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
관련 문서: 한국철도공사 5000호대·6000호대 전동차/현황
한국철도공사 31x000호대 전동차 관련 틀 | ||||||||||||||||||||||||||||||||||||||||||||||||||||||||||||||||||||||||||||||||||||||||||||||||||||||||||||||||||||||||||
|
수도권 전철 1호선 전동차 | |
한국철도공사 |
31x000호대 (
상세 ·
사건 사고 ·
현황) |
서울교통공사 |
1000호대 VVVF ( 현황) 저항 ( 현황) 초저항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2d2f34><tablebgcolor=#fff,#2d2f34> 한국철도공사 31x000호대 전동차 KORAIL 31x000 Series EMU |
312B20편성 (14차분) | |||||
실내 모습 (14~15차분) | |||||
차량 정보 | |||||
<colcolor=#0052a4> 차량형식 | 도시, 광역철도 입선용 통근형 전동차 | ||||
구동방식 | 전기 동력분산식 전동차 | ||||
편성량수 | 10량 1편성 / 6량 1편성 / 4량 1편성 | ||||
생산량수 | 1585량[1] (1539량 + 18량 + 28량) | ||||
운행노선 |
수도권 전철 1호선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311G05편성)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319F08~319F10편성) |
||||
도입년도 | 1세대 |
|
|||
|
|||||
1998년 (3차분) | |||||
2세대 | 2002년 (4차분) | ||||
2003년 (5차분) | |||||
2004년 (6차분) | |||||
3세대 | 2005 ~ 2006년 (7차분) | ||||
2006년 (8차분) | |||||
2012 , 2014년 (9차분) | |||||
2010년 ( 361000호대 전동차 이적분) | |||||
2013 ~ 2014년 (10차분) | |||||
2016년 (11차분) | |||||
4세대 | 2019 ~ 2020년 (12차분) | ||||
2021 ~ 2022년 (13차분) | |||||
5세대 | 2022 ~ 2023년 (14차분) | ||||
2023 ~ 2024년 (15차분) | |||||
미정 | 2027년 예정 (16차분) | ||||
2028년 예정 (17차분) | |||||
2029 ~ 2030년 예정 (18차분) | |||||
2031년 예정 (19차분) | |||||
제작사 |
현대정공 ( |
||||
대우중공업 (3차분) | |||||
현대로템 (4~13차분, 361000호대 전동차 이적분) | |||||
우진산전 (14~15차분) | |||||
소유기관 | 한국철도공사 | ||||
운영기관 | |||||
차량배속 |
구로차량사업소[2] 이문차량사업소[3] 병점차량사업소[4] 시흥차량사업소[5] 문산차량사업소[6] |
||||
차량정비 | 중정비 | 시흥, 문산, 평내 | |||
경정비 | 구로, 병점, 이문 | ||||
편성번호 |
311B24 (10량) 311B32 (10량) 311B35 ~ 311B38 (10량) 311B42 ~ 311B90 (10량) 311B92 ~ 312B56 (10량) 311G01 ~ 311G04 (4량) 311G05 (4량) 319F08 ~ 319F10 (6량) |
||||
차량 제원 | |||||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color=#0052a4> 전장 | 19,500㎜ | |||
전폭 | 3,120㎜ | ||||
전고 | 3,750㎜ | ||||
궤간 | 1,435㎜ | ||||
재질 |
스테인리스 스틸(1~13차분) 알루미늄( 361000호대 전동차 이적분, 14~15차분) |
||||
급전방식 | 단상 교류 25,000V 60㎐ / 직류 1,500V[8] | ||||
신호장비 |
ATS-S1 ATS-S2 |
||||
제어방식 |
도시바
VVVF-
GTO[9] 도시바 VVVF- IGBT 현대로템 VVVF- IGBT(IPM)[M] 우진산전 VVVF- IGBT[M] |
||||
동력장치 |
교류
3상
농형 유도전동기 |
||||
기어비 | 14 : 99 (1:7.07) | ||||
제동방식 | 회생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공기제동 | ||||
최고속도 | 영업 | 110㎞/h | |||
설계 |
110㎞/h(1~10차분) 120㎞/h(11차분~) |
||||
가속도 | 3.0㎞/h/s | ||||
감속도 | 상용 | 3.5㎞/h/s | |||
비상 | 4.5㎞/h/s | ||||
MT 비 |
5M 5T(본선용 차량) (Tc-M-M'-T-M'-T1-T-M-M'-Tc) 2M 2T(광명셔틀) (Tc-M'-M'-Tc) 3M 3T(연천셔틀) (Tc-M-M'-T-M'-Tc) |
}}}}}}}}} |
[clearfix]
1. 개요
수도권 전철 1호선 위주로 운행되는 통근형 전동차로 한국 전동차 중 단일 계열 차종으로는 최다 편성 수를 보유하고 있다.이 차량들은 주로 시흥차량사업소 또는 문산차량사업소에서 중정비를 받는다. 수도권 전동차의 중정비는 각 차량사업소의 여건에 따라(정비 일정 등) 작업 협의 등을 거쳐 배속 외 차량사업소에서도 시행할 수 있다.
2. 편성
- 10량 1편성의 311000호대 및 312000호대와 4량 1편성 혹은 6량 1편성인 319000호대가 존재한다.
- 1호선 구간의 노선 연장과 경인선 복복선화, 경부선 용산~구로 3복선화, 급행 전동차 운행 등에 따른 차량 증비와 당시 내구 연한이 가까워진 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들을 교체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입되었다. 현재 128개 편성이 재적되어 있다. 등록되어 있는 편성 수는 총 129개 편성이나 경춘선 이적분이었던 311B91편성은 경춘선으로 반환된 상태여서 사실상 128개 편성이 재적되어 있다.
- 초기에 10량 1편성으로 도입된 차량은 도입 당시에는 5000호대를 부여받았으나, 현재는 개번을 거쳐 311000호대를 부여받고 이후 차량 재적이 포화되면서 312000호대가 생겼다. 이후 2008년부터 4량 1편성 및 6량 1편성 등 단편성화된 차량들도 등장하고 있으며, 이들은 319000호대를 부여받았다.
