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8 15:02:06

사이클로이드

하이포사이클로이드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싸이크로이드에 대한 내용은 비크로이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스트리트 파이터 EX의 등장인물에 대한 내용은 사이클로이드(스트리트 파이터 EX)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rowcolor=#fff> ' 기하학· 위상수학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평면기하학에 대한 내용은 틀:평면기하학 참고.
기본 대상
공리 유클리드 기하학 · 비유클리드 기하학
도형 기본 도형 평면 · 부피 · 꼬인 위치 · 각기둥 · 각뿔 · 원기둥 · 원뿔 · ( 공 모양) · 전개도 · 겨냥도 · 다면체 ( 정다면체) · 정사영
곡면 타원면 · 타원포물면 · 쌍곡포물면 · 원환면
프랙털 도형 시에르핀스키 삼각형 · 시에르핀스키 사각형( 멩거 스펀지) · 망델브로 집합 · 코흐 곡선 · 드래곤 커브
기타 다포체 · 초구 · 준구 · 일각형 · 이각형
다루는 대상과 주요 토픽
대수기하학 대수다양체 · · 스킴 · 에탈 코호몰로지 · 모티브 · 타원곡선
미분기하학 미분다양체 · 측지선 · 곡률( 스칼라 곡률 · 리만-크리스토펠 곡률 텐서 · 리치 텐서) · 열률 · 텐서 · 쌍곡 공간( 쌍곡삼각형 · 푸앵카레 원반) · 타원 공간( 구면삼각형) · 아핀접속
위상수학 위상 공간 유계 · 옹골 집합 · 다양체 · 택시 거리 공간 · 연결 공간 · 위상수학자의 사인곡선
위상도형 사영평면 · 뫼비우스의 띠 · 클라인의 병 · 매듭( /목록)
주요 성질·정리 분리공리 · 우리손 거리화정리( 우리손 보조정리) · 베르 범주 정리
대수적 위상수학 호모토피 · 사슬 복합체 · 호몰로지 이론( 호몰로지 · 코호몰로지) · 사상류 군 · 닐센-서스턴 분류
기타 차원 · 좌표계 · 거리함수 · 그물 · 쾨니히스베르크 다리 건너기 문제 · 사이클로이드
정리·추측
실베스터-갈라이 정리 · 해안선 역설 · 바나흐-타르스키 역설 · 라이데마이스터 변환 · 오일러 지표 · 푸앵카레 정리 ·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 호지 추측미해결 · 버츠와 스위너톤-다이어 추측미해결
분야
논증기하학 · 대수기하학 · 미분기하학 · 해석 기하학 · 매듭이론 · 프랙털 이론 · 정보기하학 · 위상 데이터분석 }}}}}}}}}

고전역학
Classical Mechanics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0 -10px -5px; min-height:2em;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614A0A><colcolor=#fff> 기본 개념 텐서( 스칼라 · 벡터) · 모멘트 · 위치 · 거리( 변위 · 이동거리) · 시간 · 공간 · 질량( 질량중심) · 속력( 속도 · 가속도) · 운동( 운동량) · · 합력 · 뉴턴의 운동법칙 · ( 일률) · 에너지( 퍼텐셜 에너지 · 운동 에너지) · 보존력 · 운동량 보존의 법칙 · 에너지 보존 법칙 · 질량 보존 법칙 · 운동 방정식
동역학 비관성 좌표계( 관성력) · 항력( 수직항력 · 마찰력) · 등속직선운동 · 등가속도 운동 · 자유 낙하 · 포물선 운동 · 원운동( 구심력 · 원심력 · 등속 원운동) · 전향력 · 운동학 · 질점의 운동역학 · 입자계의 운동역학 · 운동 방정식
정역학 강체 역학 정적 평형 · 강체 · 응력( /응용) · 충돌 · 충격량 · 각속도( 각가속도) · 각운동량( 각운동량 보존 법칙 · 떨어지는 고양이 문제) · 토크( 비틀림) · 관성 모멘트 · 관성 텐서 · 우력 · 반력 · 탄성력( 후크 법칙 · 탄성의 한계) · 구성방정식 · 장동 · 소성 · 고체역학
천체 역학 중심력 · 만유인력의 법칙 · 이체문제( 케플러의 법칙) · 기조력 · 삼체문제( 라그랑주점) · 궤도역학 · 수정 뉴턴 역학 · 비리얼 정리
진동 파동 각진동수 · 진동수 · 주기 · 파장 · 파수 · 스넬의 법칙 · 전반사 · 하위헌스 원리 · 페르마의 원리 · 간섭 · 회절 · 조화 진동자 · 산란 · 진동학 · 파동방정식 · 막의 진동 · 정상파 · 결합된 진동 · 도플러 효과 · 음향학
해석 역학 일반화 좌표계( 자유도) · 변분법{ 오일러 방정식( 벨트라미 항등식)} · 라그랑주 역학( 해밀턴의 원리 · 라그랑지언 · 액션) · 해밀턴 역학( 해밀토니언 · 푸아송 괄호 · 정준 변환 · 해밀턴-야코비 방정식 · 위상 공간) · 뇌터 정리 · 르장드르 변환
응용 및 기타 문서 기계공학( 기계공학 둘러보기) · 건축학( 건축공학) · 토목공학 · 치올코프스키 로켓 방정식 · 탄도학( 탄도 계수) · 자이로스코프 · 공명 · 운동 방정식 · 진자( 단진자) · 사이클로이드 }}}}}}}}}

