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17 23:04:44

모가디슈 전투

{{{#!wiki style="margin:-10px" <tablebordercolor=#0044C9><tablebgcolor=#0044C9> 파일:빌 클린턴 투명.svg 빌 클린턴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0044C9> 일생 생애
가족 친부 윌리엄 제퍼슨 블라이드 · 양부 로저 클린턴 주니어 · 어머니 버지니아 클린턴 켈리 · 이부동생 로저 클린턴 주니어 · 아내 힐러리 클린턴 · 딸 첼시 클린턴
역대 선거 1992년 미국 대통령 선거 · 1996년 미국 대통령 선거
관련 정치인 앨 고어 · 앤서니 레이크 · 워런 크리스토퍼 · 매들린 올브라이트 · 재닛 리노 · 윌리엄 페리 · 로버트 라이시 · 로버트 루빈 · 보리스 옐친 · 슬로보단 밀로셰비치 · 김대중
사건 · 사고 화이트워터 사건 · 르윈스키 스캔들
평가 평가
기타 빌 클린턴 행정부
클린턴 행정부
정책 탈냉전 · 북미 제네바 합의 · 북미 코뮤니케 · 전략무기감축협정
사건사고 닷컴 버블 · 1993년 세계무역센터 폭탄 테러 · 웨이코 포위전 · 빅 바유 캐넛 탈선 사고 · 모가디슈 전투 · 오클라호마 폭탄 테러 · 케냐 미 대사관 폭탄 테러 · 주한미군 독극물 한강 무단 방류 사건 · USS 콜 테러사건 · 깅리치 혁명 · 보스니아 전쟁 · 코소보 전쟁
파일:노란색 깃발.svg 자유주의 }}}}}}}}}

파일:미국 국장.svg 미국의 대내외 전쟁·분쟁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건국 ~ 20세기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전쟁·분쟁 교전국
독립전쟁
,1775 ~ 1783,
<colbgcolor=#fff,#191919> 파일:그레이트브리튼 왕국 국기.svg 영국 파일:브라운슈바이크-뤼네부르크 공국 국기.svg 하노버 선제후령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Flagge_Herzogtum_Braunschweig.svg.png 브라운슈바이크 파일:이로쿼이 연맹기.png 이로쿼이
유사전쟁
,1798 ~ 1800,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1공화국
1차 바르바리 전쟁
,1801 ~ 1805,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오스만 제국
미영전쟁
,1812 ~ 1815,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2차 바르바리 전쟁
,1815,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오스만 제국
미국-멕시코 전쟁
,1846 ~ 1848,
파일:700px-Flag_of_Mexico_(1823-1864,_1867-1893).svg.png 멕시코
태평천국의 난
,1850 ~ 1864,
파일:태평천국 국기.svg 태평천국
제2차 아편전쟁
,1856,
파일:청나라 국기.svg 청나라
남북전쟁
,1861 ~ 1865,
파일:아메리카 연합국 국기(1861-1863).svg 아메리카 연합국
시모노세키 전쟁
,1863 ~ 1864,
파일:모우리 가몬.svg 조슈 번
포르모사 원정
,1867,
파이완족
신미양요
,1871,
파일:조선 어기.svg 조선
하와이 침공
,1893,
파일:하와이 주기.svg 하와이 왕국
미국-스페인 전쟁
,1898,
파일:스페인 국기(1785–1873, 1875–1931).svg 스페인
미국-필리핀 전쟁
,1899 ~ 1902,
파일:필리핀 국기(1898-1901).svg.png 필리핀 제1공화국
의화단의 난
,1900 ~ 1901,
파일:의화단 기.svg 의화단 파일:청나라 국기.svg 청나라
멕시코 국경 전쟁
,1910 ~ 1919,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니그로 반란
,1912,
파일:쿠바 국기(1902-1906, 1909-1959).svg 쿠바 PIC
니카라과 점령
,1912 ~ 1933,
파일:니카라과 국기(1908-1971).svg 니카라과 자유주의자
아이티 점령
,1915 ~ 1934,
파일:아이티 국기(1859-1964).svg 아이티 반군
도미니카 점령
,1916 ~ 1924,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도미니카 공화국
제1차 세계 대전
,1917 ~ 1918,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러시아 내전
,1918 ~ 1920,
파일: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1918–1937).svg 소비에트 러시아 파일:극동 공화국 국기.svg 극동 공화국
제2차 온두라스 내전
,1924,
파일:온두라스 국기(1898-1949).svg 온두라스군
제2차 세계 대전
,1941 ~ 1945,
태평양 전쟁
,1941 ~ 1945,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제2공화국
북아프리카 전역
,1940 ~ 1943,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나치 독일 파일:비시 프랑스 대통령기.svg 비시 프랑스
서부전선
,1941 ~ 1945,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나치 독일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 파일:비시 프랑스 대통령기.svg 비시 프랑스
추축국 석유 차단 작전
,1940 ~ 1945,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나치 독일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왕국 파일:헝가리 왕국 국기(1915-1918, 1919-1946).svg 헝가리 왕국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왕국
그리스 내전
,1944 ~ 1948,
파일:그리스 공산당기.png 그리스 공산당
6.25 전쟁
,1950 ~ 1953,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소련 국기(1936-1955).svg 소련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1958년 레바논 위기
,1958,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국가 운동
피그만 침공
,1961,
파일:쿠바 국기.svg 쿠바
베트남 전쟁
,1964 ~ 1973,
파일:베트남 국기.svg 북베트남 파일: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기.svg 베트콩
라오스 내전
,1964 ~ 1973,
파일:라오스 국기.svg 파테트라오 파일:베트남 국기.svg 북베트남
푸에블로호 피랍사건
,1968,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EC-121 격추 사건
,1969,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도미니카 내전
,1965 ~ 1966,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헌법론자 파벌
캄보디아 내전
,1970 ~ 1975,
파일:민주 캄푸치아 국기.svg 크메르 루주 파일: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기.svg 베트콩 파일:베트남 국기.svg 북베트남
판문점 도끼 만행 사건
,1976,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엘살바도르 내전
,1979 ~ 1992,
파일:파라분도 마르티 민족해방전선기(1980-1992).svg FMLN
시드라 만 사건
,1981~1989,
파일:리비아 아랍 자마히리야 국기.svg 리비아
그레나다 침공
,1983,
파일:그레나다 국기.svg 그레나다 파일:쿠바 국기.svg 쿠바
레바논 내전
,1982~1984,
파일:시리아 아랍 공화국 국기.svg 시리아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헤즈볼라 당기.svg 헤즈볼라
리비아 공습
,1986,
파일:리비아 아랍 자마히리야 국기.svg 리비아
사마귀 작전
,1988,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나마 침공
,1989,
파일:파나마 국기.svg 파나마
1989년 필리핀 쿠데타 시도
,1989,
파일:필리핀 국기.svg 반민주 필리핀 군부 세력
걸프 전쟁
,1990 ~ 1991,
파일:이라크 국기(1991-2004).svg 이라크
모가디슈 전투
,1993,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통일소말리아회의
민주주의 유지 작전
,1994 ~ 1995,
파일:아이티 국기.svg 아이티
보스니아 내전
,1995,
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국기.svg 유고슬라비아 파일:스릅스카 공화국 국기.svg 스릅스카 공화국
무한 도달 작전
,1998,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 파일:지하드 깃발.svg 알카에다
사막의 여우 작전
,1998,
파일:이라크 국기(1991-2004).svg 이라크
코소보 전쟁
,1999,
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국기.svg 유고슬라비아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21세기 이후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전쟁·분쟁 교전국
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
,2001 ~ 2021,
<colbgcolor=#fff,#191919>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탈레반 정권 파일:지하드 깃발.svg 알카에다 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 호라산 이슬람 국가
이라크 전쟁
,2003 ~ 2011,
파일:이라크 국기(1991-2004).svg 파일:바트당 당기.svg 이라크( 후세인 정권 및 저항 세력) 파일:지하드 깃발.svg 알카에다 및 저항 세력 파일:아라르 나즈란 깃발.png 시아파 무장 세력
파키스탄 드론 공습
,2004 ~ 2018,
파일:지하드 깃발.svg 알카에다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탈레반 정권 파일:파키스탄 탈레반 운동 깃발.svg 파키스탄 탈레반
소말리아 군사 개입
,2007 ~ 현재,
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 알샤바브 파일:지하드 깃발.svg 알카에다
2006년 3월 18일 조치
,2006,
파일:해적기.svg 소말리아 해적
머스크 앨라배마호 피랍 사건
,2009,
파일:해적기.svg 소말리아 해적
아프간 주둔 미군-파키스탄군 교전
,2009 ~ 2012,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제1차 리비아 내전
,2011,
파일:리비아 아랍 자마히리야 국기.svg 리비아
SY 퀘스트 피랍 사건
,2011,
파일:해적기.svg 소말리아 해적
니제르 군사 개입
,2013 ~ 현재,
파일:지하드 깃발.svg 알카에다 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 ISIS 파일:보코 하람 엠블럼.png 보코 하람
이라크 내전
,2014 ~ 2017,
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 ISIS
제2차 리비아 내전
,2015 ~ 2019,
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 ISIS
시리아 내전
,2017 ~ 현재,
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 ISIS
샤리아트 공군기지 공습
,2017,
파일:시리아 아랍 공화국 국기.svg 시리아
카샴 전투
,2018,
파일:시리아 아랍 공화국 국기.svg 시리아 파일:바그너 그룹 로고(-2023).svg 바그너 그룹
2018년 4월 시리아 공습
,2018,
파일:시리아 아랍 공화국 국기.svg 시리아
바그다드 국제공항 공습
,2020,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카타이브 헤즈볼라 깃발.svg 카타이브 헤즈볼라
순교자 솔레이마니 작전
,2020,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2023년 이라크·시리아 주둔 미군기지 공격
,2023,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시리아 아랍 공화국 국기.svg 시리아 파일:인민동원군기.svg 인민동원군
홍해 위기
, 2023 ~ 현재,
파일:최고정치위원회 엠블럼.png 최고정치위원회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번영의 수호자 작전
,2023 ~ 현재,
파일:최고정치위원회 엠블럼.png 최고정치위원회
머스크 항저우호 공격 사건
,2023,
파일:최고정치위원회 엠블럼.png 최고정치위원회
2024년 예멘 공습
,2024 ~ 현재,
파일:최고정치위원회 엠블럼.png 최고정치위원회
친이란 민병대의 주요르단 미군기지 공격
,2024 ~ 현재,
미상 친이란 민병대
2024년 미국의 이라크·시리아 공습
,2024 ~ 현재,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인민동원군기.svg 인민동원군 }}}}}}}}}
모가디슈 전투
Battle of Mogadishu
Degmada Lafoole, Maalintii Rangers[1]
معركة مقديشو
[2]
소말리아 내전과 고딕 서펀트 작전의 일부
파일:모가디슈 전투 지도.png
기간
1993년 10월 3일~ 1993년 10월 4일
장소
소말리아 모가디슈
작전 목표
모하메드 파라 아이디드의 측근들을 체포, 아이디드 세력 약화.
교전국 및 교전세력
[[UN|
UN
유엔 평화유지군
]][[틀:깃발|
깃발 명칭
유엔 평화유지군
]][[틀:깃발|
문서명
유엔 평화유지군
]]

[[소말리아|]][[틀:국기|]][[틀:국기|]]소말리아 국민동맹(SNA)[3]
지휘관

[[미국|]][[틀:국기|]][[틀:국기|]] 빌 클린턴

[[미국|]][[틀:국기|]][[틀:국기|]] 윌리엄 F. 개리슨 소장

[[미국|]][[틀:국기|]][[틀:국기|]] 윌리엄 보이킨 소장

[[미국|]][[틀:국기|]][[틀:국기|]] 게리 L. 해럴 소장

[[미국|]][[틀:국기|]][[틀:국기|]] 토마스 E. 매튜스 대령

[[미국|]][[틀:국기|]][[틀:국기|]] 대니 맥나이트 중령

[[말레이시아|]][[틀:국기|]][[틀:국기|]] 압둘 라티프 아흐마드 준장

[[말레이시아|]][[틀:국기|]][[틀:국기|]] 하이룰 아누아르 대령

[[소말리아|]][[틀:국기|]][[틀:국기|]] 모하메드 파라 아이디드 장군
병력
초기군 160명
구조군 3,000명 항공기
19대 헬리콥터 16대
다용도 차량 9대
트럭 3대
4,000여명
투입부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JSOC.png 미합중국 합동특수작전사령부[4]
[[말레이시아|]][[틀:국기|]][[틀:국기|]] 말레이시아군

[[파키스탄|]][[틀:국기|]][[틀:국기|]] 파키스탄군[5]

(비공식)
파일:Seal_of_the_U.S._Defense_Intelligence_Agency.svg.png 미국 국방정보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JSOC.png 미합중국 합동특수작전사령부
- 파일:이사로고.png ISA
파일:미국 중앙정보국 문장.svg 미국 중앙정보국

[[소말리아|]][[틀:국기|]][[틀:국기|]] 소말리아 국민동맹(2,000명 내지 4,000명)
결과
미군의 피로스의 승리
영향
미군 철수 및 유엔 평화유지군의 활동 위축.[6]
피해규모

[[미국|]][[틀:국기|]][[틀:국기|]] 미군
18명 전사, 73명 부상
1명 포로, 헬리콥터 2대 격추

[[말레이시아|]][[틀:국기|]][[틀:국기|]] 말레이시아군
1명 전사, 9명 부상

[[파키스탄|]][[틀:국기|]][[틀:국기|]] 파키스탄군
3명 부상

[[소말리아|]][[틀:국기|]][[틀:국기|]] 소말리아 국민동맹
700~1,000여 명 전사 (추정)
민간인 포함 315명 사망,
812명 부상 (반군 측 주장)

1. 개요2. 발단
2.1. 시아드 바레의 22년 독재
2.1.1. 빛2.1.2. 어둠2.1.3. 소말리아 혁명
2.2. 모하메드 파라 아이디드2.3. 반군 세력 내 파벌 다툼의 시작2.4. 평화유지군 파병2.5. 아프리카의 뿔2.6. 희망 회복 작전2.7. 클린턴 대통령, 발을 빼기 시작하다2.8. 다국적군 투입2.9. 대형 사건 발생2.10. 지속되는 교전과 각종 사건사고들
3. 태스크 포스 투입
3.1. 최초의 블랙 호크 추락
4. 작전명 고딕 서펀트 (Operation Gothic Serpent)
4.1. 작전 개시4.2. 블랙 호크 다운 (Black Hawk Down)4.3. P-34.4. 슈퍼 64 추락4.5. The Lost Convoy
5. 구조 작전6. 피해7. 고딕 서펀트 작전의 문제점과 또 다른 문제점들
7.1. 무리한 주간 작전 강행7.2. 공격 헬기 등의 지상 제압 화력의 부족7.3. 미군의 방심 및 정보의 노출
8. 결과
8.1. 훈장 수여자8.2. UN군의 뻘짓
9. 미디어
9.1. 블랙 호크 다운9.2. 말밧 미션 바카라
10. 기타11. 외부 링크

[clearfix]

1. 개요

소말리아 내전 중인 1993년 10월 3일, 소말리아에 파견된 미군이 소말리아의 수도 모가디슈에서 군벌 요인 납치 작전을 벌이다 발생한 전투이다. 소말리아 민병대 미합중국 특수작전사령부 대원들로 이루어진 QRF(Quick Reaction Force. 신속 대응군) 태스크 포스 간에 치열한 전투가 펼쳐졌었다. 작전 중에 2대의 UH-60 블랙 호크 헬기[7] 민병대 RPG-7 공격을 받아 모가디슈에 추락하는 바람에 그들의 유해와 생존자를 수습하려는 미군과 민병대 사이에서 이틀 동안 교전이 벌어졌다.

블랙 호크 다운이라는 제목으로 이 전투를 다룬 책과 영화가 나왔는데, 일반인들에게는 영화가 훨씬 유명하다.

2. 발단

2.1. 시아드 바레의 22년 독재

파일:external/s-media-cache-ak0.pinimg.com/751d489889c2d20a640588c348d49477.jpg
시아드 바레 육군 소장( 1919년~ 1995년)

1969년 시아드 바레(Siad Barre) 장군이 군부 쿠데타를 일으켜 정권을 장악, 대통령에 취임하여 소말리아 민주공화국을 세우고 친소련, 공산주의 노선을 걸었다.

