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27 21:21:33

자유학년제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자유학기제
,
,
,
,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 교육·입시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분류 항목
교육 현장 범위 공교육( 학교 · 학교 관련 정보) · 사교육( 학원)
교육 수준 유아교육기관( 유치원) · 초등교육기관( 초등학교) · 중등교육기관( 중학교 · 고등학교)
고등교육기관( 대학교 · 대학원) · 영재학교 · 특수교육 · 평생교육
교육 관념 전인 교육( 유토리 교육) · 학술 중심 교육 · 출세 목적 교육( 해결 방안 · 해결이 어려운 이유) · 교육철학
입시 위주 교육(중등교육 내) · 취업 위주 교육 · 통합교육 · 선행학습
교육평가 정량평가(필기) 수능 · 내신( 수행평가 · 문제점 및 비판) · 전국연합학력평가 · 학업성취도평가
고입선발고사 · 진단평가 · 경찰대학 1차 시험 · 사관학교 1차 시험
정성평가(실기) 논술 · 면접 · 입시미술 · 음악입시 · 입시체육
시험 문제 유형 적성검사 · 자격고사
성적 산출 방식 상대평가( 표준화 시험) · 절대평가 · 수능 등급제 · 내신 9등급제
입시 전형 입시 · 대입 · 정시 · 수시 ( 학생부종합전형(학종) · 입학사정관제 · 학생부교과전형 · 대학별고사) · 특별전형
논쟁·의논 교육문화와 인식, 관념 교육/논쟁 ( 영어 교육/논쟁 · 학술중심교육 대 전인교육 · 대학/논쟁 · 탈학교론) · 인성교육 · 경쟁 · 한국 사회 문제 · 생활지도 · 성교육 · 학생 · 학생 인권 · 교권 · 수포자 · 대한민국 교육열 · 보상심리 · 고3병 · 시험만능주의
교육 범위 간 갈등 공교육 대 사교육(입시 위주 교육) · 교육과정/의논 ( /국어과 · /수학과 · /과학과)
평가·시험 유형 시험 · 시험/논쟁 · 정량평가 대 정성평가 · 적성검사 · 자격고사
성적 산출 방식 성적 · 상대평가 대 절대평가
대입 방식과 전형 정시 대 수시( 우수성 논쟁) · 편입학 · 유학 · 어학연수 · 반수 · 재수 · 1+3 유학 특별 전형
학벌 학벌 · 학력 · 학위 · 대학 서열화( 연공서열) · 명문대 ( SKY · 의치한약수) · 인서울 대학교 ( 사대문 안 · 인수도권 대학교) · 지잡대 ( 낙후된 지방 · 입지 약화 · 취업 · 외국 사례) · 대학 평준화
★ 현재 교육 관련 문서 간에 혼용과 중복 현상이 심합니다.
이에 편집 예정자는 아웃링크(문단 또는 앵커 리다이렉트)를 적절히 활용해 문제를 해소해주시기 바랍니다.
교육 관련 행정기관 교육부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국립국제교육원 · 국외 한국교육원 · 교육감 · 교육청 · EBS
교육 관련 단체 주요 교원단체(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전국교직원노동조합, 교사노동조합연맹) · 사교육걱정없는세상
교육법 교육기본법 · 초·중등교육법( 의무교육법)
교육과정 정책 교육과정(1차 · 2차 · 3차 · 4차 · 5차 · 6차 · 7차 · 2007 개정 · 2009 개정( /각론) · 2015 개정( /부분 개정) · 2022 개정)
교육자 양성 정책 교사 · 교수 · ( 교육대학 · 사범대학 - 교육전문대학원) · 교사 임용시험 · 교직이수과정 · 교육대학원
초중등교육기관 및 정책 자사고 · 특목고 · 영재학교 · 대안학교 · 0교시 · 야간자율학습 · 창의적 체험활동 · 보충학습 · 방과 후 학교 · 국제반 · 고교학점제 · 자유학기제 · 교육행정정보시스템(나이스) · K-에듀파인 · 학교생활기록부
고등교육기관 및 정책 등록금 · 대학원 · 전문대학원 · 과학기술원 · 평점 · 졸업정원제 · 원격대학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 사이버대학)
평생교육기관 및 정책 학점은행제 · 독학학위제 · 원격대학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 사이버대학) · 일학습병행
기타 교육 정책 고교 평준화 정책 · 학생인권조례 · 디벗 · 무상급식 · 고교 상피제 · 교과교실제( 수준별 수업) · 문·이과 통합 · 국공립대 공동학위제 · 국가거점국립대학교 통합 · 교원능력개발평가
논란·사건사고 학사 비리( 숙명여고 사태 · 고려고 사태 · 김포외고 사태 · 문태고 사태) · 촌지 · 무상급식 전면확대 논란 · 교학사 한국사 교과서 사태 · 2015 개정 교육과정 역사 교과용도서 국정화 논란 · 사회 교과서 무단수정 의혹 · 외고·국제고·자율고 폐지(논란 포함) · 대통령실 수능 출제 방침 지시 논란
교과용도서 ( 국정도서 · 검정도서 · 인정도서) · 대학 교재 · 문제집 · 학습지 · 개론서 · 수험서 · 전과
학문, 연구 교육학 · 교육심리학 · 교수법 · 교육공학 · 교육사회학 · 교육평가
학습 방법 주입식 교육 · 자기주도학습 · 자습 · 온라인 교육 · 인터넷 강의 · 입시3대포탈 · 홈스쿨링 · 독서실 · 스터디카페 · 열람실 · 도서관 · 과외
세계 평가 지표 OECD 교육지표
둘러보기: 대한민국 관련 문서 · 영미권의 교육 관련 문서 }}}}}}}}}





