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인민군 육군의 군단에 대한 내용은 제5군단(북한) 문서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제1군단 | 제2군단 | ||
제3군단 | 제5군단 | 제7기동군단 | |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육군의 편제 | |||
군단 | 해체된 군단 |
제5군단 第五軍團 V Corps |
||||||
전투중심·인간중심·가치중심의 명품정예 승진군단 | ||||||
창설일 | <colbgcolor=#fff,#191919> 1953년 10월 1일(제5군단) | |||||
상징명칭 | 승진부대(勝進部隊) | |||||
소속 | 대한민국 육군 | |||||
상급부대 | 지상작전사령부 | |||||
규모 | 군단 | |||||
역할 | 경기도, 강원특별자치도 중부전선 방어 | |||||
군단장 | 중장 김성민 (육사 48기) | |||||
부군단장 | 소장 배현국 (3사 25기) | |||||
참모장 | 준장 이병희 (육사 51기) | |||||
위치 | 경기도 포천시 이동면 | |||||
[clearfix]
1. 개요
군단사령부령 제1조(설치) ① 육군에 군단을 두며, 그 관할구역의 작전에 관한 사항을 관장하기 위하여 군단사령부를 둔다. ② 군단의 명칭은 대통령이 정하고, 군단의 예속(隸屬)은 육군참모총장이, 군단의 배속(配屬)은 합동참모의장이 정하며, 군단 관할구역은 직속상관이 정한다. |
공중강습작전 실제훈련(FTX)에 투입된 705특공연대 장병들이 15항공단 KUH-1 수리온 헬기에 신속하게 오르고 있다. |
우리는 5군단의 이름으로 하나임을 자랑스러워합니다
현재·미래 합동전장의 승리자 SMART 승진군단!
경기도 포천시 이동면을 근거지로 하는 대한민국 육군 지상작전사령부 소속 군단이다.
1953년 10월 1일 창설되었으며, 예하에 4개 사단과 5개 여단을 두고 있다. 현재 군단장은 김성민 중장(육사 48기)이다.
상징명칭은 승진부대(VICTORIOUS ADVANCE).
2. 연혁 및 특징
대한민국 육군 제5군단 승진부대 |
부대마크에 대하여 5군단 인트라넷 홈페이지에는 Victory의 V를 상징한다고 소개하고 있다. 군단급 부대가 모두 로마숫자로 부대 마크를 표시하고 있고 미군과 많은 국가의 5군단이 5th가 아닌 V Corps로 영문을 표기하기 때문에 그 영향을 받은 것 같다. 경례구호는 '통일'이었으나 2009년부터 부대 명칭과 통일하여 승진으로 변경하였다.
위수지역은 중부전선 지역인 경기도 포천시와 강원특별자치도 철원군으로 전면전 발발시에 북한군이 전차 등으로 쓸고 내려올 주요 축선에 위치하기 때문에 최전방에서 매우 중요한 방어임무를 맡고 있다. 직접적으로 대치하는 위쪽의 부대 역시 5군단이라고 알려져 있다. 한때 아래쪽 최고 군단이면서 동시에 위쪽 최고 군단을 막는 부대라면서 자부심을 고취시킨 적도 있다. 이처럼 중요 축선을 방어하기 때문에 제5군단장 자리는 제1군단장[1]과 함께 군단장 중 최 요직으로 꼽히며 육사 출신들만 군단장으로 보임시키고 있다.
김일성은 철의 삼각지대 철원평야를 빼앗기고 3일을 울었다고 한다. 전략적 요충지인 만큼 정전 이후에도 남·북한은 철원지역에 주력 부대를 집중 배치했다. 북한은 한국전쟁 당시 서울 점령에 큰 공을 세운 사단을 철원지역에 배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맞서 5군단은 한국전쟁에서 최대 전과를 세운 제6보병사단과 제3보병사단 등을 내세웠다. 3사단은 1950년 10월 1일 최초로 38선을 돌파해 북진했으며, 6사단은 '춘천대첩'으로 당시 유일하게 38선 방어에 성공하고 중공군 3개 사단을 물리친 ’용문산 전투’ 등 혁혁한 공을 세웠고 1950년 10월 26일 최초로 압록강까지 진격한 뒤 철모로 물을 떠 대통령에게 헌수한 것으로 유명하다.
