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
관련 문서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ff8c00><colcolor=#fff> 신·성인 | 부처 · 여래 · 보살 · 천왕( 사천왕) · 시왕 · 아라한 · 나반존자 |
세계관 | 삼천세계 · 육도윤회 · 오탁악세 | |
상징 | 법륜 · 卍 | |
경전 | 불경 · 결집 | |
종파 | 종파 · 근본 불교와 부파 불교 | |
계율 | 5계 · 오신채 | |
사원 | 절( 부속 건물 · 능침사) · 선원 · 총림 · 포교당 | |
미술 | 불상 · 불화( 탱화 · 만다라 · 수월관음도 · 달마도) · 불탑 · 승탑 · 보상화무늬 · 연화문 · 대장경판 | |
법구 | 금강저 · 당간지주 · 목어 · 목탁 · 불단 · 불진 · 석장 · 염주 · 범종 | |
의식 | 수계 · 예불 · 불공( 사시불공) · 진언 · 다라니 · 다비식 · 발우공양 · 탁발 · 방생 · 재( 49재) · 참선 · 사경 | |
문화 | 법회( 설법) · 범패 · 찬불가 · 승복( 가사) · 사찰 요리 · 법명 · 법랍 · 불멸기원 · 연등회 · 탑돌이 · 팔관회 · 참회 · 만행 · 승무 | |
불자 | 승려( 비구니 · 군종 승려 · 동자승 · 주지) · 법사 · 신자 | |
기타 | 가부좌 · 사리 · 파계( 파계승) · 한국어의 외래어/산스크리트어 | }}}}}}}}} |
1. 개요
金 剛 杵산스크리트어 바즈라(वज्र Vajra)의 한역. 불교의 승려들이 수행할 때 쓰는 도구( 법구)이자 고대 인도의 무기. 산스크리트어 발음은 IPA 기준 /ʋɐ́d͡ʑ.ɽɐ/이다. 실제 발음은 "바지라"~"와지라"에 가깝고, 한국불교학회 산스크리트어 표기법에 따르면 와즈라로 음역한다.
인도 신화에서 인드라가 아수라들을 물리칠 때 쓴 번개를 표상하여 주술적인 도구로 만든 것이다. 인도 신화에서 인드라의 번개는 엄청나게 강력하여 그 어떤 것이라도 베고 꿰뚫을 수 있다. 불교 중에서도 밀교는 인도 신화에 등장하는 와즈라의 상징성을 받아들여 법구로 만들어 역시 '와즈라'라고 불렀다. 이 법구를 티베트에서 도르제(Dorje)라 부른다. 중국에서는 한자로 금강저(金剛杵)ㆍ견혜저(堅慧杵)라고 의역하거나, 발절라(跋折羅)ㆍ발사라(跋闍羅)ㆍ벌절라(伐折羅) 등으로 음역했지만, 이중 '금강저'란 표현이 가장 대중적으로 쓰인다.
2. 기원
산스크리트어로 Vajra는 인드라 신의 무기를 뜻하는 고유명사지만 번개를 뜻하는 일반명사이기도 하다. 또한 다이아몬드를 뜻하기도 한다.페르시아의 아베스타에는 미트라 신이 휘두르는 Vazra라는 무기가 등장하므로, 인도-이란인이 갈라지기 전부터 이런 무기를 휘두르는 강력한 신이라는 신화소를 공유했음을 알 수 있다. Vajra의 좀더 오래된 어원은 인도유럽조어에서 '강력한(*weg)'이라는 어근에서 유래했다고 추정한다. 언어학자들은 핀란드어로 망치를 의미하는 바사라(vasara)와 어원을 공유한다고 보므로[1] 와즈라 또한 최초에는 번개를 표상하여 신이 휘두르는 망치나 도끼로 이미지되었을 가능성이 높은데, 이러면 북유럽 신화 속 묠니르와도 매우 비슷해진다. 또한 핀란드 신화에서 우코(Ukko) 신이 휘두른다는 번개망치(Ukonvasara)와도 연관지을 수 있다.
하늘에서 번쩍이며 내리치는 번개를 두고 원시인도유럽 종교에서는 뇌신이 휘두르는 돌도끼나 돌망치로 표상하였다. 그리하여 번개를 뜻하는 도끼나 망치 모양 장신구를 부적 삼아서 목걸이 형태로 걸고 다니는 풍습이 후대에 생겼다.[2] 인도에서는 도끼나 망치의 형상을 잃고 금강저 형상으로 표상하여 또다른 주술적/종교적 도구로 만들었고 이것이 불교에도 들어갔다.
3. 상세
금강저는 본디 인드라의 번개를 상징하지만, 도대체 금강저의 어디가 번개라는 것인지 의아할 수도 있다.위 이미지는 1680년 소아시아의 스미르나(Smyrna), 현재의 튀르키예 이즈미르(İzmir)시에서 발견된 대리석 제우스 입상이다. 제작시기는 2세기 중엽으로 추정하는데, 제우스가 오른손으로 쥔 절굿공이(?)가 번개를 형상화한 것이다. 인도가 아니라 그리스 신상이긴 하지만, 금강저가 어떻게 나왔는지 미루어 짐작해볼 수는 있다.
