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현재 회원 | |||
[분과별 예술 분야] 문학분과: 소설, 시, 아동문학, 평론 미술분과: 건축, 공예, 동양화, 서양화, 서예, 조각, 태피스트리 음악분과: 국악, 바이올린, 성악, 작곡, 지휘, 첼로, 피아노 연극분과: 극작, 무대미술, 연기, 연출 영화분과: 감독, 시나리오, 연기 무용분과: 무용 |
||||
문학분과 | 미술분과 | 음악분과 |
연극·영화· 무용분과 |
|
유종호 | 전뢰진 | 안형일 | 김정옥 | |
김우창 | 이신자 | 황영금 | 임권택 | |
황동규 | 최종태 | 이경숙 | 조흥동 | |
이근배 | 윤명로 | 이재숙 | 최청자 | |
김원일 | 이종상 | 서계숙 | 박정자 | |
서정인 | 유희영 | 한명희 | 김숙자 | |
한말숙 | 박광진 | 윤대성 | ||
김후란 | 엄태정 | 나인용 | 김지미 | |
김화영 | 김숙진 | 나덕성 | 손숙 | |
김주연 | 강찬균 | 신수정 | 정승희 | |
오세영 | 최의순 | 이경숙 | 김민희 | |
정현종 | 정상화 | 김민 | 박명숙 | |
유안진 | 윤승중 | 이영자 | 손진책 | |
정연희 | 홍석창 | 백병동 | 정지영 | |
김주영 | 조정현 | 장혜원 | 이호재 | |
오정희 | 김형대 | 김성길 | 신영균 | |
신달자 | 이철주 | 윤미용 | 신구 | |
윤흥길 | - | 정진우 | 이강백 | |
천양희 | - | 이만방 | 안성기 | |
전상국 | - | 김우진 | 김긍수 | |
최동호 | - | - | - | |
권영민 | - | - | - | |
김광규 | - | - | - | |
작고 회원 | ||||
문학분과 | 미술분과 | 음악분과 |
연극·영화· 무용분과 |
|
박종화 | 고희동 | 박태준 | 안종화 | |
염상섭 | 이상범 | 현제명 | 이규환 | |
조연현 | 장발 | 이주환 | 유치진 | |
유치환 | 손재형 | 김성태 | 이해랑 | |
서정주 | 배렴 | 김동진 | 오영진 | |
윤백남 | 김환기 | 성경린 | 변기종 | |
오상순 | 윤효중 | 김영의 | 서항석 | |
이헌구 | 노수현 | 김원복 | 이광래 | |
김동리 | 도상봉 | 정훈모 | 김동원 | |
황순원 | 김인승 | 이흥렬 | 박진 | |
김말봉 | 배길기 | 임원식 | 김정환 | |
곽종원 | 허백련 | 김생려 | 이진순 | |
모윤숙 | 이종우 | 김세형 | 조택원 | |
신석초 | 김은호 | 이혜구 | 유한철 | |
박영준 | 이병규 | 이상춘 | 이병일 | |
김광섭 | 장우성 | 장사훈 | 이원경 | |
이은상 | 김경승 | 김자경 | 김천흥 | |
박화성 | 이순석 | 김기수 | 김소동 | |
박목월 | 오지호 | 박민종 | 김충실 | |
백철 | 김종영 | 전봉초 | 차범석 | |
최정희 | 박영선 | 김성진 | 유현목 | |
안수길 | 박득순 | 정희석 | 송범 | |
윤석중 | 천경자 | 홍원기 | 장민호 | |
오영수 | 이유태 | 황병덕 | 김수용 | |
김기진 | 유영국 | 정회갑 | 최금동 | |
임옥인 | 류경채 | 김순열 | 임성남 | |
구상 | 김원 | 김순애 | 이근삼 | |
손소희 | 김기창 | 이성천 | 신봉승 | |
이범선 | 이종무 | 황병기 | 김기영 | |
조병화 | 김충현 | 이인영 | 박현숙 | |
김춘수 | 이준 | 백낙호 | 김문숙 | |
정한모 | 허건 | 권오성 | 강성희 | |
김윤성 | 박노수 | 강석희 | 김지헌 | |
