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09 14:00:24

부산 버스 15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tablebordercolor=#39f><tablealign=center><tablewidth=310>
부산광역시
}}}
[[틀:부산광역시의 급행버스|
급행
]] [[틀:부산광역시의 좌석버스|
좌석
]] [[틀:부산광역시의 일반버스|
일반
]] [[틀:부산광역시의 마을버스|
마을
]] [[틀:부산광역시의 심야버스|
심야
]] [[틀:기장군버스|
기장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2번 ~ 99번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2 3 5-1 6 7 8
9 10 11 15 16 17
20 22 23 24 26 27
29 30 31 33 33-1 36[A]
37[A] 38[A] 39 40 41 42
43 44 46 49 50[A] 51
52 54 55[A] 55-2 57
58[A] 58-2 59 61 62 63
67 68 70 71 73[B] 77
80 81 82 83 85
86 87 88 88-1 90 96
99
[A/B] 환승 대기시간 60분/90분 적용 노선
[C] 출근시간 전용 노선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100번 ~ 583번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100 100-1 101 103 105 106
107 108 110 110-1 111 111-1
113 115[A] 115-1 121 122[B] 123
124[A] 126 127 128-1 129-1 131
133 134 138 138-1 139 141
144 148 148-1 155 160 161
167 168 169 169-1 171 179
180[A] 181 182[A] 183[A] 184[A] 185[A]
186[A] 187[A] 188[A] 189 189-1 190
200 210 300[A] 301[A] 302[A] 307[A]
338 506 508 520[B] 583[A]
[A/B] 환승 대기시간 60분/90분 적용 노선
}}}}}}}}}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tablebordercolor=#aaa><tablealign=center><tablewidth=310>
부산광역시
}}}
[[틀:부산광역시의 급행버스|
급행
]] [[틀:부산광역시의 좌석버스|
좌석
]] [[틀:부산광역시의 일반버스|
일반
]] [[틀:부산광역시의 마을버스|
마을
]] [[틀:부산광역시의 심야버스|
심야
]] [[틀:기장군버스|
기장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15 30 51 58-2 106
141[a]
182
183[a]
508 1001
1008
[a] 주간노선과 심야노선의 경로에 차이가 있는 노선
}}}}}}}}} ||
파일:부산15신도색.png
파일:부산 버스 15HL.png

1. 노선 정보2. 개요3. 역사4. 특징
4.1. 가축수송4.2. 이용 시 유의할 점4.3. 연간 일평균 승차량4.4. 노선
5.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일반시내버스 15번
기점 부산광역시 북구 금곡동(금곡주공1단지) 종점 부산광역시 중구 남포동4가(남포동)
종점
첫차 05:00 기점
첫차 06:11
막차 22:05 막차 23:15
평일배차 출퇴근 6분 / 평시 7분 주말배차 토요일 8분 / 공휴일 9분
운수사명 삼진여객 인가대수 32대[주말]
노선 금곡주공1단지 - 금곡중학교 - 금곡주공9단지 - 율리역 - 북구보건소·인도네시아센터 - 와석 - 수정역 - 덕천교차로 - 구포역 - 북구청 - 모라역 - 신모라입구 - 부산북부고용노동지청 - 부산항공고등학교 - 덕포역 - 서부시외버스터미널. 사상역 - 새벽시장 - 학장입구 - 학장교차로 - 구덕고교 - 구덕터널 - 구덕운동장 - 동대신역 - 동아대부민캠퍼스 - 영락교회 → 국제시장 → 부산데파트 → 남포동 → 서구청 → 남포주유소[단독] → 영락교회 → 이후 역순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부산 15 노선도.png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심야버스 15번
기점 부산광역시 북구 금곡동(금곡주공1단지) 종점 부산광역시 중구 남포동4가(남포동)
종점행 첫차 22:35 기점행 첫차 23:45
막차 22:55 막차 00:00
배차간격 20분 (1일 2회)
운수사명 삼진여객 인가대수 2대
노선 주간 노선과 동일