전후 창설된 최초의 군단급 제대였기 때문에 직할 부대들 또한 특수병과별로 우리나라 최초로 창설된 경우가 많다. 국군 최초의 특공부대 제705특공연대를 비롯해 육군 최초 창설 포병대대도 5군단 예하 사단에 2개 대대나 예속되어있을 정도이다. 여단급 예하 부대로는 국군 최초의 전차대대를 예하에 둔 국군 최초의 기갑여단인 제1기갑여단과 제5공병여단, 제5포병여단, 제5군수지원여단 등이 있으며 특히 제5포병여단은 대한민국 국군 최강의 화력을 가진 포병부대로 명성이 높다.
여담으로 이야기 하면 수도기계화보병사단 맹호부대가 제7기동군단으로 편제가 바뀌기 전에 여기 5군단 소속이었기 때문에, 작전계획지역상으로 수도기계화보병사단은 아직도 제5군단의 영향을 받고 있다. 물론 상위 명령 계통상으로는 제7군단이 바로 위에 상급 부대지만 작전계획지역상으로 수도기계화보병사단은 제5군단 작전계획지역 내에 있는 부대로서 지역 내 상황이 발생시 제7기동군단의 상황이 끝났어도 제5군단의 상황이 끝나지 않는다면 훈련은 계속 된다.
제7기동군단이 지상공격의 최강 군단이라면 지상방어의 최강 군단은 제5군단과 제1군단이다. 군단 예하 기갑여단도 2개씩이나 있고 각기의 기갑여단도 여타 (군단)기갑여단보다 규모가 크다. 군단 예하 (5, 1) 포병여단은 명실공히 질이든 양이든 세계최강의 야전포병 부대이다. 사실상의 포병사단인 포병여단이며 대한민국 국방부가 포방부라 불리게 되는 제1이유이다.
3. 편제
3.1. 직할부대
- 본부근무대[2]
- 제805군사경찰단
- 제15방공단
- 제105정보통신단[3]
- 제305경비연대
- 제705특공연대[4]
- 제15화생방대대[5]
- 제145정보대대[6]
- 보충대
-
제15항공단[7]
- 지원부대
3.2. 예하부대
- 제3보병사단(백골부대)
- 제5보병사단(상승열쇠부대)[A]
- 제6보병사단(청성부대)
- 제28보병사단(무적태풍부대)[A][13]
- 제1기갑여단(전격부대)[14]
- 제5기갑여단(철풍부대)[A]
- 제5포병여단(승진포병부대)
- 제5공병여단(승진공병부대)
- 제5군수지원여단(천보산부대)
제6군단의 2022년 11월 30일부 해체에 따라 제5보병사단과 제28보병사단까지 담당하게 되어 제7기동군단과 동일하게 무려 4개의 사단을 예하부대로 두게 되었다.[16] 게다가 대부분 후방부대[17]인 제7기동군단과 달리 제5군단은 대한민국 국군의 최주요축선인 중부전선을 총괄하는 아주 막중한 임무를 맡게 된다. 당장 예하 사단 중 메이커 사단이 3개이며, 2025년 이후에는 이 사단들로만 군단에 존속한다.[18]
4. 과거부대
- (구)제20보병사단(결전부대)[19]
- 수도기계화보병사단(맹호부대)[20]
- 제8기동사단(오뚜기부대)[21]
- 제66보병사단(횃불부대)[22]
- 제73보병사단(충일부대)
- 제75보병사단(철마부대)[23]
5. 출신인물
메이커 사단을 1개도 아니고 3개(3, 5, 6사단)씩이나 거느리고[24] 규모도 큰 데다 중부전선 최전방 길목을 사수하는 막중한 임무를 띠다 보니 군사정권 시절부터 대한민국 육군 장성들 사이에서 5군단장 직책이 중요 진급 코스들 중 하나로 인식되었다. 실제로 역대 5군단장은 대부분 육사 출신이었고, 이렇게 역대 군단장이 모두 육사 출신이었던 건 1군단 -육군 제5군단장 이·취임식 |
5.1. 군단장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3865> |
대한민국 국군 현직 중장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해병대사령관 | |||||||||||||||||||||||
김계환 | ||||||||||||||||||||||||
국군방첩사령관 | ||||||||||||||||||||||||
여인형 | ||||||||||||||||||||||||
육군참모차장 | 해군참모차장 | 공군참모차장 | ||||||||||||||||||||||
고현석 | 강동길 | 손석락 | ||||||||||||||||||||||
합동참모본부 | ||||||||||||||||||||||||
작전본부장 | 군사지원본부장 | 전략기획본부장 | 정보본부장 | |||||||||||||||||||||
