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20 00:58:51

디벗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 교육·입시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분류 항목
교육 현장 범위 공교육( 학교 · 학교 관련 정보) · 사교육( 학원)
교육 수준 유아교육기관( 유치원) · 초등교육기관( 초등학교) · 중등교육기관( 중학교 · 고등학교)
고등교육기관( 대학교 · 대학원) · 영재학교 · 특수교육 · 평생교육
교육 관념 전인 교육( 유토리 교육) · 학술 중심 교육 · 출세 목적 교육( 해결 방안 · 해결이 어려운 이유) · 교육철학
입시 위주 교육(중등교육 내) · 취업 위주 교육 · 통합교육 · 선행학습
교육평가 정량평가 (지필) 수능 · 내신( 수행평가 · 문제점 및 비판) · 전국연합학력평가 · 학업성취도평가
고입선발고사 · 진단평가 · 경찰대 1차 시험 · 사관학교 1차 시험
정성평가 (실기) 논술 · 면접 · 입시음악 · 입시미술 · 입시체육
시험 문제 유형 적성검사 · 자격고사
성적 산출 방식 상대평가( 표준화 시험) · 절대평가 · 수능 등급제 · 내신 9등급제
입시 전형 입시 · 대입 · 정시 · 수시 ( 학생부종합전형(학종) · 입학사정관제 · 학생부교과전형 · 대학별고사) · 특별전형
논쟁·의논 교육문화와 인식, 관념 교육/논쟁 ( 영어 교육/논쟁 · 학술중심교육 대 전인교육 · 대학/논쟁 · 탈학교론) · 인성교육 · 경쟁 · 한국 사회 문제 · 생활지도 · 성교육 · 학생 · 학생 인권 · 교권 · 수포자 · 대한민국 교육열 · 보상심리 · 고3병
교육 범위간 갈등 공교육 대 사교육(입시 위주 교육) · 교육과정/의논 ( /국어과 · /수학과 · /과학과)
평가·시험 유형 시험 · 시험/논쟁 · 정량평가 대 정성평가 · 적성검사 · 자격고사
성적 산출 방식 성적 · 상대평가 대 절대평가
대입 방식과 전형 정시 대 수시( 우수성 논쟁) · 편입학 · 유학 · 어학연수 · 반수 · 재수 · 1+3 유학 특별 전형
학벌 학벌 · 학력 · 학위 · 대학 서열화( 연공서열) · 명문대 ( SKY · 의치한약수) · 인서울 대학교 ( 사대문 안 · 인수도권 대학교) · 지잡대 ( 낙후된 지방 · 입지 약화 · 취업 · 외국 사례) · 대학 평준화
★ 현재 교육 관련 문서 간에 혼용과 중복 현상이 심합니다.
이에 편집 예정자는 아웃링크(문단 또는 앵커 리다이렉트)를 적절히 활용해 문제를 해소해주시기 바랍니다.
교육 관련 행정기관 교육부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국립국제교육원 · 국외 한국교육원 · 교육청 · EBS
교육 관련 단체 주요 교원단체 · 사교육걱정없는세상
교육법 교육기본법 · 초·중등교육법( 의무교육법)
교육과정 정책 교육과정(1차 · 2차 · 3차 · 4차 · 5차 · 6차 · 7차 · 2007 개정 · 2009 개정( /각론) · 2015 개정( /부분 개정) · 2022 개정)
교육자 양성 정책 교사 · 교수 · ( 교육대학 · 사범대학 - 교육전문대학원) · 교사 임용시험 · 교직이수과정 · 교육대학원
초중등교육기관 및 정책 자사고 · 특목고 · 영재학교 · 대안학교 · 0교시 · 야간자율학습 · 창의적 체험활동 · 보충학습 · 방과 후 학교 · 국제반 · 고교학점제 · 자유학기제 · 교육행정정보시스템(나이스) · K-에듀파인 · 학교생활기록부
고등교육기관 및 정책 등록금 · 대학원 · 전문대학원 · 과학기술원 · 평점 · 졸업정원제 · 원격대학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 사이버대학)
평생교육기관 및 정책 학점은행제 · 독학학위제 · 원격대학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 사이버대학)
기타 교육 정책 고교 평준화 정책 · 학생인권조례 · 무상 교육 · 디벗 · 무상급식 · 고교 상피제 · 교과교실제( 수준별 수업) · 문·이과 통합 · 국공립대 공동학위제 · 국가거점국립대학교 통합 · 교원능력개발평가
논란·사건사고 학사 비리( 숙명여고 사태 · 고려고 사태 · 김포외고 사태 · 문태고 사태) · 촌지 · 무상급식 전면확대 논란 · 교학사 한국사 교과서 사태 ·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사태 · 사회 교과서 무단수정 의혹 · 외고·국제고·자율고 폐지(논란 포함) · 대통령실 수능 출제 방침 지시 논란
교과서 · 대학 교재 · 문제집 · 학습지 · 개론서 · 수험서 · 전과
학문, 연구 교육학 · 교육심리학 · 교수법 · 교육공학 · 교육사회학 · 교육평가
학습 방법 주입식 교육 · 자기주도학습 · 자습 · 온라인 교육 · 인터넷 강의 · 입시3대포탈 · 홈스쿨링 · 독서실 · 스터디카페 · 열람실 · 도서관 · 과외
세계 평가 지표 OECD 교육지표
둘러보기: 대한민국 관련 문서 · 영미권의 교육 관련 문서
}}}}}}}}} ||