2. 개요

부산광역시의 시내(입석/심야)버스 노선. 왕복 운행거리는 53km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파일:busanold15200.jpg
좌석버스가 운행하던 모습. (출처 : 뉴스뱅크)
  • 삼진여객이 대원여객이던 시절인 1982년 12월 5일에 개통한 노선으로, 금곡동 공창마을 - 율리마을 - 화명동 - 덕천동 - 북부면허계[3] - 사상역입구 - 주례교차로 간을 운행했다.
  • 1984년 구덕터널이 개통된 이후 주례교차로를 미경유하고 사상역입구에서 새벽시장 - 구덕터널 - 구덕운동장 - 법원.검찰청[4] - 대청동 - 남포동 - 충무동으로 노선을 변경, 연장되었다.
  • 1987년 송도로 연장하였으나 1993년에 충무동까지 단축되었으며, 회차방식도 현재와 같은 단선순환회차로 변경되었다. 1990년대 중반에는 부산 도시철도 2호선 공사로 신모라를 우회하는 노선으로 변경되었다. #
  • 2014년 2월 22일 심야버스도 운행하기 시작하면서 북구의 심야를 책임지는 노선이 되었다.
  • 2023년 7월 29일 59번의 충무동 연장에 따른 증차로 4대가 감차되었다. 다만 이 노선이 워낙 빗자루 노선이라 사람들 체감 배차간격은 거의 똑같을 것이다.

