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17 23:15:15

모윤숙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현재 회원
[분과별 예술 분야]
문학분과: 소설, 시, 아동문학, 평론
미술분과: 건축, 공예, 동양화, 서양화, 서예, 조각, 태피스트리
음악분과: 국악, 바이올린, 성악, 작곡, 지휘, 첼로, 피아노
연극분과: 극작, 무대미술, 연기, 연출
영화분과: 감독, 시나리오, 연기
무용분과: 무용
문학분과 미술분과 음악분과 연극·영화·
무용분과
유종호 전뢰진 안형일 김정옥
김우창 이신자 황영금 임권택
황동규 최종태 이경숙 조흥동
이근배 윤명로 이재숙 최청자
김원일 이종상 서계숙 박정자
서정인 유희영 한명희 김숙자
한말숙 박광진 윤대성
김후란 엄태정 나인용 김지미
김화영 김숙진 나덕성 손숙
김주연 강찬균 신수정 정승희
오세영 최의순 이경숙 김민희
정현종 정상화 김민 박명숙
유안진 윤승중 이영자 손진책
정연희 홍석창 백병동 정지영
김주영 조정현 장혜원 이호재
오정희 김형대 김성길 신영균
신달자 이철주 윤미용 신구
윤흥길 - 정진우 이강백
천양희 - 이만방 안성기
전상국 - 김우진 김긍수
최동호 - - -
권영민 - - -
김광규 - - -
작고 회원
문학분과 미술분과 음악분과 연극·영화·
무용분과
박종화 고희동 박태준 안종화
염상섭 이상범 현제명 이규환
조연현 장발 이주환 유치진
유치환 손재형 김성태 이해랑
서정주 배렴 김동진 오영진
윤백남 김환기 성경린 변기종
오상순 윤효중 김영의 서항석
이헌구 노수현 김원복 이광래
김동리 도상봉 정훈모 김동원
황순원 김인승 이흥렬 박진
김말봉 배길기 임원식 김정환
곽종원 허백련 김생려 이진순
모윤숙 이종우 김세형 조택원
신석초 김은호 이혜구 유한철
박영준 이병규 이상춘 이병일
김광섭 장우성 장사훈 이원경
이은상 김경승 김자경 김천흥
박화성 이순석 김기수 김소동
박목월 오지호 박민종 김충실
백철 김종영 전봉초 차범석
최정희 박영선 김성진 유현목
안수길 박득순 정희석 송범
윤석중 천경자 홍원기 장민호
오영수 이유태 황병덕 김수용
김기진 유영국 정회갑 최금동
임옥인 류경채 김순열 임성남
구상 김원 김순애 이근삼
손소희 김기창 이성천 신봉승
이범선 이종무 황병기 김기영
조병화 김충현 이인영 박현숙
김춘수 이준 백낙호 김문숙
정한모 허건 권오성 강성희
김윤성 박노수 강석희 김지헌
박연희 권옥연 김남윤 임영웅
선우휘 백문기 이규도 이병복
정한숙 문학진 박노경 김기덕
신동집 남관 백성희
강신재 이대원 박조열
박양균 권순형 황정순
한무숙 오승우 송수남
김성한 이광노 김학자
전숙희 윤영자 변장호
홍윤숙 권영우 남궁원
김남조 손동진 오현경
이호철 민경갑
김종길 조수호
김요섭 이수덕
홍성유 서세옥
문덕수 김흥수
이어령 김병기
박두진 한도용
서기원 송영방
조경희 권창륜
성찬경
김윤식
최일남
박완서
이청준
박희진
오탁번
신경림 }}}}}}}}}

