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20 17:17:38

부산 버스 307

{{{#!wiki style="margin: -10px 0" <tablebordercolor=#39f>
부산광역시
일반버스 노선
}}}
[[틀:부산광역시의 급행버스|
급행
]] [[틀:부산광역시의 좌석버스|
좌석
]] [[틀:부산광역시의 일반버스|
일반
]] [[틀:부산광역시의 마을버스|
마을
]] [[틀:부산광역시의 심야버스|
심야
]] [[틀:부산광역시의 시티투어버스|
투어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2~99번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2 3 5-1 6 7 8
9 10 11 15 16 17
20 22 23 24 26 27
29 30 31 33 33-1 36[A]
37[A] 38[A] 39 40 41 42
43 44 46 49 50[A] 51
52 54 55[A] 55-2 57
58[A] 58-2 59 61 62 63
67 68 70 71 73[B] 77
80 81 82 83 85
86 87 88 88-1 90 96
99
[A/B] 환승 대기시간 60분/90분 적용 노선
[C] 출근시간 전용 노선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100~583번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100 100-1 101 103 105 106
107 108 109 110 110-1 111
111-1 113 115[A] 115-1 121 122[B]
123 124[A] 126 127 128-1 129-1
131 133 134 138 138-1 139
141 144 148 148-1 155 160
161 167 168 169 169-1 171
172 179 180[A] 181 182[A] 183[A]
184[A] 185[A] 186[A] 187[A] 188[A] 189
189-1 190 200 210 300[A] 301[A]
302[A] 307[A] 338 506 508 520[B]
583[A] 801
[A/B] 환승 대기시간 60분/90분 적용 노선
}}}}}}}}} ||
파일:부산307일렉시티.png
1. 노선 정보2. 개요3. 역사4. 특징
4.1. 연간 일평균 승차량4.2. 시간표4.3. 노선
5.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일반시내버스 307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부산307번_2022.07.09개편.png
기점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송정동(송정종점) 종점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2동(김해국제공항)
종점
첫차 05:00 기점
첫차 05:15
막차 21:35 막차 23:15
평일배차 출퇴근 15분 / 평시 23분 주말배차 25분
운수사명 일광여객 인가대수 13대[토요일·공휴일]
노선 송정종점 - 송정터널 - 대우2차아파트 - 장산역 - (→ 해운대해수욕장입구 →/← 그랜드조선부산호텔[단독] ←) - 해운대해수욕장 - 대우마리나아파트 - 해강중고교 - 벡스코 - 센텀중학교 - (→ 센텀파크 → 센텀초등학교 →/← 동해선 센텀역(09-372) ← 해운대구문화복합센터 ←) - 과정교 - 수영강푸르지오아파트 - 토곡한양아파트 - 안남초등학교 - 동래한전 - 동래시장 - 동래역 - 미남교차로. 미남역 - 제2만덕터널 - 만덕교차로. 만덕역 - 남산정역 - 덕천역 - 구포시장 - 구포역 - (← 북구청 ←) - 구포대교 - 강서구청역 - 강서구청 - 강서체육공원 - 등구마을 - 강서브라이트센터 - 덕두역 김해국제공항(2층) → 상방마을 → 김해국제공항(1층) → 상방마을 → 덕두역 → 이후 역순
종점 첫차 중간 출발 시간
송정 방향 김해국제공항 국내선 05:15[3]

2. 개요

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 노선. 왕복 운행거리는 76.8km다. 전체 정류장 목록은 여기로

