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135deg, #00008B 20%, #00008B 80%, #9400D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00008b><colcolor=#fff> 상징 | <colbgcolor=#00008b><colcolor=#fff> 주제곡 | Ligue Des Champions | |
공인구 | 피날레(Finale) | |||
우승컵 | 빅 이어 | |||
역사 | 구단, 감독 | 원년 초청 멤버 · 우승팀 목록 · 역대 우승 감독 · 역대 준우승 감독 | ||
시즌 | 역대 시즌 · 역대 결승전 | |||
개최지 | 역대 결승 개최지 | |||
기타 | 기록 | UEFA 챔피언스 리그/기록 · UEFA 챔피언스 리그/대한민국 | ||
주관 | UEFA | |||
하위 대회 | UEFA 유로파 리그 | |||
※
유러피언컵+UEFA 챔피언스 리그 통계 ※ UEFA 챔피언스리그 통계 |
[clearfix]
1. 개요
UEFA 챔피언스 리그와 관련된 기록들을 다루는 문서이다.2. 통산 랭킹
순위 | 클럽 | 진출 | 우승 | 경기 | 승 | 무 | 패 | 승률 | 득점 | 실점 | 득실 차 | 승점 |
1 | 레알 마드리드 CF | 54 | 15 | 489 | 294 | 85 | 110 | 60.12% | 1075 | 536 | 539 | 673 |
2 | FC 바이에른 뮌헨 | 40 | 6 | 394 | 236 | 79 | 79 | 59.90% | 825 | 386 | 439 | 551 |
3 | FC 바르셀로나 | 34 | 5 | 349 | 203 | 77 | 69 | 58.17% | 687 | 357 | 330 | 483 |
4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 30 | 3 | 299 | 161 | 70 | 68 | 53.85% | 545 | 299 | 246 | 392 |
5 | 유벤투스 FC | 37 | 2 | 301 | 153 | 70 | 78 | 50.83% | 479 | 301 | 178 | 376 |
6 | AC 밀란 | 31 | 7 | 273 | 133 | 70 | 70 | 48.72% | 442 | 259 | 183 | 336 |
7 | 리버풀 FC | 27 | 6 | 248 | 142 | 50 | 56 | 57.26% | 472 | 228 | 244 | 334 |
8 | SL 벤피카 | 43 | 2 | 293 | 131 | 68 | 94 | 44.71% | 482 | 345 | 137 | 330 |
9 | FC 포르투 | 38 | 2 | 277 | 126 | 61 | 90 | 45.49% | 411 | 313 | 98 | 313 |
10 | AFC 아약스 | 39 | 4 | 247 | 112 | 64 | 71 | 45.34% | 396 | 282 | 114 | 288 |
11 | FC 디나모 키이우 | 39 | 0 | 254 | 104 | 55 | 95 | 40.94% | 350 | 315 | 35 | 263 |
12 | 첼시 FC | 19 | 2 | 201 | 104 | 53 | 44 | 51.74% | 342 | 181 | 161 | 261 |
13 |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 25 | 3 | 213 | 102 | 57 | 54 | 47.89% | 300 | 211 | 89 | 261 |
14 | 아스날 FC | 22 | 0 | 211 | 106 | 45 | 60 | 50.24% | 351 | 226 | 125 | 257 |
15 | 셀틱 FC | 38 | 1 | 228 | 102 | 40 | 86 | 44.74% | 342 | 285 | 57 | 244 |
16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 22 | 1 | 183 | 88 | 36 | 59 | 48.09% | 304 | 225 | 79 | 212 |
17 |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 19 | 0 | 170 | 82 | 44 | 44 | 48.24% | 249 | 165 | 84 | 208 |
18 | PSV 에인트호번 | 31 | 1 | 199 | 74 | 49 | 76 | 37.19% | 272 | 256 | 16 | 197 |
19 | 파리 생제르맹 FC | 17 | 0 | 155 | 82 | 29 | 44 | 52.90% | 302 | 181 | 121 | 193 |
20 | RSC 안데를레흐트 | 34 | 0 | 200 | 70 | 44 | 86 | 35% | 282 | 320 | -38 | 184 |
진출 횟수 및 치른 경기가 많은 팀의 승점이 높을 수밖에 없으며, 23회 진출에 3회 우승이 있는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가 10위 밖에 위치하는가 하면 2회 연속 우승을 기록한 노팅엄 포레스트 FC의 경우에는 2년 연속 우승이 있음에도 진출 시즌이 3시즌뿐이기 때문에 100위 밖이고, 아스톤 빌라 FC는 진출 시즌이 2시즌뿐이기 때문에 우승팀인데도 132위이다. 2018년 집계까지는 아스날이 우승이 없으면서도 10위 안에 드는 유일한 클럽이었으나 2019년 집계에서 아약스에 의해 역전되었다.
참고로 UEFA Champions League Statistics Handbook에는 1992-93 시즌 UEFA 챔피언스 리그 개편 이후 랭킹도 수록되어 있다. 기록은 아래와 같다.
순위 | 클럽 | 진출 | 우승 | 경기 | 승 | 무 | 패 | 승률 | 득점 | 실점 | 득실 차 | 승점 |
1 | 레알 마드리드 CF | 28 | 9 | 317 | 191 | 60 | 66 | 60.25% | 669 | 349 | 320 | 442 |
2 | FC 바이에른 뮌헨 | 27 | 3 | 294 | 173 | 60 | 61 | 58.84% | 601 | 297 | 304 | 406 |
3 | FC 바르셀로나 | 28 | 4 | 287 | 166 | 66 | 55 | 57.84% | 569 | 300 | 269 | 398 |
4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 25 | 2 | 244 | 125 | 60 | 59 | 51.23% | 412 | 245 | 167 | 310 |
5 | 유벤투스 FC | 23 | 1 | 220 | 110 | 53 | 57 | 50% | 344 | 226 | 118 | 273 |
6 | 첼시 FC | 19 | 2 | 197 | 101 | 52 | 44 | 51.27% | 334 | 181 | 153 | 254 |
7 | FC 포르투 | 27 | 1 | 220 | 96 | 50 | 74 | 43.64% | 300 | 257 | 43 | 242 |
8 | AC 밀란 | 20 | 3 | 189 | 82 | 55 | 52 | 43.39% | 257 | 184 | 73 | 219 |
9 | 아스날 FC | 20 | 0 | 187 | 88 | 43 | 56 | 47.06% | 300 | 213 | 87 | 219 |
10 | 리버풀 FC | 15 | 2 | 153 | 80 | 35 | 38 | 52.29% | 273 | 154 | 119 | 195 |
11 | 파리 생제르맹 FC | 16 | 0 | 149 | 79 | 28 | 42 | 53.02% | 290 | 174 | 116 | 186 |
12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 18 | 1 | 159 | 75 | 33 | 51 | 47.17% | 250 | 190 | 60 | 183 |
13 |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 17 | 1 | 152 | 70 | 39 | 43 | 46.05% | 209 | 168 | 41 | 179 |
14 | 맨체스터 시티 FC | 13 | 1 | 125 | 72 | 25 | 28 | 57.60% | 266 | 142 | 124 | 169 |
15 |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 14 | 0 | 127 | 58 | 37 | 32 | 45.67% | 175 | 123 | 52 | 153 |
16 | 올랭피크 리옹 | 16 | 0 | 136 | 58 | 36 | 42 | 42.65% | 214 | 165 | 49 | 152 |
17 | AFC 아약스 | 18 | 1 | 140 | 58 | 35 | 47 | 41.43% | 203 | 165 | 38 | 151 |
18 | 발렌시아 CF | 12 | 0 | 112 | 48 | 32 | 32 | 42.86% | 165 | 119 | 46 | 128 |
19 | SL 벤피카 | 18 | 0 | 132 | 47 | 33 | 52 | 35.60% | 162 | 181 | -19 | 127 |
20 | PSV 에인트호번 | 17 | 0 | 140 | 45 | 27 | 68 | 32.14% | 170 | 236 | -66 | 117 |
3. 우승 클럽 목록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0008B 20%, #00008B 80%, #9400D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000000,#e5e5e5 |
순서 | 우승 | 국가 | 첫 우승연도 | 우승 횟수 | ||
1 | <colbgcolor=#00008b> 레알 마드리드 CF | <colbgcolor=#eeeeef,#191919> | 1956년 |
★
★
★
★
★
★
★ ★ ★ ★ ★ ★ ★ ★ ★ 15회 |
|||
2 | SL 벤피카 | 1961년 |
★
★ 2회 |
||||
3 | AC 밀란 | 1963년 |
★
★
★
★
★
★
★ 7회 |
||||
4 |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 1964년 |
★
★
★ 3회 |
||||
5 | 셀틱 FC | 1967년 |
★ 1회 |
||||
6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 1968년 |
★
★
★ 3회 |
||||
7 | 페예노르트 로테르담 | 1970년 |
★ 1회 |
||||
8 | AFC 아약스 | 1971년 |
★
★
★
★ 4회 |
||||
9 | FC 바이에른 뮌헨 | 1974년 |
★
★
★
★
★
★ 6회 |
||||
10 | 리버풀 FC | 1977년 |
★
★
★
★
★
★ 6회 |
||||
11 | 노팅엄 포레스트 FC | 1979년 |
★
★ 2회 |
||||
12 | 아스톤 빌라 FC | 1982년 |
★ 1회 |
||||
13 | 함부르크 SV | 1983년 |
★ 1회 |
||||
14 | 유벤투스 FC | 1985년 |
★
★ 2회 |
||||
15 | CSA 스테아우아 부쿠레슈티 | 1986년 |
★ 1회 |
||||
FCSB | |||||||
16 | FC 포르투 | 1987년 |
★
★ 2회 |
||||
17 | PSV 에인트호번 | 1988년 |
★ 1회 |
||||
18 | FK 츠르베나 즈베즈다 | 1991년 |
★ 1회 |
||||
19 | FC 바르셀로나 | 1992년 |
★
★
★
★
★ 5회 |
||||
20 |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 1993년 |
★ 1회 |
||||
21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 1997년 |
★ 1회 |
||||
22 | 첼시 FC | 2012년 |
★
★ 2회 |
||||
23 | 맨체스터 시티 FC | 2023년 |
★ 1회 |
||||
※ 우승 횟수에 굵은 글씨로 되어 있는 구단은
UEFA 배지 오브 오너를 부착할 수 있는 구단이다. ★은 우승 트로피를 영구 소장하게 된 시즌이며 ★은 오리지널 유러피언컵 트로피를 들어올렸던 시즌이다. |
1955년 대회가 시작된 이래 현재까지 빅 이어를 들어본 팀은 23팀이다.[1] 유럽의 명문들이자 대규모 팬덤을 등에 업은 빅클럽들의 대회는 곧 수익의 증대로 이어지기 때문에 실력 말고도 인기와 시장성도 타의 추종을 불허할 정도이다. 즉, 유럽의 강호들 중에서도 최고이자 최강을 가리는 대회이고, 현대 축구의 발상지답게 수준도 모든 축구 대회를 통틀어서 가장 뛰어난 편이다. 게다가 1992년 유러피언 컵이 UEFA 챔피언스 리그로 개칭된 이래 리그 준우승팀들도 참가 티켓을 얻는 등 규모가 더욱 커졌고, 오늘날에 이르러서는 챔피언스 리그 우승 여부가 명문의 기준이 되는 등, 한 번의 우승만으로도 팀 역사상 최고의 자랑거리로 삼을 수 있는 정도이다. 일례로 셀틱 FC 팬들이 2016/17 시즌 마지막 홈 경기에서 ‘리스본의 사자들(Lisbon Lions)’라는 카드 섹션으로 관중석 전체를 덮으며 장관을 연출했는데, 이 문구는 1967년 리스본에서 열린 유러피언 컵 결승에서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를 꺾고 우승한 셀틱 선수들의 별명이다. 50년이 지났음에도 이 한 번의 우승이 팬들에게는 크나큰 영광으로 절대 잊히지 않는 매우 중요한 대회이다.
게다가 우승 난도 또한 다른 대회와 다르게 매우 높다. 깊은 역사와 전통을 가진 대회이기에 우승하기도 상당히 까다로운 게 일단 리그 내에서 상위권은 항상 기본으로 먹고 들어가는 게 조건이 되어야 한다. 또한 리그 도중에 토너먼트와 조별 경기를 치르게 되어 리그 대부분의 팀들보다 일정도 빡빡하게 된다. 설상가상으로 우승을 하지 않는 이상 자국 리그 내 최상위권을 기록해야 다음 시즌 챔피언스 리그에 참여할 수 있기에 리그 일정도 잘 치러야 한다. 거기에다 대회만으로 한정하더라도 빡빡한 조별 리그와 토너먼트를 거쳐 결승까지 거의 매 경기마다 강팀들을 상대하기 때문에 필사적으로 뛰어야 한다. 유러피언 컵 시절에는 빅 리그 소속이 아니더라도 결승에 진출하는 팀이 몇 있었지만, 2000년대 중후반을 분기점으로 점점 이적 시장에서 거품이 생겨나기 시작하면서 격차가 벌어졌다. 그 결과 현재는 빅 리그 외 소속 팀이 챔피언스 리그에서 활약하는 경우는 보기 힘들어졌다. 게다가 빅 이어를 들어본 경험이 없는 구단이라면 더욱 힘들다. 1997년에 21번째 클럽이 나온 이후로 15년이 지나서 22번째 클럽이, 거기서 11년이 지나서 23번째 클럽이 나왔다.
