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37 Breda M37 브레다 M37 |
|||
|
|||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종류 |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 중기관총 | ||
원산지 |
[[이탈리아 왕국| ]][[틀:국기| ]][[틀:국기| ]] |
||
{{{#!folding 【펼치기 · 접기】 | 이력 | ||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역사 |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 1937년~ 1960년대 | ||
개발년도 | 1930년대 | ||
생산 | 브레다 | ||
생산년도 | 1937년~ 1943년 | ||
사용국 |
[[이탈리아 왕국| ]][[틀:국기| ]][[틀:국기| ]] [[이탈리아| ]][[틀:국기| ]][[틀:국기| ]] [[나치 독일| ]][[틀:국기| ]][[틀:국기| ]] [[포르투갈| ]][[틀:국기| ]][[틀:국기| ]] |
||
사용된 전쟁 | 제2차 세계 대전 | ||
기종 | |||
파생형 | M38 | ||
세부사항 | |||
탄약 | 8x59mm RB 브레다[1] | ||
급탄 |
20발들이
보탄판 24발들이 박스탄창 (M38) |
||
작동방식 | 가스 작동식 | ||
총열길이 |
780mm 600mm (M38) |
||
전장 |
1,270mm 897.5mm (M38) |
||
중량 |
19.4kg + 18.8kg (삼각대) 16.3kg (M38) |
||
발사속도 |
450RPM 550RPM (M38) |
||
탄속 |
800m/s 770m/s (M38) |
||
유효사거리 |
800~1,000m 300m (M38) |
||
최대사거리 | 5,400m | }}} |
[clearfix]
1. 개요
|
|
Forgotten Weapons의 리뷰 영상 | 사격 영상 |
2. 상세
1930년대에 들어서기 시작하면서 기존의 6.5 mm 소구경탄의 위력부족을 느끼면서 신형 탄 개발에 착수한다.[2][3] 이에 8x59mm RB를 사용하는 공랭식 기관총이 요구되어, 피아트 사와 브레다 사가 시작했다. 그렇게 나온 것이 바로 M37으로, 피아트사는 M1935를 내놓았다.[4]같은 회사에서 나온 M30[5]보다는 상대적으로 고장이 적은 물건이다. 호치키스처럼 보탄판을 사용하지만 탄피는 절대 다수의 기관총들처럼 밖으로 배출되지 않고 기관총 내부의 복잡한 캠과 레버 메커니즘을 통해 다시 보탄판에 끼워지고, 이 보탄판이 전탄 사격 후에 오른쪽으로 떨어지는
총열 교체는 M1935와는 달리 석면 장갑이 필요하다는 점만 빼면 멈치를 풀고 교체하면 된다. 좀 불편한 방법이긴 하지만, M1919 브라우닝이나 빅커스 기관총과 비교하면 훨씬 편한 방법이었다.
그러나 약실에 탄이 걸려서 기름칠을 해줘야하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다. 양차대전기의 기관총 중에는 이런 문제를 가진 녀석들이 많았는데, 문제는 이탈리아 왕국군의 전장 대부분은 사막이라 모래먼지가 잔뜩 낀다는 것. 이점은 독일의 MG34도 피해갈 수 없었으며 영국은 탄창을 쓰는 루이스나 브렌을 제외한 기관총에서 모래먼지와의 사투가 벌어졌다.[8]
여담으로 이 기관총은 MG42처럼 전용 삼각대가 있는데, 이 삼각대의 성능이 굉장히 좋은 축에 속했다고 한다. 반동을 제어해주고 분해, 조립이 쉬웠다고. 다만, 이 삼각대는 말그대로 전용이라 다른 무기와는 호환되지 않는 이탈리아스러운 이야기가 있다.[9]
2.1. M38
M13/40에 장착된 M38.
차량 부착형으로 등장한 M38은 M37과 비슷하나 몇 가지 차이점이 있다. 보탄판이 아닌 박스 탄창으로 급탄하고, 권총 손잡이로 되어있다. 길이가 약간 짧고 조금 가벼워 성능에 차이점이 있다.
L6/40, M13/40, S.37 등 이탈리아군 전차 및 차량에 기관총으로 많이 사용하였다. 삼각대를 장착해서 전차 외부에 장착하기도 한다.