3. 역사

파일:busnold307.jpg
(출처: 뉴스뱅크)
평화여객 시절의 모습. 당시 김해공항은 공항이라는 특성상 외국인 승객이 많아 정류장에 영어 표기가 되어 있었다.
  • 1973년, 제1만덕터널이 개통된 시기에 신설된 노선으로 평화여객에서 운행하였다. 초기노선은 해운대 - 수비삼거리[4] - 재송동 - 안락교차로 - 동래 - 만덕1터널 - 만덕 - 덕천교차로 - 구포역 - 대저동 - 선암다리였다.
  • 1995년 평화여객이 우진서비스[5]에 인수되어서 우진공항버스로 사명을 변경하였다.
  • 1996년, 기존노선에서 해운대신시가지(해운대해수욕장 - 해운대과선교 - 중동사거리 - 벽산아파트 - 부흥고등학교 - 대림아파트 - 해운대역)까지 연장되었다.
  • 2003년 우진공항버스는 부일여객 계열에서 분리되어 공항버스로 새출발하였지만 공항버스는 공항버스 노선들의 엄청난 적자로 2004년 파업을 하게 되었고, 이때 310번은 운행이 중단된체 그대로 폐선되고 말았다. 파업하는 동안 동부강남 전세버스가 307번 노선으로 임시운행하는 식의 조치가 이루어졌다.
  • 2004년 후반 공항버스는 폐업하였고 김해국제공항과 버스 기사들은 공항버스 노선을 살리기 위해 부산광역시와 협상하여 노동자 자주업체로 한정면허의 부산공항여객으로 출범하였다. 그러나 이미 200번에 상당수의 수요를 빼앗긴 지 오래이며 2005년 11월 28일에 부산 도시철도 3호선의 개통으로 직격탄을 맞았다.
  • 2006년 5월 시내버스 환승제 실시로 인해 롯데백화점 동래점까지 단축되었다. 해운대는 앞서 서술한 노선으로 환승하시오로 되었다. 공항~동래역 시절 307번 모습
  • 2007년 5월 15일 버스 준공영제 시행으로 안락교차로까지 연장 운행하게 되었다.
  • 2007년 9월 1년 4개월만에 해운대로 다시 환원되었다. 그 이유는 2006년 동래 단축 이후부터 계속 부산광역시의 관문인 김해국제공항에서 부산광역시의 대표 관광지인 해운대로 한번에 가는 직통 공항버스가 없어져서 김해국제공항, 근로자, 이용객들이 강력히 항의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307번과 다르게 요금이 저렴한 일반노선인 31번, 100번, 100-1번, 200번 등의 수요는 막강하였고 요금이 더 비싼 좌석버스인 탓에 해운대 - 안락교차로 구간은 공기수송이 불가피하였으며 안락교차로부터 앉아서 가기 위해 조금씩 승객이 이용하는 행보를 보였지만 여전히 장거리 수요는 거의 없었다.
  • 2008년 7월 부산공항여객의 한정면허 기간이 끝나면서 일광여객으로 노선이 인수되었고 부산공항여객의 대저동 차고지에 매각됨에 따라 스펀지 앞 차고지로 기점으로 변경되었다.
  • 2011년 4월 1일 부산 도시철도 4호선 개통과 부산시의 21대 순 감차 정책으로 인해 이 노선의 인가대수가 1대 감차되었다.
  • 2012년 4월 27일 해운대해수욕장 - 벡스코 - 센텀파크 - 과정교(수영4호교) - 토곡사거리 - 안락뜨란채아파트 경유로 조정됨과 동시에 일반시내버스로 형간전환되었다. 부산시 노선조정안내 인가대수도 10대에서 13대로 증차되었다. 기존에 운행했던 로얄시티 좌석차량들은 안동, 예산, 원주 등등 타 지역에 중고로 매각되었다.
  • 2017년 1월 7일 해운대행 운행 시 센텀초등학교 미경유, 동해선 센텀역 경유로 변경되었다.
  • 2022년 7월 9일 해운대영업소가 송정으로 이전하면서 31번과 함께 송정까지 연장되었다. 당초 1안인 구.해운대기점 - 중동역 - 해운대힐스테이트 - 장산역 순으로 경유한 뒤 송정으로 운행할 예정이었으나 노선이 너무 장대화 된다는 문제점[6] 때문에 직선화된 2안이 채택되어 해운대해수욕장에서 바로 해운대해변로를 직통하여 장산역을 경유한 뒤 송정으로 향하게 되었다.[7] 최대한 직선화하여 연장했음에도 단 한 대의 증차도 없이 노선이 연장되어 배차간격 또한 출퇴근 20분 평일 25분 주말 30분 이상으로 대폭 늘어났다.
  • 2022년 10월 15일 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에서 열린 방탄소년단의 Yet to Come in BUSAN 콘서트로 인해 하루 동안 6대가 임시로 증차되었으며 추가로 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을 경유하도록 임시로 조정되었다. 정차했던 정류장은 미남역.반도스카이뷰(06-090, 06-092), 사직역(06-234, 06-235), 창신초등학교(13-143), 창신초등학교. 종합운동장역(13-019), 삼정그린코아(13-143)[8]였으며 아시아드대로를 따라 해당 구간을 왕복하였다.
  • 2023년 1월 7일 송정 출발 막차시간이 21:45에서 21:35으로 변경되었다.

