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
관련 문서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ff8c00><colcolor=#fff> 신·성인 | 부처 · 여래 · 보살 · 천왕( 사천왕) · 시왕 · 아라한 · 나반존자 |
세계관 | 삼천세계 · 육도윤회 · 오탁악세 | |
상징 | 법륜 · 卍 | |
경전 | 불경 · 결집 | |
종파 | 종파 · 근본 불교와 부파 불교 | |
계율 | 5계 · 오신채 | |
사원 | 절( 부속 건물 · 능침사) · 선원 · 총림 · 포교당 | |
미술 | 불상 · 불화( 탱화 · 만다라 · 수월관음도 · 달마도) · 불탑 · 승탑 · 보상화무늬 · 연화문 · 대장경판 | |
법구 | 금강저 · 당간지주 · 목어 · 목탁 · 불단 · 불진 · 석장 · 염주 · 범종 | |
의식 | 수계 · 예불 · 불공( 사시불공) · 진언 · 다라니 · 다비식 · 발우공양 · 탁발 · 방생 · 재( 49재) · 참선 · 사경 | |
문화 | 법회( 설법) · 범패 · 찬불가 · 승복( 가사) · 사찰 요리 · 법명 · 법랍 · 불멸기원 · 연등회 · 탑돌이 · 팔관회 · 참회 · 만행 · 승무 | |
불자 | 승려( 비구니 · 군종 승려 · 동자승 · 주지) · 법사 · 신자 | |
기타 | 가부좌 · 사리 · 파계( 파계승) · 한국어의 외래어/산스크리트어 | }}}}}}}}} |
1. 개요
오신채( 五 辛 菜) 또는 오훈채( 五 葷 菜)는 승려들의 수행에 방해되는 5가지 매운 나물로, 마늘ㆍ 부추ㆍ 파ㆍ 달래ㆍ 흥거를 말한다.2. 역사
불교에서 저 다섯 가지 음식을 금하는 이유는 신체작용적, 수행적 측면이 강하다. 오신채는 모두 자극이 강한 식물이라 날것으로 먹으면 화를 잘 내게 하고 익혀서 먹으면 음란한 마음을 일으킨다고 하는 등 번뇌를 유발한다고 한다. 거기다가 강한 냄새까지 나니 수행에 방해가 된다고 여기는 것이다.어디까지나 붓다 사후에 생긴 사회적 문화에 따라 계율이 어느 정도 변질된 것이기 때문에 초기의 불교에서는 오신채라는 개념이 없었다. 이 전통은 채식과 함께 대승 불교가 힌두교의 아유르베다에서 받은 영향이다. 아유르베다에서는 파 대신 양파를 금지한다. 채식과 비슷한 경우다.[1] 때문에 상좌부 불교에서는 이러한 전통이 없을 때가 더 많다. 다만 상좌부 불교라고 해도 스리랑카 요리에서는 오신채를 빼는 문화 자체는 있으며, 현재도 인도권에서 수행자는 오신채를 빼서 먹는것이 일반적이다.
3. 대상 나물
어떤 채소를 오신채로 할 지는 초기 불경마다 기록이 갈린다. 능엄경에서는 대산(大蒜:마늘), 소산(小蒜:달래?염교?), 자총(慈蔥:샬롯), 각총(茖蔥:산마늘), 흥거(興渠:아위)를 오신채로 들었으며, 범망경에서는 대산(大蒜:마늘), 혁총(革蔥:산마늘 혹은 염교?달래?), 자총(慈蔥:샬롯), 난총(蘭蔥:부추), 흥거(興渠:아위)를 오신채로 제시했다. 능가경에서는 산(蒜:마늘). 총(蔥:대파), 구(韮:부추), 해(薤:염교), 흥거(興渠:아위)를 오신채로 들었다. 즉, 오신채라 하면 일반적으로 마늘, 대파, 아위, 산마늘, 달래, 염교, 부추, 샬롯 중 다섯 가지를 가리킨다.마늘(大蒜)은 어느 경전에서도 빠지는 경우가 없으며, 무조건 포함되었다.
