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25 13:28:46

인민사원 집단 자살 사건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이 문서는 실제로 일어난 사건·사고의 자세한 내용과 설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인민사원 집단 자살 사건
Mass Suicide at Jonestown
<colbgcolor=#ddd,#0f0f0f> 발생일 1978년 11월 18일
발생지 남아메리카 가이아나 요릭 타운
유형 집단자살
원인 사이비 종교
해당 종교 구주의 사도 인민사원
Peoples Temple of the Disciples of Christ
사망자 수 918명 #
생존자 수 40~50명 (추정) #[1]
위치
1. 개요2. 사건 정황
2.1. 사이비 종교의 등장2.2. 존스의 왕국2.3. 희대의 학살극
2.3.1. 살아남은 사람들
2.4. 자살인가, 타살인가?
3. 사건 이후4. 음모론5. 매체6. 기타7. 관련 문서8.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1978년 11월 18일 남아메리카 가이아나 요릭 타운에서 벌어진 미국 사이비 교주[2] 짐 존스가 창시한 기독교 사이비 종교 '구주의 사도 인민사원'(Peoples Temple of the Disciples of Christ, 이하 인민사원)[3]의 집단 자살 사건으로, 미국을 넘어 아메리카 대륙 역사상 최대의 집단 자살 사건이다.

시신 이미지 보기. 수많은 시신 사진 주의. 유혈이 없고 원거리에서 찍힌 사진이라 잔인하다고 보기에는 어렵지만 상상할 수 없을 만큼 많은 시신들이 늘어져 있다.

2. 사건 정황

2.1. 사이비 종교의 등장

제임스 워런 존스는 1931년 미국 인디애나주에서 태어났다. 편모 슬하에서 자란 존스는 체계적인 신학 교육을 받지 않았지만 학생 시절부터 리치먼드의 위험한 슬럼가에서 기독교 전도를 하는 등 교회 활동에 열심히 참여하였다. 이후 사회주의 사상을 접하고 심취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실 짐 존스는 본래는 평등주의, 사회주의와 초기 개신교의 박애주의 원칙을 가지고 있었으므로 오늘날의 관점에서 오히려 열려 있고 박식한 사람이었는데 실제로 인디애나폴리스시의 감리교회에서 근무하면서 백인과 흑인의 구분이 없는 통합 예배를 주장하다가 쫓겨나기도 했다. 이후 이것이 발단이 되어 1955년에 자신의 교단을 설립하고 본격적으로 목회 활동에 나섰다. 이 과정에서 윌리엄 브랜험의 늦은비 운동[4] 등 오순절교회에서 파생된 이단의 영향도 받았으며 'Full Gospel'이란 명칭도 당시의 흔적이라고 할 수 있다.

존스는 개신교적 믿음을 강조하며 인종 통합과 인종 차별 반대, 사회 정의, 평등, 자유, 빈민 구제 등 바람직한 가치를 표방했다. 존스 자신의 카리스마도 굉장했으며 올곧은 모습에 곧 많은 사람들이 존스를 따랐다. 특히 공동체 통합을 표방하면서 교회를 통하여 사회를 통합하자고 주장한 것은 ( 남미에서 해방 신학이 인기를 끌었던 것과 마찬가지로) 당시 경제적, 인종적 차별로 핍박받은 사람들에게 크게 지지를 받았다. 이러한 영향력 때문에 개방적 개신교 교단인 '그리스도의 제자회'가 존스에게 목사 안수를 주고 자신들의 교파로 포함시켰다. 이렇게 초기에는 사회주의적 색채를 내보일지언정 종교적 틀을 벗어나지는 않았고 종교의 틀을 가지고 있을지언정 평등 등을 왜곡해서 알고 있지도 않았다.

그런데 1960년대 들어 당시 미국 정치계가 급속한 변화에 휩싸이면서 종전의 사회적 질서가 붕괴하고[5] 문화적 충돌과 사상적 양극단화가 가속된 끝에 과격주의가 빠르게 번지기 시작하였으니 이러한 시대적 움직임에 민감한 영향을 받은 존스도 차츰차츰 변질되었다. 특히 인종 통합을 주장하다가 교회에서 내쫓겼던 기억은 1960년대의 사회적 히스테리와 맞물리면서 자신이 가꾸어온 교단을 무너뜨리기 위해 자신의 반대파들이 공작 중이라는 피해의식으로 발전하였다.

2.2. 존스의 왕국

1964년 정식으로 목사 안수를 받은 존스는 곧바로 교회를 캘리포니아로 이주시켰다. 당시 캘리포니아는 지금도 그렇지만 미국의 사회적 변혁에 있어 최전선이었고 다양한 이념과 급진적 운동이 활동하고 충돌하던 곳이었다.

존스는 여기에서 공산주의 사상과 초기 기독교 신도의 사상을 따라 신도의 소득, 부동산, 보험금 등의 자산을 사원에 바쳐 모든 사람이 공평하게 나눠 가지도록 했다. 집회에서는 인터내셔널가 찬송가로 부르고 https://youtu.be/BxK9jaHYCK8?si=us3eN3DFlQ1L-kwY 설교에서 ' 종교는 인민의 아편이다'라고 까기도 했을 정도로 반기독교적 색채를 강하게 드러냈으며 특히 마오쩌둥 사상에 심취하여 안티 파시즘 정당인 흑표당[6]의 지도자였던 휴이 뉴턴이나 안젤라 데이비스 등과 협력하여 공산주의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그러나 신도 사이에서 내분이 일어나고 사회에서도 이 요상한 종교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카메라를 들이대기 시작하자 존스의 피해망상이 자극받아 기어이 돌이킬 수 없는 결정을 내렸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Jonestown_Houses.jpg
인민사원의 모습

1974년 인민사원은 남아메리카 가이아나의 토지를 구입했고 아예 미국을 떠나 그곳에 마을을 꾸리고 정착했는데[7] 이 마을이 바로 '존스타운[8]'으로 자신만의 왕국에서 짐 존스는 왕이나 다름없는 존재였다. 존스는 미국 사회와 기독교를 공공연하게 ' 자본주의, 제국주의'라고 비난하고 신도를 선동하면서 스스로를 신격화했다.

배리 캐넌 전 미국 대사와 정부 인사가 한 증언에 따르면, 가이아나 정부에서 주권 침해 가능성이 높은 존스타운의 미국인 정착촌을 오랫동안 묵인해 줬던 이유가 있었다고 한다. 당시의 가이아나 베네수엘라 정부와 오랫동안 영토 분쟁을 빚고 있었으며, 베네수엘라 국경 근처의 미국인 정착촌이 만들어지게 되면 베네수엘라의 침공을 막기 위한 일종의 인계철선이 되는 완충 지대로 큰 도움을 줄 것이라고 예상했기 때문이었다.

사실, 이는 가이아나가 건국된 이후부터 현재까지 지속되는 영토 분쟁이다. # 현재 가이아나의 서부 영토인 ' 과야나 에세키바'는 베네수엘라가 역사적으로 자신들의 '개척 구역'이라고 주장하는데, 가이아나가 영국 식민지였던 시절에 영국이 베네수엘라로부터 뺏어 간 땅이기 때문에 반드시 되찾아야 한다면서 억울하게 영토를 빼앗겼다고 간주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우고 차베스 집권기부터 베네수엘라 국기의 별이 7개에서 8개로 늘어난 것도, 빼앗긴 가이아나 서부의 영토를 반영한 것이다.[9]

결국 가이아나 정부의 묵인 아래 성공적으로 정착한 짐 존스는 신도들의 무단 탈출을 막기 위해서 마을 밖으로 나가면 독사와 원주민 때문에 살지 못할 것이라고 협박하면서 무장 경비병을 마을 근처에 세워놓고 엄중하게 감시를 시키기까지 했다. 생존자의 증언에 따르면, 농작물이나 다른 작업에 대한 할당량을 채우지 못하거나 조금이라도 불만을 품으면 가차 없이 구타와 정신적 학대를 했다고 한다. 신도들, 심지어 가족들끼리도 서로 감시하면서 존스타운에 대한 적대적인 자세가 보이면[10] 지체 없이 짐 존스와 간부들에게 보고했다. 생존자인 레슬리 윌슨이 인터뷰에서 밝힌 바에 따르면 "자신은 감시 체제로 인해 당시 미국으로 돌아가고 싶다는 마음을 부모와 형제에게도 밝힐 수 없었다"라고 증언했다.