이승오 | 황선우 | 원천희 | ||||||||||||||||||||||
해군작전사령관 | 공군작전사령관 | |||||||||||||||||||||||
최성혁 | 김형수 |
}}} {{{#!wiki style="margin:-30px -1px -11px" |
전략사령관 | 국방대학교 총장 | ||||||||||||||||||||
진영승 | 임기훈 | |||||||||||||||||||||||
육군사관학교장 | 해군사관학교장 | 공군사관학교장 | ||||||||||||||||||||||
정형균 소장 | 이수열 소장 | 공승배 소장 | ||||||||||||||||||||||
육군교육사령관 | 해군교육사령관 | 공군교육사령관 | ||||||||||||||||||||||
정진팔 | 김성학 소장 | 최춘송 소장 |
}}} {{{#!wiki style="margin:-30px -1px -11px" |
육군미사일전략사령관 | 육군군수사령관 | 수도방위사령관 | 육군특수전사령관 | |||||||||||||||||
김규하 | 손대권 | 이진우 | 곽종근 |
}}} {{{#!wiki style="margin:-30px -1px -11px" |
지상작전사령부 부사령관 | 제2작전사령부 부사령관 | 지상작전사령부 참모장 | |||||||||||||||||
김호복 | 김권 소장 | 권대원 | ||||||||||||||||||||||
수도군단장 | 제1군단장 | 제2군단장 | ||||||||||||||||||||||
박정택 | 주성운 | 박후성 | ||||||||||||||||||||||
제3군단장 | 제5군단장 | 제7기동군단장 | ||||||||||||||||||||||
서진하 | 김성민 | 박재열 | ||||||||||||||||||||||
합동참모차장 | ||||||||||||||||||||||||
김봉수 | ||||||||||||||||||||||||
※ 둘러보기: 현직 대장 | 사단장 | 함대사령관 | 공군기능사령관 | 전단장 | 비행단장 | 주임원사 | }}}}}}}}} |
{{{#!wiki style="margin: -7px -10px" {{{#!wiki style="margin:-6px 0px; display:inline-table" |
<tablebordercolor=#1d2088> |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1d2088> | }}}}}}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81818,#e5e5e5 |
|||||
초대 최영희 |
2대 김종오 |
3대 이성가 |
4대 오덕준 |
5대 김용배 |
|
6대 박임항 |
7대 김계원 |
8대 임충식 |
9대 김동빈 |
10대 류근창 |
|
11대 장춘권 |
12대 이민우 |
13대 이병형 |
14대 류병현 |
15대 이건영 |
|
16대 윤흥정 |
17대 최영구 |
18대 권영각 |
19대 오자복 |
20대 정동호 |
|
21대 장준익 |
22대 정만길 |
23대 김동진 |
24대 윤용남 |
25대 오영우 |
|
26대 김석원 |
27대 정영진 |
28대 김종환 |
29대 이상희 |
30대 권안도 |
|
31대 김종천 |
32대 이성출 |
33대 한기호 |
34대 조정환 |
35대 심용식 |
|
36대 김현집 |
37대 김영식 |
38대 임호영 |
39대 제갈용준 |
40대 최병혁 |
|
41대 안준석 |
42대 김현종 |
43대 이규준 |
44대 김성민 |
||
관련 직위 둘러보기 | }}}}}}}}}}}}}}} |
볼드체는 대장 진급이 된 군단장. |
||<-6><rowbgcolor=#1d2088> 역대 제5군단장 ||
역대 | 이름 | 계급 | 임관 | 비고 | 기타 |
초대 | 최영희 | 예) 중장 | 군영 | 前 합동참모의장, 육군참모총장, 제2야전군사령관 |
前
국방부장관 前 국회의원( 민주공화당) |
2대 | 김종오 | 예) 대장 | 군영 | 前 합동참모의장[26], 육군참모총장, 제1야전군사령관 | 前 군사혁명위원회 위원 |
