020.svg 파일:포스코건설 로고.svg
9위 파일:아이파크 BI_2021.svg 파일:HDC 현대산업개발 CI.svg
10위 파일:우미 린 BI.svg 파일:우미건설 로고.svg
파일:e편한세상 BI.svg 파일:DL이앤씨 CI.svg 파일:DL건설 CI.svg
출처

4. 브랜드 목록

건설회사와 브랜드 추가 시 이름이 같거나 비슷한 건설회사가 있을 경우 본사가 있는 곳을 경동건설(부산) 이런 식으로 건설회사 이름 옆에 표기할 것. 취소선 처리된 것은 과거에 사용하였으나 현재는 사용을 안 하는 브랜드이다.

4.1. 민간 브랜드

4.1.1. TOP 20

  • 2023년 국토교통부 시공능력평가순위 20위 이상 건설사의 브랜드는 상단으로 옮기며, 나머지 건설회사들은 가나다순으로 정리한다.
2023년 국토교통부 시공능력평가순위 20위 이상
<rowcolor=#fff> 건설사 브랜드
삼성물산(1위) 래미안(來美安, RAEMIAN)
삼성아파트[9]
현대건설(2위)
현대엔지니어링(4위)
힐스테이트(HILLSTATE)
디에이치(THE H)
엠코타운, 현대홈타운
대우건설(3위) 푸르지오(PRUGIO)
푸르지오 써밋(PRUGIO SUMMIT)
푸르지오 시티(PRUGIO CITY)[10]
대우드림월드, 대우그랜드월드[11]
GS건설(5위) 자이(Xi)
LG빌리지, 럭키아파트
DL이앤씨(6위)
DL건설(13위)
e편한세상(e Pyeonhansesang)
아크로(ACRO)[12]
포스코이앤씨(7위) 더샵(THE SHARP)
오티에르(HAUTERRE)
롯데건설(8위) 롯데캐슬(LOTTE CASTLE)
르엘(LE | EL)
롯데낙천대(樂天臺)
SK에코플랜트(9위) SK뷰(SK VIEW)
드파인(DE'FINE)
아펠바움(APELBAUM)
호반건설(10위) 베르디움(VERTIUM)
호반써밋(HOBAN SUMMIT)
호반리젠시빌
HDC현대산업개발(11위) 아이파크(IPARK)
현대아파트
한화건설(12위) 포레나(FORENA)
꿈에그린
오벨리스크
대방건설(14위) 디에트르(Detre)
대방디엠시티
대방노블랜드
중흥토건[13](15위) 중흥S-클래스(S-CLASS)
중흥파크맨션
태영건설(16위) 데시앙(DESIAN)
데시앙 네스트
제일건설(광주)(17위) 제일풍경채(Poonggyeongche)
제일하이빌
계룡건설산업(18위) 엘리프(ELIF)
리슈빌(RicheVille)
코오롱글로벌(19위) 코오롱하늘채(KOLON HANULCHE)
서희건설(20위) 서희스타힐스(STARHILLS)

4.1.2. 기타 회사

BHI건설 휴니온
HN 썬앤빌
헤리엇
HL디앤아이한라 에피트(EFETE)
한라비발디(Halla VIVALDI), 한라비발디 시그마(Halla VIVALDI SIGMA)
KCC건설 스위첸(SWITZEN)
KD건설 아람채
kt estate 리마크빌
SD건설 SD아이프라임
SG건설 벨라시티
SG신성건설 미소지움(MISOZIUM)
SGC이테크건설 더리브
STX건설 NEUM
STX KAN
가화건설 가화만사성
강산건설 리안비채
개성건설 개성하이뷰
(주)건영 라포르테(La Portê)
건영아모리움(AMORIUM)
LIG 리가(LIG LIGA)
건영캐스빌(CASVILL)
경남기업 경남아너스빌(HONORSVILLE)
경동건설 경동리인(LEE IN)
