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M18A1 Claymore Mine
|
|
|
미군이 사용하는 대인용 지향성 산탄 지뢰. 대한민국 국군의 정식 명칭은 KM-18A1 수평세열지향성지뢰. '클레이모어'가 정확한 명칭이지만 일본식 영어 발음을 들여와서, 발음이 편해서, 어원에 대한 도시전설[1] 등으로 여전히 일부에서는 '크레모아'로 부른다. 심지어 육군본부가 만든 예비군 훈련용 교육영상에서도 '크레모아'로 나온다.
별명인 '클레이모어'는 중세 스코틀랜드 하이랜더 용병의 검 클레이모어에서 따 왔다. 개발자인 노먼 맥클라우드가 스코틀랜드 사람이라서 그렇게 붙였다고 하며 개발자가 클레이모어를 전문적으로 만들던 대장장이 집안 출신이라서 그렇다는 이야기도 있다. 피카티니 조병창에서 1954년부터 개발하여 1956년에 완성되었고 1960년에 미군에 채택되었다.
개발 동기는 6.25 전쟁 당시 중국의 인해전술을 경험한 후 이를 막기 위한 것이었으며 실전 투입은 베트남 전쟁이 최초다.
C4 폭약 약 700g으로 직경 1/8 inch, 약 3mm의 쇠구슬 700여개를 발사시켜 쇠구슬의 운동 에너지로 적을 벌집으로 만들어 죽이는 무기다. 무게는 약 1.5kg으로 플라스틱제이고 가위 모양으로 접히는 두 개의 다리로 지지한다. 수동으로 유선조작하여 폭발시킨다. 설치 시 M40 테스트 세트로 테스트를 하고 발사 시에는 M57 격발기를 사용한다.
살상거리[2] 50m, 위험거리 250m(후방 25m), 발사각도 전방 120도, 폭심에서의 최초 충격파속도(폭속) 8.5km/sec[3], 충격파(폭발압력;폭압)범위 16m~18m[4], 살상 반경 기준으로 폭발높이 2m를 가지며, 폭발 시 비산하는 볼베어링의 속도는 4,000ft/s. 즉 마하 3으로 날아간다.[5]
한쪽으로만 파편을 발사하는 폭탄이라는 특징 때문에 일부 매체에서는 머리 위로 들고 격발하거나 가슴팍에 붙여놓고 다니다가 격발하는 묘사가 간혹 있는데, 어디까지나 파편의 비산방향을 한쪽으로만 집중시켰을 뿐, 폭약의 폭발로 발생하는 충격파는 360도 전(全)방향으로 퍼진다. 때문에 현실에서 작약량 700g의 클레이모어를 이렇게 몸에 붙이고 터트리는 짓은 사실상 박격포를 직사로 맞는거나 다름없는 다윈상감이다. 흔히 발목지뢰로 불리는 M14 발목지뢰의 내부 폭약량이 테트릴 28g, M67 세열수류탄의 폭약량은 Composite B로 60g, 81mm 박격포탄(HE K247) 1발에 작약이 Composite B로 900g 들어간다. 클레이모어는 위에도 나오다시피 700g으로 박격포에 준하는 양의 폭약이 들어가기 때문에 쇠구슬을 제외한 자체 폭발력만으로도 근방의 인원들을 살상하기엔 충분하다.[6]
2. 설치 및 사용법
"만약 당신이 클레이모어를 설치한 방향을 잊어버렸다면, 그 클레이모어는 당신을 향하고 있을 것이다."
"If you can't remember, the claymore is pointed toward you."
설치 시 볼록하게 나온 쪽이 적 방향으로 향하게 해야 한다. 하지만 만약 반대로 설치하면 적을 향해 날아가야 할 탄환이
아군 쪽으로 날아온다."If you can't remember, the claymore is pointed toward you."
볼록하게 나온 면이 앞쪽이다.[8] 위에 나온 사진을 보면 알겠지만 헷갈리지 말라는 의미로 클레이모어의 앞면에는 'FRONT TOWARD ENEMY'라고 친절히 대문자로 표시되어 있으며 한국군이 운용하는 내수판 클레이모어에도 한국어로 '적 방향'이라고 친절하게 써져 있다. 물론 폭발물이기 때문에 뒷쪽에 서 있어도 안심할 순 없다. 앞면 적방향이 불룩한 면을 따라 넓은 방향으로 퍼지는 쪽일 뿐 뒷면으로도 상당한 거리까지 파편이 날아온다. 이건 모든 폭발물의 공통사항이기 때문에 클레이모어라고 예외는 없으니 사용할 일이 있다면 주의해야 한다.
이후 볼록 나온 앞쪽을 적이 올 것으로 예상되는 방향으로 향하게 하고, 양쪽에 접힌 지지대 다리를 편 뒤 격발용 전선을 연결하고, 본체를 지면에 박은 다음 뒤로 물러나[9] 몸체와 전선이 보이지 않게 나뭇가지와 낙엽 등으로 잘 위장시키고, 후폭풍이 미치지 않는 안전한 곳에 짱박혀 격발장치를 전선에 연결[10]한 다음 적절한 때에 쥐어 터트리면 된다.