5대 | 김용배 | 예) 대장 | 군영 | 前 육군참모총장, 제2야전군사령관 | |
8대 | 임충식 | 예) 대장 | 육사 1기 | 前 합동참모의장 |
前
국방부장관 前 국회의원( 민주공화당) |
9대 | 김동빈 | 예) 중장 | 육사 1기 | ||
10대 | 유근창 | 예) 중장 | 육사 2기 |
前
국방부차관 前 원호처장 |
|
11대 | 장춘권 | 예) 소장 | 육사 2기 | ||
12대 | 이민우 | 예) 중장 | 육사 2기 | ||
13대 | 이병형 | 예) 중장 | 육사 4기 | ||
14대 | 류병현 | 예) 대장 | 육사 7기 | 前 합동참모의장,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 | |
15대 | 이건영 | 예) 중장 | 육사 7기 | 제3야전군사령관 | |
16대 | 윤흥정 | 예) 중장 | 육사 8기 | ||
19대 | 오자복 | 예) 대장 | 갑종 3기 | 前 합동참모의장, 제2야전군사령관 | 前 국방부장관 |
20대 | 정동호 | 예) 중장 | 육사 13기 | ||
21대 | 장준익 | 예) 중장 | 육사 14기 | 前 육군사관학교장 | 前 14대 국회의원 |
22대 | 정만길 | 예) 중장 | 육사 16기 | ||
23대 | 김동진 | 예) 대장 | 육사 17기 | 前 합동참모의장, 육군참모총장,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 | 前 국방부장관 [27] [28] |
24대 | 윤용남 | 예) 대장 | 육사 19기 | 前 합동참모의장, 육군참모총장, 제3야전군사령관 | [29] |
25대 | 오영우 | 예) 중장 | 육사 20기 | [30] | |
26대 | 김석원 | 예) 중장 | 갑종 166기 | [31] | |
27대 | 정영진 | 예) 중장 | 육사 23기 | 前 20기계화보병사단장, 육본 정보작전참모부장, 합참 작전본부장 | [32] |
28대 | 김종환 | 예) 대장 | 육사 25기 | 前 합동참모의장, 제1야전군사령관 | [33] |
29대 | 이상희 | 예) 대장 | 육사 26기 | 前 합동참모의장, 제3야전군사령관 | 前 국방부장관 [34] |
30대 | 권안도 | 예) 중장 | 육사 27기 | 前 합동참모차장 | [35] |
31대 | 김종천 | 예) 중장 | 육사 28기 | 前 합동참모본부 전력기획본부장 | 前 국방부차관 |
32대 | 이성출 | 예) 대장 | 육사 30기 | 前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 | |
33대 | 한기호 | 예) 중장 | 육사 31기 | 前 육군교육사령관 | 現 국회의원( 국민의힘) |
34대 | 조정환 | 예) 대장 | 육사 33기 | 前 육군참모총장, 제2작전사령관 | |
35대 | 심용식 | 예) 중장 | 육사 34기 | 前 국방대학교 총장 | |
36대 | 김현집 | 예) 대장 | 육사 36기 | 前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 제3야전군사령관 | |
37대 | 김영식 | 예) 대장 | 육사 37기 | 前 제1야전군사령관 | |
38대 | 임호영 | 예) 대장 | 육사 38기 | 前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 | |
39대 | 제갈용준 | 예) 중장 | 육사 39기 | 前 육군교육사령관 | |
40대 | 최병혁 | 예) 대장 | 육사 41기 | 前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 | |
41대 | 안준석 | 예) 대장 | 육사 43기 | 前 지상작전사령관 | |
42대 | 김현종 | 예) 중장 | 육사 44기 | 前 지상작전사령부 참모장 | |
43대 | 이규준 | 예) 중장 | 육사 46기 | 前 육군교육사령관 | |
44대 | 김성민 | 중장 | 육사 48기 | 現 군단장 |
5.2. 장교/부사관
직할부대 출신만 기재 요망. |
- 이철휘: 학군 13기, 예)대장. 부군단장 역임.[36]
- 하창호: 육사 39기, 예)소장. 부군단장 역임.
