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31 22:09:28

광운대역

연촌역에서 넘어옴
(舊)경춘선 [ruby(성동, ruby=~1971)] - [ruby(고상전, ruby=~1944?)] - [ruby(월곡, ruby=~1971)] - 성북 - [ruby(신공덕, ruby=~2010)] - [ruby(묵동, ruby=~1944)] - [ruby(화랑대, ruby=~2010)] - [ruby(갈매, ruby=이설)] - 퇴계원
광운대역
파일:Seoulmetro1_icon.svg 파일:GyeongchunLine_icon.svg

석 계
1.1 ㎞ →
1호선'''
경원선 급행
'''
인천까지
전역정차
시종착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미개통 전철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파일:GreatTraineXpress_C.svg
GTX-C
건설 중
수원· 상록수 방면
청량리

5.5 ㎞ →
}}}}}}}}}
역명 표기
경원선 광운대
Kwangwoon Univ.
光云大 / 光云大学 / [ruby(光云大, ruby=クァンウンデ)]
망우선
1호선
경춘선
주소
서울특별시 노원구 석계로 98-2 ( 월계동 85)
관리역 등급
관리역[1] (2급)
( 한국철도공사 수도권동부본부)
운영 기관
경원선 한국철도공사
망우선
개업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경원선 1939년 6월 1일
경춘선 1939년 7월 25일~
2010년 12월 21일
망우선 1964년 1월 11일
1호선 1974년 8월 15일
경춘선 2013년 11월 4일
GTX-C 2028년 12월 예정 }}}}}}}}}
역사 구조
지상 1층
승강장 구조
3면 6선 복합식 승강장 (횡단 가능)
철도거리표
경원선
광운대
망우선
광운대
종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폐선 철도거리표 보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옛 경춘선
(1939~1971)
성 북
춘천 방면[[신공덕역|신공덕]]
2.1 ㎞ →
기점
옛 경춘선
(1971~2010)
성 북
}}}}}}}}}
유실물센터
광운대역 | ☎ 02-917-7445

1. 개요2. 역 정보
2.1. 일반열차 취급 (~2010)2.2. 수도권 전철 1호선 개통
2.2.1. 막차 시간표
2.3. 수도권 전철 경춘선 개통 (2013.11~)2.4. 성북역 → 광운대역 개명 과정
2.4.1. 행선지 표기
3. 역 주변 정보
3.1. 출구 정보
4. 일평균 이용객5. 승강장6. 연계 교통7. 기타8. 사건 사고9.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파일:202312광운대역.jpg
현 역사(1978년 준공)

수도권 전철 1호선· 수도권 전철 경춘선 119번[2]. 서울특별시 노원구 석계로 98-2 ( 월계동 44번지) 소재.
연촌, 성북 그리고 광운대역
넓은 부지 갖춘 주요 철도물류기지
광운대역은 1939년 연촌역이라는 이름의 경원선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였다. 특히 중앙선으로 수송되고 있는 무연탄 및 화물이 망우선을 통해 광운대역(옛 성북역)으로 경유되면서 중요 물류기지로 역할하였는데 때문에 서울에서는 보기 드문 넓은 역사 부지를 갖추고 있다. 1977년, 1978년 연이어 경춘선, 서울 교외선의 시종착역이 되면서 현재의 역사가 지어지게 되었다. 기존의 경춘선 출발역이었던 옛 성동역은 현재 동대문구 제기동 지점으로 제기동역 2번 출구 부근에 비석으로 남아있다. 세월의 흔적이 묻어나는 광운대역 역사 모습은 도시가 발전해왔던 과정과 주민들의 기억이 고스란히 담겨있다. 역사와 더불어 처음 지어질 당시 최신식이었을 역사 인근 건물들, 풍경도 함께 나이 들어갔다. 그러나 최근 광운대역과 그 인근 지역이 서울 동북권 일대 개발의 핵심으로 떠오르면서 새로운 출발의 설렘이 피어나고 있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파일:광운대역 스탬프_1.jpg
광운대역의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2014년에 스터디투어의 일환으로 1999년에 제작된 성북역 스탬프와 똑같은 광운대역 스탬프가 제작돼 같이 있었다가 성북역 스탬프는 폐기됐다. 스탬프의 상징은 현대자동차 울산공장에서 생산된 차량들을 운송하는 화차이며, 옛날에 철도청이 운영하던 카레일(Car-Rail)을 상징하기도 한다.

경춘선 역명판에도 119번이 쓰여 있는데, 다음역인 상봉역이 K120이기에 P119가 될 상황이었으나 마침 원래 있던 1호선 광운대역 번호가 119번이라 굳이 P라는 지선 표시를 쓸 필요가 없었고, 경춘선 전철을 중앙선의 지선으로 취급하여 역 번호를 이어지게 만들고 망우-상봉 구간은 중앙선으로 취급되기 때문에 상봉은 P가 아니라 K가 붙었다.

화물취급도 했었기 때문에 구내가 굉장히 넓으며, 이렇다보니 서울 북부에서 가장 넓은 철도부지를 지니기도 했다. 2020년부터 화물량이 점차 줄어들고 있었다가 2022년 4월부로 공식적으로 화물 취급이 중단됐다.[3]

역명은 인근의 광운대학교에서 유래했다.

2. 역 정보

파일:역안내도_광운대.png
역 안내도 크게 보기
안내도에서 경춘선은 뒤에 있는 승강장(5번)에 정차하며 오른쪽의 상봉 방면으로 출발한다.
파일:광운대역 전경.jpg
역 전경
(2021년 7월)
파일:attachment/2009721_64959058.jpg
성북역 시절
파일:songbuk.png
성북역 시절 구 폴사인
파일:20190421_161903.jpg
개통 당시의 역명판
파일:external/www2u.biglobe.ne.jp/ozonephoto-cheong-seongbuk-hyou.gif
옛 역명판
(개정 전 역삼각 CI 시절)
파일:attachment/sungbuk.png
옛 역명판
(개정 후)
파일:external/farm8.staticflickr.com/9057731229_d391cc40b1_b.jpg
성북역 시절
(1980년 7월 24일에 촬영한 사진으로, 가와사키 동차 편성이다.)

1986년 성북-의정부 연장개통 전까지는 오늘날의 인천/서동탄 방면 승강장이 경원선 일반열차용 저상홈이었다. 동두천 방면 상행 승강장은, 당시 1면 2선으로 1호선을 취급했는데, 연장 뒤 1번선을 철거하여 오늘날과 같은 구조가 됐다. 그 전에는 교외선이 동/서회선으로 운행하던 시절도 있었다. 가와사키 오른쪽에 살짝 보이는 무궁화호가 경춘선이다.
파일:성북역(1975.02.11).jpg
1975년 2월 11일 촬영된 성북역을 출발하는 수원행 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

전동차가 지나가는 2번 선이 현재 의정부/소요산 방면 선로이고 맨 왼쪽 1번 선이 당시 당역 종착 선로였으며 모두 경원선 본선에서 분기된 선로였다. 1978년도 현재 역사가 완공되기 이전에는 인천 방면의 육교 계단을 통해 맨 왼쪽 구계단을 지나면 작은 크기의 파란 지붕 구 역사가 있었다. 계단은 1호선 개통 시기에 완공했으며 경원선, 경춘선, 1호선을 공용으로 사용했었다. 그 당시에는 승차권이 전산식이 아닌 에드몬식 종이 승차권이었기 때문에 수도권 전철/일반철도 개찰구를 공용으로 사용이 가능했었다. 현재의 역사가 완공되면서 구 역사는 철거됐고 현재의 역사 완공 이후 인천 방면의 육교 계단도 잠정 폐쇄되었다. 이후 구 역사 부지에 가건물을 가설하여 현재는 한 중형마트가 영업 중이다. 90년대에 3번 출구가 완공 되면서 인천 방면의 육교 계단 중 경춘선 계단과 구 역사 부지로 연결되는 계단을 제외한 경원선 계단만 사용을 재개하였고, 2013년 복선전철화 된 경춘선 연장(망우선 경유)으로 35년 만에 사용을 재개하였다. 이로서 현재는 구 역사 부지로 연결되는 계단만 폐쇄되었다.