박연희 | 권옥연 | 김남윤 | 임영웅 | |
선우휘 | 백문기 | 이규도 | 이병복 | |
정한숙 | 문학진 | 박노경 | 김기덕 | |
신동집 | 남관 | 백성희 | ||
강신재 | 이대원 | 박조열 | ||
박양균 | 권순형 | 황정순 | ||
한무숙 | 오승우 | 송수남 | ||
김성한 | 이광노 | 김학자 | ||
전숙희 | 윤영자 | 변장호 | ||
홍윤숙 | 권영우 | 남궁원 | ||
김남조 | 손동진 | 오현경 | ||
이호철 | 민경갑 | |||
김종길 | 조수호 | |||
김요섭 | 이수덕 | |||
홍성유 | 서세옥 | |||
문덕수 | 김흥수 | |||
이어령 | 김병기 | |||
박두진 | 한도용 | |||
서기원 | 송영방 | |||
조경희 | 권창륜 | |||
성찬경 | ||||
김윤식 | ||||
최일남 | ||||
박완서 | ||||
이청준 | ||||
박희진 | ||||
오탁번 | ||||
신경림 | }}}}}}}}} |
금관문화훈장 수훈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
1974 조택원 무용가 |
1975 안수길 소설가 |
1976 홍종인 언론인 |
1977 최석채 언론인 |
1978 방정환 독립운동가, 아동문학가 |
1979 고유섭 미술사학자 |
1980 전봉초 음악가 |
1981 김소월 시인 |
1982 이효석 소설가 |
1982 조지훈 시인 |
|
1983 홍승연 언론인 |
1983 천관우 언론인 |
1983 이육사 독립운동가, 시인 |
1984 이원수 아동문학가 |
1984 장발 미술가 |
|
1985 강소천 아동문학가 |
1986 홍진기 언론인 |
1987 김남중 언론인 |
1990 모윤숙 시인 |
1990 주시경 독립운동가, 국어학자 |
|
1994 김상만 언론인 |
1994 나운영 음악가 |
1994 이숭녕 국어학자 |
1995 공병우 한글연구가 |
1995 김소희 국악인 |
|
1995 문신 미술가 |
1995 정명훈 음악가 |
1995 이대원 미술가 |
1995 류경채 미술가 |
1996 송석하 민속학자 |
|
1996 신용호 기업인 |
1996 조병화 시인 |
1997 신순남 미술가 |
1997 홍두표 언론인 |
1997 최창봉 언론인 |
|
1997 정진숙 출판인 |
1997 고병익 역사학자 |
1998 방우영 언론인 |
1998 김연준 작곡가 |
1999 방일영 언론인 |
|
1999 방종현 국어학자 |
1999 김세형 음악가 |
1999 이유태 미술가 |
1999 김흥수 미술가 |
1999 장준하 독립운동가, 언론인 |
|
1999 송건호 언론인 |
2000 황순원 소설가 |
2000 백남준 미술가 |
2000 서정주 시인 |
2001 김기창 미술가 |
|
2001 김천흥 국악인 |
2001 장우성 미술가 |
2001 김수영 시인 |
2001 최영희 역사학자 |
2002 임권택 영화감독 |
|
2002 오지호 미술가 |
2003 박동진 국악인 |
2003 윤석중 아동문학가 |
2004 구상 시인 |
2004 이혜구 음악사학자 |
|
2005 박성용 기업인 |
2005 정세영 기업인 |
2006 신상옥 영화감독 |
2006 김동원 연극인 |
2006 차범석 극작가 |
|
2006 조남철 바둑기사 |
2007 송도균 언론인 |
2007 노성대 언론인 |
2007 송범 무용가 |
2008 박경리 소설가 |
|
2008 이청준 소설가 |
2008 김영랑 시인 |
2009 유현목 영화감독 |
2010 전숙희 수필가 |
2010 앙드레 김 패션 디자이너 |
|