4. 특징

  • 자사노선인 59번, 126번과 종점이 동일하다. 기점도 사실상 동일하다.
  • 1일 평균 총 2만 4천명 가량의 승객 수, 1일 대당 평균 7백명이 훌쩍 넘는 승객 수를 기록하고 있는 노선이다.[5] 2018년 7월 기준, 이 노선 자체의 1일 총 승차량은 23,479명이다. 2019년 기준 이용객수 26,063명으로 부산 버스 전체 이용객수 탑투를 기록하였다. #
  • 부산 시내버스 최다 운행대수 노선이었지만 7월 29일 59번이 충무동까지 연장되어 4대가 감차되었다.[6]
  • 노선 운행거리가 53km로 제법 긴데도 불구하고 굴곡 구간이 거의 없는데다 선형도 깔끔한 편이라서 소요시간이 비슷한 운행거리를 도는 노선들에 비해 긴 편은 아니다.[7] 덕분에 장거리 수요도 제법 많은 편이다. 편도로 1시간 정도면 금곡동에서 남포동까지 도착이 가능하다. 어디까지나 교통이 원할하다는 상황에서의 얘기다. 빠르면 50분 이하도 가능하지만 덕천교차로, 서부터미널, 학장교차로나 구덕로, 대청로까지 막히면 굉장히 오래 걸린다. 여기에 무려 36대의 인가대수였으나 59번 증차로 인해 4대 감차가 되어 배차간격이 조금 늘어난 편이다. 인가대수가 68번, 33번/31번에 이어서 96번과 동일할 정도로 가장 많았으나 96번이 338번 증차분으로 두 대가 감차되어 이 노선이 인가대수 3위로 랭크되었다. 하지만, 68번이 168번 신설로 인하여 15대가 감차되면서[8] 31/33번이 인가대수 1위로 랭크되었다. 이후 1위였던 31번이 4대가 감차되었고, 33번 역시 33-1번 신설로 인하여 14대가 감차되면서 이 노선이 인가대수 1위로 랭크되었다. 그러다 2023년 강서공영차고지 개편으로 인해 이 노선은 4대가 감차된 반면 68번은 3대가 증차되면서 현재는 68번 37대 31번 35대 51번 34대 155번 33대로 운행하고 있어서 이젠 이 노선이 인가대수 5위다. 29번과 노선길이가 비슷하나 수요의 극명한 차이로 배차간격은 거의 2배나 차이 난다.[9]
  • 다만 운행 거리가 긴데 회차 구간에 마땅히 휴식할 만한 장소가 없어서 휴식 없이 바로 운행한다.[10] 이는 126번도 마찬가지다.[11] 간혹 화장실 해결을 위해 동아대병원입구 정류장이나 구덕터널을 지나 구학초등학교 정류장을 가기 전에 위치한 주유소 인근 도로변에 세워놓고 주유소에서 볼일을 보고 오기도 한다.
  • 서구에서 북구 방면으로 이어주는 노선이지만, 이 노선은 123번 126번과 달리 사하구를 거치지 않고 구덕터널을 통하여 바로 사상구로 빠지기에 서구에서 사상 이북이나 구포로 가는 수요는 거의 대부분 이 노선이 담당하고 있다. 원도심에서 인제대학교로 통학하는 학생 수요도 어느 정도 있는데 구포시장종점에 하차하여 김해 912번으로 환승해서 가는 학생들이 많다.
  • 심야버스 운행이 시작되면서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 일대에서 부산 버스 1004 심야 및 서부터미널 출발 심야노선들과 연계가 이루어졌다. 이 심야노선은 과거 1004번의 전신이던 309번의 심야코스 한쪽을 계승했다고 봐도 무방할 듯. 당시 심야 309번은 김해에서 서부터미널까지 와서 서부터미널부터 구덕터널 - 남포동 - 부산역 - 서면롯데 - 서부터미널 식으로 한바퀴 돌고 다시 김해로 돌아가던 노선이었다. 개편 후 1004번이 심야 운행을 하기는 했지만 구덕터널 쪽으로는 가지 않았으나 이 노선의 심야운행을 통해 309번의 옛 노선과 일부 일치하게 되었다.
  • 심야버스 수요도 많은 편이며 국제시장부터 자리를 채우고 남포동과 서구청 정류장을 지나면 발 디딜 틈도 없이 꽉꽉 찬다. 이 시간대에는 8번, 161번은 물론 59번, 111번, 121번, 126번도 막차가 다 끊기기 때문이다. 물론 주간 막차와 심야 첫차 사이의 간격이 30분밖에 차이가 없으며 심야 운행을 2회밖에 안 하는 점도 한몫한다. 그러니 앉아서 가고 싶으면 구 남포문고 앞 남포동 정류장에서 걸어가 부산데파트나 백산기념관 정류장에서 타는것이 좋다. 다만 제법 거리가 있는 편이니 참고.
  • 첫차라고 안심할 수도 없는게 북구 거주 새벽시장 상인들이 첫차를 많이 애용한다. 때문에 첫차부터 수요가 상당히 많다.
  • 모라동 구간의 경우 백양대로 구간의 승객 수요 편의를 위해 모덕역 모라역으로 바로 직통하는 59번과 달리 백양대로로 올라가서 신모라사거리를 경유하여 P턴하여 모라역으로 간다. 때문에 이 구간은 이동시간이 상당히 오래 걸린다. 본래 이 노선은 사상로를 쭉 경유하는 노선이었는데 1990년대 후반 부산 도시철도 2호선의 공사 여파로 인하여[14] 백양대로와 신모라사거리 경유로 노선이 조정되고 2호선이 개통되고 나서 사상로로 노선을 환원하려 했으나 백양대로 연선에서 유일하게 국제시장과 남포동으로 이어주기에 수요가 많이 발생하여 이 노선대로 유지하였다.
  • 토요일엔 27대, 공휴일엔 25대로 운행하기에 배차간격이 6~7분 이상으로 벌어진다. 덕분에, 남포동과 자갈치에서 연착되면 10분 이상 벌어지게 되는 경우가 다반사다.
  • 객관적으로 비교했을때 부산시내버스 중 정말 어마무시하게 난폭운전을 하는 노선으로 유명하다. 삼진여객 노선이 어느하나 그렇지 않은 노선이 있냐만은 111번은 111-1번 개통 후 웬일로 난폭운전의 빈도가 줄면서 현재로서는 이 노선이 정말 심하게 난폭운전을 하는 노선이다. 아마 긴 운행거리와 정체구역을 많이 거쳐가는 특성 상 배차간격 관리가 힘들기 때문일 것으로 보인다. 특히, 부산 도시철도 5호선 공사 구간인 새벽로를 직접 지나가는 노선이라 배차간격 관리에 사념을 다해도 절대로 배차간격이 균일하게 운행할 수 없는 여건상 난폭운전은 어쩔 수 없다.
  • 때문에 이 노선을 운행하는 승무원의 친절도가 상당히 나쁜 편이다.[15] 그것도 모자라 과속에 신호위반까지 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다 2021년 이후로는 운행 횟수가 조정되고, 5030 제도가 시행되면서 과거에 비해서는 많이 나아진 편이며 나름 정속운행을 하려는 모습을 볼 수 있다. 헌데 이게 정도가 심해져서 이젠 반대로 저속이 심하다.
  • 편도 순환 회차 경로인 "남포주유소" 정류장의 경우 이미 해당 시설물인 남포주유소가 2015년부로 철거되었고 그 자리에는 현대목재합판[주] 라는 건물이 들어서 있다. 따라서 정류장 명칭 변경 민원이 자주 올라오는데 정류장 근처에 랜드마크라고 할만한 건물이 딱히 없어서 변경시키지 못하고 있다.[16] 중구 부평동 소재이긴 하나 부평동이라고 부르는 부평시장과는 멀리 떨어져 있어서 부평동이라고 명칭을 바꾸면 혼동의 우려가 있기도 하다. 그나마 해당 정류장에서 가장 가까운 학교로는 경남중학교가 있지만 이마저도 부산대학병원.토성역 정류장에서 바로 접근이 가능하여 정류장 명칭 변경은 요원해 보인다.

