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14 15:28:41

학사장교

KAOCS에서 넘어옴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학사사관 출신 인물
, 학사사관 출신(장성) 인물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장교
<colbgcolor=#1e5099> 사관학교 사관생도( 육군/ 해군/ 공군/ 육군3/ 간호/ 과학기술)
후보생 학군사관 | 학사사관 | 간부사관 | 전문사관( 의무/ 수의/ 법무/ 군종/ 과학기술/ 기타)
기타 예비역의 현역 재임용 | 기본병과장교 | 특별임관 | 현지임관
폐지 갑종간부후보생 | 석사장교 | 군사학교( 군사영어/ 육군종합/ 호국군/ 육군2/해군2/공군2/ 해병)
준사관
후보생 기술·행정 준사관( 통번역준사관) | 항공 준사관( 운항(육/해)/ 요격통제(해)/ 무기통제(공))
부사관
민간/현역병 민간부사관(임관시 장기복무부사관)( 육군/ 특전/ 해군/ 해병/ 공군) | 공군항공과학고등학교 | 학군부사관
현역병 현역부사관 | 임기제부사관(단기전환부사관)
기타 예비역의 현역 재임용 | 사관학교 퇴교자
폐지 을종간부후보생 | 교육대학 병역특례 | 일반하사 | 단기하사 | 금오공고 301학군단
둘러보기 : 공무원 경력경쟁채용시험, 공무원 공개경쟁채용시험
}}}}}}}}} ||




1. 개요2. 특징3. 각군별 설명4. 교육중 신분5. 임관6. 예비장교후보생7. 군 가산복무 지원금 지급 대상자8. 학군장교와의 차이점9. 군가10. 출신 인물11. 관련 문서

1. 개요


학사사관(學士士官), OCS라고도 하며 학사 학위 이상을 소지한 자(또는 4년제 졸업예정자)가 국방부로부터 공인된 시험을 거쳐 소정의 군사 교육을 받은 뒤 장교로 임관하는 대한민국의 장교 양성 과정이다. 군사교육을 수료한 전원이 소위로 임관하는 게 원칙이나, 공인회계사시험, 변리사시험이나 5급 공무원 시험( 행정고시, 기술고시, 외무고시, 입법고시, 법원행시) 합격자 등 일부 인원[1]은 중위로 임관한다. 이들을 재정사관, 변리사관, 기본병과장교라 하는데, 임관구분상으로는 학사장교에 편입된다.

육군 학사장교는 '문무를 겸비한 장교' 양성을 기치로 미국의 OCS 제도를 벤치마킹 해 1981년 6월 28일 학사사관 제도가 창설되었다.

육군, 해군/해병대, 공군 각 군마다 사용하는 명칭은 다소 다르나 사관학교, ROTC를 제외한 단기 자원으로 복무할 장교 과정을 의미한다.[2]

4년제 대학 졸업자 또는 졸업예정자(동등한 기준의 학점은행제를 통한 학위 취득 혹은 방송통신대학, 사이버대학, 독학사 등도 포함)를 기준으로 선발하며, 석박사 학위를 취득했거나 고시 합격자, 미필 교사, 유학생들이 많이 지원하기 때문에 모든 장교 지원 과정 중에 가장 전문적이고 출신 성분이 다양하다는 것이 장점이다.

한때 학사장교 제도에 대해 폐지 및 다른 과정에 통합을 언급하기도 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6.25 전쟁 당시의 전례를 들어, 전쟁이 발발하게 될 경우 초급장교의 수요가 엄청나게 많아지고 초급장교의 비중을 학군장교 다음으로 많이 배출한다는 이유, 그리고 석, 박사 인원들이 장교로 임관하지 않으면 병역 면탈 증가나 고급 인력들이 해외로 도망가버릴 가능성이 매우 높아지는 이유[3], 대학을 졸업하고도 군대에 가지 않은 인원들의 병역 대신 교도소 선택[4] 등 학사장교 제도의 폐지를 반박했으며 정부에서도 폐지를 반박하는 쪽의 논지를 받아들여 학사장교 제도를 존속시키고 있다.

전시 병력 수요가 많아지면 그에 따라 장교의 수요도 같은 비율로 증가해야 하므로 병사를 징집할 경우, 장교 또한 징집해야 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그리고 세계 주요 국가의 장교 양성 시스템을 보더라도 미군의 OCS/OTS와 같은 사관후보생 제도를 운영하지 않는 나라는 매우 드물다. 전시 위관급 장교가 비교적 많이 전사하므로 학사장교 제도는 반드시 필요한 것이다.[5]

2. 특징

학사장교의 큰 특징은 지원 자격에서 찾을 수 있다. 타 장교 양성과정은 고졸이나 전문학사, 4년제 대학 2년 이상 수료 등인 데 비해, 학사장교는 학사 학위 이상을 기본으로 요구하고 있다. 특히, 석 · 박사 학위 취득자와, 국외 영주권을 포기한 재외 거주 동포들의 지원이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기사#3 기사#4 다른 군 입대 과정에서 얻기 힘든 박사 학위를 보유한 현역 군인을 쉽게 확보할 수 있다는 점이 학사장교 제도의 가장 큰 매력 중에 하나이다. 보통 군 복무를 하지 않은 상태에서 석사 학위를 취득하면 최소 25살 정도 된다. 그런데 이런 인원은 둘 중 하나다. 하나는 학사장교로 군복무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전문연구요원으로 병역 특례를 받는 것이다. 물론 현역병으로 입대하는 박사 학위 보유자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거의 30살이 다 돼서 이등병이 되는 게 보통 고역이 아니라는 점을 생각해 보면 박사 학위 취득자가 병사로 복무하는 경우가 왜 드문지 알 수 있다. 그래서 병역의무자 중 평균 연령대가 가장 높다. 현역병은 만 20세 전후로 복무를 시작하지만 학사장교는 평균적으로 4~7살 정도 많으며 예비역일 경우 30살이 넘는 경우도 간혹 있다. 지원자격이 학사 학위 이상의 학력인 탓에 갈 수 있는 시기도 많이 늦춰진 것으로 보인다...