4. 역대 결승전
2024년 6월 2일에 열린 경기에 대한 내용은 2024 UEFA 챔피언스 리그 결승전 문서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word-break: keep-all;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0008b 20%, #00008b 80%, #9400d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000000,#e5e5e5 |
1956 RMA | 1957 RMA | 1958 RMA | 1959 RMA | 1960 RMA | |
1961 SLB | 1962 SLB | 1963 ACM | 1964 INT | 1965 INT | ||
1966 RMA | 1967 CEL | 1968 MUN | 1969 ACM | 1970 FEY | ||
1971 AJA | 1972 AJA | 1973 AJA | 1974 BAY | 1975 BAY | ||
1976 BAY | 1977 LIV | 1978 LIV | 1979 NFO | 1980 NFO | ||
1981 LIV | 1982 AVL | 1983 HSV | 1984 LIV | 1985 JUV | ||
1986 CSA | 1987 FCP | 1988 PSV | 1989 ACM | 1990 ACM | ||
1991 ZVZ | 1992 FCB | 1993 MRS | 1994 ACM | 1995 AJA | ||
1996 JUV | 1997 BVB | 1998 RMA | 1999 MUN | 2000 RMA | ||
2001 BAY | 2002 RMA | 2003 ACM | 2004 FCP | 2005 LIV | ||
2006 FCB | 2007 ACM | 2008 MUN | 2009 FCB | 2010 INT | ||
2011 FCB | 2012 CHE | 2013 BAY | 2014 RMA | 2015 FCB | ||
2016 RMA | 2017 RMA | 2018 RMA | 2019 LIV | 2020 BAY | ||
2021 CHE | 2022 RMA | 2023 MCI | 2024 RMA |
5. 역대 우승 감독
6. 역대 준우승 감독
7. 우승 횟수
7.1. 클럽
클럽 | 우승 | 준우승 | 우승 연도 | 준우승 연도 |
레알 마드리드 CF | 15 | 3 |
1956, 1957, 1958, 1959, 1960, 1966, 1998, 2000, 2002, 2014, 2016, 2017, 2018, 2022, 2024 |
1962, 1964, 1981 |
AC 밀란 | 7 | 4 |
1963, 1969, 1989, 1990, 1994, 2003, 2007 |
1958, 1993, 1995, 2005 |
FC 바이에른 뮌헨 | 6 | 5 |
1974, 1975, 1976, 2001, 2013, 2020 |
1982, 1987, 1999, 2010, 2012 |
리버풀 FC | 6 | 4 |
1977, 1978, 1981, 1984, 2005, 2019 |
1985, 2007, 2018, 2022 |
FC 바르셀로나 | 5 | 3 | 1992, 2006, 2009, 2011, 2015 | 1961, 1986, 1994 |
AFC 아약스 | 4 | 2 | 1971, 1972, 1973, 1995 | 1969, 1996 |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 3 | 3 | 1964, 1965, 2010 | 1967, 1972, 2023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 3 | 2 | 1968, 1999, 2008 | 2009, 2011 |
유벤투스 FC | 2 | 7 | 1985, 1996 |
1973, 1983, 1997, 1998, 2003, 2015, 2017 |
SL 벤피카 | 2 | 5 | 1961, 1962 | 1963, 1965, 1968, 1988, 1990 |
첼시 FC | 2 | 1 | 2012, 2021 | 2008 |
노팅엄 포레스트 FC | 2 | 0 | 1979, 1980 | - |
FC 포르투 | 2 | 0 | 1987, 2004 | -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 1 | 2 | 1997 | 2013, 2024 |
셀틱 FC | 1 | 1 | 1967 | 1970 |
함부르크 SV | 1 | 1 | 1983 | 1980 |
CSA 스테아우아 부쿠레슈티 | 1 | 1 | 1986 | 1989 |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 1 | 1 | 1993 | 1991 |
맨체스터 시티 FC | 1 | 1 | 2023 | 2021 |
페예노르트 로테르담 | 1 | 0 | 1970 | - |
아스톤 빌라 FC | 1 | 0 | 1982 | - |
PSV 에인트호번 | 1 | 0 | 1988 | - |
FK 츠르베나 즈베즈다 | 1 | 0 | 1991 | - |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 0 | 3 | - | 1974, 2014, 2016 |
스타드 드 랭스 | 0 | 2 | - | 1956, 1959 |
발렌시아 CF | 0 | 2 | - | 2000, 2001 |
ACF 피오렌티나 | 0 | 1 | - | 1957 |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 0 | 1 | - | 1960 |
FK 파르티잔 | 0 | 1 | - | 1966 |
파나티나이코스 FC | 0 | 1 | - | 1971 |
리즈 유나이티드 FC | 0 | 1 | - | 1975 |
AS 생테티엔 | 0 | 1 | - | 1976 |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 | 0 | 1 | - | 1977 |
클뤼프 브뤼허 KV | 0 | 1 | - | 1978 |
말뫼 FF | 0 | 1 | - | 1979 |
AS 로마 | 0 | 1 | - | 1984 |
UC 삼프도리아 | 0 | 1 | - | 1992 |
바이어 04 레버쿠젠 | 0 | 1 | - | 2002 |
AS 모나코 FC | 0 | 1 | - | 2004 |
아스날 FC | 0 | 1 | - | 2006 |
토트넘 홋스퍼 FC | 0 | 1 | - | 2019 |
파리 생제르맹 FC | 0 | 1 | - | 2020 |
7.2. 국가
국가 | 우승 | 준우승 | 우승 클럽 | 준우승 클럽 |
스페인 |
20 | 11 |
레알 마드리드 CF - 15 FC 바르셀로나 - 5 |
레알 마드리드 CF - 3 FC 바르셀로나 - 3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 3 발렌시아 CF - 2 |
잉글랜드 |
15 | 11 |
리버풀 FC - 6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 3 첼시 FC - 2 노팅엄 포레스트 FC - 2 아스톤 빌라 FC - 1 맨체스터 시티 FC - 1 |
리버풀 FC - 4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 2 첼시 FC - 1 리즈 유나이티드 FC - 1 아스날 FC - 1 토트넘 홋스퍼 FC - 1 맨체스터 시티 FC - 1 |
이탈리아 |
12 | 17 |
AC 밀란 - 7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 3 유벤투스 FC - 2 |
유벤투스 FC - 7 AC 밀란 - 4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 3 ACF 피오렌티나 - 1 AS 로마 - 1 UC 삼프도리아 - 1 |
독일 |
8 | 11 |
FC 바이에른 뮌헨 - 6 함부르크 SV - 1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 1 |
FC 바이에른 뮌헨 - 5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 1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 - 1 함부르크 SV - 1 바이어 04 레버쿠젠 - 1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 2 |
네덜란드 |
6 | 2 |
AFC 아약스 - 4 페예노르트 로테르담 - 1 PSV 에인트호번 - 1 |
AFC 아약스 - 2 |
포르투갈 |
4 | 5 |
SL 벤피카 - 2 FC 포르투 - 2 |
SL 벤피카 - 5 |
프랑스 |
1 | 6 |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 1 |
스타드 드 랭스 - 2 AS 생테티엔 - 1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 1 AS 모나코 FC - 1 파리 생제르맹 FC - 1 |
스코틀랜드 |
1 | 1 | 셀틱 FC - 1 | 셀틱 FC - 1 |
루마니아 |
1 | 1 | CSA 스테아우아 부쿠레슈티 - 1 | CSA 스테아우아 부쿠레슈티 - 1 |
세르비아 |
1 | 1 | FK 츠르베나 즈베즈다 - 1 | FK 파르티잔 - 1 |
그리스 |
0 | 1 | - | 파나티나이코스 FC - 1 |
벨기에 |
0 | 1 | - | 클뤼프 브뤼허 KV - 1 |
스웨덴 |
0 | 1 | - | 말뫼 FF - 1 |
8. 4강 진출 횟수
- 4강 진출 횟수가 동일한 경우 4강에 진출한 년도가 빠른 클럽부터 서술함.
클럽 | 횟수 | 연도 |
레알 마드리드 CF | 33 |
1956, 1957, 1958, 1959, 1960, 1962, 1964, 1966, 1968, 1973, 1976, 1980, 1981, 1987, 1988, 1989, 1998, 2000, 2001, 2002, 2003,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21, 2022, 2023, 2024 |
FC 바이에른 뮌헨 | 21 |
1974, 1975, 1976, 1981, 1982, 1987, 1990, 1991, 1995, 1999, 2000, 2001, 2010, 2012, 2013, 2014, 2015, 2016, 2018, 2020, 2024 |
FC 바르셀로나 | 17 |
1960, 1961, 1975, 1986, 1992, 1994, 2000, 2002, 2006,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5, 2019 |
AC 밀란 | 14 |
1956, 1958, 1963, 1969, 1989, 1990, 1993, 1994, 1995, 2003, 2005, 2006, 2007, 2023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 12 |
1957, 1958, 1966, 1968, 1969, 1997, 1999, 2002, 2007, 2008, 2009, 2011 |
리버풀 FC | 12 |
1965, 1977, 1978, 1981, 1984, 1985, 2005, 2007, 2008, 2018, 2019, 2022 |
유벤투스 FC | 12 |
1968, 1973, 1978, 1983, 1985, 1996, 1997, 1998, 1999, 2003, 2015, 2017 |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 9 | 1964, 1965, 1966, 1967, 1972, 1981, 2003, 2010, 2023 |
AFC 아약스 | 9 | 1969, 1971, 1972, 1973, 1980, 1995, 1996, 1997, 2019 |
SL 벤피카 | 8 | 1961, 1962, 1963, 1965, 1968, 1972, 1988, 1990 |
첼시 FC | 8 | 2004, 2005, 2007, 2008, 2009, 2012, 2014, 2021 |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 6 | 1959, 1971, 1974, 2014, 2016, 2017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 5 | 1964, 1997, 1998, 2013, 2024 |
FK 츠르베나 즈베즈다 | 4 | 1957, 1971, 1991, 1992 |
셀틱 FC | 4 | 1967, 1970, 1972, 1974 |
AS 모나코 FC | 4 | 1994, 1998, 2004, 2017 |
파리 생제르맹 FC | 4 | 1995, 2020, 2021, 2024 |
맨체스터 시티 FC | 4 | 2016, 2021, 2022, 2023 |
함부르크 SV | 3 | 1961, 1980, 1983 |
리즈 유나이티드 FC | 3 | 1970, 1975, 2001 |
파나티나이코스 FC | 3 | 1971, 1985, 1996 |
PSV 에인트호번 | 3 | 1976, 1988, 2005 |
FC 디나모 키이우 | 3 | 1977, 1987, 1999 |
CSA 스테아우아 부쿠레슈티 | 3 | 1986, 1988, 1989 |
FC 포르투 | 3 | 1987, 1994, 2004 |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 3 | 1990, 1991, 1993 |
스타드 드 랭스 | 2 | 1956, 1959 |
레인저스 FC | 2 | 1960, 1993 |
토트넘 홋스퍼 FC | 2 | 1962, 2019 |
페예노르트 로테르담 | 2 | 1963, 1970 |
FC 취리히 | 2 | 1964, 1977 |
PFC CSKA 소피아 | 2 | 1967, 1982 |
AS 생테티엔 | 2 | 1975, 1976 |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 | 2 | 1977, 1978 |
노팅엄 포레스트 FC | 2 | 1979, 1980 |
RSC 안데를레흐트 | 2 | 1982, 1986 |
AS 로마 | 2 | 1984, 2018 |
IFK 예테보리 | 2 | 1986, 1993 |
발렌시아 CF | 2 | 2000, 2001 |
아스날 FC | 2 | 2006, 2009 |
비야레알 CF | 2 | 2006, 2022 |
올랭피크 리옹 | 2 | 2010, 2020 |
하이버니언 FC | 1 | 1956 |
ACF 피오렌티나 | 1 | 1957 |
버셔시 SC | 1 | 1958 |
BSC 영 보이스 | 1 | 1959 |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 1 | 1960 |
SK 라피트 빈 | 1 | 1961 |
스탕다르 리에주 | 1 | 1962 |
던디 FC | 1 | 1963 |
죄르 ETO FC | 1 | 1965 |
FK 파르티잔 | 1 | 1966 |
FK 두클라 프라하 | 1 | 1967 |
FC 스파르타크 트르나바 | 1 | 1969 |
레기아 바르샤바 | 1 | 1970 |
더비 카운티 FC | 1 | 1973 |
위페슈티 FC | 1 | 1974 |
클뤼프 브뤼허 KV | 1 | 1978 |
FK 아우스트리아 빈 | 1 | 1979 |
1. FC 쾰른 | 1 | 1979 |
말뫼 FF | 1 | 1979 |
아스톤 빌라 FC | 1 | 1982 |
레알 소시에다드 | 1 | 1983 |
비제프 우치 | 1 | 1983 |
FC 디나모 부쿠레슈티 | 1 | 1984 |
던디 유나이티드 FC | 1 | 1984 |
FC 지롱댕 드 보르도 | 1 | 1985 |
갈라타사라이 SK | 1 | 1989 |
FC 스파르타크 모스크바 | 1 | 1991 |
AC 스파르타 프라하 | 1 | 1992 |
UC 삼프도리아 | 1 | 1992 |
FC 낭트 | 1 | 1996 |
바이어 04 레버쿠젠 | 1 | 2002 |
데포르티보 라 코루냐 | 1 | 2004 |
FC 샬케 04 | 1 | 2011 |
RB 라이프치히 | 1 | 2020 |
9. 최다 득점
UEFA 챔피언스 리그 역대 득점 순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00008b {{{#!folding [ 펼치기 · 접기 ] {{{#000,#ddd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순위 | 선수 | 득점 | 출장 | 비율 | 클럽 | 국적 | ||||||
1 |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 140 | 183 | 0.77 |
맨 유나이티드(21) 레알 마드리드(105) 유벤투스(14) |
포르투갈 | |||||||
2 | 리오넬 메시 | 129 | 163 | 0.79 |
바르셀로나(120) 파리(9) |
아르헨티나 | |||||||
3 | 로베르트 레반도프스키 | 101 | 125 | 0.81 |
도르트문트(17) 바이에른(69) 바르셀로나(15) |
폴란드 | |||||||
4 | 카림 벤제마 | 90 | 152 | 0.59 |
리옹(12) 레알 마드리드(78) |