2.3. 희대의 학살극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973_Congressional_Pictorial_Leo_Ryan.jpg
레오 라이언 하원 의원

결국 존스타운에 갇힌 신도의 안전을 염려한 미국 본토에 있었던 가족의 항의로 네브래스카 출신 레오 라이언 하원 의원[11]이 진상 조사를 위해 가이아나로 떠났다. 하지만 이 방문은 존스타운의 사람들을 해방시키기는커녕 끔찍한 결말을 부르고 말았다.

가이아나 시간으로 1978년 11월 17일 아침에 레오 라이언 의원과 조사단·기자단은 비행기를 타고 존스타운을 방문했다. 당시 짐 존스는 조사단을 속이기 위해 신도들이 행복하게 잘 사는 것처럼 꾸미고 거짓 증언을 하도록 강요했으며 처음에는 라이언 의원도 신도들이 행복해 보인다며 속아 넘어갔다.

그런데 버논 고즈니(Vernon Gosney, 1953~2021, 당시 25세)라는 남자 신도가 존스타운의 실상을 적은 쪽지를 짐 존스와 그의 하수인들의 시선을 피해 조사단원인 NBC 기자 돈 해리스(Don Harris, 1936~1978, 당시 42세)에게 전달하면서 라이언 의원과 조사단도 실상을 알게 되었다. 18일 아침 조사단이 조사를 하러 온 가운데 신도 메리 스미스(Mery Smith, 1940~?, 당시 38세)라는 여자가 '존스타운에서 빠져나가게 해 달라'고 말했다. 이후 조사단원 NBC 기자 돈 해리스가 신도들을 인터뷰했는데 대부분의 신도들은 존스타운에 대해 행복하다, 살기 좋다는 말만 했지만 표정을 보면 존스의 보복이 있을까 봐 불안해하는 기색이 역력했다.

이후 패트리샤 파크스(Patricia Parks, 1934~1978, 당시 44세)라는 신도가 라이언 의원의 법률 고문이었던 재키 스파이어(Jackie Speier, 1950~, 당시 28세)에게 가족과 미국으로 돌아가겠다는 말을 했고 크리스 오닐(Chris Oneal, 1958~2014, 당시 20세)이라는 남자와 에디스 보그(Edith Bogg, 1939~, 당시 39세)라는 여자도 가족과 여기서 나가겠다고 하면서 돌아가겠다는 입장을 밝힌 사람이 늘어났다. 이에 인민사원 내부는 발칵 뒤집혔고 교주인 존스와 간부들은 당혹스러워했다. 결국 귀국 의사를 밝힌 신도 15명과 면담하고 미국으로 보내 주기로 결정하여 15명이 조사단을 따라 존스타운을 빠져나갈 예정이었다.

사원 내부의 분위기가 갑자기 이상하다는 것을 감지했던 돈 해리스가 급히 짐 존스에게 실상이 적힌 쪽지를 보여주면서 묻자 심각한 표정이던 존스가 쪽지에 적힌 글은 거짓말이라며 제발 여기에서 당장 나가 달라는 말을 하였다. 라이언 의원이 존스에게 가서 신도들이 떠나려고 한다며 단도직입적으로 인민사원의 문제점을 말하려고 하던 그때 돈 슬라이(Don Sly, 1936~1978, 당시 42세)라는 신도가 뒤에서 라이언의 목을 잡고 칼로 찌르려고 했다. 다행히 라이언의 변호사 2명이 흉기를 빼앗아 저지하여 라이언 의원은 자상을 입기는 했지만 크게 다치진 않았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BobBrownKaituma.jpg
돌아가려던 중 총격을 당한 장면

하지만 다음 날 11월 18일 존스는 조사를 마치고 돌아가려 하는 조사단과 신도들을 살해하려고 이륙장으로 무장한 사람들을 보냈다. 탈출하는 사람 속에 몰래 총을 든 첩자 한 명을 숨겼는데 이 첩자는 래리 레이턴(Larry Layton, 1946~, 당시 32세)이라는 신도였다. 레이턴은 이륙하는 중에 총을 꺼내 다른 신도들에게 총을 쏘아 살해하려 했고 레오 라이언 의원의 직원 재키 스파이어가 총상을 입으면서까지 막았으나 결국 비행기 밖에서 라이언 의원과 NBC 기자 돈 해리스, 신도 패트리샤 파크스, 카메라맨 밥 브라운(Bob Brown, ?~1978), 사진기사 그레그 로빈슨(Greg Robinson, 1951~1978, 당시 27세) 등 5명이 현장에서 즉사했고 중상을 입은 다른 사람들은 정글의 수로로 도망쳐서 살아남았다.[12] 래리 레이턴은 정글로 숨었다가 가이아나 경찰에 체포되어 수감된 후 2002년에 출소하였다.
파일:스크린샷 2022-06-03 오전 9.02.50.png
신도들을 죽인 독극물

오후 5시 30분 비행장에서 습격 직후 짐 존스 자신을 포함하여 신도 총 909명이[13] 청산가리를 탄 쿨에이드[14]를 마시고 집단 자살을 했는데 놀랍게도 많은 사람들이 마치 도살장에 끌려가는 짐승처럼 순순히 존스의 말에 따라 자신의 자식들에게 독을 먹인 다음 자기들도 마시고 사망했다.

한편 짐 존스는 자신의 일련의 과정을 녹음한 뒤 최종적으로는 머리에 총상을 입고 숨진 채 발견되었는데 존스가 자살했는지 아니면 함께 숨진 채 발견된 교단 간부에 의해 살해됐는지의 여부는 불분명하지만 부검을 통해 짐 존스 본인도 음독했던 것으로 밝혀졌다. 조지타운[15] 인민사원 지부에서도 신도 4명이 사망한 채로 발견되었다.[16]

최종적으로 918명이 사망했으며 사건 직후 가이아나군이 출동하여 시신을 모두 수습하였다. 존스타운은 1980년 라오스에서 망명한 몽족 난민들을 위한 임시 수용소로 사용되었다.

그리고 1980년대 중반에 화재로 건물들이 소실되었고 긴 시간이 흐르는 동안 정글에 의해 매립되어 현재는 몇몇 잔해를 제외하면 그 흔적을 찾을 수 없게 되었다.

사건 이후 존스타운 부지에는 위령비가 하나 세워져 있을 뿐이다.