그리고 조준 방향을 보다 더 잘 잡으라는 배려인지 일부 시제품에는 카메라의 파인더와 같은 프리즘을 사용한 조준경을 달아놓기도 했는데 이게 쉽게 떨어진다는 점과 이걸 사용하면 멀리서도 반짝대며 보이니 적이 설치 지점을 알게 되는 단점도 있다. 다만 프리즘이 있던 자리에 간이조준기[11]도 있으니 대략적인 살상범위를 참고하려면 간이조준기만 사용해도 된다. 그런데 개발 비화에 따르면 원래는 카메라 파인더 같은 조준기를 달아 놨는데 이걸 테스트하는 장소에서 병사들이 그걸 카메라처럼 들고 있는 점에서 기겁해서 제작진들이 없애 버렸다는 이야기도 있다.
클레이모어 격발 영상. 멀리 떨어진 메마른 경사지를 조준한 관계로 베어링 파편의 탄착점이 매우 잘 보인다. 보통은 폭발화염과 설치각도 등의 변수 때문에 잘 안 보이는 경우가 많다.
2.1. 사용 전례
베트남 전쟁 당시 이를 잘 활용한 그린베레의 사례를 보면 흥미로운 게 많다. 예를 들자면, 적지에서 정찰을 할 때라든가 하면 클레이모어와 함께 수류탄 등을 꼭 여러 개씩 가지고 다녔다. 그러다가 교전이 시작되면 응사하다가 클레이모어를 가진 일부 대원이 30m쯤 뒤로 돌아가 길목에 클레이모어를 설치한다. 그리고 총알이 오가는 와중에도 거의 필수적으로 본인만이 클레이모어 위치를 알 정도로 잘 위장한다. 그리고 폭발압력(충격파)이 자기 쪽으로 오지 않게, 필요하다면 길목으로부터 약간 비스듬히 설치하고 안전하고 매복하기 좋은 위치로 간다. 물론 그때쯤이면 앞에서 전투 중이던 전우들이 근처까지 후퇴하는데 이윽고 적들이 이들을 뒤쫓아 클레이모어 사정거리에 어느 정도 모이면 그대로 격발스위치를 눌러 터뜨린다. 그리고 이 전술을 몇 번 정도 반복하면 적들도 이 뻔한 전술을 학습해 추격을 계속해야 되나 말아야 되나 고민하는데 이 와중에 그린베레들은 안전한 지역으로 철수하거나 헬리콥터를 호출해 빠져나가게 된다.호주의 특수부대 SASR은 이보다 더 과감했는데 불과 12명 정도로 이뤄진 1개 팀이 미리 북베트남군 1개 대대의 이동로를 확인한 뒤 S자형 길가를 쭉 따라 클레이모어 여러 개를 서로 교차해 설치 및 위장하고 S자형 끄트머리쯤에 기관총을 놓고 매복하고 있다가 적 대부분이 그 길목을 지나는 시점에 일제히 격발해서 1개 대대를 순식간에 전멸시킨 사례도 있다고 한다.
하지만 이 위장작업을 소홀히 해서 역관광을 당한 경우도 있다. 베트남 전쟁 당시 모 부대가 기지방어용으로 배치한 이것들을 본 베트콩 혹은 북베트남군이 낮은 포복으로 몰래 기어와 그것을 반대로 돌려놓고 도망쳐 나와 그 직후 공격을 가한 것이다. 진지에서 경계 중인 병력들은 이를 모른 채 격발을 했는데 자신들에게 날아와서는 안 되는 볼베어링 파편 폭풍을 체험하게 됐다고 한다. 베트남 전쟁 소설인 《13계곡》에도 이런 식으로 분대를 날려 버리는 장면이 나오고 황석영의 《탑》이라는 작품에도 나온다. 물론 이런 사건사고를 계기로 클레이모어의 다리를 콘크리트로 바닥에 고정하거나 모래주머니로 전면부를 제외한 사방을 덮어 버려 포복 자세에서 몰래 클레이모어의 방향을 바꾸기 어렵도록 만드는 대응책들도 생겨났다. 별도로 조명탄도 박아둬서 건드리면 펑 터지도록 해 놓기도 했다고 한다.
