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21 06:28:40

유수 공식

해석학
Mathmatics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colbgcolor=#07DFD7> 함수 합성 · 항등원 · 역원 · 멱함수( 비례·반비례 ) · 초등함수( 대수함수 · 초월함수) · 특수함수 · 범함수 · 다변수 ( 동차 · 숨은 함수( 다가 함수 )) · 그래프 · 대칭 · 증감표 · 극값 · 연속 · 매끄러움 · 계단형 · 미끄럼틀형 · 볼록/오목 · 닮은꼴 함수 · 병리적 함수 · 해석적 연속 · 로그함수 · 지수함수 · 삼각함수
정리 · 토픽 좌표계 · 중간값 정리 · 최대·최소 정리 · 부동점 정리 · 오일러 동차함수 정리 · 립시츠 규칙
극한 부정형 · 어림( 유효숫자 ) · 근방 · 수열의 극한 · 엡실론-델타 논법 · 수렴 ( 균등수렴 ) · 발산 · 점근선 · 무한대 · 무한소 · 스털링 근사
정리 · 토픽 로피탈의 정리 · 슈톨츠-체사로 정리
수열
급수
규칙과 대응 · 단조 수렴 정리 · 멱급수 · 테일러 급수 ( 일람 ) · 조화급수 · 그란디 급수 · 망원급수 ( 부분분수분해 ) · 오일러 수열 · 베르누이 수열 · 파울하버의 공식 · 리만 재배열 정리
정리 · 토픽 바젤 문제 · 라마누잔합 · 0.999…=1 · 콜라츠 추측미해결
미분 도함수 일람 · 차분 · 유율법 · 변화량 · 변분법 · 도함수 ( 편도함수 ) · 곱미분 · 몫미분 · 연쇄 법칙 · 역함수 정리 · 임계점 ( 변곡점 · 안장점 ) · 미분형식 · 미분방정식 ( 풀이 ) · [math(boldsymbolnabla)] · 라그랑주 승수법
정리 · 토픽 평균값 정리 ( 롤의 정리 ) · 스토크스 정리 ( 발산 정리 ) · 라플라스 변환 · 푸리에 해석 ( 푸리에 변환 ) · 아다마르 변환
적분 역도함수 일람 · 부분적분 ( LIATE 법칙 · 도표적분법 · 예제 ) · 치환적분 · 정적분 ( 예제 ) · 이상적분 · 중적분 ( 선적분 · 면적분 · 야코비안 ) · 르베그 적분 · 스틸체스 적분 · 코시 주요값
정리 · 토픽 미적분의 기본정리 · 2학년의 꿈 · 리시 방법

해석
측도론 ( 측도 · 르베그 측도 ) · 유계( 콤팩트성 ) · 칸토어 집합 · 비탈리 집합
정리 · 토픽
복소
해석
복소평면 · 편각 · 코시-리만 방정식
정리 · 토픽 오일러 공식 ( 드 무아브르 공식 ) · 리우빌의 정리 · 바이어슈트라스 분해 정리 · 미타그레플레르 정리
여타 하위 학문 수치해석학 ( FEM ) · 미분기하학 · 해석기하학 · 해석적 정수론 ( 소수 정리 ) · 확률론 ( 중심극한정리 )
기타 뉴턴-랩슨 방법 · 디랙 델타 함수 · 리만 가설미해결 · 카오스 이론미해결 · merry=x-mas
응용 수리물리학 · 수리경제학( 경제수학) · 공업수학 }}}}}}}}}

1. 개요2. 정의
2.1. 수학적 정의
3. 성질 및 활용
3.1.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와의 관계3.2. 유수 공식의 응용
4. 예시
4.1. 단순 특이점에서의 유수4.2. 닫힌 곡선 적분 계산
5. 역사6. 관련 문서

1. 개요



유수 공식(Residue Formula)은 복소해석학에서 주로 사용되는 중요한 결과로,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와의 연결점에서 특히 주목받는다. 이 공식은 복소 함수의 해석적 성질을 연구하는 데 핵심 역할을 하며,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의 정수론적 특성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유수 공식은 복소 평면에서 닫힌 곡선을 따라 적분한 값이 그 안에 포함된 특이점들의 유수의 합으로 표현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math(\int_{\gamma} f(z)\, dz = 2\pi i \sum_{a \in S} \text{Res}(f, a))]\
이 공식은 모든 닫힌 경로 적분을 특이점의 유수로 환원하여 계산을 단순화하는 강력한 도구로, 해석학의 기본 정리 중 하나로 간주된다.

2. 정의

2.1. 수학적 정의

복소 평면에서 해석 함수 [math(f(z))]와 닫힌 곡선 [math(\gamma)]가 주어졌다고 하자. 이때, 곡선 [math(\gamma)] 내부의 특이점들의 집합을 [math(S)]라 하면 유수 공식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math(\int_{\gamma} f(z)\, dz = 2\pi i \sum_{a \in S} \text{Res}(f, a))]

3. 성질 및 활용

3.1.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와의 관계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는 다음과 같이 간단히 서술할 수 있다:

[math(x^n + y^n = z^n)]


이 정리가 [math(n > 2)]에 대해 정수 해를 가지지 않는다는 것을 앤드루 와일스가 증명했는데, 그 과정에서 모듈러 형식 타니야마-시무라 추측이 중요한 역할을 했다. 유수 공식은 모듈러 형식의 성질을 분석하고, 그 속에서 정수론 해석학의 연결을 드러내는 데 간접적으로 기여한다.

모듈러 형식 복소해석학의 상호작용은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증명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며, 유수 공식은 이를 지원하는 해석학적 도구로 기능한다.

3.2. 유수 공식의 응용

  • 적분 계산 간소화: 복잡한 복소 적분을 특이점의 유수로 표현하여 계산을 단순화한다.
  • 특이점 분석: 함수의 특이점 분류와 유수 계산에 사용된다.
  • 정수론과의 연결: 모듈러 형식과 같은 정수론적 구조를 연구하는 데 도움을 준다.

4. 예시

4.1. 단순 특이점에서의 유수

단순 특이점을 가지는 함수 [math(f(z) = \frac{g(z)}{h(z)})] 에서, [math(a)]가 [math(h(z))]의 단순 영점이라면, 유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math(\text{Res}(f, a) = \frac{g(a)}{h'(a)})]

4.2. 닫힌 곡선 적분 계산

주어진 함수 [math(f(z) = \frac{1}{z(z-1)})]에 대해 곡선 [math(\gamma)]가 단위 원일 때, 유수 공식은 다음과 같이 적용된다:

[math(\int_{\gamma} \frac{1}{z(z-1)} dz = 2\pi i \left(\text{Res}(f, 0) + \text{Res}(f, 1)\right))]


이 계산은 특이점 [math(0)]과 [math(1)]에서의 유수를 통해 복잡한 적분을 간단히 해결하는 방법을 보여준다.

5. 역사


유수 공식은 오귀스탱 루이 코시에 의해 처음 제안되었으며, 이후 베른하르트 리만 카를 바이어슈트라스에 의해 체계적으로 발전되었다. 정수론과의 연결은 앙리 푸앵카레 에밀 아르틴 등의 수학자들이 해석학적 기법을 도입하며 더 깊이 탐구되었다.

6.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