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6 11:38:43

XM177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CAR-15
,
,
,
,
,
XM177
XM177 Commando
파일:Colt_Model_610.jpg
콜트 모델 610
공군용 / XM177(또는 GAU-5/A)
파일:Colt_Model_609.jpg
콜트 모델 609
육군용 / XM177E1
파일:Colt_Model_629.jpg
콜트 모델 629
개량형 / XM177E2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종류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 카빈
원산지
[[미국|]][[틀:국기|]][[틀:국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펼치기 · 접기】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이력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역사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 파일:미합중국 육군 마크.svg 파일:미합중국 공군 마크.svg 파일:미합중국 해군 마크.svg 파일:미합중국 특수작전사령부 마크.svg
1966년~ 1994년
개발 콜트 매뉴팩쳐링
생산
사용국
[[미국|]][[틀:국기|]][[틀:국기|]]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1]
기종
원형 XM16E1
파생형 GAU-5
XM177E1
XM177E2
제원
탄약 .223 레밍턴
5.56×45mm NATO
급탄 20, 30발들이 STANAG 탄창
작동방식 가스 직동식
회전 노리쇠 방식
총열길이 254mm/10인치(E1)
292mm/11.5인치(E2)
전장 XM177E2 기준
830mm(개머리판 연장)
760mm(개머리판 수축)
중량 2.43kg
강선 12인치에 1회전
발사속도 750~900RPM
탄속 810m/s(E1)
840m/s(E2)
유효사거리 400m }}}}}}}}}
1. 개요2. 상세
2.1. 역사
3. 종류
3.1. XM16E13.2. XM177(GAU-5/A)3.3. XM177E13.4. XM177E23.5. XM177E2 Retro Carbine
4. 출처5. 대중매체에서의 등장
5.1. 에어소프트건5.2. 게임5.3. 영화5.4. 소설5.5. 만화
6.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Forgotten Weapons의 XM177E2의 수출형인 콜트 모델 639 리뷰 영상
미국의 콜트 사에서 개발/생산한 카빈형 돌격소총.

2. 상세

2.1. 역사

파일:xm177_macv-sog 0.jpg
파일:Colt_Commando_and_SEAL.jpg
미군은 M607 SMG라는 M16 소총 기반의 단축형 모델이 있었으나, 사용탄이었던 .223 레밍턴 탄의 불완전 연소와 10인치에 불과한 짧은 총열로 총구화염이 상당했고, 2단 조절 개머리판도 신뢰성이 낮았다.

이에 콜트 사는 새 소총을 만들기로 하고 XM16E1 기반의 단축형 소총을 새로 개발한다. 기존 M16의 개머리판을 줄인 것 같은 2단 조절식 개머리판은 신형 알루미늄 개머리판으로 교체하였고, M607의 삼각형 총열덮개도 둥근 형태의 총열덮개로 바꾸었다. 소염기도 오리지널 M16[2]의 삼지창형 소염기가 4.25인치 길이의 원통형 소염기로 변경[3]되었다.

총구에 특수한 대형 소염기가 장착된 것이 특징이다. 총구화염을 줄이기 위해 내부 구조가 소음기스럽게 변했으며, 실제로 소음 효과도 없으나 미 의회에서는 일종의 소음기로 판단, XM177 계열의 해외 수출을 금지했다.[4][5]

특수부대와 장교들 사이에서는 매우 인기가 좋았으나, 당시 새롭게 등장한 언더배럴형 유탄발사기 XM148을 장착할 수 없는 문제가 있어 총열 길이를 1.5인치 정도 늘린 XM177E2를 개발했다.

북아일랜드 분쟁 당시 IRA가 밀수한 적이 있다.