대한민국 육군에서 전방 경계 작전 때도 사용하는 섹터가 존재한다. 적의 예상 침투로에 매설해 놓고 격발 전선을 초소 안까지 끌어 놓는다. 때문에 경계 초번초 근무자는 격발기만 가지고 투입하고 말번초가 격발기만 떼서 철수한다. 초소마다 설치된 지뢰의 수가 달라서 소초에서는 안 쓰는 세면주머니를 이용하여 전용 가방을 만들어 놓기도 한다. 초소에 따라 격발기 주머니, 전화기[12], 야간투시경을 한꺼번에 가지고 투입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2.2. 사건 사고
현대전에서도 꾸준히 사용하는 물건이다 보니 그만큼 사건 사고도 많다.[13]
서경석 장군의 회고록 《전투감각》에 나오는 이야기에 따르면, 당시 클레이모어 훈련을 하던 교관 겸 소대장과 신병 4명이 격발기를 땅에 놓다가 격발되는 폭발 사고를 당했는데 소대장은 두다리를 잃고 신병 1명이 사망했으며 3명이 부상을 입었다. 안전장치를 한 상태였음에도 사고가 난 것인데 당시 서경석 중위가 분해하여 그 이유를 알아보니 격발기가 누를때 뿐만 아니라 누르고 올라올 때도 전기가 흐르는 물건이고 당시 격발기 내부의 고무보호막이 손상되어 내부로 먼지, 흙, 물이 유입되었던 상태였다. 그로 인해 내부에 있던 용수철이 탄성을 잃어 눌린 상태에서 원위치로 올라오지 않았고 소대장이 땅 위로 격발기를 올렸을 때의 충격으로 인해 용수철이 원위치로 와 전기가 흘러 격발되었던 것이다. 이후 서경석이 중대의 모든 격발기를 검사해보니 반절 이상이 유사한 결함을 가지고 있었고 전부 회수해서 반납하고 철저하게 교육을 시켰다. 이후 이 케이스는 주월사령부 전체로 교훈으로 전파되고 부대 감찰검열에 이 부분이 포함되었다고 한다. https://blog.naver.com/genseoks1/10120879117
군대 내 사고 은폐의 전형적인 케이스로, 1994년 "내무반 TV 폭발 1명 숨져"라는 기사가 떴으나 추후 클레이모어 폭발사고로 밝혀지기도 했다. 특이하게도 육군이 아니라 공군에서 일어난 사고다. 기사[14] 처음 발표 당시에는 벼락이 떨어져 TV가 폭발하는 바람에 1명이 죽고 7명이 부상당했다는 기사가 떴으나 조사가 진행되자 하사관이 탄약고에서 클레이모어를 꺼내서 내무반에 두었다가 폭발이 일어난 것으로 밝혀졌다.
부산광역시 해운대구의 동백섬에서 조경작업 중 7발이 매설된 것이 발견되어 이 지역도 후방 지뢰매설지역 중 한곳임이 확인되었다. 기사
GOP 철책 중 일부에는 이 지뢰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걸 시험하다 실수로 터뜨려서 철책 일부가 날아간 적이 있다.(...)
2.3. 기타
격발기로만 터지기 때문에[15] 법적으로는 지뢰가 아닌 것으로 분류되어 대인지뢰금지협약에도 제한을 받지 않고 심지어 베트남 전쟁 당시 일부 병사들은 내부의 C4를 일부 떼어내 전투식량을 데우는 용도로 쓰기도 했지만[16] 떼어낸 만큼 위력도 엄청나게 감소하고 C4의 주성분인 RDX와 그 연소 가스는 독극물이기 때문에 제정신 박힌 고참들은 절대로 하지 않았다.한동안 미 육군이 이라크 주둔할 당시 REV2A~D형 총 4대만 개조된 M113A2의 능동방어 장치로 사용한다는 사진이 한국 인터넷에 유행했는데 실제로는 군중 제압용으로 비살상 고무탄이 든 M5 MCCM(Modular Crowd Control Munition)으로서 클레이모어와 똑같이 생겼지만 다른 모델이다.
육군훈련소 및 신병교육대에서는 수류탄 투척 훈련 이후 클레이모어 폭파 시범을 볼 수 있다. 클레이모어의 원리만 시범을 통해 보여주는 교육으로, 사고 발생을 줄이고자 훈련병들이 설치해 폭파시키는 일은 없다. 2014년 이후에는 시범도 보여 주지 않는 경우도 많다.
그리고 클레이모어가 대량으로 설치되어 있는 GOP에서는 격발기와 연결된 전선이 번개를 맞아 클레이모어가 혼자서 터지기도 하는데, 이게 터지면 지뢰[17]와 마찬가지로 우렁찬 펑! 소리에 잠이 확 깨는 것은 물론 사방으로 퍼져나가기 때문에 상황병은 적침이 아니라고 전화로 열심히 전파해 줘야 한다. 덤으로 상황 후에 파손된 철책 보수도 해야 되기 때문에 GOP에서 클레이모어가 터지면 뒷처리가 아주 귀찮아진다. 심지어 관측 초소 근처에 있던 클레이모어가 터지면 폭발의 충격파 때문에 건물의 유리창이 몽땅 깨진다.
