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11 16:14:23

형간전환

1. 개요

버스의 노선 등급이 변동되는 것으로, 예시는 다음과 같다.
  • 마을버스 → 시내버스
  • 시내버스 → 마을버스 또는 좌석버스 또는 급행버스
  • 좌석버스 → 시내버스 또는 급행버스
  • 시외버스 → 시내버스 또는 좌석버스
  • 직행좌석버스 → 일반좌석버스 등...

2. 상세

보통 좌석버스에서 시내버스 또는 시내버스에서 마을버스로 전환되는 경우가 많다. 좌석버스에서 시내버스로 전환이 되는 이유는 비싼 요금 탓에 수요가 감소하고 있어 적자로 인해 시내버스로 전환되는 경우가 있으며 전환 이후 다시 수요가 늘어나는 노선이 대부분이다.[1] 또한 시내버스에서 마을버스로 전환되는 이유는 시내버스 회사에서 운행하던 노선이 마을버스 회사로 넘어가기 때문이다. 반대로 마을버스가 시내버스로 전환되는 케이스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마을버스 회사가 성장해 시내버스 회사로 승격한 경우[예시] 또는 마을버스 노선이 시내버스 회사로 넘어간 케이스가 있다.

3. 목록

3.1. 서울특별시

  • 마을버스 지선버스
    • 서초구 08-1번 → 4430번 : 2004년 7월 1일 서울시내버스 대개편으로 지선버스로 형간전환이 되었다가 2013년 1월 1일 마을버스 강남10번으로 다시 형간전환되었다.
  • 지선버스 마을버스
    • 0016번 → 용산04번 : 2011년 7월 1일에 마을버스로 형간전환이 되었다.
    • 2223번 → 광진05번 : 2010년 3월 26일에 마을버스로 형간전환이 되었다.
    • 4428번 → 강남07번 : 2010년 4월 9일에 마을버스로 형간전환이 되었다.
    • 4429번 → 서초22번 : 2012년 12월 1일에 마을버스로 형간전환이 되었다.
    • 4430번 → 강남10번 : 2013년 1월 1일에 마을버스로 형간전환이 되었다.
    • 4431번 → 강남08번 : 2012년 12월 1일에 마을버스로 형간전환이 되었다.
    • 5537번[3] 금천05번 : 2005년 11월 16일에 마을버스로 형간전환이 되었다.
    • 5538번 → 관악11번 : 2015년 12월 1일에 마을버스로 형간전환이 되었다.
    • 5631번 → 금천06번 : 2005년 11월 16일에 마을버스로 형간전환이 되었다.
    • 5632번 → 금천07번 : 2005년 11월 16일에 마을버스로 형간전환이 되었다.
    • 6648번[4] 양천04번 : 2013년 6월 1일에 마을버스로 형간전환이 되었다.
    • 6650번 → 영등포12번 : 2016년 9월 12일에 마을버스로 형간전환이 되었다.
    • 6651번 → 영등포13번 : 2016년 9월 12일에 마을버스로 형간전환이 되었다.
    • 6652번 → 영등포07번 : 2011년 7월 1일에 마을버스로 형간전환이 되었다.
    • 6653번 → 영등포09번 : 2013년 4월 1일에 마을버스로 형간전환이 되었다.
    • 6655번 → 강서05번 : 2007년 5월 1일에 마을버스로 형간전환이 되었다.
    • 6656번 → 영등포06번 : 2010년 3월 29일에 마을버스로 형간전환이 되었다.
    • 7740번 → 은평05번 : 2005년에 마을버스로 형간전환이 되었다.
  • 광역버스 간선버스
    • 9101번 → 108번:2005년 9월 간선버스로 형간전환 되었다가 2021년 8월 2일 폐선되었다.
    • 9403번 → 422번:2024년 2월 5일 간선버스로 형간전환이 되었다.
    • 9410번 → 407번:2006년 12월 18일 간선버스로 형간전환 되었다가 2018년 8월 24일 폐선되었다.
    • 9411번 → 408번:2008년 1월 간선버스로 형간전환 되었다가 2014년 11월 17일 폐선되었다.
    • 9412번 → 462번 → 452번 : 2006년 12월 20일에 간선버스로 형간전환이 되었다.
    • 9502번 → 502번:2009년 6월 24일에 간선버스로 형간전환이 되었다.
    • 9503번 → 542번:2013년 12월 11일에 간선버스로 형간전환 되었다가 2024년 8월 24일 폐선되었다.
    • 9504번 → 540번:2005년 7월 9일에 간선버스로 형간전환이 되었다.
    • 9600번 → 607번 → 673번 : 2008년 10월 25일 6711번과 통합해서 간선버스로 전환되었다.
    • 9601번 → 661번:2005년 4월 1일에 종점이 서울시청에서 여의도로 단축과 함께 간선버스로 형간전환이 되었다.
    • 9602번 → 672번:2010년 6월 1일에 간선버스로 형간전환이 되었다.
    • 9701번 → 707번:2024년 2월 15일에 간선버스로 형간전환이 되었다.
    • 9703번 → 703번:2023년 4월 27일에 간선버스로 형간전환이 되었다.
    • 9706번 → 700번:2010년 3월 16일에 간선버스로 형간전환이 되었다.
    • 9708번 → 707번[A] 760번:2010년 11월 4일에 간선버스로 형간전환이 되었다.
    • 9710번 → 705번:2013년 5월 16일에 간선버스로 형간전환과 동시에 기점도 문산에서 진관공영차고지로 단축되었다.
    • 9711번[6] → 706번 → 773번:2004년 11월 15일에 간선버스로 형간전환이 되었다.
    • 9712번 → 707번[A]:2004년 12월 간선버스로 형간전환되었다가 2006년 12월에 706번(현 773번)으로 통폐합되었다.
    • 9713번 → 771번:2010년 1월 광화문에서 디지털미디어시티역으로 단축과 동시에 간선버스로 형간전환되었다.
  • 간선버스 → 지선버스
    • 304번 → 3220번: 화양동 이후 구간이 모조리 단축되고 청량리 쪽으로 연장되었다.
    • 708번[10] → 7716번: 2013년 9월 26일 7611번에 통폐합되었다.
  • 맞춤버스 → 간선버스
    • 8701번 → 706번[11]: 노선이 약간 연장되고 상시 운행으로 전환됨과 동시에 정규 노선으로 승격됐으며 운영 업체도 선진운수에서 신수교통으로 변경됐다.

