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020237> |
스타크래프트 리그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스타크래프트 | 스타크래프트 래더 토너먼트 | KPGL | KIGL | PKO | 온게임넷 스타리그 | MBC GAME 스타리그 |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 World Cyber Games | 위너스 리그 | 팀리그 | KeSPA Cup | 경남-STX컵 마스터즈 | KT-KTF 프리미어 리그 | 곰TV클래식 | iTV 랭킹전 | GhemTV 스타리그 | IEF | |
스타크래프트: 리마스터 | SOOP StarCraft League | KSL | PSL | ||
스타크래프트 2 | GSL | 온게임넷 스타리그 | SSL |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 KeSPA Cup | World Cyber Games | IEF | ||
양대 리그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fe3f9><tablebgcolor=#0fe3f9> |
LoL e스포츠 기타 국제 대회 |
1. 소개
<rowcolor=#fff> 2017 | 2018 | 2024 |
BEYOND THE GAME - WCG Main Theme | |
구 WCG 버전(록) | 신 WCG 리믹스(EDM)[1] |
WCG의 공식 주제가 'BEYOND THE GAME'. 제목인 'BEYOND THE GAME'은, 이 대회의 슬로건이다.[2]
공식 홈페이지 WCG 유튜브 채널
2000년부터 2013년까지 매년 열렸던 국가대항전 형식의 다종목 국제 e스포츠 대회이며. 2019년에 부활하여 2020년까지 열렸으나, 이후 개최 소식이 없는 상황이다. 한 팀에서 다양한 국가의 선수가 같은 팀이 되면서 국가대항전 형식의 의미도 많이 사라지게 되었다.
2013년까지는 삼성전자에서 후원하고 월드 사이버 게임즈(주)[5]에서 월드 사이버 게임즈(약칭 WCG)라는 이름으로 개최했다. 2000년 WCGC라는 이름으로 출범했고 2001년 정식 발족하면서 WCG로 이름을 바꿨다.
WCG는 'Beyond the Game'이라는 슬로건을 내건 세계 대회로, 'e스포츠계의 올림픽'이라는 별칭대로 국가대항전 형태로 진행되며, 2010년까지는 e스포츠 대회 중 가장 큰 규모 중 하나였다.[6]
ESWC와 같은 경쟁대회와는 달리 삼성전자라는 든든한 스폰서 덕에 대회 존폐여부에 대한 걱정은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었다. 그러나 삼성이 밀어준다는 이유 때문에 삼성에서 밀어주거나 국산 게임을 개최하기도 했다. 이런 게임들이 유명하면 문제가 없겠는데 하필 대부분의 게임들의 인지도가 제로인 경우가 많기 때문에 말이 좀 많은 편이다. 세계대회라기엔 내수용 타이틀에 가까운 게임들이 자주 채택되는 경우가 자주 있었다.
그리고 2012년도에 모바일 위주의 플랫폼으로 전환했다가 크게 까이고 다시 PC플랫폼으로 복귀했던 홍역을 치른 탓에 종목 숫자가 엄청 줄었다.
정기적으로 개최되는 국제 규모의 대회가 그다지 없었을 무렵 e스포츠의 발전과 저변확대를 목표로 창설된 대회지만, 당초 목적대로 e스포츠가 세계적으로 활성화되어 기타 세계대회가 많이 생겨난 이후로는 중요도나 주목도가 다소 떨어진 감이 있다. 하지만 게이머들이 개인이나 팀단위, 기업소속이 아닌 ' 국가대표'로 출전할 수 있는 유일한 대회인지라 위상만큼은 여전한 편이었다.
대회 구조는 각 참가국 대표선발전에서 입상한 국가대표들이 그랜드파이널에 출전하는 형태로서, 2007년부터는 대륙대회인 WCG Pan Championship과 Asia Championship을 런칭하여 대회의 다양성을 높였다.
2014년 WCG를 이어받아 월드 e스포츠 챔피언쉽 게임즈(약칭 WECG)이라는 이름으로 이지스 게이밍 네트워크와 GMGC에서 대회를 주최하려고 했으나, 본선이 스폰서/자금난 문제로 무기한 연기되어 끝내 열리지 못했으나, 2017년부터 스마일게이트에서 삼성전자로부터 상표권을 인수하면서 역사 속으로 사라질 뻔했던 WCG가 다시 부활하게 되었다.
우선 아무리 전 세계에서 유명한 게임이라 해도 대회 당해에 출시된 게임은 종목으로 선정될 수 없다. 이 때문에 스타크래프트 2의 경우 2010년 7월에 출시되었지만 다음해인 2011년에야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두 번째로 팬 투표에 의해 결정된다. WCG 웹사이트에서 투표를 통해 그 게임을 다음해에 정식 종목으로 체택되지만 이 경우 매년하는 것이 아닌 짦게는 1~2년 또는 몇년에 한번하는 꼴이다. 종목은 한번 체택이되면 적어도 4~5년 이상 고정되기 때문이다.
워크래프트 3: 프로즌 쓰론은 정식 종목으로 체택된 2003년 이후 10년 동안 끝까지 유지되었다. 사실 2011년도를 마지막으로 빠졌어야 했다고 한다. 2년 연장된 이유는 대회 장소가 워3가 아직도 인기를 구사하고 있는 중국이었기 때문. 어쨌든 중국 덕에 마지막 대회까지 쭉 정식 종목으로 지정된 셈이다.
세 번째는 이미 종목으로 선정된 것 중 새로운 시리즈나 확장팩으로 출시되었을 경우 다음 해에 그 게임으로 종목을 계승하게 된다. 대표적인 예로 스타크래프트 시리즈가 WCG 2011부터 스타크래프트에서 스타크래프트 2로 종목이 바뀌었고, 워크래프트 시리즈의 경우에도 워크래프트 3가 WCG 2004에서 확장팩인 프로즌 쓰론으로 바뀌었다.
2. 역사
년도 | 기간 | 개최도시 | 개최지 | 주관 방송사 | 종합 우승국 |
2000 | 10월 7일~10월 15일 | 대한민국 용인시 | 에버랜드 (WCGC) | TV 미방영 | 메달 집계 없음 |
2001 | 12월 5일~12월 9일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 코엑스 컨벤션 홀 | Gembc | 대한민국 |
2002 | 10월 28일~11월 3일 |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 엑스포과학공원 | 게임TV[7] | |
2003 | 10월 12일~10월 18일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 올림픽공원 | 독일 | |
2004 | 10월 6일~10월 10일 | 미국 샌프란시스코 | Bill Graham Civic Auditorium | 온게임넷[8] | 네덜란드 |
2005 | 11월 16일~12월 20일 | 싱가포르 선텍시티 | Suntec City Singapore | 미국 | |
2006 | 10월 18일~10월 20일 | 이탈리아 몬차[9] | 국립 몬차 자동차 경주장 | 대한민국 | |
2007 | 10월 3일~10월 7일 | 미국 시애틀 | Qwest Field Event Center | 미국 | |
2008 | 11월 5일~11월 9일 | 독일 쾰른 | Koelnmesse Hall 8 | 대한민국 | |
2009 | 11월 11일~11월 15일 | 중국 청두시 | New International Convention & Exposition Center Hall 4-6 | ||
2010 | 9월 30일~10월 3일 | 미국 로스앤젤레스 | Los Angeles Convention Center South Hall G-H | ||
2011 | 12월 8일~12월 11일 | 대한민국 부산 | 벡스코 | ||
2012 | 11월 29일~12월 2일 | 중국 쿤산 | 쿤산 컨벤션 센터 | 중국 | |
2013 | 11월 28일~12월 1일 | 쿤산 컨벤션 센터 | 대한민국 | ||
2019 | 7월 18일~7월 21일 | 중국 시안시 | 취장 국제 컨벤션 센터 | 아프리카TV[10] | 중국 |
2020 | 9월 7일~11월 8일 | 대한민국 서울, 중국 상하이시[11] | 디오라마 아레나[12] |
2.1. 폐지
2014년 2월 6일, e스포츠계를 발칵 뒤집어버린 뉴스가 전해지게 되었다. WCG는 이제 2013년 대회를 마지막으로 더 이상 개최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WCG CEO의 말 불과 얼마 전까지 WCG 2013이 성황리에 치러졌기 때문에 더더욱 갑작스러운 소식일 수밖에 없다. 세계 챔피언십 시리즈나 롤드컵 더 길게 보면 The International무엇보다 삼성전자가 WCG 자체를 처음부터 자사 홍보/마케팅만을 위한 대회로 여기고 있었으며, 설령 세계적인 e스포츠 대회로 여기고 e스포츠의 성장을 지원했다 해도 IOC 위원까지 겸임했던 이건희 회장의 건강 악화 등으로 인해 이재용 부회장,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 이서현 제일기획 사장 체제로 기업 구조가 전면 개편되면서 화학, 방위 산업 부분을 한화그룹에 매각하고, 삼성물산과 제일모직을 합병하는 등의 구조조정을 실시하는 것은 물론 그 동안 사회공헌의 일환으로 운영했던 스포츠 산업에도 철저한 기업 경영 논리를 적용하게 되어 사업 연관성이 떨어지는 스포츠단을 정리하는 등 전체적인 몸집 줄이기에 나선 이유가 결정적이다.