클레이모어와 관련된 군대 괴담도 있다.[18]
실용성이 높고 사용하기 간편하고 한순간에 엄청난 화력을 낼 수 있는 점 때문에 소련군[19]을 포함한 공산권 국가들에서도 이러한 카피본도 상당하다. 북한에서도 "강구지뢰"라는 걸 사용 중이며, 특수부대용으로 소형화한 미니모어 비슷한 것도 운용한다. 실제로 아웅 산 묘소 폭탄 테러 사건 당시 북한 공작원들도 이와 비슷하게 철제 파편이나 구슬들을 컴포지션 같은 고체 플라스틱 폭약으로 날리는 IED를 제작해 정부 인사들을 노렸었다.
그리고 예비군훈련에서 화약이 들어간 모형을 시범 및 훈련장 이동이나 행군 중에 느닷없이 터트리기도 하는데[20] 모형 주제에 폭발음이 제법 커서 예비군들에게 깊은 빡침을 선사해 주기도 한다.
21세기에는 기술 발달에 힘입어 클레이모어를 드론에 장착해 자폭용으로 쓰고 있다. 아래 영상은 튀르키예가 개발한 자폭드론인 KARGU.
원격 기폭이 가능한 C4 폭약이 있는 FPS 게임에서는 클레어모어용 M57 격발기에 안테나를 붙인 물건을 무선 격발기로 사용하곤 한다. 그럴듯해 보이긴 하지만 현실에 실존하는 물건은 아니다.
3. 미디어
자세한 내용은 M18A1/대중매체 문서 참고하십시오.4. 둘러보기
냉전기의 호주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냉전기 호주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191919> SMLE No.1 MkIII*, SMLE No.4 Mk.I, L81A1 | |||
반자동소총 | L1A1 SLR, M21 SWS, AR-7 | |||||
자동소총 |
M14,
M16A1,
CAR-15,
|
|||||
기관단총 | Owen Mk.I, L2A1 SMG, F1, M1928A1 | |||||
권총 | Webley Mk IV, Webley Mk VI, S&W Victory Model, L9A1, M1911A1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Bren Mk2, L4A4, L2A1 LMG, F89 | |||
다목적기관총 | MAG58, M60, MG3 | |||||
중기관총 | Vickers Mk I, Browning L3A1, M2HB-QCB | |||||
유탄발사기 | M79, M203 | |||||
로켓발사기 | PIAT, M20, L72A9 | |||||
미사일발사기 | FIM-43, Milan | |||||
무반동총 | L6, L14A1 | |||||
화염방사기 | No.2, M2A2 | |||||
박격포 | SBML 2-inch mortar, L9A1, ML 3 Inch Mortar, L16A1 | |||||
폭발물 | 수류탄 | Mills No. 36M, M26 | ||||
화학탄 | M7A2, M18, M25A2 | |||||
지뢰 | M18A1 | |||||
※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호주군의 운용장비 | 냉전기 보병장비 |
}}} }}}}}} |
냉전기의 뉴질랜드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냉전기 뉴질랜드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191919> SMLE No.4 Mk.I, L81A1 | ||
반자동소총 | L1A1 SLR | ||||
자동소총 | M16A1, IW Steyr | ||||
산탄총 | L32A1, L74A1 | ||||
기관단총 | Sten Mk.II, L2A1 SMG, Lanchester Mk I*, M1928A1, MP5 | ||||
권총 | Webley Mk VI, S&W Victory Model, L9A1, M1911A1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Bren Mk2, L4A3, L2A1 LMG, C9 | ||
다목적기관총 | L7A2, L43A1, M60 | ||||
중기관총 | Vickers Mk I, Browning L3A1, L3A4, M2HB-QCB | ||||
유탄발사기 | M79, M203 | ||||
로켓발사기 | PIAT, M20, L72A1 | ||||
무반동총 | M40, L4, L14A1 | ||||
박격포 | SBML 2-inch mortar, L9A1, ML 3 Inch Mortar, L16A1, L16A2 | ||||
폭발물 | 수류탄 | Mills No. 36M, M67 | |||
지뢰 | M18A1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뉴질랜드군의 운용장비 | 냉전기 보병장비 |
}}} }}}}}} |
냉전기의 로디지아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냉전기 로디지아군의 보병장비 |
||||
<colbgcolor=#0F4B32>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 SMLE No.4 Mk.I, Kar98k | ||
반자동소총 | L1A1, M21, Mini-14 | ||||
자동소총 | FN FAL, R1A1, G3A3, M16A1 | ||||
기관단총 | Lanchester Mk.I, Sten Mk II, Austen Mk I, GM15, Sanna 77, LDP, Cobra, CH9/25, R-76, Rhogun, Owen Mk.I, L2A1, American-180, UZI | ||||
산탄총 | Greener GP, Auto-5, M37, M870 | ||||
권총 | Enfield No.2 Mk I, S&W M49, Browning Hi-Power, Mamba, P1, Star M1920, BM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Bren Mk.III, L4A4, FN FAL HBAR | ||
다목적기관총 | M1919, MAG-58 | ||||