4. 특징

  • 환승대기시간이 60분으로 적용된다. 본래 60분 적용 노선이 아니었지만, 송정 연장 이후 배차간격이 최소 20분 이상으로 벌어지면서 2022년 7월말부터 환승대기시간이 60분으로 적용되었다.
  • 김해국제공항으로 유일하게 들어가고 강서구에서 유일하게 해운대구로 가는 일반 시내버스 노선이다.[9]
  • 시내버스 운송약관 제16조. 승객들의 안전을 위하여 차량 내 물품 반입을 중량 10kg 미만, 규격 50X40X20cm3 미만으로 제한을 정확히 적용하고 있는 노선이니, 불편하더라도 적극 협조바란다. 실제로 차량 내부에 안내문을 붙여놓고 다니며, 일반승객의 편의를 우선으로 하기 위한 특단의 조치로 운송약관을 엄격히 준용하는 듯 하다. 저 규격은 대부분 항공사 항공기에 탈 때 객실로 가져가는 여행가방의 규격과 일치한다. 만약 그 이상 부피의 짐을 가지고 있다면 택시를 타거나 부산김해경전철 부산 도시철도를 이용해서 갈 수밖에 없다.[10]
  • 배차간격이 상당히 긴 편인데 181번보다도 훨씬 길 정도이다. 이보다 짧은 거리를 운행하는 40번, 200번에 비해 인가대수는 절반인 데다 도로 사정상 배차간격이 심하게 들쑥날쑥한다.
  • 해운대영업소 종착 시절에는 차고지 인근의 일방통행 구간의 운행 문제로 김해국제공항행은 해운대시장을 거쳤으며 해운대행은 해운대구청을 거쳤다. 해운대구청에서 중동1로19번길을 이용하여 차고지로 들어갔었다. 지금은 송정영업소로 연장되면서 이런 구간이 없다. 강서구 공항로 연선에 부산대저고등학교 근처를 지나가므로 부산대저고등학교 통학생들도 많이 탄다.
  • 미남교차로에 고속버스터미널이 있었을 당시에는 북구, 해운대구 방면에서 고속터미널을 이용하고자 하는 승객들로 수요가 터져 나갔었고 특히 성수기에는 김해국제공항과 해운대로 피서가는 사람들도 가축수송을 이루었던 노선이었고, 당시 110-1번, 148번, 130번, 130-1번, 200-1번, 202번등은 미남교차로에서 다이렉트로 만덕으로 갔지만 307번은 고속터미널 주변을 1바퀴 돌고 나왔다. 앞에 공항행, 해운대행 행선판을 얹어놓고 다녔다. 이는 당시 부산버스 수요 톱5(이때 307번은 수요부문에서 2위였으며, 1위는 구.240번이었고 3위는 오성여객 구.107번이었다. 당시엔 세 노선 모두 좌석버스)에 들어가던 노선에 속할 정도였다. 한창 잘나갈때만해도 운행대수가 23대였고 배차간격은 9분이었다. 이후 일광여객 식물원입구 기점 및 금정영업소 출신이었던 200번이 1995년도 하반기에 해운대로 기점을 옮기고 1998년도에는 200-1번이 신설되면서 307번과 일정구간이 겹치게 되지만, 307번의 인지도가 넘사벽이었기에 200번 형제 노선들은 307번에게 상대가 되지 못했다. 그리고 이 당시 해운대 신시가지에서도 307번의 인지도는 막강했었다.
  • 2001년에 고속터미널이 노포동으로 이전하면서 307번의 수요는 반토막났고 부산 도시철도 2호선이 개통되면서 추가로 타격을 입었다. 유사노선인 200번[11]의 수요는 상승했고 2004년 경부고속철도 1단계가 개통되며 김포공항 - 김해공항 간 국내선 수요도 줄었으며 당시에는 저가항공도 없었던 탓에 307번은 순식간에 앞니 빠진 호랑이 신세가 되고 만다.
  • 준공영제 개편 때 대부분의 좌석 노선들은 급행으로 전환 됐으나 이 노선은 좌석으로 유지되었다.
  • 이 노선은 줄곧 좌석버스로 운행했으나 위에 서술한 내용처럼 이용승객이 적다보니 적자가 심해 부산시에서 2012년 4월 27일에 일반 도시형버스로 형간전환되었고 동시에 노선도 변경되었다. 기존의 해운대로를 운행하던 노선을 버리고 해운대해변로를 따라 해운대해수욕장( 동백섬), 센텀시티, 과정교, 연산9동, 안락뜨란채아파트를 경유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31번 100번, 200번과의 노선 중복을 피해 안락동 마린시티에서 센텀시티를 이어주는 역할을 충실히 하고 있다. 그리고 과정교(수영4호교)를 건너는 노선 중 하나이다.
