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14 10:28:26

박한철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E6B366"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초대
조규광
제2대
김용준
제3대
윤영철
제4대
이강국
제5대
박한철
제6대
이진성
제7대
유남석
제8대
이종석
}}}}}}}}}
박한철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헌법재판소 휘장.svg 헌법재판소 재판관 ( 대통령 임명)
김희옥
노무현 대통령 임명
박한철
이명박 대통령 임명
유남석
문재인 대통령 임명

파일:무궁화장 약장.png
국민훈장 무궁화장 수훈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1960
프랭크 윌리엄 스코필드
교육가· 독립운동가
1969
이인
법조인· 독립운동가
1969
닐 암스트롱 · 마이클 콜린스 · 버즈 올드린
우주비행사
1969
이종순
제헌국회의원
1969
조동식
교육인
1970
김수환
추기경
1970
백낙준
교육인
1970
이상백
-
1971
유일한
기업인
1976
박일경
교육인
1980
권승렬
독립운동가, 법조인
1982
권영대
교육인
1982
김상만
언론인
1985
이숙종
교육인
1987
이병철
기업인
1989
이방자
교육인, 영친왕비
1991
강영훈
국무총리
1991
김병관
언론인
1994
김호길
교육인
1995
곽윤직
법학자
1996
장기려
의사
1998
고흥문
국회의원
1998
주영하
교육인
2000
이건희
기업인
2002
김재준
종교인
2002
문창모
의학자
2006
김희수
의학자, 교육인
2006
이종욱
의사, WHO 사무총장
2006
정재헌
법조인
2007
권영우
교육인
2007
장훈
체육인
2008
진창현
바이올린 제작자
2009
김정수
정치인
2010
이영덕
국무총리
2010
조용기
종교인
2010
황장엽
북한정치인, 탈북자
2011
이태석
종교인, 의사
2011
김준엽
독립운동가, 교육인
2012
헬렌 펄 매킨지(매혜란)
선교사
2012
김평우
법조인
2012
정몽구
기업인
2013
남덕우
국무총리
2015
권광중
법조인
2016
이근
의사
2017
박한철
법조인, 헌법재판소장
2017
반기문
외교관, UN사무총장
2017
양승태
법조인, 대법원장
2018
김종필
국무총리
2018
노회찬
정치인
2018
박재갑
의사
2018
이석태
법조인
2018
조규광
법조인, 헌법재판소장
2018
한승헌
법조인, 감사원장
2018
정세균
국회의장
2019
윤한덕
의사
2019
이국종
의사
2020
이이화
사학자
2020
전태일
노동운동가
2020
문희상
국회의장
2021
최종태
기업인
2022
박병석
국회의장
2023
송창근
기업인
2023
김박
기업인
2023
자승
종교인
}}}}}}

역임한 직위
[ 펼치기 · 접기 ]
----
파일:검찰 CI (흰색).svg
서울동부지방검찰청 검사장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000,#DDD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초대
명동성
제2대
황선태
제3대
김희옥
제4대
선우영
제5대
이승구
제6대
이복태
제7대
김종인
제8대
박한철
제9대
이재원
제10대
송해은
제11대
석동현
제12대
한명관
제13대
황윤성
제14대
송찬엽
제15대
박민표
제16대
봉욱
제17대
조희진
제18대
한찬식
제19대
조남관
제20대
고기영
제21대
이수권
제22대
김관정
제23대
심우정
제24대
임관혁
제25대
황병주
}}}}}}}}}}}}}}}}}}

파일:검찰 CI (흰색).svg
대구지방검찰청 검사장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000,#DDD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초대
오완수
제2대
박승준
제3대
소진섭
제4대
정재환
제5대
정순석
제6대
임석무
제7대
오성덕
제8대
김사용
제9대
김찬수
제10대
방재기
제11대
김병화
제12대
이봉성
제13대
김선
제14대
이선중
제15대
김성재
제16대
김덕문
제17대
조태형
제18대
박원호
제19대
한옥신
제20대
홍순일
제21대
정익원
제22대
이동봉
제23대
강우영
제24대
변무관
제25대
박준양
제26대
이영욱
제27대
안경상
제28대
강용구
제29대
김기춘
제30대
김동철
제31대
박종철
제32대
전재기
제33대
정경식
제34대
정성진
제35대
지창권
제36대
최명선
제37대
김상수
제38대
최경원
제39대
신현무
제40대
강신욱
제41대
전용태
제42대
신광옥
제43대
송광수
제44대
김진환
제45대
김영진
제46대
박태종
제47대
김성호
제48대
정동기
제49대
박상길
제50대
권재진
제51대
문효남
제52대
김종인
제53대
박한철
제54대
김영한
제55대
김진태
제56대
신종대
제57대
이경재
제58대
조영곤
제59대
최재경
제60대
오광수
제61대
이영렬
제62대
전현준
제63대
노승권
제64대
박윤해
제65대
여환섭
제66대
조재연
제67대
김후곤
제68대
주영환
제69대
신응석
}}}}}}}}}}}}}}}}}}