4.1. 가축수송

  • 노선이 길고 구덕운동장 부근과 새벽시장 부근, 신모라 구간에 약간의 굴곡(금곡동 방면은 신모라사거리에서 모라로 방면으로 바로 좌회전이 안 되는 관계로 백양터널 방면으로 올라갔다가 도중에 유턴하여 내려온다. 급경사 구간이다.)이 있다는 것만 제외하면 노선이 거의 직선이고 주간선 노선에 매우 근접하나 북구에서 중구까지 가기에는 시간이 제법 걸려 장거리 수요보다는 구간수요가 많다.[17] 도로가 안 막힌다는 가정 하에 남포동과 서부터미널은 30분 정도 걸리며 서부터미널에서 구포시장은 15~20분이 걸린다. 심야 시간대에도 40분은 족히 가야 한다. 그래도 아예 없는 편은 아니다. 대신 금곡동(또는 화명동)에서 구포역 사이, 신모라사거리에서 서부터미널 사이, 서부터미널에서 남포동 사이 등 주요 환승지점을 이동하는 구간수요가 상당히 많다. 특히 도시철도로 오가기에 매우 불편한 '서부터미널 ↔ 남포동 구간이 그러하며 서구에서는 8번, 161번과 마찬가지로 매우 복잡하다. 덕분에 2007년 준공영제 시행 이후 현재까지 68과 31번의 뒤를 이어 3위를 차지해 왔다. 다만, 2016년 1월 기준으로는 1위와 2위는 68번, 31번 그대로였으나, 3위는 113번, 4위 81번이었고 이 노선은 5위까지 떨어졌다. 그래도 여전히 자기 발 밑에 100개 넘는 노선들을 깔아두고 있다.
  • 상술했듯이 북부산, 금곡동에서 원도심까지 빠르게, 유일하게 잇는 노선이라 장거리 고정수요도 어느 정도 있다. 111번도 있지만 이 노선은 주로 서면에 가려고 많이 이용하고 부산진시장까지 가며 15번보다 노선이 굴곡이 좀 심한 편이다.
  • 금곡동 방면 '서구청 → 영락교회' 구간은 단독구간이다. 16번, 70번, 161번 부산대학교병원, 토성역을 경유하기 위해 까치고개로 가지만, 이 노선만 유일하게 보수대로를 통하여 가기 때문에 이 구간 내에 적게나마 고정수요가 있다. 덕분에 양방향 '영락교회' 정류장을 경유할 수 있는 덕분에 남포동이나 서구청에서 동아대학교 부민캠퍼스 후문( 임시수도기념로와 연결되며 법원검찰청 옛 청사 부지.)으로 가려는 동아대 통학생들의 환승 수요가 매우 많으며 동아대부민캠 정류장도 당연히 경유하나 구.법원 건물로 가는 것이 목적이라면 영락교회 정류장에서도 상당수 하차한다. 이 노선 뿐만 아니라 구덕운동장 방면 40번과 81번에서도 영락교회 정류장에서 우르르 하차하는 것을 자주 볼 수 있다. 그 반대로 영락교회 정류장에서도 동아대 통학생들의 탑승이 많다.
  • 옛날에는 2대로 운행한 적도 있다고 하나 지금은 두말할 것 없는 삼진여객의 대표적인 주력/간판노선이다.
  • 인가대수가 4대 줄어들어 가축수송 문제가 더욱 심화되었다. 특히 RH 시간대에 남포동~서부터미널 구간에서 매우 혼잡하다.