그러나 1977년 영토분쟁을 이유로 역시 친소노선을 걷고 있던 이웃국가 에티오피아를 침공하면서 상황이 꼬이기 시작했다. 소련 쿠바의 에티오피아 지원 때문에 오가덴 전쟁에서 패전하자 소련과의 우호협력조약을 폐기하고 아예 국교를 단절해 버렸다. 오가덴 전쟁 이후 반소련으로 돌아선 시아드 바레는 1980년대 들어서 미국 중국에 접근하였다. 1970년대 당시 에티오피아와 앙골라, 모잠비크, 콩고공화국 등을 비롯해 아프리카 곳곳에 친소 사회주의 정권이 들어서며 아프리카가 소련의 영향권에 들어서려던 걸 우려하던 서방권은 집권 초반기에 친소 사회주의 군부 정권이었던 소말리아의 시아드 바레 정부가 친미 노선으로 갈아타자 "아프리카에 민주주의가 뿌리를 내린다면 교과서로 삼아야 할 민주주의 정부"라고 추켜세워 주면서 지지하였다. 이 시기에 미국은 소말리아와 아주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였다.

하지만 시아드 바레가 그다지 긍정적인 인물이 못 된다는 것이 문제였다. 특히 친미 노선을 견지하던 시절이 바로 시아드 바레의 막장짓이 제대로 빛을 발하던 시기였다. 아이디드를 까기 위해서인지 아니면 물러날 때까지 친미지도자를 자처했기 때문인지 몰라도 서방권에선 시아드 바레의 문제점에 대한 언급이 상당히 적은 경향이 있는데, 이 시기의 시아드 바레도 여느 아프리카의 군벌 지도자들처럼 악랄한 군부 독재자였다.

2.1.1.

우선 시아드 바레는 초기에는 부족주의와 과거의 악습에 대한 개혁을 선포하고 사회주의적인 노선으로 나갔다. 최초 5년 동안은 사회 개혁도 하고, 부족주의 타파도 하며, 공공사업도 벌였다. 이 시기까지는 평판이 좋았다. 허나 문제는 이게 유지가 안 되고, 속으로는 곪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2.1.2. 어둠

급격한 부족주의 해체를 포함한 개혁조치들이 대부분 실패로 돌아가고 부족의 권한을 줄이는 것에 대한 반발로 쿠데타와 암살시도가 이어지면서 그의 흑화가 시작되었다. 집권 22년중에서 괜찮았던 초반 5년이 끝나고, 17년간의 폭정이 시작된 것이다. 권력은 부패한다. 절대권력은 절대 부패한다.라는 이야기가 괜히 나온 것이 아니다.

그는 집권 6년차인 1975년에 치안법원을 설치해서 사법권을 군사법원으로 만들어버렸고, 이에 반발하는 이슬람 지도자들을 처형하면서 악명을 쌓았다. 그리고 1976년에는 소말리아 사회주의 혁명당을 창당하면서 일당독재를 확립했다.

그리고 여기에 박차를 가한 것이 1977년에 시작된 에티오피아와의 오가덴 전쟁이다. 시아드 바레는 범소말리주의를 주장하면서 전군을 동원하여 에티오피아를 침공하였고, 소련이 소말리아보다 에티오피아의 손을 들어주자 소련과도 단교했다. 권력 욕심과 땅욕심에 제 뒷배를 차버린 시아드 바레는 당연히 오가덴 전쟁에서 패배했고, 이로 인해 궁지에 몰린 시아드 바레 정권을 향해 마침 아프리카에서의 소련의 영향력을 견제하고자 호시탐탐 기회를 노리던 미국이 손을 내밀었다. 1980년에는 미군에 바르바라 항구의 사용권과 공군기지를 제공하면서 3,000만 달러의 경제원조와 4,000만 달러의 군사원조를 받기도 했다.

오가덴 전쟁 패전의 영향으로 1982년부터 반정부 단체의 활동이 거세졌다. 오가덴 전쟁의 패전은 다른 지역에 살던 소말리 난민의 이동을 불러왔다. 경제는 더더욱 엉망이 되었고, 에티오피아와의 전쟁으로 피해를 본 소말리아 북부에 있던 부족들은 대놓고 정부에 반발을 시작했다. 이렇게 되니 시아드 바레는 과거에 천명했던 부족주의 타파를 정면으로 역행해서 오히려 자신이 소속된 약소 부족이었던 '마레한(Marehan)'소부족[8], 범소말리주의의 중심에 있었던 '오가덴(Ogaden)족', 그리고 '둘바한테(Dhulbahante)족'을 자신의 측근세력으로 삼아서 중앙정계로 끌어들여 권력을 독점했다. 이 세력을 영어 약자를 따서 M.O.D.라고 부른다.

사실 오가덴 전쟁 전에도 소말리아 내부에선 범국가적으로 각 지역의 주도권을 쟁취하려고 파벌간의 싸움이 자주 있었다. 사실상 내전이라고 불러도 이상하지 않을 이 파벌간 싸움이 항상 있어왔기에 시아드 바레는 당연한 것으로 판단하고 전혀 간섭을 하지 않았다. 하지만 오가덴 전쟁의 패전으로 이 부족간의 파벌싸움은 소말리아 정부, 즉 바레 정권에 대한 반대로 나타나기 시작했다. 가장 먼저 등장한 것은 리비아의 지원으로 1978년 등장한 소말리구원민주전선(Somali Salvation Defense Force, 약칭 SSDF)이었고, 이어서 소말리아 국내에서도 시아드 바레에 반대하는 게릴라 세력들이 속속 등장하기 시작했다. 이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이 이자크(Isaxaaq) 부족이 주축이었던 소말리국민운동(Somali National Movement, 약칭 SNM)이었는데, 이들의 주요 거점은 시아드 바레가 미군에게 넘겨준 바르바라 항구였다. 미국 원조에 가장 핵심적인 지역에서 반정부 봉기가 일어나자, 발등에 불이 떨어진 바레는 그 해 즉각적으로 군을 움직여 이들을 소탕했다.[9]

2.1.3. 소말리아 혁명

하지만 1986년부터 시아드 바레가 자신의 친위 세력인 레드 베레[10]를 동원해서 다른 지역을 공격하면서 이제는 상황이 중부와 남부로 번져서 이른바 소말리아 혁명이 시작된다. 이 시기를 소말리아 혁명이라고 부르는 것에서 알 수 있듯이, 시아드 바레 정권을 몰아내는 것은 미국 정도를 제외하면 서구권에서도 지지를 받았다. 시아드 바레 정권이 대내외적으로 워낙에 개판이었기 때문이었다. 거기다 '소말리아 혁명'이 이후에 소말리아 내전으로 변하면서 평가가 다시 다운된다. 여기에 전염병이 돌아서 축산업이 무너지면서 인플레이션을 포함한 경제 위기가 시작되었다.

이 과정에서 시아드 바레는 당연히 권력을 내려놓기 싫다고 발악했다. 1988년에는 이자크 족의 중심 도시인 하르게이사와 부라오를 공격해서 나라가 완전한 내전 상황이라는 것을 자인했고, 1989년 7월에는 수도인 모가디슈에서 일어난 대규모 반대 시위를 탄압하고 반정부 지도자 2,000명을 체포하였으며, 1990년 1월에는 축구장에서 관중들이 정부에 야유를 한다는 이유로 대통령 경호원들이 무차별 발포해서 60여 명이 사망하는 사태가 벌어졌다. 이런 행동으로 시아드 바레 정권은 UN에게 아프리카 최대 인권침해 국가로 완벽하게 낙인찍힌다. 1989년에는 소말리애국운동(Somali Patriotic Movement, 약칭 SPM)이 다른 곳도 아니고 바레의 부족이자 정치적 지지층이었던 오가덴족을 중심으로 결성되었고, 1990년에는 마침내 소말리아 최대 부족인 하브예 부족의 통일소말리의회(United Somali Congress, 약칭 USC)가 결성된다. 이런 전개에 대해서 유엔 개발 계획(UNDP)은 시아드 바레의 21년 독재 아프리카 최악의 인권침해 사례로 꼽았고, 국제 엠네스티 역시 "시아드 바레 정부의 국가보안국(National Security Service, 약칭 NSS)이 재판 없는 투옥, 전기고문을 포함한 고문 강간 등을 일삼고 있다."는 보고서를 내놓았다. 그리고 이로 인해 1990년부터 소말리아에 대한 국제 지원이 끊어졌다. 안 그래도 국내에서 지지를 받지 못하는 상황에 대외 원조와 지지도 끊겨버린 바레 정권의 영향력은 급격히 축소되었고, 그나마 수도인 모가디슈 중심으로 끈질기게 통치력을 유지했지만, 1990년 3월 결국 모가디슈에도 반군의 공격이 시작되었고, 5월에는 계엄령이 선포되었다. 이 지경까지 갔음에도 정신을 못차린 바레는 10월 연료값 인상 시위에 대해서도 발포로 대응했다.

결국 1990년 12월 30일, 인근 지역을 완전히 점령하고 있던 아이디드의 USC가 바레 정권의 최후의 보루였던 모가디슈를 함락하면서[11] 시아드 바레 정권은 사실상 종말을 맞이했다. 모가디슈에서도 밀려난 시아드 바레는 자신의 남은 패거리들을 모아 USC를 향한 협상 요청과 2차례 정도의 수도 탈환 시도로 추하게 저항했지만 결국 실패, 1991년 1월 26일 결국 모든 것을 포기하고 나이지리아로 도주하면서 22년 독재 정권의 막을 내렸다. 이후 그는 1995년 망명지인 나이지리아 라고스에서 심장마비로 사망한다.

2.2. 모하메드 파라 아이디드

파일:external/pds25.egloos.com/f0453172_55cffa1d768f9.jpg
모하메드 파라 아이디드(1934 ~ 1996)

여기서 짚고 넘어가야 할 인물이 모하메드 파라 아이디드(Maxamed Faarax Caydiid / محمد فرح عيديد / Mohamed Farrah Aidid)이다. 이전에는 이 항목에 적혀 있는 내용의 시간대가 엉망이었을 정도로 한국 내에서는 제대로 알려지지 않은 인물이다.

1934년생인 아이디드는 소말리아 최대 부족[12]인 하브예 부족에 속하는 하브 지디르 소부족 출신이었다. 이탈리아의 수도 로마에서 군사 교육을 받았으며, 이후 소말리아로 귀국해 경찰로 일하다가 1960년 소말리아의 독립 후 소련으로 건너가서 모스크바에서 군사학을 공부했다. 이후 시아드 바레에게서 높은 평가를 받았고, 시아드 바레의 쿠데타 이후에는 수석 보좌관에 임명되기도 했다. 하지만 이후 석연찮은 이유로 체포되어서 6년간 투옥 생활을 하기도 했다.[13]

이런 상황이 변화된 것은 오가덴 전쟁 이후였다. 전쟁이 시작되자 시아드 바레는 아이디드를 석방해서 준장 진급, 육군참모총장 임명이라는 루트를 거쳐서 오가덴 전쟁에 투입했고, 그는 여기서 공을 세우면서 다시 시아드 바레의 신임을 얻었다. 이후 아이디드는 시아드 바레 정권에서 인도 대사, 정보기관 등의 요직을 거친다.

하지만 시아드 바레의 MOD 우대 정책이 본격화 되고 실정이 거듭되면서 부족 간의 내전이 격화되자, 아이디드는 바레 정권의 밑에서 나와 자신이 속한 하브예 부족을 이끌고 USC를 결성하였고 이 단체의 군사 부분을 총괄하게 된다.

그는 까트를 사서 사람들에게 뿌리며 USC의 단원으로 끌어들였다. 단원이 되는데 조건은 없었으므로 어린이도 USC의 단원이 될 수 있었다. USC의 단원은 순식간에 불어났고, USC는 소말리아 내 최대 반정부 단체가 된다.

성인 남자에게 총을 쥐어주고 우리나라로 치면 부사관에 해당되는 계급을 부여했고, 남자 어린아이에게는 사병에 해당되는 계급을 부여해 역시 총을 쥐어줬다. 즉, 군대를 만든 것이다. 군사 교육을 받은 아이디드는 계급의 편의성을 누구보다도 잘 알고 있었고, 이것을 적극적으로 활용했다. 이것이 얼마나 잘 통했큰지, 계급 같은 게 없던 알리 마흐디 무하메드와 오사만 알리 아토도 아이디드의 방식을 흉내냈을 정도였다.

병사로 써먹기 힘든 여자와 여자아이는 까트 농사를 시키고 까트를 판매하게 하여 돈을 벌었다. 물론 까트 농사만 시킨 것은 아니었다.

1991년 1월, 모가디슈를 공격해 시아드 바레를 축출하고 임시정부를 세웠다.

여담으로, 그의 아들인 후세인 파라 아이디드는 17살 때 미국으로 가서 미 해병대에 입대하여 걸프전에 참전했으며, 소말리아 내전에도 소말리어 통역병으로 참전했다.

그리고 그의 조카인 쇠마는 강신성 대사가 정부군으로부터 여러 번 구해줬는데 이 인연으로 강신성을 무사히 피신할 수 있도록 도와줬다고 한다.

2.3. 반군 세력 내 파벌 다툼의 시작

시아드 바레 축출 이후, 알리 마흐디 무하메드가 임시 대통령이 되고 1992년 3월 군벌이 휴전에 합의하면서 UN 감시단이 입국했다. 이때부터 본격적으로 소말리아 내전이 시작된다.

새로운 정권이 세워지긴 했으나, 군벌 중에서도 최대 세력이었던 USC의 근간을 이루던 모하메드 파라 아이디드의 무장 세력, 알리 마흐디 무하메드의 무장 세력, 오사만 알리 아토의 무장 세력으로 크게 나뉘어 자기들끼리 정권을 차지하려고 싸우기 시작했다. 다시 말해 시아드 바레를 축출하려고 뭉친 USC가 갈라진 것이다. USC는 원래 하브예 부족 최대의 분파인 아브갈 소부족의 알리 마흐디가 의장의 자리에서 정치적 지도자 역할을 했으나, 전쟁을 실질적으로 지도한 것은 하브 지디르 소부족 출신이지만 군 경험과 정부내 세력이 있었던 파라 아이디드였으며, 아토는 군수품을 제공한 자금원이었다. 그런데 알리 마흐디가 정권을 쥘 상황이 되니 아이디드가 반발한 것이다.

설상가상으로 역대급 가뭄까지 겹쳐 420 ~ 500만 명에 가까운 민간인이 죽으면서 소말리아는 생지옥 그 자체가 됐다. 하지만 그 와중에도 USC 내에서의 밥그릇 싸움은 계속 진행됐고, 소말리아 전역이 파라 아이디드, 마흐디의 무장 세력에 합류하고 갈라지면서 사실상 소말리아는 무정부 상태로 치달았다.

2.4. 평화유지군 파병

이렇듯 콩가루가 된 소말리아의 상황에, UN에서는 임시정부에게 "연합정부를 세우고 민간인부터 챙기라"는 권고조치를 내렸다. 그러나 소말리아 임시정부는 이 조치를 듣기만 했지 일단 정권을 차지해야 그러거나 말거나 할 노릇이라 실제로 행해진 것은 없었다.

이후 UN은 1992년 1월, 733 결의안을 통과시켰는데, 이 내용은 소말리아에 대한 무기금수 조치였다. 사실 별 실효는 없었던 것이 1980년대 시아드 바레 정권 말기에 이미 군벌화와 내전이 오랫동안 진행되면서 무기라는 무기들은 이미 충분히 소말리아 내부에서 돌고 있었고, 금수결의안을 통과시키거나 말거나 수입될건 다 수입되고 있었다. 애초에 소말리아 군벌들은 특정국가에서 무기를 정식으로 수입하는 게 아니라 아토와 같은 무기 밀매상에게 무기를 유통했으니 무기 금수 결의안이 나온다고 해서 변할 것은 없었다.

결국 1992년 4월 24일, 막장으로 치닫는 소말리아의 내부사정을 수습하기 위해 UNOSOM-1(United Nations Operation in Somalia- I)으로 명명된 작전이 시작되었다.(결의안 751) 사실 애초에 UNOSOM-1의 목적은 군벌 간의 휴전 협정이 잘 이루어지고 있는지 감시하기 위해서 UN에서 파키스탄의 임티아즈 샤인 준장을 필두로 한 옵저버 50명을 파견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사태가 악화 일로로 가면서 UNOSOM-1의 규모는 8월 27일 무장 병력 3,000명의 추가 투입으로 크게 불어났고, 이후 소말리아 기근 문제가 심각해지면서 9월에 1,000여 명의 보급 부대가 추가되면서 인원은 4,219명의 병력과 50명의 옵저버라는 대규모 인원으로 증폭됐다.