2010 김영환 군인, 6.25전쟁기 해인사 폭격명령 거부 |
2011 박완서 소설가 |
2012 지관 해인사 주지 |
2012 이건희 기업인 |
2012 허동수 기업인 |
|
2012 김형규 국어학자 |
2013 이우환 미술가 |
2014 호머 헐버트 선교사, 한글 체계화 공헌 및 한글 보급·한글 홍보 공로 |
2014 전형필 문화재수집가 |
2014 이은관 국악인 |
|
2016 백성희 연극인 |
2016 임영웅 연극인 |
2017 박맹호 출판인 |
2018 최인훈 소설가 |
2018 이영희 한복 디자이너 |
|
2018 정지용 시인 |
2018 황병기 국악인 |
2020 서세옥 미술가 |
2019 김성환 시사만화가, 대표작《 고바우 영감》 |
2020 손창근 미술품소장가 |
|
2021 윤여정 영화배우 |
2021 이어령 문화부장관, 작가, 정치인 겸 문학평론가 |
2021 박서보 화가 |
2022 송기숙 작가 |
2022 송해 희극인 |
|
2022 김우창 문학평론가 |
2022 김지하 시인 |
2022 이정재 배우 |
2022 황동혁 감독 |
2023 이미자 대중음악인 |
|
2023 조수미 성악가 |
2023 이미경 기업인 |
2024 이문열 소설가 |
김천흥 金千興 |
|
|
|
<colbgcolor=#94153e> 본관 | 경주 김씨 |
출생 | 1909년 3월 30일 |
한성부(현 서울특별시) | |
사망 | 2007년 8월 18일 (향년 98세) |
서울특별시 | |
국적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자녀 | 슬하 3남 3녀 |
경력 |
이왕직 아악부
아악수장(1922년~1940년) 대한국악원 이사(1945년~1950년) 국립국악원 원로사범(1951년~2007년) 대악회 이사장(1973년~1993년) 대한민국 예술원 회원(1978년~2007년) 무형문화재예술단 단장(1983년~1993년) 심재 정악단 창단 고문(2004년) 문교부 문화보존위원회 위원 국립국악원 예술사 국립국악원 국악사 서울특별시 문화위원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강사 경희대학교 강사 이화여자대학교 강사 중요무형문화재 제1호 종묘제례악 보유자(1968년~2007년) 중요무형문화재 제39호 ' 처용무' 보유자(1971년~2007년) |
[clearfix]
1. 소개
대한민국의 국악인이자 조선왕조의 마지막 무동.2. 생애
호는 심소(心韶). 1909년 목수의 아들로 태어났고, 정동보통학교[1]를 졸업 후 1922년에 이왕직 아악부 아악사양성소 2기생으로 입소했다. 1923년 순종황제 오순탄신연에 무동으로 참가하였고, 해금을 전공, 양금을 부전공으로 하여 1926년에 졸업하였다. 그는 1940년까지 이왕직 아악부에 근무하며 아악수, 아악수장을 역임했다.
1940년부터 민간음악인들과 음악활동을 했고, 이화여자전문학교 음악과 강사, 조선권번의 사무원으로도 활동했다. 광복 후 대한국악원 이사 겸 무용부장을 맡았고, 1951년 국립국악원 예술사가 된 후 2007년까지 연주원, 자문위원, 원로사범, 명예종신단원으로 활동했다. 이후 1964년에는 중요 무형문화재 제1호 종묘제례악 및 일무의 예능보유자로 지정되었으며, 1971년에는 제39호 처용무의 예능보유자로 지정되었다. 궁중정재의 대가로 통했으며, 국립국악원 무용단에서 평생 후학을 양성했다. 민속무용에도 일가를 이루어 살풀이춤, 승무로 무대에 서기도 했으며, 2007년 99세로 타계하기까지 친구인 성경린과 함께 국악계의 산증인으로 활동했다.