대파(蔥)는 원래 초기 대승 불교에서 금지하던 것은 우리가 알던 대파가 아닌 양파의 일종인 샬롯(자총, 화총)이었다.[2] 하지만 샬롯은 동아시아에서 재배하지 않았기 때문에 동아시아 불교에서는 샬롯 대신 대파를 금했다. 원래 샬롯이 오신채에 포함되어 있었기 때문에 양파를 오신채에 넣기도 하는데, 일반적으로 그렇다고 해서 대파를 빼지는 않으며, 소산(小蒜)이나 흥거(興渠)를 빼고 대신 양파를 금지하는 경우가 많다.
소산(小蒜)는 달래(小根蒜, 薤白)를 뜻한다는 설과 염교(薤)를 뜻한다는 설이 있는데, 주로 한국에서는 달래를, 일본에서는 염교를 오신채로 본다. 사실 원래는 초기 불경에서는 산마늘(茖蔥)이 그 자리를 차지하고 있었으나, 단주육문에서 빠지면서 자연스럽게 달래나 염교가 그자리를 차지했다.
흥거는 결론만 말하면 인도 쪽에서 자라는 미나리과 식물인 아위(아사푀티다)다.[3] 소위 "악마의 똥"이라는 별칭으로 불릴 정도로 강렬한 향을 지니고 있으며, 미나리과 임에도 오신채에 들어간 이유는 조리하면 마늘과 양파, 회향을 섞은 향이 나기 때문으로 추측된다. 하지만 아위는 동아시아에서 재배되는 식물이 아니기 때문에[4] 각 나라마다 다른 식물을 흥거로 취급했는데, 한국에서는 무릇을 흥거로 취급해서 먹지 않았고, 일본은 생강을 흥거로 취급했다. 그 외에 같은 부추속 식물인 양파를 흥거로 취급해서 빼기도 한다. 다른 네 식물과는 과 단위에서 다른 식물인 데다가 동아시아에서 재배조차 되지 않는 식물이었기 때문에 없는 취급을 해서 사실상 사신채 취급을 받기도 한다.
한국에서는 일반적으로 마늘, 대파, 달래, 부추, 흥거를 오신채로 보았으며, 일부에서는 부추속에 속하는 식물 전체를 먹지 않기도 한다. 다른 일부에서는 생강, 양파를 흥거로 취급해서 먹지 않는 곳도 있으며, 오신채에 더해 고추, 양파, 생강, 무릇까지 포함한 구신채를 먹지 않는 곳도 있고 아예 매운 음식 자체를 안먹는 경우도 있다.
서양권에서는 일반적으로 양파, 마늘, 리크, 차이브, 래디시 등을 오신채로 언급하는데 아마도 대파나 부추, 달래, 염교가 서양권에서는 거의 먹지 않는 채소인 것이 이유인 듯하다.[5]
4. 한국에서의 적용
자세한 내용은 사찰 요리 문서 참고하십시오.한국 요리에서 위 재료를 빼버리면 조리 가능한 음식들이 절반이 넘게 날아가 버린다. 특히 마늘은 거의 한식의 필수품이라 골치 아프다. 여기에 더해 오신채를 따지는 사람들은 당연히 스님이다.
- 일반 가정이나 식당에서 만드는 김치는 거의 못 먹는다. 그래서 사찰에서 담그는 김치는 마늘과 젓갈을 쓰지 않고 맛을 낸다. 마늘은 김장을 할 때 맛을 내주는 것 못지 않게 양념이 재료에 잘 붙게 하는 접착제 역할도 해준다. 이 때문에 일반 김장하듯이 고춧가루를 갈아서 담그면 재료들이 싹 미끄러져서 제대로 익지 않으므로 사찰식 김치는 일반 김치보다 굵게 갈은 고춧가루를 쓴다.
- 심지어 피자 같은 양식도 사찰식 피자처럼 어레인지한 게 있다. 언뜻 그냥 치즈피자나 야채피자면 되지 않나 싶지만, 토마토 소스도 대부분 마늘이 함유된다. 사찰식 피자는 그래서 아예 다른 방식으로 만드는데, 절 근처에는 이걸 만들고 배달해주는 피자집도 있다.
-
라면도 오신채를 대체해서 만든 제품이 있다. 한동안 대만에서 스님용 라면을 수입하다 1997년에
오뚜기라면이 불교단체의 의뢰를 받아 국내 최초로 '채식청구면'을 만들었다. 이러한 내용은
KBS2
스펀지
2003년 11월 29일자를 통해 방영되었으며 지식의 별은 4개였다.