결국 UNOSOM-1은 졸지에 식량 배급까지 도맡아 하면서 1992년 한 해에만 소말리아에서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 약 200만 명의 아사자를 최종적으로 많이 줄이는 성과를 거뒀다. 그럼에도 워낙 기근이 심각했기에 7~8만 명의 어린이가 사망한 것으로 알려졌다.

거기다가, 그 와중에 소말리아의 군벌들이 자신들의 세력 강화와 지지도 확보를 위해 이 UN 원조 식량을 탈취하는 일도 발생했으며, 불과 한 달도 안 돼 군벌들에 의한 식량 탈취는 사실상 일상이 되어버렸다.

10월 28일, 어찌어찌 아사자 문제가 어느 정도 안정되자 아이디드는 UN 철군을 주장하고 나섰다. 사실 내전 기간 동안에 실전을 겪은 아이디드는 USC 내부에 파벌을 두고 있었고 이 파벌은 소말리아 국민동맹(Somali National Alliance, 약칭 SNA)를 개설했는데, USC의 주도권을 이 SNA가 장악하게 되면서 내전이 진행되면 결국은 아이디드의 승리로 끝날 상황이 되고 있었던 것이다. 그래서 확실한 성공 대신에 불확실한 투표로 가는 것을 막기 위해서 아이디드는 소말리아 주의를 다시 들고 나온 것이다. 이때 명분은 "모가디슈 공항이 UN군의 관할에 있는데 이게 부당하다."라는 주장이었다. 그리고 진짜 사고는 이후에 나오는데, 11월 13일에 파키스탄군을 공격한 것이다.

이 과정에서 사상자가 나온 UN은 미국에 미군 파병을 요청한다. 이것이 12월 3일에 나온 794 결의안이다.

2.5. 아프리카의 뿔

친미 정책(과 동시에 친중국 정책)을 펼치던 시아드 바레가 반란군에 의해 축출을 당해 나이지리아 망명길에 오르자 미국의 발등에 특히나 불이 떨어졌다.

소말리아 북쪽에 위치한 아덴만을 건너면 예멘이고 동시에 중동이다. 다시 말해 산유국과 가까우며, 그 산유국 중에 하나가 바로 쿠웨이트 침공했다가 호되게 얻어맞아 엉엉 울고 있던 이라크다. 1년 전 걸프전처럼 중동에서 유사시 즉각적으로 투입할 수 있는 병력의 주둔지로는 소말리아가 최적이었다. 중동에 미군을 주둔시키기 힘든 데에 결정적인 이유가, 그 당시 이스라엘이 레바논과 전쟁 중에 있었으며 이스라엘 자국 내에서는 팔레스타인과 영토 분쟁이 진행 중이었다. 즉, 중동 내부에서의 전쟁 불씨가 미군에게까지 번질 우려가 있어서 소말리아말고는 딱히 대안이 없었던 것이다.

사실 원래 시아드 바레 시기 미국은 바르바라 항구를 조차해서 사용하고 있었다. 즉, 원래 소말리아 주둔이 가능했었다. 문제는 걸프 전쟁이 벌어지던 1990년대에는 미군 주둔이 문제가 아니고 소말리아 내에서도 시아드 바레 정권이 무너지는 상황이었다는 것이다. 당연히 바르바라 항구도 원래 거주민인 이자크 부족이 점거했고 미국과 시아드 바레의 협정은 무시되었다. 미국이 시아드 바레를 실드 칠 수밖에 없는 이유가 있었다.

더군다나 소말리아는 아프리카의 동쪽 끄트머리에 있으며, 인도양으로도 바로 진출할 수 있는 아프리카의 뿔이었다. 지리학적으로 절대 무시할 수 없는 위치에 있는 소말리아를 안정시키면 나쁠 것도 없거니와 인도양 한복판에 깃발을 꽂을 수 있기도 하여 소말리아의 치안을 확보하는 것은 대외적으로는 인권과 평화를 사랑하는 미국이라는 프로파간다를 선보이면서 실질적으론 중동과 인도양 지역의 전략적 요충지를 선점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였다.

더구나 UN 평화유지군과 별도의 전투 부대 파병은 클린턴 정부 시절이지만, 파병안이 통과된 시절은 아버지 부시 정부였다.

조지 부시는 이미 재선 실패가 확정되어서, 1개월이 지나서 1993년이 되면 클린턴 행정부가 바로 들어서는 상황이었다. 때문에 조지 부시는 아무런 부담도 없이 소말리아 파병을 결정할 수 있었다. 잘되면 파병을 결정한 자신의 공적으로 돌리고, 잘못되면 클린턴한테 떠넘기면 그만인 꿀빠는 상황. 게다가 UN이 숙이고 들어온 것을 거절해서 인권에 부정적이란 인식을 줄 필요가 전혀 없는 것이었다.[14]

결국 부시의 판단이 얼마나 신속했느냐 하면, 앞서 언급한 794 결의안이 UN에서 채택된 것이 12월 3일인데, 미군 해병대 원정단이 처음 모가디슈에 상륙한 것이 불과 1주일 후인 12월 9일이었다.

전형적인 후임자 엿먹이기 정책이었던 것이다. 다만 이 엿이 이 정도 지옥이 될지는 아마 부시도 모르지 않았을까.

2.6. 희망 회복 작전

여하튼 앞서 언급한대로 1992년 12월 9일, UN의 물자 수송로 안전 확보, 식량 배급을 담당하는 군대와 배급을 받는 민간인의 안전 확보, 상황발생시 교전 임무를 띠고 미 해병대 1,800명[15]이 선봉대로 모가디슈 인근 해안에 상륙했다. 그러니까 전투부대가 투입되었다는 얘기다.

걸프전 이후 미국의 두 번째 전투부대 투입이라는 특종이었던 까닭에 인근 국가는 물론 소말리아 인근 국가에서 활동하는 미 방송국 소속 특파원들이 위험을 무릅쓰고 달려와 생중계로 해병대 상륙을 보도했고, 해병대의 상륙이 미국에 생중계되는 황당한 일도 발생했다. 긴장한 상태로 상륙하는 해병대원들을 미리 대기하고 있던 CNN을 포함한 기자들이 카메라 조명과 플래시로 맞이하는 굉장히 엽기적인 장면이 연출된 것이다. 파라 아이디드를 비롯해 USC의 세력들이 생중계를 안 봤을 리가 없다.

이 병력이 모가디슈 공항을 인수[16]한 뒤에는 제3강습상륙대대, 제10산악사단[17] 등이 추가로 투입된다. 결국 1993년 3월까지 파병 미군은 25,000명으로 증가된다. 이것을 희망 회복 작전이라고 부른다.

미군의 진주로 소말리아의 상황은 급격히 안정되기 시작한다. 사실 미군에 잘못 걸리면 엿된다는 것을 알고 있었던 알리 마흐디와 파라 아이디드가 미군 해병대 선봉이 상륙한 지 3일만에 휴전협정을 체결한 것이 결정적으로 작용했다.

1993년 1월에는 UN의 제안으로 소말리아 평화 회의가 열렸다. 이 회의에 USC 핵심 세력들이 참석해 내전 조기 종식 회의를 진행했다. 하지만 "UN이 소말리아에 간섭하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며, 평화유지군의 무장 해제 및 철수를 요구한다."며 평화유지군의 무장 해제 요구를 파라 아이디드가 거절했다.

그래도 미군 덕택에 식량배급이 어느 정도 안정을 찾으면서 내전도 소강에 접어든 것은 사실이었다. 식량 배급 차량이 지나는 길목마다 장갑차가 배치돼 무장 세력의 공격을 사전에 봉쇄했고, 더 위험한 곳에는 전차 공격 헬리콥터가 동시에 투입되는 등 안전확보에 대단히 공격적으로 나섰다.

모가디슈 시내 깊숙한 곳까지 들어가 무장세력의 무기를 압수하고, 소규모 교전으로 무장 세력을 해산시키는 등[18] 미군의 적극성 덕택에 민간인들은 드디어 평화가 찾아온다는 희망에 젖었다. 그리고 소말리아 내 친미 세력이 잠깐이나마 흥하기도 했다.

그렇게 미군의 활약이 잠깐이나마 흥했다. 잠깐이나마...

2.7. 클린턴 대통령, 발을 빼기 시작하다

이렇게 상황이 좀 안정되자 기근이 좀 소강되었을 때의 아이디드와 마찬가지로 미국의 태도도 변화가 일기 시작했다. 일단 급한 불이 꺼졌다고 판단하고 그 이후 미국이 얻을 수 있는 국익과 미래의 역할을 생각하기 시작한 것이다.

위에 나오는 아프리카의 뿔 항목은 조지 부시 시기의 미국 공화당의 입장이다. 하지만 민주당 클린턴 행정부에게는 이야기가 좀 달라지게 된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이 상황에서 득을 보는 것은 조지 부시 전임 대통령이고, 클린턴은 설거지 하는 입장에서 딱히 이득이 없다는 것도 물론 한축이다. 하지만 더 근본적인 문제는 권한과 책임을 가진 자가 변하면 국제정세 인식도 달라지기 마련인 것에 있다.

물론 소말리아가 지정학적 위치가 천혜의 요충지인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이건 미국이 여기에 관심을 가질 때 이야기다. 1980년대 신냉전 시기라면 이 곳의 중요성은 이루말할 수 없는 수준이다. 하지만 '문제는 경제야'를 외친 클린턴 행정부라면 이야기가 다르다. 우선 중동에는 제1차 걸프전쟁을 거치면서 이집트, 쿠웨이트, 사우디아라비아 등 친미세력이 확보되어 있었고, 인도양과 아프리카, 중동을 아우르는 권역이라면 차고스 제도의 디에고 가르시아를 확보하고 있기 때문에 소말리아는 있으면 좋지만 없어도 그렇게 손해는 아닌 상황이었다.

결국 클린턴 행정부는 발을 빼기로 결정한다.

1993년 3월 26일 UN 안보리는 814 결의안을 체택하는데, 이 중심내용을 간단히 말하면 UNOSOM-2의 시작이었다. 즉 소말리아에서 평화유지를 담당할 주체가 미국에서 다시 UN으로 넘어간 것이다. 주요 내용은 군벌의 무장해제와 정국 안정화, 추가적인 구호 활동 등이었다. 이때 중심인물이 되는 인물은 원래라면 UN 평화유지군 사령관인 터키육군 세비크 비르 중장이 되어야겠으, 이때 UN특사로 파견된 인물이 더 중요하다. 바로 미 해군의 조너선 하우 제독이다.

하우를 파견한 것을 마지막으로 미군은 단계적 철수를 시작해서 해병대는 다 빠져나갔고, 5월 4일이 되면 미 제10 산악사단 병력 1,150명만이 소말리아에 남아있었지만 이것도 신속대응권이라는 명목으로 후방 배치된다.

2.8. 다국적군 투입

UN은 UNOSOM-2(United Nations Operation in Somalia II)에 따라서 1993년 5월 미군의 철수와 함께 다국적군 약 28,000명[19] 오스트레일리아, 오스트리아, 방글라데시, 벨기에, 보츠와나, 캐나다, 이집트, 피지, 핀란드, 프랑스, 독일, 그리스, 인도, 인도네시아, 아일랜드, 이탈리아, 쿠웨이트, 요르단, 말레이시아, 모로코, 뉴질랜드, 나이지리아, 노르웨이, 파키스탄, 스페인, 대한민국, 루마니아, 사우디아라비아, 스웨덴, 튀니지, 터키, 아랍에미리트, 영국, 미국, 짐바브웨에서 소말리아로 파병했다.

미국은 일부를 제외하면 주도 세력에서 제외되었으나 UNOSOM-2 지원을 위해 모가디슈 인근 해역에 함정도 파견하여 후방에서 지원했다.

참고로 대한민국의 파병 부대인 상록수 부대는 특수전사령부 산하 특전여단에서 차출한 병력이 상당수며( 자이툰 부대도 특전여단에서 차출한 병력이 상당수다), 소수의 기계화보병, 대형 교전이 있을 것에 대비한 실제 중무장 특수부대[20], 타 국가 파병부대와 교류를 위한 병력도 포함되어 있었다.

UNOSOM-2에 참여한 다국적군의 목적은 평화유지였고 임무는 초동조치부대였다. 즉, 군벌 세력의 무장을 완전히 해제시켜버린다라는 것이 주요 목적이었다. 그래서 식량 배급 차량이 지나는 길목마다 장갑차는 둘째 순위로 밀렸고 무조건 전차가 투입됐으며, 좀 안전하다 싶은 곳에도 중무장 병력과 장갑차가 함께 배치됐다.

이 UNOSOM-2의 진행을 민간인과 UN군에 대한 아이디드 군의 공격이 원인이다라는 이야기도 있었는데, USOM-2의 발동이 확정된 것은 앞서 언급한 것처럼 미군의 철수가 이뤄지기 시작하면서 그 공백을 UN군이 이어받기 위한, 유엔 안보리 결의 814에 의한 것이었다. 기존의 소규모 병력으로는 소말리아 치안 문제를 해결할 수가 없다는 것이 확정되었으므로, 일단 미군이 급한 불을 끄고 발을 빼게 되자 이 빈 자리를 UN 평화유지군이 메우는 형태로 진행된 것이다.

이런다고 까트 배급과 선전으로 점점 실세가 되어가는 파라 아이디드가 쫄 리 없었다. 파라 아이디드의 무장세력도 점점 이 진행되는 중이었고, 다국적군을 상대로 교전을 해도 안 밀릴 정도였다. 특히나 안방에서 싸워왔던 터라 전술적으로는 파라 아이디드가 훨씬 우위였다. 미군이 빠지고 UN군이 상대가 되면서는 보다 호전적이 되어서, 미군 3명과 이탈리아군 1명 등 4명의 전사자가 발생했고 56명에 달하는 부상자도 생겼으며, 조너선 하우 제독은 아이디드 제거를 위해서 본격적으로 활동을 시작하고 있었다.

2.9. 대형 사건 발생

1993년 6월 5일, 파키스탄군이 주축이 된 UN 평화유지군과 아이디드군이 정면 충돌하는 초대형 사건이 발생했다.

시작은 UN 평화유지군에 불만을 가지고 자신이 지배하고 있던 라디오 방송으로 비난하는 성명을 내보내던 아이디드군에 빡친 UN군이 칼을 뽑아들은 것이었다. UN군은 아이디드 군이 점령하고 있던 선전기구로 활용되던 라디오 시설과 언론사, 무기 시장을 공격했다. 이 과정에서 파키스탄군 경기갑 여단을 파견했는데, 거꾸로 아이디드 군의 매복에 당한 것이다. 이 결과로 파키스탄군 24명이 사망하고 50여 명이 부상당하는, UN 평화유지군 사상 최악의 참사가 벌어졌다. 그리고 사망한 파키스탄군의 일부가 시체 훼손이 되면서 끌려다니는 것을 동영상으로 촬영해 CNN에 보내고 UN 철수를 요구하는 초대형 사건이 발생한다.

다음 날인 6월 6일, 미국, 영국, 러시아, 프랑스, 중국의 찬성으로 채택된 안보리 837 결의안이 나온다. 요는 발을 빼고 있던 클린턴에게 UN이 아이디드는 나쁜 놈이니까 미군 파견하라고 요청한 것이다.

엄청난 사건에 충격도 받았지만 평화유지 작전이 전투작전으로 변질될 것까지 예상을 못한 파키스탄은 핵심 전투병력을 모조리 철수시켰고[21], 짐바브웨와 루마니아, 스웨덴도 이러리라곤 예상을 못해 병력을 철수시키자 이어 다른 나라들도 덩달아 병력을 철수시키기 시작한다.

이런 상황 변화에 클린턴은 어쩔 수 없이 공격헬기 몇 대와 AC-130 건쉽을 파견했다.

기세가 등등해진 파라 아이디드는 이걸 또 선전하면서 자칭 소말리아의 대통령으로 군림했다.

대통령이 되지 못하는 이유는, 마흐디와 아토의 무장 세력과 여전히 싸우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물론 저 두 세력은 겨우 목숨을 연명하는 상태였다. 그리고 가장 상황이 좋지 않았던 아토 세력은 싸우길 포기하고 나중에 아이디드의 무장세력으로 완전히 흡수된다.

2.10. 지속되는 교전과 각종 사건사고들

걸프전에서 승리한 미군을 상대로 싸우면서 성과를 내는 파라 아이디드를 체포하고, 파라 아이디드가 이끄는 무장세력을 완전 해산시키기 위한 공격이 수시로 진행됐다.