당시 이 사건은 미국 사회를 발칵 뒤집어 놓았고 오늘날까지도 미국인의 머릿속에 사이비 종교의 대표적인 예로 자리 잡고 있다. 사건의 원인에 대해 여러 가지 상충하는 견해를 담은 책과 기사가 지금까지도 발표되고 있으며 종교학, 심리학, 철학, 범죄학 등 각종 학문에서도 이 사건을 메인 테마로 다룬 적이 있다. 공산주의와 크게 연계되었기 때문에 종교, 정치적으로도 주요한 화제가 되었고 이 사건은 미국을 포함한 전 세계 언론에 의해 집중 보도 되었으며 한국에서도 각종 언론 매체를 통해 보도되기도 했다.
Return to Jonestown | Survivors revisit site 40 years after the tragedy | Sunday Night

호주 방송에서 취재를 통해 제작한 학살 40주기 추모 다큐멘터리. 여기서는 인민사원에서 탈출에 성공한 신도, 자살한 신도의 가족, 그리고 짐 존스의 아들이 증언을 해 주었다. 존스타운의 40년 후의 모습도 덤으로 보여주었다. 다만 현장 보존을 위해 들어가지는 않았다.

2.3.1. 살아남은 사람들

이 와중에도 다행히 생존한 사람이 몇 명 있었다. 사건 당일 이륙장을 통해 신도 15명이 귀국하려고 하기 전 신도 11명이 존스와 간부들이 라이언 의원과 조사단에게 신경을 쓴 틈을 타 몰래 정글로 도망친 후 탈출해서 살아남았다. 탈출을 주도한 레슬리 윌슨(Leslie Willson, 1957~, 당시 21세)이라는 여자는 사건 당일 충성파 신도였던 남편에게 피크닉을 할 것이라며 속이고 자신의 아들 재커리(Zachary Willson, 1976~, 당시 2세)와 함께 탈출하려고 했다. 이때 마음이 맞은 산드라 에반스(Sandra Evans, 1948~, 당시 30세), 리처드 클라크(Richard Clark, 1936~2001, 당시 41세), 다이앤 루이(Diane Rouie, 1952~, 당시 26세)와 함께 경비들을 피해 정글로 도망친 후 탈출하여 생존할 수 있었다. 함께 탈출한 사람들은 에반스의 남편 줄리어스(Julius Evans, 1948~2004, 당시 30세)와 딸 소니아(Sonya Evans, 1967~, 당시 11세), 샬라(Sharla Evans, 1971~, 당시 7세), 이웃 로버트 폴(Robert Paul, 1945~2010, 당시 33세)과 조니 프랭클린(Jonney Franklin, 1945~, 당시 33세) 등이었다. 하지만 집단 대학살로 인해 윌슨은 자신의 남편과 부모, 형제, 조카를 잃고 말았다.

여기에 존스타운에서 일하던 남성 변호사 마이클 사이먼(Michael Simon, 1945~, 당시 33세)과 여성 변호사 조이스 베이크스(Joyce Bakes, 1946~, 당시 32세)는 사건 직전 심각한 분위기를 감지하여 존스에게 허락을 받고 존스타운을 빠져나왔고 무장 경비가 뒤쫓았지만 이들은 정글에 숨었다가 조지타운으로 탈출하는 데 성공했다. 그리고 존스는 사건 직전에 존스타운에서 보유하고 있었던 현금을 가방 2개에 나눠 담고 조지타운에 있었던 소련 대사관으로 가져다주라고 심부름을 시켰는데 이를 수행한 남자 3명은 살아남았다.

또 귀가 안 들려서 모이라는 소리를 못 들었다가 나중에 수로에 몸을 숨겨서 살아남은 남자 1명[17], 모이라는 소리를 듣고는 침대 밑에 숨은 여자[18], 모였다가 경비를 속이고 탈출한 남자 1명, 모였다가 청진기를 가져오겠다고 하고는 숨은 남자 1명 등 4명이 더 살아남았다.

그리고 산드라 에반스의 삼녀 시렐리 에반스(Shirelle Evans, 1973~, 당시 5세)가 가족들과 떨어져 홀로 숲속에 숨어 있었다가 가이아나 정부 쪽 사람들에게 구조되었다. 이 아이는 나중에 본국인 미국으로 돌아간 후 한 가정에 입양되었고 지금까지 잘 살고 있다고 한다.

또 사건 직전에 조지타운에 위치한 인민사원 지부로 존스타운 거주자들 몇십 명[19]이 이동했고 비슷한 시기에 존스타운 근무자 일부[20]가 로스앤젤레스에 위치한 인민사원 지부로 이동하는 일이 있었다. 이 덕에 이 사람들은 참극을 피할 수 있었지만 사건 당일에 존스타운에 있었던 것이 아니기 때문에 생존자 집계에서 제외되는 일이 많다고 한다.

한편 짐 존스의 아들 짐 존스 주니어는 당시 가이아나 대표 팀과의 농구 경기 때문에 조지타운으로 출장을 가서 사건에 휘말리지 않았고[21] 다른 아들인 스티븐 존스[22]도 조지타운에 있어서 사건에 휘말리지 않았다. 이 아들 2명은 조사단이 존스타운에 들어올 때쯤에 존스로부터 돌아오라는 명령을 들었으나 뭔가 수상쩍어 거부했다고 한다. 그러나 존스의 다른 자식들과 존스의 아내는 이 사건으로 짐 존스와 존스타운에 남은 다른 신도들과 함께 사망한 채 발견되었다.

2.4. 자살인가, 타살인가?

이 사건은 자살 사건이라고 불리기에는 다소 어폐가 있는데 인민사원 신도였던 스탠리 클레이턴(Stanley Clayton, 1953~, 당시 25세)[23], 오델 로즈(Odell Rose, 1942~2014, 당시 36세)[24] 두 사람의 증언에 의하면 존스는 신도들을 모아 놓고 강제로 자살할 것을 명령했다고 하며 이 사건과 관련해서 세간에 퍼져 있는 '신도들이 나란히 줄을 서서 독극물을 받아먹고 아무 저항 없이 죽어갔다'는 인식도 사실과 다르다고 증언했다. 당시 신도들 주위에는 무장 경비원들이 배치되어 있었기 때문에 섣불리 저항할 수 있는 상황도 아니었을 것이다. 로즈는 어린이에게 강제로 독극물을 먹이는 모습도 실제로 가까이에서 목격했다고 밝혔다.

로즈를 포함한 생존자의 증언에 따르면 깜깜한 새벽에 사이렌을 울리며 존스가 백야(White night)라고 방송하며 신도를 모이게 하고 외부 세력이 인민사원의 신도와 존스 자신을 위협하려고 한다는 가정하에 자신을 따르는지를 확인하려고 자살 연습을 한 적이 수차례 있었다고 한다.

따라서 신도들이 강요로 인해 독극물을 마신 것이었는지, 아니면 자발적으로 자살한 것인지에 대해 논란의 여지가 있다. 특히 존스타운 주민 중 3분의 1이 16살 이하의 어린이였다. 어린이가 자발적으로 죽음을 선택하기는 불가능할 것이다. 존스는 제일 먼저 부모더러 자식에게 독극물을 먹이라고 명령했다. 뒷걸음질치는 어린이를 붙잡은 인민사원 임원이 물딱총으로 독극물을 먹였고 부모들은 자기 아이들이 고통에 울부짖는 와중에 집단 자살을 합리화하는 연설을 해 대면서 서로 박수를 쳤다. 이 과정이 하나도 남김없이 녹음 테이프로 남아 있으며 후일 FBI가 이를 발견하여 Q042라는 코드네임을 붙였다.[25]