프랑스 | |||||||
5 | 라울 곤살레스 | 71 | 142 | 0.50 |
레알 마드리드(66) 샬케(5) |
스페인 | |||||||
6 | 뤼트 판니스텔로이 | 56 | 73 | 0.77 |
PSV(8) 맨 유나이티드(35) 레알 마드리드(13) |
네덜란드 | |||||||
7 | 토마스 뮐러 | 55 | 156 | 0.35 | 바이에른(55) | 독일 | |||||||
8 | 티에리 앙리 | 50 | 112 | 0.45 |
모나코(7) 아스날(35) 바르셀로나(8) |
프랑스 | |||||||
8 | 킬리안 음바페 | 50 | 79 | 0.63 |
모나코(6) 파리(42) 레알 마드리드(2) |
프랑스 | |||||||
10 | 알프레도 디 스테파노 | 49 | 58 | 0.84 | 레알 마드리드(49) | 스페인 | |||||||
11 | 안드리 셰브첸코 | 48 | 100 | 0.48 |
디나모 키이우(15) 밀란(29) 첼시(4) |
우크라이나 | |||||||
11 | 즐라탄 이브라히모비치 | 48 | 124 | 0.39 |
아약스(6) 유벤투스(3) 인테르(6) 바르셀로나(4) 밀란(9) 파리(20) |
스웨덴 | |||||||
13 | 엘링 홀란드 | 46 | 44 | 1.05 |
잘츠부르크(8) 도르트문트(15) 맨 시티(23) |
노르웨이 | |||||||
13 | 에우제비우 | 46 | 65 | 0.71 | 벤피카(46) | 포르투갈 | |||||||
13 | 필리포 인자기 | 46 | 81 | 0.57 |
유벤투스(17) 밀란(29) |
이탈리아 | |||||||
13 | 모하메드 살라 | 46 | 85 | 0.54 |
바젤(2) 로마(1) 리버풀(43) |
이집트 | |||||||
17 | 디디에 드록바 | 44 | 92 | 0.48 |
마르세유(5) 첼시(36) 갈라타사라이(3) |
코트디부아르 | |||||||
18 | 네이마르 주니오르 | 43 | 81 | 0.53 |
바르셀로나(21) 파리(22) |
브라질 | |||||||
18 | 알레산드로 델 피에로 | 42 | 89 | 0.47 | 유벤투스(42) | 이탈리아 | |||||||
20 | 세르히오 아구에로 | 41 | 79 | 0.52 |
아틀레티코(5) 맨 시티(36) |
아르헨티나 | |||||||
21 | 앙투안 그리즈만 | 40 | 101 | 0.40 |
바르셀로나(4) 아틀레티코(36) |
프랑스 | |||||||
22 | 페렌츠 푸스카스 | 36 | 41 | 0.88 |
부더페슈티(1) 레알 마드리드(35) |
헝가리 | |||||||
23 | 에딘손 카바니 | 35 | 70 | 0.50 |
나폴리(5) 파리(30) |
우루과이 | |||||||
24 | 해리 케인 | 34 | 48 | 0.71 |
토트넘(21) 바이에른(13) |
잉글랜드 | |||||||
24 | 게르트 뮐러 | 34 | 35 | 0.97 | 바이에른(34) | 독일 | |||||||
26 | 페르난도 모리엔테스 | 33 | 93 | 0.35 |
레알 마드리드(17) 모나코(9) 리버풀(1) 발렌시아(6) |
스페인 | |||||||
27 | 아르연 로번 | 31 | 110 | 0.28 |
PSV(3) 첼시(2) 레알 마드리드(1) 바이에른(25) |
네덜란드 | |||||||
28 | 사무엘 에투 | 30 | 78 | 0.38 |
마요르카(1) 바르셀로나(16) 인테르(10) 첼시(3) |
카메룬 | |||||||
28 | 프란시스코 헨토 | 30 | 89 | 0.34 | 레알 마드리드(30) | 스페인 | |||||||
28 | 카카 | 30 | 86 | 0.35 |
밀란(25) 레알 마드리드(5) |
브라질 | |||||||
28 | 웨인 루니 | 30 | 85 | 0.35 | 맨 유나이티드(30) | 잉글랜드 | |||||||
32 | 알바로 모라타 | 29 | 86 | 0.34 |
레알 마드리드(4) 유벤투스(15) 첼시(1) 아틀레티코 마드리드(8) 밀란(1) |
스페인 | |||||||
32 | 에딘 제코 | 29 | 75 | 0.39 |
볼프스부르크(4) 맨 시티(3) 로마(15) 인테르(7) |
보스니아 | |||||||
32 | 파트릭 클라위버르트 | 29 | 71 | 0.41 |
아약스(9) 바르셀로나(20) |
네덜란드 | |||||||
32 | 로이 마카이 | 29 | 61 | 0.48 |
데포르티보(12) 바이에른(17) |
네덜란드 | |||||||
32 | 다비드 트레제게 | 29 | 58 | 0.50 |
모나코(4) 유벤투스(25) |
프랑스 | |||||||
37 | 라이언 긱스 | 28 | 145 | 0.19 | 맨 유나이티드(28) | 웨일스 | |||||||
37 | 장피에르 파팽 | 28 | 37 | 0.76 |
마르세유(19) 밀란(7) 바이에른(2) |
프랑스 | |||||||
39 | 사디오 마네 | 27 | 64 | 0.42 |
리버풀(24) 바이에른(3) |
세네갈 | |||||||
39 | 히바우두 | 27 | 73 | 0.37 |
바르셀로나(23) 밀란(2) 올림피아코스(3) |
브라질 | |||||||
39 | 라힘 스털링 | 27 | 82 | 0.33 |
맨 시티(24) 첼시(3) |
잉글랜드 | |||||||
39 | 루이스 수아레스 | 27 | 73 | 0.37 |
아약스(1) 바르셀로나(25) 아틀레티코(1) |
우루과이 | |||||||
43 | 마리오 고메스 | 26 | 44 | 0.59 |
슈투트가르트(3) 바이에른(26) |
독일 | |||||||
43 | 비니시우스 주니오르 | 26 | 61 | 0.44 | 레알 마드리드(26) | 브라질 | |||||||
45 | 에르난 크레스포 | 25 | 65 | 0.38 |
파르마(2) 라치오(2) 인테르(11) 첼시(4) 밀란(6) |
아르헨티나 | |||||||
45 | 마리우 자르데우 | 25 | 46 | 0.54 |
포르투(19) 갈라타사라이(6) |
브라질 | |||||||
45 | 로빈 반 페르시 | 25 | 59 | 0.42 |
아스널(18) 맨 유나이티드(7) |
네덜란드 | |||||||
48 | 조제 알타피니 | 24 | 28 | 0.86 |
밀란(20) 유벤투스(4) |
브라질 이탈리아 |
|||||||
48 | 가브리에우 제주스 | 24 | 46 | 0.52 |
맨 시티(20) 아스널(4) |
브라질 | |||||||
48 | 지오반니 에우베르 | 24 | 69 | 0.35 |
바이에른(21) 리옹(3) |
브라질 | |||||||
48 | 올리비에 지루 | 24 | 64 | 0.38 |
아스널(12) 첼시(6) 밀란(6) |
프랑스 | |||||||
48 | 곤잘로 이과인 | 24 | 83 | 0.29 |
레알 마드리드(8) 나폴리(4) 유벤투스(12) |
아르헨티나 | |||||||
48 | 루이스 피구 | 24 | 103 | 0.23 |
바르셀로나(7) 레알 마드리드(16) 인테르(1) |
포르투갈 | |||||||
48 | 마르코 로이스 | 24 | 72 | 0.33 | 도르트문트(24) | 독일 | |||||||
48 | 폴 스콜스 | 24 | 124 | 0.19 | 맨 유나이티드(24) | 잉글랜드 | |||||||
48 | 마르코 시모네 | 24 | 46 | 0.52 |
밀란(15) 파리(3) 모나코(6) |
이탈리아 | |||||||
출처 http://www.worldfootball.net/alltime_goalgetter/champions-league/tore/1/ | |||||||||||||
* 본선 경기 기록 한정. | |||||||||||||
* UEFA 챔피언스 리그 공식 홈페이지의 기록( #)은 조금 다른데, 본선 조별 리그가 진행되기 이전의 예선 경기 기록이 포함된 수치이기 때문. |
10. 최다 출장
- 본선 경기 기록 한정.
- 챔피언스 리그 명칭을 사용한 1992/93 시즌부터의 기록 한정. 한 클럽에서만 25시즌을 뛰며 유러피언컵과 챔피언스 리그만 15시즌을 뛴 파올로 말디니 같은 경우도 3개 시즌 기록이 누락되어 순위가 낮다.
- UEFA 챔피언스 리그 공식 기록은 조금 다르다.
- 하단의 틀은 UEFA 챔피언스 리그에서 100경기 이상 뛴 선수들이 가입할 수 있는 'UEFA Champions League 100 Club'에 가입된 선수들을 모두 정리해둔 틀이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135deg, #00008B 20%, #00008B 80%, #9400D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000000,#e5e5e5 |
순서[1] | 선수 이름 / 참가 클럽[2] | 출전 횟수[3] | 국적 | 우승 횟수 | ||
1 |
<colbgcolor=#ffffdd,#000>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Cristiano Ronaldo)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레알 마드리드 CF 유벤투스 FC |
<colbgcolor=#eeeeef,#191919> 183회 |
★★★★★ 5회 |
|||
2 |
이케르 카시야스 (Iker Casillas) |
레알 마드리드 CF FC 포르투 |
177회 |
★★★ 3회 |
|||
3 |
리오넬 메시
(Lionel Messi) |
FC 바르셀로나 파리 생제르맹 FC |
163회 |
★★★★ 4회 |
|||
4 |
토마스 뮐러
(Thomas Müller) |
FC 바이에른 뮌헨 | 155회 |
★★ 2회 |
|||
5 |
카림 벤제마
(Karim Benzema) |
올랭피크 리옹 레알 마드리드 CF |
152회 |
★★★★★ 5회 |
|||
6 |
사비 에르난데스 (Xavi Hernández) |
FC 바르셀로나 | 151회 |
★★★★ 4회 |
|||
토니 크로스 (Toni Kroos) |
FC 바이에른 뮌헨 레알 마드리드 CF |
★★★★★★ 6회 |
|||||
8 |
마누엘 노이어
(Manuel Neuer) |
FC 샬케 04 FC 바이에른 뮌헨 |
145회 |
★★ 2회 |
|||
9 |
라울 곤살레스 (Raúl González) |
FC 샬케 04 레알 마드리드 CF |
142회 |
★★★ 3회 |
|||
세르히오 라모스
(Sergio Ramos) |
레알 마드리드 CF 파리 생제르맹 FC 세비야 FC |
★★★★ 4회 |
|||||
11 |
라이언 긱스 (Ryan Giggs)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 141회 |
★★ 2회 |
|||
12 |
루카 모드리치
(Luka Modrić) |
토트넘 홋스퍼 FC 레알 마드리드 CF |
132회 |
★★★★★★ 6회 |
|||
13 |
안드레스 이니에스타 (Andrés Iniesta) |
FC 바르셀로나 | 130회 |
★★★★ 4회 |
|||
14 |
세르히오 부스케츠
(Sergio Busquets) |
FC 바르셀로나 | 129회 |
★★★ 3회 |
|||
15 |
제라르 피케 (Gerard Piqué)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FC 바르셀로나 |
128회 |
★★★★ 4회 |
|||
16 |
클라렌스 세도르프 (Clarence Seedorf) |
AFC 아약스 레알 마드리드 CF AC 밀란 |
125회 |
★★★★ 4회 |
|||
로베르트 레반도프스키
(Robert Lewandowski)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FC 바이에른 뮌헨 FC 바르셀로나 |
★ 1회 |
|||||
18 |
폴 스콜스 (Paul Scholes)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 124회 |
★★ 2회 |
|||
잔루이지 부폰 (Gianluigi Buffon) |
파르마 칼초 1913 유벤투스 FC 파리 생제르맹 FC |
0회 | |||||
즐라탄 이브라히모비치 (Zlatan Ibrahimović) |
AFC 아약스 유벤투스 FC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FC 바르셀로나 AC 밀란 파리 생제르맹 FC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
0회 | |||||
21 |
호베르투 카를루스 (Roberto Carlos) |
레알 마드리드 CF 페네르바흐체 SK |
120회 |
★★★ 3회 |
|||
페페 (PePe) |
FC 포르투 레알 마드리드 CF 베식타스 JK |
★★★ 3회 |
|||||
23 |
샤비 알론소 (Xabi Alonso) |
레알 소시에다드 리버풀 FC 레알 마드리드 CF FC 바이에른 뮌헨 |
119회 |
★★ 2회 |
|||
24 |
데이비드 알라바
(David Alaba) |
FC 바이에른 뮌헨 레알 마드리드 CF |
117회 |
★★★★ 4회 |
|||
25 |
카를레스 푸욜 (Carles Puyol) |
FC 바르셀로나 | 115회 |
★★★ 3회 |
|||
26 |
티에리 앙리 (Thierry Henry) |
AS 모나코 FC 아스날 FC FC 바르셀로나 |
112회 |
★ 1회 |
|||
필립 람 (Philipp Lahm) |
FC 바이에른 뮌헨 VfB 슈투트가르트 |
★ 1회 |
|||||
28 |
페트르 체흐 (Petr Čech) |
AC 스파르타 프라하 첼시 FC 아스날 FC |
111회 |
★ 1회 |
|||
다니 알베스 (Dani Alves) |
세비야 FC FC 바르셀로나 유벤투스 FC 파리 생제르맹 FC |
★★★ 3회 |
|||||
앙헬 디 마리아
(Ángel Di María) |
SL 벤피카
레알 마드리드 CF 파리 생제르맹 FC 유벤투스 FC |
★ 1회 |
|||||
31 |
아르연 로번 (Arjen Robben) |
PSV 에인트호번 첼시 FC 레알 마드리드 CF FC 바이에른 뮌헨 |
110회 |
★ 1회 |
|||
32 |
파올로 말디니 (Paolo Maldini) |
AC 밀란 | 109회 |
★★★★★ 5회 |
|||
게리 네빌 (Gary Neville)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
★★ 2회 |
|||||
존 테리 (John Terry) |
첼시 FC |
★ 1회 |
|||||
35 |
안드레아 피를로 (Andrea Pirlo) |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AC 밀란 유벤투스 FC |
108회 |
★★ 2회 |
|||
애슐리 콜 (Ashley Cole) |
아스날 FC 첼시 FC AS 로마 |
★ 1회 |
|||||
파트리스 에브라 (Patrice Evra) |
AS 모나코 FC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유벤투스 FC |
★ 1회 |
|||||
38 |
데이비드 베컴 (David Beckham)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레알 마드리드 CF AC 밀란 파리 생제르맹 FC |
107회 |
★ 1회 |
|||
39 |
빅토르 발데스 (Víctor Valdés) |
FC 바르셀로나 | 106회 |
★★★ 3회 |
|||
40 |
프랭크 램파드 (Frank Lampard) |
첼시 FC 맨체스터 시티 FC |
105회 |
★ 1회 |
|||
티아고 실바
(Thiago Silva) |
AC 밀란 파리 생제르맹 FC 첼시 FC |
★ 1회 |
|||||
42 |
세스크 파브레가스 (Cesc Fàbregas) |
아스날 FC FC 바르셀로나 첼시 FC |
104회 | 0회 | |||
43 |
올리버 칸 (Oliver Kahn) |
FC 바이에른 뮌헨 | 103회 |
★ 1회 |
|||
루이스 피구 (Luís Figo) |
FC 바르셀로나 레알 마드리드 CF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
★ 1회 |
|||||
페르난지뉴
(Fernandinho) |
샤흐타르 도네츠크 맨체스터 시티 FC |
0회 | |||||
46 |
마르셀루
(Marcelo) |
레알 마드리드 CF | 102회 |
★★★★★ 5회 |
|||
일카이 귄도안
(İlkay Gündoğan)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맨체스터 시티 FC FC 바르셀로나 |
★ 1회 |
|||||
48 |
코케
(Koke) |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 101회 | 0회 | |||
앙투안 그리즈만
(Antoine Griezmann) |
레알 소시에다드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FC 바르셀로나 |
0회 | |||||
50 |
안드리 셰브첸코 (Andriy Shevchenko) |
FC 디나모 키이우 AC 밀란 첼시 FC |
100회 |
★ 1회 |
|||
|
|||||||
※ 현재 기록은 2024-25 UEFA 챔피언스 리그 리그 페이즈 4R 종료 후 기준이고 매 경기가 종료될 때마다 업데이트 됩니다. |
11. 최다 우승 선수
12. 최다 우승 감독
- 최다 연속 우승 감독은 지네딘 지단으로, 3회 연속 우승했다.