3. 각군별 설명

3.1. 대한민국 육군

육군학사장교
陸軍學士將校
Korea Army Officer Candidate School (KAOCS)
파일:육군 학사장교 상징.svg
<colbgcolor=#5a177e><colcolor=#fff> 상징 <colbgcolor=#5a177e><colcolor=#fff> 색채
(의미)
청 / 智(지), 흰 / 德(덕), 적 / 體(체)
동물 독수리
보석 자수정
국가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분류 장교양성과정
창설 1981년 6월 28일
총 임관자 수 51,617명 (2021년 기준)
링크 육군학생군사학교 홈페이지
대한민국 육군학사장교
총동문회 홈페이지
육군 학사장교는 1980년대 대한민국의 대내외적 안보환경이 불안했던 시기, 문무를 겸비한 장교양성을 기치로 1981년 학사사관 제도가 창설되었다. 632명이 학사 1기로 광주 상무대에서 임관하였다. 학사 2기부터는 생도과정이 폐지된 육군3사관학교에서 장교양성교육을 받고 임관하게 되었으며, 80년대 중순부터는 군 가산복무 지원금 지급 대상자 제도를 도입하여 매년 2개 기수씩 임관하였는데, 전반기에 임관하는 '홀수 기수'와 후반기에 임관하는 '짝수 기수'로 나누어 졌고 행정고시, 외무고시, 기술고시 출신자 및 군 가산복무 지원금 지급 대상자는 전반기에 입대하였다. 2010년이후 연 1기수로 통합되였다. 육군 학사장교는 2011년까지 육군3사관학교에서 17주[6] 간의 장교양성 과정을 이수하고 소위로 임관하였으며 2012년부터는 육군학생군사학교에서 장교양성교육을 받고 임관하고 있다. 2021년까지 총 66개 기수, 51,617명의 정예 장교가 학사장교 과정으로 배출되었다.

2010년에 3기 정현석 대령과 여군사관 송명순 대령이 준장으로 진급하였고, 2021년 현재 18명의 장성(정현석 준장3기, 이상윤 준장6기, 방향혁 준장5기, 정우교 준장6기, 조용문 준장5기, 황천용 준장8기, 최진규 중장9기, 소영민 중장11기, 이정휘 준장13기, 조홍석준장15기, 양기열 준장16기, 장세혁 준장16기, 박성제 소장17기, 이승준 준장19기, 오경식 준장19기, 안상욱 준장19기, 이경진 준장23기, 편무삼 준장26기)을 배출했다. 동급인 여군사관까지 합치면 더 늘어나서, 강선영 소장여군35기, 김주희 준장여군35기, 노경희 준장여군36기, 정정숙 소장여군36기, 강영미 준장여군39기 등 6명까지 합해서 24명이다.

학사장교는 학군장교와 비슷하게 대부분 의무복무 후 전역한다.

장교 양성에 16주라는 시간으로 충분하냐고 반문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모태라고 할 수 있는 미군의 OCS 과정은 겨우(?) 12주짜리이다.[7] 짧은 건 맞다. 그래도 이들은 학위교육을 사회에서 받고 오기 때문에 군사교육만 빡세게 시키면 된다는 마인드이다. 장교 양성에 16주 걸린다고 너무 길다고 해군 학사장교의 10주로 도망가는 현실도 반영해야한다.
파일:attachment/KAOCS_2.jpg
초창기 학사장교 훈련모습
파일:attachment/KAOCS_3.jpg
초창기 학사 유격 훈련모습 (화산유격장)
파일:KAOCS_14_육군학사장교 훈련.jpg
최근의 육군학사장교 훈련모습

육군학사장교의 양성과정은 임시입교 1주 + 군인화 5주 + 장교화 11주이고, 직무보수교육은 임관 후 각 병과학교에서 16주간 추가로 진행된다. 1기는 상무대의 보병학교에서 교육 및 임관하였고, 이후 56기까지 육군3사관학교에서 교육 및 임관하였으며, 57기부터는 충청북도 괴산에 위치한 육군학생군사학교에서 교육을 담당하고 있다.

육군학사장교의 양성과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임시입교(1주)[A]
    • 보급품 및 각종 장비 지급, 기본제식, 군가, 각종법규 및 규정, 내무교육 및 군대예절 교육
  • 군인화 단계(5주)
    • 교육과목: 정신교육, 기초군사학, 화기학, 일반학
    • 주요 교육내용: 제식훈련 및 정신교육, 사격, 경계, 화생방, 구급법 등 기초군사훈련, 체력단련
  • 장교화 단계(11주)
    • 교육과목: 정신교육, 전술학, 리더십, 교수법, 부대 지휘관리
    • 주요 교육내용: 분(소)대전술, 중대전술, 독도법, 개인화기, 전방지휘실습, 지휘통솔 관련 수업

대한민국 육군 공식 유튜브에 학사, 간부사관에 관한 이야기들이 있다.

3.1.1. 여군사관의 발전과 통합

학사사관과 통합된 여군사관의 시작은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사회적 혼란기에 조직된 학도호국단의 교련교사로 양성된 여자 배속장교였다. 1949년 6월 30일부터 1개월간 배속장교 3개기수 교육이 실시되었고, 동년 7월 30일자로 육군예비역 소위로 임관되었다. 한국전쟁발발후 1950년 9월 1일, 국방부일반명령(육) 제58호로 부산에서 제2훈련소 예속으로 여자의용군교육대가 창설되었다. 1950년 10월 23일 여군장교 10명이 예비역 신분에서 현역으로 편입되므로 최초의 여군이 탄생하게 되었다. 1951년 11월 15일자로 여자의용군교육대가 해체되고 육군본부 부관실 내에 여군과가 설치되어, 의용군에서 공식적인 여군으로의 신분 전환이 이뤄지게 되었다.여군과는 1954년 1월 1일 육본 기구개편에 따라 여군부로 승격됐고, 1959년 1월 1일 여군처로 개편되었다. 또한 1955년 7월 10일 서울 서빙고에 여군훈련소가 재창설되었으며. 후일 여군학교로 개편되었다. 여군학교는 2002년 10월 31일자로 해제되었으며, 총47기수 1,500명이 여군사관과정으로 임관하였다. 2003년 여군 48기부터는 학사사관 양성과정과 교육과정이 단일화되었으며, 2015년 6월1일부로 여군사관은 학사사관으로 통합되었다.