3. 종류

종류
파일:m16a1_sheet 0.jpg
파일:Colt_Model_610.jpg
파일:Colt_Model_609.jpg
파일:Colt_Model_629.jpg
파일:Colt_Model_630_649.jpg
제식명 XM16E1 XM177
GAU-5/A
XM177E1 XM177E2 GAU-5/A/A
생산명 모델 603 모델 610
모델 610B
모델 609 모델 629 모델 630
모델 649
운용처 USA USAF USA
USN
USSOCOM
MACV-SOG
USA
USSOCOM
USAF
연도 1964년~1967년 1966년~불명 1966년~불명 1967년~1994년
총열 콜트 20인치 콜트 10인치 콜트 10인치 콜트 11.5인치
소염기 새장형 A1 4.5인치 소염기 2.5인치 소염기
3.5인치 소염기
4.5인치 소염기
2.5인치 소염기
3.5인치 소염기
노리쇠전진기 있음 없음 있음 있음 없음
파일:Xm177e2/723/727/m4.jpg
사진은 위부터 순서대로 XM177E2, M723, M727, M4 카빈이다.

3.1. XM16E1

파일:Colt XM16E1 .jpg
1966년에 배포된 교육용 동영상

1964년 미합중국 국방부의 지시에 의해 미 육군에 도입하기 위해 개량 테스트된 모델 603으로, 육군용 M16은 이 물건이 최초이다. 노리쇠 전진기가 추가되었고, 장전손잡이가 T형으로 변했으며, 개머리판 후부에 신형의 완충용 고무패드가 추가되었다. 그 외에는 기존의 공군용 오리지널 M16과 완전히 동일하다. 신형 탄약과 함께 도입되어 실전에 사용되었으나, 몇가지 트러블을 일으켜 작동불량이 빈번했고 최종 개선된 버전이 M16A1의 제식명을 달고 1967년부터 본격적으로 납품된다. 이에 대한 야전교범도 보급되었다.

3.2. XM177(GAU-5/A)

파일:external/8b321b5c06c58090a6083b72ee087dcc6da3b09de78341481fafc7a9e0d1cbba.jpg

미 육군의 새 제식소총인 XM16E1을 기초로 길이를 줄인 공군용 모델 610으로, 미 공군 특유의 AETDS(항공장비용 제식명 명명법, Aerospace Equipment Type Designation System)에 맞춘 제식명을 가졌다. 총열이 10인치로 축소되는 동시에 보정용 소염기가 부착되었으며 1967년에는 XM177E2 사양의 GAU-5/A/A로 개량되기도 하였다. 최초로 M4 형태의 수축식 개머리판이 도입된 모델이다. 대신 개머리판 재질은 플라스틱은 아니고 알루미늄으로 만들었다.

별개 모델로 모델 610B가 존재한다. K2 소총과 비슷한 4방향 조정간과 XM177E1에서 장착되던 노리쇠 전진기를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시험용 모델이었기 때문에 사용되지는 않았다.

3.3. XM177E1

파일:Colt_Model_609.jpg

위의 XM177(GAU-5/A)에서 노리쇠 전진기가 장착된 육군용 모델 609로, 약 2,800정 정도가 납품되었다. 총 자체에 문제가 많았는데, 상술했듯 불완전연소 문제로 인하여 특수한 소염기를 장착 했음에도 여전히 총구화염이 너무 컸고 유효사거리, 정확도, 예광탄 사용 문제 등이 계속 남아있었고, 콜트 사에선 이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2개의 개량 프로그램[6]을 미 육군에 제시했으나, 당시 미국은 베트남전에서 철수하려고 준비하고 있던 상황이었기에 2개 모두 거부되었다. 결국 XM177E1의 생산은 1970년에 끝나버린다.

E2에도 적용되는 특유의 기다랗고 두터운 소염기는, 의미는 없는 수준의 소음 효과를 발휘한다. 그러나 이는 의도하지 않은 부가 효과일 뿐이었고, 이 장치의 진짜 목적은 총성이 미군의 M16 소총의 것과 다르게 들리게끔 하는 것. 실질적인 효과가 있어 XM177의 총성은 M16보다는 AK 소총과 비슷하게 들렸다고 한다. 베트남전 당시 특수부대에게 들려줄 목적으로 만들었으니, 적진에 침투하는 후방 교란 임무 등에서 미군의 총성인 것을 숨겨 혼란을 조장하기 위해 노린 설계인 듯.