이후에도 삼성중공업 럭비단[14], 삼성증권 테니스단[15] 등이 해체되었으며, 서울 삼성 썬더스, 수원 삼성 블루윙즈, 용인 삼성 블루밍스, 대전 삼성 블루팡스, 삼성 라이온즈가 삼성그룹 산하 광고/마케팅 업체인 제일기획으로 모기업이 변경되어 삼성전자, 삼성생명, 삼성화재 등이 스폰서로 참가하는 방식으로 구조가 전면 개편되었고, 과거와는 달리 스포츠를 통한 사회 공헌보다는 체계적인 기업 홍보와 마케팅, 수입 창출 쪽에 더 무게를 두기 시작했다고 볼 수 있다.[16]
실제로 그동안 투자가 계속 줄었고, 모바일대회는 ‘보는 스포츠’로서 매력이 아직은 부족하며, 무엇보다 온라인·콘솔게임에 비해 생명력이 짧아 대륙별 예선을 치르다 보면 그랜드파이널이 열리기도 전에 게임의 인기가 시들해져 사라지는 경우가 있을 정도였다고 이수은 대표가 직접 밝혔다.
다만 2015년부터 OGN 쪽에서 베인글로리, 클래시 오브 클랜 등 모바일 게임의 e스포츠화를 시도하고 있긴 하나 실적 악화를 겪었던 삼성전자로서는 모바일 게임 대회가 흥행할 때까지 마냥 기다려 줄 수는 없는 노릇. 하지만 삼성이 다른 곳에 쓰는 마케팅 비용보다 적은 돈으로 마케팅을 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 WCG였고, 중국에서의 흥행 성적도 좋았는데도 삼성전자가 손을 뗀 이유에 대해선 이수은 대표 본인도 모르는 듯. #
올해 World Cyber Games Inc.에서는 WCG 파이널을 포함한 어떤 대회도 열지 않을 것입니다. 따라서, 이 시점부터 각 파트너는 WCG라는 이름을 각 나라에서 쓸 수 있습니다.[17] WCG 위원회에서는 국제적인 트렌드와 사업환경을 고려하여 이렇게 결정하였습니다. (This year, World Cyber Games Inc. will not organize tournaments and events, including the World Cyber Games finals world. Accordingly, each partner can use brand WCG in your country from this point. This decision was made by the WCG committee after considering the current global trend as well as the business environment.)
이 소식이 여러분들에게 놀라운 뉴스라는 것을 우리는 알고 있으며, WCG의 스태프 전원도 놀랐습니다. (This is a shocking news to you, we know, the entire staff of the WCG was surprised.)
지난 14년간, 여러분 모두가 WCG를 최고의 대회로 만들기 위해 노력했고 그 결과 세계에서 가장 큰 대회가 되었습니다.(In 14 years, all you have to do what makes the best WCG become the greatest events in the world.)
여러분의 헌신으로 많은 최고의 순간들이 있었습니다. 브랜드는 사라지지만, WCG 정신은 게이머들과 팬에게 영원히 기억될 것입니다. (There are many great moments based on your dedication. Although the brand has disappeared but WCG spirit will remain forever in the hearts of each player and fans.)
이 순간은 저에게 몹시 어렵고 고통스럽지만, 저는 WCG에게 작별을 고해야만 합니다.(This moment is very difficult and painful for me. However, I must say goodbye to the WCG.)
여러분의 14년 간의 열정과 열광에 감사드립니다.(I appreciate the passion and enthusiasm of you in 14 years.)
여러분들의 사업이 성장하고 번영하길 바라며, 우리가 곧 다시 만날수 있길 바랍니다.(I hope your company will grow, prosper, and we will soon meet again.)
브래드 리(Brad Lee)(이수은 대표)
World Cyber Games Inc. CEO.
이 소식이 여러분들에게 놀라운 뉴스라는 것을 우리는 알고 있으며, WCG의 스태프 전원도 놀랐습니다. (This is a shocking news to you, we know, the entire staff of the WCG was surprised.)
지난 14년간, 여러분 모두가 WCG를 최고의 대회로 만들기 위해 노력했고 그 결과 세계에서 가장 큰 대회가 되었습니다.(In 14 years, all you have to do what makes the best WCG become the greatest events in the world.)
여러분의 헌신으로 많은 최고의 순간들이 있었습니다. 브랜드는 사라지지만, WCG 정신은 게이머들과 팬에게 영원히 기억될 것입니다. (There are many great moments based on your dedication. Although the brand has disappeared but WCG spirit will remain forever in the hearts of each player and fans.)
이 순간은 저에게 몹시 어렵고 고통스럽지만, 저는 WCG에게 작별을 고해야만 합니다.(This moment is very difficult and painful for me. However, I must say goodbye to the WCG.)
여러분의 14년 간의 열정과 열광에 감사드립니다.(I appreciate the passion and enthusiasm of you in 14 years.)
여러분들의 사업이 성장하고 번영하길 바라며, 우리가 곧 다시 만날수 있길 바랍니다.(I hope your company will grow, prosper, and we will soon meet again.)
브래드 리(Brad Lee)(이수은 대표)
World Cyber Games Inc. CEO.
이후 데일리e스포츠에서는
사실 문화부에서는 WCG를 통해 한국을 e스포츠의 종주국으로 격상시키고, 세계에 e스포츠를 알리고자 하는 의도로 2000년부터 2007년까지 문화부에서 총 35억원의 국고 지원을 해주었지만, 2008년부터 삼성 잔치에 돈을 대 준다는 여론 속에 지원이 중단되었고 WCG는 삼성전자의 자회사로 넘어간 상황이었다. WCG가 삼성전자의 자회사인 이상 대회 존속/폐지 결정은 삼성전자의 선택에 달려있었지만, 결정적인 문제점은 대회가 성장하는 데 국민의 세금이 들어갔었다는 것이다. 하지만 실제로 문화부가 지원해준 35억은 2000~2006년, 총 6년동안 지원해준 금액이다. 그 이후로는 문화부에서 지원받은 금액은 한 푼도 없었고, 사실상 남은 7년여동안 삼성전자는 적자를 보면서 WCG를 개최해 준 것이다. 해당 기사의 댓글도 기레기의 악질적인 제목낚시라는 반응이 지배적.
폐지 이후 한국e스포츠협회 등 여러 지원을 해 주었던 e스포츠계와 별다른 상의도 없이 자사 수익성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이유로 대회를 독단적으로 중단한 것에 대해 한동안 e스포츠 관계자들의 비판의 목소리가 데일리e스포츠 뉴스를 통해 이어졌다. # 그리고 2000년 창단되어 18년 가까이 존속해 온 삼성 갤럭시 프로게임단도 2016년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폐지와 함께 스타크래프트 2 팀의 운영을 종료한 것을 시작으로[18] 2017년을 끝으로 롤드컵에서 우승을 차지한 리그 오브 레전드 팀도 KSV Esports(현 Gen.G Esports)로 매각하면서 삼성전자는 e스포츠와 완전히 결별하게 되었다.
2.2. 부활
이렇게 WCG가 막을 내린 뒤 WCG 운영총괄책임자였던 전명수 대표는 WCG 운영팀 산하 일부의 직원들과 함께 이지스게이밍네트웍스(이하 AGN)를 창립한 뒤, 사실상 WCG를 계승하는 세계적 게임대회인 WECG를 출범했다. 링크 WECG는 기존의 WCG와는 달리 4개 대륙의 도시 4개씩을 선정해 그 도시에서 1년에 4번씩 돌아가며 총 4년간 대회를 여는 방식이며, 5, 8, 10월에는 글로벌 챌린지를, 12월에는 그랜드파이널을 치르는 도시 순회 진행 모델을 채택했다.전명수 대표는 WECG를 국제e스포츠연맹과의 공조를 통해 WCG를 대체할 세계대회로 성장시키는 것은 물론 PC와 모바일, 콘솔 게임 등을 아우르는 대회로 만들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그 증거로 해당 대회의 메달리스트 3명[19]과 2014 케스파 컵 우승자, 총 4명에게 WECG 대표 선발전의 시드를 부여하여 커리어의 연장을 증명한 것.
하지만 2015년 1월 14일 14시에 발표된 내용에 따르면, 스폰서와 개최날짜 문제로 개최지를 중국에서 서울로 교체했으나, 이 또한 열리지 못하고 개최를 무기한 연기하게 되었다. 14/15시즌 그랜드파이널은 그대로 취소, 상황에 따라서는 WECG라는 대회 자체가 개최도 못하고 사라질 수도 있다. 기사 대회 개최가 무기한 연기된 지 1개월이 지난 2015년 2월 이후 그 어디에서도 WECG와 관련된 소식을 찾아볼 수 없다. 공식 홈페이지 역시 사이트의 서비스 기간이 만료되었다는 내용만 남아있는 것으로 보아 개최도 못하고 완전히 없어진 것으로 보이므로 흑역사 확정.
이 이유로는 결정적으로 WECG의 입지 문제가 제일 크게 작용했다고 보는 사람이 많다. 우선 2010년 이후로 월드 챔피언십 시리즈,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더 인터네셔널 등 게임사가 직접 주최하는 WCG급 이상의 세계대회가 여럿 출범했으며, 다양한 종목을 다루는 WCG와는 달리 이 대회들처럼 단일 종목이나 인기 있는 2~4개 정도의 종목으로 대회를 치르는 것이 대세로 자리잡았다. 또한 과거와는 달리 e스포츠가 다국적화되어 세계 각지로 뻗어가면서 이러한 대회에 출전하는 팀만 봐도 국내와 중국을 제외하면 대부분 다국적팀이거나, 한국 선수들이 해외 팀 소속으로 활동하는 경우도 더욱 늘어나 국가대항전이라는 의미가 상당 부분 사라지고 국가가 아닌 지역을 대표하는 자들이 대결하는 클럽 대항전 성격이 더 강해져, WCG의 입지는 점차 쇠퇴할 수밖에 없었다.