중기관총 | M2HB | ||||
대전차화기 | M20, M72, M40, ENERGA, MILAN | ||||
박격포 | M-4 Patmor, L16 | ||||
유탄 | No.36, Mk.2, M962, M26, M963 | ||||
지뢰 | M18A1 | ||||
노획무기 | 반자동소총 | SKS, SVD | |||
자동소총 | AK-47, AKM | ||||
권총 | PP | ||||
기관총 | DP-28, RPD, RPK, PKM. KPV | ||||
대전차화기 | RPG-2, RPG-7, B-11 | ||||
대공포 | ZPU-4, ZU-23-2 | ||||
대전차화기 | 9K32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로디지아군의 운용장비 | 냉전기 보병장비 | }}}}}}}}} |
냉전기의 이탈리아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냉전기 이탈리아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 M91/38, SMLE No. 4 Mk I | |||
반자동소총 | M1 개런드, M1 카빈 | |||||
자동소총 | BM59, AR70/223, AR-10, M16A1 | |||||
기관단총 |
MAB 38/44, MAB 38/49,
LF-57,
M12,
Socimi 821,
|
|||||
산탄총 | RS-202, SPAS-12 | |||||
권총 | M1934, M1935, M1951, 92S, 92SB, 92FS, 93R, P11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M1918A2,
브렌 경기관총,
|
|||
중기관총 | M37, M38, M1919A4, M1919A6, MG42/59, M2HB | |||||
유탄발사기 | M7, GLF-40, M203 | |||||
대전차화기 | M20A1, RL-83, M40, BGM-71 TOW, 브레다 폴고레 | |||||
맨패즈 | FIM-92A | |||||
화염방사기 | M41, T148 | |||||
박격포 | M62 | |||||
지뢰 | VS-DAFM 7 | |||||
유탄 | M35, OD82, Mk.2 | |||||
※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이탈리아군의 운용장비 | 냉전기 보병장비 |
}}} }}}}}} |
냉전기의 튀르키예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냉전기 튀르키예군의 보병장비 |
||||
<colbgcolor=#E30A17>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 Gew88/05, 마우저 M1938, Kar98k, 리-엔필드 | ||
반자동소총 | M1 개런드, M1 카빈 | ||||
자동소총 | M2 카빈, G1, G3A3, G3A4, HK33, M16A1, M16A2, CAR-15 | ||||
기관단총 | 스텐 기관단총, 톰슨 M1928A1, M1A1, M3A1, MP5 | ||||
산탄총 | M1912 | ||||
권총 | M1911A1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M1918A2, 브렌 경기관총, FN 미니미 | ||
다목적기관총 | M1919A4, MG3, M60 | ||||
중기관총 | MG08, M1917A1, M2HB | ||||
유탄발사기 | M79, HK69, HK79, M203, Mk.19 | ||||
대전차화기 | M20, M72, M40 | ||||
박격포 | M2, M19, M29, M30 | ||||
폭발물 | 수류탄 | Mk.2, Mk.3, M26, M67 | |||
화학탄 | M14, M18 | ||||
지뢰 | M14, M16, M18A1, M19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튀르키예군의 운용장비 | 냉전기 보병장비 |
}}} }}}}}} |
베트남전기의 호주·뉴질랜드 연합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베트남 전쟁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군단(ANZAC)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 SMLE No. 1 Mk. III* (HT), L81A1 | |||
반자동소총 | L1A1 SLR, M21 SWS | |||||
자동소총 | M14, M16A1, CAR-15, XM177 | |||||
기관단총 | Owen Mk.I, L2A1 SMG, F1 | |||||
권총 | L9A1, M1911A1 | |||||
지원화기 | 기관총 | L2A1 LMG, M60 | ||||
유탄발사기 | M79, XM148, M203 | |||||
대전차화기 | L4, L6, M20, M72 | |||||
화염방사기 | M2A7-7 | |||||
박격포 | L16 | |||||
폭발물 | 수류탄 | M26 | ||||
화학탄 | M7A2, M18, M25A2 | |||||
지뢰 | M18A1 | |||||
냉병기 | 총검 | M7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호주 운용장비 | 뉴질랜드 운용장비 | 냉전기 보병장비 |
}}} }}}}}} |
베트남전기의 베트남 공화국군(월남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colcolor=#373a3c>
베트남 전쟁 베트남 공화국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colcolor=#373a3c> 소총 | <colcolor=#373a3c>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 MAS-36, 38식 소총, 스프링필드 M1903 | |||