- 1~8차분에는 방열구가 동력객차 출입문 우측 하단, 다시 말해 노약자석 창문 밑에 달려 있지만 9차분부터는 방열구가 사라졌다.
1~8차분 방열구 |
2.1. 311000호대·312000호대
한국철도공사 31x000호대 전동차 조성(10량) | |
<colcolor=#0052a4> ↑ 인천( 경원· 경인선), 동인천( 경인선 급행), 서동탄· 천안· 신창( 경부· 장항선) 방면 | |
31#0## (구 50##) (1) | 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
31#1## (구 52##) (2) | M(주변환장치) |
31#2## (구 53##) (3) | 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
31#3## (구 58##) (4) | T(무동력객차, 약냉방차) |
31#4## (구 55##) (5) | 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
31#5## (구 54##) (6) | T1(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
31#6## (구 59##) (7) | T(무동력객차, 약냉방차) |
31#7## (구 56##) (8) | M(주변환장치) |
31#8## (구 57##) (9) | 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
31#9## (구 51##) (10) | 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
↓ 용산( 경인선 급행), 광운대( 경부· 장항선), 연천( 경원· 경인선) 방면 |
2.2. 319000호대
2.2.1. 4량 편성 ( 광명셔틀)
한국철도공사 319000호대 전동차 조성(4량) | |
<colcolor=#0052a4> ↑ KTX광명역, 문산· 임진강 방면 | |
31900# (1) | 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
31910# (2) | 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
31920# (3) | 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
31990# (4) | 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
↓ 영등포, 서울역· 용산 방면 |
2.2.2. 6량 편성
한국철도공사 319000호대 전동차 조성(6량) | |
<colcolor=#0052a4> ↑ 인천 방면 | |
3190## (1) | 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
3191## (2) | M(주변환장치) |
3192## (3) | 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
3193## (4) | T(무동력객차, 약냉방차) |
3194## (5) | 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
3199## (6) | 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
↓ 오이도 방면 |
====# 8량 편성 (예정) #====
한국철도공사 319000호대 전동차 조성(8량) | |
3190## (1) | 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
3191## (2) | M(주변환장치) |
3192## (3) | 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
3193## (4) | T(무동력객차, 약냉방차) |
3194## (5) | T(무동력객차, 약냉방차) |
3195## (6) | M(주변환장치) |
3196## (7) | 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
3199## (8) | 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
3. 분류
자세한 내용은 한국철도공사 31x000호대 전동차/차호별 상세설명 문서 참고하십시오.도입 연식에 따라 15차로 분류된다.
<rowcolor=#ffffff> 분류 | 제어방식 | 도입 | |
<colbgcolor=#0052A4><colcolor=white> 311000호대·312000호대 (10량) | |||
1세대 | <colbgcolor=#0052A4><colcolor=white> 1차분 |
GTO 도시바 |
1996~1997년 (6편성) 전량 퇴역 |
2차분 |
VVVF GTO 도시바 |
1997~1998년 (19편성) 1개 편성 운용 |
|
IGBT 도시바 |
1998년 (2편성) 전량 퇴역 |
||
3차분 |
VVVF GTO 도시바 |
1998년 (8편성) 2개 편성 운용 |
|
VVVF IGBT 도시바 |
1998년 (6편성)[12] 3개 편성 운용 |
||
2세대 | 4차분 | 2002년 (4편성) | |
VVVF GTO 도시바 |
2002년 (2편성) | ||
5차분 | 2003년 (7편성) | ||
VVVF IGBT 도시바 |
2003년 (9편성) | ||
6차분 | 2004년 (2편성) | ||
3세대 | 7차분 | 2005~2006년 (12편성) | |
8차분 | 2006년 (5편성) | ||
9차분 | 2012, 2014년 (7편성) | ||
경춘선 이적분 |
2010년 (8량 2편성) 1개 편성 운용 |
||
10차분 |
2014년 (2량 2편성) 1개 편성 운용 |
||
2013년 (3편성) | |||
11차분 | 2016년 (9편성) | ||
4세대 | 12차분 |
VVVF IGBT 현대로템 |
2019~2020년 (4편성) |
13차분 | 2021~2022년 (8편성) | ||
5세대 | 14차분 |
VVVF IGBT 우진산전 |
2022~2023년 (8편성) |
15차분 | 2023~2024년 (33편성) | ||
319000호대 (4량·6량) | |||
3세대 | 8차분 |
VVVF IGBT 도시바 |
2006년 (4량 5편성) |
1세대 | 2차분 |
IGBT 도시바 |
1998년 (4량 2편성) 전량 퇴역 |
4세대 | 12차분 |
VVVF IGBT 현대로템 |
2019~2020년 (6량 3편성) |
319000호대 (8량) | |||
미정 | 16차분 |
VVVF IGBT 미정 |
2027~2028년 (8량 10편성) 도입 예정 |
3.1. 311000호대·312000호대
2011년부터 전동차 차대번호가 구 5000번대에서 신 311000호대로 변경이 완료되었다. 차호 변경을 하면서 중앙선과 광명행 셔틀용으로 차출된 차량과 사고로 폐차된 5X19편성이 쓰던 번호는 뒤 번호의 차가 쓰는 방식으로 번호(예: 5X20→311B19, 5X81→311B78)를 배정받았다.국내 최초의 VVVF 전동차인 구 한국철도공사 2030호대(현 341000호대/351000호대) 전동차 도입 이후 운행과 정비 도중 축적된 노하우는 이 5000호대(현 311000호대) 전동차에 그대로 반영되었다.
현재 모든 편성은 2008~2013년 사이에 객실 간 연결문이 투명 자동문으로 교체되었다. 2009년(31x000호대는 2012년)부터 도입되는 신차는 모두 자동문이 기본으로 장착되어 나온다.
도입 초반에는 5X01~5X42편성의 경우 열번표시기가 9000번대로 표시된 적이 있었으며, 경인선 용산급행은 용산행을 달고(예: 인천행 K113 열차 → K9113 열차) 다니기도 했다.