3.1.2. 기수

다른 출신 장교와는 달리 한 때 1년에 2개 기수를 선발한 적이 있는 관계로 기수를 따지는 게 좀 희한하다. 같은 해 선발 및 임관 교육을 받은 기수를 '맥'이라 부르며, 다른 장교 동문회와 다르게 학사장교 동문회 내에서는 자신의 기수를 00맥 00기로 표기한다. 학사 25기, 26기인 경우 15맥 25기, 15맥 26기로 표기하는 셈.
<rowcolor=#fff> 임관년도 기수1
(전반기)
기수2
(후반기)
비고 다른 출신 해당 기수
<rowcolor=#fff> 육사 3사 ROTC
1981년 <colcolor=#000> 학사 1기 <colcolor=#000> - 1맥 보병 <colcolor=#000> 육사 37기 <colcolor=#000> 3사 18기 <colcolor=#000> 학군 19기
1982년 학사 2기 - 2맥 비보병 육사 38기 3사 19기 학군 20기
1983년 학사 3기 학사 4기 3맥 연 2개 기수로 분할 육사 39기 3사 20기 학군 21기
1984년 학사 5기 학사 6기 4맥 육사 40기 3사 21기 학군 22기
1985년 학사 7기 - 5맥 연 1개 기수로 통합 육사 41기 3사 22기 학군 23기
1986년 학사 8기 - 6맥 육사 42기 3사 23기 학군 24기
1987년 학사 9기 학사 10기 7맥 10기는 1988년 2월 임관 육사 43기 3사 24기 학군 25기
1988년 학사 11기 학사 12기 8맥 육사 44기 3사 25기 학군 26기
1989년 학사 13기 학사 14기 9맥 육사 45기 3사 26기 학군 27기
1990년 학사 15기 학사 16기 10맥 육사 46기 3사 27기 학군 28기
1991년 학사 17기 학사 18기 11맥 육사 47기 3사 28기 학군 29기
1992년 학사 19기 학사 20기 12맥 육사 48기 3사 29기 학군 30기
1993년 학사 21기 학사 22기 13맥 육사 49기 3사 30기 학군 31기
1994년 학사 23기 학사 24기 14맥 육사 50기 3사 31기 학군 32기
1995년 학사 25기 학사 26기 15맥 육사 51기 3사 32기 학군 33기
1996년 학사 27기 학사 28기 16맥 육사 52기 [9] 학군 34기
1997년 학사 29기 학사 30기 17맥 육사 53기 - 학군 35기
1998년 학사 31기 학사 32기 18맥 육사 54기 3사 33기 학군 36기
1999년 학사 33기 학사 34기 19맥 육사 55기 3사 34기 학군 37기
2000년 학사 35기 학사 36기 20맥 육사 56기 3사 35기 학군 38기
2001년 학사 37기 학사 38기 21맥 육사 57기 3사 36기 학군 39기
2002년 학사 39기 학사 40기 22맥 육사 58기 3사 37기 학군 40기
2003년 학사 41기 학사 42기 23맥 육사 59기 3사 38기 학군 41기
2004년 학사 43기 학사 44기 24맥 육사 60기 3사 39기 학군 42기
2005년 학사 45기 학사 46기 25맥 육사 61기 3사 40기 학군 43기
2006년 학사 47기 학사 48기 26맥 육사 62기 3사 41기 학군 44기
2007년 학사 49기 학사 50기 27맥 육사 63기 3사 42기 학군 45기
2008년 학사 51기 학사 52기 28맥 육사 64기 3사 43기 학군 46기
2009년 학사 53기 학사 54기 29맥 육사 65기 3사 44기 학군 47기
2010년 학사 55기 30맥 전후반기 및 여군사관 통합 육사 66기 3사 45기 학군 48기
2011년 학사 56기 31맥 육사 67기 3사 46기 학군 49기
2012년 학사 57기 32맥 육사 68기 3사 47기 학군 50기
2013년 학사 58기 33맥 육사 69기 3사 48기 학군 51기
2014년 학사 59기 34맥 육사 70기 3사 49기 학군 52기
2015년 학사 60기 35맥 육사 71기 3사 50기 학군 53기
2016년 학사 61기 36맥 육사 72기 3사 51기 학군 54기
2017년 학사 62기 37맥 육사 73기 3사 52기 학군 55기
2018년 학사 63기 38맥 육사 74기 3사 53기 학군 56기
2019년 학사 64기 39맥 육사 75기 3사 54기 학군 57기
2020년 학사 65기 40맥 육사 76기 3사 55기 학군 58기
2021년 학사 66기 41맥 육사 77기 3사 56기 학군 59기
2022년 학사 67기 42맥 육사 78기 3사 57기 학군 60기
2023년 학사 68기 43맥 육사 79기 3사 58기 학군 61기
2024년 학사 69기 44맥 육사 80기 3사 59기 학군 62기
2025년 학사 70기 45맥 육사 81기 3사 60기 학군 63기

3.1.3. 진급

파일:promotion1.png
(출처 :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military2&no=272851)

창설초기 기수들은 대다수가 전역 후 사회로 진출했으나, 90년대중반이후 다른 출신과 비슷하게 장기복무자를 상당수 배출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창설 초기의 기수들은 기별 10명이내의 적은수의 장기복무자를 남겨두고 대부분 전역했으나, 그로인해 고급장교로의 진급도 상대적으로 저조했다. 근래에 들어서는 장기복무자원의 확대로 장군진급자가 꾸준히 늘고 있으며, 중령급이상의 장교 진급자도 초창기에 비하면 상당히 많은 수가 배출되고 있다. (최근 들어 대대장급(중령) 고급 장교로의 진급율이 눈에 띄게 높아졌다.)

학사장교 출신 장군은(육군 기준) 정현석(3기 보병) 장군의 진급 이후 꾸준이 증가하여, 현재까지 중장 2명, 소장 4명, 준장 30명을 배출하고 있다.

2019년 12월에는 장세혁 대령(학사 16기, 보병)과 박성제 대령(학사 17기, 보병)이 준장으로 진급했다.
2020년 12월에는 이정휘 대령(학사 13기, 수송)과, 조홍석 대령(학사 15기, 공병), 양기열 대령(학사 16기, 포병), 이승준 대령(학사 19기, 보병)이 준장으로 진급했다.
2021년 12월에는 오경식(19기, 포병), 안상욱(19기, 재정), 이경진(23기, 보병), 편무삼(26기, 보병), 강영미(여군 39기, 공병)이 준장으로 진급했다.
2022년 12월에는 조웅(21기, 보병), 임종방(21기, 정보), 이수득(23기, 보병), 김정도(25기, 보병), 김소영(여군 37기, 병참)이 준장으로 진급했다.
2023년 12월에는 노 준(23기, 보병), 윤현철(25기, 포병), 장상주(25기, 보병), 차종희(여군39기, 재정), 허태선(29기, 보병)이 준장으로 진급했다.