게다가 WCG가 사라진 직후 중국에서는 워크래프트 3, 도타 2와 하스스톤,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 등을 정식 종목으로 하는 전 WCG 이수은 대표가 인촨 시와 협력하여 개최하는 월드 사이버 아레나(WCA)가 새로 생겨나 WECG보다 더 먼저 입지를 다지면서 실질적인 WCG의 대체제 역할을 하게 되어 더 이상 중국에서 WECG가 있을 이유가 없어졌으며, 개최지를 중국이 아닌 다른 나라로 옮긴다 해도 이 역시 e스포츠의 저변 확대 및 정식 스포츠화를 목표로 하는 WCG보다 더 영향력 있는 단체인 국제 e스포츠 연맹에서 주최하는 스타크래프트 2, 리그 오브 레전드, 하스스톤 등을 주 종목으로 하는 국가대항전인 IeSF 월드 챔피언십, 2016년부터 알리바바가 출범한 World Electronic Sports Games가 WCG의 자리를 완벽하게 대체하게 되어 WECG가 설 자리는 더더욱 없어질 수밖에 없었다.
정리하자면 삼성전자가 WCG를 폐지한 것은 자사의 경영전략이 변경된 것은 물론이고 게임사, 국제 연맹이 직접 주최하는 WCG보다 더 권위있는 대회가 2003년 이후로 여럿 출범하면서 세계적인 e스포츠 대회로서의 가치가 굉장히 떨어지게 되어 더 이상 자사의 수익이나 마케팅적인 면에서도 도움이 되지 않게 되었기 때문이다.
비록 WCG의 전통을 이어간다는 의도는 좋았을 지 몰라도 국제 e스포츠 연맹에서 e스포츠의 정식 스포츠화/저변 확대를 취지로 개최하는 IeSF 월드 챔피언십이나 게임사의 마케팅/적극적인 지원이 이루어지는 WCS, 롤드컵, TI 등과는 달리 WCG를 계승한다는 취지 외에 확고한 비전을 제시하지 못하면서 2010년 이후로 달라진 e스포츠계의 흐름을 따라가지 못한 것이 WECG의 패착이었던 것이다.
그리고 시간이 흘러 2017년 3월 29일, WCG가 부활한다는 이야기가 나오기 시작했다. 한국의 게임 개발사 스마일게이트가[20] 삼성전자로부터 WCG에 대한 모든 권한을 인수했다는 보도가 나온 것이다. 또한 이번에는 e-sports 대회를 넘어 경기장을 방문한 사람들도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영역을 확대할 것이라고 한다. 이에 대해 팬들은 설렘 반 걱정 반인 상황이다.
최강을 자랑했던 대한민국의 e스포츠 위상을 다시 떨칠 수 있는 기회이기도 하지만, 게임 개발사에서 운영하게 되는 만큼 당사의 게임을 종목으로 밀어줘 종목 채택의 형평성에 어긋날 수도 있기 때문.[21] 그리고 2017년 11월 7일, WCG 2018을 태국 방콕에서 2018년 4월 26~29일간 개최한다고 발표했다. 동시에 새로운 로고를 공개했지만 지금까지도 재개하지 않은 걸로 보아 무산된 것으로 보인다.
그러다가 2018년 9월, 중국 시안에서 2019년 7월 18일부터 7월 21일까지 개최한다고 다시 발표했다. 후속 기사에 따르면 당초 태국에서 치르려던 대회는 초청전 형식이었지만 정식 국가별, 지역별 예선을 거쳐 선수를 선발해야 한다는 피드백을 요청받아 수용했었다고.
만약 부활시 채택될 종목들로는 스타크래프트나 워크래프트 3가 있지만 2019년이라는 시간을 감안하면 모두 리마 스터가 출시가 된 시기다.
결국 정식 종목으로 워크래프트 3, 하스스톤, 클래시 로얄, 왕자영요, 도타 2, 크로스파이어가 선정되었는데, 텐센트와 스마일게이트 자사 게임 홍보 목적이 노골적이고 중국에서 인기 있는 게임 위주로 치우친 탓에 문제가 많다.[22] 체계적이고 게임성이 뛰어난 종목은 애초에 우선순위가 아닌 게 대놓고 드러난다. 삼성전자가 주관하던 시기에도 규모는 세계적이지만 너무 한국만 따진 종목으로 운영하는 게 문제였는데 그게 더 심각해졌다.[23] 초청대회로 기획중이던 스타크래프트2 종목은 총상금 5만달러 규모로 진행되며 4인 초청대회로 기획중이던 스타크래프트2 종목은 총상금 5만달러 규모로 진행되며 4인 초청 명단이 확정되었다.
2019년 4월, 삼성전자가 다시 후원사로 참여한다고 발표했다.
2020년 코로나19로 인해 전반적으로 침체된 e스포츠 시장속에서도 온라인, 초청전 형식으로 2020년 11월 5일부터 11월 8일까지 WCG 2020 그랜드 파이널이 진행하였으며, 2년 연속 개최된 것으로 보아 앞선 WECG의 사례와는 달리, 스마일게이트에 힘입어 부활에 성공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MBC에서 2020년 11월 11일 밤 12시 15분[24]에 WCG 2020 그랜드 파이널을 녹화중계하였다.
2.3. 개편 (2022~)
2022년 1월 5일 빅픽처인터렉티브가 스마일게이트로부터 WCG의 지분 100%를 인수하였다.이후 역사는 개편 이후 문서 참고.
3. 역대 한국 대표 선수단
WCGC 2000 (16명) FIFA 2000 - 이로수(동메달), 조백규, 박진형(은메달), 이지훈(금메달) 퀘이크 3 - 박형재, 전명호, 박유민, 강성철 스타크래프트 - 박태민(금메달), 창석준, 장일석(은메달)[25], 박상규[26]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 - 이재백(동메달), 정명진(금메달), 안서용, 김영주 |
WCG 2001 (23명)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 - 안서용, 강병건(은메달)[27], 정명진, 이재백 FIFA 2001 - 김두형(금메달)[28], 이지훈[29], 구봉민, 이혜성 카운터 스트라이크 - 1vs1_kr (안수영, 김연수, 최진규, 유군식, 송상현) 퀘이크 3 - 심원직, 김선욱, 이원용 스타크래프트 - 임요환(금메달), 조정현, 최수범, 박태민(동메달) 언리얼 토너먼트 - 이우진, 김효봉, 김성우(동메달) |
최초의 WCG 대회, 지금도 명예의 전당에 올라와 있는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의 강병건이 지금도 회자될 정도다. 박태민 전 해설이 이 대회를 최초로 프로게이머 데뷔를 했으며 학업사정으로 인해 쉬게 되었다. 이 대회에서 임요환은 불가리아 선수와 엄청난 장기전을 한 끝에 결승전에 올랐고 결승전에서 베르트랑을 만나 핵을 날리면서 금메달을 거머쥐었다. 게다가 임요환은 무패로 우승을 달성했다. 이 불가리아 선수는 이후 중국 선수와 4위를 가지고 경쟁했으나 끝내 패배하면서 패배의 분을 이기지 못하고 키보드를 땅바닥에 내려쳤다.
WCG 2002 (16명) FIFA Football 2002 - 김두형(은메달), 황상우(금메달), 정기현, 우기홍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 - 안서용 카운터 스트라이크 - 1vs1_kr (최진규, 유군식, 한송묵, 이건영, 임철순) 퀘이크 3 - 심원직 스타크래프트 - 임요환(금메달), 홍진호(은메달), 한웅렬, 박경락 언리얼 토너먼트 - 조현영 |
임요환이 스타크래프트 2연패를 달성한 대회, 홍진호는 여기서도 콩라인이 되었다.
WCG 2003 (21명) 에이지 오브 미쏠로지 - 강병건 FIFA Football 2003 - 최대한(동메달), 이지훈 카운터 스트라이크 - MaveN-Crew (최범호, 정창규, 정희상[30] , 조범준, 오정탁) 헤일로 2 - 최윤호 스타크래프트 - 나도현, 강도경, 이XX(금메달)[31] 언리얼 토너먼트 - 진장연, 한동수 워크래프트 3 - 강윤석, 곽대영, 이형주 서바이벌 프로젝트 (시범종목) - 김기영, 현선문, 함기민, 김지민 |
워크래프트 3가 최초로 채택된 대회였으며 메달 입상엔 실패했다. 이 대회부터 스타크래프트 부문 그랜드파이널 대표 선발이 4명에서 3명으로 줄어들어 대표 선발전 3위 결정전이 결승전보다 더 중요해졌으며, 스타크래프트 금메달을 딴 이용범은 잠시 유명해진 뒤 팀 생활 부적응 등으로 은퇴했고 이후엔 절도 행위라는 불미스러운 사건으로 흑역사가 되었다.
WCG 2004 (25명) 카운터 스트라이크: 컨디션 제로 - MaveN-Crew (조범준, 최범호, 정창규, 정준곤, 오정탁)(동메달) FIFA Football 2004 - 최대한(금메달), 전경운 헤일로 2 - 오정환, 최윤호 니드 포 스피드 - 유명춘(은메달), 박상훈 프로젝트 고담 레이싱 - 류석훈, 박태진 스타크래프트 - 서지훈(금메달), 전상욱(은메달), 이재훈 언리얼 토너먼트 - 진장연, 이우진 워크래프트 3 - 장재호, 황태민(은메달), 장용석 팡야 (시범종목) - 김형준, 손동준, 이두환, 안현우 |
최초로 대한민국이 아닌 곳에서 열린 대회, 이 대회에선 지금도 비온뒤 게임이라고 불리는 명곡, Beyond the game이 공식 주제가로 채택되었다. 서지훈은 2001년의 임요환에 이어 사상 두 번째로 전승으로 금메달을 목에 걸었고, 장재호가 처음 출전한 대회였으며 황태민이 은메달을 차지했다. 카운터 스트라이크 메이븐크루팀이 명경기를 연출하며 3,4위전에서 SK 게이밍을 꺾고 동메달을 차지한 것으로 소속 멤버들이 KeSPA의 공식 프로게이머 자격을 받았다. 후에 세계 카스 역사상 영원한 전설로 남은 Lunatic-Hai가 된다.