- 선수와 감독으로 우승한 인물은 7명
- 미겔 무뇨스 (선수: 1956, 1957, 1958 / 감독: 1960, 1966)
- 조반니 트라파토니 (선수: 1963, 1969 / 감독: 1985)
- 요한 크루이프 (선수: 1971, 1972, 1973 / 감독: 1992)
- 카를로 안첼로티 (선수: 1989, 1990 / 감독: 2003, 2007, 2014, 2022, 2024)
- 프랑크 레이카르트 (선수: 1989, 1990, 1995 / 감독: 2006)
- 펩 과르디올라 (선수: 1992 / 감독: 2009, 2011, 2023)
- 지네딘 지단 (선수: 2002 / 감독: 2016, 2017, 2018)
순위 | 감독 | 국적 | 우승 횟수 | 우승 연도 | 우승 클럽 |
1 | 카를로 안첼로티 | 이탈리아 | 5회 | 2003, 2007, 2014, 2022, 2024 |
AC 밀란 (2003, 2007) 레알 마드리드 CF (2014, 2022, 2024) |
2 | 밥 페이즐리 | 잉글랜드 | 3회 | 1977, 1978, 1981 | 리버풀 FC |
펩 과르디올라 | 스페인 | 2009, 2011, 2023 |
FC 바르셀로나 (2009, 2011) 맨체스터 시티 FC (2023) |
||
지네딘 지단 | 프랑스 | 2016, 2017, 2018 | 레알 마드리드 CF | ||
5 | 호세 비야롱아 | 스페인 | 2회 | 1956, 1957 | 레알 마드리드 CF |
루이스 카르닐리아 | 아르헨티나 | 1958, 1959 | 레알 마드리드 CF | ||
미겔 무뇨스 | 스페인 | 1960, 1966 | 레알 마드리드 CF | ||
벨라 구트만 | 헝가리 | 1961, 1962 | SL 벤피카 | ||
네레오 로코 | 이탈리아 | 1963, 1969 | AC 밀란 | ||
엘레니오 에레라 | 프랑스 | 1964, 1965 |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 ||
에른스트 하펠 | 오스트리아 | 1970, 1983 |
페예노르트 로테르담 (1970) 함부르크 SV (1983) |
||
슈테판 코바치 | 루마니아 | 1972, 1973 | AFC 아약스 | ||
데트마어 크라머 | 독일 | 1975, 1976 | FC 바이에른 뮌헨 | ||
브라이언 클러프 | 잉글랜드 | 1979, 1980 | 노팅엄 포레스트 FC | ||
아리고 사키 | 이탈리아 | 1989, 1990 | AC 밀란 | ||
오트마어 히츠펠트 | 독일 | 1997, 2001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1997) FC 바이에른 뮌헨 (2001) |
||
유프 하인케스 | 독일 | 1998, 2013 |
레알 마드리드 CF (1998) FC 바이에른 뮌헨 (2013) |
||
알렉스 퍼거슨 | 스코틀랜드 | 1999, 2008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 ||
비센테 델보스케 | 스페인 | 2000, 2002 | 레알 마드리드 CF | ||
주제 무리뉴 | 포르투갈 | 2004, 2010 |
FC 포르투 (2004)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2010) |
13. 기타
13.1. 개인별 기록
- 챔피언스 리그 최다 득점왕은 크리스티아누 호날두로 7번 득점왕을 차지했다.[7]
- 챔피언스 리그 최다 연속 득점왕은 크리스티아누 호날두로 6회 연속 득점왕이다.[8]
- 챔피언스 리그 단일 시즌 최다 득점 기록은 크리스티아누 호날두의 17골이다.[9]
- 챔피언스 리그 단일 시즌 토너먼트 최다 득점 기록은 페렌츠 푸스카스의 12골이다.[10]
- 챔피언스 리그 최다 연속 득점 기록은 크리스티아누 호날두의 11경기 연속 득점이다.[11]
- 챔피언스 리그 통산 최다 골 기록은 크리스티아누 호날두의 140골이다.[12]
- 챔피언스 리그 통산 최다 도움 기록은 크리스티아누 호날두의 42어시스트이다.
- 챔피언스 리그 최다 승 기록을 보유한 선수는 크리스티아누 호날두로 111승을 기록했다.[13][14]
- 챔피언스 리그 준결승 최다 출전 선수는 크리스티아누 호날두로 21경기이다.
- 챔피언스 리그 준결승 최다 득점자는 크리스티아누 호날두로 13골을 기록 중이다.
- 챔피언스 리그 준결승 단일 경기 최다 득점자는 로베르트 레반도프스키의 4골이다.[15]
- 챔피언스 리그 특정 팀 상대 최다 골 기록을 보유한 선수는 크리스티아누 호날두다.[16]
- 챔피언스 리그 단일 구단 최다 득점 기록은 리오넬 메시의 120골이다.[17]
- 챔피언스 리그 최다 시즌 연속 득점 기록은 리오넬 메시와 카림 벤제마의 18시즌 연속 득점이다.[18]
- 챔피언스 리그 단일 경기 최다 득점 기록은 리오넬 메시[19]와 루이스 아드리아누[20], 엘링 홀란드[21]의 5골이다.
- 챔피언스 리그 단일경기 최다 드리블 돌파 기록은 16회로 리오넬 메시와 네이마르 주니오르가 가지고 있다.[22]
- 챔피언스 리그 단일 시즌 최다 도움 기록은 제임스 밀너와 루이스 피구의 9개이다.[23]
- 챔피언스 리그 최다 PK 세이브를 기록한 선수는 이케르 카시야스와 페트르 체흐이다.(총 5번)
- 챔피언스 리그 최다 클린시트를 기록한 선수는 마누엘 노이어이다.
- 챔피언스 리그 단일 경기 최다 선방 기록 보유자는 페르난도 무슬레라, 카밀 그라바라이다.(12개)[24][25]
- 챔피언스 리그 단일 시즌 최다 선방 기록 보유자는 티보 쿠르투아이다.(59개)[26]
- 챔피언스 리그 단일 시즌 최다 해트트릭 기록은 크리스티아누 호날두의 3회이다.[27][28]
- 챔피언스 리그 통산 최다 해트트릭 기록은 크리스티아누 호날두와 리오넬 메시의 8회이다.
- 챔피언스 리그 최초의 100골은 크리스티아누 호날두이다.[29][30]
- 챔피언스 리그 최소 경기 100골은 리오넬 메시이다.(123경기)[31]
- 챔피언스 리그 최소 경기 20골 득점 기록은 엘링 홀란드의 14경기이다.[32]
- 챔피언스 리그 최연소 우승 기록은 안토니우 시몽이스가 가지고 있다.(18세 144일)[33]
- 챔피언스 리그 최연소 데뷔 기록은 유수파 무코코가 가지고 있다.(16세 18일)
- 챔피언스 리그 최연소 득점 기록 보유자는 유수파 무코코이다.(16살 18일)
- 챔피언스 리그 최연소 득점왕은 엘링 홀란드이다.[34]
- 챔피언스 리그 최연소 15골 득점 기록은 엘링 홀란드가 가지고 있다.(20세 126일)[35]
- 챔피언스 리그 최연소 해트트릭 기록 보유자는 라울 곤살레스이다.(18세 113일)[36]
- 챔피언스 리그 최연소 퍼펙트 해트트릭 기록 보유자는 호드리구이다.(18세 301일)[37][38]
- 챔피언스 리그 최고령 득점 기록 보유자는 페페이다. (40세 292일)[39][40]
- 챔피언스 리그 최고령 해트트릭 기록 보유자는 페렌츠 푸스카스다.(38세 173일)[41][42]
- 챔피언스 리그 최단 시간 득점 기록은 로이 마카이의 10초이다.[43]
- 챔피언스 리그 최다 경고 보유자는 세르히오 라모스이다.[44]
- 챔피언스 리그 최단 시간 해트트릭 기록 보유자는 모하메드 살라이다.(6분 12초)[45]
- 챔피언스 리그 최장 시간 클린 시트를 기록한 선수는 옌스 레만이다.(853분)[46]
- 챔피언스 리그 결승 해트트릭 기록 보유자는 피에리노 프라티, 페렌츠 푸스카스, 알프레도 디 스테파노다.[47]
- 챔피언스 리그 결승 단일 경기 최다 득점 기록은 페렌츠 푸스카스의 4골이다.[48]
- 챔피언스 리그 킥오프 후 최단시간 해트트릭 기록 보유자는 로베르트 레반도프스키이다.(전반 23분)[49]
- 챔피언스 리그 역사상 다른 3개의 팀에서 해트트릭을 기록한 최초의 선수는 로베르트 레반도프스키이다.[50]
13.2. 대회 기록
- 1955-56 시즌은 대회 첫 시즌이다. 첫 경기는 1955년 9월 4일에 열렸으며, 홈 팀 스포르팅 CP가 FK 파르티잔을 상대로 3-3 무승부를 거뒀다. 첫 결승전은 1956년 6월 13일에 열렸으며, 결승전 장소는 파르크 데 프랭스. 우승팀은 레알 마드리드 CF로 스타드 드 랭스를 상대로 4:3 승리를 거두었다.[51] 그 외에도 자르 보호령 소속 클럽인 1. FC 자르브뤼켄이 최초이자 최후로 진출하였다. 자르 보호령이 1956년을 끝으로 독일에 흡수되어 사라졌기 때문.
- 1956-57 시즌은 처음으로 한 국가에 두 팀 이상이 진출한 대회이다. 해당 팀은 전 대회 우승팀인 레알 마드리드 CF와 라리가 우승팀 자격으로 진출한 아틀레틱 클루브.
- 1957-58 시즌은 처음으로 같은 국가의 클럽들이 맞붙은 대회이다. 레알 마드리드는 라리가를 우승했지만 전 대회 우승팀 자격으로 진출했기 때문에 라리가 준우승팀인 세비야 FC가 진출권을 획득하면서 대회에 진출, 8강에서 레알과 격돌하면서 이루어졌다. 다만 세비야는 레알 마드리드 원정에서 8-0으로 참패하였고 합계 2-10 스코어로 크게 지는 바람에 탈락하고 만다. 그 후 세비야는 정확히 50년 만에 본선 무대를 다시 밟게 되었다.
- 1958-59 시즌에 스타드 드 랭스는 결승에 다시 도달하였지만 레알 마드리드에게 0-2로 지면서 최초로 준우승을 2번 이상 경험한 구단이 되었다.
- 1959-60 시즌, 레알 마드리드는 결승전에서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를 상대로 7-3으로 이겼는데 이는 결승전 최다 스코어 기록이다. 덧붙여 레알이 우승을 거두면서 대회 역사상 전무후무한 레알 마드리드의 5연패 기록이 탄생하였다. 특이한 점은 레알은 1957-58 시즌 8강에서 세비야 FC, 1958-59 시즌 준결승에서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그리고 해당 시즌 준결승에서 FC 바르셀로나를 이겨 세 시즌 연속으로 자국 팀을 토너먼트에서 떨어트렸다는 점이다.
- 1959-60 시즌, 프랑크푸르트는 준결승전에서 레인저스 FC를 상대로 홈에서 6-1, 원정에서 6-3으로 이기며 합산 스코어 12-4를 기록했다. 이는 현재까지도 준결승전에서 1, 2차전 합계 가장 많은 점수로 승리한 사례이다. 참고로 프랑크푸르트는 결승전에서 레알 마드리드 CF에게 3-7로 지면서, 3경기 동안 15득점 11실점이라는 스탯을 쌓았다.
- 1960-61 시즌, 디펜딩 챔피언인 레알 마드리드를 16강에서 탈락시키고 결승전에 올라온 FC 바르셀로나를 SL 벤피카가 3-2로 꺾고 우승을 달성하였다. 이로써 벤피카는 두 번째 챔피언스 리그 우승 구단이 되었다.