  • 46번과 함께 양방향 모두 신만덕(만덕 2,3동)을 경유하지 않고 만덕대로를 경유하는 부산시내버스 노선이다.[12] 만덕2터널 경유까지 합치면 유일하며, 이외 노선으로는 김해 8번이 있다.
  • 좌석에서 입석으로 형간전환된 이후 요금부담이 줄면서 전체적으로 구간수요가 많이 늘었다. 수요 패턴 역시 좌석시절과는 180도 바뀌었다. 요금부담이 줄면서 김해국제공항 수요 외에 덕두, 등구, 신덕 구간과 대저안동네에서 구포역으로 향하는 구간 수요가 더 많아졌다. 2015년 부산 시내버스 개편 130번이 폐선되면서 대저안동네에서 동래역으로 가는 노선이 몇 안남은 상태이다 보니 이 노선이 130번의 대체재가 되어주고 있다.
  • 입석노선으로 형간전환된 동시에 해운대행 운행 시 해운대해수욕장을 경유했던 것을 왕복으로 추가 경유하면서 평일이나 주말에는 수요 편차가 거의 없으며 여름 피서철에는 수요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난다. 등하교 시간이 되면 수영2호교 근처에 있는 해강고등학교를 다니는 센텀시티 거주 학생들의 통학 수요로 어마어마하게 몰린다. 특히 롯데백화점 센텀시티점 바로 앞을 경유하는 것도 상당히 크다고 볼 수 있다. 센텀파크 주민들이 제법 이용하며 형간전환 초기에는 센텀시티에서 토곡에 위치한 부산소방본부·교통정보서비스센터[13] 정류장에서 하차해서 타 노선으로 환승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는 승객들이 이 노선의 행선지를 파악하기 시작하면서 동래행 수요까지 늘어나고 있는 상황이다.
  • 안락뜨란채아파트에서 동래시장, 메가마트 동래점으로 가는 수요도 어느정도 발생했지만 배차간격이 길어서 동래2번에 조금 밀리고 있다. 나머지 구간에서는 지하철이나 중복 노선들로 인해 미미한 수요를 보이고 있었으나 김해국제공항에서 회차하는 노선이기 때문에 어느정도 차별화는 되어 있다. 인가대수도 좌석시절 10대였으나 입석 형간전환과 동시에 13대로 늘었다. 다만 형간전환하면서 토곡, 센텀파크로 노선을 돌리면서 운행 시간이 늘어나 오히려 배차간격[14]은 좌석 시절때나 다를 게 없어 여전히 아쉽다. 그래도 시간이 지나고 2016년이 되면서 수요가 꽤나 많이 늘었다. 2016년 1월 기준으로 대당 운송수입금이 약 36만원대였고, 동년 11월엔 약 38만원대였다. 운송수입금으로 따져봐도 좌석버스 시절에 비하면 수요가 대폭 늘어났다.
  • 2012년 8월부터 롯데백화점 센텀시티점과 BEXCO 정문 앞에 양방향 정차하도록 정류소가 추가되었다. 동시에 벡스코 바로 앞에 양방향 다 정차하는 유일한 노선이 되었다.
  • 김해국제공항으로 갈 경우 국제선 청사부터 경유하고 그 다음이 국내선 청사이므로 주의할 것. 김해국제공항으로 가는 노선은 2층 출발층에서 하차하게 되며[15] 해운대행 노선은 2층에서 내려온 이후 공항 주차장 주위를 한바퀴를 돌고 1층 도착층에서 탈 수 있다.[16]
  • 31번처럼 세이브존 옆의 중1동 차고지에서도 승하차가 가능했다. 하지만 31번과는 상당히 대조될 정도로 차고지에서 이 노선에 승차하는 사람은 별로 없었다. 왜 그런가 하면 307번의 경우에는 시작부터 굴곡구간이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여름철에는 해운대해수욕장, 그랜드호텔에서 사람들이 많이 몰리고 그 외에도 고정 수요가 존재하므로 큰 문제가 안된다.[17] 송정영업소까지 연장된 현재는 해당하지 않는 사안이다.