채식주의자용 식품을 파는 사이트들에서 같이 판다. 슈퍼마켓이나 마트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것은 아니고, 소매로는 아무래도 타산이 맞지 않아서 사찰 등의 공동구매를 통한 주문 제작으로만 생산된다고 한다.[6]
맛은 보통 라면과 거의 똑같다고 한다. 라면 맛은 주로 MSG에서 나오기 때문이다. 사실 보통 라면에 들어가는 육류 성분은 높아봐야 5% 정도에 불과하다. 일반 라면보다 덜 기름진 정도. 다만 마늘이 빠진 게 낙폭이 크다는 사람들도 있다.
- 짜장면도 불교식 변형이 있다. 고기 대신 콩단백을 넣고 오신채 뺀 짜장면이다. 저런 메이저한 재료를 쓰지 않고 맛을 내려는 눈물겨운 고생의 결과, 의외로 맛도 담백하고 웰빙 식품인 요리가 제법 나왔다. 그래서 굳이 스님이 아니더라도 수요가 많다. 합천군 해인사 근방에는 매스컴에도 자주 소개된 스님짜장이라는 메뉴와 더불어 짬뽕, 볶음밥, 탕수이(탕수버섯)을 파는 곳이 있으며 해인사 스님들도 자주 시켜먹는 곳이다.
- 인스턴트 냉동만두도 무오신채 버전으로 만들기도 한다. 고기는 물론 파, 마늘, 양파 등이 들어가지 않아 두부 맛이 많이 느껴진다. 김치만두라도 김치맛보단 두부맛이 강하다고 한다.
5. 타 종교의 유사 개념
여타 종교에서도 특정 음식류를 금지하는 교리를 많이 찾아볼 수 있다. 이는 음식을 통제하는 것이 자신의 욕망을 절제하고 입장을 표출하는 가장 직접적인 표현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7] 그런 신념적 원인을 제외하고서 종교 창시 당시의 사회적 요인으로 금지되었다고 생각되는 예도 있다. 한국에는 이슬람교의 돼지/술 금지, 힌두교의 소 금지 교리가 잘 알려져있다.- 도교에서도 비슷한 이유로 부추ㆍ마늘ㆍ달래ㆍ유채ㆍ고수를 기피한다. 다만 이는 불교의 영향이 강한 종파만 그렇고, 불교의 영향이 적은 종파는 삼염( 개고기ㆍ 개리 고기ㆍ 가물치 고기)이나 벽곡법은 실천해도 오신채를 딱히 가리지는 않는다. 오히려 오신채 중 대파는 신선의 음식이라고도 할 정도. 민간 도교의 영향이 강하고 도교 자체가 많이 세속화된 중국이나 타이완, 동남아시아의 화교 커뮤니티에서는 다른 일을 하면서 도사 일을 부업으로 하고, 청규[8]를 지키지 않는 경우도 많다.[9]
- 일본에서는 수행의 의미에서 특정 기호 식품을 끊는 '타치'(断ち) 문화가 있다. 주로 차나 술 등을 끊으며 끊는 대상 뒤에 '타치'를 붙여 사카다치(酒断ち), 차다치(茶断ち)라고 한다.
6. 여담
-
오신채가 정해질 당시 한국에 없었던 매운 채소로는 대표적으로
고추가 있다. 그외에
초피나
후추도 향과 자극이 더 강하지만 분류상 흥거를 제외한 나머지 사신채와는 이질적이어서 그런지 왠지 모르게 논란 없이 사용한다.
지리산 금수암 주지이자 금당전통음식연구원 이사장 대안 스님[11]은 "고추나 생강도 열성을 가진 음식이지만 그 정도가 약하고 지독한 향도 없어 수행을 방해하는 산란심(어지러운 마음)을 크게 일으키는 것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확실히, 매운 냄새가 심하고 먹기만 하면 속에서 냄새가 올라오는 다른 오신채와는 달리 고추는 그렇지는 않다.