4.2. 이용 시 유의할 점

  • 이 노선은 구덕사거리에서 구덕터널 방면으로 좌회전하는 특성상 구덕운동장 바로 앞쪽에 위치한 문화아파트 정류장에 정차하지 않는다. 이전 정류장인 구덕운동장 정류장의 경우 구덕로 연선에 위치해있어 한참을 걸어올라가야 한다. 이는 161번도 마찬가지이며 따라서 남포동이나 서구청, 부민동 일대에서 구덕운동장 가는 것이 목적이라면 이 노선보다는 70번을 이용하는 편이 낫다. 구덕 야구장이 철거되면서 도로를 왕복 5차선으로 확장시켰는데도 불구하고 좌회전하는 차량들이 많아 정차가 불가능하다는 결론이 나왔다. 물론 70번의 배차간격이 이 노선의 3배나 되기에 이 노선을 타고 동아대병원입구 정류장에 하차하여 육교를 건너 걸어가는 편이 낫다. 서구청이나 부산대병원 부근에서는 16번을 이용하여 부산대신중학교 정류장에 하차하여 조금 걸으면 된다.
  • 이런 경우는 주로 없지만, 구포시장쪽에서 금곡역까지 한번에 가고 싶다면, 이 버스를 타지 말고 금곡대로를 질주하는 59번을 타는게 훨씬 좋다.[18]
  • 설날 연휴와 추석 연휴, 즉 명절 연휴기간에는 이 노선도 보통 노선들과 같이 휴차가 많다. 보통 노선들도 명절에는 연휴 첫날 30%, 당일 50%, 연휴 마지막날 40% 휴차한다. 다만 인가대수가 적은 노선 일부와 특수한 성격의 노선은 예외이다. 2018년 추석당일 기준으로 이 노선의 평시 간격이 15~20분까지 나기도 했다. 연휴 기간에는 20~21대, 명절 당일에는 18대로 운행하기에 이용에 주의바란다.
  • 배차간격이 촘촘하다보니 앞차와의 간격 유지를 위한 고의 저속운행이 잦은 편이다.[19] 특히 북구청을 지나서 금곡동 방면으로 가는 구간부터 유난히 저속주행이 심해지는데 남포동에서 벌어진 배차간격이 금곡동에 가까워질수록 좁혀지기때문에 그렇다. 따라서 빠르게 가려면 도시철도나 다른 노선을 이용하여 가는 편이 낫다.[20] 아니면 환승하지 않을 것이라면 양산 21번이나 23번을 이용해서 가는 것도 괜찮은데 정차 정류장 개수가 적어서 빠르게 주행하여 2호선보다 더욱 빠르게 이어준다.

4.3. 연간 일평균 승차량

  • 원 출처는 한국교통안전공단 국가대중교통DB이며 노선별 이용인원의 자료를 재구성했다.
  • 소수점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했다.
  • 카드 승차량만 집계된다. (현금 승차량 제외)
  • 재구성된 자료이므로, 계산 및 산출 과정에서 오차가 발생하였을 가능성이 있다.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4년 23242.43
2015년 24897.86 △ 1655.43
2016년 24294.57 ▽ 603.29
2017년 25350.86 △ 1056.29
2018년 22988.71 ▽ 2362.15
2019년 24135.71 △ 1147.00