파일:검찰 CI (흰색).svg
대검찰청 공공수사부장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000,#DDD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대검찰청 공안부장 (1973~2019)
초대
설동훈
제2대
강우영
제3대
김태현
제4대
한옥신
제5대
김태현
제6대
박준양
제7대
정치근
제8대
이창우
제9대
최상엽
제10대
정경식
제11대
이건개
제12대
변재일
제13대
최환
제14대
안강민
제15대
최병국
제16대
주선회
제17대
진형구
제18대
김각영
제19대
이범관
제20대
박종열
제21대
이정수
제22대
이기배
제23대
홍경식
제24대
강충식
제25대
권재진
제26대
이귀남
제27대
이준보
제28대
박한철
제29대
노환균
제30대
신종대
제31대
임정혁
제32대
송찬엽
제33대
오세인
제34대
정점식
제35대
권익환
제36대
오인서
제37대
박찬호
대검찰청 공공수사부장 (2019~현재)
제37대
박찬호
제38대
배용원
제39대
이정현
제40대
김유철
제41대
박기동
}}}}}}}}}}}}}}}

파일:검찰 CI (흰색).svg
울산지방검찰청 검사장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000,#DDD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초대
박주환
제2대
주선회
제3대
명로승
제4대
정진규
제5대
곽영철
제6대
김재기
제7대
안영욱
제8대
권재진
제9대
김태현
제10대
천성관
제11대
박한철
제12대
노환균
제13대
김학의
제14대
남기준
제15대
박청수
제16대
조영곤
제17대
강경필
제18대
변찬우
제19대
봉욱
제20대
박정식
제21대
한찬식
제22대
박윤해
제23대
송인택
제24대
고흥
제25대
이수권
제26대
이주형
제27대
노정환
제28대
한석리
}}}}}}}}}}}}}}}}}}
}}} ||
<colbgcolor=#911B2B><colcolor=#E4B477> 대한민국 제5대 헌법재판소장
박한철
朴漢徹 | Park Han-chul
파일:1705219352074_caugk9_2_0.jpg
출생 1953년 3월 26일 ([age(1953-03-26)]세)
경상남도 부산시
(現 부산광역시)
본관 밀양 박씨
현직 동국대학교 법과대학 석좌교수
재임기간 헌법재판소 재판관 ( 이명박 대통령 임명)
2011년 2월 1일 ~ 2017년 1월 31일
제5대 헌법재판소장 ( 박근혜 대통령 임명)
2013년 4월 12일[1] ~ 2017년 1월 31일
가족 배우자 윤복자[2](2019년 1월 14일 사별)
학력 인천축현국민학교[3] (졸업)
인천중학교 (졸업)
제물포고등학교 (졸업)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사법학 / 학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법학 / 석사)[4]
서울시립대학교 (법학 / 명예박사)
병역 대한민국 육군 병장 만기전역
종교 불교
수훈 2017년 국민훈장 무궁화장

1. 개요2. 약력3. 생애
3.1. 헌법재판소장
4. 여담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 법조인. 제5대 헌법재판소장을 역임했다.

2. 약력

3. 생애

1981년 제23회 사법시험에 합격하여 사법연수원을 수료했다. 사법연수원 기수는 13기. 1984년부터 검사로 재직했다.

2007년에 검사장으로 승진하여 울산지방검찰청 검사장으로 영전하였고, 대검찰청 공안부장, 대구지방검찰청 검사장을 거쳐 2011년 서울동부지방검찰청 검사장을 끝으로 검찰에서 퇴직했다. 이후 김앤장 법률사무소에서 근무했다.

2011년에 이명박 대통령에 의하여 헌법재판관으로 임명되었고, 2013년 4월 박근혜 대통령에 의해 헌법재판소장에 임명되었으며, 임기는 2017년 1월까지다.[5] 검사 출신으로는 최초의 헌법재판소장이다.

2014년 통합진보당 해산을 통해 대중들에게도 알려졌으며 2016년 박근혜 대통령 탄핵정국이 발발하면서 국민적인 주목을 받는 인물이 되었다.

독실한 불교 신자로 헌재소장 퇴임 후에는 사찰에서 공직 생활을 돌아보며 마음을 닦고 있다고 한다. #

2017년 가을학기(9월)부터 모교인 서울대 로스쿨 초빙교수로 임명돼 후학 양성에 나선다. 초빙교수 신분으로 개인 연구활동을 하는 한편 학부·대학원생 등을 대상으로 특강이나 세미나 등을 맡게 된다. 임용 기간은 일단 1년이다.