3.2. 인천광역시

  • 일반좌석버스 → 간선버스
    • 300번 → 86번 : 2016년 7월 30일, 원창동-여의도 좌석버스 300번을 김포공항으로 단축하면서 형간전환 되었다.[B]
    • 700-1번[13] 71번[B]
  • 급행간선버스 → 간선버스 → 지선버스
  • 지선버스 → 간선버스
  • 시내좌석버스 → 간선버스
  • 공항좌석버스 → 시내좌석버스 → 간선버스

3.3. 대전광역시

3.4. 대구광역시

  • 간선버스 → 급행버스
    • 508번 → 급행5번: 2015년 8월 1일 개편으로 형간전환이 되었다.
  • 지선버스 → 간선버스
    • 가창1번 → 413번: 2015년 8월 1일 개편으로 형간전환과 동시에 기점이 종합유통단지까지 연장되었다.

3.5. 울산광역시

3.6. 부산광역시

  • 일반버스 → 마을버스
    • 3-1번 → 사하5번 : 1997년 3-1번 폐선과 동시에 사하5번으로 형간전환이 되었다.
    • 12번 → 사하14번 : 1999년 12번 폐선과 동시에 사하12번으로 형간전환이 되었다.
    • 58-3번 → 강서16번 : 일자미상 58-3번 폐선과 동시에 강서16번으로 형간전환이 되었다.
    • 159번 → 강서19번 : 2008년 159번 폐선과 동시에 강서19번으로 형간전환이 되었다.
    • 505번 → 사하8번 : 일자미상 505번 폐선과 동시에 사하8번으로 형간전환이 되었다.
  • 일반버스 → 좌석버스
    • 203번 : 금정산성 ~ 온천장역 구간을 일반버스로 운행했던 노선으로서 1981년 대형사고 발생 이후 203번 좌석버스로 형간전환이 되었다.
  • 좌석버스 → 일반버스
    • 42번 : 연산토곡 ~ 구덕운동장 구간을 좌석버스로 운행했던 노선으로서 2006년 2월 19일에 일반버스로 형간전환이 되었다.
    • 107번 : 민락동 ~ 모라동 구간을 좌석버스로 운행했던 노선으로서 부산도시철도 2호선 개통으로 인해 일반버스로 형간전환이 되어 2002년에 폐선되었다.
    • 100-1번 : 송정동 ~ 구서동 구간을 100번 좌석버스로 운행했던 노선으로서 1997년 100-1번 일반버스로 형간전환이 되었다.
    • 181번 : 1995년 부산광역시 기장군으로 편입이 되어 좌석버스로 운행했으나 기장군민의 반발로 얼마못가 일반버스로 형간전환이 되었다.
    • 183번 : 기장 ~ 부산대학교 구간을 좌석버스로 운행했던 노선으로서 2007년 5월 15일에 일반버스로 형간전환이 되었다.
    • 301번 : 서창 ~ 법원.검찰청 구간을 좌석버스로 운행했던 노선으로서 2005년 12월 25일에 일반버스로 형간전환이 되었다.
    • 306번 : 구포3동 ~ 부산대학병원 구간을 좌석버스로 운행했던 노선으로서 2006년에 일반버스로 형간전환이 되어 2007년에 폐선되었다.
    • 307번 : 해운대 ~ 김해공항 구간을 좌석버스로 운행했던 노선으로서 2012년 4월 17일에 일반버스로 형간전환이 되었다.
  • 급행버스 → 일반버스
  • 시외버스 → 일반버스
    • 철마~동래~동부시외버스터미널 시외버스 → 73번 : 1995년 양산군 기장읍이 부산광역시 기장군으로 편입이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한동안 시외완행으로 운행하다가 부산시에서 강제로 73-2번 일반버스로 형간전환을 시켰다.
  • 시외버스 → 좌석버스
    • 기장~대변~해운대 시외버스 → 181번 : 1995년 양산군 기장읍이 부산광역시 기장군으로 편입이 되어 181번 좌석버스로 형간전환이 되었다.
    • 기장~동래~동부시외버스터미널 시외버스 → 183번 : 1995년 양산군 기장읍이 부산광역시 기장군으로 편입이 되어 183번 좌석버스로 형간전환이 되었다.