인도 신화에서 강력한 무기로 등장한 번개를 형상화한 것에서 의미가 더욱 커져서, 모든 잡상과 번뇌를 무너트리는 지혜와 마음의 힘 또한 상징한다. 그래서 불교에서도 금강저의 상징성을 받아들였는데, 특히 밀교 계통에서 즐겨 사용한다. 밀교 수행자가 특정한 수행을 하려면 금강저를 손에 쥐어야 한다고 요구하기도 한다. 일본 진언종의 개창자인 구카이(空海 774-835) 대사는 당나라에서 밀교를 배우고 일본으로 돌아오면서 금강저 안에 부처의 사리를 넣어 더욱 강력한 법구(法具)를 만들고자 하였다.[3]
가지 개수에 따라 각기 다르게 부른다. 가지가 1개라면 독고저(獨鈷杵), 3개라면 삼고저(三鈷杵), 5개라면 오고저(五鈷杵), 9개라면 구고저(九鈷杵)라고 부른다.[4] 그 외 자세한 설명을 바란다면 한글대장경 중 소바호동자청문경(소파호동자청문경)이라는 불경을 보길 바란다.
해인사 성보박물관 소장 조선시대 금강저 출처 일반적인 금강저와는 달리 극도로 장식화된 독특한 형태이다.
우리나라에도 밀교가 들어와 활동하던 신라, 고려 때 만든 금강저, 요령(鐃鈴)[5]의 손잡이를 금강저 모양으로 만든 금강령이 다수 남았다. 국립중앙박물관에서도 이런 유물을 볼 수 있다.
간략한 금강저와 금강령의 설명
2012년, 서울 도봉서원 터에서 발굴된 고려시대 금강령(왼쪽)과 금강저(오른쪽).
12세기 이전 유물로 추정하는데, 특히 금강령은 그 수준이 뛰어나 국보나 보물로 지정될 만하단 평가를 받았다. 엉뚱하게 서원 터에서 고려시대 불교 유물이 발굴된 까닭은 원래 그 자리에 영국사(寧國寺)라는 절이 있었기 때문이다. 위 사진에 나온 금강저와 금강령 등 출토품 10점은 2021년 8월 '서울 영국사지 출토 의식공양구 일괄'이란 명칭으로 보물로 지정되었다.
인도에 수출한 K-9 자주곡사포의 인도 정식 도입명이 K-9 VAJRA-T, 즉 K-9 금강저이다. 앞서 말했듯이 와즈라(VAJRA)를 직역하면 번개라는 뜻도 되므로, K-9의 원래 이름인 '썬더'를 적절히 번역하면서 의미를 더욱 살린 것.
4. 금강궐
금강저의 상징성이야 대단히 크지만 실제 무기로 삼기에는 별로 좋지 않다. 그나마 무기로 쓰일 법하게 생긴 법구는 손잡이 부분의 끝에 금강저처럼 생긴 장식이 있고 몸체는 칼날인데 전체 길이는 약 30-45 cm 정도 된다. 이 법구를 산스크리트어로 낄라(kīla), 티베트어로 푸르바(phur ba)라고 하는데, 한자어로는 금강궐(金剛橛)ㆍ보파궐(普巴橛)ㆍ보파저(普巴杵) 등으로 부른다. 여기서 보파(普巴)가 티베트어 푸르바를 한자로 음차한 것으로, 보파를 중국어 발음으로 읽으면 푸바(pŭ bā)가 된다.만화 아일랜드에서 반이 사용하는 무기가 바로 금강궐이다. # 하지만 금강궐 또한 남을 해치는 무기로 삼기에는 비효율적이고, 실제로도 의례용 법구로만 쓰인다. 티베트 불교의 본존 보파금강(普巴金剛)[6]은 그 이름대로 손에 보파궐(푸르바)을 쥔 형상으로 묘사된다.
5. 금강저를 사용하거나 관련이 있는 캐릭터
실제로 무기로 사용되기 워낙 어려운 형태라 기껏해야 단검처럼 거꾸로 잡고 찍거나 베는 것 외에는 워낙 액션이 잘 안 나오다 보니 창작물에서는 금강저 자체나 날이 여의봉처럼 늘어나는 기능이 있거나 아예 완드처럼 번개를 발사하는 마법사형 무기로 등장하는게 대부분. 물론 가장 많이 쓰이는 어레인지는 한 쪽에 칼날이 달려 단검이나 수리검처럼 사용하거나, 사출되는 기믹으로 소드 스틱처럼 써먹는 판타지의 라이트세이버.- 공작왕 - 공작, 봉황: 주인공 공작은 무슨 재질인지 아니면 술법인지 늘어나서 봉처럼 사용한 예가 있다. 봉황은 금강저 8개가 방사형으로 붙은 무기인 팔방륜고를 사용하며, 역시 금강저 8개를 길게 늘려서 풍차처럼 돌리거나 부메랑처럼 투척하는 모습을 보인다.