반자동소총 | M1 개런드, M1 카빈 M1A1 카빈, M14 | |||||
자동소총 | M2 카빈, M16, XM16E1, M16A1, CAR-15, XM177 | |||||
기관단총 | M45, UZI, S&W M76, M3A1, M-50, MAS-38, MAT-49, MP40, M1928A1, M1A1 | |||||
권총 | M1911, 콜트 디텍티브 스페셜, M1917, S&W M10 | |||||
산탄총 | 이사카 M37, 레밍턴 M31, 윈체스터 M21, 스티븐스 M77E | |||||
지원화기 | 기관총 | M60, M1918, FM 24/29, M1917, M1919, M37, M73, M2 | ||||
유탄발사기 | M7, M8, M79, M203 | |||||
대전차화기 | M9, M20, M18 무반동포, M20 무반동포, M67 무반동포, XM26, M72 LAW | |||||
화염방사기 | M9A1-7, XM202 | |||||
박격포 | M2, 브랑 M27/31, M1, M29 | |||||
폭발물 | 수류탄 | OF-37, DF-37, M26, Mk.2 | ||||
지뢰 | M14, M15, M16, M18/M18A1 클레이모어 | |||||
냉병기 | 총검 | M1905, M1, M6, M7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베트남군의 운용장비 | 냉전기 보병장비 | }}}}}}}}} |
캄보디아 내전기의 크메르 공화국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캄보디아 내전 크메르 공화국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191919> MAS-36, M1903, 리-엔필드 | ||
반자동소총 | M1 개런드, M1 카빈, L1A1 | ||||
자동소총 | M2 카빈, M16A1, XM177, G3 | ||||
기관단총 | MAT-49, M1A1, M3A1 | ||||
산탄총 | M37 | ||||
권총 | M1911A1, M10, M1917, Mk.22, L9A1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FM 24/29, M1918A2, 브렌 경기관총 | ||
다목적기관총 | M1919A4, M1919A6, M60 | ||||
중기관총 | M1917A1, M2HB | ||||
유탄발사기 | M79, M203 | ||||
대전차로켓 | M72, M202 | ||||
무반동총 | M20, M40, M67 | ||||
박격포 | 브랑 M27/31, M19, M29, M2, M30 | ||||
유탄 | 수류탄 | Mk.2, M61, M67 | |||
연막탄 | M18, M34 | ||||
지뢰 | M18A1, M16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캄보디아군의 운용장비 | 냉전기 보병장비 |
}}} }}}}}} |
엘살바도르 내전 당시의 엘살바도르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엘살바도르 내전 엘살바도르군의 보병장비 |
||||
<colbgcolor=#0047ab>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 SSG 69, M24 | ||
반자동소총 | M1 개런드, M1D, M1 카빈, M21 | ||||
자동소총 | M2, M14, G3, M16A1, 갈릴, HK33, CAR-15, XM177E2, M653, M16A2, M733, T65 | ||||
기관단총 | UZI, FMK-3, MP5, MP5SD | ||||
권총 | M1911A1, FN35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M1934, M1951, FN 미니미 | ||
다목적기관총 | M1919A4, M1919A6, M60, FN MAG, HK21 | ||||
중기관총 | M2HB | ||||
유탄발사기 | M79, M203 | ||||
대전차화기 | M20A1, M72, M18, M20, M40A1, M67 | ||||
박격포 | M1, M19, M29, M-52, M74 | ||||
유탄 | Mk.2, M26, M61, M67, M18, M34 | ||||
지뢰 | M14, M18A1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엘살바도르군의 운용장비 | 냉전기 보병장비 |
}}} }}}}}} |
엘살바도르 내전 당시의 FMLN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엘살바도르 내전 FMLN의 보병장비 |
||||
<colbgcolor=#FF0000> 개인화기 | 소총 | 반자동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 M1 개런드, SKS, SVD | ||
자동소총 | FN FAL, G3, AK-47, 56식 자동소총, 58식 보총, AKM, 68식 보총, AK-63, MPi-KM-72, PM.md.63, M16A1 | ||||
기관단총 | M3A1, 포트사이드 기관단총, Vz.23, UZI, ML-60, Z62, MPi 69 | ||||
권총 | M1911A1, TT-33, PM, CZ52, PA-63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RPD, PM Md.64, M72 | ||
다목적기관총 | PKM | ||||
중기관총 | M2HB | ||||
유탄발사기 | M79 | ||||
대전차화기 | RKG-3, RPG-2, RPG-7, RPG-18, SPG-9, M67 | ||||
맨패즈 | FIM-43, 9K32, 9K34, 9K38 | ||||
유탄 | F-1, RGD-33, RG-42, RGD-5 | ||||