다만 모두가 짐 존스의 이런 미친 결정에 찬성한 것은 아니었다. 크리스틴 밀러(Christine Millor, 1918~1978, 당시 60세)[26]라는 여자는 " 러시아로 가자.", "아이들은 살려주자.", "생명권은 각자 자신에게 있으니 자살 또한 각자에 맡겨야 한다."는 상식적인 반론을 제기하였는데 짐 존스는 "이 파시스트 세상에 아이들을 남겨 고통받게 할 수는 없다.", "당신은 지금 죽기를 두려워하고 있다."는 비관론으로 밀러의 말문을 막아 버렸고 다른 충성파 신도들은 밀러를 겁쟁이라며 비판해서 묵살시켰다. 밀러의 시신에서는 주사 자국이 발견되었기에 살해당했을 것이라는 의견도 있다. 밀러의 자식들도 죽은 채로 발견되었다. 밀러의 마지막 주장은 서술한 Q042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짐 존스는 자신이 살해를 의도하지 않았다고 주장했지만 그런 일이 벌어질 줄 알았다며 라이언 의원 살인 사건은 자신들을 음모의 희생양으로 모는 것이라고 우겼다. 생존자의 증언에 따르면 총을 든 경비병이 강요하는 분위기를 만든 것은 사실로 보이지만 또 많은 신도들이 순순히 독극물을 받아 마신 것도 허구라고 생각하기는 힘들다. 실제로 자살한 사람들이 남긴 유언이나 메모에서 이 사람들이 죽을 때까지 존스에 대한 믿음을 유지했음을 알 수 있다. #

3. 사건 이후

시신은 모두 고국인 미국으로 이송되었으며[27] 인수할 유가족이 없는 이들은 캘리포니아 오클랜드 에버그린 공동묘지에 안장되었다. 2010년까지는 추모비만 달랑 있는 무덤이었으나 이후 희생자 전원의 이름이 적혔다.

다만 이 과정에서 우여곡절도 많았다. 2008년 지노나 노우드(Jynona Norwood)[28]가 주도한 모금 프로젝트로 '(존스를 제외한) 성인 희생자의 이름'을 새긴 기념석 2개가 제작되었는데 그 기념석의 크기가 6피트에 달할뿐더러 무겁기도 해서 희생자의 무덤에 세우면 필연적으로 유골이 훼손되기 때문에 매장지에서 조금 떨어진 곳에 건립했다. 그런데 2010년 짐 존스의 양아들 등이 주도하여 '존스를 포함한 희생자 전원의 이름을 새긴 새로운 기념비'를 제작하여 희생자의 집단 묘 위에 세웠다.

신도들의 총격으로 사망한 레오 라이언 하원 의원은 1983년에 의회 명예 황금 훈장을 받았다.

노우드는 존스의 이름을 같이 새긴 것을 희생자를 모욕하는 짓으로 여겨 에버그린을 고소하고 # 문제의 기념비를 철거하며 자신들의 기념비를 그 자리에 세우게 해 달라고 청구하였다. 그러나 앨러미다 지방 법원과 샌프란시스코 항소 법원은 원고의 청구를 기각했다. 결국 이 사건으로 피해자들을 추모하는 단체는 둘로 쪼개져 버렸다. 노우드를 지지하는 쪽은 Jones-Town(사이트)를, 그렇지 않은 쪽은 Jones-Town-Memorial(사이트)를 운영한다. 참고로 존스는 에버그린에 묻히지 않고 화장되어 바다에 뿌려졌다.

한편 희생자 중 9구가 유가족이 아닌 이에게 넘어갔다가 2014년 델라웨어에서 뜬금없이 발견되는 일도 있었다.[29] 에버그린에 따르면 희생자의 가족이나 생존자 중에도 여기에 묻힌 사람이 있으며 앞으로도 계속 받을 것이라고 한다. 다만 더 이상 시신 안장을 할 자리는 없기 때문에 정 오고 싶으면 화장해야 한다고 한다.

라이언 의원의 법률 고문으로 조사단에 동참했던 재키 스파이어는 총상을 입었으나 겨우 살아남았으며 이후 정계에 입문하여 캘리포니아주 하원, 상원 의원을 거쳐 2008년에는 라이언의 옛 지역구에서 연방 하원 의원으로 당선되었는데 쭉 의원직을 수행하다가 2022년 재선에 나서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또 당시 생존했던 버넌 고즈니는 이후 하와이주 경찰로 근무하면서 방송에서 사건에 관련한 증언을 하였고 2010년 정년퇴임 후 여생을 보내다가 2021년 1월 31일 심근경색으로 향년 68세로 사망했다.

한편 인민사원은 사건 이후 1978년 12월 4일 교단 측 변호사인 찰스 게일리로부터 파산을 신청하였으며 이듬해 1월 샌프란시스코시 지방 법원의 판결에 따라 교단 내부 자산을 전량 매각함과 동시에 소수의 생존 신도 전원은 본국인 미국으로 귀국하였다. 그 후 샌프란시스코와 인디애나폴리스 소재 교단 본부는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에 넘겨졌으나 샌프란시스코 지부는 1989년 캘리포니아 북부 지진으로 붕괴 후 재건되어 현재는 미국 우정공사가 사용하고 있다.

4. 음모론

흔히 앞서 언급된 Q042가 존스타운의 마지막 기록이라고 생각하지만 Q875라고 불리는 학살 다음 날에 라이언 의원과 일행들이 총격을 당해 사망했다는 것이 가이아나 라디오 뉴스로 방송된 내용을 녹음한 테이프가 존재한다. 하지만 그 사이사이 문이 열리고 닫히거나 여자와 남자가 대화를 나누고 기침을 하는 소리가 들리는 기이한 테이프로 도대체 누가 어떤 목적으로 했는지 알 수 없을 따름이다. 생존자들은 광란의 학살을 피하기 위해 정글에 숨어 있느라 그럴 여유가 없었다. 따라서 가장 유력한 용의자는 가이아나군인데 이게 맞다면 가이아나군이 최초의 발견자이나 미국 수사관들이 도착하기 전에 사건 현장을 건드렸다는 문제가 생긴다.[30] 물론 존스가 19일 오전에도 살아 있었을지도 모르며 본인이 어떤 이유에서인지 사건 초기의 라디오 뉴스 보도를 녹음한 것이라는 의견도 있다. 생존자의 증언에 따르면 녹음된 목소리가 존스 및 그 측근들의 것일 가능성이 높고 해당 테이프의 뒷면에 "죽었어(He's dead)"라는 말이 녹음되어 있는 것을 보아 존스의 자살 직후까지 녹음을 계속하고 있었으리라는 의견이다.

워낙 괴이한 사건이다 보니 당연히 음모론이 등장했다. 음모론에 따르면 존스는 미국 정부의 의뢰로 집단 최면 실험을 진행하는 중이었고 캘리포니아나 가이아나에 정착하는 데 든 비용 등이 전부 미국의 비밀 자금이었다고 한다. 미 하원 조사단이 방문하여 이런 사실이 드러날 위기에 처하자 존스와 미국 정부가 증거를 인멸하기 위해 조사단을 살해하고 피실험자(신도)들을 집단 자살 시켰는데 이러한 작업을 존스를 지원하고자 남미에 주둔 중이던 그린베레 대원들이 수행했다는 설이다. [31]

다만 음모론을 떠나서 이해하기 힘든 부분도 있는데 Q042에서 주가이아나 미국 대사관의 로버트 드와이어 부국장이 언급된다는 점이다. 존스가 "드와이어를 동쪽 집으로 데려가라. 여기서 일이 나기 전에 드와이어를 내보내라."라고 말한 내용이 녹음되어 있어서 이 녹음대로면 드와이어가 당시 존스타운에 있었고 존스가 그를 내보내도록 지시했단 말이 된다. 심지어 드와이어는 각종 음모론의 단골 주체로 나오는 CIA의 요원이었음이 밝혀졌다. 정부 요원을 항상 비난해 왔던 존슨이 핵심 정부 요원과 친하게 지내 왔던 것. 그러나 이에 대한 구체적인 진상은 밝혀진 게 없다.