- 나무아미타불: 연대 UTENA
- 제석천: 독고저[8]
- 보현보살: 오고저+금강령
- 금강희보살: 삼고저 2개
- 비카라대장: 삼고저
- 더 레이더 : 초월자라 불리울 사나이 - 노학재
- 세계정복 ~모략의 즈베즈다~ - 비밀조직 화이트 라이트: 대원들의 무장이 금강저이다. 음양 파워를 재현해 한쪽 끝에서 라이트세이버 마냥 광선검이 만들어진다.
- 슬레이 더 스파이어: 힘을 1 올려주는 유물
- 신을 죽이는 방법 - 시앙린
- 앨리스 기어 아이기스 - 카네시야 시타라: SP 스킬 '인드라다누스' 사용시 던지면 거대화 해서 빔을 쏘는 금강저를 던진다. 어나더 버전의 SP 스킬 '디파발리'는 금강저 모양이 조금 다르며(한쪽 끝이 길쭉하게 뻗어있다) 던지면 7개로 분열하여 링모양 빔을 일정시간 연사한 후 일직선 빔 공격을 한다.
- 악마성 시리즈: 효월의 원무곡에서 바즈라 라는 무기가 나오는데 이거 번개 속성은 맞는데 이상하게 장검류로 분류된다. 월하의 야상곡 때는 한 술 더 떠서 이름부터인드라의 뇌검.아마도 이 쪽도 금강저를 광검 손잡이처럼 쓰는 것으로 추정
- 요괴소년 호야: 요괴 퇴치 조직 광패명종 법력승이 사용하는 석장과 함께 기본 장비의 2톱을 이룬다. 거기에는 교라가 사용하던 랜스를 닮은 천심각도 들어 있다. 물론 금강저의 사용의 진수를 보여준 분은 당연히 아키바 나가레다.
- 파이어 엠블렘 시리즈 - 카무이(파이어 엠블렘 시리즈):야신도의 손잡이와 가드의 형태가 금강저의 모티브. 아니 오히러 금강저에 장검의 날을 달아놓은게 더 가까울 정도의 형태이다.
- 후미즈키 학원의 츠치야 코우타에 의하면 병이 걸렸을 때 항문에 꽂아서 치료하는 것이라 카더라.[9]
- 천공전기 슈라토 - 슈라토: 대부분 전광석화 일도양단 공격인데 동화수 없이 한컷 두컷으로 때우는 꼼수 연출 탓으로 작품의 비판점 중 하나가 되었기에 금강저의 원판으로는 화려한 액션 연출을 그리기 매우 어렵다는 반면교사만 남겼다.
- 주술회전 - 료멘스쿠나(주술회전): 스쿠나가 사용하는 단검 형태의 주구 '신무해(神武解)' 가 금강저와 금강궐에서 모티브 따온 것으로 추측된다.
- 전지적 독자 시점 - 성좌 '뇌전의 신왕' (인드라)
- Fate 시리즈 - 카마, 랜서 라이코: 사실 둘 다 인드라의 금강저를 사용하는 것이다. 이와 별개로 게이트 오브 바빌론에 금강저의 원전이 존재하기도 한다.
[1]
핀란드어의 조상 격인 원시 핀우그리아어(Proto Finno-Ugric language)의 화자들이
인도유럽어족 언어의 화자, 또는 그 후계 언어의 화자들과 접촉하며 외래어로 단어들을 많이 받아들였기 때문이다.
[2]
북유럽에서는
묠니르,
핀란드에서는 우콘바사라를 상징하는 금속 목걸이 장식이 많이 발견되었다.
[3]
이 금강저는 일본의 국보로 지정되었다.
[4]
저(杵)는 절굿공이나 방망이를 가리키는 단어. 고(鈷)자는 넓적다리 고(股)로 쓰기도 한다.
[5]
종 모양을 한 금속 방울에 손잡이를 달아서, 사람이 손잡이를 쥐고 흔들면 안에 있는 탁설(鐸舌)이라는 조그만 쇠붙이가 안에서 부딪혀 소리를 낸다.
[6]
산스크리트어로 와즈라낄라야(Vajra-kīlaya), 티베트어로 도르제 푸르바(rdor rje phur ba)라고 부른다.
[7]
박태진의 경우는 에필로그 때 우주에서 잠시 돌아온 양부
진모리가 우주의 어딘가에 떠돌고 있던 걸 찾아서 준 것이 전부이기 때문에 실제로 사용한 적은 없다.
[8]
보통 창작물에서는 삼고저나 오고저를 쓰기 때문에 다소 이례적인 사례.
[9]
바보와 시험과 소환수 9권 최종문제 참고. 한국
NT노벨 정발판에 따르면 P. 228~229 가운데 229쪽. 참고로 담당교사의 대답은 "(그런 짓 하면) 진심으로 큰일 날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