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13 15:20:21

항아리 상권


1. 개요2. 특징3. 예시

1. 개요

특정 지역에 국한된 상권으로 공급이 제한적이고 배후수요가 공급을 능가하는 상권을 말한다.

2. 특징

  • 상권이 쉽게 팽창하지 못한다.
  • 수요의 이탈이 쉽게 발생하지 않는다.
  • 중심지 상권과의 접근성이 나쁘다.(이 때문에 빨대효과가 발생하지 못해 수요가 이탈되지 못한다.)
  • 배후지가 확고하여 확고한 배후지에서 대부분의 수요가 발생한다.
  • 외부 수요 보다는 내부 수요가 많아 자칫 잘못하면 우물안 개구리가 될 수 있는 것이 단점이다. 따라서 이곳의 상인들은 전체적인 시장 트랜드의 변화를 면밀히 살펴야 할 필요가 있다. 변화해야할 때 변화하지 못하면 고객들은 불편을 감수하고서라도 멀리 있는 중심지 상권으로 갈 것이기 때문에 빨대효과에 의해 항아리 상권은 붕괴된다.

3. 예시

  • 동네 상권
  • 동네 학원가
  • 대학로 상권
  • 대구광역시 수성구,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등 지방 대도시의 학군지들은 서울 강남 8학군에 비교하면 항아리 상권으로 볼 수도 있다. 실제로 이 지역들은 강남 8학군에 준하는 학구열을 보이는 곳이다.
  • 일부 지거국 대학들을 항아리 상권으로 보는 견해가 있다. 인서울을 하기에는 거리가 너무 멀기 때문에 해당 지역의 상위권 학생들이 기회비용 문제로 인서울을 하지 않아 높은 입결을 보인다는 가설이다.[1]

[1] 다만 지거국의 입결에는 여러가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항아리 상권만으로 해석하기에는 부족하다. 과거의 명성으로 인해 원래부터 입결이 높아 과거보다 입결이 떨어졌지만 아직도 여전히 높은 입결을 보이는 것도 있다. 실제로 최근에 인서울 열풍이 너무 심한 관계로 입결이 과거보다 다소 떨어진 편이긴 하나 인구 절벽에 의한 수험생수 부족에 의한 문제도 있어서 해석에 주의해야 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