파일:국회휘장(8대).svg 전국구 제8대 국회의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word-break: keep-all"
민주공화당
29석
김종필 정일권 백두진 ~~~~ 길재호
김형욱 권오병 ~~~~ 황종률 이동원
이종우 유봉영 홍승만 모윤숙
최용수 이해랑 강병규 강성원
문창탁 권일 김성두 신광순
박태원 박철 전정구 장덕진
이도선 김현숙 편정희 김옥자
노진환
신민당
24석
유진산 김대중 홍익표 김홍일
김의택 유청 정헌주 이종남
이세규 편용호 김준섭 채문식
이상조 신도환 김재화 김용성
강필선 오세응 유성범 정규헌
이대우 오홍석 박종률 김윤덕
}}}
}}}}}}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835B38><tablebgcolor=#835B38>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835B38><tablebgcolor=#835B38>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장덕진 김임식 양찬우 류승원 김숙현
이병희 이윤학 차지철 오치성 서상린
최영희 박명근 김유탁 김재춘 오학진
김용호 최돈웅 이교선 장승태 김재순
한병기 이우현 김진만 민기식 육인수
김원태 정구중 이정석 이해원 김용태
김제원 이병주 김종익 이상익 최종성
장영순 박승규 김세배 김종철 박성호
유기정 전휴상 길병전 이정우 이병옥
장경순 김상영 김중태 고재필 문형태
박준호 길전식 윤재명 정간용 임충식
정판국 오중열 박종진 윤인식 손재형
강재구 김병윤 정무식 백남억 박준규
김봉환 김상년 문태준 오준석 정진화
박숙현 김인 고우진 김창근 권성기
구태회 최재구 이학만 최세경 엄기표
정우식 김영병 신동관 민병권 홍병철
현오봉 김종필 정일권 백두진 김형욱
권오병 이동원 이종우 유봉영 홍승만
모윤숙 최용수 이해랑 강병규 강성원
문창탁 권일 김성두 신광순 박태원
박철 전정구 장덕진 이도선 김현숙
편정희 김옥자 노진환 }}}
}}}}}}

파일:금관문화훈장 약장.png
금관문화훈장 수훈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1974
조택원
무용가
1975
안수길
소설가
1976
홍종인
언론인
1977
최석채
언론인
1978
방정환
독립운동가, 아동문학가
1979
고유섭
미술사학자
1980
전봉초
음악가
1981
김소월
시인
1982
이효석
소설가
1982
조지훈
시인
1983
홍승연
언론인
1983
천관우
언론인
1983
이육사
독립운동가, 시인
1984
이원수
아동문학가
1984
장발
미술가
1985
강소천
아동문학가
1986
홍진기
언론인
1987
김남중
언론인
1990
모윤숙
시인
1990
주시경
독립운동가, 국어학자
1994
김상만
언론인
1994
나운영
음악가
1994
이숭녕
국어학자
1995
공병우
한글연구가
1995
김소희
국악인
1995
문신
미술가
1995
정명훈
음악가
1995
이대원
미술가
1995
류경채
미술가
1996
송석하
민속학자
1996
신용호
기업인
1996
조병화
시인
1997
신순남
미술가
1997
홍두표
언론인
1997
최창봉
언론인
1997
정진숙
출판인
1997
고병익
역사학자
1998
방우영
언론인
1998
김연준
작곡가
1999
방일영
언론인
1999
방종현
국어학자
1999
김세형
음악가
1999
이유태
미술가
1999
김흥수
미술가
1999
장준하
독립운동가, 언론인
1999
송건호
언론인
2000
황순원
소설가
2000
백남준
미술가
2000
서정주
시인
2001
김기창
미술가
2001
김천흥
국악인
2001
장우성
미술가
2001
김수영
시인
2001
최영희
역사학자
2002
임권택
영화감독
2002
오지호
미술가
2003
박동진
국악인
2003
윤석중
아동문학가
2004
구상
시인
2004
이혜구
음악사학자
2005
박성용
기업인
2005
정세영
기업인
2006
신상옥
영화감독
2006
김동원
연극인
2006
차범석
극작가
2006
조남철
바둑기사
2007
송도균
언론인
2007
노성대
언론인
2007
송범
무용가
2008
박경리
소설가
2008
이청준
소설가
2008
김영랑
시인
2009
유현목
영화감독
2010
전숙희
수필가
2010
앙드레 김
패션 디자이너
2010
김영환
군인, 6.25전쟁기 해인사 폭격명령 거부
2011
박완서
소설가
2012
지관
해인사 주지
2012
이건희
기업인
2012
허동수
기업인
2012
김형규
국어학자
2013
이우환
미술가
2014
호머 헐버트
선교사, 한글 체계화 공헌 및 한글 보급·한글 홍보 공로
2014
전형필
문화재수집가
2014
이은관
국악인
2016
백성희
연극인
2016
임영웅
연극인
2017
박맹호
출판인
2018
최인훈
소설가
2018
이영희
한복 디자이너
2018
정지용
시인
2018
황병기
국악인
2020
서세옥
미술가
2019
김성환
시사만화가, 대표작《 고바우 영감
2020
손창근
미술품소장가
2021
윤여정
영화배우
2021
이어령
문화부장관, 작가, 정치인 겸 문학평론가
2021
박서보
화가
2022
송기숙
작가
2022
송해
희극인
2022
김우창
문학평론가
2022
김지하
시인
2022
이정재
배우
2022
황동혁
감독
2023
이미자
대중음악인
2023
조수미
성악가
2023
이미경
기업인
2024
이문열
소설가
}}}}}}}}} ||
대한민국 제8대 국회의원
모윤숙
毛允淑
파일:모윤숙.jpg
<colcolor=#ffffff><colbgcolor=#808080> 출생 1910년 3월 5일
함경남도 원산시
사망 1990년 6월 7일 (향년 80세)
서울특별시
본관 광주 모씨
학력 원산보통학교 (졸업)
함흥영생보통학교 (졸업)
함흥 영생여자고등보통학교 (졸업)
호수돈여자고등보통학교 (졸업)
이화여자전문학교 (졸업)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 / 제적)
이화여자대학교 (문학 / 명예박사)
배우자 안호상(이혼)
종교 개신교 ( 감리회)
의원 선수 1
의원 대수 8
비고 친일파 708인 명단 등재
친일반민족행위자 명단 등재
친일인명사전 등재