2019년 9월,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초빙교수로 임명되었다. #

2022년 10월 10일, 법률신문 기사인 [내가 쓴 책] 《헌법의 자리》(박한철 제5대 헌법재판소장·동국대 법대 석좌교수 著)에 의해 동국대학교 법과대학 석좌교수로 재직 중임이 알려졌다. 사실 9월 27일자 기사인 박한철 前 헌법재판소장, 《헌법의 자리》 펴내를 통해서도 알 수 있다.

3.1. 헌법재판소장

  • 2016년 12월 9일, 국회에서 대통령(박근혜) 탄핵소추안이 가결되어 탄핵소추의결서가 헌법재판소로 이송되면서, 탄핵심판 사건에 대한 심리에 참여하게 되었다. 만약 그의 임기 중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탄핵 인용 가부를 선고하게 된다면, 2010년대 대한민국의 굵직한 3개의 헌법재판( 통진당 사건, 간통죄 사건 포함)을 모두 그의 임기 중에 판단한 것이 된다. 또한 그는 취임한 이래 그동안 대한민국 최고의 사법기관으로 여겨져 온 대법원과 사안마다 어깨를 나란히 하며 대립하면서 양대 최고 사법기관 중 하나의 장으로서 지위를 누렸다. 중요한 사건이 있을 때마다 역사에 이름을 남긴 최고 사법기관의 장으로서, 이번 탄핵심판을 어떻게 판단하느냐에 따라서 그에 대한 평가는 크게 엇갈릴 전망이다. 역사적인 탄핵심판 판결인 만큼 모든 재판관들이 참가하여 판결을 내릴 수 있도록 탄핵을 1월내에 마무리 할 것이라는 추측이 나왔으나, 임기 내에 판결을 내리기에는 현실적으로 무리였다. 현 다수설은 이정미 재판관의 임기 만료전인 2월 하순~3월 초 내에 판결이 될 것이라는 관측이며, 박한철 헌법재판소장 역시 25일 탄핵심판 9차 변론에서 이정미 재판관의 퇴임 시점인 3월 13일 전까지는 탄핵심판이 선고해야한다는 의견을 밝혔다. 결국 2017년 1월 31일 퇴임하면서 심리는 8인 체제로 이루어지게 되었다. 또한 박한철 헌법재판소장은 퇴임사에서 "대통령의 직무정지 상태가 벌써 두 달 가까이 이어지고 있는 상황의 중대성에 비추어, 조속히 이에 대한 결론을 내려야 한다"는 언급을 하였다. # 결국 이정미 재판관의 퇴임 전인 3월 10일 만장일치 인용으로 결론을 내렸다.

4. 여담

  • 판사나 검사들이 주로 사법시험에 합격한 후 군법무관으로 임관하여 장교로 복무하는 것과 달리 박한철 전 소장은 사병으로 군 복무를 마쳤다. 대학을 졸업하고 현역병으로 육군에 입대, 병장으로 만기 전역한 뒤 일반 직장에 다니다 사법시험에 합격했다고.
  • 삼성 도청 테이프 사건으로 2005년까지 검찰 내에서 삼성장학생들을 관리해온 것이 알려지면서 검찰을 떠난 홍석조와 서울법대 71학번 동기로서 막역한 사이였다고 한다.
  • 황교안, 조대환과 사법연수원 동기이기도 하다. 친한 사이였다고. 나아가 삼성전자 김상균 법무팀장과도 동기라 논란이 일었다.
  • 검찰 출신이라는 자부심이 상당하다는 소문이 있다. 검사 시절부터 자신은 부패하지 않고 투명한 검사라는 것을 강조하기 위해[6] 가발을 쓰지 않았다는 후문이 있다.
  • 2019년 1월 14일 상처(喪妻)하였다.


[1] 헌법재판소 재판관 재임 중 임명. [2] 1955년생 (향년 64세), 슬하는 없다. [3] 인천축현초등학교. [4] 석사 학위 논문: 새로운 類型의 國際刑事司法共助制度에 관한 硏究 (1992) [5] 헌법재판소장 헌법재판관 중에서 임명한다고 되어 있는 헌법규정에 따라 헌법재판관 재임 중 임명되었으므로, 헌법재판관의 임기가 시작된 2011년 2월부터를 기준으로 6년간이 그 임기가 된다. 박한철 본인이 헌법재판소장으로 임명될 때 그와 같은 의견을 밝힌 바 있다. # [6] 탈모 환자들이 주로 사용하는 맞춤형 가발은 그 가격대가 상당히 비싸다. [7] 원래부터 헌법재판소와 대법원은 경쟁관계이다. 한 사건의 재판담당이 자신의 영역이라고 서로 판결문에 쓴 적도 있다. 자세한 사항은 헌법재판소 문서의 대법원과의 대립각 부분, 위헌 문서의 갈등의 씨앗 부분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