이 공격의 주도자는 조너선 하우 제독이었다. 사실 조너선 하우 제독은 미국에 델타포스 1개 팀을 요청했다가 거절된 상황이었다. 클린턴은 여전히 떨떠름해했던 것이고, 이후의 활동은 사실 미국의 주도라기 보다는 조너선 하우가 자신이 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벌인 것이다.

우선 6월 17일, 무지하게 신사적인 방법이 동원된다. 우선 헬기에서 '경고방송'을 해서 민간인들의 대피를 유도한 다음에 프랑스, 모로코, 파키스탄 군이 아이디드의 측근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장소를 뒤진 것이다. 당연히 어린이에게도 통할지 장담 못할 장난질이었고, UN군에게 망신만 더해줬을 뿐이었다.

이 장난에 대한 불만을 주도한 것이 UN군 사령관 세비크 비르 터키 장군과 미 육군의 토머스 몽고메리 장군이었다. 결국 이 주장대로 1993년 7월 12일, AH-1 코브라 등을 동원하여 은신처를 공격해서 무장 세력, 동조자 등을 사살하는 데 성공했다. 민간인을 대규모[22]로 죽인 건 덤이었다. 그리고 목표물을 잘못 설정하는 바람에 민간인 오폭이 이어졌다.

파라 아이디드는 미군의 오폭을 선전해 효과적으로 이용했으며 덕분에 무장세력을 격파하고 치안을 확보해 평화를 유지한다는 다국적군, 특히 다국적군의 과반수를 차지하는 미군의 이미지는 부정적이 되었다.

그리고 이 오폭으로 이전까지는 온건파로 존재하였던 반 아이디드 파 부족과 군벌들이 아이디드에 가담하기 시작했다. 미국이 소말리아인들을 살육한 것으로 판단하면서 이 상황을 UN평화유지군과 아이디드의 대립이 아니라, 미국과 소말리아의 전쟁으로 인식하기 시작한 것이다. 이런 여론 변화로 인해서 이 상황을 취재하던 기자 4명이 소말리아 군중에게 살해당하는 사태가 벌어졌다.

이 와중에도 이상주의자였던 조너선 하우는 아이디드를 국제법정에 세우는 것이 최상이라고 판단해서 미국 정부에 끊임없이 델타포스 파견 요청을 하고 있었고, 이게 거절되자 미친척하고 아이디드에게 25,000달러의 현상금을 걸기도 했다. 이에 대해서 아이디드가 소속된 하브 지디르 부족은 현상금이 너무 적다라는 이유로 아이디드에 대한 모독이라고 판단해서 조너선 하우에게 100만 달러의 현상금을 걸어서 조너선 하우를 엿먹였다.

8월 8일에는 험비가 원격통제지뢰에 피격돼 미군 헌병 4명이 사망하며, 2주 후인 8월 22일 똑같은 방법으로 7명이 부상당했다. 상황이 점점 안 좋아지자 빌 클린턴 대통령은 엄청난 비판에 직면했다. 그래서 이 상황을 단숨에 끝내버릴 작전을 구상하기 시작한다.

3. 태스크 포스 투입

파일:attachment/f0083218_5120bd76cccf8.jpg

소말리아에 파병된 실제 레인저의 단체 사진.

8월 22일, 미합중국 육군 소장 윌리엄 F 개리슨 장군이 지휘하는 미합중국 합동특수전사령부(Joint Special Operations Command)가 소말리아에 파병된다. 파병된 부대는 레인저 3대대 B중대, 델타포스 C분견대, 제160특수작전항공연대 "나이트 스토커"(The Night Stalkers) 예하 헬리콥터 16대(MH-60 블랙 호크, MH/AH-6 리틀버드)와 조종사 및 정비병, DEVGRU[23], 제24특수전술대대[24] 소속 CCT PJ 등, 미합중국 특수작전사령부 특수작전요원과 파일럿들이 총 450여 명 파견되었으며, 이들을 지원하기 위해 모가디슈 바로 앞 바다에 니미츠급 5번함 CVN-72 에이브라함 링컨과 항공모함 소속 제11 비행단도 배치됐다. 심지어 비공식적으로는 ISA(특수부대) CIA 특수활동부, 미국 국방정보국와 같은 첩보부대/정보기관들의 특수요원들도 급파되었다.[25] 말 그대로 미국 군사무력 분야의 올스타전이었던 것이었다.

최고의 엘리트 전력들이 모인 미군은 자신만만해하며 무려 모든 작전을 3주 만에 끝낸다는 목표를 세웠다. 첫 1주일 동안에 병력을 소말리아에 전개하고, 2주차에는 아이디드를 색출해서 검거하고[26], 3주차에 아이디드의 잔존 세력과 지휘체제를 붕괴시킨 다음에 깔금하게 소말리아를 떠난다는 것. 평화유지와 치안확보는 아직 철수하지 않은 제10 산악사단을 주축으로 추가파병될 병력과 후속 파병될 평화유지군의 임무였다.

대통령부터 시작해서 많은 사람들의 기대를 받는 JSOC은 계획보다 다소 이르게 전력 전개가 끝나면서 8월 30일 새벽 2시, 의욕적으로 첫 작전을 시작했다. 개리슨 장군이 지휘하는 레인저와 델타 포스팀이 패스트로핑으로 아이디드의 전범 9명을 체포한 것. 그런데 다음날 이들이 전범이 아니라 국제구호단체 요원이라는 것이 밝혀지면서 개망신을 당하게 된다. 이후 이들은 4번이나 더 출격했으나 번번이 허탕을 쳤다. 그렇게 목표인 3주의 시간이 모두 흘러갔다.

그러다가 투입 한 달 만인 9월 21일, 아이디드 지지 세력으로 합류한 오사만 알리 아토를 체포하는 데 성공한다. 헬기 레펠로 깔끔하게 내려가서 아토만 잡아갔는데, 문제는 이 작전이 대낮에 한 강습작전이라는 것이다. 5번을 연속 실패한 나머지 눈에 뵈는게 없던 것이었다.

참고로 블랙 호크 다운에서 아토는 미군에게 체포되면서도 시가를 뻑뻑 피우면서 아이디드에게 전화해서 늦을 것 같으니 나중에 다시 전화하겠다고 하는 배짱 큰 거한으로 묘사되지만, 실제 아토는 상당히 마른 편이었고, 갑작스럽게 들이닥친 미군들을 보고 겁에 질려서 부들부들 떨었다고 한다. 아토가 너무 떨어서 체포한 저격수들이 살짝 미안한 마음이 들 정도였으며, 그의 신원이 확인되자 자기들이 본 사진에서 아토는 늘 환하게 웃고 있던데 이 벌벌 떠는 놈은 아토같지 않다고 만약 웃지 않으면 비오는 날 먼지 나게 두들겨 패주겠다고 농담을 할 정도였다. 그러자 영어를 할 줄 알았던 아토가 정말로 자신을 때리려는 줄 알고 통역이 그 말을 통역해주기도 전에 억지 웃음까지 지었다고(...) 아토 본인도 영화가 개봉했을 때 자신은 담배도 피우지 않고 귀걸이도 끼지 않으며 미군은 자신을 저렇게 깔끔하게 잡아가지 않고 자신의 동료들이 미군의 무식한 총질에 큰 부상을 입었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3.1. 최초의 블랙 호크 추락

오사만 알리 아토를 체포하자 화가 치민 파라 아이디드는 미군이 보이면 생포고 뭐고 다 필요없고 무조건 죽이고, 미군의 차량은 무조건 파괴하라고 지시한다.

때마침 9월 25일, 모가디슈 남쪽 공업지대(New Port Facility) 상공을 유유자적 비행하던 제101공중강습사단 소속 블랙 호크를 무장세력이 포착한다. 수십 발의 총격을 받은 헬기는 조종불가 상태에 빠졌고, 이후 최초 발사한 RPG-7한 방에 격추돼 3명의 승무원이 사망한다.

아이디드는 이걸 대대적으로 홍보했고, 본인이 직접 라디오에 출연하기까지 해서 자기가 직접 격추시켰다고 말하기도 했다.

9월 25일 추락한 블랙 호크가 유일하게 한 방에 격추된 블랙 호크다. 10월 3일, 고딕 서펀트 작전 중 격추된 다른 두 대의 블랙 호크는 소총 및 중기관총의 대공사격과 100여 발 이상의 RPG-7 로켓탄이 사방에서 날아오는 와중에 지상 병력을 지원하다가 격추됐다.

이 부분은 블랙 호크 다운 영화에서 완전히 생략됐다.

4. 작전명 고딕 서펀트 (Operation Gothic Serpent)

파라 아이디드의 집권을 원치 않던 세력과 파라 아이디드 세력 내 정보원으로부터 파라 아이디드의 스케줄을 미리 받고 있던 JSOC은, 9월 25일 발생한 블랙 호크 다운 사건으로 파라 아이디드 체포에 속도를 내기로 결정한다.

주변인들을 차례대로 체포해 세력의 힘을 약화시킨 뒤 파라 아이디드를 체포한다[27]는 기존 계획에서 조금 더 나아가, 파라 아이디드의 참모인 오마르 살라드 엘미(Omar Salad Elmi)와 명목상 내무장관이자 정치고문인 모하메드 하산 아왈(Mohamed Hassan Awale)을 먼저 체포하기로 결정한다.

하브 지디르 부족은 매주 미군 반대 집회를 가졌는데, 이 집회에 연사로 오마르 살라드가 연사로 참석한다는 것과 이 집회 이후에 하산 아왈레가 모여서 하와들 하브예 부족과 만남을 가질 것이라는 첩보를 CIA가 감청으로 얻어냈다.

JSOC는 사실인지 확인하기 위해 집회에 참석한 살라드를 미행했고, 살라드가 육군 EH-60헬기와 해군 EP-3C 정찰기의 추적을 받으면서 이동해서 하산 아왈레와 만나는 것을 소말리아 정보원을 현장에 투입시켜서 확인했다. 이 정보원은 영화와 마찬가지로 자동차가 고장난 것처럼 이 모임이 있는 건물 앞에 자동차를 주차시킨 다음 차가 고장난 것처럼 보닛을 열어놓아서 목표물을 확인하게했다.

9월 29 ~ 30일 사이에 개리슨 장군은 펜타곤 조기경보기, AH-64, AC-130, M1 에이브람스, M2 브래들리를 요청했다. 작전 지역이 적의 본진 한복판이고, 상대해야 할 적의 수가 너무 많다는 이유였다. 하지만 펜타곤은 개리슨 장군의 요청을 거절한다.

작전명은 고딕 서펀트(Gothic Serpent)로 확정됐다. 이하 작전 내용을 설명하자면
  • 모가디슈 공항을 방어할 경비병력을 제외한 전 병력을 아홉 대의 험비와 석 대의 M939 5톤 트럭에 나누어 지상군(호송대)을 편성, 먼저 출발해 목표건물 인근에서 대기한다.
  • AH-6J 공격용 리틀버드의 엄호 속에, 레인저는 MH-60L 헬리콥터를 이용해 목표 건물의 모서리 쪽 코너(총 4곳)로 패스트로프 강하 후 자리를 잡고 목표 건물 주변을 방어하며, 그 사이 델타포스는 MH-6J 리틀버드를 타고 목표건물로 이동해 실내로 직접 침투한다.
  • 델타 포스가 목표를 획득(살라드와 아왈레를 체포)하면 대기하던 지상군이 목표 건물로 움직이고, 동시에 레인저도 목표 건물로 철수한다.
  • 목표건물에서 대기하고 있던 델타 포스와 레인저, 획득한 목표물을 호송대가 픽업 후 기지로 귀한한다.
  • 이 모든 걸 30분 안에 끝낸다!

블랙 호크로 투입될 레인저는 총 4개 분대이며 마이클 D. 스틸 대위(Cpt. Michael D. Steele)가 지휘한다. 스틸 대위의 호출부호는 줄리엣 64(Juliet 64)이다. 마찬가지로 각 분대의 분대장도 줄리엣 호출부호지만 번호는 2x번대다.
  • 초크 원(Chalk One): 지휘관 래리 페리노 중위, 목표 건물의 남동쪽 코너 방어. 스틸 대위가 이 분대에서 레인저를 지휘한다.
  • 초크 투(Chalk Two): 지휘관 톰 디토마소 중위, 목표 건물의 북동쪽 코너를 방어. 이 분대엔 M203 유탄사수가 두 명, M60 사수가 한 명이었다.
  • 초크 쓰리(Chalk Three): 지휘관 션 왓슨 중사, 목표 건물의 남서쪽 코너를 방어.
  • 초크 포(Chalk Four): 지휘관 맷 에버스만 하사, 목표 건물의 북서쪽 코너를 방어. 이 분대엔 M60 사수, M249 사수가 한 명씩 있었다.

위의 분대가 탑승하는 블랙 호크와 상공 엄호 및 다른 임무를 가진 블랙 호크의 호출부호는 아래와 같다. 참고로 영화에서는 모조리 미니건을 부착하고 나오는데 레인저가 탑승한 헬리콥터만 미니건을 부착했다. 다른 헬리콥터는 50구경 중기관총 M60D 기관총을 부착했다.
  • 슈퍼 61(Super 6-1)[28]: 클리프 월콧 준위(CW3), 도노반 브라일리 준위(CW3)가 조종한다. 기관총 사수 1명, 델타 포스 저격수인 대니얼 부쉬, 짐 스미스 등 조종사 외 3명이 탑승했다. 편대장 기체다.
  • 슈퍼 62(Super 6-2)[29]: 마이크 고피나 준위가 조종하며 부기장, 게리 고든, 랜디 슈가트, 기관총 사수 2명, CCT 1명, 항공구조사 3명 등 총 10명이 탑승했다.
  • 슈퍼 64(Super 6-4): 마이클 듀란트 준위(CW3), 레이 프랭크 준위(CW4)가 조종한다. 이 외에 기관총 사수 2명(윌리엄 클리블랜드, 토마스 필드)과 초크1도 탑승했다. 때문에 스틸 대위의 호출부호가 줄리엣 64.
  • 슈퍼 65(Super 6-5): 리차드 윌리엄스 대위가 조종한다. 초크2가 탑승했다.
  • 슈퍼 66(Super 6-6): 스탠 우드 준위(CW3), 게리 풀러 준위(CW4)가 조종한다. 초크3가 탑승했다.
  • 슈퍼 67(Super 6-7): 제프 니콜라스 준위(CW3), 샘 섐프 준위(CW2)가 조종한다. 초크 4의 헬리콥터다.
  • 슈퍼 68(Super 6-8): HH-60M 메디백 호크(Medevac hawk) 기종이다. 댄 졸로타 준위가 조종한다. 이 외에 부기장, 기관총 사수 2명, 군의관 3명, CCT 2명, 델타 저격수 1명이 탑승해 SAR 임무를 수행하는 헬리콥터다.
  • 로미오 64 aka C-2(Romeo 6-4 aka Command & Control-2): EH-60 기종으로, 지휘 헬리콥터다. 영화에서 'C-2' 하는 게 바로 이 헬리콥터다. C-1(씨원)은 모가디슈 공항. 톰 매튜스 중령과 개리 하렐 중령이 탑승하며 각각 헬리콥터 지휘와 지상군 지휘 및 길잡이 역할로 나뉜다.

델타포스는 킬로(Kilo)라는 호출부호를 사용하며, MH-6J 리틀버드는 스타(Star)라는 호출부호를 사용한다. 총 4대의 MH-6J 리틀버드와 16명의 델타 포스가 투입됐다.
  • 스타 41 & 킬로 11: 칼 마이어 준위(CW3)와 케이스 존스 준위(CW5)가 조종한다. 작중에서뿐만 아니라 실제로도 엄청난 활약을 했다. 에릭 바나가 연기한 델타 포스 대원 노먼 후트 깁슨이 탑승한 기체이기도 하다.
  • 스타 42 & 킬로 12
  • 스타 43 & 킬로 13
  • 스타 44 & 킬로 14: 목표 건물의 옥상에 착륙해 위에서 아래로 내려오는 역할.