- 1961-62 시즌, 벤피카는 결승전에서 레알 마드리드를 상대로 5-3 스코어를 기록하여 승리를 거두었고, 이로써 챔피언스 리그 연패에 성공한 두 번째 구단이 되었다.
- SL 벤피카는 1961-62 시즌에 우승을 한 이후로 현재까지 우승이 없는데, 빅 이어는 1966-67 시즌부터 우승팀에게 수여되었다. 즉, 역대 챔피언스 리그 우승팀들 중에서 빅 이어를 들어보지 못한 구단은 벤피카가 유일하다. 이것에 대해 구트만의 저주라는 흥미로운 일화가 있다. 참고로 처음 빅 이어를 들어본 구단은 1966-67 시즌 유러피언 컵 챔피언인 셀틱 FC이다.
- 1965-66 시즌 1라운드에서 SL 벤피카는 스타드 뒤들랑주를 만나 홈에서 8-0, 원정에서 10-0으로 이기면서 합산 스코어 18-0을 기록했다. 이는 토너먼트에서 1, 2차전 합계 가장 많은 점수로 승리한 경우이다.
- 1966-67 시즌부터 소련 소속의 축구 구단도 참가하였다. 이때 최초로 참가한 구단은 FC 토르페도 모스크바. 그리고 이 시즌부터 예선이 본격적으로 도입이 되었다. 그 외 셀틱 FC가 이 시즌에 우승을 달성하였는데, 유럽 최초로 트레블을 이루었으며 빅 이어도 처음으로 들어올린 구단이 되었다.
- 1970년대에 우승했던 팀들은 최소 2연속 우승을 달성하였다. 이 시기에 우승한 구단이 총 4팀인데, 이 구단들은 AFC 아약스(1970-71, 1971-72, 1972-73), FC 바이에른 뮌헨(1973-74, 1974-75, 1975-76), 리버풀 FC(1976-77, 1977-78), 노팅엄 포레스트 FC(1978-79, 1979-80)이다. 그리고 이때는 초창기 레알 마드리드 CF 5연패 시절을 제외하면, 유일하게 세리에 A 구단들이 우승을 못 했던 시기이다.
- 1971-72 시즌에는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가 홈에서 16강 상대였던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를 상대로 4-2 대승을 거두었다. 하지만 묀헨글라트바흐 원정에서 묀헨글라트바흐가 인테르를 상대로 홈에서 7-1로 대승을 거두며 역전하였다. 그러나, 한 관중이 인테르의 공격수였던 로베르토 보닌세냐를 향하여 빈 코카콜라 캔을 던져 실신시키는 사건이 일어난다. 인테르는 UEFA에 재경기를 요청하였고 UEFA는 이를 수용, 묀헨글라트바흐의 7-1 승리를 무효로 선언하고 재경기를 다시 진행하였다. 그리하여 베를린에서 열린 재경기는 0-0으로 종료. 인테르가 8강에 진출하였다.
- 1972-73 시즌 AFC 아약스가 결승전에서 유벤투스 FC를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이로써 아약스는 1970-71 시즌, 1971-72 시즌[52]에 이어 이번에도 우승컵을 들어올림으로써 레알 마드리드의 5연패 이후 첫 3연패가 나왔다. 그리하여 빅 이어를 처음으로 영구 소장하게 된 팀이 되었다.
- 1973-74 시즌에는 대회 역사상 처음으로 결승전 무승부가 나왔다. 결승 진출팀인 FC 바이에른 뮌헨과 아틀레티코 마드리드과의 경기가 헤이젤 스타디움에서 펼쳐졌지만 정규 시간 90분은 무승부로 끝났고 연장전까지 이어졌다. 이때 후반 10분 루이스 아라고네스가 선제골을 기록하였지만, 종료 직전 한스-게오르크 슈바르첸벡이 동점골을 터뜨리며 경기를 무승부로 끝내버린다. 그러나 이 당시는 아직 승부차기 도입 전이었으므로 겨우 이틀이라는 짧은 시간이 주어진 후 같은 경기장에서 재경기가 열렸고, 아틀레티코 마드리드는 1차전에서 온 힘을 쏟아붓고 만 건지 뮌헨에게 0-4로 대패하며 준우승을 하고 말았다.
- 1974-75 시즌 바이에른 뮌헨이 2연속으로 결승전에 진출하였다. 결승전 상대는 리즈 유나이티드 FC였는데 결과는 2-0으로 바이에른이 승리를 거두었다. 다만 석연치 않은 판정으로 인해 서포터들이 불만을 품고 난동을 부렸다. 그 결과로 리즈는 준우승을 거두고 나서 UEFA에 의해 유럽 대항전 출전 금지 4년이라는 중징계를 당하고 만다.
- 1975-76 시즌 바이에른 뮌헨이 3연속으로 결승전에 진출하였다. 결승전 상대는 AS 생테티엔인데 결과는 1-0으로 바이에른이 승리를 거두었다. 이로써 레알 마드리드와 아약스에 이어 3연패를 달성한 구단이 되었다. 아약스의 우승 이후에 새로 만들어진 진품 빅 이어는 3년 만에 바이에른 뮌헨이 영구 소장하게 되었다.
- 1978-79 시즌 결승전에서 노팅엄 포레스트 FC가 말뫼 FF를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이는 1부 리그로 갓 승격한 구단이 2년 만에 빅 이어를 들어 올린 것이다. 참고로 챔피언스 리그 우승팀들 중에서 우승 후 3부 리그까지 떨어져 본 팀은 노팅엄 포레스트 FC가 유일하다. AC 밀란, 유벤투스 FC, 함부르크 SV,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아스톤 빌라 FC는 승부 조작이나 성적 부진 등으로 2부 리그 강등은 겪어봤지만 그보다 아래로 내려가진 않았다.
- 1979-80 시즌 노팅엄 포레스트 FC가 함부르크 SV를 꺾고 대회 2연패를 달성했다. 이로써 유럽 최초로 리그 우승 횟수보다 유럽 대항전 우승 횟수가 앞선 구단이 되었다.
- 1981-82 시즌 유러피언 컵 우승팀 아스톤 빌라 FC는시해당 시즌 리그에서는 11위를 기록했다. 이는 현재까지도 챔피언스 리그 우승팀들 중에서 가장 리그 성적이 저조한 기록이다. 시즌 도중 감독이 론 손더스에서 토니 바튼으로 교체되었다. 역대 우승팀들 중 우승 시즌에 리그에서 10위권 밖으로 나간 건 1975년 우승팀 FC 바이에른 뮌헨[53]과 이때의 아스톤 빌라 밖에 없다. 아스톤 빌라는 결승에서 뮌헨을 꺾고 우승하면서 7년 전 뮌헨이 달성했던 리그 최저 성적 기록까지 깨부쉈다.
- 챔피언스 리그 최다 준우승팀은 유벤투스 FC로 총 7번 기록했다. 결승전 승률을 보면 매우 처참한데, 9번 진출해 2번 우승과 7번의 준우승을 기록하여 승률이 고작 22%이다. 17회 결승에 진출해 14회 우승하여 승률 82%인 레알 마드리드와는 완전 딴판이다. 그 뒤를 이어서 SL 벤피카와 FC 바이에른 뮌헨이 총 5번 준우승을 거두면서 동률을 이루고 있다.
- 역대 우승팀들 중에서 통산 랭킹이 가장 낮은 팀은 2022년 기준 94위의 아스톤 빌라 FC이다. 아스톤 빌라는 2시즌 참가하여 15경기 9승 3무 3패를 기록하였다. 그 다음은 노팅엄 포레스트 FC로, 이 팀은 두 번이나 우승을 했음에도 통산 랭킹은 2022년 기준 82위이다. 노팅엄 포레스트는 3시즌 참가하여 20경기 12승 4무 4패를 기록하였다. 참고로 우승이 없는 팀들 중에서 가장 랭킹이 높은 팀은 아스날 FC이다. 아스날은 21시즌 참가하여 187경기 88승 42무 57패를 기록하였다.
- 1984-85 시즌 헤이젤 참사가 벌어진 결승전에서 리버풀 FC는 유벤투스 FC에게 0-1로 패배했고, 10년전 리즈가 그랬듯이 준우승 구단인 리버풀은 곧바로 유럽 대항전 출전 금지 6년이라는 징계를 받으며 이 경기는 붉은 제국이라 불렸던 1980년대 리버풀의 마지막 유러피언 컵 결승전이 돼버렸다.
- 챔피언스 리그 예선 통산 랭킹 1위는 GNK 디나모 자그레브이며[54], 디자모 자그레브는 챔피언스 리그 예선 통산 106경기 59승 24무 23패 198득점 107실점 득실 91로 최다 출장, 최다 승, 최다 득점, 최다 득실 차 기록을 보유하고 있으며, 최초로 예선에서만 통산 승점 200점을 넘은 구단이 되었다.
- 1985-86 시즌 유러피언 컵 결승전은 CSA 스테아우아 부쿠레슈티와 FC 바르셀로나의 맞대결이었는데, 승부차기에서 바르셀로나가 사연뻥을 시전하며 패배하였고, 스테아우아가 우승을 차지하였다. 덕분에 동유럽 최초 우승팀 타이틀은 스테아우아가 가져갔으며 현재까지 챔피언스 리그 역사에서 사연뻥을 시전한 팀은 바르셀로나가 유일하다. 그 외에도 앙겔 요르더네스쿠라는 스테아우아 선수가 후반전에 투입됐는데, 문제는 이 선수가 사실 이미 축구선수로서 은퇴한 스테아우아의 수석 코치였다는 것이다. 1984년을 끝으로 유니폼을 벗었고, 2년 가까이 경기를 뛰지 않았음에도 스테아우아가 처음으로 결승에 올라가자 빅 이어는 들어보고 싶었던지 수석 코치가 직접 뛰어서 결국 우승까지 일조해낸다. 그 직후 요르더네스쿠는 후임 감독으로 취임하여 팀의 104경기 리그 무패 기록을 이끌어낸다. 참고로 이 양반은 루마니아 축구 국가대표팀이 최초로 월드컵 8강에 올라갔을 때 감독을 맡기도 했다. 1986년 유럽 챔피언 자리에 올랐던 스테아우아의 감독과 수석 코치가 국가대표팀까지 맡았던 시기가 루마니아 축구의 최전성기였다.
- 1987-88 시즌 1라운드에서 알바니아의 구단인 FK 파르티자니 티라나는 SL 벤피카 원정을 떠났으나 하라는 축구는 안하고 UFC만 잔뜩하였다. 전반에 아르얀 하메타이가 자책골을 넣으며 파르티자니가 0-1로 밀리고 있었는데, 후반 들어서 단체로 정신줄을 놨는지 자책골을 넣었던 하메타이를 포함한 4명의 선수가 폭력을 구사하여 다이렉트 퇴장을 당하였고, 다른 한 명은 옐로 카드를 받았다. 후반전에만 레드 카드 4장, 옐로 카드 1장을 다 한 팀에서 수집하고 있던 상황. 결국 스코어는 4-0으로 벤피카의 대승으로 끝났지만 한 팀의 필드 플레이어가 절반 가까이 퇴장당한 막장 경기에 UEFA는 분노, 1차전 경기를 무효로 만들어 파르티자니 티라나의 몰수패를 선언하고 바로 벤피카를 다음 라운드 진출 팀으로 결정해버린다.
- 1987-88 시즌 8강전부터 결승전까지 PSV 에인트호번은 무승부를 기록하였다. 챔피언스 리그 토너먼트에서 5연속 무승부로 우승을 거둔 팀은 PSV 에인트호번이 최초다. 거스 히딩크가 PSV 지휘봉을 잡던 당시 8강에서 에메 자케가 지휘하는 FC 지롱댕 드 보르도를 만나게 되었다. PSV는 보르도를 상대로 1, 2차전 합계 스코어 1-1로 무승부였으나 보르도 홈에서 기록한 스코어라서 원정 다득점 원칙으로 PSV가 준결승에 진출했다. 그리고 준결승에서 만난 상대가 레알 마드리드 CF인데 8강전 때와 똑같이 합계 스코어가 1-1였고, 이것 또한 레알 홈에서 기록한 스코어라 원정 다득점 원칙으로 결승에 진출한다. 대망의 결승에서 만나게 된 SL 벤피카는 디펜딩 챔피언이던 CSA 스테아우아 부쿠레슈티를 준결승에서 꺾고 올라온 강호였다. 결승에서도 연장전까지 갔으나 스코어는 0-0이었고, 결국 승부차기 끝에 PSV가 승리하여 빅 이어를 거머쥐게 된다. PSV는 이 시즌 9경기에서 3승밖에 거두지 못했지만 빅 이어까지 들어올리면서 챔피언스 리그 역사상 가장 적은 승리로 우승을 차지한 구단이 되었다. 한편 벤피카가 준우승을 거두면서 구트만의 저주는 깨지지 않고 계속 이어지게 된다.
- 1988-89 시즌 16강전에서 FK 츠르베나 즈베즈다는 AC 밀란을 상대로 홈에서 2차전을 치르고 있었다. 데얀 사비체비치의 선제골로 츠르베나 즈베즈다가 앞서갔으나 짙은 안개로 인해 65분 만에 경기는 중단, 스코어는 무효 처리되고 경기는 다음 날로 미뤄진다. 다음 날 열린 재경기에서는 1-1로 비겼고 합산 스코어 2-2가 되어 승부차기까지 간 끝에 AC 밀란이 다음 라운드에 진출한다.
- 1989-90 시즌 16강전에서 AC 스파르타 프라하는 PFC CSKA 소피아를 상대로 자기들의 구장이 아닌 300km나 떨어져 있는 FC 스파르타크 트르나바의 구장을 빌려 홈 경기를 치렀다. 직전에 벌어진 1라운드로 인해 스파르타 프라하의 경기장이 UEFA로부터 사용 정지를 당하여 홈 구장에서 300km 정도 떨어진 곳에 경기를 해야 했기 때문이었다.