역명이 바뀐 역 중 대표적이다.
파일:광운대역 1호선.jpg
맞이방

바로타 방식의 승강장은 경원선 성북-의정부 연장 개통 이후에 생겼으며 그전에는 1호선 종착 선로가 존재해서 개구부가 없었고 맞이방 기준 좌측에 지하 계단을 이용했었다. 경원선 용산-성북 디젤동차 운행이 폐지되고 나서 바로타 승강장으로 개량된 이후 에도 경춘선 일반열차가 당역을 경유 했기에 여전히 좌측 지하 계단을 사용하였다. 그러다 2010년 12월 경춘선 복선전철 개통으로 의해 상봉역으로 이설되면서 좌측 지하 계단을 사용할 이유가 없기에 일부 폐쇄되었다.

경원선 개통 때가 아니라, 1939년 7월 25일에 경춘선 경원선의 환승역으로써 연촌역(硯村驛)으로 개업했다. 1963년에 성북역으로, 2013년 2월 25일에 경원선 성북역이 광운대역으로, 마지막으로 2017년 12월 18일에 망우선 성북역이 광운대역으로 이름이 바뀐다. 다만 코레일 영업거리표상에는 여전히 성북역으로 적혀있는데, 그 까닭은 화물취급소가 광운대역으로 이름이 바뀌지 않았기 때문이다.

현재의 역사는 1978년에 만들어진 것이다. 노후화로 인해 건물 일부가 갈라지고 군데군데 부식되어 떨어져나간 건물의 모습을 볼 수 있다. 승강장 쪽은 깔끔하게 보수됐지만 건물은 아직까지도 노후화된 채 그대로이다. JTBC 뉴스룸 '밀착카메라'에서 1호선 노후화를 내보낼 때에 이 역과 신이문역을 취재하기도 했다.[4]

출입구는 3곳으로, 1, 2번 출구는 본 역사에 있다. 3번 출입구는 1995년 3월 28일에 개설된 선상역사(육교) 출입구이다. 과선교로 월계3동 아파트 단지 일대를 연결한다. 처음에는 미륭/삼호아파트 쪽으로만 있다가 나중에 서광아파트 및 승무사업소 쪽 계단도 만들었고, 엘리베이터도 설치했다.

경춘선 화랑대역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가 있었는데, 그냥 가면 성북역 스탬프만 내줬고, " 화랑대역 스탬프를 찍으러 왔는데요"라고 해야 내줬다. 화랑대역 스탬프는 역장의 개인 소유물이기에 금고에 따로 보관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그러나 화랑대역 스탬프를 찾는 사람이 많아지자 성북역 스탬프 옆에 화랑대역 스탬프를 놓았다. 2018년 10월경에 화랑대역 리모델링 공사가 끝나면서 박물관이 개관하자 화랑대역로 이관됐다.

2006년 7월 초에는 철도공사의 수도권 북부 지사가 성북역에 개소하기도 했다.[5]

역사 4층에 인재개발원 서울교육원(광운대역교육장)이 위치하고 있다. 전기기관차 모의운전연습기가 있어 인근 사업소 기관사들의 직무역량 교육이 이뤄지고 있다.

2010년에는 2015년 완공을 목표로 한 민자역사 계획이 있었지만 현재는 사실상 무산된 상태이다. 그러나 인근 개발사업이 탄력을 받고 있다 보니 민자역사도 다시 추진될 가능성이 생겼다.

2022년 12월 완공을 목표로 육교에서 승강장으로 내려가는 계단을 철거하고 에스컬레이터를 설치했다.[6] 뉴스1 기사에는 9월 완공으로 써져 있으나 3개월 연기됐다. 이로 인해 3번 출구가 에스컬레이터가 설치될 때까지 폐쇄됐다. 2022년 12월 23일 에스컬레이터가 완공되어 3번 출구가 다시 개방됐다. 1번과 2, 3번 승강장으로 통하는 계단에만 에스컬레이터가 설치됐고 4번과 5번 승강장을 통하는 계단은 그대로이다.

2.1. 일반열차 취급 (~2010)

처음에는 성북역 북쪽과 남쪽에서 경춘선이 갈라졌고, 성동역발 열차가 성북역 남쪽에서 경원선과 잠시 합류해 역 구내로 들어와 정차한 뒤 역 북쪽에서 갈라져 나가서 춘천으로 갔다. 정확히는 석계역 구간이 분기지점이었다.

사철이던 경춘선은 광복 뒤 미군정이 국유화했고, 미군정이 관리하다가 대한민국 정부 산하 철도청으로 관리주체가 바뀐다.

망우에서 청량리를 거치지 않고 성북역까지 가는 화물수송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1964년 1월 11일에 망우선이 개통한다. 마침내 1973년 6월 20일에 제천-성북 전철화 구간 화물수송을 위해 8000호대 전기기관차가 운행하기 시작했다.

1971년 10월 5일에 서울 도심철도 정비과정에서 성동-성북 구간이 폐지되고, 열차의 운행 계통이 청량리역 착발로 바뀐다. 이때부터 경춘선은 청량리역에서 출발하여 경원선 경유로 성북역까지 온 뒤에 역 북쪽에서 갈라져 나가는 구조가 된다.

이 때문에 경원선 복선전철화 뒤에는 역 남쪽에서 경춘선 열차의 평면교차가 일어났고, 경춘선 청량리-성북 구간의 운행표정속도도 느렸다. 청량리-성북 사이에 대피선이 하나도 없었기에 무궁화호 열차가 전철 표정속도에 맞춰서 운행해야 했다.

단, 모든 역에 서는 보통열차( 비둘기호)는 성북역에서 출발했다. 비둘기호가 전부 통일호로 승격하고도 남은 2001년에 대개정으로 성북역 착발 경춘선 열차는 사라진다.

2010년 12월 21일에 경춘선 복선 전철화로 성북-퇴계원 구간이 망우-퇴계원 구간으로 이설되고, 경춘선 열차가 상봉역 착발로 바뀐다. 이와 함께 성북역의 경춘선 분기역 역할은 71년 만에 사라지나, 2013년에 경춘선이 망우선으로 들어오게 되어 다시 광운대역 착발 경춘선 열차가 생긴다.

서울에서는 철도부지가 큰 편이다. 차량사업소에 치중되어 있지만 광운대역은 화물취급, 조차장 기능도 한다. 철도용 건물만 해도 본역사, 선상역사, 수송사무실, 운전취급실, 성북기지 건물, 성북승무사무소에 한솔 물류창, 현대자동차 출고센터, 시멘트 사일로 2기이다. 또한 수도권 전철의 주박 차량기지가 있다.