1. 개요2. 생애3. 낙랑클럽4. 여담5. 대중매체에서6. 같이 보기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 언론인, 기자, 수필가, 정치인, 시인이자 친일반민족행위자.

2. 생애

파일:Yoon Sook Mo.png
젊은 시절의 모윤숙.

1910년 3월 5일 함경남도 원산시에서 모학수의 차녀로 태어났다. 본관은 광주 모씨[1]이고 원적지는 평안북도 정주군이다. 이화여자전문학교 문과를 졸업하고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 문학과(영문학 전공) 선과[2]로 입학했으나 2학년 때 제적됐다.

이광수의 소개로 만난 안호상 결혼하였지만 딸 경선을 낳고 바로 이혼하였으며 1990년 서울특별시에서 80세의 나이로 별세할 때까지 평생 홀몸으로 살아 왔다고 한다.[3]

초기 작품인 <피로 색인 당신의 얼골을>은 ' 일제 치하에서 민족적인 진로를 모색하는 의미와 정열적인 삶을 추구하는 시인의 지향'이 엿보인다는 평가를 받기도 하며 1937년 출간된 그녀의 산문집 <렌의 애가>는 1978년까지 53판이 출간될 정도로 스테디셀러로 꾸준히 판매된 책이며 1969년 김기영 감독에 의해 영화화되기도 했다.

태평양 전쟁 시기 각종 친일 단체에 가입하여 학병 지원 관련 강연과 저술로 친일 행각을 활발하게 펼쳤다. 특히 매일신보 기사글을 찾아보면 고정 필진급이다. 당시 그녀와 함께 친일반민족행위에 앞장섰던 여성계 지도자들이 박마리아, 김활란, 노천명 등인데 공교롭게도 이들 여성 친일반민족행위자들은 8.15 광복 이후 일제히 반공을 부르짖으면서 독재 정권의 앞잡이가 되었다.

1940년 11월 조선문인협회 간사를 맡아 1943년 4월까지 활동했다. 1941년 1월 『삼천리』에 시 「지원병에게」, 5월 『매일신보』에 시 「아가야 너는-해군 기념일을 맞이하여」를 발표했고 같은 해 9월 임전대책협력회가 ‘채권가두유격대’를 꾸려 ‘애국채권’을 팔 때 종로대원으로 참가했으며 조선임전보국단의 경성지부 발기인 겸 산하 부인대의 간사를 겸임했다. 같은 해 12월 조선임전보국단 사업부 부원을 맡았고 부민관에서 열린 조선임전보국단 결전부인대회에서 「여성도 전사(戰士)다」라는 제목으로 연설했다.

1942년 2월 조선임전보국단 부인대의 군복 수리 근로와 조선임전보국단과 국민총력 경성부연맹이 주최한 ‘저축강조 전진 대강연회’ 연사, 5월 조선임전보국단 부인대 주최 ‘군국의 어머니 좌담회’, 12월 ‘대동아전(大東亞戰) 1주년 기념 국민시 낭독회’에 참여했다. 1943년 3월과 8월 작사한 군국 가요 「군국의 어머니」와 「어머니의 희망」이 방송되었고, 8월 경성부와 대일본부인회 경성지부가 공동 개최한 부인계발강연회에 ‘시국에 처한 부인의 각오’란 주제로 강연했다. 같은 해 11월 12일자 『매일신보』에 시 「내 어머니 한 말씀에」를 발표하고, 조선교화단체연합회가 육군특별지원병제도를 선전 선동하기 위해 조직한 전위여성격려대의 강사로 활동했다. 1945년 7월 국민총력조선연맹의 후신인 국민의용대의 경성부 연합 국민의용대 결성식에 참석했다.
파일:Korean Commission to UN with French diplomats.jpg
1948년 12월, 프랑스 파리 샤오궁에서 열린 제3차 유엔 임시총회 한국 대표단이 대한민국의 독립을 위해 힘써준 프랑스 외무성 직원들과 감사의 만찬을 하고있는 모습. 오른쪽 끝 한복입은 여자가 모윤숙, 그 뒤로 사람 하나건너 장기영, 가장 뒤 정중앙에 장면, 그 왼편 하나건너 조병옥, 가장 왼쪽 끝에서 두번째 여자가 김활란.