또한 스타크래프트 부문 한정으로 국내 예선전에서 온라인 예선 어뷰징 사건이 일어나는 큰 논란이 벌어지게 되었다.
WCG 2005 (27명) 카운터 스트라이크: 소스 - MaveN-Crew (정희상, 박진희, 김한성, 신덕규, 강현호) 데드 오어 얼라이브 얼티메이트 - 이두희, 한동헌(동메달) FIFA Football 2005 - 김성재, 박윤서 헤일로 2 - ZARD (안정인, 조한성) 니드 포 스피드 - 유명춘 스타크래프트 - 이재훈(금메달), 서지훈, 나도현 워크래프트 3 - 조대희, 봉석호, 이성덕 Warhammer 40,000: Dawn of War - 권형중, 류경현(금메달) 캐롬3D (시범종목)[32] - 안윤현 프리스타일(시범종목) - BOXOUT (송상엽, 유빈, 김충희), 사마사마(송형권, 정용, 장주역) |
유명한 나도현의 SCV 삼바사건이 나온 대회, 나도현에겐 이 대회 자체가 흑역사로 그는 이 대회에서 패배뿐만 아니라 여자친구와 숙소에 동행했다는 루머에 휘말려 엄청나게 곤혹을 치렀고 이후 개인리그와 프로리그 양쪽에서 모두 큰 활약상을 남기지 못할 정도로 제대로 몰락했다. 반면 이재훈은 평소 방송경기에 약한 이미지와는 다르게 이 대회에서 프로토스 최초로 금메달을 차지하면서 개인리그와의 악연을 어느 정도 지웠다.
WCG 2006 (16명) 데드 오어 얼라이브 4 - 한동헌 FIFA 06 - 박윤서, 김두형 카운터 스트라이크 - Hacker.PK (박진희, 이성재, 류영환, 강근철, 편선호) 니드 포 스피드 - 유명춘 프로젝트 고담 레이싱 - 강석영 스타크래프트 - 최연성(금메달), 박성준(은메달), 전상욱(동메달) 워크래프트 3 - 이성덕, 김동문 Warhammer 40,000: Dawn of War - 류경현(금메달)[33] |
사상 처음으로 대한민국이 스타크래프트의 메달을 독식한 대회며 FIFA 게이머 박윤서가 이 대회에서 명성을 얻어 삼성전자 칸에서 스폰서를 받게 되었다.
WCG 2007 (20명)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3 - 강병건(금메달) C&C3 - 이원준 카운터 스트라이크 - eSTRO (이성재, 손현진, 박진희, 강근철, 편선호) 데드 오어 얼라이브 4 - 백용현 FIFA 07 - 강동현, 김정민 기어스 오브 워 - RedForces (강문성, 최철영, 안동호, 송운혁) 스타크래프트 - 송병구(금메달), 마XX, 진XX 워크래프트 3 - 장재호(동메달), 박준, 이성덕 |
강병건 선수가 오랜만에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3에 나와 금메달을 거머쥐었다. 이 대회 이후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3가 알려져 MBC GAME은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3 리그를 잠시 런칭했다.
WCG 2008 (26명)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3 - 강병건(은메달) 아스팔트 4 - 이원준 캐롬3D - 구명진(금메달) C&C3 - 정대희 FIFA 08 - 김정민, 김관형 기타 히어로 - 한규환 카운터 스트라이크 - eSTRO ( 편선호, 강근철, 정수영(e스포츠), 이성재, 박진희)(동메달) 헤일로 3 - getfree (김윤한, 유동규, 조한성, 권한솔) 프로젝트 고담 레이싱 - 류석훈 붉은보석 - Comeonbaby (강기표, 김승률)(금메달) 스타크래프트 - 박XX(금메달), 송병구(은메달), 이제동 버추어 파이터 5 - 임원희 워크래프트 3 - 장재호(은메달), 장두섭, 엄효섭 |
계속된 워3 부분의 콩의 딜레마가 계속된 대회, 이때 스타크래프트 경기 해설은 편파급 해설로 논란이 된 바 있다. 또한 이 대회 스타크래프트 부분에서 금메달을 목에 건 박모씨는 이후 2년 후에 흑역사가 되어버린다.
WCG 2009 (26명) 아스팔트 4 - 이원준(동메달) 캐롬3D - 김희철(금메달) 카운터 스트라이크 - esq.Wind (정범기, 박종현, 정수영, 오재균, 박지훈) FIFA 09 - 이원국, 김관형 붉은보석 - Comeonbaby (강기표, 김승률, 송성민, 김태석)(금메달) 스타크래프트 - 이제동(금메달), 송병구(은메달), 김택용(동메달) 트랙매니아 - 김규창 버추어 파이터 5 - 신의욱(은메달), 김대환(동메달) 워크래프트 3 - 장재호, 박준(동메달), 장두섭 와이즈 스타 - 오정환 던전앤파이터 (프로모션 종목) - 정종민(금메달), 이제명(동메달), 임석훈 |
3년 만에 스타크래프트 메달 독식이 일어난 대회, 이후 대한민국은 스타크래프트 1이 WCG에서 치러질 때까지 메달 독식을 했다. 또한 이제동은 2009년 스타리그 2회 연속 우승에 이어 WCG에서도 마침내 금메달을 차지하고 이후 다음 해 초 NATE MSL에서도 우승을 차지하면서 2009년을 완전히 자신의 해로 만든다.
WCG 2010 (26명)[34] 아스팔트 5 - 이원준 (은메달) 워크래프트 3 - 김성식(금메달)[35], 박준(동메달), 엄효섭 스타크래프트[36] - 이영호(금메달), 김구현(은메달), 이제동(동메달) FIFA 10 - 황상우, 강성훈 카운터 스트라이크 - 위메이드 폭스 ( 강근철, 편선호, 이성재, 김민수, 정범기) 캐롬 3D - 김희철 (동메달) 철권 6 - 배재민(금메달), 문창빈 로스트사가 (프로모션 종목) - Akatsuki(금메달) 퀘이크워즈 온라인 (프로모션 종목) - ET(은메달) |
한국 대표팀의 역대급 성공으로 기억되는 대회. 무려 워크래프트 3에서 계속되었던 노골드가 이 대회에서 최초로 깨졌으며, 철권이 대한민국에서 e스포츠의 가능성을 보았던 대회였다. 마지막 스타크래프트1 경기가 열렸던 대회였다. 특히 이 대회 한국대표선발전 결승전과 그랜드 파이널 4강에서 펼쳐진 리쌍록 경기는 역대급 리쌍록 다전제 명승부로 평가받는다.[37]
또한 이영호는 2010년 양대리그 3회 연속 동시 결승 진출 기록, 양대리그 동시 우승, 스타리그 2회 우승, 1회 준우승, MSL 2회 우승, 1회 준우승, 소속팀 kt 롤스터의 창단 후 첫 프로리그, 위너스 리그 우승, 프로리그 다승왕, 정규시즌 MVP, 결승전 MVP, 위너스 리그 결승전 MVP까지 수상한데 이어 WCG마저 제패하는데 성공하면서 2010년을 완전히 자신의 해로 만들었다.
WCG 2011 (43명)[38] 워크래프트 3[39] - 장재호, 박준(금메달) 스타크래프트 2 - 정종현(금메달), 이정훈, 김영진. 철권 6 - 김현진(동메달), 안성국(은메달) 리그 오브 레전드 - EDG ( 윤하운, 김남훈, 김대웅, 강한울, 이우석) 카운터 스트라이크 - Project_kr ( 편선호, 김성훈, 정상명, 박진희, 박민석)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 Kimchi Man (신종문, 박창규, 윤승택)(은메달), OMG (정지환, 정진용, 오정민)(금메달) FIFA 11 - 정원준 크로스파이어 - Vs. (오주강, 박종원, 유군, 신대환, 이주목) 스페셜 포스 - AnnuL (현장, 나승규, 김성은, 홍성우, 남홍우)(금메달) 아스팔트 6 (모바일 게임) - 이원준 던전앤파이터 (프로모션 종목) 개인전 - 정상천(금메달), 최재형(동메달) / 단체전 - 드림팀 (이진성, 김성준, 장재원)(금메달) 로스트사가 (프로모션 종목) - 마왕빛소금 (선준영, 김선우, 이진석)(금메달) |
오랜만에 대한민국에서 열린 대회, 당시 저작권 분쟁으로 국내 케이블 게임방송에서 방송되지 않았던 스타크래프트 2가 온게임넷을 통해 최초로 국가대표 선발전과 본선이 개최되고 방영되었다.[40] 오랜만에 한국에서 열린지라 온게임넷과 KeSPA는 당시 진행중이었던 프로리그 대회를 WCG 대회장 현장에서 진행, 중계했다. 지난 대회 첫 금메달을 거머쥔 워크래프트 3에서 박준이 또 다시 연속으로 금메달을 따냈으며, 리그 오브 레전드가 국내에서 소개되면서 화제가 되었다.
WCG 2012 (29명)[41][42] 도타 2 - dcdota ( 권평, 김정기, 서동용, 이준영, 정재영) 스타크래프트 2: 자유의 날개 - 최용화, 이정훈, 원이삭(금메달) 워크래프트 3 - 박준, 김성식, 장재호 FIFA 12 - 강성훈 도타 올스타즈 (프로모션 종목) - BBJ (양성현, 표노아[43], 김병훈, 김상호, 한정훈) 월드 오브 탱크 (프로모션 종목) - ROKA (권웅비, 박현일, 박성준, 송준협, 이경구, 조정흠, 이완선 (예비: 김남준)) 카운터 스트라이크 온라인 (프로모션 종목) - 하이디어 (박정현, 김강민, 주현준, 최원석, 김성훈) |
개최전부터 말이 많았던 대회로 이때는 모바일 플랫폼으로 대회가 진행된다는 루머가 있었으나 국내외의 큰 반발로 취소되었다. 하지만 덕분에 대회의 규모가 좀 줄어들었다. 대한민국의 최저 성적이 나왔지만 그래도 2위를 기록했다.