지뢰 | M18A1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FMLN의 운용장비 | 냉전기 보병장비 |
}}} }}}}}} |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의 소련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소련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 M1891/30 | |||
SKS, SVD | |||||
AKM, AKMS, AK-74, AKS-74, AKS-74U, AKMSU, VSS | |||||
권총 | TT-33, PM, APS, PSS | ||||
지원화기 | 기관총 | RPD, RPK-74, PKM | |||
SGM, DShKM, NSV, KPV, GShG-7.62 | |||||
유탄발사기 | GP-25, GP-30, SSK-1 티쉬나, AGS-17 | ||||
화염방사기 | LPO-50 | ||||
대전차화기 | RKG-3, RPG-7, RPG-16, RPG-18, RPG-22, SPG-9, RPO-A, 9K11, 9K111, 9K111-1 | ||||
박격포 | 2B9 바실료크, 2B14 포드노스, 2S12 사니, 2B16 노나-K, 240mm M240 박격포 | ||||
견인포 | D-30, M-30, D-20, 2A36 기아친트-B | ||||
맨패즈 | 9K310-M,9K38, 9K34 | ||||
대공포 | ZU-23, ZPU-4 | ||||
폭발물 | 수류탄 | F-1, RGD-5 | |||
지뢰 | PFM-1, MON-50, PMN-1 / PMN-2, POMZ-2M | ||||
냉병기 | 총검 | 6Kh2, 6Kh3, 6Kh4, 6Kh5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러시아·소련군의 운용장비 | 냉전기 보병장비 |
}}} }}}}}} |
현대 말레이시아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word-break: keep-all" |
||||
<colbgcolor=#000066><colcolor=#FFCC00> 개
인 화 기 |
<colbgcolor=#000066> '''[[소총| 소총 ]]'''
|
<colbgcolor=#000066> '''[[돌격소총| 돌격소총 ]]'''
|
M4(A1) | M16A1 | CM901 | |
'''[[저격소총| 저격소총 ]]'''
|
M107 LRSR | HGW M-96 | |||
기관단총 | MPX-K | MP5A3 | |||
권총 | 지가나 PX-9 | 글록 18C | 글록 17 | 하이파워 Mk.III | |||
'''[[냉병기| 냉병기 ]]'''
|
총검 | M7 | M9 | ||
지
원 화 기 |
'''[[기관총| 기관총 ]]'''
|
'''[[기관총#s-5.2| 경기관총 ]]'''
|
미니미 Mk.(2/3) | |
'''[[기관총#s-5.3| 다목적 기관총 ]]'''
|
MAG 58 | M60E1 | M134D | HK11 | |||
'''[[기관총#s-5.1| 중기관총 ]]'''
|
M2HB-QCB | |||
유탄발사기 | 밀코 MGL | M203(A2) | Mk.19 | |||
'''[[대전차화기| 대전차 화기 ]]'''
|
'''[[무반동총| 무반동포 ]]'''
|
칼 구스타프 (M2/ M3/ M4) | M40A1 | L4 MoBAT | C90-CR | ||
로켓 | RPG-7 | RBR-7 | |||
미사일 | 참고: 틀:현대전/말레이시아 유도무기 | |||
맨패즈 | ||||
박격포 | M70 | 히르텐베르거 M6 | 벡터 M8 | EXPAL M86 | L16 | 2B14 포드노스 | |||
견인포 | LG1 Mk.III | 오토멜라라 Mod 56 | 데넬 G5 | |||
'''[[특수부대| 특 ]]'''
수 전 화 기 |
'''[[소총| 소총 ]]'''
|
'''[[돌격소총| 돌격소총 ]]'''
|
HK416 | XM8 | AUG A1 | G36(C/E/KE) | M16A4 | M653 | SG553 (LB/SB) | HK33A2 | |
'''[[지정사수소총| 지정사수 소총 ]]'''
|
HK417 | 바렛 REC-10 | PSG-1A1 | MSG90A1 | |||
'''[[저격소총| 저격소총 ]]'''
|
AW | AX308 | AW50 | M40 | TRG-22 | 블라저 R93 | DSR-1 | DSR-50 | RC-50 | AR-50 | M95 | NTW-20 | |||
기관단총 | 베레타 PMX | FN P90 | MP9 | UMP45 | MP7 | MP5SD3 | MP5KA4 | |||
산탄총 | M1014 | 베넬리 M4 슈퍼 90 | SPAS-12 | 레밍턴 M1100 | 레밍턴 M870 | M590A1 | FP6 | |||
권총 | 스핑크스 3000 | 글록 34 | HS2000 | HK45CT | Mk.23 Mod 0 | P30 | P226 | 베레타 92FS | 벡터 SP-1 | P11 | P9S | |||
기관총 | MG4 | M249 | 벡터 SS-77 | CETME 아멜리 | RPK-74 | |||
유탄발사기 | M320 GLM | SIG GL5040 | AG36 | M79 | H&K GMG | |||
대전차 화기 | AT4 | M72 LAW | |||
'''[[폭발물| 폭 ]]'''
발 물 |
'''[[수류탄| 수류탄 ]]'''
|
살상탄 | M67 | M14 | |
연막탄 | M18 | |||
섬광탄 | Mk.141 Mod 0 | M84 | |||
지뢰 | M18A1 | |||
※ 윗첨자R: 퇴역 화기 | ||||
※둘러보기 :
말레이시아군의 운용장비 |
현대 보병장비
|
}}}}}}}}} |
보병장비 둘러보기 | |||
근대 (~1914) | 대전기 (1914~1945) | 냉전기 (1945~1991) | 현대전 (1992~) |
[1]
'더 많이 죽인다'는 뜻의 'KILL MORE'도 노린 발음이라고 한다. 육군 모 사단 신교대에서 전승되었던 도시전설.
