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3-26 10:03:11

퇴계원역

폐역 성북 - [ruby(신공덕, ruby=~2010)] - [ruby(화랑대, ruby=~2010)] - 퇴계원
퇴계원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일반열차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용산역|
용산 방면
]] 상 봉
← 8.3 ㎞
[[춘천역|
춘천 방면
]] 사 릉
3.3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수도권 전철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파일:GyeongchunLine_icon.svg
[[청량리역|
청량리 방면
]] 별 내
← 1.6 ㎞
[[수도권 전철 경춘선|
경춘선
(P125)
]]
[[춘천역|
춘천 방면
]] 사 릉
3.3 ㎞ →
[[수도권 전철 경춘선|
경춘선
급행
]]
}}}}}}}}} ||
다른 문자 표기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로마자 Toegyewon
한자 退溪院
간체자
가나 [ruby(退渓院, ruby=トェゲウォン)] }}}
주소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경기도 남양주시 퇴계원읍 경춘북로 545
(퇴계원리 218-142)
}}}
관리역 등급
보통역(3급)
( 춘천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수도권동부본부)
운영 기관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경춘선 한국철도공사 }}}
개업일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경춘선 1939년 7월 20일
경춘선 2010년 12월 21일
파일:ITXCheongChun_WhiteLOGO.png 2012년 2월 28일 }}}
역사 구조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지상 3층 }}}
승강장 구조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2면 5선 쌍섬식 승강장 }}}
철도거리표
[[망우역|
망우 방면
]] 별 내
← 1.6 ㎞
경춘선
퇴계원
[[춘천역|
춘천 방면
]] 사 릉
3.3 ㎞ →
{{{#!folding 폐선 철도거리표 보기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광운대역|
성북 방면
]]--[[화랑대역(경춘선)|화랑대]]
← 5.4 ㎞
옛 경춘선
퇴계원
[[춘천역|
춘천 방면
]] 사 릉
3.3 ㎞ →
}}}}}} ||
이 역과 사릉역 사이에 왕숙역이 건설될 예정이다.

1. 개요2. 역 정보3. 일평균 이용객4. 승강장5. 역 주변 정보6. 연계버스7.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파일:attachment/toegyewon.jpg
3대 역사(2010년 준공)
파일:퇴계원역 구역사.jpg
2대 역사(1971년 준공, 2010년 철거)

수도권 전철 경춘선 P125번. 경기도 남양주시 퇴계원읍 경춘북로 545 (퇴계원리 218-142) 소재.
왕숙천의 흐르는 물을 담다
퇴계원역은 1939년 경춘선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 1970년 화재로 역사가 소실되어 이듬해 역사를 신축 준공하면서 인근 다른 역들에 비해 빠르게 철근콘크리트 현대식 역사로 지어졌다. 2010년 경춘선 복선전철화로 옛 경춘선 철길 중 성북-퇴계원 구간이 폐선되고, 새롭게 망우-퇴계원 구간이 신설되었는데, 구불구불했던 선로를 개량하면서 많은 역사가 그 위치가 바뀐 것과는 달리, 퇴계원역은 그 자리에서 새로운 시작을 맞이하게 되었다. 새롭게 들어선 역사는 유동인구가 높은 역사답게, 이용객들의 동선을 고려한 설계와 퇴계원을 지나 한강으로 흘러드는 왕숙천의 물이 변화하는 이미지를 타는 곳 지붕에 표현한 것이 특징이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2. 역 정보

현재의 역사는 세 번째 역사이다. 경춘선 개업 때부터 있던 역이었고,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한 데다, 한국전쟁 때도 역사는 소실되지 않았다고 한다. 하지만 1970년 12월 17일에 일어난 화재로 역사가 소실되어 1971년 6월 1일에 두번째 역사를 완공했다.

1988년 1월 1일부터 소화물 취급이 중지되었고, 2009년 10월 31일부터는 화물 취급도 하지 않게 되며, 오로지 여객 취급만 하다가 2010년 7월 22일부터 신역사 건설+구역사 철거를 위해 여객 취급을 중지했었는데[1] 이 역에 정차하던 모든 열차는 사릉역에 대신 정차했었다. 9월 25일부터는 임시 여객 통로를 이용하여 고상홈에 만들어진 임시승강장에서 여객을 취급했다가 12월 21일부터는 수도권 전철 경춘선이 개통되면서 전철역이 되었다.