3.2. 319000호대
- 광명셔틀( 8차분): 311G01~311G05편성[48] (총 4량 5편성) - 2006년 도입 → 2008년 개조
- 의정부 ↔ 동두천 셔틀( 12차분): 319F08~319F10편성 (총 6량 3편성) - 2019~ 2020년 도입
- 前 광명셔틀( 2차분): 311G06~311G07편성 (총 4량 2편성) (현재 폐차) - 1998년 도입 → 2008년 개조
한국철도공사 최초로 원핸들 주간제어기를 채용한 차량이기도 하다.
광명셔틀 운행구간 중에 경부고속선을 경유하여 KTX의 운행 시간표 변경 시 같이 영향을 받는다.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의 문산 ↔ 서울역, 대곡 ↔ 서울역 구간의 셔틀 열차와 같이 KTX 운행 등으로 인해 자주 운행되지 않는다. 서로 운행하는 노선만 다를 뿐, 특성이나 다른 부분이 비슷한 경우가 많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광명 셔틀이 감편된 시절에 일부가 경의·중앙선 서울역행에 투입된 이력이 있다.
311G01~311G05편성의 차내 모니터가 천장형 LCD로 교체되었다.
<rowcolor=#ffffff> 311G07편성의 운행 모습.(2024년 4월 23일 폐차) 전두부가 2005~2008년까지 생산된 열차의 형태로 개조되어 있다. |
319F08~319F10편성은 6량 편성의 4세대 전동차로, 본래 연천역 ↔ 광운대역 간 셔틀열차로 운행하기 위해 도입한 열차다. 2020년 8월 말에 연천 셔틀 3편성이 모두 시흥차량사업소로 내려왔다. 이후 2024년 2월에 319F10편성이 이문차량사업소로 회송되어 휴차했지만 2024년 8월에 319F10편성이 다시 시흥차량사업소로 복귀했다. 원래는 연천 연장 개통 전까지 수인·분당선( 수인선 구간) 오이도 ↔ 인천 구간 열차로 운행될 예정이었다. 하지만 연천 연장 구간에 10량 열차가 투입됨에 따라 해당 편성 차량의 사용 여부는 아직 미정이다. 수인·분당선 개통 이후에도 오이도 ↔ 인천 간 운행 계통은 존치되며 수인·분당선 중 수인선 구간의 배차를 채우기 위해 현재 319F08~319F10편성이 주로 출퇴근 시간에만 달린다. 다만 이 차량은 ATC 장치가 없어 고색역 ↔ 왕십리역 구간에는 운행할 수 없다. 물론 ATP 구간에도 운행할 수 없다. 수인·분당선 중 분당선 구간 운행을 위한 ATC 개조는 하지 않는 것으로 정해졌다. 추후 양주역 ↔ 동두천역 간 셔틀열차로 운행할 계획이다.
3.2.1. 4량화 및 병결 시도
광명역행 셔틀 열차는 2006년 12월부터 운행하기 시작했으나, 광명역의 이용객이 워낙 저조하여 수요가 거의 없었고, 10량 열차 전체가 거의 빈 채로 다녔다. 결국 한국철도공사가 기존 5X79~5X80, 5X86~5X92, 6X01~6X07편성과 추돌 사고로 파손된 5X19편성의 잔여 차량[14]을 개조, 직류 기기를 떼어내고 4량짜리 셔틀 열차로 만들어 투입했다.[15] 5X79~5X80편성은 팬터그래프가 있는 칸과 운전실 없는 공기압축기가 장착된 객차만 광명셔틀로 개조하고 나머지는 중앙선으로 개조할 목적으로 떼어냈으며, 311G01~311G05편성은 5X79~5X80, 5X86~5X92, 6X01~6X07편성의 차량 중 53XX, 57XX, 55XX, 54XX, 650X, 640X호의 일부 객차를 조합해서 만들어 낸 편성이다.편성별로 개조 전의 차호는 다음과 같다.
<colcolor=#ffffff><colbgcolor=#0052a4> 319000호대 조성 번호 개번하기 전 기준이며, 빨간색은 운전실로 개조한 차량임을 알린다. |
|||||||
<rowcolor=#ffffff> 편성 / 호차 |
1호차 (Tc) |
2호차 (M') |
3호차 (M') |
4호차 (Tc) |
반입년도 | 소속 | |
311G01편성 | 6402 | 5379 | 5779 | 5489 | 8차분 |
2006년 ( 현대로템) |
구로 |
311G02편성 | 6406 | 5380 | 5780 | 6404 | |||
311G03편성 | 5492 | 5579 | 6506 | 5480 | |||
311G04편성 | 5486 | 6504 | 6502 | 5479 | |||
311G05편성 | 6405 | 5580 | 6507 | 6401 | 문산 | ||
311G06편성[A] | 5019 | 5319 | 5519 | 5419 |
|
( 현대정공) |
|
311G07편성[B] | 5819 | 5219 | 5619 | 5919 |
당초 광명셔틀의 4량화를 할 때, 기존의 용산 ~ 광명 구간을 그대로 운행하기 위해서 7개 편성으로 개조한 뒤 투입하려 했다. 하지만 개조 작업 도중 출발역이 변경되어 전체 운행 구간이 짧아지면서 전체 7개 편성 중 2개 편성이 남게 되자, 남은 2개 편성을 병결시켜서 4+4량인 1개 편성을 만든 후 당시 진행 중이던 중앙선의 8량화 작업에 활용할 계획을 세웠었다. 하지만 두 편성끼리 병결할 경우 선두부 차량의 길이와 중간 차량의 길이가 같지 않은 열차의 특성상 스크린도어/승강장 문 위치와 열차 문의 위치가 맞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여 없던 일이 되었다.
19차분이 311B72~311B82편성 대차분으로 지정되었는데 광명셔틀 311G01~311G04, 311G06~311G07편성 대차분은 대차계획이 없다고 나왔는데 신안산선이 개통 후 운행 때 광명역을 경유하기 때문에 빠진 것으로 보인다. 다만 311G05편성은 331000호대 4차분(331G29편성)으로 대체될 예정이다.