3.7. 광주광역시

3.8. 경기도

  • 남양주시
    • 광역급행버스 → 직행좌석버스
      • M2104번 → 766번 : 2010년 11월 15일에 직행좌석버스로 전환하다가 2011년 3월 2일 폐선되었다.
  • 안양시
    • 좌석버스 → 일반버스
      • 552번:2001년 도시형버스로 형간전환되었다가 2006년 2월 21일 폐선되었다.
    • 직행좌석버스 → 일반버스
      • 1917번 → 917번:2004년 2월 24일에 형간전환되었다.
  • 화성시
    • 마을버스 → 일반버스
    • 좌석버스 → 일반버스
    • 직행좌석버스 → 일반버스
      • H6005번 → H65번[G] 65번 : 심각한 수요 저조로 형간전환 되었다.
      • H6007번 → H67번[G] 67번 : 이 노선 또한 심각한 수요 저조로 인해 형간전환 되었다.

3.9. 강원도

3.10. 충청도

3.11. 경상도

  • 경주시
    • 급행버스 → 좌석버스
      • 700번: 경부선 KTX 2단계 개통으로 신설된 노선이며 초기에는 급행버스로 운행하였다가 좌석버스로 형간전환 되었다.
  • 포항시
    • 좌석버스 → 일반버스
      • 800번: 본래 좌석버스로 운행하고 있었으나 기존 차량의 내구연한 문제와 수요 저조 및 입석, 좌석 차량 운임요금 동일화로 인해 그린시티 입석형으로 교체되면서 시내버스로 형간전환 되었다.

3.12. 전라도

  • 순천시
    • 좌석버스 → 일반버스
      • 111번: 2006년 2월 25일 환승체계 개편으로 인해 도시형으로 형간전환 되었다.

3.13. 제주도

4. 형간전환이 불발된 노선

  • 부산광역시 520번 : 거가대교 개통에 맞춰 부산~거제간 노선으로 126-1번과 520번이 급행버스로 형간전환되어 운행될 예정이었다. 126-1번은 금곡동~거제시, 520번은 부산역~거제시 구간으로 계획이 되어 미리 노선을 변경하였으나, 경남도와 시외버스 업체의 반발로 인해 결국 불발되었고 하단교차로~거제시 구간 2000번으로 개통되어 운행하고 있다. 이 때문에 126-1번은 1009번으로 형간전환이 되어 금곡동~가덕도선창 구간을 운행중이며 520번은 용원~신평배고개 구간으로 노선이 변경되어 운행하고 있다.
  • 부산광역시 58-1번 : 2015년 시내버스 개편 당시 진해 청안동과 남포동을 오가던 58-1번이 하단역으로 단축됨과 동시에 일반버스로 전환된다는 소식이 있었으나 태영버스 측에서는 그런 말을 들은 적이 없다고 했고, 결국 좌석버스로 유지되었다. 하지만 노선은 그대로 단축되었고, 결국엔 수요가 많이 줄어들었다. 그 후 강서공영차고지 개장으로 청안동 구간이 폐지될 때도 일반버스로 전환된다는 말이 있었지만 이 역시 사실무근으로 밝혀졌다.
  • 원종여객 전 노선(017, 017-1) - 시내버스 업체로 전환 동시에 번호를 17, 17-1번으로 바꿀 예정이었으나 소신여객의 반대로 무산되었다.