3.4. XM177E2

파일:Colt_Model_629.jpg

유탄발사기를 장착하기 위해 XM177E1에서 총열 길이를 3.8cm(1.5인치) 늘린 모델 629, 639 및 649로, 가스블록과 총구 사이의 거리가 증가해 가스압 부족으로 인한 오작동 문제가 해결되었으며, 예광탄 문제가 해결되었다.[7]

기관단총보다 압도적인 성능을 자랑하면서도 가볍고 짧아 정글에서 휘두르기 편했기 때문에 특수부대 내에서는 상당히 인기있는 물건이었고, 일종의 쟁탈전을 벌였다는 기록도 있을 정도로 이 총을 확보하기 위하여 경쟁하곤 했다고 한다. 월남전 후에도 모델 649가 미 공군이나 네이비 씰 등지에서 M4 카빈의 제식 채용 시기인 1994년 정도까지 쓰였다. 성공적인 단축형 돌격소총의 시초로 볼 수 있는데, 현대에 특수부대의 단축형 돌격소총 사랑이 여전한 것을 보면 시대를 앞서간 물건.

XM148의 여러 결함으로 인해 대신 도입된 M203 유탄발사기도 장착할 수 있었는데, XM177 특유의 소염기의 가는 부분에 M203의 어댑터를 약간 기울여서 끼우는 방식으로 장착했다.

E1에 비해 총열 길이가 몇 센티미터 늘어난 정도에 불과했기에 총구화염이나 소음의 정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3.5. XM177E2 Retro Carbine

파일:Colt XM177E2 RETRO.jpg
콜트 사에서 총기 수집가들을 위해 M16A1과 함께 제작한 XM177E2의 재생산 버전이다. 완전히 똑같은건 아니고 단축형 총기(SBR) 규제를 피하기 위해 소염기 포함 16인치 총열이 적용되었고, 민수용인만큼 자동사격 기능이 제거되어 있다. #

4. 출처

5. 대중매체에서의 등장

의외로 잘 등장하지 않는다. 플래툰(영화)같은 영화에서는 M653이 대신 나오는 경우도 있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AR-15/미디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1. 에어소프트건

  • WE-Tech
    GBBR으로 발매되었다. 사실상 거의유일한 XM177 GBBR을 내놓았다. 가격은 300달러에 약간 모자르는 수준이지만, 국내에선 이걸 60만원대 초반에 팔아먹고있으니 참고.
  • G&P
    전동건으로 발매되었다. 그러나 델타링 등 일부는 고증에 맞지 않다.
  • 도쿄 마루이
    전동건으로 발매되었다. 2형식 기어박스가 최초로 적용된 모델이다.
  • E&C
    해외가 140달러라는 저렴한 가격을 자랑한다. 타회사 제품들과는 달리 몸체와 숏탄창을 회색으로 발매했다. 하지만 기본적으로 몸체가 무각인이고 델타링이 고증에 맞지 않는 단점이 존재한다.
외관은 델타링과 육각나사로 고정돼있는 바디핀을 제외하면 좋은 편이지만 소염기의 홈이 얕아 M203 유탄발사기를 장착 하기 위해서는 가공이 필요하다.
  • 바이퍼테크
    xm177e1과 xm177e2 두 가지 모델을 출시하고있다. 레트로 모델들은 12mm 소염기가 기본이므로 구매시 참고바람. 바이퍼답게 실총스러운 느낌이 물씬 풍기지만 타 모델들처럼 사소한 외형 오류가 존재한다.
  • VFC
    DNA라는 페이퍼 브랜드로 먼저 출시되었다. 고급 라인을 지향하는 만큼 6061-T6 재질의 CNC 가공 리시버가 사용되었고, 내부는 기존과 동일하다. 도색은 하드 아노다이징 처리라 기존 제품들보다 퀄러티가 높다. 외형 재현은 여타 브랜드 중 가장 뛰어나다. 2023년 현재 보급형 모델로도 출시되었다.