3.2.2. 경의선 운행 / 대불선 시험 운행
- 311G03편성과 311G05편성은 경의선의 문산 ~ 서울역, 대곡 ~ 서울역 구간에 투입되어 운행한 적이 있었다. 기지 입·출고를 하거나 첫차, 출퇴근, 막차 시간대일 때만 문산까지 연장 운행을 하고 다른 시간대에는 대곡 ~ 서울역 구간만 운행했다. 후에 대곡 ~ 공덕 급행 열차가 생겼을 때 311G03편성이 다시 경의선으로 가서 운행했다.
- 311G04편성은 자동운전 시험 열차로 차출되어 대불선 구간을 시험 운행한 적이 있었다. 2014년 9월에 문산기지로 다시 돌아온 것이 확인되었다고 한다.
- 311G05편성이 일로역으로 내려간 적이 있었다. 2016년 7월 31일, 갑종회송으로 통해 다시 병점차량사업소로 올라왔다. 당시에 차량 상태가 좋지 않아 보였었는데, 올라올 때 병점차량사업소로 내려가지 못하고 오봉역에서 타절되었었다. 그 이유는 차량에 이상이 생겨서 그렇다고 한다. 8월 8일, 10시경에 다시 일로로 갑종회송될 예정이었으나, 차량에 문제가 발견되어 약 4시간가량 지연된 후 갑종회송되었다. 차량도 2년 동안 세차하지 않아 많이 더러운 상태였다. 이후 영등포 ~ 광명 셔틀로 정상 운행되었다가, 2017년 12월 다시 경의·중앙선 문산 ~ 서울역 구간에 차출되어 운행되었다. 이후 문산차량사업소에서 휴차된 상태로 가끔씩 입환용으로만 사용하고 있다가 2021년 3월 28일에 경의선 구간의 증차를 위해 K2602 다이어로 문산 ~ 임진강 구간에 투입되었고, 현재는 주로 아침, 저녁 시간대 단다이어 위주로 투입이 되고 있다. 가끔 문산 ~ 용산 ~ 문산(K5301 - K5302, K5303 - K5304) 계통으로도 운행되는 경우가 있으며, 문산기지 → 문산 → 임진강 → 문산 → 서울 → 문산 운행도 확인된 바 있다.
3.2.3. 수인선 운행
- 2020년 12월 15일, K6803 인천급행으로 319F08편성이 수인선에서 운행을 시작했다.[18]
- 2020년 12월 23일, K6803 인천급행으로 319F10편성이 수인선에서 운행을 시작했다.
- 2021년 2월 10일, K6803 인천급행으로 319F09편성이 수인선에서 운행을 시작했다.
4. 사건 사고
자세한 내용은 한국철도공사 31x000호대 전동차/사건 사고 문서 참고하십시오.5. 개조 이력
-
4량화 (311G01~311G07편성)
2008년, 311000호대 7차분인 5X79~5X80편성의 중간차와 5X86~5X92편성과 6X01~6X07편성 부수차 일부 그리고 사고로 인해 선두부쪽 2량이 폐차된 5X19편성, 총합 28량에 대해, 일부 중간차에 대하여 선두차화 개조를 실시했다. 다만 5X79~5X80편성의 선두차는 321000호대 전동차의 321C16~321C15편성의 선두차로 편성되었다. 이를 통해 8량 3편성과 2량 2편성은 4량 7편성으로 적절히 개조되었다. 이렇게 개조된 편성들은 319000호대로 개번되어 운행되고 있다. 이 과정에서 5X79~5X80편성이 결번되었으며, 5000호대가 311000호대로 개정될 때 구 5X81편성부터 구 5X85편성까지는 3씩 앞당긴 후 오름차순으로 대응시켜 311B78~311B82편성으로 개정되었다.
-
외부 행선안내기
LED 개조
2003년부터 내장재 불연재화 개조와 함께 외부 행선안내기가 기존의 회전 스크린식(흔히 말하는 롤지)인 1~5차분(311B01~311B63편성)에 대하여 외부 행선안내기를 LED로 변경하는 개조를 실시했다. 불연재화 개조와 함께 2005년에 완료되었다.
-
한국철도공사 신 CI 도색 변경
도입 당시 구 CI로 도입된 311B01~311B52편성과 5X19편성(개조 후 311G06~311G07편성)에 한해, 2005년부터 한국철도공사가 신CI의 코레일 블루(남색)+빨간색으로의 도장 변경에 나섰다. 2006년 6월에 내장재 교체 사업과 함께 도장 변경 사업이 모두 완료되었다. 이후 2016~2017년에 311B33, 311B35, 311B38, 311B41~311B80, 311G01~311G05편성을 341B07, 341B12~341B13, 341B23~341B30, 351F61~351F72편성과 비슷한 시기에 도장 재변경 사업을 했다.
-
교류 전용화 (321000호대 일부)
5X86~5X92편성을 대상으로 한다. 이들은 본래 수도권 전철 1호선의 모든 구간에서 운행이 가능했으나, 2007년에 수도권 전철 중앙선 전동차로 편입되면서 8량으로 감차됨과 동시에, 직류-교류 컨버터와 필터 리액터 등 직류 관련 기기를 떼내서 교류 전용 전동차가 되었다. 직류구간을 뛰지도 않으면서 직류 관련 기기가 달려있으면 정비효율만 저하시킬 뿐이기 때문이다. 이와 동시에 중앙선(現 경의·중앙선)에서만 운용할 수 있게 되어, 차량번호도 321C01~321C07로 변경되었으며 8량화 작업으로 인해 남은 중간차는 새로 신조 투입된 321C15~321C18편성이나 311G01~311G05편성의 중간 객차로 들어갔다. 이 과정에서 내부 행선 안내기를 321C15~321C18편성에 맞춰 LED에서 LCD로 변경하는 개조도 실시했다.
-
운전실 배전반 교체
2019년 전후로 1~8차분(311B01~311B82편성) 운전실의 청록색의 밀폐형 창을 가진 구형 배전반들이 9~11차분(311B83~312B03편성)에 적용된 흰색의 투명 유리창을 가진 신형 배전반들로 교체되었다.