5. 유사 사례

  • 서울특별시 - 종로06번 8003번
    두 노선은 평창동을 순환하는 버스 노선으로 종로06번이 오랫동안 운행을 했지만 증차요구가 끊이질 않았다. 하지만 누적되는 적자로 인해 증차를 못해 서울시는 2020년 6월 25일에 8003번을 개통시켰다. 한동안 같이 운행하다가 2021년 2월 1일부터 종로06번이 1년간 운휴가 결정되어 사실상 폐선이 되었다. 이는 형간전환 사례는 아니하나 마을버스에서 지선버스로 전환된 것과 마찬가지인 셈이다.
  • 광주시 - 8200번 → M4101번
    노선 중복 문제로 광역급행버스 M4101번이 해당 구간을 계승하며 대체, 기존 노선이 폐선되었다.
  • 안성시
    • 8008번 4402번
      시외버스에서 직행좌석버스로 전환한 사례지만, 기존 시외버스가 폐선되고 직행좌석버스가 그 구간을 대체한 것이기에 형간전환은 아니다. 8008번이 4402번과 노선이 완전히 겹치는 바람에 폐선되며, 그 사이에 개통한 4402번이 해당 구간을 대체했다.
    • 8146번 4401번
      안성 4401번의 강남역 연장, 그리고 안성 4402번의 개통으로 인해 8146번 시외버스의 운행횟수가 대폭 감회되었고, 몇 달간 같이 운행하다가 2024년 8월에 8146번이 폐선되며 폐선된 8146번의 수요는 금호고속의 시외버스와 4401번이 싹쓸이하고 있다.[32]


[1] 시외버스에서 직행좌석버스로 형간전환되는 것도 이와 비슷한 이유이다. [예시] 청우운수, 성광운수 [3] 현재 5537번과 별개 노선이다. [4] 현재 6648번과 별개 노선이다. [A] 현재 707번과 별개 노선이다. [6] 현재 9711번과 별개 노선이다. [A] [8] 현재 1122번과 별개 노선이다. [9] 현재 4425번과 별개 노선이다. [10] 현재 708번과 별개 노선이다. [11] 과거 706번(현 773번)과는 별개 노선이다. [B] 다만 번호는 2016년 형간전환이 아닌 그 이후에 변경되었다. [13] 본선인 700번은 2016년 개편으로 폐선되었다. [B] [15] 사실 용어만 다를 뿐 법적으로는 똑같은 좌석버스로 분류되기에 엄밀히 말하면 형간전환은 아니다. 그러나 일단 다른 용어를 사용하므로 편의를 위해 작성한다. [16] 현재 302번과 별개 노선이다. [17] 현재 1006번과 별개 노선이다. [18] 2007년 3월 1004번 직행좌석으로 개통, 2009년 9월 98번 일반시내로 전환, 2011년 11월 9008번 직행좌석으로 재전환. [19] 광주시 미경유. [20] 신도양에서 75번 운영을 포기하면서 운영사가 대원버스로 이관됨과 동시에 375번으로 번호가 변경되고 형간전환됐다. [21] 전환한 시기는 2021년 11월이지만 노선 번호가 바뀐 것은 2023년 11월이다. [22] 역사가 복잡한데, 2004년 4월 5601번 직행좌석으로 신설, 2007년 4월 일반시내 전환, 2007년 7월 일반좌석 전환, 2016년 9월 일반시내 전환, 2019년 10월 50번으로 번호 변경. [C] 2021년 11월 직행좌석버스로 전환됐으나 2023년 6월에 다시 일반좌석버스로 환원. [C] [25] 전환한 시기는 2021년 11월이나 노선 번호가 바뀐 것은 2023년 11월이다. [26] 원래는 광주시가 인면허기관을 갖고 있었으나 두 버스 모두 현재 인면허기관이 안성시로 바뀌었다. [27] 두 노선 다 운수사가 변경되었다. [T] 형간전환 이후 노선 번호가 변경되었다. [T] [G] 형간전환 이후 변경된 번호 [G] [32] 나머지 구간 중 동아방송대 수요는 4402번이 분담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