필수정차역은 아니었지만 꽤 많은 무궁화호가 정차했고, 그만큼의 수요도 있었다. 2010년 12월 21일부터는 새 역사에서 업무를 시작했다.

이 역에서 군사보호구역화되면서 폐역된 구 갈매역 사이에는 군부대 군용물자 이동을 위한 기존 경춘선 선로가 남아있다. 구 갈매역과 화랑대역 사이의 기존 경춘선 철로는 철거되어 있다.

3.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37b366><bgcolor=#37b366> 연도 ||
파일:ITX-청춘 BI.svg
|| 파일:GyeongchunLine_icon.svg ||<bgcolor=#37b366> 총합 ||<bgcolor=#37b366> 비고 ||
2010년 4,610명 [2]
2011년 5,097명
2012년 53명 5,428명 5,481명 [3]
2013년 86명 5,775명 5,861명
2014년 103명 6,219명 6,322명
2015년 141명 6,653명 6,794명
2016년 146명 6,584명 6,730명
2017년 141명 6,755명 6,896명
2018년 157명 6,827명 6,984명
2019년 172명 7,145명 7,317명
2020년 160명 5,635명 5,795명
2021년 135명 5,887명 6,022명
2022년 156명 6,174명 6,330명
2023년 170명 6,582명 6,752명
출처
한국철도공사 광역철도 수송통계 자료실

  • 하루 평균 이용객이 7,000여 명에 육박하여 경춘선 안에서는 상위권에 속한다.
  • 반면에 ITX-청춘 이용객은 하루 140여명 수준으로 당장 모든 열차를 통과시켜도 전혀 지장이 없을 만큼 이용률이 저조하다.
  • 이용객의 대다수는 퇴계원읍 주민과 인근의 군인[4]이다. 이 둘이 퇴계원역 수요의 거의 대부분이라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 퇴계원 중심을 가로지르는 도로를 통해서 진접읍으로 곧바로 이어지지만, 진접에서 오는 환승객은 많지 않다. 이 쪽에서 오는 버스 노선들이 노선상 퇴계원역 앞에 정차하지 않고 그냥 지나치기 때문이며, 정차하려면 좁은 골목길을 따라 들어가야 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장현쪽 원도심이 아닌 금곡리 택지지구에서는 사릉역까지 가는게 더 효율적이기도 하다.[5]
  • 퇴계원 주민들의 고정 수요가 꽤 있는 편이지만, 여전히 경춘선 복선전철화 이전처럼 버스를 통해 서울이나 구리로 나가는 수요가 더 많은 편이다. 퇴계원이라는 지역 자체가 원래 버스 교통이 편한 동네[6]이기도 한데다가 경춘선은 퇴계원 주민들의 주요 행선지인 구리를 가지 않고 서울도 상봉방향으로 가기 때문에 버스로는 바로 갈 수 있는 강남, 광진구, 노원구와의 연계가 영 좋지 않기 때문이다. 20~30분 수준의 무지막지한 배차 간격과 상봉역에서 끊겨 서울 도심 부도심으로 가려면 경춘선에서 내려서 적어도 두 번은 더 갈아타아 한다는 점 등이 수요 증가에 발목을 잡고 있기 때문이다.
  • 이러한 단점들이 있지만 출퇴근 시간에는 선호도가 높은데, 근처 도로들이 워낙 심하게 막히는 바람에 출퇴근 시간에는 위의 단점을 상쇄할만한 경쟁력이 생기기 때문이다.[7] 게다가 경춘선은 전철과 선로를 공유하고 대피시켜줘야 할 열차가 주로 ITX-청춘 말고는 잘 없고, 배차간격이 넓은 만큼 정시성 하나만큼은 코레일 소속 광역전철 노선들 중 평균 이상으로 보장되므로 시간만 맞춰 나온다면 사실 버스에 비해 스트레스를 덜 받을 수 있다. 그리고 출퇴근 시간에는 배차가 좀 늘기 때문에 좀 낫다. 또한 출퇴근 시간에 맞춰 급행 열차가 운행중이라 서울과 경기, 강원으로 빠르게 진입할 수 있다.[8] 사실 결정적으로 선호도를 높게 해주는 원인은 역 접근성으로, 퇴계원사거리에서 좀 떨어져있다고는 하나 그래도 역에서 반경 500m 내에 들어가는 주거지가 경춘선치고 많은 편이다. 물론 이는 퇴계원읍이 전국에서 제일 작은 읍이라서 그렇다.[9]