1. 개요2. 방정식
2.1. 접선의 방정식2.2. 곡선의 길이2.3. 넓이
3. 사이클로이드의 변형
3.1. 하이포사이클로이드
3.1.1. 방정식
3.2. 에피사이클로이드
3.2.1. 방정식
4. 물리학적 문제5. 관련 문서

1. 개요

[1] / cycloid

사이클로이드 또는 파선은 을 직선 위에서 굴렸을 때, 원 위의 한 정점이 그리는 자취를 말한다. ' 굴렁쇠선'이라고도 한다.
파일:사이클로이드.svg
사이클로이드의 정의를 잘 나타내는 그림

2. 방정식


파일:나무_사이클로이드_유도.png

위 그림과 같이 중심이 [math(\mathrm{C})]이고, 반지름 [math(r)]인 원이 [math(x)]축과 접하면서 굴러간다고 생각해보자. 원 위의 점 [math(\mathrm{P})]가 초기엔 원점에 있었다 가정하고, 원의 중심을 회전축으로 하여 [math(\theta)]만큼 회전하여 위 그림처럼 된 경우라고 생각해보자.

우선, 점 [math(\mathrm{H})]는 점 [math(\mathrm{P})]에서 [math(x)]축에 내린 수선의 발, 점 [math(\mathrm{I})]는 점 [math(\mathrm{C})]에서 [math(x)]축에 내린 수선의 발, 점 [math(\mathrm{K})]는 점 [math(\mathrm{P})]에서 선분 [math(\mathrm{CI})]에 내린 수선의 발이다.

점 [math(\mathrm{P})]의 [math(y)]좌표는 다음과 같다.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y=\overline{\mathrm{CI}}-\overline{\mathrm{CK}}&=r(1-\cos{\theta}) \end{aligned} )]

[math(x)]좌표는 조금 구하기 까다로운데, [math(\overline{\mathrm{OI}})]가 [math(\theta)]만큼 회전하면서 원호가 휩쓸고 간 길이임을 이해해야 한다.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x=\overline{\mathrm{OI}}-\overline{\mathrm{HI}}&=r(\theta-\sin{\theta}) \end{aligned} )]

따라서 사이클로이드의 [math(\theta)]의 매개변수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x&=r(\theta-\sin{\theta}) \\ y&=r(1-\cos{\theta}) \qquad (0 \leq \theta \leq 2 \pi) \end{aligned} )]

참고로, 매개변수 방정식에서 [math(\theta)]를 소거하면 아래와 같은 복잡한 방정식을 얻는다.

[math(\displaystyle \left | 2 \pi \left [ \left ( \frac{1}{2} - \frac{x}{2 \pi r} \right ) - 1 \right ] + \frac{x}{r} \right | = \arccos{\left (1 - \frac{y}{r} \right )} - \sqrt{\frac{2y}{r} - \frac{y^2}{r^2}})]

이를 [math(xy)]평면상 닫힌 구간 [math([0,\,4\pi r])]에서 그래프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다.