  • 이 노선은 운행 종료 후 해운대영업소가 아닌 명진자동차운전학원[18] 주차장에 가서 주박했다. 지금은 송정영업소에서 종착한다. 이 노선에도 2012년 형간전환 이후로 2013년까지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일반형 가스차량 신차가 대거 투입되었다만 가스충전은 동부산공영차고지 충전소에서 실시[19]하기 때문에 가스 충전을 한 후 청강리까지 갔다가 송정영업소까지 공차회송한다.[20] 오죽하면 태영버스처럼 디젤차량 출고 허용과 전기버스 투입이 절실할 정도이다. 다만 해운대영업소의 공간문제로 차고지 이전이 아닌한 전기버스 도입은 무리였으나 결국 송정동으로 차고지를 이전하고 전기버스를 도입했으며, 2024년 여름에 전 차량을 전기버스로 교체했다.
  • 이 노선을 보고 있으면 전체적으로 148-1번과 포지션이 매우 흡사하다. 선형은 합리적인데, 긴 거리와 적은 인가대수와 긴 배차간격 때문에 빛을 보지 못하는 안타까운 사례들 중 하나이다. 때문에 증차하자는 의견이 상당히 많이 나오고 있으나 일광여객에서 마땅히 빼올 차량이 없기에 이루어지지는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일각에서는 서면 단축 이후 배차간격이 줄어든 63번에서 차량을 빼오자는 의견이 많이 나오고 있으나 63번 또한 청강리 사태 후유증을 벗어나서 2020년 개편을 거치고 서면까지 재연장되고 나서 수요가 많이 늘었기 때문에 차량을 빼오기가 불가능해졌다. 여기에 송정영업소 연장 이후에는 배차간격이 더더욱 늘어나버려서 환승대기시간 60분 적용이 더욱 시급해졌다. 결국 부산시에서 이를 반영하여 2022년 7월 말부터 환승대기시간이 60분으로 수정되었다.
  • 특이하게도 교통카드 단말기 화면에 노선번호가 그냥 307번이 아니라, 307(공항)번이라 나온다.
  • 2018년까지는 일부 차량 전면과 후면에 영어로 Airport라 쓰인 판자를 붙이고 다녔다. 문서 최상단 왼쪽 사진의 좌석버스 시절 모습(후면에 공항, Airport 문구 부착)과 맥을 같이하는, 즉 예전 공항버스 시절의 잔재로 보인다.
  • 앞문 돌출형 번호판을 장착하지 않은 노선이다. 일광여객, 세익여객의 해운대영업소 부지가 너무 협소한 관계로 돌출형 번호판을 장착할 경우 승무원이 앞문을 열고 승차할 때 차량을 주차할 공간이 없어져서 부득이하게 설치하지 못했다고 한다. 똑같이 해운대영업소 소속이었던 31번 역시 돌출형 번호판을 장착하지 않았다. 송정영업소로 연장한 이후에는 새 돌출형 번호판을 달지 않는 추세이기에 전혀 달지 않는다.
파일:부산버스307번.jpg
* 영화 ' 몽타주'에 등장하기도 했다.
  • 덕천교차로~만덕~동래 구간으로 46번과 수요를 서로 분담하면서 운행을 하였으나, 46번이 사직동 경유로 변경되는 바람에 덕천교차로~만덕~동래 수요가 모두 307번으로 넘어왔다. 하지만 2022년 7월 9일, 송정 연장 이후 30분 넘어서 1대가 올 정도로 배차간격이 크게 길어졌다.
  • 인천 307번과 공통점이 많다. 번호만 같은 뿐만 아니라 두 노선 모두 바다 옆을 지나가고, 노선이 긴 편이고, 공항을 경유하고, 공항으로 가기 위해 강/바다를 건너고 운행 중간에 긴 무정차 구간이 있는 것이 동일하다. 더군다나 두 노선 모두 배차간격이 20분을 넘어갈 정도로 매우 길다.
  • 2023년 7월 29일 강서공영차고지 버스 개편으로 개통된 1009-1번과 일부 구간을 같이 가게 됐다. 서면 방향은 공항~강서구청역 구간을, 공항 방향은 구포시장~공항 구간을 거의 같이 가고 있다.[21]
  • 2024년 6월 29일부로 강서13번 마을버스 노선이 강서구청역까지 단축되는 바람에 승객들이 307번으로 몰려 반사이익을 얻고 있다. 하지만 동년 10월26일 구포시장 노선 재연장으로 이 노선과 함께 수요가 많이 몰렸다.