4. 승강장

파일:퇴계원역1.jpg
수도권 전철 경춘선 승강장[10]
사릉
| 1 2 | | 3 4 | |
별내
1·2 파일:GyeongchunLine_icon.svg 수도권 전철 경춘선 완행·급행 하행 평내호평· 마석· 청평· 가평· 춘천 방면
1·2 경춘선 파일:ITX-청춘 BI.svg 하행 평내호평· 마석· 청평· 가평· 춘천 방면
3·4 파일:GyeongchunLine_icon.svg 수도권 전철 경춘선 완행·급행 상행 갈매· 신내· 상봉· 청량리· 광운대 방면
3·4 경춘선 파일:ITX-청춘 BI.svg 상행 상봉· 청량리· 왕십리· 옥수· 용산 방면
4번승강장 옆에 한가닥 더 선로가 있는데, 이 선로는 구 경춘선 선로(현 군 전용선)와 연결되어 있으며 비전철화 상태이다.
2, 3번선에서 스크린도어가 가동중이다. 1, 4번선은 2023년에 설치될 예정이다. #

5. 역 주변 정보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퇴계원IC는 퇴계원 이름을 따오긴 했지만 구리시 사노동에 있는 반면, 퇴계원역은 정확하게 남양주시 퇴계원읍에 위치해 있다. 퇴계원역 바로 앞에 있는 경춘북로는 원래 47번 국도였으나 구리남양주 국대도( 금강로)가 개통하면서 금강로를 43번 국도, 46번 국도, 47번 국도 중복 지정하고 경춘북로에 대한 국도 지정을 해제하였다.

이 역 바로 앞에는 남양주 버스 202, 남양주 버스 땡큐30, 남양주 버스 땡큐90을 탈 수 있다. 역 뒷편의 퇴계원읍사무소로 가면 1156이 있었지만, 2021년 8월 이후로 쌍용예가아파트 앞으로 종점이 이동했고 2023년 6월에 신설된 115번이 1156번을 대체한다.[11] 과거에는 9-2(현 92번), 7-5도 이곳으로 다녔으나 전철 개통을 앞둔 2010년 4월 1일부로 둘 다 노선이 바뀌어 다니지 않는다[12] 대체제로 1-5번이 들어왔지만 2013년에 없어졌고 202만 남게 됐으나 2020년 2월 19일, 남양주 공공형 버스인 땡큐버스 땡큐 90번, 2020년 4월 29일, 땡큐 30번이 개통되면서 역 앞 정류장에 세 개의 노선이 다니게 되었다. 서울방향으로 걸어서 가면 나오는 퇴계원극동아파트 정류소에서는 여러 방면으로 가는 버스노선이 많아 아주 편하다.[13] 걸어서 5분정도 걸린다. 옛날에도 과거시험을 보기 위해 지방 사람들이 꼭 들렸다고 한다. 퇴계원은 옛날부터 교통의 요지였던 셈. 광역전철역 외에도 고속도로도 뚫려 있다.[14]

사릉역 방향으로 왕숙천을 건너기 전과 상봉역 방향으로 왕숙천을 건넌 후에 양쪽으로 2군지사 예하부대가 있으며 이 중 일부가 퇴계원뉴타운구역에 엮여들어가서 부대이전을 하게 되었다. 이 중에 일부 부지는 2017년 2월 롯데그룹의 소유가 됐다. 롯데그룹 사드 포대 부지 용도로 국방부 경북 성주군 롯데스카이힐 성주C.C를 제공함에 따라 국방부가 그에 상응하는 조건으로 부대 부지 중 일부를 맞교환하는 형식으로 롯데그룹에 넘겨준 것이다. 해당 부지가 군용지에서 민간 소유 부지로 전환됨에 따라 이 자리에 있던 부대는 포천시 남양주시 일대 다른 부대로 분산 재배치되고 그 자리에는 롯데건설이 짓는 롯데캐슬 브랜드의 주상복합 건물이 지어질 예정이...었으나 2019년 1월 23일 정부가 발표한 '국유재산 토지개발 선도사업지' 계획에 의하면 공공주택과 IT기반 신산업 육성을 위한 부지로 사용된다고 한는데 아직까지 아무런 진척이 없다. 남양주뉴스

구 경춘선 선로 시절에 지어진 철교도 여전히 왕숙천에 있으며 이 철교는 자전거도로로 재활용되어 있다.