- 장달수: 3사 21기, 예)소장. 부군단장 역임.[37]
- 박용준: 육사 45기, 예)소장. 부군단장 역임.
- 방성대: 3사 24기, 예)소장. 부군단장 역임.
- 권영현: 학군 27기, 예)소장. 부군단장 역임.
- 배현국: 3사 25기, 소장. 부군단장 역임.
- 박종달: 육사 29기, 예)중장. 군단 참모장 역임[38]
- 김동열: 육사 43기, 예)준장. 군단 참모장 역임[39]
- 최진규: 학사 9기, 예)중장. 군단 참모장 역임[40]
- 김경봉: 3사 24기, 예)준장. 군단 참모장 역임[41]
- 이진우: 육사 48기, 중장. 군단 참모장 역임. 2023년 11월에 중장 진급 후 수도방위사령관 취임.
- 김남훈: 육사 48기, 준장. 군단 참모장 역임[42]
- 강부봉: 학군 33기, 준장. 군단 참모장 역임.
- 어윤용: 前 대한민국 합참주임원사. 제5군단 주임원사를 역임했다.
5.3. 병
직할부대 출신만 기재 요망. |
- 유수민: 충성! 짐승친구들 에피소드에서 짤툰 작가 본인이 댓글에 5군단 군사경찰단 출신이라고 밝혔다.
- 윤종민: T1 출신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 2010년부터 2012년까지 제105정보통신단에서 복무하였다.
- 감염된제라툴: 스타크래프트 유튜버. 유튜브 생방송에서 제105정보통신단 출신이라고 밝혔다.
- 윤산: 제305경비연대 21관리대대 예비군 조교 출신
- 이응범: 제15화생방대대 출신
- 신규현: 제15화생방대대 출신
- 김성균(2001): 제15화생방대대 출신
- 에디킴(김정환): 제705특공연대 출신. 방송에 처음 입고 나온 흑복은 핵안보정상회의(NSS) 경호작전 시 착용했던 것으로, 같이 지급된 모자에 NSS가 적혀있어 이를 국내 모 드라마에 나온 특수부대로 안 사람도 있다. 보직은 K3사수.
- 임인스: 싸우자 귀신아 작가. 제705특공연대 경비소대 출신. 훈련 도중 입은 부상으로 일병으로 의병 제대하였다.
- 건빵튜브 GunBang Tube: 705특공연대 출신
6. 기타
6.1. 근무환경
6.2. 승진훈련장
자세한 내용은 승진훈련장 문서 참고하십시오.6.3. 승진펠리스
승진펠리스 Seungjin Feliz |
||||||
위치 | 경기도 포천시 노곡리 1194 |
- 과거 8사단이 포천에 주둔하던 시절에는 '오뚜기 팰리스'로 불렸으나, 8사단이 이전한 이후 5군단에서 이를 인수하면서 '승진 팰리스'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6.4. 승진회관
승진회관 勝進會館 Seungjin Hall |
||||||
위치 | 경기도 포천시 장암리 240-2 |
6.5. 산정 호코하임
산정 오코하임 山井 오코하임 SanJeong Okoheim |
||||||
위치 | 경기도 포천시 영북면 산정호수로 840[48] |
- 제5군단 본부에서 관리하는 군 휴양 복지 시설이다.