4.1. 연간 일평균 승차량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4년 4617.14
2015년 4842.43 △ 225.29
2016년 5038.29 △ 195.86
2017년 4737.71 ▽ 300.58
2018년 4894.85 △ 157.14
2019년 4262.42 ▽ 632.43

4.2. 시간표

307번 시간표

4.3. 노선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일반시내버스 307번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공항진입로
등구마을 ▼ ▲ 강서브라이트센터
공항로
신덕삼거리 ▼ ▲ 신덕삼거리
체육공원로
대저119안전센터 ▼ ▲ 강서체육공원
대저로
강서구청역 ▼ ▲ 강서구청
낙동북로
북구청 ▼ ▲ 강서구청역
낙동대로
덕천역 ▼ ▲ 구포시장
만덕대로
화신아파트 ▼ ▲ 만덕교차로(만덕역)
충렬대로
뜨란채아파트 ▼ ▲ 동래한전
연안로
태광아파트 ▼ ▲ 토곡한양아파트
과정로
부산소방본부.부산교통정보서비스센터 ▼ ▲ 부산소방본부 교통정보서비스센터
고분로
해운대구문화복합센터 ▼ ▲ 수영강푸르지오아파트
센텀동로 수영강변대로
센텀북대로 센텀중앙로
센텀중학교 ▼
센텀중앙로
벡스코 ▼ ▲ 롯데백화점센텀시티점
센텀3로
▲ 벡스코
APEC로
수영강변대로
해강중고교 ▼ ▲ 동일아파트
해운대해변로
장산역 ▼ ▲ 송정1단지주공
해운대로
송정종점 ▼
해운대로1105번길
}}}}}}}}} ||

5. 연계 철도역

부산김해경전철, 동해선 광역전철, 부산 도시철도 모든 노선과 환승이 가능한 세 노선 중 하나다.[22] ==# 둘러보기 #==
파일:한국공항공사 세로형 로고.svg 김해국제공항 경유 시내버스
인천 · 김포 · 제주 · 김해 · 대구 · 청주 · 무안 · 광주 · 양양 · 울산 · 여수 · 포항경주 · 군산 · 원주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구포시장환승센터 경유 버스 노선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급행
1004[단]
1009-1[단]
일반
15[단]
59[단]
127[단]
강서구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20%
[[부산 버스 강서6|강서6]],,[단],,
북구
김해시
8-1[단]
911[단]
912[단]
913[단]
[단] 단방향 경유 노선
}}}}}}}}} ||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해운대해수욕장 경유 버스 노선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bgcolor=#00bfff><colcolor=#fff> 해운대해수욕장
해운대도시철도역
해운대시장
해운대구청
급행
일반
마을
}}}}}}}}} ||