5. 매체

  • 당신이 혹하는 사이
  • 새크라멘트: 이 사건을 모티브로 한 영화.
  • 신비한 TV 서프라이즈: 2023년 1월 8일 자에서 이 사건을 다루었다.
  • 아웃라스트 2: 2017년 4월 25일에 출시된 게임으로 여기서 모티브를 얻었다고 제작자가 밝혔다.
  • 차트를 달리는 남자
  • The Church in the Darkness: 2019년에 출시된 게임. 이 사건을 모티브로 했다.
  • White Nights: Psychic TV의 노래. 가사를 모르고 들으면 매우 행복하게 들리지만 사실은 이 사건을 소재로 했다. 참고로 존스타운에서 자살 예행 연습이 수시로 있었는데 그 모의 행사 이름이 백야였다고 한다.
  • 시라이 도모유키의 <명탐정의 제물>이 이 사건을 모티브로 삼고 있으며 인민사원을 인민교회로, 짐 존스를 짐 조든으로 바꾸는 등 고유명사 몇 개를 바꾸었을 뿐 큰 틀은 원래 사건을 그대로 따라가고 있다.

6. 기타

  • 라이언 의원의 맏딸은 아이러니하게도 오쇼 라즈니쉬의 사상에 공감해 그 공동체에 아버지의 사망 보상금을 모조리 때려 넣었다고 한다.
  • 꽤나 유명한 학살 사건이기 때문인지 대부분의 서구권 창작물에서 가공의 사이비 종교의 모티브로 잘 쓰인다. 대표적으로 심슨 가족에 나오는 무브먼트교도 인민사원과 교리가 비슷하다.
  • 이 사건으로 인해 북미권에서 ' 쿨에이드를 마시다. (Drink the Kool-Aid)'라는 표현은 "무언가를 심각할 정도로 믿는다." 라는 뜻의 은어가 되었다. 링크 더불어 사이비 종교의 집단 자살을 빗대 표현할 때도 쓰인다.
  • 이 사건은 9.11 테러 이전까지 20년 이상 가장 많은 시민의 생명을 빼앗아 간 단일 사건이었다. 무려 918명이 사망했다.

7. 관련 문서

8. 둘러보기

역대 미국의 대형 사고 및 참사
{{{#!wiki style="margin:0 -10px -5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word-break: keep-all; min-width: 100px; min-height:2em"
{{{#!folding [ 2020년대 ]
{{{#!wiki style="margin:-5px 0"
발생일 <colcolor=#000> 사망 사건명
2023년 8월 8일 ~ 8월 11일
101
2022년 6월 27일
53
2022년 5월 24일
22
2021년 6월 24일
98
}}}}}}}}}
[ 2010년대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width=33%>발생일
<colcolor=#000> 사망 사건명
2019년 9월 2일
34 컨셉션호 화재
2019년 8월 3일
23
2018년 10월 6일
20 쇼하리 리무진 버스 충돌사고
2017년 11월 5일
27 텍사스 제일 침례교회 총기 난사 사건
2017년 10월 1일
61 라스베이거스 총기 난사 사건
2016년 12월 2일
36 고스트 쉽 창고 화재
2016년 6월 12일
50 올랜도 나이트클럽 총기난사 사건
2015년 10월 1일
33 엘 파로호 침몰 사고
2014년 3월 22일
43 오소 산사태
2012년 12월 14일
28 샌디 훅 초등학교 총기난사 사건
2011년 8월 6일
38 아프간 헬기 피격 사고
2010년 4월 5일
46 어퍼 빅 브랜치 탄광 폭발사고
[ 2000년대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width=33%>발생일
<colcolor=#000> 사망 사건명
2009년 2월 12일
50 콜간 항공 3407편 추락 사고
2008년 9월 12일
25 채스워스 열차 충돌 사고
2007년 4월 16일
32 버지니아 공대 총기 난사 사건
2006년 8월 27일
49 컴에어 5191편 추락 사고
2005년 12월 19일
20 초크 오션항공 101편 추락 사고
2005년 10월 2일
20 이선 앨런호 침몰 사고
2005년 9월 1일
54 허리케인 카트리나 집단 안락사 사건
2003년 2월 20일
100 스테이션 나이트클럽 화재 사고
2003년 2월 17일
21 E2 나이트클럽 압사 사고
2003년 1월 8일
21 에어 미드웨스트 5481편 추락 사고
2001년 11월 12일
265 아메리칸 항공 587편 추락 사고
2001년 9월 11일
2,996 9.11 테러
2000년 1월 31일
88 알래스카 항공 261편 추락 사고