1. 목차

디벗은 "Digital + 벗"의 줄임말로, '스마트기기는 나의 디지털 학습 친구'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2022년을 시작으로 코로나-19 이후 온라인 학습 플랫폼을 구축하고, 중학교부터 교육용 스마트기기를 1인 1기기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면서 교사와 학생이 교육에 전념할 수 있도록 서울특별시교육청에서 기기 구매, 배부, 유지, 보수를 지원하는 정책을 펼치고 있다.

학교에서의 디지털기기 활용 비율은 다음과 같다.
파일:교육정보2-2.webp
디벗 보급 이전 기준이므로 현재[1]와는 다를 수 있다.

2. 기종

현재 서울시 교육청에서는 학교별로 기종을 통일하여 보급하고 있다.
보급중인 기종은 OS별로 분류하며, 다음과 같다.
안드로이드 : 갤럭시 탭 S7 FE, 갤럭시 탭 S9+
크롬 OS : 갤럭시 크롬북2
윈도우 : 갤럭시북 EDU[2][3]
웨일 OS : 웨일북[4]
iOS : iPad(9세대)[5]

구성품은 iPad와 같이 스타일러스 펜 키보드를 고가로 별도 판매하는 경우를 제외하면 충전기, 덮개 케이스, 키보드를 기본 제공한다.

3. 논란

3.1. 부적절한 이용

2023년부터 서울특별시교육청에서 제공하는 디벗은 학교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 학생들이 디벗을 집으로 가져가 유튜브를 보거나 웹툰을 보는 등 부적절하게 이용한다는 판단 때문이다. 중학생 학부모들 사이에서 디벗 수취를 거부하겠다는 불만이 속출하자 교육청에서는 디벗을 학교에서만 사용할 수 있도록 규정을 변경하였다. 디벗 내의 유해 프로그램 차단 기능이 그다지 강력하지 않기 때문, 학생들이 프로그램을 직접 우회하여[6] 유튜브, 게임 등 금지된 기능들을 사용하기 용이한 것도 한 몫 했다.

3.2. 예산 논란

2023년 서울특별시교육청은 교육비특별회계 제2회 추경예산으로 6,739억원을 편성했다. 그 중 1,059억원이 시의회가 강하게 반대해 온 디벗 사업으로 편성된 만큼, 디벗 보급이 더욱 확대될 2024년에는 큰 논란이 예상된다.

4. 보안

위 논란 항목에서 언급했듯, 디벗 내 유해 프로그램 차단 기능이 강력하지 않아 많은 학생들이 보안을 해제하여 이용하고 있다.

안드로이드 기반 갤럭시 탭 기준 AppStore[7], Youtube, FactoryReset[8]가 금지되어 있다. 하지만 보안 폴더 기능을 통해 금지된 미디어와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수 있고, 안전 모드 기능을 통해 보안 프로그램을 무력화할 수 있다.

그 외 기종은 디씨인사이드 게시글에서 자세히 다루고 있다. 게시글


[1] [2] 파일:갤북edu.jpg [3] 교육청 공식 발표자료에서 발췌한 이름이다. EDU라는 명칭이 붙는 것으로 보아 판매용 모델을 개조한 전용 모델인 듯 하다. [4] 교육청 공식 발표자료에서는 웨일북으로 명명하고 있다. 발표자료 속 사진을 참고하면 LG전자의 Whalebook 14TN30Q 모델인 듯 하다. [5] 2024년 5월부로 iPad 9세대가 단종되었으므로, iOS 기반 디벗 지급이 확실시된 보인고등학교 등 2024년 5월 이후에 지급되는 학교의 경우 iPad(10세대)를 제공할 가능성이 매우 크다. [6] 갤럭시 탭의 기본 기능인 보안 폴더, 안전 모드 등을 활용한다고 한다. [7] 보안 프로그램 상에서는 Play Store가 아닌 AppStore로 표기되어 있다. [8] 공장초기화