- 오신채는 몸에 매우 좋은 식재료다. 기본적으로 이들 재료는 정력에 좋은 편이며, 마늘은 항암효과가 뛰어나고, 부추와 파는 한의학에서 열이 많은 식품으로 몸이 허할 때 먹으면 좋다고 하며, 달래도 초봄에 먹는 신선한 비타민 공급원이다. 따라서 웰빙을 생각한다면 사찰음식을 그대로 먹기보다는 이 오신채를 충분히 사용해 개조해서 먹는 게 더 몸에 좋고 맛있다. 수행상으로도 '몸에 힘이 난다'라는 것은 오히려 힘을 쓰는 사람들에겐 권장할 만한 요인이다. 그래서인진 몰라도 고대 이집트 등 과거에 일부 지방에서 육체 노동자들이 많이 먹었다.
- 어느 라디오 프로그램에서 인도에서 수행 중인 한국 스님과 인터뷰 했을 때는, 의외로 부추를 길러 먹고 있다고 답한 적이 있다. 절이나 스님에 따라 약간씩 계율이 다른 듯하다.
- 오신채와 관련된 유명한 캐릭터로 저팔계가 있다. 팔계(八戒)라는 이름이 바로 8가지 계율을 뜻하며, 오신채인 '오훈'과 위에 설명된 '삼염', 합쳐서 '오훈삼염을 금한다'는 뜻이다. 저팔계가 관세음보살과 만나 훗날 삼장법사가 찾아오면 제자로 들어가라는 명을 받고 기다리면서 이 8가지 음식을 금하고 있다가 삼장과 만나 이 계율을 풀려 하니, 삼장법사가 그러지 말고 계속 지키라며 '팔계'라는 이름을 내려준 것이다. 참고로 삼염의 세 고기를 금한다곤 하나 실제로는 스님이라 다른 고기도 모두 먹지 않았다. 식탐이 강해서 서유기 내내 먹을 것 타령을 하지만 고기는 절대 입에 대지 않았다.
-
맛의 달인에서는 오신채에 대해 비판적인 논조로 다룬다. 정신수련으로 깨달음을 얻어야지 수련에 방해된다는 이유로 향신료와 고기를 금해놓고는 먹어도 힘 안 나는 유사요리 따위를 먹고 힘이 빠진 걸 깨달음으로 착각하지 말라는 것이 주장의 요지이다.
구체적인 내용은 이러하다. 문제가 된 것은 결혼을 약속하고 사귀던 젊은 남녀(남자쪽이 대처승)를 두고 '절을 이어받으려면 일정 기간 사회와 단절되어 폐관수련을 거쳐야 한다'며 주변에서 두 사람을 갈라놓으려 하고, '꼭 결혼하기로 약속한 아가씨가 있어 그것은 어렵다'며 남자(대처승)쪽이 난색을 표하는 것에도 '삿된 욕망에 미혹되어 구도의 뜻을 잃었다'그 윽박지르고 억압하려 든 것이었다. 이에 두 사람은 결혼해서 행복하게 살고싶다고 지로에게 도움을 청했고, 이에 대해 지로는 '고리타분한 인습을 기계적으로 지키기 위해 젊은 사람들의 행복을 짓밟으려 하는 행태'로 보고 크게 화를 낸다. 그리고 궁극의 메뉴 담당자로 알려진 자신의 명성을 이용하여 '수행에 도움이 되는 훌륭한 메뉴를 대접하겠다'고 관련자들에게 접근한 것. 이때 지로는 생고기, 마늘등 정력에 도움을 주는 오신채 향신료를 쓴 메뉴를 대접한다. 이를 보고 당황하는 다른 승려와 절 관련자들에게 "정력이 생기는 음식을 먹고도 그 정력을 극복할 수 있어야 제대로 수행을 한거지, 고기 안 먹고 향신료 안 먹어서 기운이 쭉 빠져서 정력이 안 생기는걸 무슨 수행의 성과라고 자랑하냐? 니네 사고방식이 그러니까 젊은 사람이 결혼해서 행복하게 잘 살겠다는 좋은 생각도 미혹된 욕망 취급이나 하는거 아니냐?" 라는 식으로 관계자들을 질타한다. 이에 깨달음을 얻은 이들은 두 사람이 순조롭게 결혼할 수 있도록 폐관수련 규칙을 너그럽게 적용해주기로 결정한다.