WCG 2013 스타크래프트 2: 군단의 심장 - 원이삭(동메달), 김정훈(은메달), 김민철(금메달) 리그 오브 레전드 : CJ BLAZE - ( 이호종, 강경민, 강찬용, 김진현, 함장식)(금메달)[45] 워크래프트 3[46] : 장재호(은메달)[47], 엄효섭(동메달), 노재욱 슈퍼 스트리트 파이터 4 아케이드 에디션 : 이선우 월드 오브 탱크 : ARETE - (강정모, 송준협, 지완선, 이준수, 최민수, 신남희, 엄성훈) 크로스파이어 : HIDDEN - (김동환, 박제영, 이진성, 차동민, 허재윤) FIFA 14 : 박동석 |
최초로 한 도시에서 2연속으로 개최하는 대회로 이 대회를 끝으로 워크래프트 3는 WCG 종목에서 빠질 계획이었다. 그래서인지 WCG2013에서는 결승전 직후 'Goodbye Warcraft3'라는 워크래프트 3의 송별식을 열어주기도 하고 마이크 모하임도 동영상을 통해 송별사를 보내고, 우승자에게는 서리한 모양의 트로피가 주어졌다. 가히 워크래프트 3 판 티빙 스타리그라고 볼 수 있을 정도, 결국 장회장은 마지막 대회까지 WCG 우승을 커리어에 추가하지 못했으며, 중계를 맡은 정소림 캐스터와 오성균 해설은 오열했다. WCG 뒷이야기[48] 2 [49]
이 대회에서 다시 리그 오브 레전드가 채택되었고 CJ블레이즈가 금메달을 차지하며 장재호의 한을 풀었다. 워크래프트3에 이어서 열린데다가 결승 상대가 역시 중국 팀이어서 그랬는지, 전용준 캐스터와 김동준 해설은 중계 내내 장재호를 언급하며 그의 한을 풀어야 한다고 중계 내내 언급했고 결국 금메달을 차지한다.
그리고 드디어 스타크래프트2가 정식 종목으로 채택된 이후 최초이자 유일하게 한국 선수들이 종목 메달을 독식하게 되었다. 덕분에 드림핵을 위해 이 대회를 포기한 이신형만 아쉽게 되었고,[51] 결국 이신형은 드림핵도 4위로 마무리되면서 조롱거리가 되나 싶었지만 장재호의 분전으로 묻혔다.
경기 외적으로 이 대회는 대한민국의 오랜만의 왕좌 탈환뿐만 아니라 일본의 첫 PC 게임 진출로도 화제를 불러일으켰다. 일본은 지난 대회 스타크래프트 2를 시작으로 이번에는 리그 오브 레전드에서도 대표를 보냈으며, 슈퍼 스트리트 파이터 4 아케이드 에디션에서 PC게임 사상 첫 금메달을 배출해내며 대회 3위에 랭크되는 기염을 토했다.
스타크래프트 2: 군단의 심장 - 김대엽, 김준호, 김정훈 도타 2 - MVP Phoenix( 박태원, 이상돈, 김선엽, 이준영, 이승곤), PokerFace(오성현[52], 강태영, 표노아, 김성훈, 박용규) 울트라 스트리트 파이터 4 - 이선우 하스스톤 - 박종철, 공혁준[53], 김정수 |
상술한 것처럼 이 대회는 정식 개최로 이어지지 못했다.
WCG 2019 게임스포츠 워크래프트 3 - 장재호(동메달), 조주연 스타크래프트 2(초청 종목) - 조성주(금메달) 뉴호라이즌 Final Assault - 정태준(동메달) AI 마스터스 - 김태영(금메달), 김우준, 최규진, 이경현, 김영민, 함은총, 남경재, 황예원, 창준원, 이동현 |
워3 한국대표로 조주연이 선발되는 과정에서 잡음이 있었다. 노재욱과의 4강전에서 이겨 한국대표가 되었지만 넷이즈로 2개세트 경기를 진행한 것이 문제가 되어 실격처리 된 것. 결국 기존 실격을 번복하고 4강 재경기를 한 결과 조주연이 다시 선발되었다. 30일 넥슨 아레나에서 열린 권역결선까지 진출한 두 선수는 조주연이 1위, 장재호가 2위를 확정지으며 시안행 티켓 확보에 성공했다.
시안에서 진행된 본선 조별리그에서는 조주연이 조별리그에서 탈락했고 장재호는 가까스로 2위로 4강 진출에 성공, 후앙시앙을 만나며 2013년 마지막 W3 결승전을 재현할 무대가 마련된다. 그러나 TH000이 2:0으로 장재호를 격파하며 장회장을 동메달 결정전으로 보내버렸고 HawK를 잡아낸 끝에 동메달로 대회를 마무리했다.
결승전은 중국내전으로 Infi와 TH000의 대결이 성사됐고 Infi가 2번째 WCG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도타2 한국대표 두 팀은 4월 28일에 진행된 권역별 예선에서 떨어졌다고 한다.
왕자영요와 크로스파이어의 경우 초청종목이므로 스마일게이트가 별도의 절차를 진행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두 게임 모두 한국은 초청하지 않으면서 해당 종목에서 한국대표가 출전할 일은 없게 되었다.
하스스톤 한국대표 두 명은 5월 28일 넥슨 아레나에서 진행된 결선에서 좋지 못한 성적을 거둬 본선진출이 좌절되었으며 클래시 로얄 한국대표 ztephan은 30일에 개최된 결선의 최종 타이브레이커에서 석패하면서 다잡은 티켓을 놓쳤다. 타이브레이커에 진출한 두 선수 중 한 사람만이라도 마지막 정규라운드에서 졌다면 손에 쥐었을 티켓이라 아쉬움이 몇 배가 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한편 얼떨결에 VR 시범종목의 파이널어설트 국가대표가 된 정태준은 승자전 1차에서 패자전으로 떨어졌지만, 패자조를 차근차근 밟고 올라오며 동메달을 목에 거는데 성공했다.
4인 초청 이벤트전으로 기획된 스타크래프트 2 종목에서는 조성주가 우승을 차지한다.
WCG 2020 connected 워크래프트 3 - 장재호(개인전 은메달/단체전 금메달), 조주연(단체전 은메달), 박준(단체전 은메달), 엄효섭(단체전 금메달), 문채영, 전진환, 노재욱, 정호욱 왕자영요 피파 온라인 4 - Spring( 안태은, 이병규, 김정민, 곽준혁)(동메달), Winter( 한승엽, 김소현, 변우진, 정재영) 크로스파이어 |
당초 예정대로라면 전년도와 비슷한 규모로 개최하려했으나, 코로나19로 인해 온라인 대회로, 온라인이라는 특성상 온라인 인프라 등의 문제 등을 감안해 한국과 중국 2개국만 참가하는 식으로 축소 개최된다.
또한 각 종목별로 참가자 선발 방식도 달라서 워크래프트는 양국에서 각 국가를 대표해 참가하는 개인전과 국가 구분없이 3명이 한팀으로 참가하는 단체전을 치른다. 크로스파이어는 중국의 크로스파이어 프로리그(CFS)에 참가하는 팀 4개만 참가하며, 피파 온라인은 프로인 김정민과 유명 스트리머인 두치와뿌꾸, 위 캔 게임을 통해 선발된 아마추어 선수들이 참가한다. 또한 왕자영요는 전국의 아마추어 선수들이 참가해 10월 20일 기준 이미 국가대표 선발전을 끝낸 상태다.
응원 역시 관람객들이 현장에 오지 못하기에, 양 국가의 응원단 100명을 선발해 화상통화로 응원하며, 그 응원하는 모습이 양 국가의 경기장에서 전광판으로 공개된다. 관련 기사
4. 성적
종목 중 스타크래프트 시리즈의 경우 박태민이 우승한 2000년 WCGC 이래로 13년 동안 한국이 왕좌를 빼앗긴 적이 단 한번도 없었다. 각 조별 1위는그렇지만 세계대회라는 강렬한 어감, 그리고 2005년까진 공식전에 포함되어 있었기에 준메이저로 쳐줘서 어지간한 이벤트 대회보단 위상이 높다. 2005년도 우승자 이재훈도 양대 개인리그에서는 두각을 드러내지 못했지만 수상 경력에서 WCG 금메달은 꼭 언급될 정도. 스타크래프트 2로 전환된 2011년 이후에도 정종현, 원이삭, 김민철이 금메달을 목에 걸면서 그 자존심과 전통을 이어갔다. 특히 WCG 2006, WCG 2009, WCG 2010, WCG 2013 대회에서는 한국 선수 3명 모두 스타크래프트 부분에서 금/은/동을 독식했다. 이쯤되면 정말 괴물.
가장 특이한 점 중 하나는 임요환, 최연성, 이영호와 함께 역대 테란 본좌로 불리고 서지훈과 함께 임이최서의 일원이자 온게임넷 스타리그, MBC GAME 스타리그, GhemTV 스타리그, iTV 랭킹전, KT-KTF 프리미어 리그에서 모두 우승한 적이 있고, 거기에 팀 단위 대회인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우승 경력과 다승왕 경력도 있는 테란 본좌 중 가장 우승 커리어가 높은 이윤열이 유일하게 우승을 못 해봤다. 후술될 워크래프트 3의 장재호조차도 이윤열에 비하면 덜 아쉬울 정도로 이윤열은 그랜드파이널에 단 한 번도 진출하지 못했을 정도로 WCG에서 상당히 부진했다.