MH-6J 리틀버드와 같이 투입돼 공중지원을 담당한 AH-6J 리틀버드의 호출부호는 바버(Barber)이다. 제대로 된 공격헬기가 없는 상황에서 제대로 된 화력을 제공해 줄 수 있는 사실상 유일한 수단이었고, 실제로 상당한 양의 탄약을 소모하며 길을 뚫기 위해 분투했다. 참고로 영화에서 묘사된 것과 달리 이들은 원래 미니건만 장착했고, 2.75인치 로켓을 장착한 것은 10월 3일 당일이 처음이었다. 거기에 더해 개리슨 장군이 헬기에 탄 병력들을 직접 배웅하는 이례적인 행동을 보이자 일부 대원들은 작전의 시작단계에서부터 약간의 위화감을 느끼기 시작했다.
  • 바버 51
  • 바버 52
  • 바버 53
  • 바버 54

대니 맥나이트 중령(Ltc. Danny McKnight)이 지휘하는 지상군(호송대)의 호출부호는 유니폼 64(Uniform 64)이다. 맥나이트 중령이 탑승한 지휘차량에만 무전기가 있고, 다른 차량에는 무전기가 없다. 지상군에 SEAL팀 x명과 델타 포스 x명이 동승해 같이 투입됐다.

아이린(Irene)은 체포할 요인을 지칭하는 암호명이면서 동시에 작전개시 암호명이다.

파일:attachment/f0083218_5120bd6c3cfb8.jpg

올림픽 호텔. 목표 주변에 있던 건물이다.[30][31]

목표 건물이 있는 블럭은 흑해(Black Sea)라는 암호명으로 명명됐다. 해당 건물은 큰 특징이 없기 때문에 맞은편에 있는 올림픽 호텔(Olympic Hotel)이 실제 목표 건물을 지칭하는 암호명으로 지정됐다. 그래서 올림픽 호텔을 지칭하면 올림픽 호텔이 아니라 목표 건물을 의미하는 것이 된다.

흑해의 북서쪽과 남동쪽에 각각 암드 포스 거리(Armed Forces Street)와 내셔널 거리(National Street)이 있었으며, 영화 초반에 등장하는 무기 시장(바카라 시장)이 바로 암드 포스 거리를 가운데에 두고 좌우에 걸쳐있다. 그리고 북동쪽이 할와대그 거리(Hawlwadag Street)다.

앞서 말한 슈퍼63 지휘헬기와 함께 투입된 조기경보기라는 것이 실제로는 해군의 대잠초계기 P-3이다.

4.1. 작전 개시

1993년 10월 3일 13시 50분, 소말리아 정보원에 의해 살라드 엘미가 목표 건물에 들어온 게 확인됐다. 하산 아왈은 확인되지 않았지만 먼저 입장한 것으로 추측됐다. 14시 49분에는 다른 무장 세력 가문의 수장과 두 명의 보좌관이 입장한 것으로 확인됐다. 그리하여 15시 32분에 지상군과 C-2 헬기가 내셔널 거리로 가장 먼저 출발하고 다른 헬리콥터는 몇 분 후에 이륙한다.

험비와 트럭 무리가 모가디슈 시내로 들어온다는 소식이 민간인을 통해 무장 세력에 빠르게 전파됐다. 이미 미군에 대한 불신이 쌓일대로 쌓여 자체적으로 무장한 민간인, 즉 민병대들은 모가디슈 거리 곳곳에 쓰레기 더미와 불타는 타이어 등을 쌓아 지상군의 접근을 사전에 봉쇄해 내셔널 거리 방향이던 것을 암드 포스 거리로 돌렸다. 다시 말해 민병대가 함정을 판 것이다.

이걸 알 리 없는 지상군은 길이 막혔다고 징징댔고, 하늘에서는 거리를 잘 볼 수 없고 동시에 타이어가 불타면서 발생시킨 연기 때문에 잘 보이지도 않아 더 남서쪽에 있는 비아 아그포예(Via Agfoye) 거리로 돌렸었다가 P-3 기가 다시 길을 가르쳐 줘 암드 포스 거리로 되돌아갔다. 결국엔 시작부터 꼬였다. 이런 와중에 민병대들은 메가폰을 들거나 해서 시민들에게 "나와서 너희 집을 지켜라!"라고 소리를 질러댔다. 소말리아어로 "Kasoobaxa guryaha oo iska celsa cadowga!"("Come out and defend your homes!")이다.

먼저 대기하고 있어야 했던 지상군은 헬리콥터가 현장에 도착한 15시 40분경에 암드 포스 거리에 도착했다. 사실 델타 포스와 레인저가 탑승한 헬리콥터도 목표 건물에는 굉장히 늦게 도착한 것이다. 중기관총과 소총 등을 무차별적으로 쏘아대며 대공화망을 만드는 바람에 접근 자체가 쉽지 않았고, 여기에 RPG-7도 헬기가 보이기만 하면 되는 대로 쏴대는 통에 고도를 낮추기도 쉽지 않았다.

특히 슈퍼67이 많은 총격을 받아 아예 총격이 덜 한 곳, 그러니까 처음 예정된 곳보다 훨씬 북쪽까지 올라가서 초크 4를 하차시킨다. 이 와중에 토드 블랙번 일병[32]이 밧줄을 놓쳐 그만 21m 상공에서 추락을 해 첫 부상자가 발생했다. 영화에서는 RPG-7 때문인 것으로 나오지만 실제론 블랙번 일병이 실수로 밧줄을 놓쳤다. 같은 시각에 초크1, 초크2, 초크3는 목표지에 패스트 로프로 착륙해 목표 건물을 에워쌌으며, 15시 42분에 델타 포스도 목표 건물 진입에 성공하며 공식적으로 작전이 시작됐다.

투입하고 2~30분가량은 총격전이 일절 없었다. 구글링을 하면 나오는 실제 모가디슈 전투 당시 땅에서 찍힌 사진이 모두 이때 찍혔다.

다만 목표 건물에 들어가 섬광탄 등을 이용해 방을 수색하고 다니던 델타 포스를 도망치려는 민병대 또는 목표물로 오인해 초크1, 초크2에서 델타 포스를 향해 발포했다. 그리고 델타 포스도 응사했다. 레인저와 델타 포스 간 총격전이 10분가량 이어졌으며, 델타 포스가 먼저 아군의 오인사격임을 알아채고 쏘지 말라고 무전을 보낸 덕에 사격이 멈추게 됐다.[33]

그러나 이 총격전 소리를 자신들에게 쏘는 것으로 오인해 성난 민간인이 목표 건물 일대로 몰려오기 시작하지만 여전히 총격전은 없었다. 초크4에서 부상자가 발생했고, 애초에 방어하기로 한 지역보다 더 먼 곳에 갔음을 확인한 C-2는 험비 3대를 차출해 블랙번을 후송시키기로 결정하고, 초크4도 목표 건물로 철수시켰다가 방어 지역으로 재투입하기로 결정한다. 이에 따라 초크4가 목표 건물로 철수를 진행하며, 블랙번을 호송할 험비 3대가 먼저 목표 건물로 출발한다.

15시 58분, 델타 포스의 요인 체포를 기다리며 암드 포스 거리에서 대기하던 지상군 행렬 중 가장 후미에 있는 5톤 트럭 한 대에 RPG 로켓포가 날아와 25명의 부상자가 동시에 발생한다. 이들이 다른 트럭에 탈 수 있도록 하차해서 엄호를 하다가 2명이 추가로 부상당한다.

16시, C-2 헬기와 P-3는 모가디슈 곳곳에서 목표 건물 일대로 모여드는 민병대를 포착한다. 그러나 이미 목표 건물 일대에 민병대가 있었는데, 워낙 많은 민간인 무리에 섞여있어서 누가 무장을 했는지 파악을 할 수 없는 통에 그냥 싸잡아 민간인으로 판단을 내려버리곤 목표 건물 일대에서 아직 총격전이 진행되진 않는다고까지 판단했다. 간헐적이지만 총격전이 진행되고 있기는 했다. 블랙번을 데리고 목표 건물로 철수하던 초크4와 암드 포스 거리와 가장 가까운 곳에 있는 초크2에서 총격전이 진행되고 있었다.

16시 02분에 목표물이 확보됐다. 체포한 사람은 하산 아왈과 살라드 엘미를 비롯해 무려 210명에 달했다. 같은 시각, 블랙번을 데리고 초크4가 목표 건물에 도착했다. 목과 척추 등에 큰 부상을 입은 상태였다.[34] 2분 후에 험비도 도착했다. 험비는 즉시 블랙번을 데리고 철수했고, 초크4는 방어 지역으로 다시 출발했다.

그런데 지상군의 목표건물 도착이 늦어졌다. 길목이란 길목이 죄다 막혀서 목표 건물로 들어갈 방법이 없었던 것이다. 길을 알려줘도 제대로 보이지 않아 안 보이는 까닭에 막힌 길만 알려줬고, 목표 건물로의 접근이 늦어지자 낮은 고도에서 관측하기 위해 슈퍼61과 스타42, 스타43이 고도를 낮춰 지상군 엄호 등을 하며 막히지 않은 길을 대신 지상군에게 알려주며 지상군의 길을 터줬다.

C-2가 고도를 낮추지 못한 이유는, 앞서 말했듯이 이미 모가디슈 상공은 RPG-7과 무차별적으로 쏘아대는 중기관총으로 만들어진 화망 때문이었다. 그리고 영화처럼 헬기가 멈춰있던 게 아니라 매우 높은 고도에서 계속 이리저리 움직이고 있었다.

지상군의 진입이 늦어진 이유는, 블랙번을 데리러 목표 건물로 향하던 험비 3대가 지나친 길을 민병대가 또 막아버려서다. 블랙번을 태운 험비 3대도 왔던 길로 되돌아가려다가 막혀서 우회를 했다. 그러다가 스타 41 헬기의 지상 지원을 받으면서 모가디슈 북동쪽 끄트머리에 있는 10월 21일 거리(21 October Street)를 통해 겨우겨우 시내에서 빠져나오는데, 이 과정에서 제프 스트러커 하사가 운전하는 험비의 기관총을 잡고 있던 도미닉 필라 하사가 머리에 총탄을 맞고 즉사하고 말았다. 첫 번째 전사자가 발생했다.

16시 15분이 되어서야 지상군이 목표 건물에 도착해 목표물과 델타 포스를 함께 태우기 시작했다. 이미 트럭 한 대를 잃은 마당이라 남은 두 대의 5톤 트럭은 물론 험비에까지 정원 초과 현상이 일어났다.

16시 17분, 가장 끄트머리의 험비에 있던 클레이 오딕 일병이 AK-47을 쏘면서 달려오는 민병대를 포착하고 50구경 기관총을 쏘려고 험비의 거치대에 올라가다가 총격을 당해 부상을 입는다.

16시 18분, 레인저에 교전 중지 명령이 하달되고 목표 건물로 철수 명령이 떨어진다.

4.2. 블랙 호크 다운 (Black Hawk Down)

시가지로 추락하는 슈퍼 61 (영화 블랙 호크 다운 중)

16시 20분, 민병대가 무차별적으로 쏘아대던 RPG-7 로켓이 슈퍼 61의 테일로터를 날려버려 슈퍼 61은 목표 건물로부터 북동쪽으로 3블럭, 거리상으론 280~450m 정도 떨어진 곳에 추락한다. 클리프 월콧과 도노반 브라일리 준위가 그래도 최대한 가까운 곳에 추락하기 위해 안간힘을 썼기 때문에 이 정도였다.[35] 또한 클리프 월콧 준위는 추락 직전까지 사상자를 줄이기 위해 기수를 내려 조종석에 충격을 집중시키려고 시도했던 것으로 추측된다.

16시 21분, 슈퍼 61의 추락지로 민병대가 몰려가기 시작했다.

16시 23분, 목표물 탑승이 아직 끝나지 않은 지상군 호송대 쪽에서 부상자 2명이 발생했다.

16시 24분경, C-1(모가디슈 공항)은 현장의 병력 전체가 추락지로 이동해 민병대의 접근을 봉쇄하라고 명령을 내린다. 같은 시각 트럭에 RPG-7에 직격당해 해상자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체포한 요인 상당수도 부상을 당한다. 결국 목표 건물 앞에 트럭을 버리고 남은 트럭 하나에 탈 수 있는 모든 병력과 요인이 뒤섞여서 탑승한다.

16시 26분, 목표물을 모두 태운 지상군 트럭, 험비 무리가 추락지로 이동을 시작했다. 지상군 차량에 초크 1, 2, 3, 4가 다 탈 수 없어 스틸 대위는 뛰어서 추락지로 이동하라는 명령을 내린다. 한편 마이클 듀란트와 레이 프랭크가 조종하는 슈퍼 64가 상공을 배회하면서 슈퍼61의 추락지를 1차적으로 봉쇄하면서 대니얼 부쉬, 짐 스미스 델타 포스 측 저격수 두 명의 생존을 확인한다. 스미스는 슈퍼61 안에서 추락지를 방어했고 부쉬는 영화에서처럼 밖으로 나와 사격했다.

16시 27분, 칼 마이어 준위와 케이스 존스 준위가 조종한 스타41이 현장에 도착한다. 스타41은 지상에 완전히 착륙하지 않았으며, 대신 케이스 존스 준위가 뛰어내려 슈퍼 61에 접근해 부쉬와 스미스를 데리고 조종사의 전사와 승무원의 중상까지 확인한 다음 스타41로 돌아왔다. 그때까지 스타 41에 혼자 남은 칼 마이어 준위는 한 손으로는 사이클릭 조종간을 잡고 헬리콥터의 자세를 유지하면서 신속하게 이륙을 준비하고 다른 한손으로 MP5K 기관단총을 쏘아대는 다급한 상황이었다. 존스 준위, 부쉬, 스미스 일행이 왔을 때 비로소 착륙했으며, MH-6에 두 저격수를 태우고 유유히 모가디슈 공항으로 복귀하려는데, 추락지 인근에서 고전하는 초크2의 지상지원을 해주고, 총격을 받아 휘청이는 슈퍼65와 함께 복귀했다.

16시 29분, 추락지 근처에 도착한 슈퍼68에서 군의관과 항공구조사가 내려서 추락지로 접근했다. 이들은 슈퍼 61 내부에서 중상을 당한 승무원을 치료하기 시작한다. 이 과정에서 슈퍼 68도 RPG-7 로켓에 피격됐으며, 조종석 창문이 반쯤 깨질 정도로 격렬한 총격을 받았다. 다행히 추락은 하지 않고 간신히 모가디슈 공항에 복귀했으나 총격으로 인한 유압상실과 엔진출력 저하로 모가디슈 공항 활주로에 거칠게 불시착[36]해야만 했다. 이 과정에서 탑승자 전원이 크고 작은 부상을 입었지만 다행히 헬기가 파괴되지 않고 버텨서 사망자는 발생하지 않았다. 그러나 슈퍼68은 이후 다시는 모가디슈 상공으로 들어오지 못했다.

같은 시각 바버 51과 바버 52가 모가디슈 공항에서 총알과 전투식량을 갖고 모가디슈로 날아갔다. C-1에서는 교전이 30분 내에 끝나지 않을 것이란 판단을 내렸다. 이어 바버 54와 슈퍼 66도 모가디슈 공항에서 총알과 현장에 투입되지 않은 델타 포스 측 저격수를 추가로 싣고 날아갔다.

파일:attachment/ranger.jpg

16시 30분, 톰 디토마소 중위가 이끄는 초크 2가 추락지에 도착했다. 추락지가 워낙 가까웠기 때문에 초크 2는 그냥 직선으로 달리다가 추락지가 보이자 좌회전 한 번 하고 도착했다.

4.3. P-3

16시 30분부터 본격적으로 P-3가 지상군이 가야 할 길을 C-2에 보고하고, C-2가 지상군에 보고하는 과정으로 지상군의 이동이 개시됐다.

헌데, P3는 대잠초계기다. 대지상전용 조기경보기 용도로 쓰기엔 뭔가 부족한 게 많다는 말. 그래도 어느 정도 역할을 수행하기도 했다. 일단 앞서 말한 과정을 자세히 설명하면, P-3가 스캔한 지상 상황을 전송받은 ▶ C-2는 새 명령을 받으려고 ▶ C-1에 보고하고 ▶ 상황확인 뒤 새로운 계획을 세워 명령을 보내면 ▶ C-2는 지상군에게 보고를 하는 방식이다.

이런 복잡한 과정이 복잡한 시가지에서 계속해서 빠르게 변하는 교전 상황을 전혀 따라가지 못했고, 실제 지상군에 명령이 도달할 때쯤이면 상황이 완전히 뒤바뀌어 있는 사태가 계속 된 것이다.

이러다보니 민병대가 미처 막지 못한 길을 제때제때 찾을 수 없어서 공중에 있는 헬기에 의존해야 하는 지상군으로선 추락지로 들어가고 싶어도 막상 해당 위치에 도착하고 나면 막힌 길에 도착해 들어갈 수 없었다.