대령진급자의 연도별 추이를 살펴보면 3명('12), 5명('13), 6명('14), 9명('15), 14명('16), 17명('17), 18명('18), 18명('19), 19명('20), 21명('21), 13명('24)으로 꾸준히 증가세에 있다.

3.2. 대한민국 해군/ 대한민국 해병대

대한민국 해군사관후보생(大韓民國 海軍士官候補生; 영어: Officer Candidate School)은 대한민국 해군/해병대의 장교 임관하기 위하여 해군사관학교에서 일정한 단기 군사 교육을 받는 사람을 일컫는다. 영어의 약자를 따 OCS라고도 부르며, 지원자는 4년제 대학 졸업(예정)자여야 하기 때문에 해군학사장교라고도 알려져 있다. 해병대는 해병학사장교라고 한다.

해군사관후보생은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에 있는 해군사관학교 장교 교육 대대에서 10주간의 교육을 수료 후[10] 임관식을 거쳐 해군/해병대 소위 계급으로 장교로 임용되며, 단기 자원으로 의무적으로 3년을 복무한다.

1997년 이전에는 진해시 경화동 기초군사학교에서 교육을 받았으나 이후 장교의 전문적인 교육과 훈련, 훈육을 위해 사관학교로 훈련담당과 장소를 이관하게 되었다 . 해군사관후보생은 대학교 재학 시 군 가산복무 지원금을 받은 군 가산복무 지원금 지급 대상자들과 대학 졸업 후 시험을 봐서 전형을 통과한 자들이 동일하게 교육 훈련 및 임관을 한다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해군사관후보생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1. 기수

<rowcolor=#fff> 임관년도 기수1 기수2 기수3 기수4 비고 타출신 해당 기수
<rowcolor=#fff> 해사 ROTC
1948년 <colcolor=#000> 특교대 1차 <colcolor=#000> 해사 2기 <colcolor=#000> 없음
1949년 특교대 2차 <colcolor=#000> 특교대 3차 <colcolor=#000> 특교대 4차 2, 3, 4차 동시 임관 -
1950년 특교대 5차 특교대 6차 특교대 7차 5, 6, 7차 동시 임관 해사 3기
1951년 특교대 8차 <colcolor=#000> 특교대 9차 특교대 10차 특교대 11차 8, 9, 10, 11차 동시 임관 해사 4기
1952년 특교대 12차 특교대 13차 특교대 14차 특교대 15차 12, 13, 14, 15차 동시 임관 해사 5기
해사 6기
1953년 특교대 16차 특교대 17차 특교대 18차 특교대 19차 16, 17, 18, 19차 동시 임관 해사 7기
1954년 특교대 20차 특교대 21차 특교대 22차 특교대 23차 20, 21, 22, 23차 동시 임관 해사 8기
1955년 특교대 24차 해사 9기
1956년 특교대 25차 해사 10기
1957년 특교대 26차 해사 11기
1958년 특교대 27차 해사 12기
1959년 특교대 28차 해사 13기
1960년 특교대 29차 해사 14기 학군 1기
학군 2기
1961년 특교대 30차 해사 15기 학군 3기
학군 4기
학군 5기
1962년 특교대 31차 특교대 32차 특교대 33차 특교대 34차 31 ,32, 33, 34차 동시 임관 해사 16기 학군 6기
학군 7기
1963년 특교대 35차 특교대 36차 특교대 37차 특교대 38차 35, 36, 37, 38차 동시 임관 해사 17기 학군 8기
1964년 특교대 39차 특교대 40차 특교대 41차 특교대 42차 39, 40, 41, 42차 동시 임관 해사 18기 학군 9기
1965년 특교대 43차 해사 19기 학군 10기
1966년 특교대 44차 해사 20기 학군 11기
1967년 간부후 45차 해사 21기 학군 12기
1968년 간부후 46차 해사 22기 학군 13기
1969년 간부후 47차 간부후 48차 간부후 49차 간부후 50차 47, 48차 동시 임관
49, 50차 동시 임관
해사 23기 학군 14기
1970년 간부후 51차 간부후 52차 해사 24기 학군 15기
1971년 간부후 53차 간부후 54차 해사 25기 학군 16기
1972년 사후 55차 해사 26기 학군 17기
1973년 사후 56차 사후 57차 사후 58차 56, 57차 동시 임관 해사 27기 학군 18기
1974년 사후 59차 사후 60차 사후 61차 사후 62차 59, 60, 61차 동시 임관 해사 28기 학군 19기
1975년 사후 63차 사후 64차 해사 29기 학군 20기
1976년 사후 65차 해사 30기 학군 21기
1977년 사후 66차 사후 67차 해사 31기 학군 22기
1978년 사후 68차 사후 69차 해사 32기 학군 23기
1979년 사후 70차 해사 33기 학군 24기
1980년 사후 71차 해사 34기 학군 25기
1981년 사후 72차 해사 35기 학군 26기
1982년 사후 73차 해사 36기 학군 27기
1983년 사후 74차 해사 37기 학군 28기
1984년 사후 75차 해사 38기 학군 29기
1985년 사후 76차 해사 39기 학군 30기
1986년 사후 77차 해사 40기 학군 31기
1987년 사후 78차 해사 41기 학군 32기
1988년 사후 79차 사후 80차 해사 42기 학군 33기
1989년 사후 81차 해사 43기 학군 34기
1990년 사후 82차 해사 44기 학군 35기
1991년 사후 83차 사후 84차 사후 85차 해사 45기 학군 36기
1992년 사후 86차 해사 46기 학군 37기
1993년 사후 87차 해사 47기 학군 38기
1994년 사후 88차 해사 48기 학군 39기
1995년 사후 89차 해사 49기 학군 40기
1996년 사후 90기 해사 50기 학군 41기
1997년 사후 91기 사후 92기 91기 1월 임관 해사 51기 학군 42기
1998년 사후 93기 해사 52기 학군 43기
1999년 사후 94기 해사 53기 학군 44기
2000년 사후 95기 해사 54기 학군 45기
2001년 사후 96기 해사 55기 학군 46기
2002년 사후 97기 해사 56기 학군 47기
2003년 사후 98기 해사 57기 학군 48기
2004년 사후 99기 해사 58기 학군 49기
2005년 사후 100기 해사 59기 학군 50기
2006년 사후 101기 해사 60기 학군 51기
2007년 사후 102기 사후 103기 해사 61기 학군 52기
2008년 사후 104기 사후 105기 해사 62기 학군 53기
2009년 사후 106기 사후 107기 해사 63기 학군 54기
2010년 사후 108기 사후 109기 해사 64기 학군 55기
2011년 사후 110기 사후 111기 해사 65기 학군 56기
2012년 사후 112기 사후 113기 해사 66기 학군 57기
2013년 사후 114기 사후 115기 해사 67기 학군 58기
2014년 사후 116기 사후 117기 해사 68기 학군 59기
2015년 사후 118기 사후 119기 해사 69기 학군 60기
2016년 사후 120기 사후 121기 해사 70기 학군 61기
2017년 사후 122기 사후 123기 해사 71기 학군 62기
2018년 사후 124기 사후 125기 해사 72기 학군 63기
2019년 사후 126기 사후 127기 해사 73기 학군 64기
2020년 사후 128기 사후 129기 해사 74기 학군 65기
2021년 사후 130기 사후 131기 해사 75기 학군 66기
2022년 사후 132기 사후 133기 해사 76기 학군 67기
2023년 사후 134기 사후 135기 해사 77기 학군 68기
2024년 사후 136기 사후 137기 해사 78기 학군 69기
2025년 사후 138기 사후 139기 해사 79기 학군 70기