1번 선이 있었다가 사라졌는데, 의정부 홈으로 가면 흔적을 볼 수 있다. 선로-홈 숫자가 다른 역 중 하나이다. 위 사진의 가와사키 동차가 서 있는 저상홈이 인천/신창 방면 승강장이고, 가운데 빈 철로가 역 착발 열차 승강장이며, 왼쪽에 1000호대 초기저항 열차가 보이는 선로가 2번 홈이다.

개찰구를 지나면 본 역사 앞에까지 있었던 지하 통로가 그 시절 1번 선로 부지를 경춘선까지 취급하면서 사용됐던 흔적이다. 또한 수도권 전철역 중 가장 마지막으로 무궁화호의 여객취급이 중단된 역이다.

현재 수서역까지만 운행 중인 SRT 고속철도 노선을 C노선을 따라서 의정부역까지로 연장하는 방안이 추진 중에 있는데, 해당 고속철도 노선이 개통된다면 광운대역은 다시 여객열차 정차역으로 기능하게 된다.

2.2. 수도권 전철 1호선 개통

1974년 8월 15일 수도권 전철 1호선 개통으로 전철역 기능도 맡게 됐다. 1985년 창동역 연장개통 전까지 1호선 전동차의 시종점이었다.

1978년 경원선 왕십리역, 옥수역 경유 용산행의 출발역이기도 했지만, 2005년 12월 수도권 전철 중앙선 덕소역까지 개통되어 운행 계통이 분리되자 더 이상 용산행은 다니지 않으며, 그만큼 선로 용량이 늘어나면서 대신에 본래 청량리역에서 출발하던 병점행 열차가 성북역 출발로 바뀌었다. 현재 기지 입고 편성만 빼고 서동탄행으로 바뀌었다.

수도권 전철 중앙선 열차가 이문차량사업소로 입고하기 위해 광운대역을 거쳐 갔었다. 가끔 8량짜리 중앙선 열차가 10량 홈인 병점 시발 홈에서 대기하기도 했으며, 청량리역까지 공차로 회송했다. 하지만 용문차량사업소가 개업한 뒤로는 이 광경을 못 보게 됐다.

경춘선 무궁화호 열차가 쓰던 4-5번 저상홈은 경춘선 이설 뒤 버려졌다가 고상홈으로 개조하여 2012년 7월부터 4, 5번홈이 서동탄행 전용으로 문을 열었다. 2012년 11월 1일 러시 아워 시간대 광운대역↔ 천안역/ 신창역 편성이 소수로 나왔다. 광운대↔ 신창 운행시간은 2시간 51분에 달했다. 휴일은 평일의 절반 수준이다. 소수이지만 충청남도 아산시까지 광운대 홍보 효과를 얻었다. 그러나 천안/신창행이 1일 6회로 워낙에 적은 탓에 2번 홈에서 시종착하는 경우가 더 많았다. 2019년 12월 30일부터 청량리급행을 뺀 열차 다수가 광운대역까지 운행하므로 홍보효과가 늘어났다.

인근에 이문차량기지, 성북주박기지가 있어서 몇몇 1호선 열차는 광운대역까지만 간다. 2005년 이문차량기지 개업 전에는 구로차량기지 성북분소 5000호대 전동차 8편성과 1000호대 전동차 12편성이 주박·관리하던 장소이다. 성북기지 출고 열차 가운데 3대는 반드시 경원선 방면으로 회송해서 운행하거나 경원선 행선지로 광운대역부터 운행한다. 대표로 평일 창동발 편성 세 대가 이 성북주재에서 창동역으로 회송한 뒤 운행한다. 다만 주말은 1대는 창동발, 1대는 광운대발, 1대는 양주발이다. 평일 기준 K25 창동발 인천행, K956 창동발 동두천행, K964 창동발 양주행이 해당되며, 주말 기준 K19 양주발 인천행, K906 광운대발 소요산행, K908 창동발 동두천행이 해당된다. 다만 2023년 12월을 끝으로 성북분소는 철거되었으며, 성북분소 주박 열차는 광운대역 5, 6번 홈에서 주박하게 된다.

또한 이곳에 승무사업소(한국철도공사 서울본부 성북승무사업소)가 있기 때문에 1호선 일부 전동열차는 이 역에서 승무교대를 하기 때문에 이로 인해 정차시간이 긴 편이다. 한국철도공사 전동열차는 1분 + α이며, 서울교통공사 전동열차는 배차 간격 유지를 위해 1분 정차로 시간표가 짜여 있다.

또한 막차가 일찍 끊기는 편이다. 특히 서울 방향이 빨리 끊긴다. 이럴 경우 석계역까지 가서 6호선을 탄 뒤 동묘앞역에서 갈아타면 된다. 광운대역 앞에서 남쪽으로 가는 노선들은 모두 석계역으로 가기 때문에 역 앞에서 횡단보도를 건넌 뒤 나오는 정류장에서 아무거나 제일 빨리 오는 버스를 타면 된다. 만약 버스 여러 대가 온다면 그나마 정체 없이 가장 빨리 갈 수 있는 261번을 이용하면 1번 출구 횡단보도 앞에서 바로 내릴 수 있다.

추가로 경부선 계통(신창/천안, 서동탄발)은 이 역까지만 운행하고, 이북 구간은 인천 또는 구로발, 이 역에서 출발하여 운행하는 열차만 운행한다.

2.2.1. 막차 시간표

  • 2024년 10월 기준 막차 시간표
<rowcolor=white> 상행
행선지 평일 ··공휴일
연천행 23:21 23:05
소요산행 23:44 23:31
양주행 23:51 23:55
의정부행 24:04 24:06
<rowcolor=white> 하행
행선지 평일 ··공휴일
신창행 21:06 19:58
천안행 20:19 21:50
서동탄행 22:47 22:26
병점행 22:11 22:49
구로행 23:42 23:37
인천행 23:02 22:55
서울역행 24:00 17:04

천안 및 신창행 막차가 일찍 끊기는 편이다. 다만 신창행의 경우 청량리역에서 평일 21:39, 토요일 및 공휴일 21:08에 출발하는 신창행 막차를 탈 수 있고, 천안행의 경우 청량리역에서 요일 무관 22:01에 출발하는 천안행 막차를 탈 수 있다. 서동탄행의 경우 청량리역에서 토요일 및 공휴일 22:49에 출발하는 서동탄행 막차를 탈수 있다. [7]

상행 첫차는 05:04 연천행(토요일 및 공휴일 05:05), 경인선 방면 하행 첫차는 05:00 인천행, 경부선 방면 하행 첫차는 05:12 서동탄행(토요일 및 공휴일 05:24)이다. 신창 방면 첫차는 06:30 이지만, 서동탄행 첫차를 타고 병점역에 내려 천안 및 신창행으로 갈아타면 더 빠르게 이동할 수 있다.