1. 개요2. 목적3. 운영 방식4. 연계학기5. 기타

[clearfix]

1. 개요

박근혜 정부의 공약으로 자유학기제가 실시되었고, 이후 문재인 정부가 자유학년제로 확대한다는 공약을 펼쳤다. 1학기만 시행하기에는 제대로 된 진로탐색을 할 수 없기 때문이라는 의견 때문. 지역마다 다르며, 넓게 보면 2017년부터 2024년까지, 전면적으로는 2020년 한 해만 시행했다.[1]

2. 목적

학생들이 중학교 과정 중 1년 동안 시험의 부담을 줄이고 꿈과 끼를 찾을 수 있도록 돕기 위함이다. 수업 방식으로써는 참여형 수업, 체험활동이 가능하게 만들고, 이를 위해 교육과정을 유연하게 만드는 것도 하나의 목적이다.

3. 운영 방식

자유학년제는 1학년 두 학기에 걸쳐서 진행되며 도합 221시간 이상 진행하고 주제선택, 예술체육, 진로탐색, 동아리 이 4가지를 두 학기에 걸쳐 고루 수업한다. 예를 들어 자유학기제는 1-1, 1-2, 2-1 중 한 학기만 주당 10시간(170시간)을 진행하지만 자유학년제는 221시간(주당 13시간)을 6-7, 7-6, 5-8, 7, 7 등으로 분배하며 두 학기 모두 중간, 기말고사를 치지 않는다.

4. 연계학기

자유학기제 혹은 학년제를 하기 전후의 학기에 진행한다. 중간,기말고사는 실시하고 보통 2학년 1학기에 실시한다. 주제선택, 예술체육, 진로탐색, 동아리 4개 중 2개 이상 실시하며 주당 3~4시간만 실시가 가능하다.

5. 기타

  • 자유학기제의 연장전인 만큼 비판과 옹호 의견 역시 유사하다.
  • 최초 도입은 2017년 경기도와 강원도에서 전면 도입되었고[2] 그 밖의 일부 시범학교도 자유학년제를 시작했다. 그리고 2018년부터 경기도,강원도 외에도 대전, 대구, 광주에서 자유학년제가 전면 시행되었고, 그 밖의 시범학교도 전년도보다 많아졌으며 2019년에도 시범학교가 전년도보다 늘어났다. 2020년에는 전국 5개 광역+시범학교 뿐만 아니라 전국에 있는 모든 학교에서 자유학년제가 시행되었다. 물론, 자유학기제와 마찬가지로 일부 실시한 학교의 학력이 상대적으로 떨어졌다는 얘기도 있다.
  • 하지만 2021년부터 세종특별시와 경상북도가 자유학기제로 전환되고, 2022년에는 대구광역시까지 전환되었다. 2023년~ 2024년에는 학교에서 자유학년제와 자유학기제 중 선택하게 된다. 2012년생이 중1이 되는 2025년 부터는 폐지된다.
  • 이 탓에 넓게 보면 2004년생~2011년생이 경험하지만 전면적으로 모든 학생들이 자유학년제를 경험한 세대는 2007년생이 유일하다. 그 탓에 2007년생은 전면적으로 자유학년제를 겪어 자유학년제를 겪지 않은 학생들에 비해서는 부러움을 느끼기도 한다. 하지만 2007년생은 코로나 사태가 시작된 2020년에 중학교에 입학해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영향으로 다른 학년에 비해 많은 활동을 하지도 못하고 2학년에 진급하였다. 반응은 자유학년제를 잘 못 누렸다는 의견과 중2의 첫 시험을 대비하기 그나마 쉬워졌다는 것으로 갈리는 편.


[1] 다만 2020년은 코로나라서 시험만 보지 않았을뿐 자유학년제를 제대로 누리지 못했다. [2] 2015년에 자유학기제를 전면 도입된 지역이기도 하다. 다만 2015년에는 그 밖의 지역도 80%가 자유학기제를 했다. [3] 아예 일부에선 스마트폰, 유튜브를 넘어선 주요 원인으로 지목하고 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