[2]
전방으로만 뻗어나가기 때문에 반경이 아니라 거리다.
#
[3]
클레이모어의 작약인 C4의 충격파속도.
[4]
폭발 압력(충격파)과 여기에 휘말려 튀어오른 자갈 같은 비산물 등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설명과 달리 설치된 경사나 지형, 날씨 등에 따라 16m~18m 이상 튀기도 하니 절대 안심하지 말고 일정한 두께의 엄폐물 뒤에 숨어야 한다.
[5]
4,000ft/s을 미터법으로 환산하면, 1ft가 약 30cm이므로 4,000 × 0.3(m)=1,200m/s이고, 음속은 340m/s정도이므로 마하 3정도 된다. 쉽게 얘기하자면 이는 소총탄의 속도보다 빠르다는 것이다.
[6]
당장에
60mm 박격포탄(HE K207, 작약량 Composite B 370g)만 해도 사람 여럿을 고기파편으로 만드는건 껌인데 클레이모어의 작약량은 이런 60mm 박격포를 훨씬 능가한다.
[7]
"앞면, 적 방향"
[8]
그래서 방향이 헷갈리면 자기 배 위에 대 봐서 방향을 찾을 수 있다.
[9]
FM대로 하자면 본체를 지면에 박을 때는 전진무의탁 자세로 박아야 하고, 전선을 풀 때는 뒷걸음질쳐가며 안전한 곳까지 물러나야 한다고 한다.
[10]
격발장치는 반드시 맨 마지막에 연결해야 한다.
[11]
위 사진에 있는 상단의 네모난 부분.
[12]
TA-312나 TA-512 같은 전화가 아니라 일반 시중에 나오는 다이얼식 전화기. 다른 부대와 중첩 경계하는 초소 한정
[13]
한동안
베트남 전쟁 당시 파병된 한국군 신임 소대장이 영어를 읽지 못해 시연식 때 거꾸로 설치하는 바람에 전원 몰살당했다는 썰이 돌기도 했지만 애초에 그런 사고사례는 기록되어 있지도 않을 뿐더러 베트남 전쟁 파병 병력들은 100% 자원 병력에 심사까지 봐서 들어간 인물들이라 엘리트들이 많았으며 하물며 시연식이면 검사에 검사를 더더욱 확실하게 하기 때문에 이런 사고가 오히려 더 안 일어난다.
[14]
김포 공군이면 일단은 비행단은 아니라는 이야기다. 기사에서도 방공포대로 되어있으며, 사고가 났을 당시에는 막 육군에서 전군하던 시기였다 (1991년에 육군에서 공군으로 전군). 예로부터 비행단에서는 크레모아를 구경할 일이 없었으며, 지금은 공군으로 입대하면 국직부대로 가지 않는 이상 크레모아를 구경할 일이 없다.
[15]
다만, 꼭 정해진 격발기만 써야 하는 것은 아니기에 간단한 방법으로 부비트랩을 만들 수도 있다. 예로 M60 점화기에 도폭선을 연결하고 도폭선의 한쪽 끝을 클레이모어의 뇌관 삽입구에 넣고 고정시킨 다음 점화기의 고리를 실로 연결해서 당기면 터지게 셋팅하는 식.
[16]
베트남 전쟁 당시의 전투 식량인
MCI에는 C-레이션과 마찬가지로 음식을 덥힐 수 있는 연료가 따로 제공되지 않았다. 병사들 딴에는 밥먹고 살고자 하는 처절한 몸부림이었다. 다행히
C4는 불을 붙여도 폭발하지 않고 고체연료처럼 천천히 타오를 정도로 둔감하기 때문에 단순히 연료로 쓰는 정도로 폭발 사고가 발생하지는 않는다.
[17]
주로 근처를 지나던 야생 동물들이 밟으면 터지기에 이건 밤낮 가리지 않는다.
[18]
좀 현실성이 없는 괴담이다. 실제 군에서는 클레이모어는 고사하고 공포탄 한 발만 오발이 나도 꽤 심각한 문제로 인식하고 그것을 수습하기 위해 경위서를 작성시키고 상세한 진술을 요구하는 등 좀 진땀을 빼야 하며 높은 확률로 휴가제한과 같은 징계가 기다리고 있다. 그런 실정에 클레이모어 씩이나 오발해 놓고 그냥 다음날에 간부에게 '죄송합니다. 터뜨려버렸습니다. 새거 주세요.' 라고 말한다? 괴담으로선 어떨지 모르겠으나
대한민국 국민의 절반을 차지하는 군필자들에겐 코웃음 칠 농담으로 들릴 수준이다.
[19]
소련군이 개발한 클레이모어는 MON-50이란 이름이 붙었다.
[20]
경우에 따라선 건드리면 터지거나 섬광이 이는 와이어 지뢰를 이동 동선에 설치해 놓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