경동메르빌(MERVILL)[14]
경보종합건설 경보이리스힐, 경보센트리안
경성리츠 스마트W, 올집아카이브부산(Allzib Archive Busan)
계성건설 이지움
고려주택건설 고려풀비체
고운건설 고운하이플러스(HIPLUS)
고운시티아이 고운라피네
광신종합건설 광신프로그레스
구산건설 도나우타운
국제건설산업 국제미소래
극동건설 스타클래스(STARCLASS)
극동의푸른별
근화종합건설 근화베아채
금강종합건설 휴티스(Hutis)
금강아미움(AAMIUM)
금강에스쁘아(ESPOIR)
금강주택 금강펜테리움(PENTERIUM)
더 시글로(THE SIGLO)
금광기업 금광베네스타(Benesta)
하늘연가
금도건설 솔리힐
금상건설 두비앙
금성백조 예미지(YEMIZI)
금오종합건설 에코팰리스
금호건설 아테라(ARTERA)
어울림(Oullim)
리첸시아(RICHENSIA)
금호베스트빌(BESTVILL)
금호타운(KUMHO TOWN)
기해건설 포르투나
길성종합건설 길성그랑프리텔
까뮤E&C 삼환나띠르빌(NATURE VILLE)
나성종합건설 모닝빌
남광토건 하우스토리(Haustory)
남명건설 남명더라우(THE HLAW)
남양건설 남양휴튼(HuTon)
남양 i-좋은집
남양파크
남해종합건설 남해오네뜨(honnête)
르 오네뜨(LE honnête)
남흥건설 펠리시아
다우KID 다우아트리체
대경건설 대경파미르(PAMIR)
대광건영 대광로제비앙(LOGEBIEN)
대라수건설 대라수(대라綏, DAELASOO)
대림종합건설 다미아
대명건설 벨리온
대명종합건설 대명루첸(LUCEEN)
대방산업개발 대방엘리움
대보건설 하우스디(hausD)
대상건설[15] 웰라움
대상건설 대상웰리움
대성건설 대성베르힐(VERTHILL)
대성사랑으로
대성문건설 퀸즈W
대승종합건설 에스티아
대양종합건설 아리스타
대우산업개발 이안(iaan)
엑소디움(EXORDIUM)
대우에스티[16] 푸르지오 발라드(PRUGIO BALADE)
대우조선해양건설 엘크루(ELCRU)
(주)대원 대원칸타빌(CANTAVIL)
대창건설 디펠리체
대창기업 줌파크
대한토지신탁 스위트엠
대호IP종합건설 프라비다
더본건설 본아르떼
덕산종합건설 덕산아내
덕진토건
덕진종합건설
덕진 **의 봄[17]
덕진휴먼빌
동구종합건설 스테빌리움
동국종합건설 동국 에버리치
동광건설 동광뷰웰(VUWELL)
동광모닝스카이(Morning Sky)
동광종합토건 오드카운티
동도건설 동도센트리움(CENTRIUM)
동문건설 동문 디 이스트
동문굿모닝힐(Good Morning Hill)
동부건설 센트레빌(CENTREVILLE)
센트레빌 아스테리움(CENTREVILLE ASTERIUM)
동부이끌림 동부이끌림
동부토건 베스티움
아이존빌스타
동서개발 동서프라임 36.5
동아건설산업 동아라이크텐(Like 10)
더 프라임
에코빌
동양/건설부문 동양엔파트(N'PART)
라테라스(LaTERRASSE)
가든코트(GARDEN COURT)
동양건설산업 파라곤(Paragon)
동우씨엠건설 더 뉴클래스
동원개발 동원로얄듀크(ROYAL DUKE)
비스타동원(VISTA)
동원건설산업 동원베네스트(BENEST)
동익건설 동익미라벨(MIRABELL)
(주)동일 동일스위트(THE SUITE)
동일건설 센타시아
동일토건 동일하이빌(HIGHVILL)
동화주택 동화아이위시(I-WISH)