이윤열 외에도 올드 게이머 세대 명예의 전당 헌액자 중에서는 김동수, 강민, 박정석, 박용욱, 오영종 등 내로라하는 프로토스 강자들조차 그랜드파이널에 진출해 본 적이 단 한 번도 없으며, 올드 세대에서 명예의 전당에 헌액된 저그 4인 중에서는 조용호만 유일하게 그랜드파이널에 진출하지 못했다.
택뱅리쌍 중 송병구, 이제동, 이영호는 각각 2007, 2009, 2010년 우승을 차지했지만, 김택용만 유일하게 우승을 못해봤다.[58] 택뱅리쌍과 함께 드래프트 세대에서 명예의 전당에 헌액된 허덴으로 묶이는 허영무, 정명훈은 개인리그에서 우승하며 빛을 본 시기가 WCG가 이미 스타 2로 전환된 후였기에 그랜드파이널 진출을 해보지 못했다.
WCG에 출전 자체가 불가능한 공군 ACE를 제외할 경우 11구단 중에서는 KOR-스파키즈만 소속된 선수가 WCG 대표로 출전한 사례가 없다.[59] 한국 대표를 배출하지 못한 팀으로는 AMD-헥사트론-이네이쳐-eSTRO도 있지만 외국인 선수들이 많이 거쳐간 팀답게 2001~2002년 베르트랑 그로스펠리에( 프랑스)와 2003년 기욤 패트리( 캐나다), 2005년 피터 네이트( 호주) 등의 외국인 선수들이 대표로 출전하기도 했다.
일부 선발된 아마추어들이 선발전을 함께 치렀는데, 이 과정에서 스타의 경우에는 아마가 프로를 한두경기 잡아내는 이변이 심심찮게 일어났다. 후에 흑역사 그 자체가 된
이러한 스타크래프트에 비해 워크래프트 3에서는 상황이 판이하게 달라, 워3판에서는 가장 최고 권위의 대회 중 하나였다. 한국에서는 온게임넷이 워크래프트 3 프로리그를 폐지했고 MBC GAME의 프라임리그도 워3 프라임리그 맵 조작 사건으로 공중분해되면서 워3 대회가 사실상 끝장나다시피 한 데다가, WCG의 특성상 이 대회에서도 모든 국가의 강자들이 모이기 때문이었다. 스타2가 나온 이후로부터는 조금 권위가 줄어들었다고 해도 워3 게이머에게 있어서 WCG 우승은 가장 큰 명예 중에 하나다. 한국은 매 회 계속해서 우승후보로 꼽혔으나, 계속해서 중국과 서유럽쪽에게 메달이 좌절되어오다, 2010년 김성식 선수가 처음으로 금메달을 차지했다. 괜히 오성균 해설이 오열하는 것이 아니며, 괜히 장재호가 천추의 한으로 WCG를 언급하는게 아니다.
카운터 스트라이크는 Project_kr, ZebeC, Lavega-gaming 등 여타 다른 거대규모의 대회에서도 곧 잘 상위권 성적을 내던 몇 팀이 있었으나 이상할 정도로 WCG에서만큼은 좋은 성적을 내지 못했다. 하지만 단 한번의 큰 의미를 가지는 사건이 있는데, 아직 풋내기였던 MaveN-Crew가 신예 시절 WCG 2004에서 4강까지 올라 SK 게이밍이라는 당대 세계최강의 팀을 꺾고 동메달을 따낸 것. 이 계기로 '국제대회에서 3위권의 성적을 기록할 경우 프로게이머 자격을 부여한다'라는 케스파규정에 따라 MaveN은 프로자격을 획득하게 되었고 이것은 후에 세계 카운터 스트라이크의 역사에 두고두고 회자되는 Lunatic-Hai가 탄생하는 밑거름이 되었다.
리그 오브 레전드의 경우 스타크래프트와 비슷한 상황으로 WCG 2010에서는 프로모션 종목으로써, WCG 2011에서는 첫 정식종목으로 채택되었다. 당시 국내 정식 서비스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에서 참가한 EDG가 호성적을 올리면서 국내에 정식으로 소개가 되었고, WCG 2013에 다시 채택된 이 종목에서 한국대표로 출전한 CJ 엔투스 블레이즈가 단 한경기도 패하지 않고 10전 전승으로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그러니까 WCG에서는 3판 2선승제로 승패를 결정하는데 한번도 상대에게 스코어를 내주지 않았던 거다.
각 종목 별로 2회 이상 우승시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고 있다. 대한민국 선수로는 Warhammer 40,000 : Dawn of War의 류경현, 스타크래프트의 임요환,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시리즈의 강병건, 붉은보석의 강기표, 김승렬까지 총 5명이 헌액되어 있다.
현재 최다 우승국은 말할 것도 없이 8번 우승한 대한민국이고 최다연속 우승국(4년 연속 우승(WCG 2008~2011)), 한해에(WCG 2011) 가장 많은 메달을 획득한 나라, 한해에(WCG 2011) 가장 많은 금메달을 차지한(4개) 나라[62]라는 기록을 보유했다.
4.1. 스타크래프트 성적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320><table bordercolor=#231f20> |
World Cyber Games Starcraft 부문 금메달리스트 |
{{{#!wiki style="color:#000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1px; color:#000000" |
<rowcolor=#fff> 1회 | 2회 | 3회 | 4회 | 5회 |
WCGC 2000 GoRush 박태민 ★ |
WCG 2001 BoxeR 임요환 ★ |
WCG 2002 BoxeR 임요환 ★★ |
WCG 2003 기록 말소[1] |
WCG 2004 XellOs 서지훈 ★ |
|
<rowcolor=#fff> 6회 | 7회 | 8회 | 9회 | 10회 | |
WCG 2005 fOru 이재훈 ★ |
WCG 2006 iloveoov 최연성 ★ |
WCG 2007 Stork 송병구 ★ |
WCG 2008 기록 말소[2] |
WCG 2009 Jaedong 이제동 ★ |
|
<rowcolor=#fff> 11회 | 12회 | 13회 | 14회 | 15회 | |
WCG 2010 FlaSh 이영호 ★ |
WCG 2011 Mvp 정종현[3] ★ |
WCG 2012 PartinG 원이삭 ★ |
WCG 2013 Soulkey 김민철 ★ |
WCG 2019 Maru 조성주[4] ★ |
|
[1] 이용범(Ogogo)의 특수 절도 혐의로 인한 영구 제명으로 인해 기록이 말소되었다. | |||||
[2] 박찬수(Practice)의 스타크래프트 승부조작 사건으로 인한 영구 제명으로 인해 기록이 말소되었다. | |||||
[3] 스타크래프트 2로 종목 변경. | |||||
[4] 정식 종목이 아닌 초청 종목이다.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320><table bordercolor=#231f20> |
World Cyber Games Starcraft 부문 은메달리스트 |
{{{#!wiki style="margin:0 -10px -5px; color:#000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000000" |
<rowcolor=#fff> 1회 | 2회 | 3회 | 4회 | 5회 |
WCGC 2000 CCoMa 장일석 ★ |
WCG 2001 Elky 베르트랑 그로스펠리에 ★ |
WCG 2002 YellOw 홍진호 ★ |
WCG 2003 FisheYe_de 프레드릭 카이텔 ★ |
WCG 2004 Midas 전상욱 ★ |
|
<rowcolor=#fff> 6회 | 7회 | 8회 | 9회 | 10회 | |
WCG 2005 Androide 안드레이 쿠키아니제 ★ |
WCG 2006 July 박성준 ★ |
WCG 2007 Pj 사쥔춘 ★ |
WCG 2008 Stork 송병구 ★ |
WCG 2009 Stork 송병구 ★★ |
|
<rowcolor=#fff> 11회 | 12회 | 13회 | 14회 | 15회 | |
WCG 2010 GooJila 김구현 ★ |
WCG 2011 XiGua 왕레이[1] ★ |
WCG 2012 Adelscott 베노잇 스트립스틴 ★ |
WCG 2013 Sora 김정훈 ★ |
WCG 2019 Reynor 리카르도 로미티[2] ★ |
|
[1] 스타크래프트 2로 종목 변경. | |||||
[2] 정식 종목이 아닌 초청 종목이다.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320><table bordercolor=#231f20> |
World Cyber Games Starcraft 부문 동메달리스트 |
{{{#!wiki style="color:#000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1px; color:#000000" |
<rowcolor=#fff> 1회 | 2회 | 3회 | 4회 | 5회 |
WCGC 2000 NTT 앤테르 야콥 샤른 ★ |
WCG 2001 GoRush 박태민 ★ |
WCG 2002 Blackman 아투르 미샬락 ★ |
WCG 2003 Grrr.... 기욤 패트리 ★ |
WCG 2004 Christian 크리스티안 드렉슬러 ★ |
|
<rowcolor=#fff> 6회 | 7회 | 8회 | 9회 | 10회 | |
WCG 2005 Androide 안드레이 쿠치아니체 ★ |
WCG 2006 Midas 전상욱 ★ |
WCG 2007 Mondragon 크리스토프 셈케 ★ |
WCG 2008 Strelok 유진 오파라이쉐프 ★ |
WCG 2009 Bisu 김택용 ★ |
|
<rowcolor=#fff> 11회 | 12회 | 13회 | 14회 | 15회 | |
WCG 2010 Jaedong 이제동 ★ |
WCG 2011 Kas 가이다 미하일로[1] ★ |
WCG 2012 MacSed 후샹 ★ |
WCG 2013 PartinG 원이삭 ★ |
WCG 2019 Neeb 알렉스 선더하프트[2] ★ |
|
[1] 스타크래프트 2로 종목 변경. | |||||
[2] 정식 종목이 아닌 초청 종목이다. |
WCG에서 특히나 강세였던 건 스타크래프트 부문으로 독보적인 13회 연속 금메달[63]이라는 쾌거를 달성했다. 본격 한국 전용 양학판. 제명된 선수들까지 포함해서 모두 한국 출신 선수들이 최종 우승을 쓸어담았다.