-
바닥재 장판 교체
도입 당시 6차분(311B64~311B65편성)은 바닥재 색상이 전면 하늘색으로 이루어져 있었고 출입문 경고 스티커도 부착되어 있었으며, 좌석 형태와 출입문 위 노선도 부착 공간이 기존 도입분과 다르다. 그러나 하늘색 바닥재는 히터열로 인한 변색 및 훼손이 심해져 311B64편성은 회색 장판, 311B65편성은 파란색 장판으로 교체됐다. 이 과정에서 311B64편성의 출입문 경고 스티커가 제거됐다. 출입문 앞쪽 바닥의 철판 양옆을 유심히 살펴보면 하늘색 바닥재의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
차내
CCTV 설치
2022년부터 2024년까지 2~10차분(311B24, 311B32, 311B35~311B38, 311B42~311B94편성) 및 11차분 일부 편성(311B99~312B03편성)에 기존 311B95~311B98편성과 312B04편성 이후 차량에 미리 적용된 차내 CCTV 및 CCTV를 위한 운전실 모니터가 설치되었다.
<colbgcolor=#0052a4><colcolor=#fff> 차내 CCTV 표기랑 차량기지 배속이 틀린 차량[19] | ||
<rowcolor=#fff> 편성 | CCTV 표기 | 실제 배속 |
311B47, 311B54~311B56, 311B59 |
병점 | 구로 |
311B66~311B69, 312B40 |
구로 | 병점 |
311B71~311B80 | 병점 | 이문 |
-
측면
행선기 비활성화
12차분 전동차가 운행을 개시한 시점부터 Tc칸을 제외한 모든 객차의 측면 행선기를 꺼 놓았다. 12차분 이후 차량부터는 기본적으로 측면 행선기가 Tc칸에만 달려서 나온다.
5.1. 내장재 불연재화 개조
개조 후 (1차: 로윈에서 개조) |
개조 후 (2차: 로윈에서 개조) |
개조 후 (3차: SLS 중공업에서 개조) |
1~3차분 열차의 내장재 개조 시기에 따른 특징은 다음과 같다.
- 로윈(1차): 311B01~311B29, 311G06~311G07편성
- 바닥 장판이 파란색이다.
- TC칸의 비상통화장치가 운전실 벽 중앙에 위치하고 돌출형이다.
- TC칸의 통로문 측 비상통화장치는 좌측 상단에 있고 뚜껑이 두껍다.
- 중간 객차의 한쪽 비상통화장치는 매립형이고 뚜껑이 두껍다.
- 반대쪽 비상통화장치는 돌출형이고 뚜껑이 얇다.
- 좌석 양 끝의 차단막에 있는 코레일 로고 마크가 크다.
- 로윈(2차)[20]: 311B30~311B41편성
- 바닥 장판이 회색이다.
- TC칸의 비상통화장치가 운전실 벽 좌측에 위치하고 돌출형이다.
- TC칸의 통로문 측 비상통화장치는 통로문 우측에 있고 뚜껑이 얇으며 매립형이다.
- 중간 객차의 비상통화장치는 모두 매립형이고 뚜껑이 얇다.
- 좌석 양 끝의 차단막에 있는 코레일 로고 마크가 작다.
4~5차분 열차의 내장재 개조 시기에 따른 특징은 다음과 같다. 단, 4~5차분인 경우 바닥재, 좌석 시트, 손잡이만 개조했다.
- SLS 중공업(3차): 311B42~311B63편성
- 바닥 장판이 파란색이다.
- 바상통화장치를 추가로 설치했다.
- TC칸의 비상통화장치가 운전실 벽 중앙에 위치하고 돌출형이다.
- TC칸의 통로문 측 비상통화장치는 통로문 우측에 있고 돌출형이다.
- 중간 객차의 비상통화장치는 양쪽 모두 돌출형이다.
- 좌석 양 끝의 차단막에 있는 코레일 영문 마크가 크다.
1, 3차 개조분들의 경우 바닥이 파란색으로 되어 있는데 2차 개조분들의 경우 바닥이 회색으로 되어 있어 바닥에 커피 등이 묻었을 때 자국이 많이 남는 편이다.
5X07~5X10편성(개번 후 311B07~311B10편성)은 내장재 첫 개조 시범 대상으로 2003년 11월에 개조되었다.
역시 2003년 12월 ~ 2004년 1월에 개조했던 2X30~2X37, 2X47~2X48, 2X50, 2X55~2X59편성(개번 후 341B01~341B08, 351F01~351F08편성)과 동일하게 분리형 좌석이 달린 전동차는 1호선에 3량이 있는데 현재 311B39, 311B41편성의 일부 무동력 객차에 해당한다. 311B39편성의 7호차는 4호선 출신 341602호, 311B41편성의 4호차는 4호선 출신 341304호, 7호차는 4호선 출신 341604호이기 때문에 좌석이 한 자리씩 분리되어 있고 의자 맨 끝 부분이 파여 있었다.[21] 하지만 현재는 모두 운행중지되어 더 이상 볼 수 없게 됐다.