드림종합건설 드림파크
드리움건설 미소드리움
두산건설 두산위브(We've)
두산위브 더제니스(We've THE ZENITH)
두산힐스빌
두산에너빌리티 트리븐(TRIVN)
트리마제(TRIMAGE)
두진건설 하트리움(Heartrium)
두진메인빌
두진백로
디알종합건설 디알에코시티
라송산업 센트럴카운티
라온건설 라온프라이빗
라인건설
EG건설
EG the1
리드건설(구 정우건설산업) J클래스
리젠시빌주택 리젠시빌 란트(RANTT)
매경주택 풀리비에
명지건설 명지로드힐(LORDHILL)
모아건설 모아미래도(MIRAEDO)
모아주택산업 모아엘가(MOA Elgaa)
(주)모티 더 베스트빌
(주)문영 퀸즈파크
문장건설 지엔하임
미래씨티아이 아트래디앙
미진건설 미진이지비아
반도건설 반도유보라
범양건영 범양레우스(REUS)
범양마더빌(MotherVill)
벽산엔지니어링
벽산건설
벽산블루밍(BLOOMiNG)
벽산첼시빌(ChelseaVill)
e-솔렌스힐
보광종합건설(주) 골드클래스(GOLD CLASS)
(주)보광종합건설 보광그랑베르
보국건설 보국웰리치
보미건설 보미리즌빌
보해토건[18] 보해이브(EVE)
보훈종합건설 수린나(LINNA)
부영 e좋은집
사랑으로부영
애시앙(AESIANG)
부원건설 트리쉐이드(TREESHADE)
비룡건설 벨로스텔라
비콘건설 비콘드림힐
산이건설 산이고운(SANI GOUN)
삼구건설 삼구트리니엔(TriniN)
삼도 삼도뷰엔빌(BUENVILL)
삼부토건 삼부르네상스(RENAISSANCE)
삼성홈이엔씨 헤렌시움
삼신종합건설 로하스빌
삼일건설 삼일브리제하임(BRISEHEIM)
(주)삼정
삼정기업
삼정 그린코아 포레스트(GREEN FOREST)
삼한종합건설 삼한사랑채, 삼한골든뷰
삼환기업 삼환나우빌(Nauville)
상상토건 상상포레스트
상지건설 상지리츠빌(RITZVIL)
새천년종합건설 천년가(千年家)
아르니(ARNÉE)
세광종합건설 세광엔리치타워
세원건설 세원 O2리움
서린건설 서린엘마르(El Mar)
서한 서한이다음
서한포레스트(FOЯREST)
서해종합건설 서해그랑블(Grand Bleu), 스카이팰리스(SKY PALACE)
서진건설 엘리체(ELICHE)
서희건설 서희스타힐스(STARHILLS)
석미건설 아데나
선광토건 선광로즈웰
선원건설 디 엘본
성도건설 성도르피스
성암토건 벨루미체
성원건설[19] 성원아파트
성원상떼빌
성일개발
성일건설
상현재
성일 우리미
성호건설 루브루
세경건설 초록지붕
웰러스
세미래건설 애뜨젠
(주)세원 세원 수
세원산업이앤씨 써밋 프레스티지
세움종합건설 세움펠리피아
세한종합건설 세한프리빌
수근종합건설
수영주택건설
봄여름가을겨울
승원종합건설 승원팰리체(FELICE)
송보건설 송보파인빌
시티건설 시티프라디움
신구건설 휴엔하임
신동아건설 파밀리에
신동아종합건설[20] 블루아
신명종합건설 신명스카이뷰
(주)신성건설 르네블루 신성(ReNe BLeU SHINSUNG)
씨즈
신세계건설 빌리브(viLLiv)
신세계 쉐덴(SHEDEN)
신안건설산업 신안실크밸리(Silk Valley)
신안종합건설 신안인스빌(ensvil)
(주)신영, 신영그룹 지웰(Gwell)
신우종합토건 희가로
신원건설 신원리브웰(LIVEWELL)
신원종합개발 신원아침도시
(주)신일 신일해피트리(HAPPYTREE)
(주)신한 디아채