파일:나무_사이클로이드_그래프_재수정.png
사이클로이드는 [math(x= 2 \pi r)]를 기준으로 주기적이다. 이것은

[math(\begin{aligned}\displaystyle x(\theta+2 n \pi)&=x(\theta)+2 n \pi r \\ y(\theta)&=y(\theta + 2n\pi)\end{aligned})]

가 성립하기 때문이다. [math(n)]은 정수이다.

2.1. 접선의 방정식

#!wiki style="text-align: center;"
[math(\displaystyle \frac{\displaystyle \frac{dy}{d \theta}}{\displaystyle \frac{dx}{d \theta}}=\frac{\sin{\theta}}{1-\cos{\theta}} =\cot{\frac{\theta}{2}} )] }}}
먼저 접선의 기울기는 위와 같이 매개변수 방정식의 미분법으로 구할 수 있다. 한편 접선은 점

[math((r(\theta-\sin{\theta}),\;r(1-\cos{\theta})))]

를 지나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math(\displaystyle y= \cot{\frac{\theta}{2}}[x-r(\theta-\sin{\theta}) ]+r(1-\cos{\theta}) )]

2.2. 곡선의 길이

한 주기([math(0 \leq \theta \leq 2 \pi)])의 곡선의 길이는 다음의 적분으로 구할 수 있다.

[math(\displaystyle \int_{0}^{2 \pi} \sqrt{\left( \frac{dx}{d \theta} \right)^{2}+\left( \frac{dy}{d \theta} \right)^{2}}\,d \theta)]

이때,

[math(\displaystyle \frac{dx}{d \theta}=r (1-\cos \theta) \qquad \qquad \frac{dy}{d \theta}=r\sin{\theta})]

이므로

[math(\begin{aligned}\displaystyle\sqrt{\left( \frac{dx}{d \theta} \right)^{2}+\left( \frac{dy}{d \theta} \right)^{2}} &=r \sqrt{(1-\cos{\theta})^{2}+\sin^{2}{\theta}} \\&=r \sqrt{2-2\cos{\theta}} \\&=2r \sqrt{\sin^{2}{\frac{\theta}{2} } } \\&=2r \sin{\frac{\theta}{2}} \end{aligned})]

근호를 벗길 수 있는 이유는 한 주기([math(0 \leq \theta \leq 2 \pi)])의 곡선의 길이를 구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상에서 구하는 곡선의 길이는 다음과 같다.

[math(\displaystyle 2r \int_{0}^{2\pi} \sin{\frac{\theta}{2}}\,d \theta=8r)]

2.3. 넓이

한 주기의 사이클로이드 곡선과 [math(x)]축이 둘러싸는 넓이를 구해보자. 미소 면적은 [math(y)]와 [math(x)]축상의 미소 길이 [math(dx)]의 곱인

[math(\displaystyle dA=y\,dx)]

로 놓을 수 있다.

[math(\displaystyle dx=r(1-\cos{\theta})\,d \theta)]

이고 적분 구간은 [math(0 \leq \theta \leq 2 \pi)]이므로 넓이는 다음과 같다.

[math(\displaystyle A=r^{2}\int_{0}^{2\pi}(1-\cos{\theta})^{2} \,d \theta=3 \pi r^{2})]

3. 사이클로이드의 변형

3.1. 하이포사이클로이드

하이포사이클로이드(hypocycloid)는 사이클로이드의 변형의 한 종류로서, 사이클로이드가 직선상에서 굴린 원 위의 한 점의 자취를 나타낸다면, 하이포사이클로이드는 어떤 원에 내접하면서 원호상에서 굴러가는 더 작은 원 위의 한 점의 자취이다. 아래의 그림이 이 설명을 잘 나타내고 있다.
파일:하이포사이클로이드.svg
하이포사이클로이드의
정의를 잘 나타내는 그림