3.3. 대한민국 공군

1948년 5월 14일 1기가 임관하였으며 육, 해, 공군을 모두 비교해봐도 공군이 학사장교의 역사가 가장 길다. 실제로 3군 중에 학사장교의 위상이 가장 강한 것도 공군인데 역사가 길기도 하지만 학사장교들 중 인기가 가장 많아 의무복무만을 마치고 전역하려는 남성들이 가장 선호하는 것이 공군 학사장교이기 때문이다. 육군의 경우 학군장교가 압도적인 수를 자랑하지만 공군은 반대로 학군장교가 마이너 하고 학사장교가 주류다.

공군의 학사장교 과정, 기수는 과거에는 '사관후보생 n기', 줄여서 '사후 n기'로 표시했었으나, 예비군 요청 및 준말의 부정적 의미 때문에[11] '학사장교후보생 n기', 줄여서 학사 n기로 변경되었다. 훈련기간은 가입교 포함 13주.[12]

2010년대까지만 해도 10:1 이상의 경쟁률을 자랑했지만, 지원자가 급감하면서 2023년 들어 부사관 필기시험을 응시하여 과락(과목당 40점)을 넘기면 일정 기간 안에 학사장교 지원 시 학사장교 필기시험을 면제해주겠다는 눈물의 똥꼬쑈 말도 안되는 편의를 봐주고 있는 실정이다.[13] 공군 모집공고 오피셜 확인 또한, 간부의 영어성적(TOEIC)이 필수에서 가점으로, 체력검정 및 체력점수도 필수에서 가점으로 변경되는 등 머릿수만 채우려고 여러 가지 편의를 차마 두 눈 뜨고 볼 수 없을 지경으로 봐주고 있다.(학 148기, 부 240기부터)

쉽고 편할 것 같아서 많이 지원하지만 요상하게도 훈련을 못 참거나 다쳐서 나가는 '귀향자' 비율이 삼군 중 제일 높다. 양성교육은 공군교육사령부 기본군사훈련단 장교교육대대에서 실시한다.

학사장교 선발과는 별도로, 군 가산복무 지원금을 받는 조종 후보생(속칭 조종장학생)을 뽑는데, 이는 대학교 1~4학년 재학중에만 신청할 수 있다. 해당 전형에 합격하면 특기는 조종을 받을 수 있으나, 임관 구분과 기초군사훈련은 일반 학사장교와 같이 받는다. 조종장학생 아닌 일반 학사장교는 절대로 조종특기를 받을 수 없다.

애초에 남자라도 조종을 하고 싶으면 고등학생 때 일찌감찌 진로를 정해서 사관학교나 항공대/ 한서대 항공운항학과를 가는 것이 좋다. 학사장교 출신으로 무사히 조종 교육을 마치기란 정말 하늘의 별 따기에 가까우며 십중팔구 중간에 재분류된다. 즉, 하늘을 날고 싶다는 꿈을 이루기 위해서라면 운항과>사관학교>학사장교의 순으로 확률이 높다.

공군사관학교 출신과는 달리 대다수가 민항 진출을 꿈꾸고 들어오는 사람들이 많아 아직 학사 출신 조종특기 장성이 배출된 적은 없다.

공군학사장교 출신에게 가장 안타까운 것은 공사 출신과 마찬가지로 항공기 사고로 죽는 동기들이 기수마다 몇 명씩 나온다는 것이다. 물론 한 명도 없는 기수도 있다.

아주대학교 국방디지털융합학과를 졸업한 군 가산복무 대상자 역시 학사장교와 같이 훈련을 받으며, 임관구분도 학사이다.

여군 학사장교는 2001년 임관한 105기부터 선발하기 시작했다. 당시 25명의 여군 소위가 임관했는데, 그 25명 중에 상당수가 장군과 대령, 원사, 준위의 따님이었다고 한다. 처음에는 홀수 기수에서만 여성 후보생을 선발했으나, 130기부터 매 기수에 선발한다.

2006년에는 임관일자가 변경되었는데, 예전에는 홀수 기수의 장교들이 매년 2월 1일 임관을 해서 환태평양 NATO소속의 군인들 중에서는 가장 먼저 임관을 했다고 한다. 다른 나라도 2월 1일 임관이 있지만, 표준시간대가 우리나라가 빨랐다고 한다. 그래서 같은 계급이면 환태평양 최고참이라는 자부심이 있었다고 한다. 2006년 115기부터 홀수 기수 임관일이 1월 1일로 변경되었다. 하지만 공군사관학교 수석졸업생을 장교 중에서 군번 1번을 줘야한다는 이유와 훈련 기간이 16주에서 12~13주로 단축되면서 129기부터는 홀수기수를 12월에 임관시키게 되었다.

