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이집트 제19왕조 초대 파라오
람세스 1세 Ramesses I |
||
|
||
람세스 1세의 무덤 KV16에 그려진 벽화 | ||
<colbgcolor=#decd87><colcolor=#A0522D> 이름 | 람세스 1세(Ramesses I) | |
출생 | 미상 | |
사망 | 기원전 1290년/1294년 | |
재위 기간 | 이집트 파라오 | |
기원전 1292년/1295년 ~ 기원전 1290년/1294년 (약 1년) |
||
전임자 | 호렘헤브 | |
후임자 | 세티 1세 | |
배우자 | 시트레 | |
자녀 | 세티 1세 | |
무덤 | 왕가의 계곡 KV16 |
[clearfix]
1. 개요
이집트 신왕국 제19왕조의 초대 파라오. 신왕국 최고의 전성기를 이끈 제19왕조를 개창한 파라오이지만, 재위 기간이 2년이 채 되지 않았기에 왕조 교체기에 흔들리던 이집트를 안정화하려 애쓴 것을 제외하면 별다른 업적도 없다. '람세스'라는 이름을 처음으로 사용한 파라오이며, 그의 뒤를 이어 명군인 세티 1세와 람세스 2세가 연달아 즉위하며 고대 이집트는 그야말로 최고의 황금기를 맞이한다.2. 통치
람세스 1세가 등장하기 이전, 이집트 신왕국은 하트셉수트 여왕, 정복군주 투트모세 3세, 아멘호테프 3세 등 명군들이 연달아 재위하며 전성기를 누리고 있었다. 그러나 아멘호테프 3세 이후 즉위한 아케나텐 시대에 이집트는 격랑에 직면한다. 아케나텐은 기존의 아문 신앙을 부정하고 태양신이자 유일신 아톤 종교를 새로운 국교로 삼았다. 당연히 신관층과 기득권층은 엄청나게 반발했고, 아케나텐 시대의 이집트는 극심한 내홍에 시달렸다. 결국 아케나텐이 죽자 아톤 신앙은 버려지고 그가 지은 수도 아케타텐은 버려졌다. 아케나텐 사후 즉위한 투탕카멘, 아이의 시대에 아케나텐은 마치 존재하지조차 않았던 것처럼 기록말살형에 처해졌다. 이미 즉위할 때부터 고령이던 아이가 짧은 시간 후 죽자 군사령관 호렘헤브가 왕위에 올랐고, 호렘헤브는 강력한 리더십과 군권을 이용해 한창 뒤숭숭한 이집트를 다잡았다. 덕분에 이집트는 아케나텐 사후의 혼란에서 어느 정도 회복했다.군사령관 출신인 호렘헤브는 파라오가 된 이후 군대 시절의 측근들을 요직에 기용했다. 이때 많은 군 장교들이 궁정으로 건너왔는데, 훗날 람세스 1세가 되는 파람세스도 이때 높은 관직을 얻었다. 람세스 1세는 왕족은 아니지만 상당히 유력한 귀족 가문 출신이었다. 아버지는 '세티'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었으며 군대 장교였고, 삼촌 카엠와세트 역시 군 장교였고 쿠시 총독의 친척과 결혼했다. 람세스 1세도 가풍을 이어 군대에 입대했고, 이후 뛰어난 능력으로 호렘헤브의 총애를 얻었다. 호렘헤브는 파라오가 된 이후 람세스 1세를 특별히 재상 겸 세트 대신관으로 임명했다. 람세스 1세는 세트 대신관으로서 기존 종교를 숭상하고 아톤 신앙을 배척하는데 앞장서며 신관층들의 지지를 얻어냈다. 호렘헤브가 14여 년 정도의 통치를 마치고 후사가 없이 사망하자 재상이었던 람세스 1세가 왕위를 물려받았다. 이를 제19왕조의 시작이라 본다.
람세스 1세는 이미 즉위할 때부터 고령이었다. 그는 대관식을 치르고 대략 16~17개월 후에 그대로 사망했다. 재위 기간이 지나치게 짧았기에 특별한 원정을 떠났다거나 거대한 건축물들을 세우지도 못했다. 람세스 1세는 기원전 1290/1294년 즈음에 사망했고, 그의 미라는 대충 급조된 무덤에 안장되었다.[1] 람세스 1세가 죽은 후 명군 세티 1세, 람세스 2세 등이 연달아 즉위했고, 이집트는 최고의 전성기를 맞이하게 된다.
참고로 그의 미라는 130년만에 진짜 정체가 밝혀져 이집트로 돌아올 수 있었다. 람세스 1세의 무덤은 고대 이집트 당대에 이미 도굴당했고, 이집트 제3중간기인 제21왕조 때 테베의 아문 대신관이었던 피네젬 2세가 파라오 시아문의 명령을 받아 왕가의 계곡을 돌며 옛 파라오들의 무덤에서 미라를 수습해 붕대를 다시 감고 염하여 자기 자신과 가까운 가족들을 위해 조성했던 가족묘였던 데이르 엘 바하리 위쪽의 TT320 무덤에 다른 파라오들의 미라와 함께 재안장했다. 그러나 1860년 경에 지역 주민인 압드 알 라술 가족이 우연히 무덤을 발견했고, 안으로 들어간 이가 몇몇 관에 있던 우라에우스를 보고 왕실 무덤이라는 걸 알아내 몇몇 부장품을 도굴해 팔았는데 람세스 1세의 미라도 이 가문에 의해 오스만 제국의 총독 대리에게 팔렸다. 총독 대리는 이 미라를 미국인 제임스 더글라스에게 다시 팔았는데, 더글라스는 친구인 시드니 바렛을 대신해 이집트 골동품을 구매하던 이여서, 람세스 1세의 미라는 캐나다 온타리오의 나이애가라 폭포 박물관에서 '이집트의 왕자'라는 설명이 붙은 채 그곳에서 전시되었다. 그러다가 주인이 박물관을 정리하면서 전시품을 윌리엄 제이미슨이라는 사업가에게 매각했는데, 이 사람이 이집트학자의 도움을 받아 미라의 정체가 람세스 1세라는 것이 밝혀냈고, 전시품 전체를 1999년에 2백만 달러로 애틀랜타의 에모리 대학 박물관에 매각했다. 그 후 에모리 대학교에서 이집트에 무상으로 반환하여 마침내 2003년 10월 24일에 다시 이집트로 돌아왔다. 이집트 정부에서는 국가원수에 준하는 의전으로 람세스 1세를 맞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