그렇다고 다른 헬기의 도움을 받거나, C-2의 고도를 낮춰서 육안으로 지상을 내려다보게끔 하자니 화망은 여전하고 눈 먼 RPG-7 때문에 위험했다. 그래서 C-2도 더 높은 고도에서 지상을 한 눈에 들여다보는 P-3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는데, 알려달라는 건 다 알려줘서 P-3도 이만저만 고생이 아니었다.

덕분에 지상군은 같은 길을 계속 왔다갔다 반복하면서 추락지 주변을 싹 다 돌았다. 영화처럼 길을 잃은 적은 없다. 추락지로 접근할 수 있는 길이 막혀 들어갈 수 있는 길을 찾아다니느라 움직인 것. 이러다보니 사상자가 늘어나고, 눈치로 P-3와 C-2의 통신이 느려서 지상군에 도달하는 통신도 느리다는 것을 알게 된 맥나이트 중령은 "P-3와 우리를 직접 연결시켜달라"고 요청했다. 그리하여 직접 연결이 돼 P-3 측으로부터 "최대한 빠르게 알려주겠다"는 대답을 들었지만, 막상 현장에 도착하면 또 막힌 길.

답답하기는 지상군을 엄호해주던 스타 42와 스타 44도 마찬가지였고, C-2나 C-1도 자기들대로 답답하고, P-3는 열심히 알려주고 있는데 개판 한 가운데 놓여 벌집이 되고 있는 현장의 대원들로부터 쌍욕까지 먹으니 잘 알려주고 싶어도 알려줄 엄두도 못 내게 됐다. 심지어 상대 쪽의 무전기 잡고 있는 사람이 중령이며 중계소 역할 해주는 C-2에서 무전 받는 사람도 중령이었다.

보다 못해 개리슨 장군이 P-3에 직접 연락을 해서 "안 막힌 길은 전부 알려달라"고 요청했다. 16시 35분에 지상군이 도착했으나 역시 막힌 길. 민병대의 로켓포 공격과 저격에 사상자를 내는 와중에 초크1과 이들을 따라 이동하는 델타 포스는 실제로 길을 잃어버리고 만다. 심지어 얼 필모어(영화에서는 윌리엄 피츠너가 연기한 샌더슨[37]이 던진다.)가 건물 창문으로 수류탄을 던지다가 총격으로 사망하면서 레인저의 두려움이 한 층 증가됐다.

4.4. 슈퍼 64 추락

16시 38분, 초크2, 초크4가 방어 중인 슈퍼 61 추락지에 바버 51과 슈퍼 65가 날아와 탄약과 전투식량, 수통을 보급했다. 같은 시각 스타 41이 기관포와 로켓포로 한바탕 휩쓸고 지나갔고 슈퍼 62가 항공구조사와 CCT를 추가로 투입한다.

16시 40분, 추가 지상지원을 위해 슈퍼 64가 추락지로 날아가다가 그만 RPG-7 로켓에 피격된다. 이 역시 하늘에 있는 헬리콥터를 보고 조준도 안 하고 대충 쏴대 날아다니던 것에 맞은 것이다. 피격 직후에는 괜찮아 보였지만 잠시후 로터가 분리되면서 슈퍼 64는 목표 건물에서 500여m 남쪽, 추락지에서는 무려 850여 미터나 되는 곳에 추락을 했다. [38]

모든 병력이 슈퍼 61 추락지에 묶여있는데 또 추락을 해버리니 개리슨 장군은 해당 기체에 대한 구조를 포기한다. 어차피 다 죽었을 거니까. 더군다나 민병대 무리가 또 몰려들고 있었다. 하지만 게리 고든 랜디 슈가트는 슈퍼 64의 추락을 목격했으며, 때문에 C-2에 슈퍼 64 추락지 투입을 요청한다. 그러나 C-2는 허락을 안 해줬다. 어차피 다 죽었을 거니까. 사실상 생존자가 있어도 그들을 데려갈 병력도 언제 올지 모르는 상황이였다. 험비 차량팀도 난관에 빠진 상황에서 지상군지원이 오기 전까지 한정된 탄약으로 1000명의 반군을 상대해야되는 임무였다. 그럼에도 지원하고자 한 것이다.

16시 41분, 지상군도 헬리콥터가 또 추락했다는 무전을 받는다. 맥나이트 중령은 C-2에 "슈퍼 64 추락지에는 갈 수 없다."고 말한다.

파일:attachment/f0083218_5120bd7a56619.jpg

사진은 '슈퍼 64' 실제 추락 사진. 바로 이곳으로 두 델타 포스 저격수가 자원해서 내려간다. 슈퍼 64가 추락하면서 이미 주변 지형지물을 싸그리 쓸어버렸다. 그래서 보다시피 적들은 포위가 가능하지만 방어는 불가능한 곳이 됐다.[39]

16시 42분, 게리 고든과 랜디 셔가트의 추락지 투입 요청이 계속되자 C-1과 슈퍼 62가 연결됐으며, 죽을 수도 있다는 개리슨 장군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결국 투입 허락을 받아낸다.

16시 43분, 슈퍼 64의 추락지에 랜디 셔가트와 게리 고든이 투입됐다. 윌리엄 클리블랜드와 토마스 필드, 레이 프랭크의 전사를 확인하고 마이클 듀란트의 생존을 확인한 그들은 슈퍼 62와 스타 41의 지원을 받으면서 시체를 인근 가옥에서 수습한다. 영화에서 마이클 듀란트와 랜디 셔가트가 나눈 대화는 실제이다. "호송대는 어디 있습니까?"라는 듀란트의 물음에 셔가트는 "우립니다."라고 대답하고 헬기 조종석에 꽂혀있던 MP5K 기관단총과 레이 프랭크 준위가 착용하고 있던 권총, 그리고 자신의 탄창(M1911 탄창)을 건네줬다.

이후, 상공에서 지원을 해주던 슈퍼 62는 RPG-7 로켓이 조종석에 직격타를 맞아 부조종사가 의식을 잃고 엔진이 심각한 피해를 입어 결국 파키스탄 다국적군이 주둔하는 모가디슈 운동장 인근 지역에 불시착했다. 스타 41은 계속 상공에 남아서 민병대의 접근을 봉쇄했다. 나중엔 슈퍼 61 추락지에 있던 스타 43과 교대로 날아다니며 방어를 했으며 슈퍼 67이 탄약을 보급해주는 등 족히 한 시간에 달하는 17시 40분까지 버텼다.

이 전인 17시 00분경, 토드 블랙번을 데리고 철수했던 험비 3대가 슈퍼 64의 추락지로 출발했다. 17시 41분, 게리 고든의 사망 후 17시 42분 랜디 셔가트가 사망한다. 마이클 듀란트는 포로로 생포된다.

원래 이슬람교 전통에 따라 시신 훼손은 엄격히 금지되고 24시간 안에 매장해야 되나 오폭과 선전, 그리고 교전으로 울분이 폭발한 군중들은 시신을 끌고 다닌 것으로도 부족해 거꾸로 매달아 오물과 돌을 던지기까지 했다. [40][41] 나중에 사우디아라비아군이 시체를 수습하려다가 수천 명의 성난 군중에 쫓겨나게 된다.[42] 다행히 협상을 통해 슈퍼 64 승무원, 고든, 셔가트 총 5구의 시신이 무사히 회수되었지만 이 중 한 구의 시신은 머리가 절단된 상태였다고 한다. 이후 사우디아라비아를 통해 본국으로 돌아갔다고 한다.

4.5. The Lost Convoy

한편 16시 43분, 할와디그 거리에 막히지 않은 길이 있다는 C-2의 보고를 받고(그리고 C-2는 P-3에서 보고를 받았다.) 할와디그 거리로 돌아왔으나 막히지 않은 길을 찾지 못한 지상군은 다시 할와디그 거리를 질주한다. 그러다가 RPG에 집중 피격을 받아 마지막 한 대 남은 트럭이 격파된다. 이 피격으로 델타 포스 측 티모시 마틴의 허리가 반토막이 났고[43], 운전대를 잡고 있던 리차드 코왈레스키 일병의 허리에는 불발탄이 꽂힌다. 사상자 수습을 위해 전 병력이 할와디그 거리 한복판으로 쏟아져 나와 총격전을 벌였고, 케이시 조이스 하사가 사망하고 로렌조 루이스 하사가 중상을 당한다. 스타 42, 스타 44는 물론 슈퍼 61 추락지를 방어하던 스타 43까지 투입됐으나 몰려드는 민병대가 헬기에 대한 공격을 중단한 적이 없었고 화망도 여전히 만드는 중이었다.

수습은 16시 52분이 되어서 끝났다. 시체를 더 이상 담을 공간이 없어 탄창, 수류탄, 수통 등 필요한 것만 챙기고 전투현장에 시체는 모조리 버렸다. 그리고 16시 54분, 맥나이트 중령이 "임무 종료" 무전을 보내오며 지상군의 임무는 실패(The Lost Convoy, 실패한 호송대)했다.

16시 56분 지상군은 철수 명령을 받았다. 모가디슈에서 나가는 것도 그냥은 불가능해서 스타 41과 스타 42의 근접 지원을 받았다. C-2도 이번엔 직접 지상 낮은 고도까지 내려와서 길을 직접 보고 지상군에 길을 알려줬다.

17시 34분, 슈퍼 64 추락지로 들어갈 길을 찾지 못한 험비 3대가 지상군과 함께 모가디슈 공항으로 돌아간다. 같은 시각, 슈퍼 61 추락지에서 초크4 소속 제임스 스미스 상병이 민병대에 둘러싸여 총격을 받는다.

5. 구조 작전

17시 46분, 지상군 전체 병력이 모가디슈 공항으로 돌아왔지만 여전히 약 99명의 병력이 슈퍼 61 추락지에 묶여 있었다. 스미스 상병의 부상이 심각했으나 후송할 엄두조차 내지 못했는데 추락한 2기 이외에도 슈퍼61 추락지에 CCT를 투입했던 슈퍼68과 슈퍼64 추락지의 델타 저격수들을 지원해주던 슈퍼62까지 RPG에 피격당해 겨우 귀환한 판에 후송을 위해 헬기를 취약 상황에 노출시키면 무슨 일이 일어날지 뻔했기 때문이다.

16시를 기점으로 교전이 소강 상태에 접어들었는데, 그 이유는 너무 어두워서... 야간 전투가 없을 것으로 예상해 야간투시경을 가지고 오지 않은 레인저와 델타는 눈에 뵈는 게 없었고 이건 민병대도 마찬가지라 양측 모두 자리만 지킬 뿐 교전은 거의 진행되지 않았다.

17시 08분, 슈퍼 66이 물, 탄약, 응급의료 약품 등을 슈퍼 61 추락지에 보급했다. 이 과정에서 RPG-7에 또 피격됐지만 다행히 어떻게든 버텨냈다. 슈퍼 66이 내려놓고 간 보급품도 스미스 상병의 부상에 도움이 되지 않았고, 결국 20시 27분, 제임스 스미스 상병은 사망한다.

UN 다국적군과 협의로 관할지역내 발생이 예상되는 우발사태에 대한 군사적 요구와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기존 작전을 훨씬 확장시켜 모가디슈 시내에서 모든 전투 병력을 탈출시키는 새로운 작전이 구상된다. 그리하여 JSOC 소속 지상군의 차량이 중무장을 하고 다시 모가디슈 시내로 투입됐고, 이 뒤를 말레이시아 육군, 독일 육군 소유의 100여 대가 넘는 장갑차와 파키스탄 육군 소유의 M48 전차가 따랐다. 육군 10산악사단 소속 블랙 호크 코브라 공격헬기의 지원을 받았으며, 10산악사단 전체 병력과 14보병연대 예하 2대대, 그리고 주력 부대에 가까운 파키스탄 전차부대와 보조 부대인 말레이시아 + 독일 육군소유 장갑차부대, 추가 투입될 미군 으로 구성된 UN 다국적군 등으로 이루어진 구조대 병력이 23시 23분에 모가디슈 공항과 모가디슈 운동장에서 출발했다.

모가디슈 공항에서 출발한 일부 병력이 다음 날인 10월 4일 01시 55분경에 슈퍼 64의 추락지에 도착했다. 하지만 듀란트는 물론 시신도 찾을 수 없었다.

02시경, 슈퍼 61 추락지에도 그토록 기다리고 기다리던 구조대가 도착했다. 그 전부터 스타 41, 스타 42, 스타 43, 스타 44가 지속적으로 슈퍼 61 추락지를 비행해서 진입에 큰 어려움은 없었지만 그래도 공격은 계속 돼 말레이시아, 파키스탄 육군에서도 사상자가 발생했는데, 파키스탄 육군 3명 부상, 말레이시아 육군 9명 부상, 1명 전사의 피해를 입었다. 그리고 말레이시아 육군의 콘도르 장갑차 한 대가 RPG-7에 격파되기도 했다.

파일:attachment/1235377593.jpg

영화에서는 임대가 상대적으로 수월한 장갑차가 맹활약을 하는 것처럼 나오지만, 실제로는 파키스탄 육군의 M48 전차가 대활약을 했다. 그 기세등등한 민병대도 전차가 등장하자 함부로 덤비지 못했다. 이는 RPG-7 명중률 문제도 있었지만 이미 제공권은 코브라 공격헬기가 이들을 호위하며 RPG-7이 포함된 민병대 무리들을 순삭시켜 버렸다.

03시에 월콧 준위의 시신을 마지막으로 꺼내며 슈퍼61 추락지의 수습을 마친다. 그리고 시내에 남겨둔 시신 등을 찾느라 밤 내내 모가디슈 시내를 들쑤시고 다닌다. 시신 수습을 끝마치지 못했지만 재정비를 위해 05시 30분부터 모가디슈 시내에서 파키스탄 다국적군이 주둔하고 있는 모가디슈 운동장으로의 탈출이 시작됐다.

실제로 대부분의 차량이 수거한 시신과 부상자 등으로 꽉 차서[44] 일부 레인저와 델타, 제10산악사단의 인원이 차량에 탑승하지 못했다. 결국 차량들이 천천히 움직이고 탑승하지 못한 인원들은 이를 엄폐물로 삼아 도보로 탈출한다는 판단을 내렸다.

하지만 의사소통 실패로 이 명령이 전달되지 않아 차량들이 속도를 높이자 탑승하지 못한 인원들만 덩그러니 남겨졌고 하는 수 없이 맨몸으로 민병대의 총알세례를 뚫고 기적적으로 전사자 없이 탈출에 성공한다.

블랙 호크 다운 영화 후반부에 두 발로 뛰어서 모가디슈 시내를 탈출하는 장면은 극적인 연출을 위한 각색이 섞인 장면인데 앞서 언급했듯이 낙오된 병력에는 레인저와 델타뿐만 아닌 제10산악사단의 인원도 포함되어 있었고 이들은 운동장까지 계속 뛴 것이 아니라 내셔널 거리에서 전차가 호위하는 구조 병력과 합류할 때까지만 도보로 이동했다. 이를 '모가디슈 마일'(Mogadishu Mile)이라고 부른다. 그 후 차량에 탑승하여 운동장까지 이동했다.[45]

6. 피해

공식적인 발표에 따르면 미군은 18명이 죽고 73명이 부상을 당했으며 1명이 포로가 되었다. 말레이시아군에서도 1명이 사망하고 9명이 부상당했으며, 파키스탄군은 3명의 부상자가 나왔다.[46]

소말리아의 경우 아이디드 쪽의 발표에 따르면 315명이 죽고 812명이 부상당했다. 하지만 이후 미국과 UN의 자체조사에 따르면 약 1500에서 3000여명 정도가 사망 혹은 부상당했다고 한다. 일단 21명의 소말리아 민병대가 포로가 된 것은 확실하다.

사망자 18명 + 부상자 73명은 베트남 전쟁 이후 벌어진 마야게즈호 피랍사건 당시 작전 실패[47] 다음으로 미군에게 큰 피해 규모였고[48], 전면전인 걸프전에서조차 50만 명의 미군 중 294명이 전사했던 것을 생각해보면 뼈아픈 피해였다. 더군다나 18명의 사망자 하나하나가 USSOCOM 소속의 군 내 최고 엘리트들이었던지라 더욱 치명적이다. 당장 1인당 양성비가 기본 억단위로 투자되는 미군 최정예 티어1 특수부대 델타포스, 미 육군 최고의 경보병 강습대이자 티어2 특수부대인 레인저, 미 최고의 정예 파일럿 부대인 제160특수작전항공연대 소속 강습 조종사들로만 순수하게 이루어진 사망자 18명은 도저히 씻을래야 씻을 수 없는 어마어마한 상처로 남게 되었다.