3.3.1. 기수

<rowcolor=#fff> 임관년도 기수1 기수2 기수3 기수4 비고 타출신 해당 기수
<rowcolor=#fff> 공사 ROTC
1948년 <colcolor=#000> 사후 1기 없음 없음
1949년 사후 2기 <colcolor=#000> 사후 3기 <colcolor=#000> 사후 4기 2,3,4기 동시 임관
1950년 사후 5기 사후 6기 사후 7기 5,6,7기 동시 임관
1951년 사후 8기 <colcolor=#000> 사후 9기 사후 10기 사후 11기 8,9,10,11기 동시 임관
1952년 사후 12기 사후 13기 사후 14기 사후 15기 12,13,14,15기 동시 임관
1953년 사후 16기 사후 17기 사후 18기 사후 19기 16,17,18,19기 동시 임관 <colcolor=#000> 공사 1기
1954년 사후 20기 사후 21기 사후 22기 사후 23기 20,21,22,23기 동시 임관 공사 2기
1955년 사후 24기 공사 3기
1956년 사후 25기 공사 4기
1957년 사후 26기 공사 5기
1958년 사후 27기 공사 6기
1959년 사후 28기 공사 7기
1960년 사후 29기 공사 8기
1961년 사후 30기 공사 9기
1962년 사후 31기 사후 32기 사후 33기 사후 34기 31,32,33,34기 동시 임관 공사 10기
1963년 사후 35기 사후 36기 사후 37기 사후 38기 35,36,37,38기 동시 임관 공사 11기
1964년 사후 39기 사후 40기 사후 41기 사후 42기 39,40,41,42기 동시 임관 공사 12기
1965년 사후 43기 사후 44기 사후 45기 사후 46기 43,44,45,46기 동시 임관 공사 13기
1966년 사후 47기 사후 48기 사후 49기 사후 50기 47,48,49,50기 동시 임관 공사 14기
1967년 사후 51기 사후 52기 공사 15기
1968년 사후 53기 사후 54기 공사 16기
1969년 사후 55기 사후 56기 사후 57기 사후 58기 55, 56차 동시 임관
57, 58차 동시 임관
공사 17기
1970년 사후 59기 사후 60기 공사 18기
1971년 사후 61기 사후 62기 공사 19기
1972년 사후 63기 사후 64기 공사 20기
1973년 사후 66기 사후 67기 공사 21기
1974년 사후 68기 사후 69기 공사 22기 <colcolor=#000> 학군 1기
1975년 사후 70기 공사 23기 학군 2기
1976년 사후 71기 공사 24기 학군 3기
1977년 사후 72기 공사 25기 학군 4기
1978년 사후 73기 공사 26기 학군 5기
1979년 사후 74기 공사 27기 학군 6기
1980년 사후 75기 공사 28기 학군 7기
1981년 사후 76기 공사 29기 학군 8기
1982년 사후 77기 공사 30기 학군 9기
1983년 사후 78기 공사 31기 학군 10기
1984년 사후 79기 공사 32기 학군 11기
1985년 사후 80기 공사 33기 학군 12기
1986년 사후 81기 공사 34기 학군 13기
1987년 사후 82기 공사 35기 학군 14기
1988년 사후 83기 사후 84기 공사 36기 학군 15기
1989년 사후 85기 공사 37기 학군 16기
1990년 사후 86기 공사 38기 학군 17기
1991년 사후 87기 사후 88기 공사 39기 학군 18기
1992년 사후 89기 사후 90기 공사 40기 학군 19기
1993년 사후 91기 공사 41기 학군 20기
1994년 사후 92기 사후 93기 공사 42기 학군 21기
1995년 사후 94기 사후 95기 공사 43기 학군 22기
1996년 사후 96기 사후 97기 공사 44기 학군 23기
1997년 사후 98기 사후 99기 공사 45기 학군 24기
1998년 사후 100기 사후 101기 공사 46기 학군 25기
1999년 사후 102기 사후 103기 공사 47기 학군 26기
2000년 사후 104기 사후 105기 공사 48기 학군 27기
2001년 사후 106기 사후 107기 공사 49기 학군 28기
2002년 사후 108기 사후 109기 공사 50기 학군 29기
2003년 사후 110기 사후 111기 공사 51기 학군 30기
2004년 사후 112기 사후 113기 공사 52기 학군 31기
2005년 사후 114기 사후 115기 공사 53기 학군 31기
2006년 사후 116기 사후 117기 공사 54기 학군 33기
2007년 사후 118기 사후 119기 공사 55기 학군 34기
2008년 사후 120기 사후 121기 공사 56기 학군 35기
2009년 사후 122기 사후 123기 공사 57기 학군 36기
2010년 사후 124기 사후 125기 공사 58기 학군 37기
2011년 학사 126기 학사 127기 공사 59기 학군 38기
2012년 학사 128기 학사 129기 공사 60기 학군 39기
2013년 학사 130기 학사 131기 공사 61기 학군 40기
2014년 학사 132기 학사 133기 공사 62기 학군 41기
2015년 학사 134기 학사 135기 공사 63기 학군 42기
2016년 학사 136기 학사 137기 공사 64기 학군 43기
2017년 학사 138기 학사 139기 공사 65기 학군 44기
2018년 학사 140기 학사 141기 공사 66기 학군 45기
2019년 학사 142기 학사 143기 공사 67기 학군 46기
2020년 학사 144기 학사 145기 공사 68기 학군 47기
2021년 학사 146기 학사 147기 공사 69기 학군 48기
2022년 학사 148기 학사 149기 공사 70기 학군 49기
2023년 학사 150기 학사 151기 공사 71기 학군 50기
2024년 학사 152기 학사 153기 공사 72기 학군 51기
2025년 학사 154기 학사 155기 공사 73기 학군 52기

4. 교육중 신분

파일:학사사관 후보생 계급장.jpg
학사장교후보생 계급장(육[14], 해, 공)

학사장교 양성과정에 입교하게 되면 후보생 신분으로 육군은 노란 막대기에 가운데에 흰색의 누운 다이아몬드 계급장을 달게 된다. 해군/해병대의 경우는 정육각형의 한 변과 그 대변에 중선이 그어진 형태이며, 중선이 수직이 아닌 수평을 이루게 되는 방향으로 위치하여 있다. 공군은 하얀색 다이아몬드를 동그란 원이 감싸고 있는 형태를 하고 있다.[15]