역대 WCG 랭킹만 봐도 얼마나 한국선수들의 스타크래프트 실력이 독보적이었는지 당시의 분위기를 엿 볼 수 있다.
명예의 전당에 헌액된 선수가 WCG에 대표로 출전한 사례는 총 11명[64]으로 전체 20명 중 절반에 해당하며, 양대 개인 리그 우승과 함께 WCG에서 메달을 수상한 경력이 있는 선수는 스타크래프트 승부조작 사건에 연루된
- 2000 WCG(World Cyber Games) - 박태민(금메달), 장일석(은메달), NTT(동메달), 창석준(4위)
- 2001 WCG(World Cyber Games) - 임요환(금메달), 베르트랑 그로스펠리에(은메달), 박태민(동메달)
- 2002 WCG(World Cyber Games) - 임요환(금메달), 홍진호(은메달), Blackman(동메달), 베르트랑 그로스펠리에(4위)
-
2003 WCG(World Cyber Games) -
이용범(금메달), FiSheYe(은메달), 기욤 패트리(동메달) - 2004 WCG(World Cyber Games) - 서지훈(금메달), 전상욱(은메달), Christian(동메달)
- 2005 WCG(World Cyber Games) - 이재훈(금메달), Androide(은메달), Legionnaire(동메달)[66], CNSTORM(4위)
- 2006 WCG(World Cyber Games) - 최연성(금메달), 박성준(은메달), 전상욱(동메달), 뤄셴(4위)[67]
- 2007 WCG(World Cyber Games) - 송병구(금메달), 사쥔춘(은메달), Mondragon(동메달)
-
2008 WCG(World Cyber Games) -
박찬수(금메달), 송병구(은메달), Strelok(동메달), LoveTT(4위) - 2009 WCG(World Cyber Games) - 이제동(금메달), 송병구(은메달), 김택용(동메달), Kolll(4위)
- 2010 WCG(World Cyber Games) - 이영호(금메달), 김구현(은메달), 이제동(동메달)
4.2. 리그 오브 레전드 성적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231f20> |
World Cyber Games League of Legends 부문 금메달리스트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normal" |
연도 | 대회 | 우승팀 | 포지션별 선수 | ||||
TOP |
JGL |
MID |
BOT |
SPT |
||||
<colbgcolor=#231f20> 2010 | 그랜드 파이널 |
HotshotGG |
bigfatlp |
Kobe |
Chauster |
Elementz |
||
2011 | 그랜드 파이널 | Chicks Dig Elo |
Dyrus |
Saintvicious |
Reginald |
Chauster |
Xpecial |
|
2013 | 그랜드 파이널 |
Flame |
DayDream |
Ambition |
Emperor |
Lustboy |
2010년 우승 팀인 미국의 Counter Logic Gaming이 북미 선발전을 뚫어내면서 그랜드 파이널에서 종목 최초로 우승을 차지하였고, 2011년에는 클럽팀이 아닌 국적 단일로 Chick Dig Elo라는 이름의 올스타급 팀을 꾸려 북미 선발전을 거친 이후 그랜드 파이널에서 우승을 차지하는데 성공했다.
우리나라가 WCG에서 리그 오브 레전드 부문에 참가했던 시기는 국내 서비스를 시작한 2011년과 종목 채택이 마지막으로 이뤄졌던 2013년 대회였다.
2011년에는 EDG 클랜이 한국 선발전을 뚫으면서 그랜드 파이널 8강전까지 진출했고[68], 2013년에는 롤 프로팀들이 대거 선발전에 참여한 가운데 한국 선발전에서의 각축전을 뚫은 CJ 블레이즈가 WCG 역사상 최초이자 마지막으로 WCG 롤 종목에서 금메달을 차지한 한국팀으로 남게 되었다.
* 2010 WCG(World Cyber Games) - 참가 x
* 2011 WCG(World Cyber Games) - EDG(8강)
* 2013 WCG(World Cyber Games) - CJ 엔투스 블레이즈(금메달)
5. 개최되었던 종목
대회가 13년간 개최되었고, 이후 폐지를 거쳐 부활하여 그만큼 다양한 종목의 게임이 개최되었다.- 스타크래프트 시리즈
- 워크래프트 3
- FIFA 시리즈 (2000~14) - FIFA 13 제외.
- 언리얼 시리즈 (토너먼트, 토너먼트 2003)
-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시리즈
- 퀘이크 시리즈
- Warhammer 40,000
- 붉은 보석
- 던전앤파이터
- 로스트사가
- 철권 6
- 월드 오브 탱크
- 리그 오브 레전드
-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 헤일로 시리즈
- 데드 오어 얼라이브 시리즈
- 카운터 스트라이크 시리즈
- 니드 포 스피드 시리즈
- 프로젝트 고담 레이싱 (2~4)
- 기어스 오브 워
- 기타 히어로 (3, 월드 투어, V)
- 버추어 파이터 5
- 트랙매니아
- 도타 2
- 스트리트 파이터 시리즈
- 슈퍼 스트리트 파이터 4
-
울트라 스트리트 파이터 4- 취소된 WECG 그랜드파이널 종목이었다. - 커맨드 앤 컨커3 타이베리움 워
- 포르자 모터스포츠
- 아스팔트 시리즈 (4~6)
- 토니 호크스 프로젝트 8 - 액티비전에서 배급된 스케이트보드를 주제로 한 스포츠 게임이다.
- 캐롬 3D - 당구를 주제로 하는 온라인 스포츠 게임이다. 현재는 서비스 종료.
- 와이즈 스타 2 - 2009년 종목으로 선정되었던 모바일 게임이다.
- 하스스톤
- 크로스파이어
- 클래시 로얄
- 왕자영요
- 파이널 어썰트 - Phaser Lock Interactive가 개발한, 스마일게이트가 배급을 맡은 VR RTS.
- 강진축구 - 참조.
- 쥬라기 원시전 2
- 원신 - 일곱 성인의 소환
-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6. 기타
- 위 캔 게임의 제작을 지원하고 있다. 이 때문에 출연자인 안정환과 이을용이 2020년도 FIFA 온라인 4 국가대표 선발전에 출전했다.
- 위 캔 게임과 마찬가지로 WCG 홍보의 일환으로써, 홍진호와 WOOAH가 출연하는 웹 예능 '홍보 22팀'을 유튜브에서 공개하고 있다.
- 미국 성우 페이 마타가 WCG 주최 토크쇼 쇼호스트로 참여한 적이 있었다. 페이 마타가 격투 게임 준 프로 자격으로 직접 대회에도 참가했기에 가능한 것.
- 영화 부시맨의 주인공인 리카우의 조카 싸이 엔콰니가 2011년 나미비아 대표로 참가한 적이 있다. 기사 종목은 아스팔트 6.
- 역대 스타크래프트 맵
- 2005년도 대회를 내셔널 지오그래픽에서 취재한 다큐멘터리가 방송됐었다. 44분 경에는 이전 대회(2004년) 스타크래프트 우승자인 서지훈도 얼굴을 비춘다. 영상
WCG 2000: 로스트 템플, 헌터, 라이벌리
WCG 2001~02: 로스트 템플, 네오 홀 오브 발할라, 네오 정글 스토리, 네오 레거시 오브 차
WCG 2003~4: Gorky Island, Korhal of Ceres, Martian Cross, Dahlia of Jungle
WCG 2005: 아질리아(스타크래프트), Estrella, Gaia, Paranoid Android
WCG 2006: 아질리아(스타크래프트), Gaia, Paranoid Android
WCG 2007: 아질리아(스타크래프트), Gaia, Paranoid Android, 신 백두대간
WCG 2008: 블루 스톰, 타우 크로스, 파이썬, 라이드 오브 발키리즈, 신 백두대간
WCG 2009: 데스티네이션, 콜로세움 2, 아웃사이더, 파이썬, 타우 크로스
WCG 2010: 데스티네이션, 매치 포인트, 아웃사이더, 투혼, 타우 크로스
WCG 레전드 슈퍼 매치(2024): 서킷 브레이커 1.0, 투혼, 폴리포이드
[1]
스티브 아오키가 리믹스한 버전이다.
[2]
참고로 영상에서 나오는 노래는 가사가 바뀌기 전이다. 현재 알려진 곡은 약간의 가사 수정이 이루어진 상태.
[3]
영상의 47초경에 나온다.
[4]
트위터 계정은 현재 삭제되었다.
[5]
이지스 게이밍 네트워크는 전 WCG 운영 총괄을 맡은 전명수 대표와 예하 직원들이 세운 회사다.
[6]
2011년 이후로는
도타 2의
TI,
스타크래프트 2의
WCS,
리그 오브 레전드의
롤드컵과 같은 WCG의 규모를 아득히 뛰어넘는 단일종목 대회들이 개최되면서 규모 면에선 상대적으로 빛이 바랬다.
[7]
2002년에는 GhemTV였고, 이듬해 게임TV로 변경.
[8]
2004~2005년 대회는 생중계는 아니었고, 후에 리플레이로 중요 경기를 방영했다.
[9]
최초로 현지 위성생중계 되었다.
[10]
인터넷 생중계 전용
[11]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온라인 개최
[12]
한국-중국 각개 스튜디오에 AR 크로마키 설치, 이원중계
[13]
실제로 과거 삼성전자의 윤종용 부회장은 WCG의 조직위원장을 직접 맡기도 했다.