6.6. 군단가
보아라 이 기상 피 끓는 충정 화랑의 후예들이 여기에 있다 나라 위한 길이라면 목숨을 바쳐 내 강토 내 겨레 지켜나가자 우리는 대한건아 무적의 용사 싸우면 이긴다 승진 5군단 울려라 굳세게 무적의 함성 승진의 건아들이 굳게 뭉쳤다 육탄 용사 투혼에 하나 이뤄서 나가자 힘차게 승리의 길로 우리는 대한건아 무적의 용사 싸우면 이긴다 승진 5군단 싸우자 이기자 무찔러 가자 우리가 가는 곳에 거칠게 없다 먹구름 험한 산도 총칼로 헤쳐 조국 통일 선봉에 기수가 되자 우리는 대한건아 무적의 용사 싸우면 이긴다 승진 5군단 |
7. 여담
사단급 예하부대는 대한민국 육군의 메이커 사단으로 불리는 제3보병사단(백골), 제5보병사단(열쇠), 제6보병사단(청성)이 포진해 있다. 다른 메이커 사단인 수도기계화보병사단, 제8기동사단도 과거 제5군단 소속이었다.2022년 10월 1일 부로 제6군단이 해체되고 제5보병사단이 다시 5군단으로 예속되었으며[49], 제5기갑여단, 제28보병사단 역시 5군단으로 함께 예속됐다. 2022년 10월 1일부 3사단, 5사단, 6사단, 28사단, 1기갑여단, 5기갑여단, 5포병여단, 5공병여단, 5군수지원여단, 4개 사단과, 5개 여단을 예하에 거느리는 막강한 군단이 된다. 3사단과 5사단이 전방 섹터를 나누어 방어하고 6사단은 후방 포천 지역으로 완전 이전하여 예비사단의 임무를 맡게 될 것이라고 한다.
부대마크 형태상 제50보병사단의 마크와 약간 비슷해 보일지 모르지만 테두리 문양이나 크기도 완전히 다르고 빨간색 바탕의 제50보병사단 마크와 색깔이 딴판이라 쉽게 구분 가능하다. 오히려 마크의 색상 배열이나 테두리 등 분위기는 제1군단의 마크와 유사하다.
육군사관학교 출신만 군단장을 맡았다. 이 점은 제1군단과 동일하다.[50]
그것이 알고싶다에서 이 부대에서 탈영해 18년(2003년 4월 18일 탈영)동안 잠적한 이등병 이OO에 대한 제보를 받고 있다.
2023년 군단 예하부대 모 현역용사가(현재는 전역) 부대 감찰예방활동으로 방문한 군단 감찰실장(대령)에게 두발상태가 불량하다는 이유로 뒷통수를 맞았고, 분노한 해당 용사는 1303전화, 인트라넷 군단장과의 대화 등으로 해당 건을 폭로하였다. 또한 해당 대령이 합의금 10만원으로 얘기를 하자 더욱 분노하여 디시 등 인터넷 커뮤니티, 캡틴 김상호에게 제보하였다.
2023년 4월경에는 예하부대 군무원이 육대전에 열악한 군무원의 실상과 적폐를 폭로하면서 논란이 된적이 있다. 심지어 아는 사람들만 알던 현역, 군무원 가릴 것 없이 부르던 오지마 군단이란 이명까지 나와 꽤나 논란이 되었다.
[1]
파주시,
양주시,
고양시 등 임진강을 건너 진출해 서울로 향하기 때문에 이 곳 역시 중요 축선이다.
[2]
2021년 11월 1일부로 해체된 (구)제23보병사단 군악대가 편입했다.
[3]
대한민국 최초의
노드부대
[4]
대한민국 최초의
특공부대
[5]
제5군단 직할부대의
화생방 대대로 화생방신속대응팀을 운용하고있다.
[6]
대한민국 최초의 정보부대
[7]
항공단 야전 군단 직할 배치 계획에 따라, 군단 직할부대로 편성.
[8]
2022년 11월 30일 (구)제6군단 해체로 제5군단 이관
[9]
2010년 8월 4일 건립 이후 제5군단의 통제하에서 관리되고 있다.
[10]
2022년 10월 1일자로 2022년 말 (구)제6군단 해체로 제5군단 지원
[A]
폐지된
제6군단으로부터 이관받았다.
[A]
[13]
2025년 해체 예정
[14]
대한민국 최초의 전차대대를 포함한 대한민국 최초의 기갑여단이다.
[A]
[16]
다른 군단의 담당 사단 갯수를 보면 많아야 3개(제1군단, 제3군단), 대개 2개(수도방위사령부, 수도군단, 제2군단)이다. 제5군단의 비중과 중요성을 알만하다. 다만 2025년 28사단이 해체되고 나면 3개 사단 체제로 돌아가게 된다.