이로 인해 당시 대통령인 빌 클린턴과 국방부장관인 레스 에스핀에 대한 비판 여론이 증가하기도 했다. 실제로 랜디 슈가트의 아버지가 빌 클린턴을 면전에서 비판하면서 악수를 거절했을 정도다.

이후, 2011년 8월 5일 아프가니스탄에서 탈레반의 공격으로 미군 헬기가 격추, 네이비 씰에서도 최정예인 DEVGRU 대원 25명을 비롯한 미군 31명(과 아프간 정부군 7명 포함 모두 38명 즉사)이 전사하면서 헬리콥터 격추 피해로 이 전투의 피해를 넘어섰다.

7. 고딕 서펀트 작전의 문제점과 또 다른 문제점들

작전의 문제점은 1, 2가지가 아니지만 가장 결정적이고 핵심적인 실패 원인은 3가지로 볼수 있다.

7.1. 무리한 주간 작전 강행

현지 사정을 잘 아는 것은 현지에 주둔 중인 JSOC인데, 그들의 이야기를 제대로 듣지도 않고 작전을 승인해버렸다. 그 결과 잠행이 특기인 특수부대와 야간 비행이 특기인 특수전 조종사들이 대낮에 헬기를 띄워서 단체로 민병대 수천명이 우글거리는 밀집 슬럼가의 한 가운데로 대놓고 우루루 몰려가는, 쉽게 말해 병력들이 가지고 있는 장점을 버리고, 단점 뿐인 지옥으로 병력들을 보내버린 것이다.

위에서 말한대로 제160특수작전항공연대는 부대 별명이 '나이트 스토커(Night Stalker)'로 불리던 부대로, 미 육군에서도 야간 항공 작전에서 특출난 실력을 지닌 파일럿들이 배치되어 있었다.[49] 나이트 스토커의 훈련 중에는 달도 안 뜬 컴컴한 밤맨눈으로 저고도 비행을 하는 것도 있었다고 한다.

이런 사람들과 장비들을 주간 작전에 투입했음은, 결과가 좋았어도 개판이 당연히 예상되는 것이었다. 회담 시간이 낮이기는 했지만, 회담 시간을 알아냈으니 목표물 미행을 통해 야간에 데리고 오는 것도 충분히 가능했다. 밤이 어둡고, 월광에 기댈 정도로 인프라가 없는 동네라 제아무리 자기네 홈 구장이라도 소말리아 사람들이 미군 상대하기엔 굉장히 껄끄러운 시간대를 활용하지 않고 대낮에 특수부대를 지옥에 던져놨으니 작전이 제대로 성공할리 없는 것이다.

7.2. 공격 헬기 등의 지상 제압 화력의 부족

작전지역은 복잡한 구형 시가지였기 때문에, 블랙 호크 같은 큰 헬리콥터가 착륙할 공간이 마땅치 않고, 착륙에 성공하더라도 그 순간이 가장 취약한 순간이므로, 반드시 공격헬기에 의한 화력제압을 진행하는 것은 헬기작전의 가장 기본적인 전술임에도, 당시 클린턴 정부는 하필이면 동시에 러시아에서 일어났던 보리스 옐친 친위 쿠데타에 더 큰 관심을 가지고 있었고, 정치·외교적으로 비난을 받으며 불리해질 수 있는 중화기 투입은 꺼리고 있던 상황이였다.

AC-130, M1 에이브람스는 고사하더라도 최소한 공격헬기인 AH-64 아파치, 보병전투차인 M2 브래들리는 반드시 필요한 작전이였음에도 화력 지원이 사실상 전혀없는 상태로 적진 한복판 속으로 그것도 대낮에 진입을 한것이다.[50] 물론 미국 정부의 우유부단함도 문제였지만, 개리슨 장군도 화력 지원 요청을 너무 늦게 한 것도 문제였다. 빨리 요청을 했더라도 아파치나 브래들리가 왔을까 싶지만, 애초에 경보병 부대만 덩그러니 보내놓고 "특수부대니까 뭐든 다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오판한 펜타곤에게 더 큰 책임이 있다.

특수부대는 개개인은 강하다. 하지만 일당백으로 적과 싸워서 다 이기는 천하무적이 아니다. 이들의 강점은 어디까지나 몰래 접근해서 목표물만 치고, 다른 적에게 반격 받기 전에 빠지는 것이다. 그 점에서 특수부대를 민병대가 득실대는 시가지에 던져놓은 것은 삽질이나 다름없다. 예전처럼 해병대를 다시 데려다 놓거나, 10산악사단이라도 원상태로 되돌려 놨으면 무리는 있겠지만 안 죽을 것이라고 굳게 믿었던 델타 포스의 시체를 보는 충격은 없었을 터다.

이후 JSOC의 중장비 요청을 거절한 레스 애스핀 당시 국방장관은 클린턴에 의해 해임됐다.[51]

7.3. 미군의 방심 및 정보의 노출

아토를 체포한 것외에는 별 다른 작전이 없었고, 무장 세력의 공격도 이상하리만치 조용한 JSOC가 목표는 아니라서 모가디슈 시내에서 점점 피해가 발생해갈 때까지 JSOC 병력들이 대단히 방심하고 있었다. 사전 정찰이 적었는지 아니면 정말 민병대가 건물 지붕에서 사격한다는 점을 몰랐는지, 지붕에서의 사격에 병사들이 죽거나 큰 부상을 입었다. 공격을 성공시키는 데 필요한 조건이 바로 위에서 아래로 공격하는 것인데, 본인들만 위에서 아래로 공격할 줄 안다고 자만했을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작전 개시전, 병사들이 무게로 인한 피로를 줄이기 위해 수통이나 야시경 같은 장비들을 챙기지 않았다.[52] 그 결과 슈퍼 61이 추락하면서부터 뭔가 큰 문제가 있음을 깨닫긴 했지만 몸처럼 생각도 가벼워 뭐가 잘못됐는지 깨닫질 못했다. 모가디슈에 고립돼 탄약이 떨어지자 헬기로 탄약 보급을 받았을만큼 필수품이 부족한 상황.

또한 계속되온 미국의 압박과 적십자위원회원 54명 체포, 아토의 체포 등, 겪어볼 수 있는 모든 것을 경험해 풍부한 경험으로부터 파라 아이디드는 자기가 어떻게 잡힐 것이란 예상을 할 수 있었다. 그래서 더욱 모습을 감추면서 라디오를 통한 선전만 해댄 것이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조너선 하우 UNOSOM 지휘관과 파라 아이디드의 대결 양상이 치열했다. 그러다 보니 아이디드가 미국을 상대로 싸우는 소말리아 유일의 인물이란 이미지가 생겼다. 본인이 이런 이미지를 잘 이용하기도 했다.

이라크 전쟁에서 후세인에게도 이런 이미지가 있는데, 파라 아이디드의 이미지를 한치의 흐트러짐도 없이 답습했다. 그야말로 외부의 적에 대항해서 내부를 결집시키는 형태로, 미군이 스스로 상대를 최악으로 만들어버린 셈이다. 총 하나 들고 미군에 쏘아댄 사람이 모조리 아이디드의 세력이 아니라 무장한 민병대인 점도 이 때문이다.

그런데 이런 가정하에서 미군 vs 민병대 사상자 수를 비교하면, 오히려 미군의 피해는 적고 민병대는 도륙을 당했다는 결론이 나온다. 사실상 미군 한 명, 한 명이 백발백중으로 민병대를 쓰러트린 것에 가까웠기 때문에 이래저래 이들의 전투력은 뛰어났다는 결론을 도출하는 보고서도 몇 종류 있다.

물론 제대로 훈련을 받은 정예부대와 민병대라는 차이도 있겠지만, 민병대들이 민간인들을 총알받이로 쓴 것도 있다. 게다가 까트를 거하게 빤 민병대들이 제정신일 리 없으니 아군 오사도 꽤 있었을 것이다.

8. 결과

이 작전 이후 미국은 소말리아에서 완전히 손을 뗐고, 르완다 보스니아에 평화유지군 파병도 꺼리게 된다. 나비 효과랄지 서방세력과 함께 개입하지 않았던 르완다 내전에서 약 80만 명이 죽었다.[53] 정작 여기는 그냥 제노사이드고 투치족에게 권력을 줘도 보복할 힘이 없어서 미군이 작정하고 갈아엎어도 전혀 문제가 안 됐는데도 말이다.[54]

1994년 3월 아이디드와 알리 마흐디가 다시 휴전에 합의 되었고, 1994년 11월 UNOSOM-2의 종료가 결정되면서 1995년 3월을 기점으로 소말리아에서는 UN평화유지군을 비롯해 모든 다국적군이 철수를 한다.

모가디슈 전투 이전에 미군에 잡혔던 오스만 아토는 이후 아이디드를 떠나서 알리 마흐디 파벌에 합류했다.

이 사건의 영향도 조금은 있겠지만, USC의 시아드 바레 축출 이후로 소말리아는 사실상 사람이 살 수 없는 곳이 됐다. 아이디드는 이 사건 이후 빌 클린턴 미국 대통령과 회담차 미국이 보내준 수송기를 타고 워싱턴 DC로 오기도 했으며[55], 1995년 6월에는 자신이 소말리아 대통령을 자처하기도 했지만, 오히려 그는 당연히 국제사회의 인정을 받지는 못했고, 지역 군벌에 대한 통제력도 없어서 결국 모가디슈를 중심으로 알리 마흐디와 지배력을 다투는 상황으로 회귀했다.

그리고 얼마못가 1996년 7월말에 모가디슈에서 다른 무장세력의 공격을 받았고[56], 8월 2일 사망했다.
파일:후세인파라아이디드.jpg
후세인 파라 아이디드(1962~ )

진짜 골 때린 것은 모하메드 파라 아이디드의 후계자로 셋째 아들 후세인 파라 아이디드가 추대되었는데, 이 경우도 좀 복잡하다. 후세인은 16세에 자신의 모친과 함께 미국으로 이민을 갔고, 미국에 귀화했다. 심지어 미합중국 해병대에 자원입대를 했기 때문에, 소말리아에 미 해병대가 처음 투입된 희망 회복작전에 참여하면서 소말리아에 미 해병대원 신분으로 파견되어서 활동하고 있었다. 그러다가 모하메드 아이디드가 사망한 다음에 하브 지디르 부족에 의해서 대통령으로 추대되려고 했었으나, 물론 후세인도 당연히 정식으로 대통령으로 인정은 받지 못했다. 이후 캘리포니아에서 대학을 나와 미군에 들어간 미국인인 관계로 아버지 모하메드와는 달리 소말리아를 국제사회에 편입시키기 위해서 노력하는 중이다. 다큐멘터리에 등장하는 후세인은 꾀죄죄한 외모에 거친 말투를 구사하는 아버지와 달리 항상 깔끔한 정장 차림에 정중한 말투를 쓴다.[57]

듀란트 준위를 생포했던 사람은 훗날 미국으로 망명해서 관련 다큐멘터리 등에 가끔 등장한다.

이 전투의 영향으로 미국은 당분간 국제사회의 분쟁에서 손을 떼게 되었고, 그 후 르완다에서 인종 청소가 벌어질때 방관만 하게 된다.

8.1. 훈장 수여자

전투 이후 미 국방부에서 참전자들에게 수여한 훈장들은 영문 위키에서 확인가능하다.

마이클 듀란트 준위는 결국 구출되지 못했지만 그래도 군중이 아닌 그나마 이성적인 아이디드 직속 병력의 손에 넘어갈 시간을 벌었다.[58] 그리고 그럭저럭 괜찮은 대우를 받다가 11일 뒤에 석방됐으니, 결국 게리 고든과 랜디 셔거트의 희생은 헛되지 않았다. 두 명의 델타포스 대원에겐 사후에 미군 최고의 훈장인 명예 훈장이 추서됐다. 이는 베트남 전쟁 이후 21년 만에 추서된 것이었다.

8.2. UN군의 뻘짓

참고.

9. 미디어

9.1. 블랙 호크 다운

해당 문서 참고.

9.2. 말밧 미션 바카라

2023년에 나온 말레이시아 영화로 고딕 서펜트 작전에서 구출작전에 참여한 말레이시아군 기계화보병들의 이야기를 담은 영화.

엉성한 CG와 조악한 M48 패튼 전차 모형으로 파키스탄 전차를 보여준다. 문제점은 애국영화 및 말레이시아군 홍보 역할을 하는 영화인 만큼 역사왜곡이 심하다.

대표적으로 구출작전에서 가장 큰 역할을 한 군대는 파키스탄군의 전차부대인데 선두에선 전차부대가 야밤에 진입해 RPG-7을 한대 맞자 "아, 우리 야간투시경 안 가져와서 참여 못하겠음"과 함께 이탈해버리고 이에 말레이시아군의 콘도르 장갑차부대가 용감하게 돌격해 헬기 추락지점까지 가는데 이와중에 장갑차에 탑승한 미군의 트롤짓으로 말레이시아 군인이 희생되었고 헬기 잔해 끌어내는데도 델타포스가 생각해내지 못 한 장갑차로 끌어내는 것도 우리 말레이시아군인이 발안해서 구할수 있었다는 식으로 역사왜곡을 하였다.

심지어 초반부도 무리수인데 미군 장성이 말레이시아군에게 "야, 우리들은 너희들 장비만 필요했을 뿐이니까 장갑차 조종병만 남고 나머지는 해산해!!"라며 모욕을 주는 장면까지 있는데, 미국에서 어느 장성이라도 다국적군의 지휘관이 이런 식으로 모욕을 주면 후일 진급 심사는 물론이고 그 자리에서 보직 해임을 당할 수 있다.

10. 기타

셔거트와 고든 모두 미 해군의 수송함 T-AKR-295(랜디 슈거트), T-AKR-296(게리 고든)의 함명으로 붙었다.[59]

훗날 2002년 알 카에다의 기지중 하나에서 게리 고든의 GPS 추적기가 발견되었다...고 했는데 알고보니 동명이인인 헬기 조종사의 것으로 밝혀졌다.

마이클 듀란트 준위는 2001년까지 육군에서 교관조종사 등으로 계속 복무하다 CWO4로 1계급 진급한 뒤 퇴역했다. 이후 2010년대에 또 중요한 역사의 분기점에 나타나는데, 넵튠 스피어 작전민간 실무 자문가로서. 넵튠 스피어 작전 초기, 오사마 빈 라덴의 처리 방법을 놓고 오바마 행정부는 3가지의 옵션을 내놓았는데,
1. 인도양을 담당하는 제5함대 소속 알레이 버크급 구축함 토마호크 미사일로 오사마 빈 라덴을 날린다.
2. B-2 스피릿 스텔스 폭격기로 파키스탄의 방공망을 침투, 내부 폭장으로 오사마 빈 라덴을 날린다.
3. 헬기로 특수부대를 침투시켜 오사마 빈 라덴의 대갈통을 날린다.

로써, 당시 오사마 빈 라덴의 (추정)은신처가 하필이면 근처에 '파키스탄 육군사관학교'가 있을 정도의 대도시, 아보타바드 지역이었던 탓에 추가적인 민간인 희생을 통한 파키스탄 여론 악화를 우려한 오바마 행정부 내에서 3번째 안이 확실시 되고 있었다. 그리고 추가적인 민간인 희생 우려 외에 자신들이 공격했던 대상이 진짜 오사마 빈 라덴인지에 대한 증거를 확보하기 위함 등의 이유도 있었다고 한다.

그런데 듀란트가 제 3안에 대하여 결사적으로 반대했다. 왜냐하면 자신이 그런 '헬기를 통한 특수부대 강습' 작전이 얼마까지 잘못될 수 있는지를 모가디슈에서 뼈저리게 경험했으니까. 듀란트는 "상황이 꼬이더라도 그냥 1, 2안 가시죠. 아니면 그냥 은신처 공격 포기하고요."라는 입장을 견지했는데, 맨 마지막에 가서는 결국 자신의 의견을 접기는 했지만, 사태의 악화시에 대한 해결책을 강구하도록 당시 버락 오바마 대통령에게 인상을 남겼고, 이는 오바마 대통령이 다른 장성들도 생각 못한 '예비 헬기'의 추가 투입을 이끌어 냈다.