[14]
럭비는 삼성
이건희 회장이 각별히 좋아했던 종목으로 럭비의 3대 정신인 인내, 협동, 희생을 경영 철학으로 채택했을 정도였다. 해체 뒤 일부 선수들은 새롭게 창단한
현대글로비스 럭비단에 합류했다.
[15]
이형택을 배출했던 구단으로, 한국 테니스 유망주
정현을 집중 후원/육성하는 쪽으로 방향을 바꾸었다.
[16]
일례로 이재용 부회장이
서울 삼성 썬더스 경기가 열리는 농구장에 와서 한 말이 "갤럭시 광고판을 잘 보이는 곳으로 옮겨주세요" 였다고 해 농구인들이 섭섭해 했다고 한다. 얼핏 보면 단순한 부탁일 지도 모르나 이것은 스포츠 산업을 기업 홍보/마케팅의 일환으로 적극 활용하겠다는 의미가 담겨있다.
[17]
이 부분은 외신의 오보로 정반대인 사용할 수 없다. 삼성전자에서는 13년 동안의 브랜드 가치를 생각해서라도 무료로 풀어줄 생각은 없다고 한다. 이로 인해 후술하겠지만
스마일게이트에서 삼성전자로부터 상표권을 구입하는 방식으로 WCG의 부활이 이루어졌다.
[18]
스타 2의 경우,
진에어 그린윙스 정도를 제외하면 모두 해체되었다.
[19]
김민철, 김정훈, 원이삭
[20]
이전의 WCG에서 정식종목으로 채택되었던
크로스파이어의 개발사다.
[21]
삼성전자에서 운영하던 시절에도 한국에게 유리한 게임들이 종목으로 채택된다는 비판이 없지 않았다. 또한 프로모션 종목이라고는 하지만
던전앤파이터가 종목으로 채택된 적이 있었고. 참고로
삼성전자는 초창기
던전앤파이터의 배급사였다.
[22]
참고로 2017년에 열린
실내 무도 아시안 게임에서도
비슷한 사건이 있었다. 참고로 이 사건 역시 중국하고 관련이 있는데, 당시 대회 협력사가
알리바바의 자회사였기 때문.
[23]
물론 이전과 달리 라이엇, 블리자드를 비롯한 대부분의 종목사들이 자사에서 직접 리그를 운영하므로 서드파티 대회에 라이선스를 제한하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ESL을 제외하면 대부분의 글로벌 대회들이 많이 줄어들은 이유이다
[24]
정확히는 12일로 넘어가는 새벽 0시 15분
[25]
종족은
저그이며,
KBK 마스터즈 리그에서 준우승을 한 적이 있다.
[26]
종족은
테란이며,
99 PKO에 참가했던 적이 있다.
[27]
현재 회사에 다니는 직장인이다. 그러나 초기 WCG부터 에오엠 부분에 꾸준히 출전해서 메달권을 유지한 전설적인 인물. 병건신이라고 통칭된다.
[28]
같은 종목의 이지훈에게 가려서 그렇지 FIFA 게이머계에서 최상위권에서 놀던 선수였다. 2002년 대회 이후에 은퇴하여
MBC GAME에서 FIFA 해설을 담당했다.
[29]
리즈시절의 이지훈 감독은 황신 덕분에 준우승 트로피만 가득하던 KT에 우승 트로피를 정기적으로 가져다주던 피파 최강자였다.
[30]
2020년 현재
K5리그
서울 벽산 플레이어스 FC의 감독이다.
[31]
현재
스타크래프트 부문 유일의 세계대회 아마추어 우승자. 하지만 몇 년 후, 상습적으로 범죄를 저지르다가 결국 절도범으로 검거되어 형을 선고 받았으며 그 뒤로는 그의 프로게이머 활동과 근황을 아는 사람은 거의 없다. 한마디로
마재윤와는 다른 의미의
흑역사.
[32]
당구게임이다.
[33]
분대단위로 진행되는 워해머 4만에서 보기 드문 극 컨트롤 위주 유저였다. 워크래프트3 게이머 경력도 있으며(
김성식 선수가 사용하는 배넷계정 PhoeNix_Anelca의 원래 주인), 이듬해에 미국으로 이민을 갔고 지금은 스타2를 하고 있다.
[34]
한국 국가대표 역사상 가장 많은 메달 획득으로 기록되었다.
[35]
장재호도 이루지 못했던 워3에서 한국의 첫 금메달이다. 결승전 상대는
마누엘 쉔카이젠(그루비).
오성균 해설은 그동안 천대받던 워3계에 금메달만 따오라고 했던 현실이 미안하다고 했고 결국 금메달을 따자 방송중임에도 불구하고
울음을 터뜨렸다.
[36]
2010년을 마지막으로 스타크래프트 2로 교체되었다.
[37]
특히 한국대표선발전 결승전
1경기와 그랜드 파이널 4강
2경기는 역대 최고의
리쌍록 명경기들로 평가 받는다.
[38]
2008년의 역대 최고 성적(3/3/1) 기록을 갈아치움
[39]
올해가 마지막이라는 소문이었으나 WCG 2012에도 채택되었다. 그런데 한국에서 WCG 대표들을 별도의 선발전 없이 임의로 선발하여 논란이 일었다. 박준은 최고의 기량을 보여주고 있으나
장재호와 김성식은 이미 워3 게이머 생활을 접은지 꽤 되었기 때문.
[40]
본격적으로는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2 프로리그 시즌 2(병행 시즌)와
옥션 올킬 스타리그 2012부터이다.
[41]
WCG 개최 이후 역대 최저 메달 개수로 금메달 하나만을 획득했다. 또한 2008~2011년 까지의 4년 연속 1위 기록이 깨지게 되었다. 역대 최저 메달 개수 획득 대회이긴 했으나, 종목이 10여개가 넘던 이전 대회들은 둘째치고, 6개 종목으로 개최된 첫 대회였던 2001년보다도 종목 수가 더 적었던 5개 종목으로 치러진 대회라는 점을 따지면 당연한 결과일지도.
[42]
앞서 말했던 모바일 플랫폼으로 잠정 전환했던 일 때문에 계약이 늦어져 종목숫자가 전년도보다 크게 줄었다.
[43]
도타2 MP선수이다.
[44]
DreamHack 출전을 이유로 국가대표를 기권했다. 팀에서 WCG보다는
DreamHack에 출전하도록 요구했을 것이다라는 추측이 있었다.
[45]
"배미" 강양현과 "캡틴잭"
강형우선수는 동행하지 않았다. 정확히 말하면 WCG대회에서는 후보를 둘 수 없다.
[46]
역대 국가대표중 이번 그랜드파이널에서 가장 보고 싶은 선수 1명 팬투표 선발 + 대표 선발전 우승, 준우승자 2명 선발.
[47]
공식 홈페이지에서 실시된 팬투표료 선정되었다.
[48]
a1방송국에서 주최한 아마추어 특별전이란 대회에 엄효섭이 나와서 경기도중에 잡설을 푸는것.
[49]
이쪽은 경기시작전에도 이야기를 나눈것도 포함돼서 있어서 더 자세하게 나오지만 시간이 지나면 없어진다.
[50]
한국대표선발전에서 3위를 한 나이트엘프. 박준을 탈락시키면서 국대선발전 본선에 진출했으나 한국대표는 자리가 두장뿐이어서 탈락을 했다.
[51]
애초에 이신형이 포기하지 않았다면 김민철은 이 대회를 못 나갔다.
[52]
원래 포커페이스 주장인 페비
김용민은 캐나다 국적이라
몽키스패너의 라나 오성현이 대타로 출전했다.
[53]
WCG가 사라진 일 때문에 공혁준은 자신의 방송에서 자신을 영원한 국가대표라 부르기도 했다.
[54]
Frost
[55]
WCG 홈페이지에선 QQ로 오표기 하고있다(...). 팀원들을 보면 前
MVP 피닉스와
Immortals 출신 선수들이 주축으로 결성된 팀으로 보인다.
[56]
cocosasa
[57]
ztephan
[58]
공교롭게도 이들이 데뷔한 이후로는 WCG 중계를
온게임넷에서 주관했는데, 넷 중 김택용만 유일하게
스타리그 우승 경력이 없다.
[59]
정확하게는
한웅렬,
박찬수가 KOR-스파키즈 소속이었지만 WCG 출전 당시에는 KTF로 이적한 뒤였으며, 이후
이용범이 KOR에 입단하기는 했지만 WCG 금메달 수상 당시에는
투나 SG(팬택-위메이드의 전신) 소속이었다.
[60]
이후 도재욱은
2006년 하반기 드래프트 때 정식으로 데뷔하게 된다.
[61]
이후 정우용과 손석희는
2008년 하반기 드래프트 때 정식으로 데뷔하게 된다.
[62]
WCG 2019에서 중국이 금메달을 4개 차지하며 타이기록
[63]
기록말소 2명 제외
[64]
박태민,
임요환,
서지훈,
최연성,
송병구,
이제동,
이영호,
홍진호,
박성준,
기욤 패트리,
김택용.
[65]
박태민,
임요환,
서지훈,
최연성,
송병구,
이제동,
이영호,
박성준,
기욤 패트리,
김택용.
[66]
본명은 피터 네이트로, 당시
이네이쳐 탑 소속이었다. 또한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 기준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에서 마지막으로 승리를 한 외국인 선수이기도 하다.
[67]
당시
SKT T1 소속이며, 훗날
임홍규의
발컨(...)에 당한 그 선수이다. 또한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 기준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에서 마지막으로 출전한 외국인 선수이기도 하다.
[68]
훗날 나진 팀이 만들어지는데에 일조한 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