신한종합건설 헤센(HESSEN)[21]
신화종합건설 신화하니엘(Haniel)
쌍용건설 더 플래티넘(The PLATINUM)
쌍용예가(藝家)[22]
쌍용스윗닷홈(Sweet dot Home)[23]
아이에스동서 에일린의 뜰(Eileen's Garden)
W
아주종합건설 아주아트빌(Art Vill)
안강건설 디오르나인, 럭스나인
알바디케이 라피아노
양우건설 양우내안애
영우건설 트라지움
영무토건
영무건설
영무예다음(YEDAUM)
영진산업개발 영진자이온(Zion)
영풍산업 영풍마드레빌(Madlevill)
영화건설 블렌하임
에쓰와이이엔씨(구 세영종합건설) 세영리첼(Richell)
세영더조은
세영첼시빌
에이스건설 에이스 카운티, 에비뉴원
에이원종합건설 파란채
애가건설 백년가
영남건설 영남네오빌
영동건설 보듬채
예서건설 두레라움
예서더불어
예일건설 예일세띠앙
온라이프건설 웰메이드
요진건설산업 와이시티
용진종합건설 용진스타티스
우남건설 우남퍼스트빌
우미건설 우미 린(Lynn)
린스트라우스(Lynn Straus)
우미이노스빌
우방 우방 아이유쉘(I uSell)
우방유쉘
신세계타운
신천지타운[24]
동서타운
우석건설 우석밸리치(宇石 VALICH)
우성건영 우성 르보아
우성종합건설 우성스마트시티뷰(Smart City View)
우신종합건설 우신미가뷰
우평건설 우평원더라움
운암건설 네오미아
원건설 힐데스하임
월드건설산업 월드메르디앙
월드뷰종합건설 월드파크
유림E&C 유림노르웨이숲(NORWEGIAN FOREST)
유림노르웨이아침(NORWEGIAN MORNING)
유탑건설 유탑유블레스(UBLESS)
유성건설 유성푸르나임
유승종합건설 유승한내들
유진기업 유진스웰
마젤란21
유창중건설 유창 아이리치
유호건설 유호N플러스빌
이랜드건설 타운힐스
이수건설 브라운스톤(BROWN STONE)
이원종합건설 이원웰스타(Well Star)
이원베르빌
이음엘엔디 이음
인터불고건설 라비다
일군토건 스위트클래스(SWEET CLASS)
(주)일동 일동미라주(MiRAjOO)
일동지에닌
일레븐건설 파크사이드(PARKSIDE)
일성건설 트루엘
일신건영 휴먼빌
(주)자광 레이시티(RayCity)
자이S&D[25] 자이르네(Xi rene)[26]
자이엘라(Xi ella)[27]
전진토건 골든렉시움
정림건설 정림다채움
정하종합건설 정하에코하임
중아건설 해피투모로우
중우건설 중우아팰리스(APLACE)
중우하나린
중앙건설 중앙하이츠(HEIGHTS)
중앙건설(창원) 블루힐스
중해건설 중해마루힐(MARUHILL)
지산종합건설 지산오차드힐
지안스건설 지안스로가
지원건설 지원더뷰
지에이건설 지에이그린웰
지엘건설 지엘리베라움
지음종합건설 시그너스
지인종합건설 지오스테이션(G5STATION)
지평건설 지평더웰
진경건설 수페리체
진아건설 진아리채(RICHE)
창덕종합건설 창덕에버빌
창보종합건설 창보밀레시티
창비건설 이즈팰리스
창성건설 클래시아
청광건설 청광플러스원
청목이엔씨 더웰
청일건설산업 청일 디오브
태린건설산업 아센시아 더 플러스
태림종합건설 그린센트
태완건설 노블리안
태왕E&C 태왕아너스(HONORS)
태원건설산업 리치먼드시티
파라다이스글로벌 파라디아
파라뷰플러스 삼일파라뷰(Para VIEW)
파인건설 파인앤유
포레건설 포레시티
포스코A&C 도뮤토
풍림산업 풍림아이원(iwant)
엑슬루타워(EXLLU TOWER)