2.3. 수도권 전철 경춘선 개통 (2013.11~)

▲ [[상봉역|{{{#white 상봉역}}}]] {{{#white }}} [[광운대역|{{{#white 광운대역}}}]] 주행 영상
▲ [[광운대역|{{{#white 광운대역}}}]] {{{#white }}} [[상봉역|{{{#white 상봉역}}}]] 주행 영상
<rowcolor=white> 경춘선(일 2회 운행)
행선지 운행 횟수 평일 ··공휴일
춘천행 1회(첫차) 08:44 미운행
춘천행 2회(막차) 20:31 미운행

2010년에 수도권 전철 경춘선의 출/퇴근 시간대 1호선 접근성을 개선하기 위해 망우선을 개량하여 상봉역부터 광운대역까지 출·퇴근시간에만 논스톱으로 연결할 계획이 나왔다. 2013년 10월경에 개량완료하여 2013년 11월 4일부터 평일 출·퇴근 시간에만 일 2회 왕복으로 경춘선 열차가 광운대역까지 들어온다. 1호선 광운대역 도착 안내방송에서는 경춘선 환승안내가 나오지 않는데, 평일 출·퇴근시간에만 운행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대다수 열차의 수도권 전철 노선도에 경춘선이 광운대역까지 연결이 되어 있지 않다. 연결되어 있어도 아주 얇은 선으로 그어져 있다. 망우선 경원선이 나란히 놓여 있는 석계역은 망우선이 연결되지 않았고, 승강장도 없기에 정차할 수 없다. 운임은 기존처럼 상봉-태릉입구-석계 경유 기준으로 계산한다. 그 예로, 구리역까지의 운임은 1350원이다. 망우선 경유로 계산하면 10km 미만이라 1250원이 돼야 하나, 회기역을 찍고 간다고 가정하므로 100원이 더 붙는다. 2010년 12월 일반열차의 운행이 종료된 이후 3년 만에 다시 수도권 전철로 개통된 경춘선의 운행계통인데, 이는 망우선 최초의 정기 여객취급이 되었다.

상봉-광운대 구간은 약 8분 정도가 소요되고, 서행운행을 한다. 또 전동차가 다니는 구간이지만 운임 계산은 망우선을 이용하지 않으며, 회기역 경유보다 상봉역-태릉입구역-석계역 3회 환승이 거리가 짧아 이를 기준으로 한다. 따라서 구리역 - 광운대역 운임은 1,400원이 아니라 1,500원(교통카드)이다. 해당 구간 내에는 중간정차역이 없으며, 신이문역이 있는 곳에서 비껴 들어와 경원선과 나란히 운행한다.

경원선과 선로가 나란히 놓여 있는 석계역은 망우선과 연결되지 않기 때문에 경춘선 전동열차가 전혀 정차할 수 없다. 즉, 신이문-석계 구간에 연결선로를 설치하거나, 석계역에 별도로 전용 승강장을 추가로 건설하지 않는 이상 6호선 직접 환승은 불가능하다는 뜻이다. 두 가능성 모두 적은 수요, 극히 적은 운행횟수, 비효율적인 설치 구조 등의 문제로 추후에도 정차할 가능성은 낮다. 석계역 문서에서 볼 수 있듯이 역 자체가 굴다리 위에 건설되었다 보니 건드리기가 애매하기 때문이다.[8]

2016년에 경춘선 열차 일부가 청량리역으로 연장된 이후로도 코레일에서는 이 운행계통을 폐지하지 않았는데, 일 2회라는 한계에도 불구하고 해당 시간대의 청량리행 편성의 부재 및 중간종착열차가 많은 광운대역 특성상 착석보장을 노릴 수 있기 때문인지 그래도 고정 수요는 조금이나마 존재하고 있기에 저조한 수요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그대로 유지하고 있는 듯하다. 추후 광운대역세권개발사업의 성공으로 광운대역의 자체 수요가 더 늘어나게 되면 추가 증편이 이루어질 수도 있어 보이지만, 일단 현재는 코레일에서 추가로 증편할 계획이 없다고 밝혔기에 앞으로도 지금처럼 일 2회 한정 운행으로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2.4. 성북역 → 광운대역 개명 과정

광운대역은 2013년까지만 해도 성북역(城北驛)이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었다. 성북구나 성북동에 없는데도 성북역이던 것은 1963년 서울 대확장 당시 양주군 노해면(지금의 노원구와 도봉구 일대)으로부터 성북구로 편입됐기 때문이었고, 당시에는 2호선도 없던 시절이었기에 성북구에 있는 철도역은 이 역밖에 없었으므로 자연스레 성북역으로 지정된 셈이다. 그러나 시간이 흘러 노원구가 분구[9]되어 성북역의 행정구역도 노원구로 변경되었고 4호선, 6호선 등 성북구를 지나는 지하철 노선이 추가로 건설되자 실제 성북구 생활권과는 거리가 상당히 멀어지게 되었다. 따라서 도시철도가 촘촘히 연결된 서울시의 역임에도 불구하고 지명과 맞지 않는 문제가 있었고, 이 때문에 개명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었다. 성북구는 서울 지하철 4호선 서울 지하철 6호선, 그리고 우이신설선이 지나간다. 특히 성북동은 성북구에서도 가장 서남쪽에 자리하여, 성북구 내에서 광운대역과 가장 가까운 장위동과는 정반대쪽에 위치해 있으며 광운대역과 직선거리로만 6.5㎞가 떨어져 있다.

이후 차츰 논의되다가 2011년부터 변경작업을 시작했다. 노원구에 있는 역인데 성북구에 있는 역으로 오해받아서 동년 7월 20일에 김성환 노원구청장이 한국철도공사 사장과 간담회를 개최했고, 8월 22일에서 9월 21일까지 새 역명을 공모했다.

소재한 행정구역인 월계동은 이미 월계역이 있어 쓸 수 없었고, 다른 지명이나 시설명을 고려해야 했다. 이때 광운대학교는 이 기회를 노려 '광운대역'이나 '광운대입구역'으로 바꾸려는 활동을 시작한다.

하지만 2011년 12월 8일 회의에서 한국철도공사는 이미 대학 역명으로 여러 번 홍역을 겪었고 한국철도공사 관할역 말고도 여러 전례가 있기 때문에 힘들다는 의견을 내놓는다. 그래서 대학역명을 배제하고 대안으로 나온 것들은 다음과 같다. 하나는 1963년까지의 이름인 연촌역으로, 광운대에서 체전이나 축제, 건물 이름으로 쓰이고 있다. 나머지는 월계동과 광운대를 합친 월광역, 연촌의 순우리말로 현재도 다리이름으로 사용중인 벼루말역, 월계성당역도 있었다.

하지만 한국철도공사는 새 이름은 미래지향이어야 한다고 명시했다. 지명으로서의 연촌은 1990년대부터 전혀 사용되지 않는 것이나 다름없어서 서울연촌초등학교에서 겨우 흔적을 찾아볼 수 있는데 위치는 정작 중랑천 건너 하계동이고, 하계동과 공릉동의 경계선 가까이에 자리해 있어서 소재한 동의 이름에서 따온 7호선 하계역이 훨씬 가깝다. 그리하여 당시 지역 주민들도 황당해했다.

벼루말도 크게 지지를 얻지 못했다. 왜냐하면 월계동 지역민에게도 그리 널리 알려지지 않은 지명이기 때문이었다. 광운공고 인근 장위동 참누리아파트 맞은편에 있는 한 50여가구 정도 되는 주택가가 벼루마을이며, 오직 이곳 주민들만이 이름을 알아서 역시 지지를 얻지 못했다. 게다가 완전히 새로운 이름은 호응받기 힘들었다. 주민들의 역명 선호도 조사결과를 종합하면 광운대역이 역시 유력했다.

노원구가 실시한 주민투표에서는 광운대역이 약 52%, 광운대입구역이 약 28%를 차지해, 합치면 80%가 광운대가 들어간 이름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왔다. 한국철도공사는 결과를 못 믿겠다고 해 다시 조사했지만 마찬가지로 거의 비슷한 지지율이 나왔다.