대학 재학 중에 학업과 군사 훈련을 병행하는 다른 장교 양성 과정과는 달리 학사장교는 학업과 군사훈련이 완전히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대학 재학 시절에는 효율적인 학교생활을 할 수 있다는 메리트가 있다. 또한 다른 과정보다 짧은 양성과정 기간으로 육군의 경우 16주(4개월, 임시입교[A] 1주 별도) 동안 장교로서 필요한 소양과 군사지식을 습득해야 하므로 훈련 강도는 단기 몰입화로 인해 상당히 높은 편이다(다만, OBC이라 부르는 16주간의 교육을 임관과 동시에 받아야 하므로 교육기간을 포함하여 연속 32주를 훈련만 받는다는 점을 생각하면 단기간이라고 하기도 어렵다). 체력 조건이 매우 빡센 건 말할 것도 없다. 일반인을 16주 동안 최대한 효율적인 방법으로 장교화 해야 하기 때문에 군에서만 할 수 있는 교육 빼고는 미리 다 하고 오는 것이 학사장교의 특징이기도 하다.
  • 군인사법 시행령 제8조는 사관생도·사관후보생 및 학생군사교육단 사관후보생과정의 학생을 장교후보생으로 규정하며, 병역법 제2조 제1항 제4호는 장교후보생의 임관전·입영훈련기간 중 법적신분은 출신구별 없이 무관후보생(사관생도, 사관후보생, 준사관후보생, 공군항과고학생, 부사관후보생과 제1국민역의 사관후보생 및 부사관후보생)으로 규정하고 있다. 군인사법 시행령 제2조 제1항 제1호는 장교후보생의 서열을 준사관 다음으로 규정하고 있다.
  • 군인보수법 제20조 제1항은 "사관생도·사관후보생 등 장교후보생과 부사관후보생의 보수에 관하여는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고 규정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대통령령인 공무원보수규정별표 13 2024년 기준으로 월 1,375,000원의 봉급을 지급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는 사관생도 4학년의 봉급과 같다.

5. 임관

파일:500px-KAOCS_4_육군학사장교 임관식.jpg
육군학사장교 임관식
파일:학사장교 임관지환.jpg
육군학사장교의 임관지환

각 군 양성과정의 전 장교와 부사관 후보생을 대상으로 임관종합평가가 실시되며, 예외적으로 특수사관에는 해당되지 않는다. 이는 훈육목표와 중점이 양성과정에 따라 상이한 점에서 기인한다. 육군의 경우 양성교육을 마치면 그해 6월 말일부로 임관한다. 2009년까지는 1년에 2개 기수가 전·후반기로 구분돼 임관했으나, 2010년에는 연 1개 기수로 통합되어 후반기와 같은 9월 말일에 임관했고, 2011년부터는 6월 말에 임관한다.

해공군과는 달리 육군의 양성과정 성적우수자는 임관식에서 대통령상, 국무총리상, 국방부장관상, 육군참모총장상, 육군교육사령관상, 육군학생군사학교장상을 수상한다. 대통령상은 양성기간이 2년 이상의 과정에서만 수여되었으나, 육군학사장교의 군내에서 역할과 위상 등을 고려하여 관련법규를 개정, 2013년 학사 58기부터 수여하고 있다. 다만 해군사관후보생은 국방부장관상만 주는 것 같다. 관련기사

임관을 기념하여 (개인이 사비로 구매하여) 맞추는 임관반지의 보석의 색은 각군마다 다른데 육군은 보라색 자수정, 공군, 해군 학사장교의 임관반지의 보석은 파란색 사파이어, 해병대 학사장교의 경우 붉은색 루비이다.

2020년 기준 10,000여명이 현역으로 복무하고 있으며, 7명의 장성, 약 4,000여명의 영관장교, 중 · 소대장의 2~30%를 담당하고 있다. 기사#1 기사#2

6. 예비장교후보생

  • 대학에 재학중, 학사예비장교후보생 및 군 가산복무 지원금 지급 대상자에 선발되면 재학중인 학교의 학군단 또는 인근 지정 학군단, 혹은 인근 군부대 모병담당부서에서 위탁 관리받게 된다. 최초 소집시 학군단에서 간단한 신상명세서를 쓰고, 예비학사장교후보생 및 군 가산복무 지원금 지급 대상자 신분증을 지급한다.
  • 대학에 재학중인 예비학사장교후보생 및 대학 군 가산복무 지원금 지급 대상자의 경우 재학중인 대학 학군단, 또는 지정 학군단에서 위탁 관리하며, 년 1회 체력검정과 신체검사 그리고 년 2회 안팎의 학군단 소집교육을 받아야 한다.
  • 대학에 재학중인 예비학사장교후보생 및 대학 군 가산복무 지원금 지급 대상자의 경우, 평균평점이 C(육군) B(공군, 해군) 이하 일 경우 해임심의에 오르게 된다. 소집교육에 1회 무단 불참 시 역시 경고 조치를 받으며 향후 다시 무단불참 시 해임심의에 오르게 된다.
  • 예비학사장교후보생 및 대학 군 가산복무 지원금 지급 대상자에 선발된 학생이 편입학 하고자 한다면 편입 전에 소속 학군단 행정보급관에게 미리 편입 사실을 알리고, 편입학 이후에 한번 더 알리고, 편입한 학교 학군단 행정실에 최종 보고하여야 한다.
  • 간혹 학군단에 연락하여 행정병에게 통보하는 경우가 있는데, 사소한 통보면 몰라도, 편입학 같은 중대사항은 상사 등 책임과 권한이 있는 간부와 논의하는 것이 좋다.
  • 편입학 시즌은 학군단 동계훈련 시즌과 겹쳐서 위 사항을 이행하기 매우 까다로우나, 멋대로 편입 할 시 일어나는 모든 불이익에 대해서는 군에서 일체 책임지지 않는다. 군 협약 군사학과에서 군 가산복무 지원금 지급 대상자로서 수학하는 학생의 경우, 일반 대학 군 가산복무 지원금 지급 대상자와 달리 편입학이 허용되지 않으며, 편입시 모든 장학금을 환불해야 한다. 편입학은 통상 학년의 변화가 없는경우, 즉, 정해진 입대년도 2월에 졸업할 수 있어야 허용된다. 다시말해 1학년 때 대학 군 가산복무 지원금 지급 대상자에 선발된 학생이 편입학 하고자 한다면, 2학년 2학기를 마치고 겨울에 타 대학 편입시험에 합격하여 내년 3월에 옮긴 학교 3학년으로 정확히 승급할 수 있어야 한다.

7. 군 가산복무 지원금 지급 대상자

학교에 재학 중 ROTC에 따로 지원하지 않고 졸업 후 소위로 임관하면 이들도 학사장교가 된다. 공군의 경우 항공대, 한서대, 교통대 출신이 아닌데 공군 군 가산복무 지원금 지급 대상자가 되었다면 100%다.

군 가산복무 지원금 지급 대상자에 대한 세부적인 내용은 군 가산복무 지원금 지급 대상자 문서 참고.