풍성주택 풍성신미주
프라임D&C 프라임 아너팰리스
플러스건설 플러스하임
피데스개발 파렌하이트
하나건설 하나리움
하모니건설 마브러스
한국건설 한국아델리움(Adelium)
한국토지신탁 코아루
한라공영 한라하우젠트(HAUZENT)
한림건설 한림풀에버(FULL EVER)
(주)한성 한성사랑채
한성건설 필하우스
한신공영 한신더휴(THU HUE)
한신더휴 리저브(THE HUE RESERVE)
한신휴플러스
(주)한양 한양수자인(sujAin)
한양건설 한양립스(LEEPS)
한양산업개발 한양아이클래스(i-class)
한일건설 베라체(VERACE)
한일유앤아이
한웅건설 마티안
인터빌
한진건설 한진스카이뷰
HJ중공업 해모로
해광건설 해광샹그릴라(Shangrila)
해성종합건설 해성포레가
혜도건설 인파크 에비뉴
(주)현진에버빌 현진에버빌(EVERVILL)
(주)협성 DS협성 엘리시안[28][29],
협성 루에나
협성건설 협성휴포레(HUEFORE)
협성종합건업 협성르네상스(RENAISSNACE)
화산건설 화산샬레
HXD화성개발 더파크(THE PARK)
HS화성 화성파크드림(Park Dream)
효성중공업
진흥기업
DSDL
해링턴 플레이스(Harington Place)
효성백년가약
효성타운
효성화운트빌
진흥 더 루벤스
진흥더블파크
상아아파트
흥한주택종합건설 흥한웰가(Wellga)
(주)흥화 하브
흥화브라운빌
희성건설 희성연인, 오피앙(Opian)
힐탑건설 힐탑스타
힘찬건설 헤리움

4.2. 공기업 브랜드

한국토지주택공사 (土住公, LH) 안단테(ANDANTE), LH
주공아파트
천년나무 (Millennium Tree)
휴먼시아 (Humansia)[30]
뜨란채
주공그린빌
공무원연금공단 상록
서울주택도시공사 SH빌, 청신호[31]
인천도시공사 웰카운티 (Well County)
부산도시공사 풀리페 (fullife)[32]
대구도시공사 청아람 (靑雅濫)
광주도시공사 다사로움(DASAROUM), 빛여울채
대전도시공사 트리풀시티
경기주택도시공사 자연& (自然 N)
경상남도개발공사 올리움
경상북도개발공사 신나리아파트
강원개발공사 산수빌 (山水 Ville)
전북개발공사 에코르 (ecore), 지안리즈 (GYANLIS)
제주특별자치도개발공사 마음에온
용인도시공사 이던하우스
하남도시공사 에코앤 (ECO&)

4.3. 사용하지 않는 브랜드 및 없어진 건설사

BYC건설 위더스빌(WITHUSVILL)
고려산업개발 현대모닝사이드
현대 프레미오[33]
광명주택 광명메이루즈(MAYLUZ)
광명샤인빌(Shine Vill)
거평건설 거평아파트
글로웨이(舊 임광토건) 그대가
금광건업 금광포란재
궁전종합건설 아이브
나산종합건설 나산아파트
늘푸른주택 늘푸른오스카빌
다인건설 다인 로얄팰리스
다우건설 다우 갤러리휴리움
대교 D&S 베르빌, 미켈란(MICHELAN)
대덕건설 누리에뜰
대동주택 대동다:숲(Da:sup)
대동한마음
대동이미지
대동황토방
대백종합건설 대백인터빌
대백맨션
대성산업 건설부문 대성유니드(U'NEED)
스카이렉스
대아건설 대아아이투빌
대주건설 대주피오레(Fiore)
대주파크빌(PARKVill)
덕일건설 덕일한마음
덕일마이빌
동국건설 동국아파트
동보주택건설 동보노빌리티
동양도시개발 동양부로미
로그인종합건설 다소미
롯데기공 롯데인벤스
라이프주택개발 라이프아파트