5.2. 추진제어장치 교체
2003년부터 일부 차량의 추진제어장치(C/I)가 IGBT 방식으로 교체되었다. 도시바제 2레벨 IGBT를 채용했다.(총 91량 생산)- 2006년 2세대 5차분인 311B63편성 (당시 5X64편성)의 311763, 311863호[22]
- 2012년 1세대 3차분인 311B35편성
- 2013년 1세대 2차분인 311G06~311G07편성
- 2015년 1세대 2차분인 311B13, 311B16편성
- 2015년 2세대 5차분인 311B48편성
- 2016년 1세대 3차분인 311B37~311B41편성 (311B39~311B41편성은 중저항 T칸 부수차 포함)
- 2017년 2세대 5차분인 311B54~311B56, 311B59편성
- 2018년 2세대 4차분인 311B42~311B45편성
5.2.1. 2003년 5X64편성(현 311B63편성) GTO/IGBT 병용 사유
원래 계획상으로는 2003년도에 1호선 311B48~311B63편성(당시 5X49~5X64편성)을 우선 도시바 GTO(80량) 소자로 반입하고 그 다음 분당선 선릉~수서 연장 개통을 대비해 351F23~351F28편성(2X82~2X87편성)을 도시바 IGBT(18량) 소자로 반입할 예정이었다. 당시 추진제어장치(C/I) 관련해서도 계약이 그렇게 되어 있었다. 하지만 열차 및 도시바 IGBT 소자 반입이 예정을 따라가지 못하게 되었고, 개통을 앞두고도 같은 상황이 지속되자 결국 계획을 급수정하여 351F23~351F28편성(당시 2X82~2X87편성)을 그냥 도시바 GTO 소자로 반입하고 나머지 도시바 IGBT(18량) 소자를 311B60~311B63편성(당시 5X61~5X64편성)에 장착해서 반입하기로 결정했다. 이 과정에서 311B63편성(당시 5X64편성)만 도시바 GTO(2량) 소자와 도시바 IGBT(3량) 소자가 혼합되어 반입된 것이다.5.3. 객실 간 통로문 자동식 개조
2008년부터 2013년까지 한 편성씩 객실 간 연결문이 자동문(1~2차)으로 모두 교체됐으며 2012년에 도입된 3세대형 9차분부터는 모두 자동 통로문(2차)을 장착해서 도입됐다. 이후 2017년부터 도입되는 4세대형 12차분부터는 자동 통로문(3차)이 2개(319000호대 1개)만 제외하고는 모두 제거되어 도입된다.- 자동 통로문(1차): 311B01~311B30, 311B54~311B56, 311B58~311B60, 311B62~311B63편성
- 자동 통로문(2차): 311B31~311B53, 311B57, 311B61, 311B64~311B82, 311G01~311G07편성
5.4. 출입문 전동화 개조
311B47, 311B51~311B54, 311B58~311B60편성은 출입문이 기존 공기식에서 전동 스크류모터식으로 개조되었다. 개조를 실시함에 따라 출입문 개폐 시 공기 빠지는 소음이 사라졌다. 추가로 311B55~311B57편성도 2015년도 상반기에 전기식으로 개조되었는데 2013년부터 생산되는 신차에 적용되는 저소음 도어가 적용되었다. 해당 차량들은 열릴 때 경고음이 나왔고 닫힐 때는 안 나오다가 아예 출입문 경고음이 나지 않았지만 지금은 안내방송 기기 교체로 경고음이 난다. 노선도 부분에 큰 장치(수동레버)가 붙어서 튀어나와 있는지의 여부로 구분할 수 있다. 이는 비상콕크가 좌석 밑에 설치되는 종전의 공기식 모터와 달리 출입문 옆에 설치되는 전기식 스크류모터를 설치할 만한 공간을 고려하지 않은 구형 전동차의 구조상 어쩔 수 없기 때문이다.- 스크류모터식
- 2013년 2세대 5차분인 311B53~311B54편성
- 2013년 2세대 4차분인 311B47편성
- 2015년 2세대 5차분인 311B51~311B52, 311B58~311B60편성
- 전기식
- 2015년 2세대 5차분인 311B55~311B57편성
6. 조성 변경
2010년 1월, 모종의 사유로 1호선 2차분 5X14, 5X23, 5X25편성(현 311B14, 311B22, 311B24편성)의 조성이 1달간 변경된 적이 있었다.
<colbgcolor=#fff,#181818>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2010년 1월 기준 운행 중인 차량 조성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color=#ffffff><colbgcolor=#0052a4> 2010년 1월 기존 운행 중인 차량 조성 | |||||||||||
변경된 부수객차는 볼드체 및 색깔 표시했다. | ||||||||||||
<rowcolor=#ffffff> 편성 / 호차 |
1호차 (Tc) |
2호차 (M) |
3호차 (M') |
4호차 (T) |
5호차 (M') |
6호차 (T1) |
7호차 (T) |
8호차 (M) |
9호차 (M') |
10호차 (Tc) |
비고 | |
5X14 | 5014 | 5214 | 5314 | 5814 | 5514 | 5414 | 5914 | 5623 | 5723 | 5123 | ||
5X23 | 5023 | 5223 | 5323 | 5823 | 5523 | 5423 | 5923 | 5614 | 5714 | 5125 | ||
5X25 | 5025 | 5225 | 5325 | 5825 | 5525 | 5425 | 5925 | 5625 | 5725 | 5114 |
2012년 하반기부터 2013년 12월 8일까지 311B86~311B87편성은 중앙선 전동차의 객실과 혼용하여 운행했다.
<colbgcolor=#fff,#181818>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2012년 하반기 기준 운행 중인 차량 조성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color=#ffffff><colbgcolor=#0052a4> 2012년 하반기 기준 운행 중인 차량 조성 | |||||||||||
변경된 부수객차는 볼드체 및 색깔 표시했다. | ||||||||||||
<rowcolor=#ffffff> 편성 / 호차 |
1호차 (Tc) |
2호차 (M) |
3호차 (M') |
4호차 (T) |
5호차 (M') |
6호차 (T1) |
7호차 (T) |
8호차 (M) |
9호차 (M') |
10호차 (Tc) |
비고 | |
311B86 | 311086 | 321508 | 311286 | 321408 | 311486 | 311586 | 321412 | 321512 | 311886 | 311986 | ||
311B87 | 311087 | 321513 | 311287 | 321413 | 311487 | 311587 | 321414 | 321514 | 311887 | 311987 |
2014년 하반기에 311B90~311B91편성이 경춘선 361C14~15편성하고 신규객차 각각 2량씩 재조성하여 운행했지만 311B91편성은 361C14편성으로 바뀌어서 경춘선으로 복귀되었다.
<colbgcolor=#fff,#181818>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2014년 하반기 기준 운행 중인 차량 조성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color=#ffffff><colbgcolor=#0052a4> 2014년 하반기 기준 운행 중인 차량 조성 | |||||||||||
변경된 부수객차는 볼드체 및 색깔 표시했다. | ||||||||||||
<rowcolor=#ffffff> 편성 / 호차 |
1호차 (Tc) |
2호차 (M) |
3호차 (M') |
4호차 (T) |
5호차 (M') |
6호차 (T1) |
7호차 (T) |
8호차 (M) |
9호차 (M') |
10호차 (Tc) |
비고 | |
311B90 | 361014 | 361114 | 361214 | 361314 | 311490 | 311590 | 361414 | 361514 | 361614 | 361914 | ||
311B91 | 361015 | 361115 | 361215 | 361315 | 311491 | 311591 | 361415 | 361515 | 361615 | 361915 |
2014년 상반기에 311B53~311B54편성의 객차가 서로 바뀌었으나 2015년 초에 다시 원상복구되었다.