[토요일·공휴일] 12대 운행 [단독] 이 노선의 단독 구간이다. [3] 첫 운행 버스가 송정차고지에서 김해국제공항 국내선까지 공차회송 후 운행한다. [4] 현 올림픽교차로 [5] 부일여객 [6] 만약 해당 안이 그대로 진행됐을 경우 왕복운행거리는 81.2km에 운행시간은 245분에 달하는 초장대노선이 탄생할 뻔했다. 물론 2안도 76.8km으로 초장거리인건 동일하다. [7] 해당 경로는 해운대 과선교 철거 이전에 115-1번이 거쳐 갔던 경로였다. [8] 아시아드경기장과 가장 가까운 정류장 [9] 2024년 7월 13일 김해공항과 해운대백병원을 잇는 부산 버스 2029가 개통하였지만 급행노선이다. [10] 이 제한을 적용하는 다른 노선으로는 부산 버스 1001번, 부산 버스 1003번, 부산 버스 1004번과 부산, 거제 버스 2000번이 있다. 다만 1004번과 2000번은 차내 안내문만 부착되어 있고 외부는 없으며, 2000번의 경우 동원여객 태영버스 차량만 제한을 받으며 나머지 부산 차적과 거제 차적은 화물칸에 캐리어를 실을 수 있기 때문에 해당 제한을 적용받지 않는다. 부산 김해공항리무진 2번은 2024년 7월 1일부로 무기한 운휴에 들어갔고 대체 노선으로 동년 7월 13일부로 2029번 급행노선이 개통하였으나 시내버스 노선이라 해당 규정을 정확히 적용시킨다. [11] 당시에는 200-1번이었다. [12] 구.48번, 구.111번, 구.130번도 구만덕을 경유했었다. [13] 바로 앞에는 안 서고, 안락교 쪽으로 우회전한다. 해당정류장은 환승이 매우 용이하기도 하다. [14] 46번이랑 마찬가지로 만덕대로로 직통하지만 15~20분이 되는 배차간격이 그 효과를 깎아먹고 있다. [15] 현재 김해국제공항으로 오는 노선(1009번, 강서11번, 강서13번) 중에 2층 출발층에 정차하는 유일한 노선이다. [16] 2016년까지는 1층에만 정차하고 바로 행선지를 바꿔 공항을 빠져나갔지만 어느 순간부터 이런 형태로 바뀌었다. [17] 31번은 부산시내버스 중에서 일일 승객 수와 운송수입금이 2017년 기준으로 1위다. [18] 민락동에서 수영1호교를 건너면 바로 나온다. 여기서 주박이 가능한 이유는 명진자동차운전학원 경영주가 세익여객/ 일광여객 경영주와 같은 분이기 때문이다. [19] 해운대영업소에는 가스 충전소가 없다. [20] 참고로 명진자동차학원에서 청강리까지 측정결과 16.8km인데, 왕복으로 측정하면 33.6km, 즉 134번 왕복거리(33.5km)만큼 가스충전을 하러간다. 차라리 신선대충전소로 가는것이 더 가까운데, 광안대교로 빠르게 갈 수 있어서 신선대충전소까지 8.6km로 청강리보다 2배나 더 가깝다. 하지만 광안대교는 1006번, 1011번만 요금 면제이기 때문에 이 노선이 광안대교를 탄다면 돈을 내야한다. 지금은 송정영업소로 연장되었기에 당연히 동부산공영차고지 충전소에서 하는게 낫다. [21] 대저안동네 제외 [22] 다른 노선들은 31번 77번. 다만 이 노선은 5호선이 개통될 경우 부산 도시철도 모든 노선과 환승 가능한 노선에서 제외된다. [송정] 송정방향만 경유 [송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