미도파 미도파(아파트)
리움토건 이든팰리스
보성주택 보성타운
보성황실타운
비사벌건설 비사벌
삼라건설 삼라마이다스
삼보종합건설 삼보해피하임
삼성중공업 건설부문 쉐르빌(CHEREVIL)[34]
라폴리움
삼성아파트[35]
삼우건설 삼우궁전
삼오종합건설 삼오르네상스
삼익건설 삼익아파트(삼익건설)
삼익주택 삼익세라믹
삼진개발 삼진아파트
서광건설산업 서광아침의빛
성원토건 은아아파트
성우종합건설 성우오스타
세창 세창짜임, 세창리베하우스
시온토건 시온 숲속의아침뷰
신도종합건설 신도브래뉴(BraNew)
신일건업 신일유토빌(UTOVILL)
신창건설 신창미션힐(MISSION HILL) → 신창비바패밀리(VIVA FAMILY)
신태양건설 더 유엘
오펠리움
새롬성원산업(구 광토건설) 청솔아파트
엘드건설 수목토(水木土)
영남건설 영남탑스빌(Tops Vill)
영조주택 영조퀸덤
아름다운나날
예성종합건설 예성그린캐슬
영진건설 영진로얄
우림건설 우림필유(fillU)
우림루미아트(Rumi Art)
그린빌리지(Green Village)
퓨전빌(Fusionvillebr)
카이저 팰리스(KAISER PALACE)
우림라이온스밸리(LION'S VALLEY)
우성건설 우성아파트
우정건설 우정에쉐르
울트라건설 참누리
원일건설산업 원일플로라
익수종합건설 에코하임
인정건설 인정프린스, 멜로디
제일건설(전북) 오투그란데(O2 grande)
제이파크
주은산업 주은아파트
주은프레지던트
진흥기업 진흥 더 루벤스
진흥더블파크
청구 청구지벤(ZIVEN)
(주)태암 태암수정
평창토건 평창 리비에르
풍성주택 신미주
(주)한보 미도
한솔건설 한솔 솔파크
한솔로이젠트
한솔리치빌, 한솔리베르
한승종합건설 한승미메이드(Me Made)
흥한건설 에르가


[1] 하지만 3개 건설사 시공의 경우 억지로 꾸역꾸역 넣어서 만든경우가 없지는 않은데, 대표적인 예시로는, 서울 가재울뉴타운에 있는 DMC 파크 자이, 광명 자이더샵포레나, 부산 양정 자이 더샵 SK뷰 등이 있으며 반대로 시공사가 2개 이하여도 새로 이름을 짓는 경우가 있다. 대표적으로 현대건설 대림산업만 시공했으나 힐스테이트 e편한세상이 아닌 고덕 아르테온으로 이름을 지은 경우. 보통 브랜드명이 짧을 경우에만 붙이고 길이가 긴 브랜드끼리는 발음하기도 어렵다보니 새로 작명을 하는편. [2] 최근 들어서는 아파트 브랜드뿐만 아니라 지하철 역명까지 진출하고 있다. 주민투표, 서울시역명제정원칙, 저명성, 역사성 등을 모두 무시하고 제정된 케이스가 서울대벤처타운역. [3] 이외에도 드물게 '백조', '크로바', '국화', '한성', '남성' 등의 이름을 사용하기도 했으며, 회사명 그대로 '라이프아파트'라고 붙인 단지도 상당수 있다. [4] 지금도 여의도동이나 동부이촌동, 잠실 등지에서는 이 아파트가 아직도 존재한다. [5] 색상을 나타내는 보통명사 보라가 아닌, 권홍사 회장의 장녀 이름이다. [6] 그런데 나이드신 시어머니가 혼자서는 찾아오지 못해 시누이까지 달고 온다는 바리에이션도 있다(...) [7] 다른 버전에서는 호반 리젠시빌로 나오는 경우도 있다. [8] 놀랍게도 실화이다. 할머니가 니미시벌 아파트라고 잘못 말했는데 택시기사가 센스있게 알아채고 미켈란쉐르빌로 데려다 준 이야기이다. [9] 래미안을 런칭하기 전까지 다양한 컨셉이 있었다. 