- 1990-91 시즌 8강전에서는 무려 두 팀이 몰수패를 당했다. AC 밀란과 SG 디나모 드레스덴이 그 주인공. 디나모 드레스덴의 경우 FK 츠르베나 즈베즈다를 상대로 2차전 홈 경기를 펼쳤지만 드레스덴 관중들의 폭동으로 인해서 0-3 몰수패 처리, 합산 스코어 0-6이 되며 츠르베나 즈베즈다가 다음 라운드에 진출한다. 당시 2연속 우승을 기록한 디펜딩 챔피언 AC 밀란은 원정에서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와 경기를 치르고 있었다. AC 밀란이 0-1로 끌려가던 중 경기장의 투광 조명 2개가 꺼지는 바람에 경기가 잠깐 중단되었고, 15분 후 조명이 수리되어 경기를 재개하려는 찰나, 밀란이 이를 거부하고 UEFA에 재경기를 요청하는 뗑깡을 부린다. 이에 UEFA는 괘씸죄로 0-3 몰수패 처리를 해버리면서 합산 스코어 1-4로 밀란은 그대로 탈락한다. 이걸로도 부족했는지 UEFA는 밀란에게 1년간 유럽 대항전 출전 금지라는 추가 징계까지 때려버렸다.
- FK 츠르베나 즈베즈다는 1991년 유고슬라비아 구단 최초로 빅 이어를 들게 됐지만, 1년도 지나지 않아 유고슬라비아 전쟁이 발발하여 리그가 공중분해되고 말았다.
- 1991-92 시즌 유러피언 컵은 조별 리그가 처음으로 도입된 시즌이었다. 다만 승리 시 승점은 2점, 무승부는 1점, 패배는 승점이 없으며, 조별 리그에서 1위를 기록한 팀끼리 결승전에서 맞붙었다. 이러한 조별 리그 포맷은 현재까지도 이어오게 되지만, 1992-93 시즌부터 이름이 UEFA 챔피언스 리그로 바뀌었기에, 유일한 유러피언 컵 조별 리그가 있는 대회였다. 당시 유러피언 컵 조별 리그에 참가한 팀 중에서 오직 UC 삼프도리아만이 UEFA 챔피언스 리그 조별 리그에 진출하지 못하고 있다. 그리고 FC 바르셀로나가 구단 역사상 첫 우승을 차지하면서 엘 클라시코의 주인공들이 유러피언 컵의 처음과 마지막을 장식하게 되었다.
- 1992-93 시즌 AC 밀란은 대회 역사상 처음으로 조별 리그에서 전승을 거두며 결승까지 올라왔지만,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에게 0-1로 패해 준우승에 그쳤다.
- 마르세유는 구단 창단 첫 챔피언스 리그 우승 및 프랑스 리그 소속팀 최초 챔피언스 리그 우승을 기록했지만 1992-93 시즌 리그 마지막 경기였던 발랑시엔 FC와의 경기에서 승부조작 사실이 발각되면서 1993-94 시즌 챔피언스 리그 진출 자격이 박탈되었다.
- 1993-94 시즌에는 조별 리그 통과 후에 결승전이 아닌 준결승전에 진출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AC 밀란은 결승전에서 FC 바르셀로나를 만나 4-0으로 대승을 거뒀다. 이로 인해 밀란이 챔피언스 리그로 개편된 이후 결승전에서 가장 큰 점수 차로 승리한 클럽이 되었다. 밀란은 유러피언 컵 시절인 1988-89 시즌에도 결승전에서 CSA 스테아우아 부쿠레슈티를 4-0으로 이겼던 적이 있다.
- 1994-95 시즌 AC 밀란은 디펜딩 챔피언임에도 불구하고, AFC 아약스와 3번(조별 리그 2경기와 결승전) 만나 전부 패배하였다. 한 팀에게 3번이나 진 것은 AC 밀란이 유일하다. 그리고 조별 리그에서 1위와 2위를 거둔 팀이 결승전에 맞붙은 것도 최초. 조별 리그 방식도 통과하면 준결승전에 진출하는 게 아닌, 8강에 진출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참고로 1999-2000 시즌 레알 마드리드가 바이에른에 조별 리그에서 2패를 하고 4강에서 다시 만나 1승 1패를 하여 전적상으로는 총 1승 3패를 거두었으나, 그 1승으로 바이에른을 제압하고 결승에 올라갔다.
- 1995-96 시즌 조별 리그 승점이 승리 시 2점에서 3점으로 변경되었다. 유벤투스 FC가 이 대회에서 디펜딩 챔피언인 AFC 아약스를 승부차기 끝에 승리를 거두며 간신히 우승을 차지하였는데, 이후 올라온 5번의 결승전에서는 전부 패하면서 2022년 현재까지 마지막 우승으로 남아 있다.
- 1996-97 시즌 보스만 판결이 적용되어 경기 일정에 따른 외국인 선수의 제한 규정이 폐지되었다. 보루시아 도르트문트가 조별 리그를 2위로[55] 통과하여 토너먼트에 진출했고 AJ 오세르,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를 차례 차례 꺾으며 결승전에 진출, 디펜딩 챔피언 유벤투스 FC를 상대로 3-1로 승리를 거두며 구단 역사상 첫 빅 이어를 들었다.[56] 도르트문트의 우승으로 인해 1991-92 시즌 최초로 조별 리그가 도입된 이래 조별 리그 2위로 다음 라운드에 진출한 구단이 처음으로 우승을 달성한 기록이 되었다. 그 외에도 통일 이후 독일 구단의 첫 우승이 되었다.
- 1997-98 시즌 처음으로 티켓이 확장되어 리그 챔피언이 아닌 구단도 대회에 참가할 수 있었다. 이 혜택을 처음으로 받은 구단이 FC 바르셀로나, 파르마 AC, 뉴캐슬 유나이티드 FC, 파리 생제르맹 FC, 바이어 04 레버쿠젠, 페예노르트 로테르담, 스포르팅 CP, 베식타스 JK로 총 8팀이 있으며, 이들은 전부 각자 소속 리그에서 준우승을 거둔 팀들이다. 이중 레버쿠젠을 비롯한 디펜딩 챔피언인 도르트문트, 분데스리가 우승팀인 바이에른 뮌헨이 대회에 참가하게 되었는데, 이로 인해 최초로 한 리그에 3팀 이상이 출전한 기록을 세우게 되었다. 참고로 도르트문트와 바이에른 뮌헨은 챔피언스 리그 8강전에서 맞붙었고 결과는 도르트문트의 1:0 승리를 거두며 준결승전에 진출하였다. 이는 분데스리가 팀끼리 최초로 토너먼트에서 만난 사례이다.
- 챔피언스 리그 개편 이후 가장 적은 승리로 우승을 한 팀은 1998-99 시즌 우승팀인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이다. 맨유는 11경기에서 5승밖에 거두지 못했다. 하지만 맨유는 이기지 못한 경기에서 지지도 않았다. 5승 6무 0패로 무패 우승을 달성했다.
- 1998-99 시즌 유벤투스 FC는 조별 리그에서 1승을 거두고도(1승 5무) 1위로 다음 라운드에 진출했다. 이는 2022년까지도 유일한 기록이다.
- 1998-99 시즌 챔피언스 리그 결승전에서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는 FC 바이에른 뮌헨한테 0-1로 지고 있다가 후반 인저리 타임에 2골을 터뜨리며 역전승을 거두었다. 전 시즌 자국 리그에서 우승하지 못했지만 빅 이어를 들어올린 건 이때의 맨유가 처음이다. 자세한 내용은 캄 노우의 기적(1999년) 참조.
- 1997-98 시즌부터 2022-23 시즌까지 레알 마드리드 CF는 26회 연속 출전하며 챔피언스 리그 최장 기간 연속 출전 기록을 세웠다.
- 가장 많은 승점으로 조별 리그를 탈락한 팀은 1997-98 시즌 파리 생제르맹 FC와 2013-14 시즌 SSC 나폴리로, 두 팀은 조별 리그에서 승점 12점을 얻었지만 탈락하고 말았다. 1997-98 시즌 PSG의 경우는 각 조 2위 팀 중 3팀만 진출하는 챔스 룰로 인한 것이고, 2013-14 시즌 나폴리는 세 팀이 동률을 이뤄서 탈락을 했다.
- 조별 리그에서 무실점을 기록한 팀은 없으며, 1실점만 기록한 팀은 10팀이나 있다. 1992-93 AC 밀란 , 1995-96 AFC 아약스, 1996-97 , 2004-05 유벤투스 FC, 2005-06 비야레알 CF/ 리버풀 FC/ 첼시 FC, 2010-11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2014-15 AS 모나코 FC, 2015-16 파리 생제르맹 FC, 2017-18 FC 바르셀로나, 2020-21 맨체스터 시티 FC가 기록했다. 공교롭게도 이 10팀은 모두 조별 리그 성적과 달리 우승은 하지 못했다. 다만, 볼드체를 해놓은 해당 시즌의 팀들은 결승 진출에는 성공했다.
- 2001-02 시즌 바이어 04 레버쿠젠이 결승에 진출하여 역대 최초로 리그 우승이 없는 구단이 결승에 진출하는 기록을 세웠다.
- 2002-03 시즌 조별 리그[57]에서 AEK 아테네 FC는 6무를 기록하면서 3위로 탈락하였다. 조별 리그 6경기에서 전승을 기록한 경우는 총 10번, 조별 리그 6경기에서 전패를 기록한 경우는 21번으로 여러 차례 있었지만 6무를 기록한 건 AEK 아테네가 유일하다.
- 2002-03 시즌 준결승에서 같은 홈 경기장을 쓰는 AC 밀란과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가 맞붙어서 1차전 0-0, 2차전 1-1로 합산 스코어가 1-1이 되었는데, AC 밀란이 승부차기 없이 곧바로 결승전에 진출하게 되었다. 왜냐하면 AC 밀란이 원정 경기로 지정된 2차전에서 득점을 올린 덕분에 원정 다득점 원칙이 적용되었기 때문. 이러한 경우는 홈&어웨이 구분이 무의미한 것처럼 보일 수도 있지만, 입장권 판매 규정상 홈 경기로 지정된 팀(1차전은 밀란, 2차전은 인테르)의 팬들이 관중석의 다수를 점한 채 경기가 치러지기 때문에 홈&어웨이의 의미가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같은 경기장을 공유하는 두 팀이 홈&어웨이 토너먼트에서 만났을 때 어느 팀이 어느 경기에서 홈&어웨이로 간주되는지 정하는 명목상의 정의가 승부에 어떻게 영향을 끼치는지를 보여준 좋은 예시라고 할 수 있다.
- 2002-03 시즌 FC 스파르타크 모스크바는 조별 리그에서 전패로 탈락하였는데, 1995-96 시즌에는 전승으로 통과한 적이 있다. 전승과 전패를 전부 경험한 구단은 스파르타크 모스크바가 유일하다.
- 조별 리그 첫 3경기에서 3패를 기록하고도 다음 라운드에 진출한 팀은 2002-03 시즌 뉴캐슬 유나이티드 FC와 2019-20 시즌 아탈란타 BC 2팀이 있다.
- 2003-04 시즌은 이변의 연속이었다. 8강에선 리아소르의 기적이 일어났고, 준결승에 진출한 4팀들이 FC 포르투, AS 모나코 FC, 데포르티보 라 코루냐, 첼시 FC였는데, 각각 전 시즌 리그에서 1위, 2위, 3위, 4위를 기록하였다. 우승은 FC 포르투가 차지했다. 이는 1986-87 시즌 이후 17년 만의 우승이었다. 공교롭게도 1987년 당시 결승 상대였던 FC 바이에른 뮌헨은 이탈리아어로 바이에른 모나코라고 불린다. 그런데 2004년 결승 상대였던 팀 이름이 AS 모나코 FC이다.[58]
- 2009-10 시즌에 우승을 달성한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가 우승의 텀이 가장 긴 구단이다. 1964-65 시즌 우승 이후 다시 우승하는 데 무려 45년이 걸렸다. 덧붙여서 챔스 우승팀들 중에서 유일하게 처음 3경기를 승리하지 못한 구단이다.
- 2010-11 시즌 4강 경기부터 2013-14 시즌 8강 경기까지 레알 마드리드 CF는 총 34경기에서 모두 득점을 올리면서 연속 경기 득점 기록을 세웠다.[60]
- 2012-13 시즌 디펜딩 챔피언이었던 첼시 FC는 조별 리그에서 탈락하고 말았다. 챔피언스 리그 디펜딩 챔피언이 조별 리그에서 탈락한 건 첼시가 유일하다.
- 결승에 전 시즌 자국 리그에서 우승하지 못했던 팀들만 올라온 경우는 총 7번이 있었다. 일단 5번은 1998-99 시즌의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2위)와 FC 바이에른 뮌헨(2위), 1999-2000 시즌의 레알 마드리드 CF(2위)와 발렌시아 CF(4위), 2006-07 시즌의 AC 밀란(3위)과 리버풀 FC(3위), 2011-12 시즌의 첼시 FC(2위)와 FC 바이에른 뮌헨(3위), 2018-19 시즌의 토트넘 홋스퍼 FC(3위)와 리버풀 FC(4위)이다. 나머지 2번이 레알 마드리드 CF와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의 2014년, 2016년 결승전인데, 둘 다 전 시즌 리그 1, 2, 3위가 바르셀로나-레알-아틀레티코 순서였다.
- 챔피언스 리그 개편 이후 토너먼트 경기에서 가장 큰 점수 차로 승리한 클럽은 FC 바이에른 뮌헨으로, 2011-12 시즌 16강 2차전 FC 바젤전에서 7-0으로 승리, 2014-15 시즌 16강 2차전 FC 샤흐타르 도네츠크전에서도 7-0으로 승리했다. 또한 개편 이후 챔피언스 리그 토너먼트에서 1, 2차전 합계 가장 많은 점수로 이긴 클럽 역시 바이에른 뮌헨으로, 2008-09 시즌 16강에서 스포르팅 CP를 상대로 홈에서 7-1, 원정에서 5-0으로 합계 12-1으로 승리했다.
- 챔피언스 리그 개편 이후 준결승에서 1, 2차전 합계 가장 많은 점수로 이긴 클럽은 FC 바이에른 뮌헨으로, 2012-13 시즌 준결승에서 FC 바르셀로나를 만나 합산 스코어 7-0(1차전 4-0, 2차전 3-0)으로 승리했다.