8. 학군장교와의 차이점

분류 모집단위 선발대상 복무기간
학사 전국 학부 재적생 및 졸업생[17] 36개월[18]
학군 대학별[19] 학부 1~2학년 재적생[20] 28개월[21]

학군장교 대학 1, 2학년 재학 중 선발하며 선발된 뒤 방학 때마다 하계, 동계 훈련을 받으며 졸업과 비슷한 시기에 임관되는 장교양성과정으로 복무기간은 육군 기준 2년 4개월(28개월)이다.[22]

반면 학사장교는 예비학사장교후보생 및 군 장학생 선발자에 한하여 재학 중에는 학군단에서 주관하는 연례 소집교육 및 체력, 신체검사를 제외하고는 아무런 군사훈련 및 제재사항이 없다. 이에 해당되지 않는 사람들은 학사장교의 "학"자도 모르고 살다가 여건이 갖춰진 후 지원하여 통지서를 받고 나서 입영하는 것뿐이다. 졸업 이후에 육군 기준으로 육군학생군사학교에 입교하여 비로소 사관후보생이 된 이후, 16주에 걸친 훈련을 받고 임관하는 장교양성과정으로 의무복무기간은 3년이다. 의무복무기간은 임관 후부터 3년이므로 양성교육기간(16주+임시입교[A] 1주)은 제외한다. 따라서 훈련 기간을 포함하면 3년 4개월이 약간 넘는 군생활을 하게 된다.

9. 군가

겨레 위해 솟구치는 학사의 젊은 투혼
우리는 선구자다 호국의 간성
젊은 지성 넘치는 기백 조국에 바쳐
거대한 민족혼의 횃불이 되리
아- 아- 젊은 꿈 불타오른 상아탑
영원하라 무궁하라 대한의 학사
학사가(육군)
검푸른 파도를 넘어
우리를 부르는 바다를 향해
충무공 정신으로 오늘도 달려간다
바다의 사나이들아
뜨거운 가슴과 참다운 용기
조국의 수문장되어 오늘도 달려간다
아-아- 때로는 거센 파도 넘쳐오지만
아-아- 때로는 내리쬐는 태양있지만
잊지마라 바다의 신사 영원한 OCS여
내 사랑과 내 조국이 우리를 믿고있다
영원한 OCS(해군/해병대)
조국의 하늘을 지키려는 용사 대열 맞춰 앞으로
창공에 솟아오르는 영원무쌍한 정기
무쇠 같은 우리들의 힘 젊은 피는 끓는다
우리는 하늘의 용사 사관후보생
사관후보생가(공군)

10. 출신 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학사장교 출신 인물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학사사관 출신 인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학사장교 출신 중 장군으로 진급한 인물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학사사관 출신(장성) 인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 관련 문서


[1] 사법시험과 지금의 변호사시험에 합격해 법무사관후보생에는 편입되었으나 실제 법무사관으로는 임관하지 못한 사람도 여기에 포함된다. [2] 대한민국의 OCS 과정도 미군의 OCS 과정을 기반으로 도입되었다. [3] 과거 석사장교도, 본래는 전두환의 아들들과 노태우의 아들 노재헌을 쉽게 복무시키기 위한 매우 불순한 의도에서 시작한 제도였지만, 결과적으로는 많은 유학생들이 귀국하고 국내 명문대 석박사 인재들도 해외 진출이 아닌 대한민국에 남기를 선택해 두뇌 유출을 막았으며, 해당 인재들이 좋은 의미로든 나쁜 의미로든 2020년대인 지금까지 86세대를 붙잡고 영향력을 끼치고 있다. [4] 나이 27~30살에 이등병으로 입대하면, 선임병들이 나이 많다고 더 갈구는 경우도 많았다. 게다가 이런 병사는 부대에서도 운영상의 문제를 야기시키는데 중대장의 입장에서 봐도 본인과 동갑내기 이등병은 심히 부담스러운 존재이다. 그중에는 이찬희 같은 놈도 있었는데. 이찬희가 입대 당시 25살이라 비교적 나이가 있는 편이었다. 다만 요즘은 (이 역시 부대에 따라 다 다르지만) 몇몇 부대에서는 나이가 많아도 딱히 갈구지 않고 격없이 다 친해지기도 하고, 오히려 나이 많은 이등병을 덜 건드리는 경우도 있어 케바케가 되었다. 일반적으로 학력 및 학벌과 입대 연령이 비례해서, 늦게 들어온 사람일수록 명문대 출신이거나 대학원생, 교사 및 공무원 시험 합격자 같은 고스펙자인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5] 대한민국 국군의 육군 초급장교 숫자가 비대하다는 것은 학사장교보다는 육군의 학군장교가 많은 것에 기인한다. [6] 임시입교 기간 포함 [7] 대한민국 국군은 군인화 5주, 장교화 11주 하여 16주이고, 미군 학사장교는 기초군사훈련(BCT) 9주 + 장교화 훈련(OCS) 12주를 받는다. 즉 21주가 필요하니 미군 쪽이 더 길다. [A] 가입교 순화어 [9] 3사 지원자격을 고졸에서 전문대 졸로 격상시키기 위해서 임시 폐교. 재개교 이후 3사는 편입생만 받는 2년 과정 4년제 대학교가 되었다. [10] 가입소 1주를 포함하면 총 11주 [11] '사망한 이후'라는 뜻의 死後와 발음이 똑같다. [12] 2012년 9월 입대하는 학사 129기부터 훈련기간이 13주로 변경되었다. 그 이전에는 임시입교 1주와 기본군사훈련 16주 과정이었다. [13] 참고로 반대로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부사관 후보생 선발 필기시험을 본 후, 학사장교로 지원하면 역시 학사장교 필기시험을 면제해주겠다고 한다. [14] 학사장교 뿐만 아니라 전문사관 준사관도 후보생 시절에는 이 계급장을 사용한다. 전문사관의 경우는 소위로 임관할 때 육해공군이 결정되기 때문에 전문사관 후보생은 군을 막론하고 이 계급장을 착용한다. 실제로도 안철수가 해군 군의관(대위) 출신인데 후보생 시절 이 계급장을 착용했다. [15] 동그란 알모양이 다이야를 감싸고 있다고 해서 속칭으로 알소위라고 부른다. [A] [17] 학년 무관. 졸업 이후에도 연령 기준만 충족하면 지원할 수 있다. [18] 훈련 기간 4개월 별도 [19] 남녀공학 대학 재적 여학생은 지역별 선발 [20] 5년제 학과 재학생은 2~3학년 [21] 훈련 기간 3개월 별도 [22] 해군/해병대 기준 2년, 공군 기준 3년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