사이버빌리지, 한국형, 명가타운 등등 [10] 오피스텔 브랜드이다. [11] 2000년 런칭된 브랜드이지만 2003년 푸르지오가 런칭되면서 이 브랜드를 달고 분양했던 곳과 완공된 곳은 모두 푸르지오로 변경되었다. [12] DL이앤씨 한정 하이엔드 브랜드 [13] 중흥건설도 사용한다. [14] 2000년대 초반에 메르빌 브랜드가 도입되었으며, 2014년 8월에 리인 브랜드가 도입되어 기존의 경동 메르빌을 대체하였다. [15] 밑의 대상건설과는 별개의 회사. 대상그룹의 자회사이다. [16] 대우건설 자회사 [17] 광양의봄, 진주의봄과 같이 이 회사가 아파트를 건설하는 지역 뒤에 "의봄"을 붙이는 방법으로 브랜드를 적용하고 있다. [18] 매취순으로 잘 알려진 광주ㆍ전남권의 주류회사 보해양조와는 아무런 관련이 없는 회사이다. 또한. 호남지역 기업도 아니다. [19] 옛 성원상떼빌을 짓던 성원건설은 파산해 사라진 상태에서, 대구 지역 건설사인 영남건설이 성원건설의 지적재산권을 인수하고 합병하면서 브랜드가 부활한 것이다. [20] 신동아건설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는 회사이다. [21] House of Essence의 약자로, 독일 헤센 주와 철자가 똑같다. [22] 계속되는 주택시업 부진에 이미지 개선을 위해 더 플래티넘으로 브랜드가 일원화되며 사라졌다. [23] 2000년 5월 '쌍용스윗닷홈' 브랜드를 도입해서 2년 동안 쓰다가 2002년 10월 '쌍용스윗닷홈 예가' 브랜드 출시, 2006년 중순에 스윗닷홈 발음이 어렵다는 이유로 스윗닷홈 폐지, '쌍용예가'가 되었다. [24] 그 신천지가 아니다. [25] GS건설 자회사 [26] 300세대 이하 아파트 브랜드이다. [27] 자이 오피스텔 브랜드이다. [28] 협성건설의 서브브랜드로서, 500세대 이하의 중소형 단지를 건설할 때 붙여지는 이름이다. 대단지 아파트는 휴포레를 사용한다. [29] 최근에는 협성건설에서 분리된 상태이다. [30] 舊 주공 말기에 나온 브랜드로 2014년까지 사용되었으나 휴먼시아라는 이름이 '가난함의 상징'으로 전락하면서 폐지. [31] 청년과 신혼부부를 위한 호~옴 프로젝트 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관련 내용 [32] 정관신도시(정관풀리페아파트)와 부산 송도해수욕장 위쪽 언덕(남부민풀리페아파트)의 두 곳에서 이 브랜드를 이용하여 아파트를 지었다. [33] 2001. 2. 12 입주한 광교 현대프레미오에만 쓰고 이후 폐기 된 것으로 추정. 위치는 용인시 수지구 상현동 [34] 주로 주상복합 아파트가 많으며 삼성에서 지은 곳인데 이름이 래미안이 아니라면 이곳에서 시공한 확률이 많다. [35] 삼성아파트라는 명칭은 삼성물산 건설부문이 먼저 사용했지만 인덕원마을 삼성아파트같이 삼성중공업에서도 삼성아파트 명칭을 가끔 사용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047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047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