<colbgcolor=#fff,#181818>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2014년 상반기 기준 운행 중인 차량 조성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color=#ffffff><colbgcolor=#0052a4> 2014년 상반기 기준 운행 중인 차량 조성 | |||||||||||
변경된 부수객차는 볼드체 및 색깔 표시했다. | ||||||||||||
<rowcolor=#ffffff> 편성 / 호차 |
1호차 (Tc) |
2호차 (M) |
3호차 (M') |
4호차 (T) |
5호차 (M') |
6호차 (T1) |
7호차 (T) |
8호차 (M) |
9호차 (M') |
10호차 (Tc) |
비고 | |
311B53 | 311053 | 311153 | 311253 | 311353 | 311453 | 311553 | 311653 | 311754 | 311854 | 311953 | ||
311B54 | 311054 | 311154 | 311254 | 311354 | 311454 | 311554 | 311654 | 311753 | 311853 | 311954 |
2017년부터 중저항 출신 부수객차들의 노후화로 인해 조성을 변경하게 되었으며, 2023년까지 311B39~311B41편성까지 총 3개 편성만이 1호선에서 유일하게 조성이 변경되어 있었다. 현재는 3개 편성 모두 기본 내구연한이 만료되어 운행이 중단된 상태이다.
<colbgcolor=#fff,#181818>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2019년 기준 운행 중인 차량 조성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52a4><rowcolor=#ffffff> 편성 | 교체투입된 차량 | 편성제외된 차량 |
<colbgcolor=gray><colcolor=#fff> 311B39 | 341602(7) | 311639(7) | |
311B40 | 311302(4), 311602(7) | 311340(4), 311640(7) | |
311B41 | 341304(4), 341604(7) | 311341(4), 311641(7) |
<colcolor=#ffffff><colbgcolor=#0052a4> 2019년 기준 운행 중인 차량 조성 | |||||||||||
변경된 부수객차는 볼드체 및 색깔 표시했다. | |||||||||||
<rowcolor=#ffffff> 편성 / 호차 |
1호차 (Tc) |
2호차 (M) |
3호차 (M') |
4호차 (T) |
5호차 (M') |
6호차 (T1) |
7호차 (T) |
8호차 (M) |
9호차 (M') |
10호차 (Tc) |
비고 |
311B39 | 311039 | 311139 | 311239 | 311339 | 311439 | 311539 | 341602 | 311739 | 311839 | 311939 | |
311B40 | 311040 | 311140 | 311240 | 311302 | 311440 | 311540 | 311602 | 311740 | 311840 | 311940 | |
311B41 | 311041 | 311141 | 311241 | 341304 | 311441 | 311541 | 341604 | 311741 | 311841 | 311941 |
<colbgcolor=#fff,#181818>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2022년 기준 운행 중인 차량 조성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52a4><rowcolor=#ffffff> 편성 | 교체투입된 차량 | 편성제외된 차량 |
<colbgcolor=gray><colcolor=#fff> 311B39 | 341602(7) | - | |
311B40 | 341313(4), 341613(7) | 311302(4), 311602(7) | |
311B41 | 341304(4), 341604(7) | - |
<colcolor=#ffffff><colbgcolor=#0052a4> 2022년 기준 운행 중인 차량 조성 | |||||||||||
변경된 부수객차는 볼드체 및 색깔 표시했다. | |||||||||||
<rowcolor=#ffffff> 편성 / 호차 |
1호차 (Tc) |
2호차 (M) |
3호차 (M') |
4호차 (T) |
5호차 (M') |
6호차 (T1) |
7호차 (T) |
8호차 (M) |
9호차 (M') |
10호차 (Tc) |
비고 |
311B39 | 311039 | 311139 | 311239 | 311339 | 311439 | 311539 | 341602 | 311739 | 311839 | 311939 | |
311B40 | 311040 | 311140 | 311240 | 341313 | 311440 | 311540 | 341613 | 311740 | 311840 | 311940 | [23] |
311B41 | 311041 | 311141 | 311241 | 341304 | 311441 | 311541 | 341604 | 311741 | 311841 | 311941 |
편성 제외된 객차들은 현재 모두 매각되었다.
7. 노후화 및 유지보수 문제
2024년 기준으로 일부 차량들이 도입된 지 20년이 도래하면서 갈수록 노후화가 심각해지고 있다. 특히 4~5차분(311B42~311B63편성)의 경우 경부선 병점 이남 구간이 역간 거리도 길고 장시간 고속으로 오랫동안 주행을 하다 보니 노후화가 심각해졌으며, 2022년에는 직류 구간에서의 주 퓨즈 문제로 인해 일부 차량들이 한동안 용산 ↔ 동인천 급행으로만 운행했었다가 한동안 다시 완행에도 활발하게 투입되고 있었지만, 2024년 10월 기준 현재 4~5차분 편성 대부분이 다시 용산 ↔ 동인천 급행 위주로만 운행 중이다.7~8차분(311B66~311B82편성)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역간 거리가 긴 구간을 장시간 고속으로 주행하다 보니 차령이 20년에 육박하면서 차량 노후화가 진행 중에 있으며, 특히 차내 소음 및 굉음 문제마저도 발생하고 있다.[24] 여담으로 311B66~311B76, 311B78, 311B81~311B82편성일 경우 출입문 경고 스티커가 한쪽(311000호대를 앞에서 보았을 때 오른쪽 면)만 부착되어 있다. 나머지 311B77, 311B79~311B80편성은 출입문 경고 스티커가 모두 부착되어 있고 광명셔틀 311G01~311G05편성일 경우 객차마다 다르다.