5.2. 게임

  • 라이징 스톰 2: 베트남
    XM177E1이 등장한다. M16A1보다 성능이 좋지 않다고는 하지만 성능 저하는 체감이 안 될 정도로 작다. 그리고 총열이 짧기 때문에 실내전에 유리하다. 스톡 길이를 조정 할 수 있으나 줄이게 되면 조준속도는 빨라지지만 반동은 상승한다.
  • 레인보우 식스
    모델 610B(추정)가 CAR-15란 이름으로 등장. 단발, 3점사, 연사 모두 가능하다.
  • 파병온라인
    XM177E1이 등장했다. M16A1보다 데미지가 좋고 연사력도 준수하여 CAR-15라는 이름의 또다른 총기보다 더 자주 쓰였다.
  • Rolling Thunder PVE
    XM177E1이 XM177이란 이름으로 등장한다. 빠른 연사속도가 강점이지만 M16A1처럼 20발밖에 안되는 탄창이 애를 먹는다.

5.3. 영화

  • 로보캅 3
    하부에 M203이 장착된 채로 등장한다.
  • 서울의 봄
    대통령 경호원들의 개인화기로 등장한다.

5.4. 소설

5.5. 만화

6. 둘러보기

냉전기의 미군 보병장비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냉전기
미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191919> M1903A1/A4, M1917, M70, M4, MA-1, M40/M40A1, M24 SWS
반자동소총 M1 Garand, M1 Carbine, M21 SWS
자동소총 M1918A2, M2, M3, M1946, AR-10B, M14, M15, T48, Springfield SPIW, AAI SPIW, Winchester SPIW, H&R SPIW, M16, Mk.I A, GAU-5, M16A1, AR-18, GUU-4/P, XM19, XM70, SBR, LMR, M231, M16A2, M16A2E2, Steyr ACR, ARES ACR, AAI ACR, MDHC ACR, G11K2
기관단총 M1928A1, M1A1, M3, M3A1, M6, TRICAP
산탄총 M12, M11-48, M37, M870, M1100, M1200, M500, M520, M590, H&K CAWS, AAI CAWS, S&W CAWS, Jackhammer, SPAS-16, MIWS
컴비네이션 건 M6
권총 리볼버 M10, M13, M1909, M1917, M1927, M15
자동권총 M1903, M1911A1, M9, XM10, M1971, TZ-75, P85, FN BDA
기관권총 SCAMP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M249
다목적기관총 M1919A4/A6, M37, M73, M60, M134, M240, XM214
중기관총 M1917A1, M2, M2HB, EX-17, M85, GAU-19
유탄발사기 M79, X-1, XM148, M203, M75, M129, Mk.18, Mk.19, Mk.20, T148E1, XM174
로켓발사기 M20, M72 LAW, M202 FLASH, Mk.153, RAW
미사일발사기 MGM-21, MGM-32, FIM-43, M47, BGM-71, FIM-92
무반동총 M18, M20, M28, M29, M67, M40, M136
화염방사기 M2, M9A1-7
박격포 M2, M19, M29, Mk.2, Mk.4, M224, M252
특수전 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M500, RC-50, M86, M88
반자동소총 G3SG/1, M82
자동소총 CAR-15, XM177E1, XM177E2, M653, M723, M733
기관단총 M76, MAC-10, MPL, MPK, UZI, M635, MP5A3, MP5SD3, MP5-N, MP5SD-N, HK54A1, SMG I/II
권총 리볼버 M66, QSPR, M686, GS32-N
자동권총 HDM, Ruger Mk.1/Mk.2, Mk.22, PPK, P9S-N, P11, M45, P226
산탄총 Masterkey, M7180, M7188
기관총 Mk.23, EX-27, HK21, HK23A1
폭발물 수류탄 Mk.2, Mk.3, M26, M67, V40
총류탄 M7
화학탄 M7A3, M14, M18, M25, M34
지뢰 M14, M15, M16, M18A1, M19
폭약 M1, M1A2, M1A3, M2A4, M3A1, M37, M039, M112, M118, M183
냉병기 총검 M6, M7, M9
단검 Gerber Mk II, Ka-Bar USMC
취소선: 테스트만 치른 후 제식 채용되지 않음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파일:미국 국기.svg 미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냉전기 보병장비 }}}
}}}}}}