그리고 2012년 12월 27일 이노근 노원구 갑 지역 국회의원 페이스북에 광운대역으로 결정됐다는 글이 올라왔다. 12월 26일에 통과됐다고 한다. 2회 시행하던 투표 모두 지역주민들의 압도적인 지지가 있어 한국철도공사와 한국철도시설공단(현. 국가철도공단)도 대학역명을 허용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포기하면서 2013년 2월 15일 국토해양부 역명변경 고시에서 25일부터 '광운대'가 정식역명이 됐다. 성북역일 당시 부역명, '광운대앞'에서 알 수 있듯이 광운대학교와 가깝다. 정문까지 천천히 걸어가도 10분이 채 걸리지 않으며, 학생들이 후문이라고 부르는 동문까지 걸어서 5분이면 간다. 정문까지는 석계역보다 약간 빠르지만 별 차이는 없다.
파일:attachment/121561.png
[10]

한때 국토해양부가 이의를 제기한 적이 있으나, 이노근이 국회의원을 하기 전에 광운대 교수이었기에 이 일에 적극적이었을 수 있으며, 대한민국 국회 국토해양위원회 소속이기에 압력이 작용했을 수도 있다.

다만 국토해양부는 KTX 연결 등 수도권 북부 거점역 역할을 하게 되면 다시 개명하는 조건으로 바꾸기로 하여 논란이 될 수도 있다.[11] 한국철도공사가 대학 역명으로의 변경을 허가하지 않던 까닭이 이것이다.

광운대학교는 큰 광고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그 이유는 서동탄역발 열차들 가운데 서울교통공사 차량 중 동묘앞행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광운대행이어서 객차 행선표기판에도, 열차 진입 안내 음성에서도 수시로 언급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특히나 1호선 경부선에서 올라오는 열차 대부분이 광운대행이기 때문에 큰 효과가 발휘될 것으로 보인다. 물론 4호선에도 한성대입구행이 있으나, 막차 시간대에만 있다.

실제로 예전에는 아는 사람만 알던 광운대였으나 역명 개정 후 광운대역행을 본 적 있는 사람이라면 "아, 그 광운대!"라고 할 만큼 역명 표기로 인한 인지도가 폭증했다.

2.4.1. 행선지 표기

파일:/20130905_194/zolajinho_1378371201074hYpQa_JPEG/20130225_074850.jpg

역명 변경 당일인 2013년 2월 25일에 찍은 사진으로, 촬영 장소는 성균관대역이다. 물론 성균관대역만 저렇게 나오는 것은 아니다.[12]

역명 변경에 따라 2013년 2월 23일에 역 내의 성북역이라 써진 간판들을 죄다 광운대역으로 갈아치웠고, 24일에는 '성북역행'이라고 표기하다가 한국철도공사는 승강장 LED 안내기도 25일을 기해 개정했다. 그런데 기존 규칙과는 다르게 '광운대역행'이라고 표기한다. 열차 위치 표시 전광판을 보면 행선지 부분에 소요산, 동두천, 양주, 의정부, 창동, 청량리, 구로, 인천, (수원) 병점, 서동탄, 천안, (천안) 신창처럼 '서울역'만 '역' 자를 표기한다.

마찬가지로 열차 진입 안내 방송에서도 "지금 광운대역 가는 열차가 들어오고 있습니다...(후략)"라고 말한다. 한국철도공사에서는 대학 홍보가 될 수 있어 '역'을 반드시 붙인다고 한다. 서울교통공사는 5월에 서울 지하철 1호선 구간의 승강장 LCD 전광판을 개정했는데, 여기에서는 공간이 없었는지 '광운대행'으로 표기했다.

수혜자 비용 부담 원칙에 따라 광운대가 역명 개정 비용을 전액 부담하겠다는 조건으로 바꾼 것이어서 광운대가 비용을 지불해야 한다.

역명이 바뀌고 한 달이 지난 뒤에도 열차나 다른 역에는 모조리 '성북'이라고 쓰여 있었다. 광운대가 수혜자 비용 부담 원칙에 따라 바꾸는 비용을 부담하기로 했는데, 그 금액이 약 5억 원으로 생각보다 컸다.

파일:attachment/광운대역/성북1.png
파일:attachment/광운대역/성북2.png

그 까닭 때문에 2014년 여름까지도 '성북'으로 표기하는 열차가 일부 있었다. 그 열차는 서울교통공사의 103편성으로, 모든 칸이 '성북'으로 나왔다. 한자 표기는 광운대로 나왔다. 한국철도공사는 2014년 4월 초반부터, 서울교통공사는 5월 후반부터 열차의 TGIS가 바뀌기 시작했다. 그런데 이것조차도 "광운대역행"이라고 표기한다. 마찬가지로 옆면 행선 LED에도 "광운대역", 영어로도 "Kwangwoon Univ. Station" 두 줄로 구겨서 넣었다. 2023년 1월에도 '성북'으로 표시되기도 했다.[13]

한국철도공사 운영 광역철도 행선지 중 옆면 LED에서 영어가 두 줄로 들어가는 역은 광운대역이 유일하다. 천안·신창행도 "Cheonan·Sinchang"이라고 쓰고, 예전의 디지털미디어시티행은 디엠시-DMC라고 썼다. 하지만 1호선 한국철도공사 소속 열차 가운데 311X83편성부터와 경춘선 열차는 두 줄로 표시하지 않고 가로로 스크롤하면서 표시한다.

파일:/20130905_74/zolajinho_1378371201575C09XS_JPEG/20130405_074638.jpg

두 줄로 구겨 넣은 'Kwangwoon / Univ. Station'

파일:/20130905_37/zolajinho_13783712018114qJf0_JPEG/20130405_074730.jpg

차내 LED 전광판 역시 광운대역행이다.

파일:/20130905_256/zolajinho_1378371331541s6cFV_JPEG/20130531_200649.jpg

서울교통공사 저항제어 열차는 유일하게 광운대행으로 표기한다. 최근 LED로 개조를 한 뒤에는 열차 외부에는 광운대행, 내부 LED에는 광운대역행으로 표기된다. 출입문이 닫힐 때 "우리 열차는 광운대역행 열차입니다."라고 나온다. VVVF 열차는 내부/외부 모두 광운대역행으로 표기된다.

2017년 2월 기준으로 한국철도공사 311X83~312X03편성의 LCD에서는 '광 운 대 행'이라고 표기된다. 그런데 외부 LED 및 역 내 행선기에서는 '광운대역 Kwangoon Univ. Station'이라고 표기된다. 신창행의 경우도 이 신형 전동차들에서는 천안신창행이 아닌 '신창(순천향대) Sinchang(Soonchunhyang univ.)'으로 표기된다.

경춘선에서 1일 2회 운행하는 광운대행은 '광운대행'으로 표기된다.

광운대역으로 이름이 바뀌었는데도 오래된 인근 건물들은 아직도 '성북역점' 이나 '성북맨션', '성북역신도브래뉴아파트', '성북치과' 처럼 성북이라고 붙은 곳이 많은데, 광운대역 바로 앞 GS25 이름이 '월계성북역점'이다.