육군훈련소 상무대, 자운대등 후방 교육기관에서 배출된 신병들이 경기도 지역으로 자대배치를 받으면 이 역에 내려서 앞서 설명한 군부대에서 버스를 타고 며칠동안 대기하기 위해 306보충대로 향했다. 그래서 이 역에 TMO가 있고, 매주 목요일 오후[15] 이 역 앞에서 의류대 매고 좌우로 정렬하고 집합하는 신병들을 볼 수 있다."OO군단 우측으로 열외!" , "OO사단 우측으로 열외!"[16]최악이다. 좀 심하면 울고 싶은 정도.(...)] 경춘선 성북-갈매 구간 폐선 전에는 화랑대역에서 하차 후 버스로 306보충대로 이동하기도 했다. 하지만 306보충대가 폐지되면서 이런 풍경은 없어지고 대신 퇴계원역 앞에 군용 버스나 전세버스를 여러대 타고 자대로 이동한다. 1번 홈에 정차하고 병력들을 하차한 후 춘천역으로 향한다.

춘천시에도 퇴계동이라는 동네가 있는데, 남춘천역에서 김유정역으로 나가는 쪽에 있다. 아파트가 꽤 많이 들어섰기 때문에 가칭 퇴계역을 추가해 달라는 여론이 굉장히 높은데, 이렇게 되면 이 역에 이어 퇴계 이름이 들어가는 역이 하나 더 생기는 셈이다.

참고로 1층에 이디야 커피가 있었다. 현재는 1층의 이디야 커피와 스토리웨이는 사라지고 두 점포가 입점해 있던 자리에 카페베네가 들어섰다. 이디야커피는 퇴계원초 맞은편에 있다.

6. 연계버스

퇴계원역 연계 버스 정보
정류소 구분 노선
퇴계원역.엘리시아아파트
(23069)
<colcolor=#ffffff> 시내
땡큐
퇴계원역.엘리시아아파트
(23070)
시내
땡큐

7. 둘러보기

파일:GyeongchunLine_icon.svg 수도권 전철 경춘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178c72> 중앙선
망우선 ( 파일:Seoulmetro7_icon.svg 파일:GJLine_icon.svg 상봉) -
경춘선 }}}※ 상봉역은 망우선의 역은 아니지만, 망우선을 지날 때 상봉역을 거쳐 간다. }}}}}}
타 노선의 역 둘러보기

경춘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취소선: 폐역
}}}}}}}}}



[1] 이 때문에 한동안 사릉역까지 대체버스가 운행하기도 했다. [2] 경춘선의 자료는 개통일인 12월 21일부터 12월 31일까지 11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3] ITX-청춘의 자료는 운행 개시일인 2월 28일부터 12월 31일까지 308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4] 이 근처에 있던 2군지사 예하 모 부대는 현재 다른 곳으로 이전해서 없다. [5] 물론 진접선 개통 이후에는 상봉, 망우 또는 마석, 가평, 춘천 등으로 이동할 거 아니면 4호선으로 다 이동해버려서 옛날 이야기다. [6] 진접에서 출발한 11, 2000번은 퇴계원에서부터 고속도로를 타며 구리나 태릉입구로 가는 다른 노선들도 많다. [7] 주변에 신도시들이 들어서면서 안 그래도 막히던 길이 확장을 했음에도 근 10년 동안 더 막히기 시작했다. 게다가 이미 퇴계원에 오기 전에 버스는 이미 진접, 의정부, 별내면 등에서 다 차서 오기 때문에 미어터진다. [8] 출퇴근시간에 강남이나 노원으로 갈 경우 미어터지는데다 차까지 막히는 버스를 타느니 차라리 상봉에서 7호선 타는게 훨씬 낫다. [9] 읍 승격전에는 제일 작은 면이었다. [10] 스크린도어 설치 전 촬영하였다. [11] 다만 1156번은 퇴계원을 크게 1바퀴를 돌고서 서울로 갔다. 종점이 이동된 이유에는 평소에 좁은 도로에서 회차를 해야한다는 안전상의 이유와 읍사무소 건설로 정류장이 이동되었기 때문이다. [12] 같은 날 진접지구 버스들이 운행사 통합 등으로 인해 대대적으로 개편되었으며 92번은 퇴계원부터 옛 8번의 코스를 따라 광릉내까지 연장되었고 7-5번은 1-5번과 퇴계원구간을 맞바꿨다. [13] 115번도 여기서 타는 쪽이 더 낫다. [14] 물론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의 정체는 어떻게 할 수가 없다. [15] 본래는 금요일이었으나 목요일로 바뀌었다. [16] 하는 군인들 입장에선 그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