베트남전기의 미군 보병장비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베트남 전쟁
미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191919> M1903, M40, M70
반자동소총 M1 Garand, M1 Carbine, XM21, M21
자동소총 M1918A2, M2 Carbine, M14, M16, XM16E1, CAR-15, GAU-5, XM177E1, XM177E2, M16A1, T223
기관단총 M1A1, M3A1, MP40, MAC-10, UZI, M/50, M76, m/45, PM12, Sten Mk.IIS
산탄총 M12, M37, M520, M77E, M870, Auto-5, M11-48, M1100, M1200, M7188, SOW
권총 M1903, M1907, M1911A1, M1917, M1927, PPK, Hi-Power, HDM, Ruger Mk.1, M15, Mk.I B, QSPR, Mk.22
지원화기 기관총 M1917A1, M1919A6, M37, M73, Mk.23, M60, M134, HK21, HK23A1, M2HB
유탄발사기 M79, China Lake, X-1, XM148, XM174, M203, M75, M129, Mk.18, Mk.19, Mk.20
대전차화기 M20, M72, M18, M20, M67, M40, XM26
화염방사기 M2, M9, XM191
박격포 M2, M19, M29, M30, Mk.2, Mk.4
맨패즈 FIM-43
폭발물 수류탄 Mk.2, Mk.3, M26, M67, V40
화학탄 M7A2, M14, M18, M25A2, M34
지뢰 M14, M16, M18A1
폭약 M1, M1A2, M2A4, M3A1, M039, M112, M118, M37, M183
냉병기 단검 Gerber Mk II, Ka-Bar USMC
총검 M6, M7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파일:미국 국기.svg 미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냉전기 보병장비 }}}
}}}}}}



북아일랜드 분쟁기 아일랜드 공화국군 보병장비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북아일랜드 분쟁(1969~1997)
아일랜드 공화국군(IRA) 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393b42> SMLE No.4 Mk.I, No.5 Mk.I, Kar98k, M77, M300, G98, Type 38
반자동소총 M1 Garand, M1 Carbine, L1A1, G43, Mle 1949, Mini-14, AR-15C, AR-180C, SKS
자동소총 M14, M16A1, XM177, FAL, G3, BM59, FNC, SG510, SG540, AK-47, AKM, Vz.58, M62/S, PM.md.63, Type 56
기관단총 Mk.II, Mk.V, L2A1, F1, M1928A1, M1A1, M42, M3, M3A1, MAC-10, M2, MP40, MPL, m/45, M12, Vz.23, Vz.61, UZI, MP5
산탄총 SPAS-12
권총 Webley Mk.IV, Mk.VI, Hi-Power L9A1, FN M1903, FN M1910, M1911A1, M1920, C93, C96, P08, M1934, PT92, M1907, M1912, MCM, Type 94, Type 14
지원화기 기관총 Lewis Mk.IV, Bren Mk.II, L4, Besa Mk.III, L7A1, MG08/15, MG34, MG3, FALO, M1919A4, M60, M2, DShK
유탄발사기 M79
대전차소총 Boys Mk.II, S-18/1000
로켓발사기 M20, RPG-7
무반동포 m/42, M40, MBB Armbrust
미사일발사기 9K32
박격포 M-37
화염방사기 M2, LPO-50
유탄 F1, Mk.2, RGD-5
※ 윗첨자C: 민수용 반자동화기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FFF
※둘러보기 : 파일:지구본_white.png 유럽권 국가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냉전기 보병장비 }}}}}}
}}}}}}