1948년 제3차 UN 총회 한국 대표로 참가해서 외교관으로 활동했다는데 사실 모윤숙이 제대로 활동한 것은 이승만 지지를 위한 로비 활동이었다.

1948년 당시 남한 단독 정부를 반대하던 인도 외교관 벵갈릴 크리슈난 크리슈나 메논[4]과 교제하면서 이승만 지지 측으로 회유시켰는데 그녀는 이에 대해서 "만일 나와 메논 단장과의 우정 관계가 없었더라면 단독 선거는 없었을 것이며 따라서 이승만 박사가 대한민국 대통령 자리에 계셨다는 것도 생각할 수 없는 사실일 것이다."[5]라고 했고 메논은 이 심정 변화에 대해서 "외교관으로 있던 오랜 기간 동안 나의 이성(reason)이 심정(heart)에 의해 흔들린 것은 내가 유엔 조선 임시 위원단 단장으로 있던 그때가 처음이자 마지막이었다. 나의 심정을 흔들었던 여성은 한국의 유명한 여류 시인 '매리언 모(모윤숙)'였다."고 표현했다.[6] 이후 "건국의 아버지는 크리슈나 메논이고 건국의 어머니는 모윤숙이다"라는 비웃음이 당시 세간에 퍼졌다.

1948년부터 이화여자대학교에서 국문학 강사로 출강했으며, 부산 피난지와 휴전 후에도 이화여대에서 강의를 이어갔다. 이후 정식으로 교수로 임용되었다.

대한민국 국군이 서울을 수복한 후에는 선무 방송에 참여해 종군했다.

1955년에는 국제펜클럽 한국 대표로, 1960년에는 한국본부 회장으로 활동했다. 1971년에는 민주공화당 공천으로 제8대 국회의원을 역임했으며, 국민훈장 모란장, 3·1문화상을 수상했다.

제5공화국에서는 문학진흥재단 이사장을 지냈고, 1981년에는 대한민국 예술원 회원이 되었다.

1990년 서울 중앙병원에서 별세했다. 1991년에는 금관 문화훈장이 추서되었다.

이후 민족정기를 세우는 국회의원모임과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파 명단에 선정되었으며, 총 12편의 친일 작품이 밝혀져 2002년 발표된 친일 문학인 42인 명단과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발표한 705인 명단에도 포함되었다.

3. 낙랑클럽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낙랑클럽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25 전쟁이 지속 중이던 시기에 외국인 대상 사교클럽을 만들기도 했는데 이것이 1951년[7] 이승만의 지시로 만들어진 '낙랑클럽'이다. 모집 조건은 영어 능통한 이화여자전문학교 출신자였고 총 100여 명 정도[8]가 소속되었으며 이들은 이화여자전문학교 혹은 숙명여자전문학교 출신[9]으로 영어 능통자라는 조건이었다.