3. 역 주변 정보

광운대역을 기점으로 월계동이 1동과 3동으로 정확하게 절반으로 쪼개진다. 광운대역 동쪽으로는 월계시영아파트 단지와 트레이더스 홀세일 클럽 월계점, 그리고 이마트 월계점이 있고, 10달 동안 대대적인 리모델링을 거쳐서 일렉트로마트, 토이킹덤 등 여러 전문점들이 입점해 이마트타운 월계점으로 전환됐다. 서쪽으로는 광운대학교와 일반 주택가들이 있다. 또한 아파트가 붙어있는 동쪽과는 정반대로 서쪽은 소규모 아파트 단지 몇 개와 빌라 위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는 서쪽과 동쪽의 지형 차이로 인한 것이다. 대단지 아파트인 월계시영아파트가 있는 지역은 상대적으로 평평한 지형을 갖고 있기에 대단지 건축이 원활했던 반면, 서쪽은 언덕 지형이라 아파트가 대단지로 건축되지 못하고 소규모로 분산되어 건축되었기 때문이다.

1995년에 3번 출구가 생기기 전에는 철로가 사실상 양쪽을 절단해 각 생활권이 상당히 다른 편이었다. 그래서 철로 서쪽은 행정구역상 월계동이지만, 성북구 장위동으로 인식하는 사람들도 상당히 많다. 성북역이라는 이름도 이런 오해에 영향을 줬다.

역에서 1km 거리에 7호선 공릉역이 있지만, 동네를 가로지르는 경원선 선로 때문에 연결되는 도로가 하나도 없다 보니 인근의 월계1동 주민들은 대부분 태릉입구역이나 하계역을 이용한다. 이는 추후 광운대역세권개발사업이 이루어지면 해소될 것으로 보인다.

광운대역세권개발사업이 서울특별시, 한국철도공사, HDC현대산업개발간 3자 합의가 이루어져서 역 주변이 대규모로 개발된다. 노원구 월계동 85-7 일대(현 광운대역 화물기지 부지) 14만8천166㎡ 부지를 상업업무·복합·공공용지 등 3개 용도로 나눠서 개발할 예정이다.[14] 서울시는 이르면 2022년 상반기에 착공하여 2025년에 완공할 예정이라고 밝혔지만 2023년 기준 공사일정이 계속 연기되고 있어 정확한 완공년도는 알 수 없다. 다만 최근 들어 추진될 움직임은 보이고 있기에 2030년 내에는 완공될 것으로 보인다.

경원선이 월계동을 반으로 갈라놓은 탓에 대중교통으로 이 역 일대에서 이마트 월계점으로 가려면 교통편이 상당히 불편하다. 직선으로 300m인 거리를 최소 1km 넘게 돌아가야 하기 때문에 상당히 비효율이다. 현재는 석계역까지 내려가서 진아교통 버스들로 환승하거나, 1137/노원09번 탑승 후 월계보건지소 정류소에서 내려서 걸어가는 방법밖에는 없다. 광운대역 역사와 출구가 모두 서쪽에 있기 때문에 동쪽에 있는 월계시영아파트에서는 이용이 불편하다. 이쪽 주민들은 대부분 마들로로 나가서 석계역으로 가는 진아교통 버스들을 이용하는 편이다.

3.1. 출구 정보

파일:Seoulmetro1_icon.svg 파일:GyeongchunLine_icon.svg 광운대역 출구 정보
1  월계1동·월계1동주민센터
현대아파트
동신아파트
삼창아파트
서울선곡초등학교
2 광운대학교
광운중· 인공지능고등학교
벼루말교
물류센터
한국전력노원변전소
신도브래뉴아파트
월계119안전센터
월계삼거리
3 이마트 월계점
월계3동·월계3동주민센터
한내행복발전소 작은도서관
월계시영아파트(미성·미륭·삼호·삼호4차)
노원영어마을
서울한천초등학교
한진한화그랑빌아파트

4.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0052a4><bgcolor=#0052a4> 연도 || 파일:Seoulmetro1_icon.svg 파일:GyeongchunLine_icon.svg ||<bgcolor=#0052a4> 비고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1974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1974년 5,031명
1975년 6,246명
1976년 8,105명
1977년 14,079명
1978년 25,594명
1979년 33,522명
1980년 38,577명
1981년 29,350명
1982년 28,702명
1983년 30,380명
1984년 29,845명
1985년 24,487명
1986년 21,619명
1987년 19,686명
1988년 19,772명
1989년 22,933명
1990년 25,606명
1991년 32,518명
1992년 34,447명
1993년 36,315명
1994년 35,142명
1995년 37,945명
1996년 38,973명
1997년 35,981명
1998년 34,706명
1999년 36,139명
2000년 26,556명
2001년 31,874명
2002년 33,359명
2003년 32,502명
2004년 26,140명 [15]
2005년 26,195명
2006년 23,782명
2007년 23,864명
2008년 23,898명
2009년 23,422명 }}}}}}}}}
2010년 23,195명
2011년 20,962명
2012년 20,501명
2013년 20,203명 [경춘]
2014년 20,328명
2015년 20,103명
2016년 19,901명
2017년 19,371명
2018년 18,734명
2019년 18,946명
2020년 13,190명
2021년 13,417명
2022년 14,523명
2023년 15,683명
출처
한국철도공사 광역철도
수송통계 자료실
  • 월계1동 주민들과[17] 광운대학교 통학생들이 주 수요이며, 그리고 종로 방면으로 향하는 하계동, 월계2동 주민들이 버스를 타고 오기도 한다.[18]
  • 2000년, 2004년, 2005년에는 2만 명대 중반, 2006년~2015년에는 2만 명대 초반을 유지했으나 이용객의 감소가 멈추지 않으면서 2010년대 후반으로 접어들며 2만 명이 붕괴됐다. 몇 차례 이용객이 대폭 감소한 적이 있었는데, 그것은 바로 2005년 말에 수도권 전철 중앙선이 개통되면서 용산-성북 간의 계통이 폐지되어 강남3구권을 용이하게 가려던 사람들이 상당수 이탈한 것이 첫 번째이다. 두 번째로는 2010년 말에 경춘선이 복선전철화 되면서 기존의 무궁화호가 폐지된 것이다. 경춘선이 단선이던 시절에는 이곳이 시점이었으니 경춘선 무궁화호가 필수 정차하는 역이라 열차 환승수요가 어느 정도 있었던 역이다. 그러나 더 이상 무궁화호가 경춘선에 들어오지 않게 되고, 새로 개량된 경춘선 역시 광운대역을 아예 지나지 않게 되어 다시 한 번 그래프가 크게 꺾인 것이다. 2013년부터 다시 광운대행 경춘선이 들어오지만, 평일 2회만 운행하는 탓에 의미가 없다.
  • 2028년 GTX-C 개통이 예정되어 있고 역 근처 화물부지를 활용하여 대규모 역세권 개발이 이루어질 계획이라 수요가 큰 폭으로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2023년 1월 5일 2040 서울도시기본계획이 확정됨에 따라, 광운대역은 SRT 동북부 연장(수서~청량리~광운대~창동~의정부 구간) 정차역으로 확정됐다.