[ 1990년대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width=33%>발생일
<colcolor=#000> 사망 사건명
1999년 10월 31일
217 이집트 항공 990편 추락 사고
1999년 5월 9일
23 뉴올리언스 버스 사고
1998년 8월 7일
224 케냐 미 대사관 폭탄 테러
1997년 8월 6일
228 대한항공 801편 추락 사고
1997년 3월 26일
39 헤븐즈 게이트 집단 자살 사건
1997년 1월 9일
29 컴에어 3272편 추락 사고
1996년 11월 21일
33 푸에르토리코 가스 폭발 사고
1996년 7월 17일
230 트랜스 월드 항공 800편 추락 사고
1996년 5월 11일
110 밸류젯 592편 추락 사고
1995년 12월 20일
159 아메리칸 항공 965편 추락 사고
1995년 9월 22일
24 알래스카 보잉 E-3 추락 사고
1995년 4월 19일
168 오클라호마 폭탄 테러
1994년 10월 31일
68 아메리칸 이글 4184편 추락 사고
1994년 9월 8일
132 US에어 427편 추락 사고
1994년 7월 2일
37 US에어 1016편 추락 사고
1994년 3월 23일
24 그린 램프 참사
1993년 9월 22일
47 빅 바유 캐넛 탈선 사고
1993년 2월 28일 ~ 4월 19일
86 웨이코 포위전
1992년 4월 29일 ~ 5월 4일
68 LA 폭동
1992년 3월 22일
27 US에어 405편 추락 사고
1991년 10월 19일 ~ 10월 23일
25 오클랜드 대화재 및 산불
1991년 10월 16일
24 루비스 카페테리아 총기 난사 사건
1991년 9월 3일
25 햄릿 계육가공공장 화재 사고
1991년 4월 5일
23 애틀랜틱 사우스웨스트 항공 2311편 추락 사고
1991년 3월 3일
25 유나이티드 항공 585편 추락 사고
1991년 2월 1일
35 로스앤젤레스 국제공항 지상충돌 사고
1990년 3월 25일
87 해피랜드 나이트클럽 화재
1990년 1월 25일
73 아비앙카 항공 052편 추락 사고
[ 1980년대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width=33%>발생일
<colcolor=#000> 사망 사건명
1989년 10월 23일
23 필립스 정유 회사 폭발 사고
1989년 9월 21일
21 텍사스 알톤 버스 사고
1989년 7월 19일
111 유나이티드 항공 232편 착륙 사고
1989년 4월 17일
47 아이오와급 전함 주포 폭발사고
1989년 2월 8일
144 인디팬던트 에어 1851편 추락 사고
1988년 12월 21일
270 팬 아메리칸 항공 103편 폭파 사건
1988년 5월 14일
27 캐롤튼 버스 충돌 사고
1987년 12월 7일
43 퍼시픽 사우스웨스트 항공 1771편 추락 사고
1987년 11월 15일
28 컨티넨탈 항공 1713편 추락 사고
1987년 8월 16일
156 노스웨스트 항공 255편 추락 사고
1987년 4월 23일
28 람비안스 플라자 붕괴사고
1986년 12월 31일
97 듀폰트 플라자 방화 사건
1986년 8월 31일
82 세리토스 상공 공중 충돌 사고
1986년 6월 18일
20 그랜드 캐니언 공중충돌 사고
1986년 5월 30일
21 캘리포니아 워커 버스 사고
1985년 12월 12일
256 애로우 항공 1285편 추락 사고
1985년 9월 6일
31 Midwest Express 105편 추락 사고
1985년 8월 2일
137 델타항공 191편 추락 사고
1985년 1월 21일
70 갤럭시 항공 203편 추락 사고
1985년 1월 1일
29 이스턴 항공 980편 추락 사고
1984년 12월 19일
27 윌버그 탄광 화재 사고
1984년 7월 18일
21 샌 이시드로 맥도날드 총기난사 사건
1983년 10월 23일
307 베이루트 미군 숙소 테러
1983년 9월 1일
269 대한항공 007편 격추 사건
1983년 6월 2일
23 에어캐나다 797편 사고
1983년 4월 18일
63 베이루트 미 대사관 테러
1983년 2월 10일
31 SS Marine Electric 침몰 사고
1982년 9월 4일
25 Dorothy Mae Apartment-Hotel 방화 사건
1982년 7월 9일
153 팬 아메리칸 항공 759편 추락 사고
1982년 1월 13일
78 에어 플로리다 90편 추락 사고
1981년 7월 17일
114 하얏트 리젠시 호텔 고가 통로 붕괴 사고
1981년 1월 9일
20 뉴저지 요양병원 화재 사고
1980년 12월 4일
26 스토퍼스 여관 방화 사건
1980년 11월 21일
85 MGM 그랜드 호텔 화재
1980년 9월 12일
34 Florida Commuter Airlines 65편 추락 사고
1980년 6월 5일
20 아칸소 재스퍼 버스 사고
1980년 5월 9일
35 선샤인 스카이웨이 대교 붕괴사고
1980년 1월 28일
23 USCGC 블랙손 침몰 사고
[ 1970년대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width=33%>발생일
<colcolor=#000> 사망 사건명
1979년 5월 25일
273 아메리칸 항공 191편 추락 사고
1978년 11월 18일
918 인민사원 집단 자살 사건
1978년 9월 25일
144 샌디에이고 상공 공중충돌 사고
1978년 4월 27일
51 윌로우 아일랜드 참사
1978년 1월 28일
20 코트스 하우스 호텔 화재 사고
1977년 12월 13일
29 Air Indiana 216편 추락 사고
1977년 11월 6일
39 켈리 반스 댐 붕괴사고
1977년 6월 26일
42 모리 카운티 교도소 화재 사고
1977년 5월 28일
165 비버리 힐즈 서퍼 클럽 화재
1977년 3월 27일
583 테네리페 참사
1976년 10월 20일
78 MV 조지 프린스호 침몰 사고
1976년 6월 4일
46 에어 마닐라 항공 702편 추락 사고
1976년 5월 21일
29 유바 시티 버스 추락사고
1976년 4월 27일
37 아메리칸 항공 625편 추락 사고
1976년 3월 9일, 3월 11일
26 스코샤 탄광 폭발 사고
1976년 1월 30일
23 윈크레스트 요양병원 화재 사고
1976년 1월 10일
20 패스파인더 호텔 폭발 사고
1975년 11월 10일
29 에드먼드 피츠제럴드호 침몰 사고
1975년 6월 24일
113 이스턴 항공 66편 추락 사고
1974년 12월 1일
92 트랜스 월드 항공 514편 추락 사고
1974년 9월 11일
72 이스턴 항공 212편 추락 사고
1974년 9월 8일
88 트랜스 월드 항공 841편 폭파 사건
1974년 6월 30일
24 걸리버즈 나이트클럽 방화 사건
1974년 4월 4일
72 서던 에어웨이즈 242편 추락 사고
1973년 7월 31일
88 델타 항공 723편 추락 사고
1973년 7월 23일
38 오작 에어 809편 추락 사고
1973년 7월 22일
78 팬 아메리칸 항공 816편 추락 사고
1973년 6월 24일
32 UpStairs Lounge 방화 사건
1973년 3월 22일
32 MV Norse Variant 침몰 사고
1973년 2월 10일
40 스태튼 아일랜드 가스 폭발 사고
1972년 12월 29일
101 이스턴 항공 401편 추락사고
1972년 12월 8일
45 유나이티드 항공 553편 추락사고
1972년 10월 30일
45 1972년 시카고 열차 추돌사고
1972년 9월 24일
22 새크라멘토 캐나디어 세이버 추락 사고
1972년 5월 2일
91 선샤인 탄광 화재 사고
1972년 2월 26일
125 버팔로 댐 붕괴 사고
1971년 9월 14일
111 알래스카 항공 1866편 추락 사고
1971년 9월 9일 ~ 9월 13일
43 애티카 교도소 폭동
1971년 6월 7일
28 Allegheny Airlines 485편 추락 사고
1971년 6월 6일
50 휴즈 에어웨스트 706편 공중충돌 사고
1971년 2월 3일
29 티오콜 화학공장 폭발 사고
1970년 12월 30일
39 Hurricane Creek 탄광 폭발 사고
1970년 12월 20일
29 파이어니어 호텔 화재
1970년 10월 2일
31 위치타 주립대학교 미식축구팀 비행기 추락사고
1970년 11월 14일
75 서던 에어웨이즈 932편 추락 사고
1970년 5월 2일
23 ALM 항공 980편 사고
}}}
