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13 22:31:11

시라누카선

이 노선은 현재 폐선되었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노선은 현재 폐선되어 더 이상 운행을 하지 않습니다.

일본국유철도 적자 83선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폐지
콘포쿠선 · 카와마타선 · 미쿠니선 · 우지나선 · 코후쿠로선 · 세치바루선 · 우스노우라선 · 호소시마선 · 사사야마선 · 야부선
지정 후 특정지방교통선에 지정되어 폐지
1차 아이오이선 · 야베선 · 이와나이선 · 코힌호쿠선 · 코힌난선 · 쇼코츠선 · 시라누카선 · 비코선 · 닛츄선 · 아카타니선 · 우오누마선 · 쿠라요시선 · 코마츠시마선 · 소에다선 · 카츠키선 · 카츠타선 · 츠마선 · 미야노하루선 · 무로키선
2차 시베츠선 · 세타나선 · 유모선 · 토미우치선 · 사가선 · 코모토선 · 오스미선 · 미야노조선 · 야마노선
3차 카지야선 · 타이샤선
지정 후 제3섹터로 전환
에사시선† · 아이즈선 · 아니아이선 · 오하타선† · 쿠로이시선† · 나가이선 · 야시마선 · 키와라선 · 모오카선 · 아케치선 · 에츠미난선 · 노토선† · 시가라키선 · 호조선 · 미키선† · 간니치선 · 나카무라선 · 와카사선 · 타카모리선 · 타카치호선† · 유노마에선
JR 잔류
삿쇼선 · 신메이선† · 오미나토선 · 케센누마선 · 하치노헤선 · 카라스야마선 · 타다미선 · 야히코선 · 산구선 · 메이쇼선 · 요도선 · 카베선 · 산코호쿠선† · 산코난선† · 에츠미호쿠선 · 나루토선 · 무기선 · 우치코선 · 이부스키마쿠라자키선 · 카라츠선 · 니치난선 · 이와이즈미선
†: JR 전환 이후 폐지된 철도 노선 }}}}}}}}}

특정지방교통선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제1차
아이오이선* 아카타니선* 아케치선 아마기선 이와나이선* 우오누마선* 오하타선†* 카쿠노다테선
카츠키선* 카츠타선* 카미오카선†* 키하라선 쿠지선 쿠라요시선* 쿠로이시선†* 코힌난선*
코힌호쿠선* 코마츠시마선* 사카리선 시가라키선 시미즈항선* 쇼코츠선* 시라누카선* 소에다선*
타카사고선* 타카모리선 타루미선 츠마선* 닛츄선* 비코선* 호조선 마루모리선
만지선* 미키선†* 미야코선 미야노하루선* 무로키선* 야시마선 야베선* 와카사선
제2차
아이즈선 아시오선 아니아이선 이세선 이부리선* 우타시나이선* 우루시오선* 에츠미난선
오스미선* 카미야마다선* 간니치선 사가선* 시부시선* 시베츠선* 시호로선* 세타나선*
타카치호선†* 치호쿠선†* 텐포쿠선* 토미우치선* 나요로 본선* 하보로선* 히로오선* 후타마타선
호로나이선* 마츠우라선 마츠마에선* 미야노조선* 모오카선 야마노선* 유모선*
제3차
이타선 이토다선 오카타선 카지야선* 타이샤선* 타가와선 나가이선 나카무라선
노토선†* 미야다선* 미야즈선 유노마에선
*: 일본국철 또는 JR산하에서 폐지에 이른 노선
†: 제3섹터 전환 이후 폐선에 이른 노선
}}}}}}}}} ||
[ruby(白, ruby=しら)][ruby(糠, ruby=ぬか)][ruby(線, ruby=せん)]
Shiranuka Line | 시라누카선

'''
폐선
'''
파일:JNR-Hokushin-Sta-from-north-end.jpg
키하 56형 동차
노선도
[ 펼치기 · 접기 ]
파일:시라누카선_노선도_2.png
노선 정보
분류 폐선
기점 시라누카역
종점 호쿠신역
역 수 7
개업일 1964년 10월 7일
폐선일 1983년 10월 23일
소유자 파일:일본국유철도 로고.svg
일본국유철도
운영자
노선 제원
노선연장 33.1㎞
궤간 1067mm
선로구성 단선
사용전류 비전화

白糠線 / Shiranuka Line

1. 개요2. 역사
2.1. 시라누카선이 건설되기까지2.2. 폐선
3. 역 목록

[clearfix]

1. 개요

1964년부터 1983년까지 일본국유철도가 운영하던 특정지방교통선이다.

2. 역사

2.1. 시라누카선이 건설되기까지

시라누카초 북쪽에 있던 니호 지역에 철도를 놓는 계획은 제2차 세계 대전 전부터 계획돼 있었다. 첫 계획 때에는 쿠시로 본선 테시카가역[1]에서 치호쿠선[2] 혼베츠역까지를 이을 예정이었다. 하지만, 2차 대전 이후로 계획이 변경되어 시라누카역에서 니호를 거쳐 아쇼로역까지 연장하는 시라누카선으로 계획이 바뀌게 되었다.