3.1.1. 방정식


파일:나무_하이포사이클로이드_수수수정.png

위 그림과 같이 큰 원의 반지름을 [math(R)], 작은 원의 반지름을 [math(r)]라 하자. 편의상 점 [math(\mathrm{P})]는 큰 원과 양의 [math(x)]에 대하여, [math(x)]축과 교점인 곳에 있었다고 하자.(위의 정의 그림 참고.) 선분 [math(\mathrm{QK})]는 [math(x)]축과 평행하며, 작은 원의 중심을 [math(\mathrm{Q})]라 하면, [math(\overline{\mathrm{OQ}}=\overline{\mathrm{OL}}-\overline{\mathrm{QL}}=R-r)]이므로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overline{\mathrm{OI}}&=(R-r)\cos{\theta} \\ \overline{\mathrm{IQ}}&=(R-r)\sin{\theta} \end{aligned})]

이다. [math(\angle \mathrm{KQP} \equiv \varphi )]라 하면, [math(\mathrm{P})]의 [math(x)]좌표와 [math(y)]좌표는 각각 [math(\overline{\mathrm{OH}})], [math(\overline{\mathrm{HP}})]이므로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x&=\overline{\mathrm{OI}}+\overline{\mathrm{JP}} \\ y&=\overline{\mathrm{IQ}}-\overline{\mathrm{QJ}} \end{aligned})]

이다. [math(\mathrm{H})], [math(\mathrm{I})]는 각각 [math(\mathrm{P})], [math(\mathrm{Q})]에서 [math(x)]축에 내린 수선의 발이고, [math(\mathrm{J})]는 점 [math(\mathrm{P})]에서 선분 [math(\mathrm{IQ})]에 내린 수선의 발이다. 따라서 [math(P)]의 좌표는 다음과 같다.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x&=(R-r)\cos{\theta}+r\cos{\varphi} \\ y&=(R-r)\sin{\theta}-r\sin{\varphi} \end{aligned})]

그런데 위 상태에서 작은 원이 큰 원을 휩쓸고 간 호의 길이는

[math(\displaystyle r(\theta+\varphi))]

이고, 이것은 곧 [math(R \theta)]와 같아야 하므로

[math(\displaystyle R \theta=r(\theta+\varphi) \,\to\, \varphi=\frac{R-r}{r}\theta)]

이다. 즉, 하이포사이클로이드의 [math(\theta)]에 대한 매개변수 방정식은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x&=(R-r)\cos{\theta}+r\cos{\left( \frac{R-r}{r}\theta \right)} \\ y&=(R-r)\sin{\theta}-r\sin{\left( \frac{R-r}{r}\theta \right)} \end{aligned})]

[math(R/r \equiv k)]라 하면,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x&=r(k-1)\cos{\theta}+r\cos{[(k-1)\theta]} \\ y&=r(k-1)\sin{\theta}-r\sin{[(k-1)\theta]} \end{aligned})]


하이포사이클로이드의 모양은 [math(k)]의 값[2]에 따라 결정된다. 다음은 몇몇 경우에 대한 하이포사이클로이드를 나타낸 것이다. [math(k=4)]인 경우, 즉 첨점(尖點)이 4개인 경우는 특히 아스트로이드(astroid)라는 명칭이 붙어 있으며,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math(\begin{cases}x=R\cos^3 t\\y=R\sin^3 t\end{cases})]

[3]

파일:나무_하이포사이클로이드_종류_수정.png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8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8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3.2. 에피사이클로이드

에피사이클로이드(epicycloid)는 사이클로이드의 변형의 한 종류로서, 사이클로이드가 직선상에서 굴린 원의 한 점의 자취를 나타낸다면, 에피사이클로이드는 어떤 원이 다른 원에 외접하면서 그 원의 원호상에서 굴러가는 원 위의 한 점의 자취이다. 아래의 그림이 이 설명을 잘 나타내고 있다.
파일:에피사이클로이드.svg
에피사이클로이드의
정의를 잘 나타내는 그림

3.2.1. 방정식

파일:나무_에피사이클로이드.png

위 그림과 같이 반지름 [math(R)]의 원과, 그 원에 외접하는 반지름 [math(r)]의 원을 고려하자. 편의상 점 [math(\mathrm{P})]는 반지름 [math(R)]의 원과 양의 [math(x)]에 대하여, [math(x)]축과 교점인 곳에 있었다고 하자.(위의 정의 그림 참고.) 선분 [math(\mathrm{QK})]는 [math(x)]축과 평행하며, 작은 원의 중심을 [math(\mathrm{Q})]라 하면, [math(\overline{\mathrm{OQ}}=\overline{\mathrm{OL}}+\overline{\mathrm{LQ}}=R+r)]이므로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overline{\mathrm{OI}}&=(R+r)\cos{\theta} \\ \overline{\mathrm{IQ}}&=(R+r)\sin{\theta} \end{aligned})]