5. 승강장

5.1.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춘선

파일:KwangunUniv-pf1.png
옛 1번선 자리에서 본 1호선 1번 승강장
(엘리베이터와 긴 계단이 선로 흔적이다. 그리고 우측에 긴 콘크리트 지붕 쪽도 예전에 승강장이 있었다.)
파일:attachment/Kwangwoonug.jpg
경춘선 열차가 종착하는 5번 승강장

경춘선 열차가 정차한 승강장의 역명판을 보면 다음 역이 석계역이다.[19] 그런데 정작 석계역에는 망우선-경원선 간의 연결선로를 만들지 않는 이상 정차가 불가능한 구조 문제로 경춘선 전철이 정차하지 못하고 망우선을 통해 상봉역으로 간다. 이는 하루 2회뿐인 경춘선보다 들어오는 횟수가 많은 1호선의 역명을 넣은 것으로 보인다.
월계 종착역[20]
1 2 3 4
5
석계 상봉
1 파일:Seoulmetro1_icon.svg 1호선 의정부· 동두천· 연천 방면
경부선 계통 일부 당역 종착[21]
경원선 계통 일부 당역 출발[22]
2 서동탄· 천안· 신창 방면
경부선 계통 당역 종착[23]
3 구로· 부평· 인천 방면
경인선 계통 일부 당역 종착[24]
경원선 계통 일부 당역 종착[25]
4 차량기지 입·출고 열차 시·종착[26]
5
5 파일:GyeongchunLine_icon.svg 경춘선 평내호평· 가평· 춘천 방면
(평일 08:44, 20:31)
노선 및 방면 빠른 환승 위치
파일:Seoulmetro1_icon.svg 1호선(연천, 광운대 방면)→ 파일:GyeongchunLine_icon.svg 경춘선 1-3
파일:Seoulmetro1_icon.svg 1호선(인천, 서동탄 방면)→ 파일:GyeongchunLine_icon.svg 경춘선 10-2
파일:GyeongchunLine_icon.svg 경춘선 → 파일:Seoulmetro1_icon.svg 1호선 5-4

인천 쪽에서 오던 차량이 고장나서 기지에서 검수를 받아야 될 경우 고장 차량은 광운대역 5번 승강장으로 들어오고 기교체 차량은 4번 승강장에서 대기하다가 고장 차량에서 승객이 다 이동한 후에 출발한다. 그 후 고장 차량은 이문기지로 입고해 수리를 받는다.

창동, 의정부, 양주행 열차들은 1번 승강장에 정차 후 선로를 2번쪽으로 바꾼 뒤 월계역으로 간다.

2017년 12월에 스크린도어가 완공 예정이었으나, 대합실로 가는 지하통로와 승강장을 잇는 계단이 승강장을 거의 차지하게 되어 승강장 폭이 매우 좁아졌기 때문에 통로 계단 폭부터 줄이는 공사를 한 다음, 2018년 1월 말에 수직빔을 올리기 시작하여 2018년 5월까지 공사했다. 현재는 조금이나마 넓어졌으나, 훨체어 입장에서 불편함은 여전하다. 현재 4, 5번 승강장을 뺀 나머지는 스크린도어가 가동 중이며 4, 5번 승강장은 2023년에 설치될 예정이었으나 연기되어 2024년 4월이 되어서야 도어 설치가 완료되었다.[27]

추가로 지붕이 없는 자리의 캐노피 공사가 2020년 12월에 마무리됐다.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10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10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5.2.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C노선

창동
청량리
파일:GreatTraineXpress_C.svg GTX-C 창동· 의정부· 덕정 방면
청량리· 삼성· 금정· 상록수· 수원 방면

언론 보도에서 승강장 심도가 55m로 공개되었다. #

6. 연계 교통

광운대역 연계 버스 정보
정류소 구분 노선
광운대역 (11888) <colcolor=#ffffff> 마을
광운대역 (11581) 마을
광운대역
(11279)
지선
간선
광운대역
(11278)
지선
간선

7. 기타

  • 선로취급실 바로 옆에 철도신호기, 철도 건널목 등 여러 기계들을 견학할 수 있도록 해 놨지만 일반인 접근 금지 구역이다.
  • 성북역 시절에는 몬더그린 현상으로 안내방송이 이상하게 들리는 경우가 잦았다. 성폭력(성북역)과 성폭행(성북행)과 비슷하게 들렸다고 한다.[28] 이것도 이름이 바뀌어서 고전이 됐다.
  • 2010년 4월경, 성북역에 JR 동일본 발차 멜로디가 흐르는 상황이 발생했다. 곡명은 'Twilight'으로, 신주쿠역 야마노테선 15번 홈의 외선순환(外回り/신주쿠→이케부쿠로) 발차 멜로디이다. 추후 공익근무요원의 소행으로 밝혀졌다. 안내방송 장치의 마이크가 일상에서 쓰는 이어폰의 홈과 일치하여 가능했던 것이다.[29]
  • 프라이머리 오혁이 함께한 곡 Bawling의 뮤직비디오에서 중간중간마다 일부분이 배경으로 나온다.[30]
  • 웹툰 1호선에서 2013년 역명 변경 전 성북역을 배경으로 한 이 역의 모습이 그려졌다.
  • 2024년 4월에는 역 광장에서 GTX-C 노선 착공식이 열렸다. 노원구에 위치해 있는 유일한 GTX 역사로 예정되어 있다 보니, 오승록 노원구청장을 비롯하여 김성환 노원구 을 국회의원과 우원식 노원구 갑 국회의원 등 다양한 정치권 인사들이 참석하였다. #
  • 2024년 6월부터 2025년 3월까지 광운대역 과선교가 보수공사에 들어갈 예정이다.[31][32]
  • GTX-C의 정차역은 부지 확보 문제로 인해 석계역이 아닌 이 역으로 지정되었다.

8. 사건 사고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사건 사고 관련 서술 규정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2008년 1월 7일 새벽에 술에 취한 대학생이 정차한 화물열차에 올라갔다가 감전을 당해 전신 3도 화상을 입었다.
  • 2017년 5월 27일 오후 1시 32분 광운대역 물류기지에서 쓰러진 작업자를 동료 직원이 발견해 병원으로 이송했지만 끝내 숨졌다. 이로 인해 2017년 6월 12일부터 역앞에는 분향소가 차려져 있었다. 원인은 한국철도공사의 과도한 인원 감축으로 인한 노동자의 피로누적에 따른 것이라 본다. 실제로 7인 1조로 근무를 해야 하나, 현재 2명의 인원감축으로 5인 1조로 운영하며 이로 인해 작업자가 휴무에도 불구하고 출근하여 일을 해야 하는 상황도 발생했다. 때문에 한국철도공사를 상대로 근로자들은 광운대역 앞 분향소에서 농성을 벌였다.

9. 둘러보기

파일:Seoulmetro1_icon.svg 수도권 전철 1호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5daa> 경원선
서울 지하철
1호선
경인선
경부선
천안직결선
장항선
병점기지선
시흥연결선
· 경부고속선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파일:GyeongchunLine_icon.svg 수도권 전철 경춘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178c72> 중앙선
망우선 ( 파일:Seoulmetro7_icon.svg 파일:GJLine_icon.svg 상봉) -
경춘선 }}}※ 상봉역은 망우선의 역은 아니지만, 망우선을 지날 때 상봉역을 거쳐 간다.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파일:GreatTraineXpress_C.svg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C노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306e5b>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C노선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경원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취소선: 폐역,†:여객영업 중지
}}}}}}}}}