냉전기의 대한민국 군경의 보병장비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냉전기
대한민국 군경 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393b42> 38식 소총, 44식 기병총, 99식 소총, M1903, M1917, 대한식 소총
반자동소총 M1 개런드, M1 카빈
자동소총 M1918A2, M2 카빈, M14, M16A1, K2, MX 소총
기관단총 톰슨 M1928A1, M1A1, M3, M3A1, K1, K1A
산탄총 S&W M916TG, M1200TG, 스티븐스 67/77TG, FABARM SDASS(초기형)TG
권총 자동권총 M1911A1, K5
리볼버 M1917, 콜트 디텍티브 스페셜, CAL-38, M10 M&PP, M19P, M36P
지원화기 기관총 92식 중기관총, M1917A1, M1919A4, M1919A6, M73, M60, M2, K6, M134C
유탄발사기 M7, M8, M79, M203, K201, 페더럴 37mm 최루탄 발사기TG
대전차화기 M9, M20, M20A1K, M18, M20, M67, M40, M72 LAW, K.LAW, BGM-71
화염방사기 M2, KM202A1
박격포 M1, M2, M29, KM29A1, KM181, KM187, M2, KM30
견인포 M101A1, M101A2, M114, M59, KH178, KH179
맨패즈 재블린 지대공미사일
유탄 MK2, MK3A2, M26, M61, M67, K75, K400
지뢰 M14, M15, M16, M18A1, M19
특수전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SSG 69, 마우저 SP66
반자동소총 PSG1P
자동소총 CAR-15, XM177
기관단총 UZI, Mini UZI, MAC-10, MAC-11, MP5A3, MP5SD3
권총 PPK, 베레타 92SB, 92F, P7M13P, M459
산탄총 M1897, M1912, M870
냉병기 도검류 신군도, 경찰도, 30년식 총검, KM7, KCB-77
TG: 경찰이 시위 진압을 위한 최루탄 발사용으로 사용
P: 군 이외의 경찰이나 대통령경호실 등이 사용
취소선: 테스트만 치른 후 제식 채용되지 않음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국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냉전기 보병장비 }}}
}}}}}}



베트남전기의 베트남 공화국군(월남군) 보병장비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colcolor=#373a3c> 베트남 전쟁
베트남 공화국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colcolor=#373a3c> 소총 <colcolor=#373a3c>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393b42> MAS-36, 38식 소총, 스프링필드 M1903
반자동소총 M1 개런드, M1 카빈 M1A1 카빈, M14
자동소총 M2 카빈, M16, XM16E1, M16A1, CAR-15, XM177
기관단총 M45, UZI, S&W M76, M3A1, M-50, MAS-38, MAT-49, MP40, M1928A1, M1A1
권총 M1911, 콜트 디텍티브 스페셜, M1917, S&W M10
산탄총 이사카 M37, 레밍턴 M31, 윈체스터 M21, 스티븐스 M77E
지원화기 기관총 M60, M1918, FM 24/29, M1917, M1919, M37, M73, M2
유탄발사기 M7, M8, M79, M203
대전차화기 M9, M20, M18 무반동포, M20 무반동포, M67 무반동포, XM26, M72 LAW
화염방사기 M9A1-7, XM202
박격포 M2, 브랑 M27/31, M1, M29
폭발물 수류탄 OF-37, DF-37, M26, Mk.2
지뢰 M14, M15, M16, M18/M18A1 클레이모어
냉병기 총검 M1905, M1, M6, M7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냉전기 보병장비 }}}}}}}}}


베트남전기의 호주·뉴질랜드 연합군 보병장비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베트남 전쟁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군단(ANZAC) 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393b42> SMLE No. 1 Mk. III* (HT), L81A1
반자동소총 L1A1 SLR, M21 SWS
자동소총 M14, M16A1, CAR-15, XM177
기관단총 Owen Mk.I, L2A1 SMG, F1
권총 L9A1, M1911A1
지원화기 기관총 L2A1 LMG, M60
유탄발사기 M79, XM148, M203
대전차화기 L4, L6, M20, M72
화염방사기 M2A7-7
박격포 L16
폭발물 수류탄 M26
화학탄 M7A2, M18, M25A2
지뢰 M18A1
냉병기 총검 M7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운용장비 |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냉전기 보병장비 }}}
}}}}}}