3. 기타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나고 난 이후에도 이탈리아군은 독일제 MG3으로 교체할 때까지 사용되었다. 포르투갈은 이 기관총의 탄환을 마우저 7.92mm탄으로 바꿔서 사용했고 포르투갈 식민지 전쟁때도 잘 사용했으며 80년대까지도 포르투갈군에 남아있었다.4. 미디어
- 스틸 디비전 시리즈에서 이탈리아군 중기관총으로 등장한다.
5. 둘러보기
제2차 세계 대전기의 이탈리아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제2차 세계 대전 이탈리아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 M1870/87, M1870/87/15, M91, M38 | ||
반자동소총 | MAB 18/30, Mod. X, M1935, M1937, M39 | ||||
기관단총 | OVP 1918, MAB 18, MAB 38, MAB 38/42, FNAB-43 | ||||
권총 | 이탈리아제 | M1889, M1910, M15, M17, M23, M31, M32, M34, M35 | |||
오스트리아제 | M1898, M1907, M1912 | ||||
지원화기 | 기관총 | M1914, M1935, M30, M37, M38, 브레다-SAFAT | |||
대전차화기 | 기병총/대전차용 총 "S", 판처파우스트, 라케텐판처뷕세(판처슈렉) | ||||
화염방사기 | M35, M40, M41 | ||||
박격포 | 브릭시아 M35, 81mm 박격포 M35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이탈리아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보병장비 |
}}} }}}}}} |
냉전기의 이탈리아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냉전기 이탈리아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 M91/38, SMLE No. 4 Mk I | |||
반자동소총 | M1 개런드, M1 카빈 | |||||
자동소총 | BM59, AR70/223, AR-10, M16A1 | |||||
기관단총 |
MAB 38/44, MAB 38/49,
LF-57,
M12,
Socimi 821,
|
|||||
산탄총 | RS-202, SPAS-12 | |||||
권총 | M1934, M1935, M1951, 92S, 92SB, 92FS, 93R, P11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M1918A2,
브렌 경기관총,
|
|||
중기관총 | M37, M38, M1919A4, M1919A6, MG42/59, M2HB | |||||
유탄발사기 | M7, GLF-40, M203 | |||||
대전차화기 | M20A1, RL-83, M40, BGM-71 TOW, 브레다 폴고레 | |||||
맨패즈 | FIM-92A | |||||
화염방사기 | M41, T148 | |||||
박격포 | M62 | |||||
지뢰 | VS-DAFM 7 | |||||
유탄 | M35, OD82, Mk.2 | |||||
※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이탈리아군의 운용장비 | 냉전기 보병장비 |
}}}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포르투갈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제2차 세계 대전 포르투갈군의 보병장비 |
|||
<colbgcolor=#006600> 개인화기 | <colbgcolor=#006600> 볼트액션 소총 | m/1886/89, M1896, 마우저-베르게이루, m/937, m/917, M1917 | ||
기관단총 | MP18, m/942, m/943 | |||
권총 | m/878, m/886, M10, M1892, C96, M1907, m/943, 발터 PP, m/961 | |||
지원화기 | 경기관총 | m/930, m/940, m930-41, m/938, 루이스 경기관총 | ||
중기관총 | MG34, 브레다 m/938, 빅커스 기관총, M1919A4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포르투갈의 운용무기체계 | 대전기 보병장비 |
}}}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알바니아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bgcolor=#d30404>
제2차 세계 대전 알바니아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colbgcolor=#d30404> 볼트액션 소총 | M1891, M1903, Kar98k, SMLE, P14, M91/30 | ||
기관단총 | MAB 18, MAB 38, MP18, MP35, MP38, MP40, Lanchester Mk.I, Sten Mk.II, M1928A1, PPSh-41, PPS-43 | |||
권총 | M1889, M1910, M1934, C96, P38, M1910, P-35, M1895, Mk.IV, M1911 | |||
지원화기 | 경기관총 | DP-28, M30, Bren Mk.I | ||
중기관총 | MG M.07/12, M37, MG34, SG-43, Vickers Mk.I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알바니아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보병장비 |