4.4. 노선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일반시내버스 15번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구덕로
서구청(충무동) ▼ ▲ 남포동
보수대로 중앙대로
영락교회 ▼ ▲ 부산데파트
대청로
동아대부민캠퍼스 ▼ ▲ 영락교회
구덕로
▲ 동대신역
망양로
동아대병원입구 ▼
보수대로
구학초등학교 ▼ ▲ 구덕초등학교
학감대로
학장입구 ▼ ▲ 사상전화국
가야대로
대풍주유소 ▼ ▲ 학장입구
새벽로
서부시외버스터미널(사상역) ▼ ▲ 신한은행
사상로
덕포초등학교 ▼ ▲ 덕포시장
삼덕로
서부산공업고등학교 ▼ ▲ 덕포초등학교
백양대로
모라1동행정복지센터 ▼ ▲ 동원아파트
모라로
모라역 ▼ ▲ 모라동새마을금고앞
사상로
구포삼거리 ▼ ▲ 북구청
낙동대로
구포시장종점 ▼ ▲ 구포시장
금곡대로37번길 금곡대로
덕천교차로 ▼
금곡대로
금곡주공5단지 ▼ ▲ 율리역
금곡대로470번길
금곡주공4단지후문 ▼ ▲ 금곡주공5단지
효열로
}}}}}}}}} ||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심야버스 15번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구덕로
서구청(충무동) ▼ ▲ 남포동
보수대로 중앙대로
영락교회 ▼ ▲ 부산데파트
대청로
동아대부민캠퍼스 ▼ ▲ 영락교회
구덕로
▲ 동대신역
망양로
동아대병원입구 ▼
보수대로
구학초등학교 ▼ ▲ 구덕초등학교
학감대로
학장입구 ▼ ▲ 사상전화국
가야대로
대풍주유소 ▼ ▲ 학장입구
새벽로
서부시외버스터미널(사상역) ▼ ▲ 신한은행
사상로
덕포초등학교 ▼ ▲ 덕포시장
삼덕로
서부산공업고등학교 ▼ ▲ 덕포초등학교
백양대로
모라1동행정복지센터 ▼ ▲ 동원아파트
모라로
모라역 ▼ ▲ 모라동새마을금고앞
사상로
구포삼거리 ▼ ▲ 북구청
낙동대로
구포시장종점 ▼ ▲ 구포시장
금곡대로37번길 금곡대로
덕천교차로 ▼
금곡대로
금곡주공5단지 ▼ ▲ 율리역
금곡대로470번길
금곡주공4단지후문 ▼ ▲ 금곡주공5단지
효열로
}}}}}}}}} ||

5. 연계 철도역


==# 둘러보기 #==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 경유 버스 노선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10px; margin-top:-5px; margin-bottom:-15px"
급행 1005[사]
일반
8[사]
33-1[사]
138-1[사]
161[사]
186[사]
마을
심야
[사] 경부선 사상역 경유 노선
}}}}}} ||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구포시장환승센터 경유 버스 노선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급행
1004[단]
1009-1[단]
일반
15[단]
59[단]
127[단]
강서구
북구
김해시
8-1[단]
911[단]
912[단]
913[단]
[단] 단방향 경유 노선
}}}}}}}}} ||

파일:동아대학교 UI.svg 동아대학교 경유 버스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승학캠퍼스
<colcolor=#000,#fff> 교내진입 사하10
동아대입구 1001
2 16 68 123
126 128-1 138 338
구덕캠퍼스(동아대학교병원)
교내진입 서구5
동아대병원 167[A] 190[A] 중구1
동아대병원입구/구덕운동장 8 15 16[A] 40[A]
67 81[A] 161 168
서구1[A] 서구3[A] 서구3-1[A]
부민캠퍼스
정문앞 15 16 40 70
81 126[A] 161 190
부용사거리 96 103 113
[A] 단방향 경유 }}}}}}}}}