캄보디아 내전기의 크메르 공화국군 보병장비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캄보디아 내전
크메르 공화국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191919> MAS-36, M1903, 리-엔필드
반자동소총 M1 개런드, M1 카빈, L1A1
자동소총 M2 카빈, M16A1, XM177, G3
기관단총 MAT-49, M1A1, M3A1
산탄총 M37
권총 M1911A1, M10, M1917, Mk.22, L9A1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FM 24/29, M1918A2, 브렌 경기관총
다목적기관총 M1919A4, M1919A6, M60
중기관총 M1917A1, M2HB
유탄발사기 M79, M203
대전차로켓 M72, M202
무반동총 M20, M40, M67
박격포 브랑 M27/31, M19, M29, M2, M30
유탄 수류탄 Mk.2, M61, M67
연막탄 M18, M34
지뢰 M18A1, M16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캄보디아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냉전기 보병장비 }}}
}}}}}}


엘살바도르 내전 당시의 엘살바도르군 보병장비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엘살바도르 내전
엘살바도르군 보병장비
<colbgcolor=#0047ab>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393b42> SSG 69, M24
반자동소총 M1 개런드, M1D, M1 카빈, M21
자동소총 M2, M14, G3, M16A1, 갈릴, HK33, CAR-15, XM177E2, M653, M16A2, M733, T65
기관단총 UZI, FMK-3, MP5, MP5SD
권총 M1911A1, FN35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M1934, M1951, FN 미니미
다목적기관총 M1919A4, M1919A6, M60, FN MAG, HK21
중기관총 M2HB
유탄발사기 M79, M203
대전차화기 M20A1, M72, M18, M20, M40A1, M67
박격포 M1, M19, M29, M-52, M74
유탄 Mk.2, M26, M61, M67, M18, M34
지뢰 M14, M18A1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엘살바도르 국기.svg 엘살바도르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냉전기 보병장비 }}}
}}}}}}



보병장비 둘러보기
근대 (~1914) 대전기 (1914~1945) 냉전기 (1945~1991) 현대전 (1992~)



스토너 계열 총기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002a4e> AR-10 SR-25, Mk.11, M110, MARS-H, RSASS, HK417, OBR, MRGG, G28, M110A1, LR-308, FD338, ULR 338, ALR-338, SIG716, Mk.18 Mjolnir, DRD Kivaari, BT-6, Mk.47, MPT-76, REC10, M23
AR-15 <colbgcolor=#002a4e> 미군 <colbgcolor=#002a4e> 돌격소총 M16, M16A1, M16A2, M16A3, M16A4, M4, M27, M231, Mk.18, CAR-15, XM177, GAU-5, M733, Noveske N4
지정사수소총 M655/656, Mk.12, SAM-R, SDM-R, RECCE
미국 돌격소총 M6, 허니뱃저, M16A2E2, LR-300, CM901, IAR, MARS, REC7, ACR, SR-47, XM-15, SIG516, KAC PDW, KAC SR-15, KAC KS-1, FAXON ARAK, BCM RECCE, STR-15S, URG-I, Radian Model 1, MARS-L, M&P15, MOE Carbine
기관단총 M635, AR-57, Mk.57, CMMG FourSix, UDP-9
권총 OA-93
기관총 CMG-1, 아레스 슈라이크 5.56 시스템
캐나다군 돌격소총 C7, C8, IUR
지정사수소총 C7CT, C8CT, C20
캐나다 돌격소총 SA20, SA15.7
기관총 C7 LSW
유럽 HK416, NARP, STM556, WAC-47, STM-9, ADAR 2-15
동아시아 K13, DSAR-15PC, T65, T86, T91, CQ 5.56, CAR816, T112
그 외 G5, KH-2002, UTAS XTR-12, Safir Arms T-14, Gilboa DBR Snake
AR-16 AR-18, M17S, T2, 89식 소총, SA80, SAR-80, SR-88, SAR-21
기타 AR-5, AR-7, 스토너 63, KAC ChainSAW, 아레스 FMG
}}}}}}}}} ||