}}} }}}}}} |
제2차 세계 대전기 유고슬라비아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제2차 세계 대전 유고슬라비아 왕국군 및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 M71, M78/80, M24, Gew98, Wz.29, Vz.24, Kar98kC, M1895, 카르카노C | ||||
자동소총 | StG44C | |||||
기관단총 | PPSh-41L, PPS-43L, EMP35, MP40C, KP/-31C, MAB 38C, 39M 기관단총C, 톰슨 기관단총L, 스텐 기관단총L | |||||
권총 | 나강 M1895, 라스트&가서 M1898, TT-33L, 마우저 C96, 루거 P08C, 발터 P38C, 루비 권총, M1910/22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CSRG M1915, 브레다 M30C, Vz.26, 브렌 경기관총L, 마드센 경기관총 | |||
중기관총 | 피아트-레벨리 M1914, 브레다 M37C, MG34C, MG42C | |||||
대전차화기 | 보이스 대전차 소총L, PIATL, M1 바주카L | |||||
화염방사기 | 플라멘베르퍼 42C | |||||
유탄 | M24C, M39C | |||||
※윗첨자L: 연합군으로부터 공여받음 ※ 윗첨자C: 추축군으로부터 노획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유고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보병장비 | }}}}}}}}} |
포르투갈 식민지 전쟁 당시의 포르투갈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해외전쟁 포르투갈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191919> m/1886/89, 마우저-베르게이루, m/937, m/1917, m/931, m/942, m/946, P14, M1917 | ||
자동소총 | AR-10 m/961, G3 m/961, G3 m/963, m/962 | ||||
기관단총 | m/942, m/943, Z-45, m/948, 비뉴롱 m/961, 스털링 m/961, 우지 m/961, MPL | ||||
권총 | m/878, m/886, M10, S&W 보디가드, m/943, m/961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m/930, m/940, m930-41, m/938, m/943, m/963, m/968 | ||
다목적기관총 | m/944 보르지히, m/944, m/952, m/962, FN MAG | ||||
중기관총 | 브레다 m/938, m/955 | ||||
로켓발사기 | m/952, m/955, M53 | ||||
무반동총 | m/952, M20, M40 | ||||
박격포 | m/937, m/951, 브랑 m/952, , M2 m/952, FBP m/68, L65/60 | ||||
폭발물 | 수류탄 | m/963 | |||
지뢰 | M14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포르투갈군의 운용장비 | 냉전기 보병장비 |
}}} }}}}}} |
보병장비 둘러보기 | |||
근대 (~1914) | 대전기 (1914~1945) | 냉전기 (1945~1991) | 현대전 (1992~) |
[1]
포르투갈군의 경우 사용탄을
7.92x57mm 마우저로 변경하였다.
[2]
당시 일본도 비슷한 상황을 겪었기 때문에 기존의 소총탄보다 더 강력한 탄을 사용하는 소총과 기관총을 개발한다.
[3]
제식 소총탄과 다른 기관총용 탄을 또 개발해서 쓰는게 이상할 수도 있지만 6.5mm같은 소구경탄을 쓰는 나라들은 8mm대의 거점 방어나 장거리 화력 지원용으로 사용할 중(Heavy)기관총용 탄을 따로 개발하는 경우가 있었다. 똑같이 소구경탄을 쓰던
스웨덴 역시도 중기관총용 탄을 따로 개발해서 사용했다.
[4]
정확히 설명하자면
피아트사가 먼저 내놓았는데, 이탈리아군은 상대적으로 복잡한 구조를 가진 M1935는 양산하는데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좀더 생산성이 좋은 M37이 나올때까지 잠정적으로 생산하기로 했다. 하지만, 이탈리아의 고질적인 생산성 문제로 전쟁이 끝날때까지 병행생산하게 된다.
[5]
같은 이름으로 7.35mm 탄을 사용하는 M37이 있지만 사용탄만 바꿨지 기존의 단점들을 그대로 답습하고 있다.
[6]
이 물건 이전에 만들어진
페리노 M1908도 똑같은 메커니즘을 채용했는데,
호치키스 기관총과 일본군의
38식 기관총의 관계처럼 기술력 부족 탓에 기본이 된 화기의 형식을 답습한 결과로 보인다.
[7]
보탄판에 총알이 절반 이하로 남아있으면 기관총 오른쪽으로 많이 이동한 상황이라 미리 새 보탄판을 끼울 수 있게 되어있다. 다만 이 총만 그런 건 아니고,
92식 중기관총 등 보탄판을 사용하는 기관총은 대부분 보탄판을 계속 이어서 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8]
탄창을 달아서 모래먼지를 이긴다보다는 상대적으로 모래먼지와 접촉하는 시간이 짧기 때문에 그나마 낫다는 것이다.
[9]
이점 때문에 경쟁작인 M1935보다 M37를 선호하는 병사도 제법 있었다. 사수입장에서는 조준이 쉽고 덜 고장나는 점이 매력적이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