[주말] 토요일 26대 / 공휴일 23대 운행 [단독] 이 노선의 단독 구간이다. [3] 현 북부면허시험장. 현재 이 구간에는 59번이 대신 다닌다. 지금 15번은 모라역교차로에서 좌회전 후 우신아파트 앞으로 다시 우회전하여 바로 덕포역 방향으로 빙 돌아가기 때문에 북부시험장을 미경유하는 반면 59번은 모라역에서 모덕역으로 직진하기 때문에 서부터미널은 59번이 더 빨리 간다. [4] 현 동아대 부민캠퍼스 [5] 승객수에 대해 자세한 정보를 보고 싶으면 일단 이 사이트에 들어간 뒤 설정찍고 보면 된다. 요일별 승객수를 더한 후 7을 나누면 1일 평균 총 승객수가 나오며 요일별 승객수를 더한 후 1주일 간의 운행대수(15번 235대)를 나누면 1일 대당 승객수가 나온다.(평일과 주말의 인가대수가 다른 노선이 많으니 반드시 주말 인가대수까지 확인해야 한다.) [6] 1위는 37대인 68번, 2위는 35대인 31번이다. 원래 1위는 운행대수가 45대였던 68번이었다가 2015년 11월 28일 168번 분리 신설로 인해 30대로 감차되었다가 7대 증차되어 37대로 운행중이다. 그 후 31번과 33번이 공동 1위였으나 2017년 11월 4일부로 31번의 인가대수가 39대에서 35대로 감차되고, 33번마저 2021년 9월 4일부로 33-1번이 신설되면서 25대로 감차되는 바람에 이 타이틀은 15번으로 넘어갔다가 68번의 증차로 68번으로 다시 넘어왔다. [7] 운행거리가 이보다 짧은 51번(49.4km)이 왕복운행시간이 200분 남짓 된다. 허나 전체 선형만 놓고 보면 그렇게 굴곡 구간이 많은 것도 아니다. [8] 2017년에 다시 4대 증차가 이루어졌다. [9] 회동동으로 연장된 43번이랑도 노선길이가 비슷해졌는데 배차간격은 2배 이상 차이난다. 물론 수요가 적은 노선은 아니지만 인가대수가 턱없이 부족하다. [10] 굳이 쉴 곳을 하나 추가하자면 왕복 6차로에 차량 통행량이 적은 남포주유소 정류장 부근이 있다. 다만 통행량이 적어서 불법 주·정차 차량이 많은데다 편도 순환 회차구간이라 승객 편의를 위해 휴식 없이 바로 금곡동으로 돌아간다. [11] 이 노선은 15번과는 달리 아예 휴식할 만한 장소가 없다. [12] 대티터널에서 부산터널로 넘어가려는 차량들로 인하여 헬게이트를 방불케 한다. 실제로 대티터널 - 부산터널 간 신호유지 시간이 구덕운동장 - 부민동 간 신호유지 시간보다 길다. [13] 국제시장과 보수동책방골목이 있어 유동 인구가 매우 많을 뿐더러 왕복 4차로에 불법 주정차가 극심한 지역이라 정체가 빈번히 발생한다. [14] 참고로 1994년 9월부터 도시철도 개착공사로 인해 사상로 일대를 1년 간 전면통제 시켰고 1996년~97년경 노면복구 공사로 인해 한번 더 전면통제를 시켰다. [15] 예를 들어 ~~~가나요? 라고 물어보면 짜증스러운 말투로 응대하는 경우도 있다. 같은 회사 노선인 59번도 마찬가지다. [16] 그나마 근처에 부평교회가 있지만 영락교회에 비하면 인지도가 거의 없다. [17] 서울로 치면 서울 버스 141의 도봉산역~염곡동 구간 소요시간과 비슷하다. 실제로 운행거리도 비슷하고 직선노선이나 이동소요시간은 이 노선이 훨씬 짧다. [18] 구포시장 쪽에서 금곡동으로 갈려면 126번도 화명동에서 돌아 가기 때문에 금곡대로만 가는 59번이 낫다. 다만, 충무동 쪽은 126번을 타고 가는게 낫다. 왜냐하면 59번도 부산역으로 돌아 가기 때문이다. [19] 신성여객 23번, 삼성여객 54번, 동원여객 81번도 마찬가지다. [20] 구포 ↔ 금곡 구간은 59번이나 111번, 126번을 이용하자. 111번은 배차간격이 많이 길고, 59번은 배차간격이 15번보다는 길기 때문에 저속주행은 하지 않는다. 특히 126번은 같은 회사인 것이 믿기지 않게 매우 밟아댄다(..) 사상~금곡 구간 이동의 경우 편하게 2호선을 타고 가자. [21] 백산기념관.영화체험박물관 정류장에 하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