[ 1960년대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width=33%>발생일
<colcolor=#000> 사망 사건명
1969년 9월 9일
83 Allegheny 항공 853편 공중충돌 사고
1969년 6월 3일
74 USS Frank E. Evans 충돌 사고
1969년 2월 18일
35 허손 네바다 항공 708편 추락 사고
1969년 1월 18일
38 유나이티드 항공 266편 추락 사고
1969년 1월 14일
28 USS 엔터프라이즈 화재 사고
1968년 12월 27일
28 노스 센트럴 항공 458편 추락 사고
1968년 12월 24일
20 Allegheny 항공 736편 추락 사고
1968년 12월 2일
39 Wien Consolidated 항공 55편 추락 사고
1968년 11월 20일
78 파밍턴 광산 참사
1968년 10월 25일
32 노스이스트 항공 946편 추락 사고
1968년 8월 14일
21 로스엔젤레스 항공 417편 추락 사고
1968년 5월 27일
99 USS 스콜피언 침몰 사고
1968년 5월 22일
23 로스엔젤레스 항공 841편 추락 사고
1968년 5월 3일
85 브래니프 항공 352편 추락 사고
1968년 4월 6일
41 인디애나 연쇄 폭발 사고
1967년 12월 15일
46 실버 브리지 붕괴사고
1967년 11월 20일
70 트랜스 월드 항공 128편 추락 사고
1967년 7월 29일
134 USS 포레스탈 화재 사건
1967년 7월 19일
82 Piedmont 항공 22편 공중충돌 사고
1967년 6월 23일
34 Mohawk 항공 40편 추락 사고
1967년 6월 8일
34 USS Liberty 피격 사건
1967년 3월 9일
26 트랜스 월드 항공 553편 공중충돌 사고
1967년 3월 5일
38 레이크 센트럴 항공 527편 추락 사고
1967년 2월 7일
25 데일즈 펜트하우스 레스토랑 화재 사고
1966년 10월 26일
44 USS 오리스카니 화재 사고
1966년 8월 6일
42 브래니프 항공 250편 추락 사고
1966년 6월 16일, 6월 28일
37 MV 알바 케이프호 충돌 및 화재 사고
1966년 4월 22일
83 American Flyers 항공 280/D 추락 사고
1965년 11월 11일
43 유나이티드 항공 227편 추락 사고
1965년 11월 8일
58 아메리칸 항공 383편 추락 사고
1965년 8월 16일
30 유나이티드 항공 389편 추락사고
1965년 8월 9일
53 시어시 미사일 기지 화재 사고
1965년 2월 8일
84 이스턴 항공 663편 추락 사고
1965년 1월 16일
30 USAF KC-135 추락 사고
1964년 11월 15일
29 본자나 항공 114편 추락 사고
1964년 7월 9일
39 유나이티드 항공 823편 추락 사고
1964년 5월 7일
44 퍼시픽 항공 773편 추락 사고
1964년 3월 1일
85 파라다이스 항공 901A편 추락 사고
1964년 2월 25일
58 이스턴 항공 304편 추락 사고
1963년 12월 29일
22 루즈벨트 호텔 화재 사고
1963년 12월 8일
81 팬 아메리칸 항공 214편 추락 사고
1963년 11월 23일
63 골든 에이지 양로원 화재
1963년 10월 31일
81 인디애나 주립 박람회 회관 가스 폭발 사고
1963년 9월 17일
32 추알라 버스 충돌사고
1963년 6월 3일
101 노스웨스트 오리엔트 항공 293편 추락 사고
1963년 4월 10일
129 USS 스레셔 침몰 사고
1963년 2월 12일
43 노스웨스트 항공 705편 추락 사고
1962년 11월 30일
25 이스턴 항공 512편 추락 사고
1962년 10월 3일
23 뉴욕 텔레폰 컴퍼니 빌딩 폭발 사고
1962년 7월 22일
27 Canadian Pacific 항공 301편 추락 사고
1962년 5월 22일
45 컨티넨탈 항공 11편 폭파 사건
1962년 3월 1일
95 아메리칸 항공 1편 추락 사고
1961년 11월 8일
77 임페리얼 항공 201/8편 추락 사고
1961년 9월 17일
37 노스웨스트 오리엔트 항공 706편 추락 사고
1961년 9월 1일
78 트랜스 월드 항공 529편 추락 사고
1961년 1월 15일
28 텍사스 레이더 기지 붕괴 사고
1960년 12월 16일
134 뉴욕 공중충돌 사고
1960년 10월 29일
22 캘리포니아 폴리테크닉 주립대학교 미식축구팀 비행기 추락 사고
1960년 10월 4일
62 이스턴 항공 375편 추락 사고
1960년 9월 19일
80 World Airways 830편 충돌 사고
1960년 3월 17일
63 노스웨스트 오리엔트 항공 710편 추락 사고
1960년 1월 18일
50 캐피털 항공 20편 추락 사고
[ 1950년대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width=33%>발생일
<colcolor=#000> 사망 사건명
1959년 12월 1일
25 Allegheny 항공 371편 추락 사고
1959년 11월 16일
42 내셔널 항공 967편 실종 사고
1959년 10월 30일
26 피드몬트 항공 349편 추락 사고
1959년 9월 29일
34 브래니프 항공 542편 공중분해 사고
1959년 6월 28일
23 조지아 유조열차 탈선 사고
1959년 5월 12일
31 캐피털 항공 75편 추락 사고
1959년 3월 5일
21 아칸소 흑인학교 화재 사고
1959년 2월 3일
65 아메리칸 항공 320편 추락 사고
1958년 12월 1일
97 천사들의 모후 학교 화재
1958년 11월 18일
33 SS Carl D. Bradley 침몰 사고
1958년 9월 15일
48 뉴어크 만 열차 탈선 사고
1958년 8월 15일
25 노스이스트 항공 258편 추락 사고
1958년 4월 21일
49 유나이티드 항공 736편 공중충돌 사고
1958년 4월 6일
47 캐피털 항공 67편 추락 사고
1958년 3월 19일
24 뉴욕 속옷공장 화재 사고
1958년 2월 28일
27 켄터키 버스 추락 사고
1957년 11월 8일
44 팬 아메리칸 항공 7편 추락 사고
1957년 2월 17일
72 워렌턴 요양병원 화재 사고
1957년 2월 1일
20 노스이스트 항공 823편 추락 사고
1956년 7월 25일 ~ 7월 26일
46 안드레아 도리아호 침몰사고
1956년 6월 30일
127 그랜드 캐니언 공중충돌 사고
1956년 6월 20일
74 Linea Aeropostal Venezolana 253편 추락 사고
1956년 4월 1일
22 트랜스 월드 항공 400편 추락 사고
1956년 1월 22일
30 로스엔젤레스 열차 탈선 사고
1955년 11월 1일
44 유나이티드 항공 629편 폭파 사건
1955년 10월 6일
66 유나이티드 항공 409편 추락 사고
1955년 8월 4일
30 아메리칸 항공 476편 추락 사고
1955년 3월 22일
66 하와이 R6D-1 추락 사고
1953년 9월 16일
28 아메리칸 항공 723편 추락 사고
1953년 7월 17일
43 USMC R4Q NROTC 추락 사고
1953년 3월 27일
21 오하이오 열차 추돌 사고
1953년 2월 14일
46 내셔널 항공 470편 추락 사고
1952년 12월 20일
87 C-124기 추락 사고
1952년 11월 22일
52 C-124기 추락 사고
1952년 4월 11일
52 팬 아메리칸 항공 526A편 추락 사고
1952년 2월 11일
33 내셔널 항공 101편 추락 사고
1952년 1월 22일
23 아메리칸 항공 6780편 추락 사고
1951년 12월 29일
26 컨티넨탈 차터스 항공 44-2편 추락사고
1951년 12월 21일
119 오리엔트 탄광 폭발 사고
1951년 12월 16일
58 마이애미 항공 C-46기 추락 사고
1951년 9월 1일
45 펠리컨호 침몰 사고
1951년 8월 24일
50 유나이티드 항공 615편 추락 사고
1951년 6월 30일
50 유나이티드 항공 610편 추락 사고
1951년 4월 25일
43 Cubana de Aviacion 항공 493편 공중충돌 사고
1951년 2월 6일
85 우드브리지 열차 탈선 사고
1950년 11월 22일
78 큐 가든스역 열차 충돌사고
1950년 8월 25일
23 USS Benevlonce 침몰 사고
1950년 6월 23일
58 노스웨스트 오리엔트 항공 2501편 실종 사고
1950년 5월 25일
34 1950년 시카고 노면전차 충돌사고
1950년 2월 17일
32 뉴욕 열차 충돌 사고
||