이다. [math(\angle \mathrm{KQP} \equiv \varphi )]라 하면, [math(\mathrm{P})]의 [math(x)]좌표와 [math(y)]좌표는 각각 [math(\overline{\mathrm{OH}})], [math(\overline{\mathrm{HP}})]이므로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x&=\overline{\mathrm{OI}}+\overline{\mathrm{JP}} \\ y&=\overline{\mathrm{IQ}}-\overline{\mathrm{QJ}} \end{aligned})]

이다. [math(\mathrm{H})], [math(\mathrm{I})]는 각각 [math(\mathrm{P})], [math(\mathrm{Q})]에서 [math(x)]축에 내린 수선의 발이고, [math(\mathrm{J})]는 점 [math(\mathrm{P})]에서 선분 [math(\mathrm{IQ})]에 내린 수선의 발이다. 따라서 [math(P)]의 좌표는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x&=(R+r)\cos{\theta}+r\cos{\varphi} \\ y&=(R+r)\sin{\theta}-r\sin{\varphi} \end{aligned})]

이다. 그런데 위 상태에서 반지름이 [math(r)]인 원은 반지름이 [math(R)]인 원의 원호를 휩쓸고 가는 길이는

[math(\displaystyle r[\pi-(\theta+\varphi) ])]

이고, 이것은 곧 [math(R \theta)]와 같아야 하므로

[math(\displaystyle R \theta=r[\pi-(\theta+\varphi) ] \,\to\, \varphi=\pi-\frac{R+r}{r}\theta)]

이다. 즉, 에피사이클로이드의 [math(\theta)]에 대한 매개변수 방정식은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x&=(R+r)\cos{\theta}-r\cos{\left( \frac{R+r}{r}\theta \right)} \\ y&=(R+r)\sin{\theta}-r\sin{\left( \frac{R+r}{r}\theta \right)} \end{aligned})]

[math(R/r \equiv k)]라 하면,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x&=r(k+1)\cos{\theta}-r\cos{[(k+1)\theta]} \\ y&=r(k+1)\sin{\theta}-r\sin{[(k+1)\theta]} \end{aligned})]


에피사이클로이드의 모양은 [math(k)]의 값[4]에 따라 결정된다. 다음은 몇몇 경우에 대한 에피사이클로이드를 나타낸 것이다.

파일:나무_에피사이클로이드_종류.png

[math(k=1)]일 때는 카디오이드(cardioid)라고 하는 아래와 같은 모양이 나오며, 심장형 곡선이라고도 한다.

파일:나무_심장형곡선_에피.png

4. 물리학적 문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사이클로이드/물리학적 문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관련 문서



[1] 파선. 한자어식 표현으로, 擺는 여기서 진자를 뜻한다. [2] [math(k)]가 유리수라면, 닫힌 곡선이 되며, [math(k)]가 무리수라면 열린 곡선으로, 결국 [math(R-2r \leq \rho \leq R)]영역을 가득 메우게 된다. [math(\rho)]는 원점으로 부터 임의의 점까지의 거리이다. [3] 진나이 토모노리의 퀴즈쇼 타임쇼킹 2편 중 본 문제 제1번에서 [math(x)]축 방향으로 [math(a)]만큼, [math(y)]축 방향으로 [math(b)]만큼 늘린 아스트로이드의 곡선의 길이(단, [math(a \neq b)])를 구하라는 문제가 나왔다. 정답은 [math(\frac{a^2 + ab + b^2}{a + b})]. [4] [math(k)]가 유리수이면 닫힌 곡선, [math(k)]가 무리수라면 열린 곡선이 되어 결국 [math(R \leq \rho \leq R+2r)]인 영역을 가득 메우게 된다. [math(\rho)]는 원점으로부터 임의의 점까지의 거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