경춘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취소선: 폐역
}}}}}}}}}

망우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한국철도공사의 차량사업소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고속철도
파일:KTX BI_White, Red.svg 파일:SRT BI_White.svg
강릉 | 광명[주박] | 부발 | 부산단 고속단 | 수도단 본단[중] | 울산[중] | 이문 | 호남단[중] | 송산 부산단 고속단
호남단[중]
지제
간선열차 · 관광열차
누리로· 동해산타열차 ITX-새마을 ITX-마음 ITX-청춘
강릉
이문[중]
부산
서울
부산
이문[중]
서울
대구
부산
대전단 본단[중]
제천
평내[중]
광역전철
1호선 3호선 4호선 경의·중앙선
구로[폐]
병점[폐]
이문
시흥[중][타][폐]
성북[주박]
인천[주박]
구로[배속][타]
지축[중][실무][폐]
시흥[중][폐]
안산[주박]
창동[주박]
용문
문산[중]
수인·분당선 경춘선 경강선 동해선
분당
시흥[중][폐]
평내[중][타][폐]
평내[중] 부발
시흥[중][타]
울산[중]
서해선 대경선 충청권 광역철도
시흥[중][타]
송산
대구
울산[중][타]
대전
대전단 본단[중]
기관차
가야 | 광주 | 동해 | 대전 | 대전단 전기차량정비부[중] | 마산 | 목포 | 부곡 | 부산단 일반단[중] | 부산신항 | 수색 | 순천 | 여수 | 영주 | 익산 | 제천 | 천안 | 청량리 | 포항
[중] 중정비 가능한 기지
[타] 타 노선의 중정비 기지
[주박] 주박용 기지 또는 주재
[폐] 폐차선이 설치되어 있어 불용차량 폐차가 가능한 기지
기울임체: 폐업하였거나 폐업이 확정된 기지
}}}}}}}}}


수도권 전철 차량사업소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서울 지하철
1호선 2호선 3호선 4호선
군자[중][폐] 군자[중][폐]
신정[중]
지축[중][폐]
수서
창동
지축[중][타][폐]
시흥[주박]
진접
5호선 6호선 7호선 8호선
고덕[중]
방화[폐]
신내
도봉[중][타][폐]
도봉[중][폐]
천왕
모란
고덕[중][타]
방화[타][폐]
9호선 우이신설선 신림선
김포[중]
왕숙(가칭)
우이[중] 보라매
한국철도공사 광역전철
1호선 3호선 4호선 경의·중앙선
구로[폐]
병점[폐]
이문
시흥[중][타][폐]
성북[주박]
인천[주박]
구로[배속]
지축[실무][폐]
시흥[중][폐]
안산[주박]
창동[주박]
용문
문산[중]
수인·분당선 경춘선 경강선 서해선
분당
시흥[중][폐]
평내[중][타][폐]
평내[중] 부발 시흥[중][타]
송산
인천 도시철도
인천 1호선 인천 2호선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
귤현[중] 운연[중]
오류[주박]
용유[중]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GTX-A
운정[중]
기타 일반철도 노선
신분당선 공항철도
광교[중]
판교[주박]
용유[중]
기타 도시철도 노선
용인 경전철 의정부 경전철 김포 도시철도
용인[중] 의정부[중] 김포한강[중]
[중] 중정비 가능한 기지
[타] 타 노선의 중정비 기지
[주박] 주박용 기지 또는 주재
[폐] 폐차선이 설치되어 있어 불용차량 폐차가 가능한 기지
}}}}}}}}}

[1] 외대앞역, 신이문역(KN), 석계역, 광운대역, 월계역(KN), 녹천역(KN), 창동역, 방학역, 도봉역(KN), 도봉산역(KN)을 관할한다. [2] 동묘앞역 개통 전 120번 [3] 국토교통부 고시 제2022-165호 [4] 「[밀착카메라] 갈라지고 파이고…불안한 '낡은 지하철역'」, JTBC, 2017-11-14 [5] 「철도공사 수도권북부지사 개소」, 강원일보, 2006-07-06 [6] 「월계동 주민 30년 숙원 풀다…노원구, 광운대역 승강시설 내년 완공」, 뉴스1, 2021-11-16 [7] 광운대역에서 토요일 및 공휴일 기준 22:26에 출발하는 서동탄행 막차를 놓쳤다면 22:32에 도착하는 열차를 타고 청량리역에 22:43에 도착하는데 청량리역 토요일 및 공휴일 기준 22:49에 출발하는 서동탄행과 연계가 가능하다. [8] 이 문제 때문에 GTX-C노선의 정차역도 석계역이 아닌 광운대역으로 지정된 것이다. 부지가 넓은 광운대역 일대와는 달리 석계역 일대는 여러 지형적 조건으로 인해 대규모 개발이 어렵기 때문이다. [9] 1973년 도봉구로 분구된 것을 거쳐 1988년 노원구로 분리되어 오늘날이 이른다. [10] 도봉산회룡 사이에 있는 월사 망월사역의 오기이다. [11] 「성북역이 광운대역으로 역명 바뀐다」, 코레일뉴스, 2013-02-22 [12] 출처(페이지 접속 불가) [13] 관련 게시글, 출처: 디시인사이드 모노레일 마이너 갤러리 [14] 「광운대역세권 개발계획 확정…2025년 준공 목표」, SBS Biz, 2021-03-21 [15] 여기까지는 철도통계연보의 자료를 반영했다. [경춘] 11월 4일에 개통된 경춘선의 자료는 1호선의 자료에 합산되어 집계된다. [17] 경원선과 가까운 월계시영아파트 주민들 일부도 이 역을 이용하긴 하나, 일부 단지들만이 경원선과 접해 있고 나머지는 전부 마들로와 접해 있어 대부분의 주민들은 버스를 타고 석계역으로 간다. [18] 이 지역에서는 거리상으로는 월계역이 더 가깝지만 경부선 방향은 전부 광운대 착발이기 때문에 배차 간격이 다소 밀리기 때문이다. [19] 관련 게시글, 출처: 디시인사이드 철도(지하철) 갤러리 [20] 구 경춘선 선로의 흔적으로, 현재 인상선으로 사용한다. 이문기지 및 성북기지 입고·출고 대기 열차가 사용한다. [21] 2번 승강장에 이미 대기 중인 열차가 있을 경우 1번 승강장에서 종착하며, 이 경우 1번 승강장에서 승객을 모두 내리게 하고 조금 지나 있는 회차선에서 대기하다가 입고 혹은 2번 승강장에서 경부선으로 운행을 시작한다. [22] 광운대 착발 연천 방면 열차는 4번과 5번 승강장에 대기 중인 열차가 있을 경우 1번 승강장으로 들어와 운행을 시작한다. [23] 경부선 계통은 대부분 이 승강장에서 시·종착하고 별도의 회차 없이 그대로 방향만 돌려서 나간다. [24] 3번 승강장에 이미 대기 중인 열차가 있을 경우 인천 방면 열차가 2번 승강장에서 시·종착한다. [25] 연천 방면에서 오는 광운대 종착 열차는 4번과 5번 승강장에 대기 중인 열차가 있을 경우 3번 승강장으로 들어와 운행을 종료한다. [26] 가끔 경부선 계통 열차가 이 승강장에서 시·종착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 대부분 이문기지 입고 및 출고 차량이다. [27] 관련 게시글, 출처: 모노레일 마이너 갤러리 [28] 삭제된 기사 [29] Twilight 버전, JR-SH-3, Twilight, せせらぎ(세세라기) 버전, 출처: 디시인사이드 철도(지하철) 갤러리 [30] 관련 영상(1분 21초부터 31초까지), 출처: 유튜브 [31] 광운대역을 가로지르는 이 과선교는 월계시영아파트 단지 및 월계1동과의 원활한 왕래를 목적으로 1989년에 준공된 이후 현재까지 35년 동안이나 쓰이고 있어서 다 뜯어고치든 뭐든 해야하긴 했다. [32] 정확히는 2024년 11월까지 노원구청 주도로 노후 콘크리트 난간을 철거하는 방식이고 이후 남은 기간 동안은 현대산업개발이 리모델링 사업으로 육교에 캐노피를 설치한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