[17]
수도기계화보병사단은 경기북부 가평, 제2신속대응사단은 경기남부 양평 제8기동사단은 경기북부 양주, 제11기동사단은 강원 홍천.
[18]
국방개혁 2.0에 따른 부대 개편 작업(2016년 이전)이 있기전에도 3사단, 6사단, 8사단으로 6.25 당시에도 있던 사단들로만 구성되었던 시기가 있었으나, 국방개혁에 따라서 8사단이 26사단과 통합되는 형태로 7군단 산하의 기동사단으로 옮겨가고,(기계화보병사단 전환은 2010년 12월) 2개 사단 체제로 있다가 6군단이 해체되며 5사단, 28사단, 5기갑여단을 배속받았다. 이후 예하부대들이 6군단의 비슷한 역할을 하는 부대들을 흡수통합하는 형식으로 6군단의 작전지역 및 임무를 인수한 것이다.
[19]
1977년
육군본부 직할 부대로 이관, 1983년
제7기동군단으로 이관.
[20]
1983년
제7기동군단으로 이관.
[21]
2016년
제7기동군단으로 이관.
[22]
2018년 04월 16일
육군동원전력사령부로 이관.
[23]
2018년 04월 16일
육군동원전력사령부로 이관.
[24]
8사단이 7군단으로 배속되기 전에는 3개였다가 2개로 줄었으나 2022년 10월 1일부로 6군단을 흡수하며 다시 3개로 증가
[25]
정확히는 3사단 항공대가 있었던 철원군 군탄리이다. 지금은 군탄공원
[26]
3회 역임
[27]
이분은 이례적으로 민주화된 김영삼 정권에서 국방부장관직 전에 육군참모총장, 한미연합사 부사령관, 합동참모의장까지 군요직은 모두 거치는 등 당시에 대단한 인맥을 가졌다고 볼 수 있다.
[28]
1989.04 ~ 1990.12
[29]
1990.12 ~ 1992.12
[30]
1992.12 ~ 1994.04
[31]
1994.04 ~ 1996.04
[32]
1996.04 ~ 1998.04
[33]
1998.04 ~ 1999.10
[34]
1999.10 ~ 2001.10
[35]
2001.10 ~ 2003.04
[36]
최종보직은 제2작전사령관(대장). 특이하게도 고향이 포천인데, 포천에 주둔한 5군단 부군단장으로 왔다는 점이다.
[37]
최종보직은 육군3사관학교장(소장)
[38]
전
수도군단장,
육군인사사령관,
병무청장
[39]
현
국군체육부대장
[40]
前 지상작전사령부 부사령관
[41]
제72보병사단장을 거쳐 2021년 12월
육군항공사령부 부사령관으로 전보.
[42]
이전에
제5포병여단
제5포병단장, 여단 참모장, 여단장을 역임.했으며 현
지상작전사령부 화력처장
[43]
대령시절 보직, 마지막 보직은
제60보병사단장
[44]
대령시절 보직, 마지막 보직은 국방부 조사본부장.
[45]
최종보직 국방부 조사본부장.
[46]
중령시절 보직
[47]
그러나 8사단이 16년 12월 1일부로 7군단으로 예속변경 되었고, 26사단과 통합하며 경기도 양주로 이전했다. 승진 훈련장 관리를 담당하던 8사단 예하 138기보대대는 2018년 9월 1일부로 제1기갑여단으로 예속전환 되었다.
[48]
산정리 305-1
[49]
1990년대 초반, 육군은 6군단을 현재의 7군단처럼 기계화군단으로 개편하려 하였고, 5사단은 보병사단으로 남기기 위해 5군단으로 예속되었으나 6군단의 개편이 백지화되면서 90년대 후반에 6군단 소속이 되었고 2022년 11월, 6군단의 해체로 다시 5군단 예하부대로 돌아왔다.
[50]
두 군단 모두 대한민국 정치/경제의 중심인 수도권을 직접방어해야 하는 데다 6.25 당시 의정부 축선이 뚫리면서 3일만에 서울이 함락된 역사도 있기 때문에 좀 더 무게를 주는 것. 1군단은 경기도 서북부, 5군단은 경기도 동북부를 전담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