2~3차분 중 6개 편성(311B24, 311B32, 311B35~311B38편성)은 이미 기본 사용 연한인 25년이 지난 차량으로, 해당 차량들 역시 노후화가 진행 중에 있다. 311B24편성의 경우 정밀안전진단을 받은 뒤에도 얼마 안 되어 공기압축기 등 여러 부품의 노후화로 인해 2023년 8월부터 한동안 이문차량사업소에만 있다가 동년 11월에 운행에 복귀한 적도 있으며, 311B32편성의 경우 2024년 1월에 역곡역 부근에서 팬터그래프 부분이 터지는 사태가 발생하기도 했다. 이후에도 311B35편성 일부 객차의 출입문이 고장난 채로 운행에 투입되는 등 전반적인 관리 상태가 좋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그러다가 2024년 10월 22일부터 출입문 도어엔진 고장 다발로 인해 운행에 투입되지 못하고 있으며, 현재 6개 편성 모두 점검 및 수리 중이다.
새로 도입된 14~15차분 차량들이 운행 도중 전장품이 터지는 심각한 결함으로 인해 대다수가 경부선 투입이 중지된 상황이며 2~3대 정도만 간간이 경부장항선에 투입되고 있으나 그마저도 병점/서동탄이나 천안까지만 투입하고 있으며, 신창까지 투입하는 경우는 아주 드물다. 다만 2024년 7월 이후로는 안정화되어서 다시 활발하게 투입되고 있다.[25]
8. 관련 문서
- 수도권 전철 1호선
- VVVF
- 한국철도공사 321000호대 전동차: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용 전동차 - 311000호대의 옛 번호인 5000호대 시절에 존재했던 5X86~5X92편성이 교류 전용화 개조를 받고 중앙선에서 운행 중이다. 5X85편성까지는 현재 311000호대로 개편되었다. 한마디로 1호선 전동차에서 중앙선 차량이 되어 현재의 경의중앙선까지 이어지게 된 것이다.
- 한국철도공사 331000호대 전동차: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용 전동차
- 한국철도공사 341000호대 전동차: 수도권 전철 4호선용 전동차[26]
- 한국철도공사 351000호대 전동차: 수도권 전철 분당선, 수인선용 전동차[27]
- 한국철도공사 361000호대 전동차: 수도권 전철 경춘선용 전동차 - 361C14~361C15편성이 1호선으로 이적되면서 직교류 겸용 및 10량화 개조를 통해 311B90~311B91편성으로 바뀌었다. 하지만 311B91편성은 2017년에 8량으로 환원되어 경춘선 전동차 361C14편성으로 복원되었다.
- 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 수도권 전철 1호선용 전동차로, 이 전동차 시리즈의 전신이다. 노후화 및 내구연한, 차량 수명 만료로 2020년까지 전량 퇴역한 상태이다.
[1]
311B01~311B23, 311B25~311B31, 311B33, 311G06~311G07편성 폐차, 311B34, 311B39~311B41편성 휴차 및 311B91편성의
경춘선 환원 상태이므로 현재 1220량이 운행 중이다. 또한 5X19편성 중 5719, 5119호는 개번 전 조기폐차, 311B39~311B41편성 중 311639, 311340, 311640, 311341, 311641호 T(무동력)칸 5량은
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 출신, 311B90~311B91편성 중 16량은
한국철도공사 361000호대 전동차 출신이므로 생산량수에서 제외된다.
[2]
311B32편성, 311B35~311B38편성, 311B42~311B59편성, 311B83~311B90편성, 311B92~312B15편성, 312B41~312B56편성, 311G01~311G04편성
[3]
311B24편성, 311B71~311B82편성, 312B16~312B29편성
[4]
311B60~311B70편성, 312B30~312B40편성
[5]
319F08~319F10편성
[6]
311G05편성
[7]
구 361C15편성 → 311B91편성 → 현 361C14편성
[8]
319000호대 차량은 교류 전용으로 직류 장비는 없다.
[9]
2차분부터는
우진산전이 면허생산한 소자를 쓴다.
[M]
미쓰비시 소자 기반이다.
[M]
[12]
10량 3편성 + 9량 1편성 + 8량 2편성
[48]
311G05편성은
경의·중앙선에서 운행 중이다.
[14]
5019-5319-5519-5419가 311G06편성으로, 5819-5219-5619-5919가 311G07편성으로 개조되었다.
[15]
이는 일본의
583계가
715계로
마개조 될 때 그대로 반영되었다.
[A]
2024년 4월 24일 폐차
[B]
2024년 4월 23일 폐차
[18]
관련 게시글, 출처: 네이버 블로그
[19]
해당 차량들은 CCTV 설치 이후에 차량기지 배속이 바뀌었기 때문이다.
[20]
조성이 변경되며 대신 연결된 일부 객차는 제외
[21]
1993년산 4호선과 1993~1994년산 수인·분당선 초기형 차량들의 의자는 모두 이렇게 구성되어 있다. 현 341B01~341B08, 351F01~351F08편성이 해당 차량이다. 341B04편성은 1호선 311B01의 부수객차 8량이 들어가 TC칸만 해당되고 341B07편성은 4호선 341B13펀성의 부수객차 2량이 들어가 10량 중 8량만 해당된다.
[22]
2세대 5차분 중 유일한 GTO/IGBT 짬뽕이었던 311B63편성 (구 5X64편성)이 나머지 객차도 IGBT로 교체되면서 모든 객차가 통일되었다.
[23]
2022년 1호선 차량 내구연한 만료로 조성이 변경되었다.
[24]
그래도 비슷한 시기 경의·중앙선의 321000호대보다는 나은 상태이다. 경고스티커와 경고음, 심지어 출입문 위 노선도가 없거나 비정상적으로 작게 인쇄되어 있는 등 문제가 있기도 하다.
[25]
차량의 문제가 아니라, 가선 전력의 품질 문제가 원인이었다. 현재는 변전소에 회로적 보완을 하여, 많이 개선된 상황.
[26]
1기형,
2기형 열차의 기초가 되었다.
[27]
현재는
수인·분당선용 전동차이며,
1기형,
2기형 열차의 기초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