즉 이 에피소드의 주제를 불교의 교리에 비추어 생각해본다면, 사실 초기 불교(원시 불교) 시대에는 없던 오신채 관련 교리가 이후 불교의 발전 과정(특히 대승불교의 발전 과정)에서 새로 만들어져 추가되었다는 것 자체를 두고 옳고그름을 따질 문제라고 보기는 어렵다. 종교 역시 시대와 사회의 일부이니 그 변화에 따라 교리도 변화할 수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다만 해당 에피소드의 주제는 과거에 정립된 교리나 규칙이라는 이유만으로 그것을 강요하여 현대인인 신자의 삶과 행복을 억압하려 드는 것은 잘못이다 인데, 이것을 교리 자체의 변화상에 비추어보면 재미있게 생각해볼만한 새로운 주제를 찾을 수 있다. 한국, 일본등의 불교에서 중시하는 오신채 금지 교리와 같은 것도 원시불교에는 없던 교리가 불교의 발전 과정에서 새롭게 생겨난 것인데, 이러한 변화와 발전을 긍정하는 입장이라면 또 새로운 시대에 생겨날 새로운 변화(예컨데 지로가 주장한 것처럼 결혼을 앞둔 대처승에게는 폐관수련 규칙을 융통성있게 적용해주는 것) 역시 긍정할 수 있지 않은가, 만약 기존의 규칙이 예외나 변화를 인정할 수 없는 절대적인 것이라면, 그 규칙 자체를 만들어낸 변화는 대체 왜 긍정받아야 하는가? 주제들을 생각해 볼 수 있는 것이다.
[1]
사실 중국.한국.일본 등 대승불교가 채식 전통을 갖게 된건 중국 역사상으로 양나라에서
양무제가 스님들에게 술과 고기 섭취를 강력하게 금기시히는 단주육문 칙령을 내려서 그렇게 된 것이다.
[2]
샬롯은 양파(Allium cepa)와 같은 종이다. 불경 주석을 보면 베어내고 다시 자란 파란 식으로 두루뭉술하게 설명하는데, 이는 분구한 샬롯을 심어 대파처럼 자란 것을 말한다. 한국에서 흔히 먹는 양파도 이런식으로 재배가능하며 2020년대 들어 양대파, 함양파란 이름으로 팔리고 있다.
[3]
한국에서는 페룰라나 힝 파우더(이 Hingu-힝구는 흥거라는 음역의 어원이기도 하다)라는 이름으로 인도 현지식 가람 마살라에나 소량첨가되는 것을 제외하는 아예 먹지 않는 향신료다. 그 외에는 오리지널 레시피
우스터 소스에도 소량 들어간다. 인도나 이란, 아프가니스탄 등에서는 여전히 널리 쓰이며, 서양에서도 과거 실피움을 쓰던 레시피를 아위로 대체했기 때문에 남유럽 요리에서 사용된다.
[4]
때문에 불경의 주석서에서도 흥거는 무엇인지 알 수 없다고 기록된 경우가 많다. 자총(샬롯)의 경우도 한 번 베어내고 다시 자란 대파라는 식으로 잘못 기록된 경우가 많았다. 다만, 중국에서는 전혀 알려지지 않은 향신료까지는 아니었기 때문에 신농본초경, 본초강목에 항목이 있다. 여기서도 원산지는
파사국이라고 나온다.
[5]
리크는 대파나 양파와는 완전히 별개의 품종(Allium ampeloprasum:국명 코끼리마늘)이고, 차이브도 부추나 쪽파와는 다른 품종(Allium schoenoprasum)이다. 리크보다는 오히려 칼솟(양대파)이 오신채에서 가리키는 자총에 가깝다.
[6]
다만 이것과 맛이 똑같은 현미 채식라면은 유기농 매장에서 구할 수 있다.
[7]
가령
채식주의는 많은 경우 공장형 사육에 반대하는 주장의 일환으로 이루어진다.
[8]
淸規. 불교 승려나 도교 도사로서 지켜야 할 계율.
[9]
한때 유행한
강시선생 영화를 보면 잘 알 수 있는데, 1편 주인공
임정영이 맡은 도사의 본업은
장의사이다. 2편에서는 의원을 하고 있다.
[10]
마늘, 양파, 당근, 감자 등
[11]
이 스님은 피자를 만들 때도 피자치즈 대신 마를 쓰기도 한다.
[12]
아스파라거스목의 다른 이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