이 계획은 1953년에 철도부설법에 포함되게 되고, 장기적으로는 아쇼로역에서 신토쿠역을 잇는 가칭 키타토카치선과 연결하여 네무로 본선의 바이패스 역할을 할 계획까지 세웠다. 또한, 이 노선의 라완역에서 카미아쇼로를 거쳐 아이오이선 키타미아이오이까지 연결하는 지선 계획까지 세워졌다. 하지만, 일본 정부의 긴축 재정으로 인해 착공식은 4년 뒤인 1957년에 치러지게 된다. 또한, 1958년에는 아쇼로까지의 구간 역시 착공식이 거행되었다.[3] 이후, 1964년에 시라누카 ~ 카미챠로 간이 개통되었다. 또한, 1972년에는 카미챠로에서 호쿠신까지 역시 개통되었다.

2.2. 폐선

하지만, 일본 정부가 1960년대에서 1970년대에 석탄산업을 사양화하는 정책을 잇따라 내놓음에 따라 이 노선의 미래는 급격히 어두워졌다. 연선에 있는 탄광을 보고 노선을 만든 것이나 다름없었기 때문에 특히나 시라누카선은 이 정책에 더더욱 타격을 입을 수밖에 없었다. 연선의 탄광이 계속 폐쇄되면서 인구가 급격하게 빠져나가는 상태였고, 아쇼로역에서 만날 예정이었던 키타토카치선 역시 건설이 좌절되면서 이 노선에는 어둠이 드리우게 되었다. 결국, 1972년 호쿠신까지의 개업 이후 나머지 연장구간의 예산을 전액 삭감해버리면서 이후 연장은 물거품이 되어버렸다.

안 그래도 국철 적자 순위 1위에 들락날락하는 노선이었기에, 폐지 이야기가 나와도 연선 지자체에서 딱히 큰 움직임을 보이지는 않았다. 이 노선은 전 구간이 시라누카초 안에서만 운행했는데, 시라누카초마저도 폐지를 반대하는 까닭이 미성선이라는 것밖에 내세우지 않았고, 이마저도 실제로는 시라누카초 설치 100주년인 1984년을 시라누카선 폐지의 해로 만들고 싶지 않았을 뿐이였다. 오히려 폐지시 나오는 전환교부금을 빨리 받아야 한다는 까닭으로 시라누카초가 폐지 논의에 적극적으로 임하면서 논의 6개월만에 버스 대체의 합의가 이루어졌다.

이 노선이 유독 폐지가 빨랐던 까닭은 앞서 이야기한 연선 지자체의 반발이 크게 없었던 것도 있었지만, 다른 까닭도 차고 넘쳤다. 이미 시라누카선 바로 옆에는 395번 국도가 병행해서 버스 노선 선정에 큰 어려움이 없었으며, 노선 건설을 위해 용지를 빌려준 농민들도 그 노선이 10년만에 폐지됨에도 불구하고 별다른 반발이 없었다. 개업하고 폐지될 때까지 매년 국철 적자순위 최상위권을 차지하던 노선이었기에, 오히려 연선 주민들도 포기하고 '폐선되기 전에 한 번쯤은 타주자'라는 분위기가 대부분이었다고 한다.

결국, 1983년 10월에 시라누카선은 개업 19년만에 폐지되었으며, 특정지방교통선 중 폐지되는 첫 노선이라는 타이틀을 닮과 동시에 앞으로 있을 수많은 지방 철도 노선들의 폐지를 예고하게 되었다.

2024년 현재 폐선된 지 40년이 넘었기에 흔적이 많이 사라졌다. 선로는 모두 걷혀나갔고 역 건물이나 승강장도 모두 철거된 지 오래되었고, 노반도 농민들이 밀어버리고 밭이나 목초지로 만들면서 흔적이 많이 없어졌다. 철교는 대부분이 온전히 남아 있는데, 도로로 전환하여 농로로 쓰는 철교가 대다수다.

3. 역 목록

일본국유철도 시라누카선
역명 km 승강장 환승노선
시라누카
白糠
0.0 2면 3선 JR 홋카이도 네무로 본선
카미시라누카
上白糠
6.0 1면 1선
쿄에이
共栄
9.5 1면 1선
챠로
茶路
11.8 1면 1선
누이베츠
縫別
19.3 1면 1선
카미챠로
上茶路
25.2 1면 1선
시모호쿠신
下北進
30.7 1면 1선
호쿠신
北進
33.1 1면 1선


[1] 현재 센모 본선 마슈역 [2] 제3섹터로 고향은하선으로 바뀐 이후 2006년 폐지. [3] 다만 시라누카선의 아쇼로 구간 착공은 쿠시로 탄전의 실업 대책에 따른 것이라는 의견 역시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