- 2014-15 시즌 레알 마드리드 CF는 전승으로 조별 리그를 통과했다. 2011-12 시즌 조별 리그에서 거둔 전승까지 포함하면 레알 마드리드는 최초로 조별 리그에서 두 번 이상 전승을 거둔 구단이다.[61][62] 조별 리그 전승 기록은 현재까지 단 아홉 구단만이 보유 중인데, 레알 마드리드 외에 AC 밀란, 파리 생제르맹 FC, FC 스파르타크 모스크바, FC 바르셀로나, 바이에른 뮌헨, AFC 아약스, 리버풀 FC, 맨체스터 시티가 있다. 단 여기서 우승까지 차지한 경우는 19-20 시즌의 바이에른 뮌헨과 23-24시즌의 레알 마드리드 뿐이다.
- 2016-17 시즌 조별 리그에서 보루시아 도르트문트는 레기아 바르샤바를 상대로 8-4로 승리했다. 이는 조별 리그 한 경기 최다 골 기록이다.
- 2016-17 시즌 16강전에서 FC 바르셀로나는 파리 생제르맹 FC를 만나 1차전 원정에서 0-4로 패배를 당했지만, 홈에서 열린 2차전에서 6-1로 뒤집어버리는 역전극을 연출하며 8강에 진출했다. 이는 챔피언스 리그 역사상 최초로 4점 차 패배를 뒤집은 사례이다. 자세한 내용은 캄 노우의 기적(2017년) 참조.
- 2016-17 시즌 16강전에서 AS 모나코 FC는 맨체스터 시티 FC를 만나 1차전 원정을 3-5로 내주며 패했지만, 홈에서 열린 2차전에서 3-1로 이기면서 8강에 진출했다. 합산 스코어는 6-6이었지만 원정 다득점 원칙이 적용되어 모나코는 다음 라운드에 진출했고, 맨시티는 챔피언스 리그 역사상 최초로 6골을 넣고 토너먼트에서 탈락한 팀이 되었다. 그러나 2017-18 시즌 준결승전에서 AS 로마가 리버풀 FC에게 합산 스코어 6-7로 패배하면서 맨시티에 이어서 6골을 넣고 탈락한 팀이 되었다.
- 2017-18 시즌 파리 생제르맹 FC은 조별 리그 6경기에서 25골을 뽑아내며[63] 단일 시즌 조별 리그 최다 골을 기록한 팀이 되었다.
- 2017-18 시즌 리버풀은 예선까지 포함하여 15경기 47골을 기록했다. 이는 챔피언스 리그 한 시즌 최다 득점 기록이다. 참고로 2019-20 시즌 바이에른 뮌헨은 코로나 19로 인해 결승까지 진출해도 경기 수가 11경기밖에 되지 않는 상황에서 42골을 넣었다.
- 2018-19 시즌 전까지 16강 1차전에서 원정 팀이 2-0으로 승리한 건 총 106경기가 있었으며, 이 팀들은 100% 확률로 모두 8강에 진출했다. 하지만 2018-19 시즌 16강 1차전에서 파리 생제르맹 FC에게 2-0으로 패배한 홈 팀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는 2차전 원정에서 3-1로 승리, 100% 기록을 부수고 8강에 진출하였다.
- 2018-19 시즌에 우승을 차지한 리버풀 FC는 리그 우승과 챔피언스 리그 우승의 텀이 가장 긴 구단이다. 리버풀은 리그에서 우승한 지 29년이 지났을 때 챔피언스 리그에서 우승했다. 종전 기록 역시 리버풀이 가지고 있었는데, 2004-05 시즌 챔피언스 리그 우승으로 직전 리그 우승과 15년 차이였다. 덧붙여 이게 얼마나 대단한 기록인지는 AC 밀란의 4년 텀이 무려 3위 기록이라는 것을 보면 알 수 있다. 즉 리버풀은 불멸의 기록을 거의 배로 경신한 것.
- 조별 리그 최다 득점 시즌은 2019-20 시즌으로 조별 리그에서만 308골이 나왔다.
- 2019-20 시즌 8강전에서 바이에른 뮌헨이 바르셀로나를 8-2로 대파했는데, 이는 챔피언스 리그 토너먼트 역사상 단일 경기 최다 득점/실점 기록이다. 종전의 기록은 2018-19 시즌 맨체스터 시티와 FC 샬케 04의 16강 2차전으로, 맨시티가 샬케를 7-0으로 대파했다.
- 2019-20 시즌 FC 바이에른 뮌헨이 11전 11승으로 챔피언스 리그 사상 최초의 전승 우승을 달성했다. 이후 총 15연승으로 연승을 마무리하여 역대 챔피언스 리그 본선 최다 연승 신기록도 세웠다. 본선 최다 연승의 전 기록은 바이에른 뮌헨과 레알 마드리드가 세웠던 10연승이었다.
- 2020-21 시즌 FC 바이에른 뮌헨은 조별 리그 첫 4경기를 모두 승리로 장식하여 조 1위로 16강 진출을 확정짓고 동시에 챔피언스 리그 본선 최다 연승 기록을 15연승으로 늘렸다. 연승 기록은 5라운드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원정에서 1:1 무승부를 거두며 종료되었다.
- 챔피언스 리그 역대 최장 기간 무패 행진 기록은 퍼거슨이 이끌던 2006-07~2008-09 시즌의 맨유가 가지고 있다. 이 당시 맨유는 2006-07 시즌 4강 2차전에서 AC밀란에게 3:0으로 진 이후 장장 756일간 챔스 본선 25경기 연속 무패 행진을 이어가며 이 기간 내에 빅 이어도 들어올렸고 2008-09 시즌 FC 바르셀로나와의 챔스 결승전에서 패하며 무패 행진이 마감되었다.
- 2021-22 시즌부터 원정 다득점 원칙이 폐지되었다. 이로써 원정 다득점 원칙은 1967-68 시즌부터 도입된 후, 55년 만에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 2021-22 시즌 FC 바이에른 뮌헨은 조별 리그 1차전 FC 바르셀로나 원정에서 3:0 승리를 거두면서 챔피언스 리그 원정 19경기 무패(15승 4무) 행진이라는 역대 최장 기록을 달성하였다. 이후 같은 시즌 16강 1차전 FC 레드불 잘츠부르크전 1:1 무승부까지 원정 무패를 22경기(17승 5무)로 늘렸고, 8강 1차전 비야레알 CF 원정에서 0:1 패배를 당하며 무패 행진이 마감되었다.
- 2021-22 시즌 리버풀 FC는 프리미어 리그 구단 중 최초로 조별 리그 전승을 기록했다.
- 2021-22 시즌 레알 마드리드 CF는 16강~4강에서 한 번씩 패배를 하고도 유일하게 우승을 기록한 팀이 되었다.
- 2022-23 시즌 레인저스 FC는 득실 차 -20으로 UEFA 챔피언스 리그 조별 리그 역사상 최다 마이너스 득실 차를 경신했다. 종전 기록은 2011-12 시즌의 GNK 디나모 자그레브가 기록한 -19였다.
- 2023-24 시즌 보루시아 도르트문트는 준우승을 차지하게 되면서 대회 역사상 처음으로 1회 우승 기록을 보유한 구단 중에서 2회 이상 준우승을 달성한 구단이 되었다.
- 2024-25 시즌 맨체스터 시티 FC는 MD3 AC 스파르타 프라하와의 경기에서 승리하면서 26경기 연속 무패로 챔스 역사상 최다 경기 무패를 기록한 팀이 되었다.
- 챔피언스 리그에 처음으로 참가하자 마자 우승을 차지한 구단은 현재까지 5개 팀이다.[64]
- 챔피언스 리그[65] 단일 시즌 최다 득점 우승팀은 2019-20 시즌 11경기 43득점의 FC 바이에른 뮌헨이다. 경기당 평균 득점으로 환산해도 3.91점으로 역대 최고 기록이다. 다만 우승하지 못한 팀까지 포함할 경우 단일 시즌 최다 득점 기록은 1999-2000 시즌 바르셀로나의 16경기 45득점이다. 바르셀로나는 이 당시 준결승에서 탈락했고, 경기당 평균 득점으로 따진다면 2.81골로 19-20 시즌 바이에른 뮌헨보다는 낮다.
- 챔피언스 리그[66] 단일 시즌 최소 실점 우승팀은 1981-82 시즌 9경기 2실점의 아스톤 빌라 FC와 1993-94 시즌 12경기 2실점의 AC 밀란이다.[67][68][69]
[1]
1955-56 시즌부터 2023-24 시즌까지 이 대회에 참가한 팀은 총 354팀이며, 이 중에서 오직 42팀만이 결승 무대를 밟았다.
[2]
19-20 시즌 결승전은 당초
튀르키예
이스탄불의
아타튀르크 올림픽 스타디움으로 예정되어 있었으나,
코로나 19로 인해 대회 자체가
리스본에서 8강 단판 토너먼트로 바뀌며
이스타디우 다 루스로 옮겨졌다. 이후에
20-21 시즌 결승전을
아타튀르크 올림픽 스타디움에서 개최하기로 결정했다.
[3]
20-21 시즌 결승전은 기존
튀르키예
이스탄불의
아타튀르크 올림픽 스타디움에서 열릴 예정이었지만 결승전에 잉글랜드 구단인
첼시 FC와
맨체스터 시티 FC가 나란히 올라온 가운데
코로나 19 영향으로 영국 정부가
튀르키예에 여행 적색 경보를 발령하면서 현지 팬들의 관람이 어려워진 문제로 인해 개최 장소를
포르투의
이스타디우 두 드라강으로 변경한 바 있다.
튀르키예
아타튀르크 올림픽 스타디움에서의 결승전이 다시 한 번 취소되며 2년 뒤인
22-23 시즌 결승전 때의 홈구장이 될 것이다.
21-22 시즌 결승전이 펼쳐질 경기장이 미리 결정된 상황이라 2년 뒤로 미뤄졌다고 한다. 결국
튀르키예에서의 결승전은 3년이나 미뤄지게 됐다.
[4]
21-22 시즌 결승전은 당초
FC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의 홈구장인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의
크레톱스키 스타디움으로 예정되었으나, 2022년 2월 24일에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하여 UEFA의 검토를 거쳐 결승 장소를 변경하기로 결정했다. 이로써 역대
UEFA 챔피언스 리그 최초로 3년 연속 결승전 경기장이 변경되는 기록을 세웠다. 차이점이라면 지난 두 번은 모두
코로나 19가 원인이었으나, 이번에는
전쟁으로 인해 경기장이 변경되었다..
[5]
기존
19-20 시즌 결승전이 이 경기장에서 펼쳐질 예정이었으나
코로나 19로 인하여 경기장이 변경되며 1년 뒤로 미뤄지게 되었다. 하지만 1년 뒤
20-21 시즌 결승전에서도 또 다시
코로나 19 문제로 인해 경기장이 변경되며 다시 한번 미뤄지게 되었다. 그러나 그 다음 시즌인
21-22 시즌 결승전의 경기장은 이미 결정이 되어 있던 상태였기 때문에 다시 1년 뒤로 미뤄지게 되었고 결국 3년이나 밀려나게 되었다.
[6]
준우승한 1회가
이스탄불의 기적이다.
[7]
2007-08, 2012-13, 2013-14, 2014-15, 2015-16, 2016-17, 2017-18 시즌.
[8]
2012-13 시즌부터 2017-18 시즌까지.