이후 실제 작전에서 미군은 예비기로 아프가니스탄-파키스탄 국경에 두 대의 CH-47을 파견, 대기시켰다. 아니나다를까, 작전에 투입된 UH-60 가운데 한 대가 VRS[60] V-22가 뻔질나게 추락하는 원인이었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Vortex_ring_helicopter.jpg ]로 추락하는 일이 실제로 발생했다. 그나마 다행히 이 추락으로 인한 사상자는 없었다.
당시 오사마 빈 라덴은 헬리콥터가 착륙할 수 있을 정도로 크고 아름다운 쓰레기 소각장을 자신의 안전가옥에 만들어두었다. 당연히 이 지점이 LZ(Landing Zone, 착륙지점)로 선정되었는데 마침 벽을 교도소 수준의 높이로 세워놔서 내부는 헬리콥터가 오래 체공하기에는 위험한 곳이었다. 이 추락으로 인해 내부 인원들을 수용해야 했고, 더해서 오사마 빈 라덴의 은신처에서 나온 수많은 자료들을 실을 예비기가 필요했으며, 추가로 작전에 투입된 블랙 호크를 급유할 급유기가 필요하였던 당시의 상황을 보면 선견지명이 아닐 수 없었다. 더 자세한 상황은 넵튠 스피어 작전 문서 참고바람.

또한 이 작전 당시 델타포스의 지상팀을 지휘했던 오스틴 스콧 밀러 대위는 후일 중장으로 JSOC 사령관을 역임하고, 2018년 9월 대장으로 승진, ISAF 사령관으로 부임했다. 육군 대장이 직접 M4A1 카빈으로 무장하고 다니는 모습에 사람들이 역시 델타 출신이라고 끄덕였다는 후문.

2013년에 모가디슈에서 수거해온 실제 슈퍼 61의 메인 로터와 슈퍼 64의 잔해가 노스캐롤라이나 주에 있는 항공 및 특수작전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그리고 RPG에 피격 당했던 슈퍼 68도 복원된 뒤 앨라배마 주에 있는 미 육군 항공 박물관에 전시되고 있다.

11. 외부 링크



[1] 소말리아어 [2] 아랍어 [3] 'Somali National Alliance'의 준말. [4] 세 부대를 통틀어서 160명, MH-6 리틀버드 19대, UH-60 블랙 호크 16대, 험비 9대, 군용트럭 3대를 모하메드 파라 아이디드 생포 작전에 투입한다. [5] 미군, 말레이시아군, 파키스탄군과 UN 평화유지군을 통틀어서 3,000명으로 훗날 일어나는 사태에 투입하는 구출 작전 부대로 편성되었다. [6] 이는 그 이후 미국이 다른 나라의 분쟁에 소극적으로 대처하는 계기를 제공하였다. 모하메드 파라 아이디드는 이후 다른 부족들에게 원한을 사 암살당한다. [7] 슈퍼 61(Super six-one), 슈퍼 64(Super six-four) [8] 다로드 부족이라는 거대 부족의 일부였다. 시아드 바레는 마레한 소부족만을 지원했기 때문에 다로드 부족은 반대파에서 활동했다. [9] 그러나 바레는 이들의 세력을 완전히 뿌리뽑지는 못했고, 이후 이자크 족의 SNM은 소말릴란드로 이어진다. [10] 소말리아어로는 Duub Cas. [11] 이 시기 타국의 외교관들조차도 안전을 보장되지 못할 만큼 개판이 된 모가디슈의 상황과 그 지옥도에서 목숨을 걸고 탈출하는 데 성공한 남한 북한 대사 일행의 실화를 다룬 영화가 바로 2021년 개봉한 모가디슈이다. [12] 소말리아의 부족은 하브예 25%, 이자크 22%, 다로드 20%, 라한웨이 17%로 이어진다. 시아드 바레가 소속되어서 중용한 마레한 소부족이나 오가데니는 다로드의 일파. [13] 아이디드의 투옥 원인은 확실하지 않은데, 아이디드가 재차 쿠데타를 모의했다는 설부족주의 타파를 내걸은 바레가 하브예 부족에 영향력이 큰 아이디드를 제거했다는 설이 공존한다. 뭐 둘 다일 수도 있다. [14] 아버지 부시는 사실 인권이나 평화유지 같은 것에는 전혀 관심이 없는 사람이었다. [15] 여기에 당시 투입된 해병대 병력은 제15해병원정단, 제7해병연대와 제11해병연대 각각 1개 대대였다. [16] 이걸 점령이라고 하는데, 원래 모가디슈 공항은 아이디드의 요구 사항에도 나오는 것처럼 UN군 영향하에 있었다. 영화상에서 나오는 미군 본부가 바로 모가디슈 공항이며, 해병대가 철수하면서 인수했다. [17] 영화 블랙 호크 다운에서 종종 10번째 산이라고 자막에 나오는 게 바로 제10산악사단을 오역한 것이다. [18] 부상자가 발생했지만 전사자는 없었다. [19] 전투병력 20,000, 후방 지원병력 8,000으로 구성되었다. [20] 특전사 한 개 대대급이 파병됐으나 공식 발표는 없었고, 다행히 실제 교전도 없었다. 때문에 중무장 경비부대, 5분 대기조로서의 역할이 더 컸다. [21] 마지막까지 전차부대가 남아있었다. 추가로 앞서 설명한 안보리 결의 837호의 내용이 파라 아이디드를 체포하는 전투작전이다보니 파키스탄은 반대표를 던졌다. [22] 아이디드 측은 여자와 아이 포함 73명 사망, 수백의 부상자로 발표했고, 미국은 남자 20명으로 발표했다. 적십자사의 발표는 54명 사망에 부상자 196명이었다. [23] 델타포스와 DEVGRU, 제24특수전술대대는 팀원부족 등의 사유가 발생하면 서로 지원을 해준다. 이 작전엔 DEVGRU 소속 4명 1개팀이 참가했다. [24] 델타포스와 DEVGRU, 제24특수전술대대는 팀원부족 등의 사유가 발생하면 서로 지원을 해주는데 공군의 경우 제24특수전술대대 뿐만 아니라 이들이 속한 공군 제24특수작전비행단 대원들 모두 타군 특수부대로의 임시 파견이 상당히 잦다. [25] 이 중 ISA의 경우 많은 자료를 통해 비공식적인 참전 사실을 쉽게 확인 가능하다. [26] 이들의 목적은 무조건 모하메드 파라 아이디드를 체포해서 법정에 세우는 것이었다. 이게 안 되면 사살이었지만 2순위였다. 아이디드를 국제전범재판에 세운다는 것은 조너선 하우의 절대적 지론이었다. [27] 왜 파라 아이디드부터 체포를 하지 못하냐면, 파라 아이디드를 먼저 체포해버리면 그 세력 내에 다른 간부가 지휘권을 물려받을 게 뻔하기 때문이다. 쉽게 설명해 피라미드의 위에서 아래로 내려오지 않고 밑에서부터 올라가는 것. [28] 영화에서는 초크4의 헬리콥터로 등장한다. [29] 영화에서는 초크1 또는 초크2의 헬리콥터로 등장한다. 실제로는 엄호 헬리콥터였다. [30] 흔히 이 건물이 목표 건물이라 착각하는 사람이 많다. 주변 건물과 달리 흰색에 층수가 높은 건물이라 눈에 띄어서 일종의 표식으로 사용된 건물이고, 목표 건물의 특징이 없어서 목표 건물을 부르는 암호명으로 지정된 것이지 절대 목표건물이 아니었다. 논픽션 블랙 호크 다운은 물론 각색된 영화, 심지어는 위키피디아에서도 이 건물이 목표였다는 말은 한마디도 없다.(위키에는 설명이 부족해서 좀 혼동될 수 있다.) 사건 관련 정보나 논픽션에서는 이 건물이 일종의 기준점이고 목표 건물은 그 주변의 건물이란 언급이 엄연히 나온다. 목표 건물은 위 사진에 나오지 않는다. 목표 건물은 사진 우하단, 주차된 차들이 있는 건물에서 오른쪽에 위치한다. 올림픽 호텔과 실제 목표건물 위치. [31] 현재 구글 위성사진으로 확인이 가능하다. 모가디슈 올림픽 호텔(Olympic Hotel, Mogadishu, Somalia)이 위치한 블럭 북쪽에 있는 전자제품 판매점(Astaan Tv Bakaaro)건물앞 교차로에서 대각선 반대 모퉁이 건물이다. [32] 캐리비안의 해적과 반지의 제왕으로 유명한 올랜도 블룸이 이 병사를 연기했는데, 후송되는 장면 이후 등장이 없다. 그래서 배우 팬들조차 나왔는지를 모를 정도다. [33] 블랙 호크 다운 영화판의 무삭제 버전에서도 등장하는 장면이지만 레인저의 명예실추 등을 이유로 삭제됐다. 응사를 하지 않고 쏘지 말라고 무전을 보내는 델타 포스 대원들과 달리 무작정 쏴대는 레인저의 모습이 나온다. [34] 거의 5~6층 건물정도의 높이에서 떨어져 결국 의병제대했으나 2년여간 재활치료를 받고 현장직 경찰로 근무할 정도로 회복했다. [35] 블랙 호크 헬기는 로터가 손상돼도 어느 정도 비상 비행이 가능하도록 설계가 되어있다. 그래서 어느 정도 원하는 위치로 추락이 가능했던 것이다. [36] 호버링 후 수직착륙이 아니라 고정익기처럼 수평비행상태로 활주로에 터치다운. [37] 모티브가 되는 인물은 폴 하우. [38] 슈퍼 64 추락 당시 무전 RPG를 맞고 휘청거리는 슈퍼 64를 보고 괜찮냐는 C-2와 추락 직전 마이클 듀란트가 부조종사 레이 프랭크를 외치는 소리까지 들을 수 있다. [39] 민간인 거주 지역이였기 때문에 민간인 사망자도 발생했다. [40] 이때 미군 파일럿의 시신을 끌고 다니며 훼손하는 장면을 파라 아이디드 무장 세력의 인물로 보이는 사람이 녹화해 인근 나라에 있는 미 방송국 특파원에게 전달했고, ABC가 특종으로 보도하면서 아침에 생방송으로 가정에 송출됐다. '델타 포스도 죽는구나.' 라는 말이 이때 나온 말이다. 당연하지만 이런 끔찍한 장면이 뉴스로 송출된 것에 대해서 항의한 사람들이 많았다. [41] 현재도 구글에 검색하면 알몸 차림에 끌려다니는 시신을 주의 볼 수 있는데 이는 슈퍼 64의 승무원 중 한명인 윌리엄 데이비드 클리블랜드 주니어의 시신이다. [42] 사우디아라비아는 UN 소속이지만 소말리아의 적으로 간주되지 않았는데 이들이 차를 타고 와서 수습하려고 하다가 그 광경을 보고 분노했다. 보다 못한 사우디 장교가 군중에게 경고했으나, 군중은 시신을 건드리면 공격하겠으니 즉각 철수하라고 되려 큰소리를 치는 등 당시 소말리아 대중들의 미군에 대한 적개심이 얼마나 컸는지 알 수 있다. 물론 당시 사우디아라비아군 병력 고작 열 명 정도가 차량 두 대를 타고 온 탓에 그냥 물러나야 했지만 사우디군 장교는 죽은 이를 건드리는 게 이슬람교에서도 금기시하는 것이 아니냐며 욕설을 퍼부으다가 부하들이 말려서 그도 물러났다. [43] 현장에서는 생존했지만 독일 다국적군의 야전병원에서 결국 전사한다. [44] 영화에서는 부상자를 태우라는 스틸 대위에게 조종수가 자리가 없으니 천장에 타라고 하는 장면과 장갑차의 조종석과 조수석 사이에까지 시신을 꾸역꾸역 실어놓은 묘사을 통해 이를 단적으로 표현했다. [45] 또한 실제로 영화에서 주인공이였던 매트 에버스먼의 경우엔 맥나이트의 수송대에 소속되어 있었기 때문에 철수 명령 받았을 때 가장 먼저 철수하였다. [46] Rick Atkinson (31 January 1994). The Washington Post. [47] 1975년 5월 12일, 미국 선적 컨테이너선 마야게즈호가 캄보디아 인근 공해상에서 크메르 루주에게 나포된 사건. 프에블로호 피랍사건 당시 저자세로 나갔다가 망신당한것 때문에 항공모함까지 동원하여 강경대응을 하기로하고, 마야게즈호의 승무원들을 구출하기 위해 해병대를 보냈다가 정보 부족으로 41명 전사(3명 실종 포함), 96명이 부상당하거나 포로로 붙잡힌 사건. 정작 마야게즈호의 승무원들은 다른 곳으로 이송되어 나중에 석방되었다. [48] 1983년 레바논 베이루트 미군기지에서 자폭 공격으로 미군 241명이 때죽음 당한 것도 있지만 이건 전투라고 볼 수 없으니 제외. [49] 미 육군 중에서도 최고봉에 달하는 베테랑 조종사들이 조종한다. [50] 심지어 최초 소말리아에 파견되었던 미해병대 조차도 M1a1 HC 전차를 비롯한 기갑장비들을 가지고 갔었다. [51] 그리고 후임 국방장관으로 윌리엄 페리가 취임했고 94년 1차 북핵위기 이후 아이티 개입과 95년 보스니아 공습을 결정했다. 한국에선 이때 북한과 전쟁을 했어야 했다고 아쉬워 하는 사람들이 있지만 미군의 소말리아에서의 삽질이 결국 카터 전 대통령의 방북과 제네바 협정으로 무력충돌 없이 끝나게 되는데 어느정도 영향을 주었다고 볼 수 도 있을것이다. [52] 영화에서는 레인저 대원인 조이스가 뒷쪽 방탄판을 빼는 바람에 죽은 걸로 나오지만 사실 당시에 사용했던 초기형 레인저 바디아머는 애초에 정면에만 방탄판을 삽입하는 구조였다. 그만큼 방심했다는 것을 표현하기 위한 묘사로 보인다. [53] 참고로 이 제노사이드는 충격적이게도 프랑스가 조장했는데 르완다에 대한 영국과 미국의 영향력 확대를 배제하고 자국의 영향력을 강화하기 이런 짓을 벌였다. [54] 하지만 폴 카가메 르완다 대통령은 권력을 잡은 뒤에도 후투족에게 직접적인 보복을 하지 못했다. 물론 일부가 총살되긴 했지만 그것도 제노사이드 재판을 열어 범법자를 처단하는 형식이었고 그나마도 악질이 아닌 일반 가담자는 전부 마을 재판으로 넘겨서 가볍게 처벌했기 때문에 그 수도 얼마 안 됐다. ; 대신 이렇게 최소의 보복으로 봉합아여 르완다에선 당시 내전을 입밖에 내는 게 금기시되긴 하지만 이제 출신부족간 차별이 아예 없다고 한다. 그리고 무엇보다 이런 비판은 미국을 두고 개입하면 패권주의, 개입하지 않으면 이기주의라고 욕하는 전형적인 이중잣대식 비판이다. [55] 그런데 이때 명령으로 아이디드를 경호한 사람들이, 불과 얼마 전 아이디드의 부하를 잡으러 갔다가 지옥을 경험한 델타포스 대원들(!)이었다. 당시 델타포스 대원들의 심정이 어땠을지는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56] Novalogic사의 게임 '델타 포스 : 블랙 호크 다운'에서는 마지막 미션으로 모가디슈에서 처음부터 끝까지 개고생한 주인공이 반 아이디드 세력이 시간을 끌어주는 사이에 아이디드의 비밀 벙커에 잠입하여 암살하는 것으로 나온다. 무기는 MP5SD와 클레이모어 2개와 수류탄 몇개 뿐이다. 그걸로 플레이어는 모든 것을 혼자서 스스로 해결해야한다. 들켜서도 안되며 지원도 없다. 말 그대로 Black Operation. [57] 단, 아버지 모하메드도 일반 군벌이 아닌, 소말리아 정권 붕괴 전 정규 교육을 받은 정규군 장군 출신임으로 엘리트 계층이었다. 수많은 군벌들 중 나름 정통성을 내민 인물이었고 부유한 계층이었기에 내전 반발 전 아들을 미국으로 이주 시킬 수 있었던 것이다. [58] 제3세계의 전쟁에서는 흔한 일이다. 군중을 내세워서 전투를 치른 뒤 상대편에서 중요한 인물을 포로로 잡으면 직속 부대원들을 투입해서 군중을 강제로 해산시키는 것이다. 아이디드가 잔혹하긴 했지만 그래도 아예 기본 판단력조차 없는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수준의 광신자는 아니었다. [59] 미 해군측 작명법 중에서 기록할만한 수준의 공을 세운 사람의 이름도 짓기도 하며 잘 보면 함명 중에 이등병의 이름이 붙기도 한다. [60] Vortex Ring State. 와류고리 현상. 특정상황에서 공기가 헬리콥터 밑에서 돌아 조종을 불안정하게 만드는 것으로,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706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706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