[1] 일부는 최소 87명가량이 생존했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사망자와 생존자 명단은 여기서 확인할 수 있다. [2] 인민사원의 교주 짐 존스는 사회주의 개신교 둘 중 무엇 하나도 제대로 알고 있지 않았다. [3] 원명칭은 '인민사원 완전 복음 교회(Peoples Temple Full Gospel Church)'였다. 한국 순복음교회의 영어명인 'Full Gospel'과 동일해서 오해가 있을 수 있는데 저 명칭은 인민사원이 본디 오순절교회 교파(정확히는 윌리엄 브랜험의 늦은비 운동)에 기원한 이단 집단이란 흔적일 뿐이다. 적어도 오늘날의 순복음교회는 정식 교단이다. [4] 아이러니한 사실로 이 운동은 인민사원과 사상적으로 정반대편에 있는 칠레의 콜로니아 디그니다드에도 영향을 주었다. [5] 원인은 당연히 베트남 전쟁이었다. 이는 이때까지 미국이 강조하던 '자유 민주주의 수호를 위한 정의로운 전쟁'이라는 명분마저 의심이 가게 만들었고 여기에 인종 차별에 반발하여 민권 운동(Civil Rights Movement)이 일어나면서 기성 세대의 사고관과 풍습에 반발하는 문화가 일어나기 시작하였으니 이것이 바로 히피 문화였다. 기존의 '그릇된 사고관'과 풍습을 과감히 철폐하자고 하던 이들의 주장은 기성 문화권의 위기감을 불러일으켰고 이로 인해 사회주의 공산주의 같은 미국의 정신에 '반하는' 사상이 번질 것을 두려워하였는데 이로 인해 매카시즘과 같은 견제도 생겨났다. [6] 당시 흑표당은 지도부 중에 사회주의나 공산주의에 친화적인 사람들이 많았는데 특히 마오주의에 가까웠다. 마오쩌둥 어록에 나온 마오쩌둥의 혁명 조언에 영감을 받은 흑표당 지도자 휴이 뉴턴은 '생존주의 프로그램'을 만들었던 바가 있다. [7] 이때 존스를 따라간 신도의 대부분이 흑인이었다고 한다. [8] 정식 명칭은 인민사원 농업 프로젝트(Peoples Temple Agricultural Project). [9] 여담이지만 이 때문에 2023-2024년 과야나 에세키바 위기가 일어났다. [10] 주된 사유는 존스타운 이탈을 모색하거나 자본주의 수용, 짐 존스에 대한 비방 등이었다. [11] 레오 라이언은 이 사건이 일어나기 약 3주 전 프레이저 보고서에 참여한 의원이기도 했다. [12] 에디스 보그와 그녀의 남편 짐(Jim Bogue, 1942~, 당시 36세), 딸 티나(Teena Bogue, 1966~, 당시 12세), 후아니타(Juanita Bogue, 1967~, 당시 11세) 아들 토미(Tommy Bogue, 1971~1998, 당시 7세), 패트리샤 파크스의 남편 제럴드(Gerald Parks, 1936~, 당시 42세)와 제럴드의 어머니 에디트(Edith Parks, 1914~1985, 당시 64세), 아들 데일(Dale Parks, ?~?), 딸 브렌다(Brenda Parks, 1960~2013, 당시 18세), 트레이시(Tracy Parks, 1966~, 당시 12세), 이 외 존스타운 거주자 해럴드 코델(Harold Cordell, 1936~, 당시 42세)과 버논 고즈니로부터 떠나라는 조언을 받고 일행에 합류한 모니카 배그비(Monica Bagby, 1960~2009, 당시 18세), 그리고 크리스 오닐. [13] 914명이라는 이야기도 있다. 초기에는 300여 명으로 알려졌다가 700여 명으로 늘어나는 등 집계가 정확히 되지 않았다. [14] 포도 향이 첨가된 쿨에이드였다. [15] 가이아나의 수도. 존스타운에서 220km 떨어져 있었다. [16] 샤론 에이머스(Sharon Amos, 당시 40대 여자)라는 신도는 조지타운 지부에 거주하고 있었는데 존스에게 자살하라는 지시를 받자 자식 3명을 살해하고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17] 그로버 데이비스(Grover Davis, 1899~1993, 당시 79세) [18] 히아신스 스래시(Hyacinth Thrash, 1902~1995, 당시 76세). 이후 여생을 보내다가 93세로 사망했다. [19] 여성으로는 매들린 브룩스(Madeleine Brooks, ?~2003), 메리앤 샤이드(MaryAnne Scheid, 1942~2022, 당시 36세), 메리언 캠벨(Marian Cembell, 1921~1985, 당시 67세), 클레어 자나로스(Clare Janaros, 1939~2020, 당시 39세), 루비 존슨(Rubie Johnson, ?~1995?), 오로라 로드리게즈(Aurora Rodriguez, 1935~1996, 당시 43세), 남성으로는 폴 매캔(Paul McCann, ?~?), 로버트 스트라우드(Robert Stroud, 1931~2005, 당시 47세) 등등. 이 중 클레어 자나로, 폴 매캔 등은 사건 전날과 당일 이동한 것으로 밝혀졌다. [20] 여성 근무자로는 패티 채스테인(Patti Chastain, 1937~1995, 당시 41세), 준 크림 애덤스(June Crym Adams, 1943~2013, 당시 35세), 헬렌 스위니(Helen Swinney, ?~1999) 남성 근무자로는 클리퍼드 기그(Clifford Gieg , ?~2017), 리처드 자나로스(Richard Janaros, 1920~2003, 당시 58세, 클레어 자나로스의 아버지), 마이크 클링먼(Mike Klingman, 1948~2018, 당시 30세) [21] 사건 당시 18세. 최초로 백인 가정에 입양된 흑인 아이였다고 하며 이후 오프라 윈프리 쇼에 출연하기도 했다. 짐 존스는 아일랜드 웨일스 혈통이었다. [22] 짐 존스의 친아들. [23] 이 사람이 앞서 서술한 모였다가 학살이 진행되는 도중 무장 경비를 속이고 탈출하여 살아남은 신도다. [24] 이 사람이 앞서 서술한 모였다가 청진기를 가져오겠다며 빠져나온 후 숨어서 살아남은 남성 신도다. 이후 예술 교사로 재직하였으며 여생을 보내다가 2014년 향년 72세로 사망했다. [25] 해당 테이프의 마지막 부분에 음악이 뒤섞여 매우 음산한 분위기를 만들어내는데 이 음악의 정체에 대해 논란이 있다. 의견 1, 의견 2 요약하자면 다른 테이프를 재활용하면서 생긴 단순한 오류이며 사건과는 관련이 없다. 학살극 당시에 피해자들을 진정시키기 위해 신도들이 오르간을 연주하고 합창했다는 소문이 돌기도 하는데 이것도 거짓이다. [26] 정설은 아니지만 연구진들도 들어 볼 만한 의견이라고 게시한 내용이니 영어가 되면 이 글을 보는 것도 좋다. 의견 1, 의견 2, 의견 3. [27] 학살 발생 전 이미 죽어 매장된 8인(리네타 존스(Lynetta Jones, 여성, 1902/4/16~1977/9/12, 짐 존스의 모친), 리사 필립스 레이턴(Lisa Phillip Layton, 여성, 1915/7/14~1978/10/30, 래리 레이턴의 모친), 아이다 앤더슨(Ida Anderson, 여성, 1909/1/1~1978/9/9), 클로타일 버틀러(Chlotile Butlor, 여성, 1900/3/10~1978/6/10), 렐라 머피(Lela Murphy, 여성, 1891/7/17~1978/3/30), 알렉산더 그리피스(Alexander Griffith, 남성, 1911/4/13~1977/11/5), 플리커즈 노리스(Plickards Norris, 남성, 1905/10/31~1977/6/30), 마숀 코브(Marshawn Cobb, 남성 1978/5/7~1978/5/20)은 제외되었으며 이들은 여전히 존스타운에 남아 있다. [28] 사촌 이내의 친인척 27명을 잃었다. [29] 4구는 유가족에게 인계되었고 나머지는 다른 희생자들과 함께 매장되었다. # [30] 다만 학살극은 끝났으니 안심해도 좋다는 취지로 방송하다 이를 그냥 두고 온 실수가 미스터리로 변형됐다는 의견이 있다. [31] 마냥 황당하다고 치부할 수 없는 게 미국에서는 음모론이었다가 실제임이 밝혀진 사례가 여럿 있었다. 그리고 이 사례 중 집단 세뇌 실험이란 점에서 MK 울트라 사건, 사망자 대다수가 흑인이란 점에서 터스키기 매독 생체실험 사건이 떠오르는데 이 사건이 일어나기 불과 5년 전과 6년전 에 진실로 밝혀진 사건이었다. 물론 음모론으로만 남겨진 설들이 훨씬 더 많기 때문에 아직까지는 그냥 음모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