3. 예술세계
조선왕조 궁중무용의 대가, 마지막 무동이라는 표현이 그를 압축적으로 잘 설명하는 말이라 할 수 있다.본래 이왕직 아악부 아악사양성소 2기생으로 입소하면서 해금과 양금을 각기 전공, 부전공으로 삼아서 졸업했고, 해방 이후에도 몇몇 음반에서 해금과 양금 주자로 활동한 적이 있다. 또 종묘제례악이나 궁중 정악 합주의 집박[2]으로도 참여하는 등, 기악 연주 쪽에서도 활발히 활동한 것이 사실이다.[3]
그러나 만년까지 국립국악원 무용단에서 무용 제자들을 지도했고, 이애주[4], 인남순 등 현재까지 활발하게 무용가로 활동하는 이들이 그의 제자인 것에서 드러나듯, 무용 분야에서의 활동이 두드러진 것이 사실이다. 또 그의 중요한 사승 인맥 중 한 사람이 한성준인 것 역시 주목할 부분. 궁중무용은 정악 거문고의 대가였던 이수경에게서 배웠으며, 거기에 그치지 않고 권번 재직시절에는 탈춤과 같은 민속무용을 배우는데에도 주력하여 궁중무용과 민속무용을 겸전했던 몇 안되는 인물 중 하나가 되었다.[5] 그 때문에 살풀이춤[6]이나 승무로도 제법 많이 무대에 섰다.
장기는 예능보유자로 지정되기도 했던 처용무와 궁중 정재 가운데 독무인 춘앵전. 춤에만 능했을 뿐 아니라 정재 전반의 구성에도 탁월한 면모를 보였는데, 특히 정재에 포함되어 있는 창사(唱詞)도 잘했다. 담백한 창법으로 부르는 그의 창사는 일품으로 꼽힌다.
4. 일화
1923년 이른 봄 그는 이왕직 아악부 2기생 중 무동으로 뽑혀 창덕궁 인정전 앞뜰의 순종황제 50회 탄신 축하연장에 참석하여 순종을 알현하였다고 한다. 더불어, 1910년 경술국치와 함께 사라졌던 궁중무동춤이 다시 선보인 것[7]도 이 때가 처음이라고 한다. 이때의 상황을 그는 이렇게 증언하였다.“그 때 순종 황제의 용안은 화사하시면서도 핼쑥했었습니다. 워낙 병약하셨던 터라 시종들의 부액(부축)을 받으셨지만, 너그러운 미소를 잃지 않고 진연이 끝난 아악부원들에게 가벼운 목례를 보내 주셨지요.”
[1]
현
서울봉래초등학교
[2]
일종의
지휘자격이라고 할 수 있다. 다만
오케스트라 지휘자와는 달리 시작과 끝을 알리는 역할만 한다.
[3]
기본적으로 '집박'은
국립국악원 정악단 소속의 원로사범들이 주로 하는 경우가 많다. 60년대 녹음에서 후일 국악원장이 되는 김기수가 집박을 맡는 경우가 많고, 80년대 이후에는 김천흥, 성경린 등 1900년대 태생 원로 단원들이 집박을 맡아 녹음한 경우가 많이 나타난다.
[4]
이애주는 이후 송범의 문하에 들어갔다가 한영숙의 문하로 들어가 한영숙류
승무의 예능보유자로 지정되었다.
[5]
다른 한 사람으로는
한영숙을 들 수 있다. 물론 이 분은 애초에 할아버지가 궁중무용, 민속악을 넘나들었던 대가 한성준이다.(...)
[6]
그냥 하얀 바지저고리 차림으로 나와서 아주 짧은 수건을 들고 춘다. 현재 실연되고 있는 한성준-한영숙류 살풀이와는 다소 다른 것도 사실이고, 이대조-이매방류의 그것과는 판이하게 다르다.
[7]
1920년대는
사이토 마코토 총독 취임 후 조선 문화를 제한적으로나마 용인하(지만 교묘하게 친일파를 양성하)는 일명
문화정치가 시행될 때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