파일:콜트(총기회사) 로고 화이트.svg 콜트 매뉴팩처링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iki style="word-break:keep-all;"
<colbgcolor=#000A32> 콜트 매뉴팩처링 제품 라인업
리볼버 <colbgcolor=#000A32> 전장식 패터슨 · 워커 · M1848 · M1849 · M1851 · M1855 · M1860 · M1861
고정 실린더 M1871-72 · M1873 · 뉴 라인 · M1877 · M1878
스윙아웃 실린더 M1889 · M1892 · 뉴 서비스 ( M1917) · 오피서 매치 · 폴리스 포지티브 · 오피셜 폴리스 · 디텍티브 스페셜 · 코브라 · 트루퍼 · 파이슨 · 다이아몬드백 · 킹코브라 · 아나콘다
자동권총 M1900 · M1903 포켓 해머 · M1903 포켓 해머리스 · M1905 · M1911 ( OHWS · 더블이글 · M45A1) · 우즈맨 · SSP · 올 아메리칸 2000 · Z40
기관단총 SCAMP · 9mm 기관단총 · MARS
산탄총 M1878 · 디펜더
소총 AR-15 M16 ( M16A1 · M16A2 · M16A3 · M16A4) · CAR-15 · XM177 · GAU-5 · M231 · ACR · C7 · C8 · M733 · M4 · Mk.18 · IAR · CM901 · C20
기타 리볼버 소총 · 버제스 · 라이트닝 소총 · 베르단 I · R80 · GUU-4/P · C19
기관총 M1895 · CMG · Mk.12
유탄발사기 XM148
탄환 .45 Long Colt · .25 ACP · .32 ACP · .380 ACP · .38 ACP · .45 ACP
관련 인물: 새뮤얼 콜트
}}}}}}}}}}}}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15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15 ( 이전 역사)
문서의 r56 ( 이전 역사)


[1] 베트남전에서 극 소수 도입된 것으로 추정되며 파병된 특전사 등 특수임무부대들, 일부 파병 부대에서 사용된 것으로 알려진다. # 전후에는 한국으로 반입되어(M16 소총과 비슷하게 각종 수단을 동원해서 반입한 것으로 보인다.) 대테러부대나 경호부대 등에서 활용되었다. 이들 총기 가운데는 XM177·E1·E2등 다양한 총기들이 섞여있었다. 1979년에 제작된 대한뉴스 제1253호(수도권 민방위 훈련 영상)에서 특수부대용으로 운용 중인 것이 확인되었다. 일부 총기는 한국 경찰에도 이관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진다. # 군수품으로 남아서 치장물자로 보관하고 있을 가능성도 있다. 군수품 상용전환 연구(6차)/PDF 파일. 자동 다운로드 주의 [2] 노리쇠 전진기가 없는 모델 604. [3] 이 소염기는 총성을 M16의 총성과 다르게 들리기 위해(특히 AK와 유사하게 들리기 위해) 만들어졌다. 이 원통형 소염기는 한국군의 K1 기관단총의 짧은 총열에 의한 폭음과 화염을 줄이기 위해 기존의 나팔형 소염기를 대체하게 되었고 이 개선된 형식에 부여된 제식명칭이 K1A 이다. [4] 그러다보니 콜트 사는 단축형 AR-15의 수출을 위해 XM177E2의 소염기 길이만큼 총열 길이를 늘인 모델을 만들었는데, 그것이 바로 M653이다. [5] 짧은 총열로 총구화염을 줄이려고 노력하면서 소염기를 만들고나니 내부구조가 너무 소음기스럽게 변했기는 했다(...).파일:external/img.photobucket.com/XM177Moderator.jpg [6] 6개월 동안 40만 달러의 예산을 사용하는 프로그램, 또는 29개월 동안 63만 5천 달러를 쓰는 프로그램. [7] 베트남전 당시 특수부대에서는 스토너 63의 탄띠 급탄식 기관총형에서 총열을 단축한 Mk.23 Mod.0이나 노획 후 총열을 가스관 바로 앞까지 자른 RPD를 사용했는데, 가스구멍과 총구 사이의 거리가 지나치게 짧았기 때문에 작동에 필요한 가스압이 부족해 노리쇠가 제대로 후퇴하지 않는 경우가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