4. 여담

  • 남동생 모기윤(毛麒允, 1912~1983)은 시인, 아동극작가, 국문학 교수로 활동했으며, 시인으로의 대표작으로는 1980년대 응원곡으로 널리 불린 " 이기자 대한건아"가 있다. 누나와는 달리 친일 행위에 가담하지 않았으며, 정반대로 조선어학회 회원(당시 비교적 어린나이였었기에, 조선어학회 대표회원 33인은 아니었음)으로서 독립운동에 앞장섰다. 8.15 광복 직후인 1945년 8월 17일 모기윤은 "왜놈 간수들이 일본으로 도망갈 준비를 하면서, 자신들의 전범 행위 증거를 없애려 함흥형무소에 수감 중인 독립운동가 선생님들을 다 죽이고 불 지르고 도망가려 한다."는 정보를 입수하고 즉시 교회 청년들 30~40여 명을 모아놓고 "이 놈의 자식들아! 지금 해방됐다고 마냥 기뻐할 때가 아니다! 왜놈들 못 막으면 우리 선생님들 다 돌아가시게 생겼다! 함흥형무소로 가자!"를 외치며 몽둥이를 들고 청년들과 함흥형무소 앞으로 달려가서 "독립운동했다고 죄없이 잡아가둔 우리 선생님들을 석방하라! 이틀 전에 조선이 독립했는데 왜 아직까지 우리 선생님들을 풀어주지 않고 있느냐! 감옥 안에서 왜놈들이 우리 선생님들께 무슨 짓을 저질렀길래 못 풀어주느냐!"라고 소리치며 형무소 철문을 몽둥이로 두드리며 당장 파옥하겠다고 시위를 벌이고 함흥 관할 일본검찰청의 조선인 검사를 다그쳐서, 심한 고문으로 인해 거의 반송장 상태로 죽기 직전이던 최현배, 리극로등의 조선어학회 회원을 비롯한 많은 독립운동가들을 대거 구해냈다. (당시 목격자 증언 : 이근엽 연세대학교 명예교수) 친남매 지간임에도 누나는 친일반민족행위자고 남동생은 독립운동가였다.

5. 대중매체에서

  • 2006년 KBS 드라마 서울 1945에 등장 인물로 소유진이 분한 문석경도 모윤숙이 모델이다. 해방이전 행적으로는 문석경은 피아노로, 모윤숙은 글을 발표하면서 적극적인 친일을 하는 것이 유사하다. 극중 해방 이후에 문석경이 미군정을 위로하기 위한 사교클럽, 모던클럽을 조직하고 거기서 마담으로 활동하는 것도 모윤숙의 낙랑클럽에서 따왔다. 그런데 문석경과는 별개로 모윤숙이라는 실존 인물 자체도 극 중에 언급으로 등장한다.[11]
  • 2008년 영화 원스 어폰 어 타임에서 동방의 빛 환송회에서 밥맛 떨어지는 얼굴로 친일 시를 낭독하는 여자가 나오는데 아무리 봐도 모윤숙을 모델로 한 것 같다. 아니면 모윤숙의 절친이었고 같이 친일을 한 노천명일 수도 있겠다. 그 뒤에 이어서 마쓰이 오장 드립치는 남자는 서정주가 모델인 듯하다.

6. 같이 보기



[1] 해당 본관은 전국에 1,000명도 안되는 희귀 본이며 모씨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함평 모씨와는 한자부터가 다르다. [2] 경성제대 예과를 거치지 않고 예과 수준의 타 학교 학력을 인정받아 소정의 시험을 통해 선발하는 과정이다. 경성제대 예과는 남학생만 입학할 수 있었으나 선과를 통한 입학은 여학생도 가능했다. 선과는 본과와 같이 수업을 듣고 시험을 봤으나 학위는 주지 않았는데 선과를 통해 본과로 입학하거나 편입할 수도 있고 검정시험에 통과해 학사 학위를 받을 수 있었다. [3] 안호상은 훗날 유우정과 재혼하게 되고 1남 3녀를 뒀다. [4] 단독 정부 수립 등 복잡한 상황에서 유엔 조선 임시 위원회 중립국 대표로 한국에 방문했다. [5] 신동아 1983년 2월호 [6] 런던에서 찍어낸 자신의 자서전 내용이다. [7] 이건 모윤숙의 주장인데 실제로는 미군정기에 설립되었다는 것이 정설이다. 낙랑클럽에 소속된 인물 중 하나가 김수임인데 김수임은 6.25 전쟁 직전에 리강국 사건으로 총살되었기 때문이다. 미군 CIC 보고서에 의하면 낙랑클럽의 설립 시기는 1948년에서 1949년으로 추정된다. [8] 적게 잡은 경우가 50명, 많이 잡은 경우는 최대 300명 이상. 당장 모윤숙의 말부터 논란이 있고 관련 글들마다 이야기가 조금씩 다르다. [9] 많은 경우는 이화여자대학교만 언급되는데 머릿수를 많이 잡는 경우에는 숙명여자대학교도 포함된다. [10] 한국전쟁당시 경기도 광주 근처 산골에서 숨어 지내던 작자가 국군의 시체를 보고 썼다고 한다 [11] 18회 방영분에서 경성에서 학교를 다니던 김연경(김해경의 동생. 조안 분)이 어머니에게 정신대 모집 공고문을 보여주며 "아침에 학교에 모윤숙 씨가 왔었다."는 언급으로 지나간다. 극 중에서도 열심히 정신대 홍보를 하고 다닌 모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