[9]
1위 13-14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17골
2위 15-16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16골
공동 3위 17-18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15골
공동 3위 19-20 로베르트 레반도프스키 15골
공동 3위 21-22 카림 벤제마 15골 [10] 1959-60 시즌 [11] 2016-17 시즌 유벤투스와의 결승전부터 2017-18 시즌 8강 유벤투스와의 2차전까지의 기록. [12] 2021-22 시즌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와의 16강전까지의 기록. [13] 2020년 12월 9일 FC 바르셀로나와의 조별 리그 6차전 승리 기준. [14] 2위는 101승을 기록한 이케르 카시야스. [15] 2012-13 시즌 레알 마드리드를 상대로 4강 1차전에서 달성. 당시 소속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16] 유벤투스 FC를 상대로 10골을 기록했다. [17] 2020-21 시즌 파리 생제르맹 FC와의 16강 2차전까지의 기록. [18] 2005-06 시즌부터 2022-23 시즌까지 기록. [19] 2011-12 시즌 16강 레버쿠젠전. [20] 2014-15 시즌 조별 리그 바테전. [21] 2022-23 시즌 16강 라이프치히전. [22] 메시는 2007-08 시즌 4강전에서 맨체스터 유나이티드를 상대로 기록했으며 네이마르는 2019-20 시즌 8강전 아탈란타 BC를 상대로 기록했다. [23] 제임스 밀너는 2017-18 시즌, 루이스 피구는 1999-00, 2000-01 시즌. [24] 2019-20 시즌 조별 리그 3라운드 레알 마드리드전. [25] 2022-23 시즌 조별 리그 3라운드 맨시티전. [26] 2021-22 시즌에 달성. [27] 2015-16 시즌에 달성. [28] 각각 2015년 9월 샤흐타르 도네츠크, 2015년 12월 말뫼 FF, 16년 4월 볼프스부르크와의 경기에서 달성. [29] 2016-17 시즌 8강 2차전 바이에른 뮌헨과의 홈 경기에서 달성. [30] 맨유에서 16골, 레알에서 84골이며 2005년 8월 9일 맨유 소속으로 데브레첸과의 경기에서 첫 골 후 11년 11개월 만에 달성. [31] 2017-18 시즌 16강 2차전 첼시와의 홈 경기에서 달성. [32] 2020-21 시즌 세비야 FC와의 16강 2차전 홈 경기에서 달성. [33] 챔피언스 리그 개편 이후로는 은완코 카누가 18세 296일로 최연소(94-95 아약스소속으로 기록). [34] 2020-21 시즌 달성. 역대 2위는 2008-09 시즌의 리오넬 메시. [35] 2위는 킬리안 음바페의 20세 306일. [36] 1995-96 시즌 페렌츠바로시 상대로 기록. [37] 2019-20 시즌 조별 리그 4라운드 갈라타사라이전. [38] 2위 기록은 킬리안 음바페의 20세 306일. [39] 2023-24 시즌 조별 리그 6라운드 샤흐타르 도네츠크전. [40] 이는 챔피언스 리그에서의 첫 40대 득점이기도 하다. [41] 1965-66 시즌 페예노르트 로테르담전. [42] 챔피언스 리그 개편 이후로는 카림 벤제마가 34세 108일로 최고령. 2022년 4월 6일 2021-22 시즌 8강 1차전 첼시 상대로 기록. [43] 2006-07 시즌 16강 레알 마드리드전. [44] 2019년 기준 챔피언스 리그 통산 37번의 경고. [45] 2022년 10월 13일 레인저스와의 원정 경기에서 달성. [46] 2005-06 시즌부터 2006-07 시즌까지 기록. [47] 각각 1968-69 시즌, 1959-60 & 1961-62 시즌, 1959-60 시즌에 달성. [48] 1959-60 시즌 결승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전. [49] 2021-22 시즌 16강 FC 레드불 잘츠부르크전. [50]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FC 바이에른 뮌헨, FC 바르셀로나 소속으로 기록. [51] 참고로 경기 양상은 흥미진진했다. 경기 시작 10분 만에 랭스가 2골을 먼저 넣으며 앞서갔지만 20분 만에 레알 마드리드가 동점으로 따라잡으면서 전반전을 2-2로 마쳤다. 후반전에는 랭스가 다시 골을 추가하면서 2:3이 되었지만 수비수인 마르키토스가 5분 만에 다시 동점골을 넣었고 후반 막판에 터진 엑토르 리알의 결승골로 레알 마드리드가 진땀승을 거두었다. [52] 이 시즌에는 셀틱에 이어 유럽에서 두 번째로 트레블을 거두었다. [53] 1974-75 시즌 분데스리가 10위. [54] 1966-67 시즌 이후, 2023-24 시즌까지의 챔피언스 리그 예선 기록. [55] 1위는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인데 원정 다득점으로 간신히 도르트문트를 2위로 밀어냈다. 하지만 바로 다음 라운드인 8강전에서 AFC 아약스를 만나서 결국 4-3 석패로 탈락했다. [56] 이는 창단 최초로 챔피언스 리그 결승에 진출한 팀이 우승까지 달성한 마지막 사례이며, 대회 이름이 UEFA 챔피언스 리그로 개정된 이후로는 유일한 사례다. [57] 2002-03 시즌 C조에서 레알 마드리드 CF, AS 로마, AEK 아테네 FC, KRC 헹크의 조. [58] 뮌헨은 이탈리아어로 모나코지만 모나코는 이탈리아어로 해도 모나코다. [59] 무실점을 깬 팀은 결승전 상대였던 FC 바르셀로나로, 2-1로 바르셀로나가 우승을 차지했다. [60] 보루시아 도르트문트와의 8강 2차전에게 2-0으로 패배하면서 기록이 깨졌다. [61] 레알 마드리드 이후로 해당 기록을 두 번째로 달성한 건 바이에른 뮌헨. 21-22 시즌에 달성. [62] 단, 최초로 조별 리그에서 '세 번' 전승을 거둔 건 레알 마드리드가 아니라 바이에른 뮌헨이었다. 그 이유는 레알 마드리드는 23-24 시즌 때 역대 세 번째 조별리그 전승을 거뒀고, 바이에른 뮌헨은 22-23 시즌 때 역대 세 번째 조별리그 전승을 거둠으로써 레알 마드리드보다 한 시즌 더 빨리 해당 기록을 달성했기 때문이다. [63] 25골 중 16골은 네이마르, 에딘손 카바니, 킬리안 음바페 삼각 편대가 기록했다. [64] 초대 대회인 1955-56 시즌의 레알 마드리드 CF, 1963-64 시즌의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1966-67 시즌의 셀틱 FC, 1978-79 시즌의 노팅엄 포레스트 FC, 1981-82 시즌의 아스톤 빌라 FC. [65] 전신인 유러피언 컵 포함. [66] 전신인 유러피언 컵 포함. [67] 경기당 평균 실점으로 환산하면 AC 밀란이 더 낮다. [68] 의미없는 가정이지만, 만약 1992-93 시즌 우승팀인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의 약물 복용이 유죄로 판결되어 결승전 기권패 혹은 3-0 몰수패가 인정받았다면 챔스 우승은 당시 준우승팀이었던 AC 밀란에게 돌아가게 되고 1992-93 시즌 AC 밀란은 11경기 1실점으로 챔피언스 리그 단일 시즌 최소 실점 우승 기록을 단독으로 가져가게 됐을 것이다. [69] 다만 이미 UEFA가 공소시효가 만료되었다는 이유로 마르세유의 챔스 우승 기록 양도를 기각하였던 바가 있어 차후에 다시 밀란이 챔스 우승 기록을 마르세유로부터 양도받게 될 가능성은 완전히 사라졌다. 그리고 마르세유의 약물 복용 여부는 당시 마르세유의 미드필더였던 장자크 에들리가 2006년에 출간한 자서전에서 물증 없이 언급된 것인 데다가, 실제로 결승전 당시 도핑 테스트에서는 선수단 전원 음성이 나와서 물증으로 따진다면 오히려 마르세유의 무죄를 증명하는 기록밖에 없기 때문에 설득력이 거의 없는 발언이다. 또한 이후 마르셀 드사이 등 당시 결승전에서 뛰었던 마르세유의 선수들이 해당 논란에 대해 정면으로 반박하기도 하였다. 해당 사건에 대한 대체적인 여론은 장자크 에들리가 마르세유 구단과의 불화로 인해 보복성 거짓 폭로를 했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 중론.
1위 13-14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17골
2위 15-16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16골
공동 3위 17-18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15골
공동 3위 19-20 로베르트 레반도프스키 15골
공동 3위 21-22 카림 벤제마 15골 [10] 1959-60 시즌 [11] 2016-17 시즌 유벤투스와의 결승전부터 2017-18 시즌 8강 유벤투스와의 2차전까지의 기록. [12] 2021-22 시즌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와의 16강전까지의 기록. [13] 2020년 12월 9일 FC 바르셀로나와의 조별 리그 6차전 승리 기준. [14] 2위는 101승을 기록한 이케르 카시야스. [15] 2012-13 시즌 레알 마드리드를 상대로 4강 1차전에서 달성. 당시 소속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16] 유벤투스 FC를 상대로 10골을 기록했다. [17] 2020-21 시즌 파리 생제르맹 FC와의 16강 2차전까지의 기록. [18] 2005-06 시즌부터 2022-23 시즌까지 기록. [19] 2011-12 시즌 16강 레버쿠젠전. [20] 2014-15 시즌 조별 리그 바테전. [21] 2022-23 시즌 16강 라이프치히전. [22] 메시는 2007-08 시즌 4강전에서 맨체스터 유나이티드를 상대로 기록했으며 네이마르는 2019-20 시즌 8강전 아탈란타 BC를 상대로 기록했다. [23] 제임스 밀너는 2017-18 시즌, 루이스 피구는 1999-00, 2000-01 시즌. [24] 2019-20 시즌 조별 리그 3라운드 레알 마드리드전. [25] 2022-23 시즌 조별 리그 3라운드 맨시티전. [26] 2021-22 시즌에 달성. [27] 2015-16 시즌에 달성. [28] 각각 2015년 9월 샤흐타르 도네츠크, 2015년 12월 말뫼 FF, 16년 4월 볼프스부르크와의 경기에서 달성. [29] 2016-17 시즌 8강 2차전 바이에른 뮌헨과의 홈 경기에서 달성. [30] 맨유에서 16골, 레알에서 84골이며 2005년 8월 9일 맨유 소속으로 데브레첸과의 경기에서 첫 골 후 11년 11개월 만에 달성. [31] 2017-18 시즌 16강 2차전 첼시와의 홈 경기에서 달성. [32] 2020-21 시즌 세비야 FC와의 16강 2차전 홈 경기에서 달성. [33] 챔피언스 리그 개편 이후로는 은완코 카누가 18세 296일로 최연소(94-95 아약스소속으로 기록). [34] 2020-21 시즌 달성. 역대 2위는 2008-09 시즌의 리오넬 메시. [35] 2위는 킬리안 음바페의 20세 306일. [36] 1995-96 시즌 페렌츠바로시 상대로 기록. [37] 2019-20 시즌 조별 리그 4라운드 갈라타사라이전. [38] 2위 기록은 킬리안 음바페의 20세 306일. [39] 2023-24 시즌 조별 리그 6라운드 샤흐타르 도네츠크전. [40] 이는 챔피언스 리그에서의 첫 40대 득점이기도 하다. [41] 1965-66 시즌 페예노르트 로테르담전. [42] 챔피언스 리그 개편 이후로는 카림 벤제마가 34세 108일로 최고령. 2022년 4월 6일 2021-22 시즌 8강 1차전 첼시 상대로 기록. [43] 2006-07 시즌 16강 레알 마드리드전. [44] 2019년 기준 챔피언스 리그 통산 37번의 경고. [45] 2022년 10월 13일 레인저스와의 원정 경기에서 달성. [46] 2005-06 시즌부터 2006-07 시즌까지 기록. [47] 각각 1968-69 시즌, 1959-60 & 1961-62 시즌, 1959-60 시즌에 달성. [48] 1959-60 시즌 결승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전. [49] 2021-22 시즌 16강 FC 레드불 잘츠부르크전. [50]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FC 바이에른 뮌헨, FC 바르셀로나 소속으로 기록. [51] 참고로 경기 양상은 흥미진진했다. 경기 시작 10분 만에 랭스가 2골을 먼저 넣으며 앞서갔지만 20분 만에 레알 마드리드가 동점으로 따라잡으면서 전반전을 2-2로 마쳤다. 후반전에는 랭스가 다시 골을 추가하면서 2:3이 되었지만 수비수인 마르키토스가 5분 만에 다시 동점골을 넣었고 후반 막판에 터진 엑토르 리알의 결승골로 레알 마드리드가 진땀승을 거두었다. [52] 이 시즌에는 셀틱에 이어 유럽에서 두 번째로 트레블을 거두었다. [53] 1974-75 시즌 분데스리가 10위. [54] 1966-67 시즌 이후, 2023-24 시즌까지의 챔피언스 리그 예선 기록. [55] 1위는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인데 원정 다득점으로 간신히 도르트문트를 2위로 밀어냈다. 하지만 바로 다음 라운드인 8강전에서 AFC 아약스를 만나서 결국 4-3 석패로 탈락했다. [56] 이는 창단 최초로 챔피언스 리그 결승에 진출한 팀이 우승까지 달성한 마지막 사례이며, 대회 이름이 UEFA 챔피언스 리그로 개정된 이후로는 유일한 사례다. [57] 2002-03 시즌 C조에서 레알 마드리드 CF, AS 로마, AEK 아테네 FC, KRC 헹크의 조. [58] 뮌헨은 이탈리아어로 모나코지만 모나코는 이탈리아어로 해도 모나코다. [59] 무실점을 깬 팀은 결승전 상대였던 FC 바르셀로나로, 2-1로 바르셀로나가 우승을 차지했다. [60] 보루시아 도르트문트와의 8강 2차전에게 2-0으로 패배하면서 기록이 깨졌다. [61] 레알 마드리드 이후로 해당 기록을 두 번째로 달성한 건 바이에른 뮌헨. 21-22 시즌에 달성. [62] 단, 최초로 조별 리그에서 '세 번' 전승을 거둔 건 레알 마드리드가 아니라 바이에른 뮌헨이었다. 그 이유는 레알 마드리드는 23-24 시즌 때 역대 세 번째 조별리그 전승을 거뒀고, 바이에른 뮌헨은 22-23 시즌 때 역대 세 번째 조별리그 전승을 거둠으로써 레알 마드리드보다 한 시즌 더 빨리 해당 기록을 달성했기 때문이다. [63] 25골 중 16골은 네이마르, 에딘손 카바니, 킬리안 음바페 삼각 편대가 기록했다. [64] 초대 대회인 1955-56 시즌의 레알 마드리드 CF, 1963-64 시즌의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1966-67 시즌의 셀틱 FC, 1978-79 시즌의 노팅엄 포레스트 FC, 1981-82 시즌의 아스톤 빌라 FC. [65] 전신인 유러피언 컵 포함. [66] 전신인 유러피언 컵 포함. [67] 경기당 평균 실점으로 환산하면 AC 밀란이 더 낮다. [68] 의미없는 가정이지만, 만약 1992-93 시즌 우승팀인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의 약물 복용이 유죄로 판결되어 결승전 기권패 혹은 3-0 몰수패가 인정받았다면 챔스 우승은 당시 준우승팀이었던 AC 밀란에게 돌아가게 되고 1992-93 시즌 AC 밀란은 11경기 1실점으로 챔피언스 리그 단일 시즌 최소 실점 우승 기록을 단독으로 가져가게 됐을 것이다. [69] 다만 이미 UEFA가 공소시효가 만료되었다는 이유로 마르세유의 챔스 우승 기록 양도를 기각하였던 바가 있어 차후에 다시 밀란이 챔스 우승 기록을 마르세유로부터 양도받게 될 가능성은 완전히 사라졌다. 그리고 마르세유의 약물 복용 여부는 당시 마르세유의 미드필더였던 장자크 에들리가 2006년에 출간한 자서전에서 물증 없이 언급된 것인 데다가, 실제로 결승전 당시 도핑 테스트에서는 선수단 전원 음성이 나와서 물증으로 따진다면 오히려 마르세유의 무죄를 증명하는 기록밖에 없기 때문에 설득력이 거의 없는 발언이다. 또한 이후 마르셀 드사이 등 당시 결승전에서 뛰었던 마르세유의 선수들이 해당 논란에 대해 정면으로 반박하기도 하였다. 해당 사건에 대한 대체적인 여론은 장자크 에들리가 마르세유 구단과의 불화로 인해 보복성 거짓 폭로를 했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 중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